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유리 안드로포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유리 안드로포프는 1914년 러시아 제국에서 태어나 소련의 정치인이자 제4대 소련 공산당 서기장이었다. 그는 1967년부터 1982년까지 국가보안위원회(KGB) 의장을 역임하며 반체제 인사 탄압에 주력했고, 1956년 헝가리 혁명 진압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1982년 레오니트 브레즈네프의 사망 이후 서기장에 올라 소련 경제 개선을 위해 노력했으나, 1984년 사망했다. 그의 유산에 대한 평가는 엇갈리며, 개혁가로 평가받기도 하지만, 반체제 인사 탄압과 관련된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스토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정치인 - 아르놀드 뤼텔
    아르놀드 뤼텔은 2001년부터 2006년까지 에스토니아 공화국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에스토니아 독립 회복에 기여하고 사회적 연대 강화를 목표로 활동하다 2024년에 사망했다.
  • 에스토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정치인 - 에드가르 사비사르
    에드가르 사비사르는 에스토니아의 정치인으로, 1991년 독립 이후 초대 총리를 역임하고, 탈린 시장 등을 지냈으며, 1988년 에스토니아 인민 전선을 공동 설립하여 독립에 기여했으나, 여러 논란 속에 2022년 사망했다.
  • 핀란드계 러시아인 - 파블레 카라조르제비치
    파블레 카라조르제비치는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왕족이자 정치인으로, 알렉산다르 1세 사후 페타르 2세가 성년이 될 때까지 섭정으로 통치하며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직전 유고슬라비아 외교 정책 결정에 관여, 삼국 동맹 조약 가입을 추진하다 쿠데타로 축출되었다.
  • 핀란드계 러시아인 - 알렉산드라 콜론타이
    알렉산드라 콜론타이는 러시아 혁명 이후 볼셰비키 정부에 참여하여 여성 권익 증진에 힘쓰고 세계 최초의 여성 정책 담당 부서인 여성부를 창설했으며, 급진적인 여성 해방론과 자유 연애 사상으로 사회에 반향을 일으킨 혁명가이자 정치인, 외교관,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스트이다.
  • 소련의 내무상 - 국가보안위원회
    국가보안위원회(KGB)는 냉전 시대 소련의 정보, 방첩, 첩보 활동을 총괄하는 막강한 기관이었으나 인권 탄압의 비판도 받으며, 소련 해체와 함께 해체되어 러시아 연방 보안청 등으로 기능이 계승되었다.
  • 소련의 내무상 - 니콜라이 예조프
    니콜라이 예조프는 소련의 정치인이자 대숙청을 주도하며 내무인민위원장으로서 공포 정치를 펼쳤으나, 이후 권력에서 밀려나 처형되어 소련 역사에서 지워진 인물이다.
유리 안드로포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안드로포프 1980년대 사진
1980년의 안드로포프
로마자 표기유리 블라디미로비치 안드로포프
출생일1914년 6월 15일
출생지러시아 제국 스타니차 나구츠카야
사망일1984년 2월 9일
사망지소비에트 연방 모스크바
사망 원인신부전
안장 장소모스크바 크렘린 벽 묘지
국적소비에트 연방
민족러시아인
종교무신론
서명
정치 경력
소속 정당소비에트 연방 공산당 (1939–1984)
군 복무소비에트 연방군 , 소비에트 파르티잔
복무 기간1939–1984
최종 계급육군 대장
주요 참전제2차 세계 대전
헝가리 혁명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 서기장
임기 시작1982년 11월 12일
임기 종료1984년 2월 9일
이전 서기장레오니트 브레즈네프
다음 서기장콘스탄틴 체르넨코
소비에트 연방 최고 소비에트 간부회 의장
임기 시작1983년 6월 16일
임기 종료1984년 2월 9일
이전 의장바실리 쿠즈네초프 (권한대행)
다음 의장바실리 쿠즈네초프 (권한대행)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 중앙위원회 제2서기
임기 시작1982년 5월 24일
임기 종료1982년 11월 10일
이전 서기콘스탄틴 체르넨코 (권한대행)
다음 서기콘스탄틴 체르넨코
국가 보안 위원회 (KGB) 의장
임기 시작1967년 5월 18일
임기 종료1982년 5월 26일
내각 총리알렉세이 코시긴
니콜라이 티호노프
이전 의장블라디미르 세미차스트니
다음 의장비탈리 페도르추크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 중앙위원회 구성원
중앙 위원제22차, 제23차, 제24차, 제25차, 제26차 중앙 위원회 정위원 (1961–1984)
중앙 서기제22차, 제23차, 제26차 서기국 (1962–1967 & 1982–1984)
정치국 후보제23차, 제24차 정치국 후보 (1967–1973)
정치국 위원제24차, 제25차, 제26차 정치국 정위원 (1973–1984)
기타 정치 직책
사회주의 국가 공산당 및 노동자당 관계 부서장1957–1967
헝가리 대사1954–1957
가족 관계
배우자니나 이바노브나 (1941년 이혼)
타티야나 필리포브나 안드로포바 (1941년 결혼)
자녀예브게니야 안드로포바
이고르 안드로포프
이리나 안드로포바
블라디미르 안드로포프

2. 초기 생애 및 경력

안드로포프는 1914년 6월 15일 러시아 제국 스타브로폴 현 나구츠카야에서 철도 노동자의 아들로 태어났다.[97][98][99][100] 그의 아버지 블라디미르 콘스탄티노비치 안드로포프는 돈 코사크 출신으로 1919년 티푸스로 사망했다.[6] 안드로포프의 가족 배경에 대해서는 많은 논란이 있다.[4] 어머니 예브게니아 카를로브나 플렉켄슈타인은 교사였으나 1931년 사망했다는 것 외에 자세한 내용은 알려져 있지 않다.[6][7]

16세에 모즈독에서 노동자로 일하며 콤소몰에 가입했고,[97][101][102] 이후 볼가 강 운송국 선원, 전신 기술자 등으로 일했다.[97][103] 1936년 르빈스크 수상운송기술학교를 졸업하고 콤소몰 전임 서기가 되었으며,[97][104][105][106] 1938년 야로슬라블 주 콤소몰 위원회 제1서기로 선출되었다.[97][108][109]

1939년 소련 공산당에 입당했고,[97] 1940년 카렐로-핀란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콤소몰 중앙위원회 제1서기가 되었다.[97]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카렐리아에서 파르티잔 활동에 참여했다.[113][97] 1947년 카렐로-핀란드 SSR 공산당 중앙위원회 제2서기로 선출되었고,[9] 1951년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로 자리를 옮겼다.[97]

2. 1. 헝가리 대사 시절과 1956년 헝가리 혁명

1954년 7월, 안드로포프는 헝가리 대사로 임명되어 1956년 헝가리 혁명 당시 이 직책을 맡았다.[14] 그는 혁명 진압에 중요한 역할을 했는데, 소련 제1서기 니키타 흐루쇼프에게 군사 개입의 필요성을 설득했다.[14] 안드로포프는 혁명을 무자비하게 진압하여 "부다페스트의 도살자"라는 별명을 얻었다.[13] 헝가리 지도자들은 체포되었고, 임레 나기 등은 처형되었다.

