브레즈네프 독트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레즈네프 독트린은 1968년 프라하의 봄 이후 소련이 사회주의 국가의 주권에 대한 제한을 두어, 사회주의 체제가 위협받을 경우 군사적 개입을 할 수 있다는 외교 정책이다. 이 독트린은 레오니트 브레즈네프에 의해 천명되었으며, 1968년 체코슬로바키아 침공, 1979년 아프가니스탄 침공 등 소련의 대외 정책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80년대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글라스노스트와 페레스트로이카 정책으로 약화되었고, 1988년 폐기 선언 이후 동유럽 혁명과 소련 해체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8년 소련 - 1968년 붉은 광장 시위
1968년 붉은 광장 시위는 1968년 8월 25일 8명의 시위자가 소련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에 항의하며 체코슬로바키아의 자유와 독립을 지지한 사건이다. - 1968년 소련 - 암병동
알렉산드르 솔제니친의 소설 《암병동》은 1955년 소련 암 병동을 배경으로 주인공 올레그 코스토글로토프의 투병 과정과 병원 내 권력 다툼을 통해 스탈린 시대의 억압과 개인의 고뇌, 죽음에 대한 성찰을 그린 작품이다.
브레즈네프 독트린 | |
---|---|
개요 | |
명칭 | 브레즈네프 독트린 |
로마자 표기 | Beurejeupeu Doseuteurin |
러시아어 표기 | Доктрина Брежнева |
다른 이름 | 제한 주권론 |
배경 | |
주창 시기 | 냉전 시대 |
관련 국가 | 소련 |
내용 | |
목표 | 소련의 군사 개입 정당화 |
핵심 내용 | 사회주의 국가의 주권은 제한될 수 있으며, 사회주의 진영 전체의 이익을 위해 필요하다면 다른 사회주의 국가의 내정에 간섭할 수 있다는 이론 |
주요 쟁점 | 특정 국가의 사회주의 이탈 방지 |
역사적 맥락 | |
발단 | 프라하의 봄 |
직접적 계기 | 체코슬로바키아에 대한 군사 개입 (1968년) |
공식화 | 1968년 8월 26일, 소련의 관영 매체 프라우다에서 '주권과 사회주의의 국제적 의무'라는 제목으로 발표 |
언급 회피 | 소련은 공식적인 문서에서 브레즈네프 독트린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음 |
영향 | |
국제 관계 | 소련의 동유럽 지배 강화 |
비판 | 서방 국가들로부터 비판 자유주의 진영으로부터 제국주의적 정책이라는 비판 |
관련 사건 | 체코슬로바키아 침공 (1968년) 아프가니스탄 전쟁 (1979년) |
종식 | |
폐기 선언 |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페레스트로이카 정책 하에서 폐기됨 |
관련 정책 | 신사고 외교 |
종식 시점 | 1980년대 후반, 동유럽 혁명과 소련의 붕괴로 사실상 종식 |
2. 배경
체코슬로바키아에서 국내 정치 혼란과 사회주의 경제 체제로의 이행에 대한 불협화음으로 개혁개방 요구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 특히 사회주의 경제로의 전환으로 인한 경제난이 심각해진 것이 주요 원인이었다.[63][64][65]
1960년대 말, 알렉산데르 둡체크 제1서기를 중심으로 인간의 얼굴을 한 사회주의를 표방하며 다양한 개혁개방 정책이 시행되었다. 비밀경찰 제도 폐지, 언론보도 자유화, 다당제 허용 등은 다른 사회주의 국가들과 소련의 반발 및 의구심을 샀고, 이는 사회주의 블록 전체의 직간접적인 압박으로 이어졌다.
체코를 시작으로 사회주의권 위성국들의 이탈을 우려한 소련은 직접적인 간섭에 나섰다. 소련과 체코슬로바키아, 헝가리, 폴란드는 협상 후 브라티슬라바 선언을 도출했지만, 협상 결과가 만족스럽지 않자 소련은 바르샤바 조약기구군을 동원하여 체코슬로바키아를 침공했다.[66][67][68]
2. 1. 1956년 헝가리 혁명과 소련의 개입
이오시프 스탈린이 1953년에 사망한 후, 니키타 흐루쇼프는 1956년 비밀 연설에서 스탈린을 비난했다. 이러한 전 지도자에 대한 비난은 "탈스탈린화"로 알려진 소련 시대의 기간으로 이어졌다.[10] 이러한 변화의 흐름 속에서, 헝가리에서는 임레 너지가 마차시 라코시를 대신하여 새로운 총리가 되었다. 너지는 거의 즉시 개혁을 시작했다. 경찰 권력이 축소되었고, 집단 농장이 분할되어 개별 농민에게 반환되었으며, 산업 및 식량 생산이 변화했고 종교적 관용이 더욱 두드러졌다. 이러한 개혁은 헝가리 공산당에 충격을 주었다. 너지는 1955년에 라코시에 의해 빠르게 전복되었고, 그의 직위에서 박탈되었다. 이 쿠데타 직후, 흐루쇼프는 "소련 블록 내에서 사회주의로 가는 별도의 길이 허용된다"는 내용의 베오그라드 선언에 서명했다.[10] 헝가리에서 진지한 개혁의 희망이 막 사라진 상황에서, 이 선언은 헝가리인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지 못했다.[10] 시위와 소련군의 철수뿐만 아니라 헝가리의 바르샤바 조약기구 탈퇴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오면서 헝가리에서 긴장이 빠르게 고조되었다. 10월 23일, 소련군은 부다페스트에 상륙했다. 혼란스럽고 피비린내 나는 혁명 세력 진압은 10월 24일부터 11월 7일까지 지속되었으며, 수천 명의 헝가리인이 살해되고 훨씬 더 많은 사람들이 나라를 떠났다.[11] 질서는 회복되었지만, 갈등의 양측 모두에서 긴장은 여전히 남아 있었다. 헝가리인들은 개혁의 종말에 분개했고, 소련은 소련 블록의 다른 곳에서 유사한 위기가 다시 발생하는 것을 피하고 싶어했다.2. 2. 1968년 프라하의 봄
체코슬로바키아에서 국내 정치의 혼란과 사회주의 경제 체제로의 이행에 대한 불협화음으로 인해, 개혁개방 요구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 특히 사회주의 경제로의 전환으로 인한 경제난이 심각해진 것이 주요 원인이었다.[63][64][65]1960년대 말, 알렉산데르 둡체크 제1서기를 중심으로 인간의 얼굴을 한 사회주의를 표방하며 다양한 개혁개방 정책이 시행되었다. 비밀경찰 제도 폐지, 언론보도 자유화, 다당제 허용 등은 다른 사회주의 국가들과 소련의 반발 및 의구심을 샀고, 이는 사회주의 블록 전체의 직간접적인 압박으로 이어졌다.
체코를 시작으로 사회주의권 위성국들의 이탈을 우려한 소련은 직접적인 간섭에 나섰다. 소련과 체코슬로바키아, 헝가리, 폴란드는 협상 후 브라티슬라바 선언을 도출했지만, 협상 결과가 만족스럽지 않자 소련은 바르샤바 조약기구군을 동원하여 체코슬로바키아를 침공했다.[66][67][68]

프라하의 봄 당시 체코슬로바키아 국민들은 대규모 시위를 열고 민주화를 요구했다. 그러나 이는 소련과 바르샤바 조약기구 군이 탱크와 공수부대를 이용하여 무력으로 진압하면서 끝나게 되었다.[69][70][71][72] 소련의 유혈 진압으로 137명이 사망하고, 500명 이상이 중상을 입었다.[73] 둡체크 또한 소련 공수부대에 붙잡혀 모스크바로 강제 이송되었다.
체제 개혁에 대한 생각은 1960년대 초중반부터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서서히 커져가고 있었다. 1968년 1월, 스탈린주의 대통령 안토닌 노보트니가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 수장직에서 사임하면서 프라하의 봄이 시작되었다. 알렉산데르 둡체크는 노보트니를 대신하여 당의 수장이 되었는데, 처음에는 소련의 우호적인 인물로 여겨졌다. 둡체크는 곧 심각한 자유주의 개혁을 시작했다. 둡체크가 "인간의 얼굴을 한 사회주의"라고 칭한 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그는 훨씬 더 자유롭고 진보적인 사회주의 국가를 만들기 위한 변화를 체코슬로바키아에 도입했다.[13] 시장 경제의 측면이 도입되었고, 시민들의 여행 제한이 완화되었으며, 국가 검열이 완화되었고, StB 비밀 경찰의 권한이 제한되었으며, 서방과의 관계 개선을 위한 조치가 취해졌다. 개혁이 쏟아지자, 크렘린은 체코슬로바키아 내에서의 권력을 유지하고 헝가리식 혁명을 막고 싶어했기에 불안감을 느꼈다.
1968년 3월, 폴란드 인민 공화국에서 학생 시위가 발생하고 안토닌 노보트니가 체코슬로바키아 대통령직에서 사임하면서 소련의 불안감은 더욱 커졌다. 3월 21일, 유리 안드로포프, KGB 의장은 둡체크 아래에서 진행되는 개혁에 대해 심각한 성명을 발표했다. 레오니트 브레즈네프는 3월 21일, 정치국 회의에서 둡체크에게 체코슬로바키아 상황에 대한 설명을 요구했다. 둡체크는 브레즈네프에게 개혁이 완전히 통제되고 있으며 1956년 헝가리에서 보았던 것과 같은 길을 걷지 않을 것이라고 안심시켰다.[14]
둡체크의 약속에도 불구하고, 다른 소련 동맹국들은 동유럽 이웃 국가에서 일어나는 개혁에 대해 불안해했다. 우크라이나 공산당 제1서기는 둡체크의 "인간의 얼굴을 한 사회주의"가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해 즉시 체코슬로바키아를 침공할 것을 모스크바에 요청했다.[15] 5월 6일, 브레즈네프는 둡체크의 시스템을 비난하며 "바르샤바 조약기구의 완전한 붕괴"로 가는 단계라고 선언했다.[15]
3개월간의 협상, 합의, 그리고 모스크바와 체코슬로바키아 간의 긴장 고조 이후, 1968년 8월 20일 밤에 소련/바르샤바 조약기구 침공이 시작되었고, 이는 1970년까지 여러 달 동안 체코슬로바키아의 큰 불만과 저항에 직면하게 되었다.[13]
1968년1월 5일,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알렉산데르 두브체크가 당 중앙위원회 제1서기에 취임했다[28]。두브체크는 "사회주의가 승리를 거둔 후 사회의 변혁이 시작된다"라고 선언했다. 이는 "인간의 얼굴을 한 사회주의"라고 불리며, 정치 및 경제에서의 자유화 계획의 시작이었다. 그 안에는 소비자 산업에 유리한 경제의 자유화뿐만 아니라, 언론의 자유, 표현의 자유, 이동의 자유, 종교의 자유, 검열 폐지, 복수 정당제의 도입도 포함되었으며, 두브체크는 국가의 정치 체제 개혁을 추진하려 했다. 이는 "프라하의 봄"이라고 불렸다. "인간의 얼굴을 한 사회주의"라는 용어는 체코의 사회학자이자 철학자인 Radovan Richta|라드반 리히타cs가 처음 제창했다[29]。
소련은 바르샤바 조약 기구 가맹국과 함께, 체코슬로바키아와 여러 차례 협상을 거듭했지만, 두브체크는 "인간의 얼굴을 한 사회주의"를 철회하려 하지 않았다. 1968년8월 20일 오후 11시, "도나우 작전"이라고 명명된 군사 침공이 전개되었고[31], 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연합군이 국경을 넘어 체코슬로바키아로 쇄도했다. 소련이 지휘하고 주도한 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군대가 두브체크가 실시하려 했던 자유화 개혁을 저지·진압하기 위해 체코슬로바키아를 침공하게 되었다[32]。