이 사건 이후, 안드로포프는 역사가 크리스토퍼 앤드류에 따르면 "헝가리 콤플렉스"에 시달렸다. 그는 헝가리 보안 기관 (AVH) 장교들이 가로등에 매달리는 것을 대사관 창문에서 보았고, 공산당 일당 독재가 무너지는 속도에 평생 동안 괴로워했다. 그는 1968년 프라하, 1979년 카불, 1981년 바르샤바 등 다른 공산주의 정권이 위협받을 때마다 1956년 부다페스트에서처럼 무력만이 생존을 보장할 수 있다고 확신했다.[14]

1953년, 안드로포프는 외무성 제4유럽국장(체코·폴란드 담당)을 거쳐 주헝가리 참사관, 1954년 주헝가리 대사로 승진했다.[97][116][117][118] 이는 니키타 흐루쇼프가 스탈린 시대 당원들의 배치 전환을 실시한 결과였다.[97] 1953년에는 베를린 봉기를 현장에서 목격하기도 했다.[119]

당시 헝가리 총리 라코시 마티아슈는 흐루쇼프에 의해 해임 압박을 받았고, 안드로포프는 이를 전달하는 역할을 했다.[97] 1956년 10월 23일, 헝가리 민중은 소련과의 관계 재검토를 요구하며 나지 임레를 지지하는 시위를 벌였다. 흐루쇼프는 나기를 소련의 꼭두각시로 만들려 했으나, 나기는 이를 원치 않았고, 시민들의 총격 사건으로 헝가리 혁명이 시작되었다.[97]

10월 24일, 나기는 총리로 임명되어 계엄령을 선포하고 소련에 군대 파병을 요청했다.[97] 10월 25일, 소련군 전차가 부다페스트에 도착하여 전투에 돌입했다.[97] 아나스타스 미코얀미하일 수슬로프는 나기와 회담하여 그의 정치 개혁에 긍정적인 인상을 받았다.[123] 10월 26일, 나기는 소련군 철수와 시민들의 전투 중단을 명령했다.[124] 10월 28일, 미코얀은 안드로포프와 회의를 하고 소련군 철수를 확인했다.[97] 그러나 10월 30일, 흐루쇼프는 군대 재파병을 결정했고, 미코얀과 수슬로프는 소련의 성명을 가지고 부다페스트로 향했다.[97] 10월 31일, 나기는 소련군 철수 시작을 보고했다.[97]

11월 1일, 소련군 증원 부대가 부다페스트로 향한다는 소식이 알려졌다. 나기는 안드로포프에게 즉각 철군을 요구했고,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바르샤바 조약 기구 탈퇴와 헝가리의 중립국 선언을 통고했다.[125][97][126] 안드로포프는 부다페스트 상황에 대해 모스크바와 계속 연락하며, 군중의 흉악 행위 등이 만연하다는 전보를 보냈다.[97] 이를 통해 소련군 파병이 결정되었다.[97]

안드로포프는 나기에게 소련군 철수 합의를 위한 회담을 제안했고, 11월 3일 회담이 열렸다.[129][97] 그러나 같은 날 밤, KGB 요원들이 헝가리 대표단을 체포했다.[130][97] 카다르 야노슈는 안드로포프의 권고에 따라 나기를 버리고 새 정권을 이끌기로 했다.[131]

11월 4일, 소련군 전차 1000대가 부다페스트에 진입했고, 11월 6일 부다페스트는 함락되었다.[97] 3만 5000명이 체포되고 2만 명이 사망했으며, 4만 명이 시베리아로 추방되고 3000명이 사형당했으며, 15만 명이 망명했다.[97] 나기는 유고슬라비아 대사관에 피신했지만, 안드로포프는 카다르 야노슈에게 신변 안전 보장 서류를 전달하게 했다.[132][97][133] 나기는 이를 믿고 자택으로 가던 중 KGB에 체포되어 루마니아로 송환되었고, 1958년 6월 15일 모스크바에서 반역죄로 처형되었다.[97]

3. KGB 의장 시절 (1967-1982)

1967년, 유리 안드로포프는 미하일 수슬로프의 추천으로 KGB 의장에 임명되었고, 동시에 정치국 후보위원이 되었다.[143][144][145] 라브렌티 베리아 이후 비밀경찰 수장이 정치국 후보위원이 된 것은 처음이었다.[97][146][147] 1973년에는 정치국 정식 위원이 되었다.[176][177][178][179]

레오니드 브레즈네프(우)와 함께 동독 SED 제7차 당대회의 귀빈으로 참석한 안드로포프(좌). 가운데는 에리히 호네커(1967년)


안드로포프는 KGB 의장 재임 기간 동안 반체제 인사 탄압과 정보 활동 강화에 주력했다. 1969년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암살 미수 사건 이후, 암살범을 정신병원에 수용하고 브레즈네프의 경호를 강화했다.[97][154][155] 1970년에는 요제프 괴벨스마그다 괴벨스 가족의 유해를 소각하여 비데리츠 강에 뿌리는 작전을 승인했다.[15]

KGB 의장으로서 안드로포프는 국내외 정치 공작에도 적극적으로 개입했다. 특히, 1979년 아프가니스탄 침공과 1980년대 초 폴란드의 자유 노조 "연대" 운동에 대한 개입이 주목할 만하다.