1968년10월 16일, 체코 공산당 지도부는 협정에 서명했고[33], 소련군이 체코슬로바키아 영토 내에 주둔하게 되었다. 1991년6월 27일, 소련은 마지막 부대를 철수시키고, 체코슬로바키아 영토 내에서의 소련군의 23년간의 "임시" 주둔에 종지부를 찍었다[36]。
3. 브레즈네프 독트린의 성립
체코슬로바키아에서 국내 정치 혼란과 사회주의 경제 체제로의 이행에 대한 불협화음으로 개혁개방 요구가 높아졌다. 특히 사회주의 경제 체제로 바뀌면서 경제난이 심각해져 이러한 요구가 더욱 거세졌다.[63][64][65]
1960년대 말, 알렉산데르 둡체크 제1서기를 중심으로 인간의 얼굴을 한 사회주의를 표방하며 다양한 개혁개방 정책이 시행되었다. 비밀경찰 제도 폐지, 언론 보도 자유화, 다당제 허용 등은 다른 사회주의 국가들과 소련의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이는 사회주의 블록 전체의 압박으로 이어졌다.
소련은 체코슬로바키아를 시작으로 사회주의권 위성국가들의 이탈을 우려하여 직접적인 간섭에 나섰다. 브라티슬라바 선언에도 불구하고, 소련은 바르샤바 조약기구군을 동원하여 체코슬로바키아를 침공했다.[66][67][68]
3. 1. 주요 내용
소련은 체코슬로바키아에서 일어난 민주화 시위를 진압한 후, 사회주의 진영 전체의 이익을 강조하며 한 국가의 이익이 이에 종속된다는 '제한 주권론'을 내세웠다. 이것이 브레즈네프 독트린이다.[75][76][77] 레오니트 브레즈네프는 폴란드 통일노동자당 제5차 당 대회에서 사회주의에 대한 위협은 개별 국가의 문제가 아니라 모든 사회주의 국가의 문제라고 강조했다.[39][40]1968년 9월 26일, 소련의 신문 『프라우다』에는 「사회주의 국가의 주권과 국제적 의무에 관하여」라는 기사가 게재되었다. 이 기사에서는 사회주의 체제 자체가 위험에 처하면 이는 모든 사회주의 국가의 공통된 문제라고 주장했다.[37] 이러한 내용은 사회주의 국가의 주권을 제한하고 필요시 군사력 행사도 불사하는 정책으로, '브레즈네프 독트린'으로 불리게 되었다.[38]
1968년 11월 12일, 폴란드 통일 노동자당 제5차 당 대회에서 브레즈네프는 사회주의 건설에는 일반적인 법칙이 있으며, 여기서 벗어나는 것은 사회주의 자체에서 벗어나는 것이라고 연설했다. 또한, 사회주의 국가의 발전이 자본주의로 기울어질 경우, 이는 모든 사회주의 국가의 문제라고 강조했다.[39][40] 이는 체코슬로바키아 군사 침공을 이데올로기적으로 정당화하는 것이었다.[41]
3. 2. 폴란드 통일노동자당 대회 연설
1968년 11월 12일 폴란드 통일 노동자당 제5차 당 대회에서 레오니트 브레즈네프는 다음과 같이 연설했다.[39][40]그리고 사회주의에 적대하는 내외의 세력에 의해 사회주의 국가의 발전이 자본주의 제도로 기울어질 때, 그 국가의 사회주의 대의에 대한 위협이나 사회주의 공동체의 안전에 대한 위협이 보일 때, 전체적으로 이는 그 국가의 인민만의 문제가 아니라, 모든 사회주의 국가에게 공통의 골칫거리이자, 우려 사항이 되는 것입니다.ru
이는 체코슬로바키아 군사 침공을 이데올로기 측면에서 정당화한 것이었다.[41] 브레즈네프는 니키타 흐루쇼프의 "사회주의로 가는 여러 갈래 길"이라는 생각에서 벗어나, 사회주의 진영 전체의 통일된 비전을 강조했다.[16] 그는 "경제 통합, 정치적 공고화, 이념적 정통성 회귀, 당간 협력"을 소련 블록 관계의 새로운 핵심어로 제시했다.[17]
폴란드 통일노동자당 제1서기 브와디스와프 고무우카는 알렉산데르 두브체크의 '인간의 얼굴을 한 사회주의'를 싫어했으며, 카민스키는 "『고무우카-브레즈네프 독트린』이라고 불러야 한다"고 주장했다.[25]
4. 브레즈네프 독트린의 적용 사례
1953년 이오시프 스탈린 사망 이후, 헝가리에서 임레 너지가 총리로 취임하여 개혁을 추진했으나, 1956년 소련군 개입으로 실패했다.[10] 헝가리 혁명은 소련군에 의해 진압되었고, 수천 명의 헝가리인이 사망하거나 국외로 탈출했다.[11]
브레즈네프 독트린의 모호성은 소련이 국제 상황에 따라 독트린을 적용할 수 있게 했다.[19] 소련은 한 국가가 "국제 사회주의에 대한 위험"이 되는지 여부에 따라 군사 개입을 정당화했다.[20]
1979년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은 브레즈네프 독트린이 적용된 사례 중 하나이다.