3. 1. 프라하의 봄 진압

1968년 프라하의 봄 당시 안드로포프는 체코슬로바키아에 대해 "극단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주요 인물이었다. 바실리 미트로힌이 공개한 기밀 정보에 따르면, "KGB는 체코슬로바키아가 NATO의 공격이나 쿠데타의 희생자가 될 수 있다는 두려움을 조장했다".[14] 당시 워싱턴에 있던 요원 올레그 칼루긴은 "CIA나 다른 어떤 기관도 체코슬로바키아 개혁 운동을 조종하지 않았다는 것을 증명하는 절대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문서"에 접근했다고 보고했다.[14] 그러나 그의 보고서는 안드로포프가 조작한 음모론과 상반되었기 때문에 파기되었다.[14] 안드로포프는 정상화 기간 동안 체코슬로바키아 개혁가들을 상대로 PROGRESS 작전으로 알려진 여러 능동적 조치를 지시했다.

3. 2. 반체제 인사 탄압

유리 안드로포프는 "모든 형태의 반체제 행위의 파괴"를 목표로 했으며, "인권 투쟁은 소비에트 국가의 기반을 약화시키려는 광범위한 제국주의 음모의 일부"라고 주장했다.[14] 이를 위해 그는 대량 체포, 강제 입원을 통한 정신병원 수감, 인권 운동가들에 대한 망명 압력을 통해 소련 내 모든 반대 세력을 제거하기 위한 캠페인을 시작했다. 이러한 조치들은 그가 KGB 의장으로 재직하는 동안 지하 사미즈다트 간행물인 현재 사건 연대기에 의해 세심하게 기록되었다.[16]

1967년 7월 3일, 안드로포프는 정치적 반대 세력을 다루기 위해 KGB 제5국을 설립할 것을 제안했다.[17] (이데올로기적 방첩) 7월 말, 제5국이 설립되어 안드레이 사하로프알렉산드르 솔제니친을 포함한 모든 소련 반체제 인사의 사건 파일을 관리하게 되었다.[17] 1968년, KGB 의장으로서 안드로포프는 반체제 인사들과 그들의 제국주의 주인들과의 투쟁을 촉구하는 "적의 이데올로기적 파괴 행위에 대처하는 국가 안보 기관의 과제에 관한" 명령을 발표했다.[14]

1969년 4월 29일, 안드로포프는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에 반체제 인사로부터 "소비에트 정부와 사회주의 질서"를 방어하기 위한 정신병원 네트워크 구축 계획을 제출했다.[18] 1970년 1월, 안드로포프는 정치국원들에게 정신 질환자들의 광범위한 위협이 정권의 안정과 안보에 미치는 위협에 대한 보고서를 제출했다.[22] 반체제 인사들에 대한 투쟁에 정신과를 이용하자는 그의 제안은 실행되었다.[23] KGB 수장으로서 안드로포프는 광범위한 정신과적 탄압을 담당했다.[24]

반체제 인사 탄압[26][27]은 안드로포프의 주요 의제였으며, 안드레이 사하로프와 로이 메드베데프와 같은 저명한 인물들을 목표로 했다.

2013년 기밀 해제된 문서에는 KGB 의장 안드로포프가 존 레논 살해(1980년 12월)를 애도하는 무허가 집회 개최를 막도록 지시했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175]

1973년 12월 5일 헌법 기념일에 인권 옹호 운동을 벌이던 15명가량의 단체가 모스크바에서 침묵 시위를 벌였다.[182] 안드로포프는 이 단체 구성원 14명의 시민권을 박탈하고 추방했다.[97] 1974년에는 노벨 문학상 수상자인 알렉산드르 솔제니친을 추방했다.[97]

1979년 12월 26일 안드로포프는 핵물리학자 안드레이 사하로프의 악행을 정치국에 고발했다.[191] 안드로포프에 따르면 사하로프는 1972년부터 1979년까지 모스크바 주재 자본주의 국가 대사관을 80회 방문하여 외국인과 600회 이상 만나고 기자회견도 150회 이상 했으며, 사하로프의 자료를 바탕으로 서방 방송국이 1200회 이상 반소련 방송을 했다.[97] 이에 따라 정치국은 1980년 1월 3일 사하로프를 재판에 회부하고 모든 칭호를 박탈하고 외국인 방문이 금지된 고리키로 이주시키기로 결정했다.[97]

KGB 의장으로서 안드로포프는 부정부패와 반체제 인사들에게 강경하게 대처했다. KGB 의장 취임 직후부터 문화 활동에 대한 엄격한 통제를 가하며 체제 비판을 억압했다.[97] 언론의 자유 또한 엄격하게 통제하여, 소련 경제에 대한 비판 논문을 「프라우다(Правда)」에 투고한 자나 평화 운동 조직자, 여성의 지위 향상을 주장하는 출판물을 낸 자들을 투옥하거나 정신병원에 수용하는 등의 조치를 취했다.[203] 정치범들에 대해서도 재판 시작 전 구금 기간을 연장하거나 무기한으로 하기도 했고, 수감자의 친인척을 체포하거나 동일 인물을 중복 체포하는 등 범죄에 대해 강경한 자세를 보였다.[204] 안드로포프는 반체제 활동가뿐만 아니라 경미한 정부 비판을 한 시민들도 정신병원에 수용하도록 했다.[97]

3. 3. 아프가니스탄 침공 개입

1979년 3월, 안드로포프와 정치국은 초기에는 아프가니스탄에 대한 군사 개입에 반대했다.[33] 국제 사회가 소련의 "침략"을 비난하고, 지미 카터 미국 대통령과의 전략무기제한협상(SALT II) 회의가 틀어질 것을 우려했기 때문이다.[4]

그러나 누르 무하마드 타라키 암살과 하피줄라 아민의 집권 이후, 안드로포프는 입장을 바꾸었다. 그는 아민이 CIA에 포섭되어 소련 중앙아시아를 위협하는 친서방 확장주의적인 "신 오스만 제국"을 만들려 한다고 확신했다.[35] 안드로포프는 "어떤 상황에서도 아프가니스탄을 잃을 수 없다"고 결론 내렸고, 이는 1979년 12월 24일 아프가니스탄 침공(Operation Storm-333)으로 이어졌다.[36] 이 침공은 장기간의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1979-1989)과 66개국이 모스크바 올림픽을 보이콧하는 사태를 초래했다.[36] 일각에서는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이 소련 붕괴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주장한다.[37]

안드로포프는 아프가니스탄 사태 안정화를 위해 군사 개입이 필요하며, 아민이 미국의 대학에서 교육을 받았다는 점에서 CIA 요원이라고 단정했다.[214][215] 1979년 가을, 안드로포프는 아민 암살을 승인하고, KGB 요원이 요리사로 잠입하여 음식에 독약을 넣는 암살 계획을 세웠으나 실패했다.[216][97] 1979년 12월 9일, 군 소속을 알 수 없도록 위장한 특수부대 500명 파병을 결정했고,[217] 12월 27일, 소련 특수부대는 아민이 있는 대통령궁을 습격하여 아민을 살해했다.[97]

아민 살해 후, 1980년 1월 안드로포프는 카불을 방문하여 상황을 확인하고, 2월 7일 모스크바로 돌아와 레오니트 브레즈네프에게 아프가니스탄 상황 개선이 완료되었음을 보고했다.[218] 아프가니스탄 침공 후, 카터 대통령은 미국의 소련에 대한 곡물 수출 일부 금수 조치를 발표했다.[97] 그러나 안드로포프는 미국의 경제 제재를 예상하고 캐나다, 아르헨티나, 브라질에서 곡물을 구입하도록 지시했다.[219]

1982년 여름, 안드로포프는 동유럽 국가들을 순방하며 소련 경제 위기로 인해 내정에 전념해야 하며, 평화를 위해 노력해 달라고 전했다.[220] 동유럽 국가 수뇌부는 아프가니스탄 사태에 대해 질문했고, 안드로포프는 평화적 해결과 양보가 가능하지만, 아프가니스탄이 소련 관할하에 있다면 철수가 가능하다고 답했다.[97] 그러나 서방의 큰 양보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97]

3. 4. 폴란드 사태 개입

1980년부터 1982년까지 안드로포프는 KGB 의장직을 유지하면서 폴란드의 자유 노조 "연대" 운동 발생 이후 폴란드를 점령하려는 계획에 반대했다.[6] 1981년 12월 10일, 폴란드 연대의 등장에 직면하여 소련 공산당 서기장 미하일 수슬로프와 폴란드 통일노동자당 서기장 보이치에흐 야루젤스키[38]는 브레즈네프를 설득하여 1968년 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처럼 폴란드를 침공하는 것은 역효과를 낼 것이라고 주장했다.[39] 이는 사실상 브레즈네프 독트린의 종식을 의미했다.[40] 따라서 폴란드 계엄령은 야루젤스키, 체스와프 키시차크와 그들의 폴란드군에게 맡겨졌다.

1982년 위기 당시 안드로포프를 만난 보이치에흐 야루젤스키 장군

4. 소련 공산당 서기장 시절 (1982-1984)

레오니트 브레즈네프가 사망한 지 이틀 후인 1982년 11월 12일, 안드로포프는 KGB 수장 출신으로는 처음으로 소련 공산당 서기장에 선출되었다.[41] 서방에서는 그의 KGB 경력과 1956년 헝가리 혁명 당시 역할 때문에 우려를 표했지만, 당시 그의 개인적인 배경은 서방에 거의 알려지지 않았고, 언론에 보도된 그의 프로필은 부정확하거나 날조된 경우가 많았다.[41]

안드로포프는 콘스탄틴 체르넨코와 권력을 분담했다. 안드로포프는 정치국 조직, 국방, 내외 정책, 외교 무역, 당 및 정부 최고위직 임명을 담당했고, 체르넨코는 KGB, 내무부, 이데올로기, 선전, 문화, 과학, 고등 교육 등을 담당했다.[42]

브레즈네프 사후 서기장 자리를 두고 체르넨코와 경쟁이 있었지만, 군부의 지지,[227] 정치국 내 지지 기반,[228] 체르넨코의 안드로포프 지지,[230] 안드로포프의 건강 문제,[231] 드미트리 우스티노프 국방장관의 지지[232]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해 안드로포프가 서기장에 선출되었다.

서기장 취임 후, 안드로포프는 자신의 권력 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브레즈네프파를 숙청하고 자신의 측근들을 요직에 임명했다.[235] 1982년 11월 안드레이 키리옌코 정치국원을 해임하고 헤이달 알리예프를 정치국원으로 승격시켰으며,[237] 12월에는 니콜라이 슈체르비코프 내무장관을 해임하고 비탈리 페도르추크를 후임으로 임명했다.[240] 1983년 11월에는 미하일 솔로멘체프, 비탈리 볼로트니코프를 정치국원으로, 빅토르 체브리코프를 정치국원 후보로, 예고르 리가초프를 서기로 승격시켰다.[246] 1984년 2월까지 34명의 지방 당 제1서기, 23명의 당 중앙위원회 부장급 간부 7명, 약 100명의 각료 중 21명과 차관 약 60명을 경질했다.[248]

또한, 안드로포프는 KGB 시절과 마찬가지로 부정부패 척결에 힘썼다.[97]

4. 1. 국내 정책

안드로포프는 소련 경제를 개선하기 위해 노동자들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했다. 그는 무단 결근, 지각, 근무 중 음주 등을 엄격하게 단속하고 처벌하는 정책을 시행했다.[43] 경제 침체와 과학 발전의 장애물에 대한 사실들이 최초로 공개되고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44]

일부 산업에 대한 국가 통제를 완화하고, 공장 관리자들이 더 많은 이윤을 통제할 수 있도록 하여 산업 생산량이 4% 증가하고 로봇 공학과 같은 신기술에 대한 투자가 증가했다.[45][46][47] 그러나 계획 경제 체제 자체를 바꾸려는 시도는 하지 않았다.[48]

브레즈네프 시대와는 달리, 안드로포프는 당과 국가, 노동 규율 위반에 맞서 싸우기 시작했고, 이는 브레즈네프 측근을 포함한 고위 관리들에 대한 대대적인 반부패 캠페인으로 이어졌다.[6] 그는 15개월 동안 18명의 장관과 37명의 오브콤(обком, 주(州) 위원회), 크라이콤(крайком, 지방 위원회) 및 소비에트 공화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제1서기들을 해임했다.[6]

안드로포프의 부패 척결은 브레즈네프의 측근이나 친인척도 예외가 아니었다. 브레즈네프의 친구인 세르게이 메드노프는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수집한 자료를 통해 비리가 폭로되었고, 브레즈네프 사후 해임되었다.[97][169][170]

경제 활성화를 위해, 안드로포프는 공업 및 농업 부문에 생산성 향상을 위한 집단 도급제를 도입했다.[283][284][293][294][97][295] 공장 노동자와 농업 노동자가 작업반을 구성하여 실적에 따라 임금을 받는 제도였다. 트럭 운전사의 임금을 휘발유 소비량에 따라 공제하는 정책도 시행했다.[285][286]