1989년 12월 4일 모스크바에서 열린 바르샤바 조약기구 가맹국 수뇌 회담에서 1968년 체코슬로바키아 침공을 비난하는 공동 선언이 채택되었다.[49][50][51]
1991년 1월 13일 소련은 리투아니아 빌뉴스를 군사 침공하여 14명 이상이 사망했다.[53][54][55][56] 1990년 3월 11일 리투아니아는 독립을 선언했고, 소련은 군사력으로 위협했지만, 리투아니아는 1991년 1월 10일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요구를 거부했다.[25] 2019년 3월, 리투아니아 법원은 1991년 군사 침공 관련자들에게 전쟁범죄 및 인도에 반하는 죄로 유죄를 선고했다.[25] 보리스 옐친은 소련군의 리투아니아 침공을 비난했고, 1991년 9월 7일 러시아 대통령으로서 발트 3국의 독립을 승인했다.[25]
2014년 5월,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 위원장 조제 마누엘 바호주는 우크라이나 사태를 언급하며, "주권 제한론"은 역사책에 실려야 한다고 말했다.[25]
4. 1. 체코슬로바키아 침공 (1968)
1960년대 말 알렉산데르 둡체크 제1서기를 중심으로 인간의 얼굴을 한 사회주의를 표방하며 체코슬로바키아에서 다양한 개혁개방 정책이 실행되었다.[63][64][65] 비밀경찰제도 폐지, 언론보도 자유화, 다당제 허용 등은 사회주의 국가들과 소련의 반발을 샀다. 소련은 체코를 시작으로 사회주의권 위성국들의 이탈을 우려하여 직접적인 간섭에 나섰다. 브라티슬라바 선언에도 불구하고, 소련은 바르샤바 조약기구군을 동원하여 체코슬로바키아를 침공했다.[66][67][68]프라하의 봄 당시 체코슬로바키아 국민들은 대규모 시위를 열고 민주화를 요구하였다. 그러나 소련과 바르샤바조약기구 군은 탱크와 공수부대를 이용하여 무력으로 진압하였다.[69][70][71][72] 소련의 유혈 진압으로 137명의 사망자, 500명 이상의 중상자가 발생하였다.[73] 둡체크는 소련 공수부대에 붙잡혀 모스크바로 강제로 이송되었다.
1968년 1월, 안토닌 노보트니가 사임하고 알렉산데르 둡체크가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 수장이 되면서 프라하의 봄이 시작되었다. 둡체크는 "인간의 얼굴을 한 사회주의" 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시장 경제 도입, 시민들의 여행 제한 완화, 국가 검열 완화, StB 비밀 경찰의 권한 제한, 서방과의 관계 개선 등의 개혁을 추진했다.[13]
레오니트 브레즈네프는 둡체크에게 개혁에 대한 설명을 요구했고, 둡체크는 개혁이 통제되고 있다고 안심시켰다.[14] 그러나 우크라이나 공산당 제1서기는 둡체크의 "인간의 얼굴을 한 사회주의"가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확산될 것을 우려하여 즉각적인 침공을 요청했다.[15] 3개월간의 협상 후, 1968년 8월 20일 밤, 소련/바르샤바 조약기구 침공이 시작되었다.[13]
1968년 1월 5일, 알렉산데르 두브체크가 당 중앙위원회 제1서기에 취임했다[28]。두브체크는 "인간의 얼굴을 한 사회주의"를 선언하며 정치 및 경제 자유화 계획을 시작했다. 여기에는 언론, 표현, 이동, 종교의 자유, 검열 폐지, 복수 정당제 도입 등이 포함되었다.[29] 1968년 8월 20일 오후 11시, "도나우 작전"으로 명명된 군사 침공이 전개되었고[31], 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연합군이 체코슬로바키아를 침공했다.[32] 1968년 10월 16일, 체코 공산당 지도부는 협정에 서명했고[33], 소련군이 체코슬로바키아 영토 내에 주둔하게 되었다.[34] 1991년 6월 27일, 소련은 마지막 부대를 철수시켰다.[36]
1968년 9월 26일, 소련 신문 『프라우다』는 「사회주의 국가의 주권과 국제적 의무에 관하여」라는 기사를 게재했다.[37] 이 기사는 사회주의 국가의 주권을 제한하고, 필요하다면 군사력 행사도 불사하는 정책인 「브레즈네프 독트린」으로 불리게 되었다.[38]
1968년 11월 12일 레오니트 브레즈네프는 사회주의 국가의 발전이 자본주의로 기울어질 때, 이는 모든 사회주의 국가의 문제라고 연설했다.[39][40] 이 정책은 체코슬로바키아 군사 침공을 이데올로기 측면에서 정당화했다.[41]
1968년 7월, 폴란드 정치국 회의에서 브와디스와프 고무우카는 폴란드가 군사 작전을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발언했다.[42]
소련 공산당 지도부는 체코슬로바키아의 변화를 사회주의와 바르샤바 조약 기구에 대한 위협으로 판단했다.[43] 1968년 4월 12일, 모스크바에서는 '도나우 작전' 실행 결정이 내려졌다.[25]
4. 2. 폴란드에 대한 압력 (1980-1981)