4. 2. 대외 정책

로널드 레이건 미국 대통령이 시작한 "제2차 냉전"으로 인해 미국과의 관계가 악화되는 상황 속에서, 안드로포프는 군비 경쟁을 지속하면서도 핵무기 감축 협상을 모색했다.[51] 폴 니체 미국 외교관이 소련 고위 인사 유리 크비친스키와의 "숲 속의 산책"에서 유럽의 핵미사일 감축을 위한 타협안을 제안했으나, 소련 정치국은 이를 무시했다.[55] 1983년 3월, 레이건은 소련을 "악의 제국"이라 칭하고 전략방위구상을 발표하며 양국 관계는 더욱 악화되었다.[57]

아프가니스탄 전쟁이 장기화되자, 안드로포프는 협상을 통한 철수 방안을 모색했다.[55] 1983년 8월, 소련은 우주 기반 무기에 대한 모든 작업을 중단할 것이라고 발표했다.[58]

중국과의 관계 개선을 시도했으나, 중국 측은 베트남캄보디아 국경 분쟁 철수, 몽골 및 아프가니스탄에서의 소련군 철수 등 세 가지 조건을 제시하여 큰 진전을 이루지 못했다.[97]

1983년 9월 1일, 소련 전투기가 대한항공 007편을 격추하여 269명의 승객과 승무원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59] 안드로포프는 소련이 블랙박스를 확보하여 조종사의 실수임을 확인했음에도 불구하고 이 사실을 비밀로 유지했다.[59]

1981년 로널드 레이건이 대통령에 취임한 후, 1982년 11월 21일, 캐스퍼 웨인버거 국방장관이 NATO 회의에서 소련이 핵미사일 철거에 응하지 않을 경우 미국은 순항 미사일과 퍼싱 II 572기를 1983년 가을에 유럽에 배치할 것이라고 통보했다.[253] 이에 안드로포프는 1982년 12월 소련은 양국 합계 수준까지 감축할 준비가 있다고 연설했으나,[254][255][256] 영국과 프랑스는 이를 거부했다. 1983년 1월 4일 프라하에서 바르샤바 조약 기구 정치 자문 위원회에 참석하여 프라하 선언을 발표했다.[257] 1983년 3월 30일, 레이건은 소련이 서유럽을 향한 SS-20(중거리 미사일)을 부분적으로 감축하고 미국 측도 그에 상응하는 수량을 서유럽에 배치할 예정인 중거리 핵미사일을 감축한다는 제안을 했다.[97] INF 감축 협상은 1983년 11월 23일 또는 24일 소련 측의 중단 제의로 안드로포프 생존 중에는 이루어지지 않았다.[264][265]

4. 3.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

1983년 9월 1일, 앵커리지에서 서울로 향하던 대한항공 007편이 예정된 항로를 벗어나 소련 영공을 침범했다. 소련 전투기는 007편을 격추했고, 이로 인해 승객과 승무원 269명 전원이 사망했다.[59]

안드로포프는 사건 초기에 이를 경시하고 은폐하려 했다.[299] 소련은 007편의 블랙박스를 회수했지만, 조종사의 실수로 자동 조종 장치에 잘못된 데이터가 입력되었다는 사실을 숨겼다.[59] 소련 방공 시스템은 민간 여객기 대응에 미흡했고, 격추는 의심 없이 명령에 따른 결과였다.[59] 소련 매체는 서방의 도발에 맞선 용감한 결정으로 사건을 포장했다.[59]

국제사회의 비난이 거세지자 소련은 9월 7일 또는 9일에 기자회견을 열어 격추 사실을 인정하고 애도를 표했다.[97][305] 그러나 소련은 007편이 스파이 행위를 했다고 주장하며 책임을 회피했다.[306] 소련 측은 경고 사격을 했다고 주장했지만, 실제로는 경고 사격이 없었고, 007편의 항로 변경에 대한 주장도 사실과 달랐다.[307]

이 사건은 소련의 대외 이미지를 크게 손상시켰고, 홍보 위기를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는 소련의 무능함을 드러냈다.[60] 특히 한국과의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5. 사망과 유산

1983년 2월, 안드로포프는 신부전을 겪었다. 1983년 8월, 그는 모스크바 중앙 임상 병원(중앙 임상 병원)에 입원하여 생애의 남은 기간을 그곳에서 보냈다.

1984년 1월 말, 안드로포프의 건강은 급격히 악화되었다. 혈중 독성이 증가하면서 의식을 잃는 경우가 반복되었다. 그는 1984년 2월 9일 16시 50분에 6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61] 소련 최고 지도자들 중 그의 사망 사실을 그날 알게 된 사람은 거의 없었다. 소련 사후 부검 보고서에 따르면 안드로포프는 간질성 신염, 사구체 경화증, 잔류 고혈압당뇨병 등 여러 가지 질병을 앓고 있었고, 만성 신부전으로 악화되었다.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이 안드로포프 사망 직후 D.C. 소련 대사관에서 조문록에 서명하고 있다.


소련 전역에서 4일간의 애도 기간이 선포되었다. 시리아[62]는 7일간, 쿠바는 4일간,[63] 인도는 3일간[63], 불가리아[64], 북한[65], 짐바브웨[66]는 2일간, 체코슬로바키아[67]코스타리카[68]는 1일간의 애도 기간을 선포했다. 안드로포프는 붉은 광장에서 국장을 치렀는데, 미국 부통령 조지 H. W. 부시[69], 영국 총리 마거릿 대처[70], 서독 총리 헬무트 콜, 이탈리아 대통령 산드로 페르티니, 동독 서기장 에리히 호네커, 폴란드 서기장 보이치에흐 야루젤스키, 인도 총리 인디라 간디, 쿠바 대통령 피델 카스트로, 아일랜드 대통령 패트릭 힐러리 등 많은 외국 지도자들이 참석했다.[71] 조사는 체르넨코, 우스티노프, 그로미코, 게오르기 마르코프(Georgi Markov)[72] (소련 작가 동맹 회장), 이반 센킨 (소련 공산당 카렐리아 지역 위원회 제1서기)[73]가 맡았다. 안드로포프는 크렘린 벽 묘지에 있는 레닌 묘소와 크렘린 벽 사이의 12개 묘지 중 한 곳에 매장되었다.[74]

안드로포프의 뒤를 이은 콘스탄틴 체르넨코는 안드로포프의 임기를 반영하는 듯했다. 체르넨코는 이미 심각한 건강 문제를 겪고 있었고, 소련 최고 지위에 오른 후에도 더 짧은 기간(13개월)만 재임했다. 안드로포프와 마찬가지로 체르넨코도 대부분의 시간을 병원에서 보냈고, 1985년 3월 재임 중 사망했다. 체르넨코의 뒤를 이은 미하일 고르바초프는 소련의 정치적, 경제적 개혁을 위한 페레스트로이카글라스노스트 정책을 시행했다. 1991년 12월 26일, 소련은 해체되었다.

안드로포프의 유산은 러시아와 다른 곳의 학자들과 대중 매체에서 많은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는 특히 중요한 기념일에 텔레비전 다큐멘터리와 대중 교양 서적의 주요 초점으로 남아 있다. KGB 수장으로서 안드로포프는 반체제 인사들에게 무자비했으며, 1980년대에 ''워싱턴 포스트''에서 소련을 취재했던 데이비드 렘닉은 그를 "극도로 부패한 짐승"이라고 불렀다.[79] 고르바초프의 자문관이자 개혁의 이데올로그였던 알렉산더 야코블레프는 "어떤 의미에서 저는 항상 안드로포프가 다른 사람들보다 훨씬 똑똑했기 때문에 가장 위험한 인물이라고 생각했습니다."라고 말했다.[79] 하지만 안드로포프는 러시아 쇼비니즘을 비판한 후 캐나다 대사로 10년간 망명 생활을 보낸 야코블레프를 1983년 모스크바의 고위직으로 복귀시켰다. 야코블레프는 나중에 러시아 총리가 된 안드로포프의 동료 KGB 장군 예브게니 프리마코프와도 가까운 동료였다. 안드로포프는 고령의 관리들을 훨씬 젊은 관리들로 교체하는 추세를 시작했다.

그의 전 부하였던 세쿠리타테 장군 이온 미하이 파체파에 따르면:

> 서구에서 안드로포프가 기억된다면, 그것은 국내에서의 정치적 반체제 인사에 대한 그의 잔혹한 탄압과 1968년 체코슬로바키아 침공 계획에서의 그의 역할 때문일 것입니다. 반대로, 제가 그들 중 한 명이었을 때, 전 바르샤바 조약기구 정보 기관의 지도자들은 안드로포프를 소련 통치에 KGB를 공산당 대신 사용한 인물이자 서구에서 소련 통치자들의 심각하게 손상된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한 러시아의 새로운 기만 작전의 대부로 여겼습니다.[80]

1956년 헝가리 혁명에서의 안드로포프의 강경한 입장과 그가 KGB 수장으로서 책임졌던 수많은 추방과 음모에도 불구하고, 많은 논평가들은 그를 특히 브레즈네프 후기의 침체기와 부패와 비교할 때 개혁가로 여긴다. "레닌의 금욕주의 전통으로의 회귀"로서,[1] 안드로포프는 브레즈네프 정권의 부패에 경악했고, 가장 악명 높은 남용자들에 대한 조사와 체포를 명령했다. 조사는 너무나 무서워서 브레즈네프 측근의 여러 구성원들이 "총으로 자살하거나, 가스를 흡입하거나, 그 외 다른 방법으로 자살"했다.[79] 그는 일반적으로 고르바초프보다 더 점진적이고 건설적인 개혁에 기울어져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

2014년 그의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는 우표


안드로포프를 기리는 새로운 전시회 개막식에서 발표된 연설에서 블라디미르 푸틴은 그를 "뛰어난 능력을 가진 재능 있는 인물"이라고 불렀다.[82] 푸틴은 안드로포프의 "정직함과 올곧음"을 칭찬하기도 했다.[83] 러시아 역사학자 니키타 페트로프에 따르면, "그는 인권을 침해한 전형적인 소련의 간수였다. 안드로포프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사람들을 박해한 조직을 이끌었다."라고 한다.[84] 페트로프는 지식인과 사상의 자유를 박해한 인물이 국가 지도자가 된 것은 소련의 수치였다고 말했다.[85] 로이 메드베데프에 따르면, 안드로포프가 집권한 1년은 반체제 인사들에 대한 탄압이 강화된 해로 기억된다.[85] 안드로포프는 KGB에서 근무하는 동안 대부분의 시간을 반체제 운동을 탄압하고, 사람들을 정신병원에 감금하거나 투옥하고 추방하는 데 보냈다.[86] 정치학자 게오르기 아르바토프에 따르면, 안드로포프는 1970년대와 1980년대 초반의 많은 불의, 즉 추방, 정치적 체포, 반체제 인사 박해, 정신과의 남용, 그리고 안드레이 사하로프 학자 박해 사건과 같은 악명 높은 사건들에 책임이 있다.[87][88] 드미트리 볼코고노프와 해럴드 슈크만에 따르면, 안드로포프는 안드레이 아말릭, 블라디미르 부코프스키, 비야체슬라프 초르노빌, 즈비아드 가므삭후르디아, 알렉산더 긴즈부르크, 나탈리아 고르바네프스카야, 페트로 그리고렌코, 아나톨리 샤란스키와 같은 인권 운동가들의 수많은 재판을 승인했다.[89]

나탈리아 고르바네프스카야에 따르면, 안드로포프가 집권한 후 반체제 운동은 자체적으로 쇠퇴한 것이 아니라 억압에 의해 질식되었다.[90]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 초반에는 탄압이 가장 심했으며, 많은 사람들이 두 번째로 체포되어 더 긴 형기를 선고받았다. 수용소 체제는 엄격하지 않았지만 특정했고, 안드로포프가 서기장이 되자 수용소 체제 위반에 대해 처벌 감방과 최대 3년의 추가 형기를 부과하는 조항을 도입했다. 두세 번의 발언으로 사람들은 비정치범들과 함께 다른 수용소로 보내질 수 있었다.[90] 그 당시에는 질병과 의료 서비스 부족으로 수용소에서 많은 사망자가 발생했다.[90]

블라디미르 메드베데프, 알렉산드르 추찰린, 블라디미르 크류치코프[91], 그리고 로이 메드베데프를 포함하여 안드로포프를 잘 알고 있던 여러 사람들은 그의 예의 바름, 침착함, 사심 없음, 인내심, 지능, 그리고 뛰어나게 날카로운 기억력을 기억했다.[92] 추찰린에 따르면, 안드로포프는 크렘린에서 근무하는 동안 하루에 약 600페이지를 읽고 읽은 내용을 모두 기억했다.[93] 안드로포프는 영문학을 읽었고, 핀란드어, 영어, 독일어로 의사소통할 수 있었다.[94]