1980년부터 1981년까지 폴란드에서는 민주화 요구와 시위가 발생했고, 소련은 이에 대해 간접적으로 압력을 가했다.[74] 1968년 11월 12일 폴란드 통일 노동자당 제5차 당 대회에 참석한 레오니트 브레즈네프는 사회주의 국가의 발전이 자본주의 제도로 기울어질 때, 이는 모든 사회주의 국가에게 공통의 문제라고 연설했다.[39][40]1981년 폴란드에서는 반공주의 조직인 자유관리노동조합 '연대'가 결성되었다.[25] 보이체흐 야루젤스키는 계엄령 선포에 대한 소련의 지지를 문의했지만, 미하일 수슬로프는 군사 지원을 제공할 수 없다고 답했다.[25] 이는 소련이 더 이상 브레즈네프 독트린을 실행할 힘이 없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여겨진다.[47]
4. 3. 아프가니스탄 침공 (1979)
1978년 사우르 혁명으로 아프가니스탄에 친소련 정권이 들어섰으나, 이슬람 근본주의자들의 반발로 무자헤딘이 결성되어 내전이 발발했다.[21]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 내부 권력 다툼에서 하피줄라 아민이 누르 무하마드 타라키를 살해하고 집권하자, 소련은 상황을 안정시키기 위해 군사 개입을 결정했다.[19]1979년 소련은 폭풍-333 작전을 통해 아민을 제거하고 바브라크 카르말을 새 지도자로 앉혔다.[12] 이는 브레즈네프 독트린에 따른 "사회주의 형제국" 지원 명분으로 정당화되었다.[37] 그러나 소련의 예상과 달리 전쟁은 장기화되었고, 무자헤딘은 외국의 지원을 받으며 격렬히 저항했다.[52] 미하일 고르바초프는 군사적 해결이 불가능함을 깨닫고 철수를 결정했다.[52]
5. 브레즈네프 독트린의 폐기와 영향
아프가니스탄 전쟁의 장기화는 소련의 영향력이 제한적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20] 1968년 이후 소련과 체코슬로바키아 사이의 긴장, 1980년 폴란드에서의 긴장은 브레즈네프 독트린의 비효율성을 드러냈다. 폴란드 연대 노동조합 시위는 외부 개입 없이 진압되어 브레즈네프 독트린은 사실상 효력을 잃었다. 고르바초프의 글라스노스트와 페레스트로이카는 소련 블록 국가들이 소련의 개입에 대한 두려움 없이 개혁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22]
1991년 1월 13일, 소련은 리투아니아의 빌뉴스를 군사 침공하여[53][54] 최소 14명을 살해했다.[55][56] 1990년 3월 11일, 리투아니아는 독립 회복을 선언했고, 소련은 군사력으로 위협했지만, 리투아니아는 1991년 1월 10일 고르바초프의 최후 통첩을 거부했다.[25]
2019년 3월, 리투아니아 법원은 1991년 군사 침공의 범죄로 소련군 장교 및 당국자 67명에게 전쟁범죄 및 인도에 반하는 죄로 유죄 판결을 내렸다.[25] 러시아와 벨라루스는 용의자 인도를 거부하여 대부분 결심 공판 없이 징역형이 선고되었다.[57] 고르바초프는 기소되지 않았지만 증언을 거부했으며, 민사 소송이 계속되고 있다.[25]
리투아니아 심리학자 로베르타스 포빌라이티스는 고르바초프를 전쟁 범죄와 인도에 반하는 죄에 연루되었다고 비난했다.[58] 2022년 고르바초프 사망 후,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 위원장 우르줄라 폰 데어 라이엔은 그를 "신뢰와 존경을 받는 지도자"라고 칭했으나, 포빌라이티스는 EU 국민 학살 연루 사실을 이해하지 못한다고 비난했다.[59] 리투아니아 국방 및 외무 장관도 고르바초프를 비난했다.[25]
고르바초프는 리투아니아 침공에 대해 리투아니아 정부에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다.[25] 리투아니아 당국은 소련군 습격이 치밀하게 계획된 작전이며 고르바초프가 사전에 알고 있었다고 확신한다고 밝혔다.[60] 보리스 옐친은 소련군의 리투아니아 침공을 비난했고, 1991년 9월 7일 러시아 대통령으로서 발트 3국의 독립을 승인했다.[25] 리투아니아는 1992년 이후 고르바초프에게 증언을 요청했지만, 그는 계속 거부했다.[25]
2014년 5월,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 위원장 조제 마누엘 바호주는 우크라이나 사건을 언급하며 주권 제한론의 원칙은 역사책에 실려야 한다고 말했다.[25]
5. 1. 시나트라 독트린
미하일 고르바초프는 아프가니스탄 전쟁의 장기화와 글라스노스트, 페레스트로이카 정책 추진으로, 소련의 영향력이 제한적이라는 것을 인지했다. 이에 브레즈네프 독트린을 폐기하고, 동유럽 국가들이 소련의 개입 없이 개혁을 추진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새로운 외교 정책을 채택했다. 이 정책은 당시 소련 외무상이던 에두아르트 셰바르드나제가 1989년 10월 23일 미국과의 관계 개선을 추구하며, 프랭크 시나트라의 노래 〈My Way〉를 빗대어 "우리는 이제 'My Way' 독트린을 가지고 있다. 헝가리와 폴란드는 각자 자신의 길을 가고 있다."라고 발언한 것에서 유래하여 '시나트라 독트린'으로 불리게 되었다.[22][23]시나트라 독트린은 소련이 한때 통제하려 했던 국가들이 자체적인 정치 개혁을 추진할 수 있도록 허용했으며, 이는 소련의 해체의 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또한, 바르샤바 조약의 붕괴와 베를린 장벽 붕괴로 이어져, 소련의 종말을 알리는 시작이 되었다.[23]