참조

[1] 서적 Andropov http://dictionary.re[...] Random House Webster's Unabridged Dictionary
[2] 서적 Encyclopedia of Contemporary Russian Cultu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10-28
[3] 서적 Encyclopedia of Modern Dictators (2006)
[4] 서적 Regimes of Ethnicity and Nationhood in Germany, Russia, and Turke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5] 서적 An Encyclopedic Dictionary of Conflict and Conflict Resolution, 1945–1996 Greenwood Press 1998
[6] 서적 A Dictionary of 20th Century Commun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0
[7] 뉴스 Yuri's childhood and other mysteries from the life of the Chairman https://www.sovsekre[...] Sovershenno Sekretno newspaper 2008
[8] 학술지 Легендарная личность (Legendary Personality) https://web.archive.[...] 2008-07-03
[9] 학술지 Biography of Yuri Andropov https://commons.wiki[...] 1983
[10] 서적 Who Appointed Gorbachev? Algorithm 2010
[11] 문서 Page 1007 http://elib.shpl.ru/[...] Vsya Moskva 1914
[12] 웹사이트 БИОГРАФИЧЕСКИЙ УКАЗАТЕЛЬ http://www.hrono.ru/[...]
[13] 뉴스 He may be an economic liberal, but Putin is an Andropov at heart http://www.scotsman.[...] 2004-06-27
[14] 서적 The Mitrokhin Archive: The KGB in Europe and the West Gardners Books 2000
[15] 서적 Berlin: The downfall, 1945 Penguin Books 2003
[16] 웹사이트 A Chronicle of Current Events https://chronicleofc[...]
[17] 서적 The Crisis of Détente in Europe: From Helsinki to Gorbachev, 1975–1985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09
[18] 서적 KGB: state within a state https://books.google[...] I.B. Tauris 1995
[19] 웹사이트 Eurasian Secret Services Daily Review https://web.archive.[...] Axis Information and Analysis (AIA) 2009-01-25
[20] 서적 The Rise and Fall of the Soviet Union Routledge 2014
[21] 서적 KGB: State Within a State https://books.google[...] I.B. Tauris 1995
[22] 웹사이트 "Report from Krasnodar Region KGB", 22 January 1970, Pb 151/XIII, The Bukovsky Archives: Communism on Trial https://web.archive.[...]
[23] 서적 Советская психиатрия: Заблуждения и умысел https://books.google[...] Издательство «Сфера» 2002
[24] 서적 Soviet Psychiatric Abuse: The Shadow Over World Psychiatry https://books.google[...] Westview Press 1985
[25] 서적 The KGB Plays Chess: The Soviet Secret Police and the Fight for the World Chess Crown https://books.google[...] SCB Distributors 2013
[26] 문서 Letter by Andropov to the Central Committee (10 July 1970) http://www.yale.edu/[...]
[27] 웹사이트 Order to leave the message by Kreisky without answer; facsimile, in Russian. (Указание оставить без ответа ходатайство канцлера Бруно Крейского (Bruno Kreisky) об освобождении Орлова (29 июля 1983) https://web.archive.[...]
[28] 서적 Politics, Paradigms, and Intelligence Failures: Why So Few Predicted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https://books.google[...] M. E. Sharpe 2004
[29] 웹사이트 Memorandum from the KGB Regarding the Planning of a Demonstration in Memory of John Lennon https://digitalarchi[...] Wilson Center Digital Archive 1980-12-20
[30] 잡지 THE LAST ROMANOV MYSTERY https://www.newyorke[...] 1995-08-13
[31] e-book Historical Dictionary of Russian and Soviet Intelligence Rowman & Littlefield 2015
[32] 뉴스 The KGB's Middle East Files: The fight against Zionism and world Jewry https://www.ynetnews[...] 2016-01-12
[33] 웹사이트 Deterioration of Conditions in the Democratic Republic of Afghanistan and Possible Responses From Our Side / 17–19 March 1979 https://web.archive.[...] Wilson Center Digital Archive
[34] 문서 Minutes of the CPSU Politburo meeting, 17 March 1979 http://psi.ece.jhu.e[...]
[35] 서적 Ghost Wars: The Secret History of the CIA, Afghanistan, and bin Laden, from the Soviet Invasion to September 10, 2001 https://www.worldcat[...] Penguin Press 2004
[36] 웹사이트 Andropov to Central Committee, 25 April 1979, "Anti-Soviet activities with regard to 1980 Olympic Games", ''The Bukovsky Archives: Communism on Trial'' https://bukovsky-arc[...] 2017-06-02
[37] 논문 The Afghanistan war and the breakdown of the Soviet Union https://faculty.wash[...] British International Studies Association 1999
[38] 서적 The Rise & Fall of Communism 2009
[39] 뉴스 Stalin caused the Soviet collapse http://www.themoscow[...] 2011-08-17
[40] 논문 Moscow, Prague and Warsaw: Overcoming the Brezhnev Doctrine 2001
[41] 웹사이트 The Andropov Hoax http://www.edwardjay[...] Edward Jayepstein 2013-03-30
[42] 서적 Autopsy for an empire: The seven leaders who built the Soviet regime 1998
[43] 서적 Soviet Politics in Perspective Routledge 1998
[44] 백과사전 Great Russian Encyclopedia Bol'shaya Rossiyskaya Enciklopediya Publisher 2005
[45] 서적 The Gorbachev Factor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46] 서적 Soviet Politics in Perspective Routledge 1998
[47] 서적 The Soviet Colossus:History and Aftermath M. E. Sharpe 2001
[48] 서적 Memoirs https://archive.org/[...] Doubleday 1996
[49] 서적 Yuri Andropov: A Secret Passage Into the Kremlin Macmillan 1983
[50] 서적 Andropov W.W. Norton 1983
[51] 논문 Reagan through Soviet eyes https://www.jstor.or[...] 1983
[52] 서적 Autopsy for an empire 1998
[53] 서적 Reagan, Andropov, and a World on the Brink 2018