1988년 가을, 고르바초프는 뉴욕에서 열린 연합국 회의에서 "브레즈네프주의를 폐지한다"고 선언하며, 동유럽에서의 사회주의 세력을 유지할 의향이 없음을 밝혔다.[47] 1989년 12월 2일부터 12월 3일에 걸쳐 조지 H. W. 부시와의 회담에서 고르바초프는 평화적인 변화를 지지하며, 각 국가의 국민이 스스로 결정하도록 외부 간섭을 하지 않겠다고 말했다.[25]
1989년 12월 4일, 모스크바에서 열린 바르샤바 조약 기구 가맹국 수뇌 회담에서는 1968년의 체코슬로바키아 군사 개입을 비난하는 공동 선언이 채택되었다.[49][50][51]
5. 2. 동유럽 혁명에 미친 영향
1980년대 소련은 심각한 경제 문제와 식량 부족에 직면해 있었다.[46] 미하일 고르바초프는 1985년 소련의 지도자가 된 후, 글라스노스트와 페레스트로이카로 불리는 개혁 정책을 도입했지만, 상황은 고르바초프의 예상보다 빠르게 악화되었다.[46]1988년 가을, 고르바초프는 뉴욕에서 열린 연합국 회의에서 "브레즈네프주의를 폐지한다"고 선언하며, "우리는 동유럽에서 사회주의 세력을 유지할 의향이 없다"고 밝혔다.[47] 소련 국가보안위원회 분석총국장 니콜라이 세르게예비치 레오노프는 "브레즈네프 독트린은 상당히 일찍 폐지되었지만, 소련에는 더 이상 이것을 실행할 힘이 없다는 것을 지적인 사람들이 이해했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47]
1989년 동독에서 불안이 커지자, 동독 정부는 소련군 파병을 요청했지만, 고르바초프는 이를 단호히 거부했다.[22] 브레즈네프 독트린의 포기는 소련이 한때 통제하려 했던 국가들에 큰 영향을 미쳤다. 새로운 시나트라 독트린은 공산주의 간섭 하에 억압받던 국가들이 자체적인 정치 개혁을 추진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23]
브레즈네프 독트린의 포기는 소련의 해체의 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한때 소련의 세세한 관리를 받던 국가들은 이제 정치적으로 원하는 대로 할 수 있게 되었고, 소련은 더 이상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곳을 정복하려 들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소련은 붕괴하기 시작했다.[23]
브레즈네프 독트린의 몰락과 함께 바르샤바 조약이 무너졌고, 베를린 장벽의 붕괴는 소련의 마지막 순간을 알리는 상징적인 사건이었다.[23] 브레즈네프 독트린의 종식은 세계 역사상 가장 강력했던 제국 중 하나인 소련의 종말을 알리는 시작이었을 것이다.[23]
5. 3. 소련 해체에 미친 영향
고르바초프의 글라스노스트와 페레스트로이카 정책은 소련 블록 국가들과 공화국들이 소련의 개입에 대한 두려움 없이 개혁을 추진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22] 1989년 동독이 증가하는 불안을 진압하기 위해 소련군 파병을 요청했을 때, 고르바초프는 이를 단호히 거부했다.[22]브레즈네프 독트린의 포기는 소련이 한때 통제하려 했던 국가들을 다루는 방식에 큰 영향을 미쳤다. 새로운 시나트라 독트린은 공산주의 간섭 하에 억압받던 다른 국가들이 자체적인 정치 개혁을 추진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이는 내부적으로도 이어져, 소련은 점차 완화되기 시작했다.[23]
브레즈네프 독트린의 폐기는 소련의 해체의 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한때 세세하게 관리받던 국가들은 이제 정치적으로 원하는 대로 할 수 있게 되었는데, 이는 소련이 더 이상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곳을 정복하려 들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소련은 붕괴하기 시작했다. 공산주의 의제는 다른 국가들에게 무수한 문제를 야기했지만, 소련을 유지하는 원동력이었다. 결국, 다른 국가들을 정복하고 공산주의를 강요하려는 유인이 사라진 것이 소련이 항상 추구해 온 유일한 목표, 즉 공산주의 확장을 무너뜨린 것으로 보인다.[23]
브레즈네프 독트린의 몰락과 함께 바르샤바 조약이 무너졌고, 베를린 장벽의 붕괴는 소련의 마지막 순간을 상징하는 사건이었다. 브레즈네프 독트린의 종식은 세계 역사상 가장 강력했던 제국 중 하나인 소련의 종말을 알리는 시작이었을 것이다.[23]
6. 다른 공산주의 국가의 개입 사례
베트남은 1978년 캄보디아-베트남 전쟁에서 크메르 루주를 몰아냈고, 이어서 1979년 중월 전쟁에서 중국의 보복적인 베트남 침공이 이어졌다.[24]
7. 비판과 논란
브레즈네프 독트린은 국제 사회에서 많은 비판과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우선, 이 독트린은 각 국가의 주권과 자결권을 침해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사회주의 국가라 할지라도 각자의 정치적, 경제적 상황에 따라 다른 노선을 선택할 권리가 있는데, 브레즈네프 독트린은 이를 무시하고 소련의 영향력 아래 두려는 시도였기 때문이다.
또한, 이 독트린은 동유럽 국가들의 민주화 운동과 개혁 요구를 억압하는 수단으로 악용되었다는 비판도 받았다. 1968년 프라하의 봄 당시 체코슬로바키아의 개혁 시도가 소련의 군사 개입으로 좌절된 것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는 명백한 인권 탄압이며, 국제법 위반이라는 지적도 있었다.
일부에서는 브레즈네프 독트린이 냉전 시대의 긴장을 완화하기는커녕 오히려 악화시켰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소련의 강경 노선은 서방 세계와의 대립을 심화시키고, 군비 경쟁을 가속화하는 결과를 초래했다는 것이다.
참조
[1]
논문
The Brezhnev Doctrine
https://scholar.smu.[...]
International Lawyer
[2]
서적
Encyclopedia of US foreign relations
[3]
서적
The Prague Spring 1968: A National Security Archive Documents Reader
https://books.google[...]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1998
[4]
뉴스
The Khrushchev/ Brezhnev Doctrine at Helsinki
https://www.nytimes.[...]
1975-08-05
[5]
간행물
Moscow, Prague and Warsaw: Overcoming the Brezhnev Doctrine
[6]
문서
Hunt 2009, p. 945
[7]
뉴스
Sinatra Doctrine' at Work in Warsaw Pact, Soviet Says
Los Angeles Times
1989-10-25
[8]
뉴스
"Der 19. August 1989 war ein Test für Gorbatschows"
FAZ
2009-08-19
[9]
뉴스
DDR-Massenflucht: Ein Picknick hebt die Welt aus den Angeln
Die Presse
2018-08-16
[10]
서적
The Rise and Fall of the Brezhnev Doctrine in Soviet Foreign Policy
https://archive.org/[...]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1]
서적
The Rise and Fall of the Brezhnev Doctrine in Soviet Foreign Policy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2]
서적
Law and the Use of Force by States: The Brezhnev Doctrine
Yale Journal of International Law
[13]
간행물
The Promise and Failure of 'Developed Socialism': The Soviet 'Thaw' and the Crucible of the Prague Spring, 1964–1972
2006-01-01
[14]
서적
The Rise and Fall of the Brezhnev Doctrine in Soviet Foreign Policy
https://archive.org/[...]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5]
서적
The Rise and Fall of the Brezhnev Doctrine in Soviet Foreign Policy
https://archive.org/[...]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6]
서적
The Rise and Fall of the Brezhnev Doctrine in Soviet Foreign Policy
https://archive.org/[...]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7]
서적
The Rise and Fall of the Brezhnev Doctrine in Soviet Foreign Policy
https://archive.org/[...]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8]
서적
The Rise and Fall of the Brezhnev Doctrine in Soviet Foreign Policy
https://archive.org/[...]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9]
서적
The Rise and Fall of the Brezhnev Doctrine in Soviet Foreign Policy
https://archive.org/[...]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0]
서적
The Rise and Fall of the Brezhnev Doctrine in Soviet Foreign Policy
https://archive.org/[...]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1]
서적
Ghost Wars: The Secret History of the CIA, Afghanistan, and Bin Laden, from the Soviet Invasion to September 10, 2001
Penguin Group
[22]
서적
The Rise and Fall of the Brezhnev Doctrine in Soviet Foreign Policy
https://books.google[...]
Univ of North Carolina Press
[23]
서적
Beyond the Brezhnev Doctrine: A New Era in Soviet-East European Relations?
International Security
[24]
서적
Cambodia: revolution, genocide, intervention
Routledge
[25]
웹사이트
Brezhnev Doctrine Omitted
https://www.nytimes.[...]
1970-06-08
[26]
서적
Tipping Points in International Law: Commitment and Critique (ASIL Studies in International Legal Theory) (English Edi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
웹사이트
Sources of the Brezhnev Doctrine of Limited Sovereignty and Intervention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02-12
[28]
웹사이트
Chronologie událostí
http://csds.cz/cs/g6[...]
2023-07-29
[29]
웹사이트
Zastavte kontrarevolúciu, kým je čas!
https://zurnal.pravd[...]
2018-04-10
[30]
웹사이트
Vojenské cvičení ŠUMAVA, předzvěst konce Pražského jara ´68
http://www.vhu.cz/vo[...]
2014-08-04
[31]
웹사이트
Operace Dunaj a oběti na straně okupantů
http://www.ruskereal[...]
Západočeská univerzita v Plzni
[32]
웹사이트
Warsaw Pact invasion of Czechoslovakia
http://www.enrs.eu/e[...]
2015-08-20
[33]
웹사이트
Chronológia: Udalosti v bývalej ČSSR súvisiace s okupáciou v roku 1968
http://skolskyservis[...]
2013-08-21
[34]
웹사이트
Štefanský, M., 2008: Rokovania o rozmiestnení sovietskych vojsk na území Česko-Slovenska (august – október 1986). Vojenská história, 1, s. 93-107
https://web.archive.[...]
[35]
웹사이트
«Пражская весна»: взгляд через 40 лет
http://www.radio.cz/[...]
2008-07-26
[36]
웹사이트
20. výročí odchodu sovětských vojsk a ukončení vojenské okupace Československa
https://icv.vlada.cz[...]
2011-06-21
[37]
웹사이트
НАЧАЛО И КОНЕЦ «ПРАЖСКОЙ ВЕСНЫ»*
https://zn.ua/SOCIUM[...]
1999-02-19
[38]
웹사이트
«Дунай»
http://hrono.ru/soby[...]
[39]
서적
Ленинским курсом, т. II
М.
1970
[40]
웹사이트
Доктрина вмешательства
https://openrussia.o[...]
2014-09-26
[41]
웹사이트
День в истории: "Пражская весна" и "Доктрина Брежнева"
http://surfingbird.r[...]
[42]
웹사이트
Masakr během okupace 1968: Opilý polský voják v Jičíně zavraždil dva Čechy, už 35 let je na svobodě
https://zpravy.aktua[...]
2018-07-03
[43]
웹사이트
Spring 68 Summary
http://library.think[...]
[44]
웹사이트
Leto '68: Šumava bola generálkou na Dunaj
https://zurnal.pravd[...]
2018-06-18
[45]
웹사이트
"Нам стыдно, что наши танки в Праге"
http://www.kipiani.o[...]
[46]
웹사이트
Fall of Berlin Wall: How 1989 reshaped the modern world
https://www.bbc.com/[...]
2019-11-05
[47]
웹사이트
«Я видел, насколько растеряна власть в Кремле»
https://versia.ru/kt[...]
2018-08-27
[48]
웹사이트
The Logic of 1989: The Soviet Peaceful Withdrawal from Eastern Europe
https://books.opened[...]
[49]
웹사이트
Gorbaciov la 80 de ani: De la încăierarea cu Ceauşescu la destrămarea URSS
https://historia.ro/[...]
2011
[50]
웹사이트
Omluva za invazi zazněla nejprve z Maďarska, tuhý režim v ČSSR to vylekalo
https://ct24.ceskate[...]
2014-08-18
[51]
웹사이트
Gorbačov o roce 1968: V životě jsem nezažil větší dilema
http://www.literarky[...]
2013-08-21
[52]
웹사이트
Understanding the Soviet Withdrawal from Afghanistan in 1989
https://www.editions[...]
[53]
웹사이트
Soviet Tanks Roll in Lithuania; 11 Dead
https://www.nytimes.[...]
1991-01-13
[54]
웹사이트
SOVIET CRACKDOWN: OVERVIEW; Gorbachev Puts Blame for Clash On Lithuanians
https://www.nytimes.[...]
1991-01-15
[55]
웹사이트
January 13: the Way We Defended Freedom - Lithuania’s Stance in the Face of the 1991 Soviet Aggression
https://www.lrs.lt/s[...]
[56]
웹사이트
Thirty Years After Soviet Crackdown In Lithuania, Kremlin Accused Of Rewriting History
https://www.rferl.or[...]
2021-01-12
[57]
웹사이트
Gorbachev’s Legacy in Lithuania
https://verfassungsb[...]
2022-09-08
[58]
웹사이트
While rest of EU mourns, Baltics recall Gorbachev as agent of repression
https://www.reuters.[...]
2022-08-31
[59]
웹사이트
Lithuanians slam 'one-sided' reax to Gorbachev death
https://www.france24[...]
2022-08-31
[60]
웹사이트
LITHUANIANS SAY GORBACHEV WAS AWARE OF PLANNED MILITARY ACTION IN VILNIUS
https://www.washingt[...]
1991-01-14
[61]
웹사이트
Gorbachev’s death cracks open Europe’s Russian divide
https://www.politico[...]
2022-08-31
[62]
웹인용
국회전자도서관
https://dl.nanet.go.[...]
2024-06-03
[63]
웹인용
"[오늘의 경제소사] 짓밟힌 프라하의 봄"
https://www.sedaily.[...]
2024-06-03
[64]
웹인용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프라하의 봄 아픔을 담다"
https://www.joongang[...]
2024-06-03
[65]
저널
스트라호프(Strahov) 학생 시위와 1968년 '프라하의 봄'
https://www.dbpia.co[...]
2018-01
[66]
웹인용
Oldřich Škácha: Occupation 1968
https://artsandcultu[...]
2024-06-03
[67]
웹인용
브레즈네프, 개혁조치 폐기…’프라하의 봄’ 진압
http://www.atlasnews[...]
2024-06-03
[68]
웹인용
"[옛날신문을 보았다] 주먹 싸움으로 시작해 핵전쟁 직전까지"
https://www.khan.co.[...]
2024-06-03
[69]
웹인용
"「브레즈네프 독트린」 실질적 終焉"
https://www.busan.co[...]
2024-06-03
[70]
웹인용
"[테마가 있는 글 2]프라하의 봄에 대한 이야기를 아시나요?"
https://www.scourt.g[...]
2024-06-03
[71]
웹인용
1968년 프라하의 봄 기념 및 바르샤바 조약군 체코슬로바키아 침공 추모 행사 개최 상세보기{{!}}체코 국내정세 동향 주체코 대한민국 대사관
https://overseas.mof[...]
2024-06-03
[72]
웹인용
‘프라하의 봄’·벨벳 혁명 항거의 현장… 체코 현대史를 만들다
https://www.kmib.co.[...]
2024-06-03
[73]
웹인용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떨치고 일어선 '프라하의 봄' 민주화 현장
https://news.nate.co[...]
2024-06-03
[74]
서적
The Rise and Fall of the Brezhnev Doctrine in Soviet Foreign Policy
https://archive.org/[...]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75]
웹인용
"이란, 시리아전 '올인'…브레즈네프정책과 닮아"
https://www.yna.co.k[...]
2024-06-03
[76]
웹인용
대통령기록관 포털
https://www.pa.go.kr[...]
2024-06-03
[77]
저널
브레즈네프 독트린에 관한 연구 : 계속성과 팽창의 논리 :계속성과 팽창의 논리
https://www.dbpia.co[...]
1995-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