[54] 서적 Soviet Power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1984
[55] 서적 Reagan and Gorbachev: How the Cold War Ended Random House 2005
[56] 서적 Vor dem Sturm: Erinnerungen eines Diplomaten Siedler Verlag 1993
[57] 뉴스 Pravda 1983-03-27
[58] 뉴스 Person of the Year 1983: Ronald Reagan and Yuri Andropov http://www.time.com/[...] 2008-01-02
[59] 논문 The KAL shootdown (1983) and the state of Soviet air defence 1988
[60] 논문 KAL 007 and Chernobyl: The Soviet management of crises 1987
[61] 뉴스 Andropov is Dead in Moscow at 69; Reagan Asks 'Productive Contacts' and Names Bush to Attend Funeral https://www.nytimes.[...] 1984-02-11
[62] 뉴스 Syria Orders 7 Days of Mourning https://www.nytimes.[...] 1984-02-11
[63] 뉴스 ANDROPOV: DEATH OF A SOVIET LEADER https://www.washingt[...] 1984-02-11
[64] 법령 Указ № 428 от 10 февруари 1984 г. Обн. ДВ. бр. 13 от 14 февруари 1984 г.
[65] 서적 North Korean Foreign Policy: Security Dilemma and Succession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2010-12-16
[66] 서적 Strategic Review https://books.google[...] 1984
[67] 뉴스 Polská tragédie: Hradec vyvěsí vlajky na půl žerdi https://chrudimsky.d[...] 2010-04-14
[68] 웹사이트 Decretos Ejecutivos sobre Duelo Nacional https://cijulenlinea[...]
[69] 웹사이트 Mrs. Thatcher will attend Andropov funeral https://www.upi.com/[...] 2021-05-30
[70] 웹사이트 Press Conference after Andropov's funeral {{!}} Margaret Thatcher Foundation https://www.margaret[...] 2021-05-30
[71] 웹사이트 The funeral of President Yuri Andropov gave Western leaders... https://www.upi.com/[...] 2021-05-30
[72] 웹사이트 Похороны Юрия Владимировича Андропова http://smena-online.[...] 2021-05-30
[73] 뉴스 ANDROPOV BURIED AMID SOMBER MARTIAL GRANDEUR https://www.nytimes.[...] 1984-02-15
[74] 웹사이트 USSR: New Soviet Leader Konstantine Chernenko Pledges To Continue Reforms Started By His Predecessor Yuri Andropov https://reuters.scre[...] 2023-08-17
[75] 서적 The House of Government: A Saga of the Russian Revolution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76] 웹사이트 Peter I's cottage to Gorbachev's lavish dacha: Russian leaders' residences in pictures https://www.rbth.com[...] rbth 2023-12-15
[77] 간행물 The Annual Obituary St. Martin's 1985
[78] 웹사이트 USSR Diplomatic Passport – Igor Y. Andropov https://www.passport[...] 2022-05-02
[79] 서적 Lenin's Tomb:The Last Days of the Soviet Empire Random House
[80] 웹사이트 No Peter the Great. Vladimir Putin is in the Andropov mold https://web.archive.[...] 2004-09-20
[81] 서적 The Soviet Experiment: Russia, the USSR, and the successor states Oxford University Press
[82] 뉴스 Andropov birth centenary evokes nostalgia for Soviet hardliner https://web.archive.[...] 2014-07-29
[83] 뉴스 Putin puts Yuri Andropov back on his pedestal http://www.irishtime[...] 2004-06-16
[84] 뉴스 Andropov birth centenary evokes nostalgia for Soviet hardliner http://gulfnews.com/[...] 2014-07-29
[85] 뉴스 Как изменилась оценка обществом ставленников спецслужб в госвласти со времен Андропова? http://www.svoboda.o[...] Radio Liberty 2009-02-10
[86] 학술지 In Russia, it is deja-vu all over again: how Russians fell back in love with the KGB and Stalin https://www.proquest[...] 2013
[87] 서적 The System: An Insider's Life in Soviet Politics https://books.google[...] Times Books 1992
[88] 학술지 The view from inside: A review essay 1993
[89] 서적 Autopsy for an empire: the seven leaders who built the Soviet regime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1998
[90] 학술지 Хроника утекших событий. Наталья Горбаневская: немонотонная речь http://rulife.ru/mod[...] 2008-05-22
[91] 서적 Личность и власть http://old.redstar.r[...] Просвещение
[92] 서적 Человек за спиной Russlit
[93] 웹사이트 Личный пульмонолог Черненко: чтобы генсек дышал, мы применяли космические технологии https://tass.ru/inte[...] TASS 2019-02-14
[94] 웹사이트 Рой Медведев: Андропов не дожил до своей оттепели... https://www.kp.ru/da[...] kp.ru
[95] Youtube Об избрании Юрия Андропова на пост Председателя Президиума Верховного Совета СССР. Эфир 16 июня 1983 https://www.youtube.[...] 2023-08-20
[96] 웹사이트 Atomic explosion and blast, Andropov's speech against atomic bombs,... https://www.gettyima[...] 2011-08-09
[97] 문서 메드베ージェ프(1983년)
[98] 문서 키무라(1985년)
[99] 문서 신카이(1983년)
[100] 문서 바론(1984년)
[101] 문서 신카이(1983년)
[102] 문서 솔로비요프(1984년)
[103] 문서 바론(1974년)
[104] 문서 두젠(1983년)
[105] 문서 신카이(1983년)
[106] 서적
[107] 서적
[108] 서적
[109] 서적
[110] 서적
[111] 서적
[112] 서적
[113] 서적
[114] 서적
[115] 서적
[116] 서적
[117] 서적
[118] 서적
[119] 서적
[120] 서적
[121] 서적
[122] 서적
[123] 서적
[124] 서적
[125] 서적
[126] 서적
[127] 서적
[128] 서적
[129] 서적
[130] 서적
[131] 서적
[132] 서적
[133] 서적
[134] 서적
[135] 서적
[136] 서적
[137] 서적
[138] 서적
[139] 서적
[140] 서적
[141] 서적 朝日
[142] 서적 朝日
[143] 서적 メドベージェフ
[144] 서적 ソロビヨフ
[145] 서적 杜漸
[146] 서적 木村
[147] 서적 ソロビヨフ
[148] 서적 メドベージェフ
[149] 서적 木村
[150] 서적 木村
[151] 서적 木村
[152] 서적 ヴォルコゴーノフ
[153] 서적 ソロビヨフ
[154] 서적 ヴォルコゴーノフ
[155] 서적 杜漸
[156] 서적 ソロビヨフ
[157] 웹사이트 Eurasian Secret Services Daily Review http://www.axisglobe[...] Axis Information and Analysis (AIA) 2009-01-25
[158] 서적 The Rise and Fall of the Soviet Union Routledge
[159] 서적 バロン
[160] 서적 バロン
[161] 서적 ミヤコフ
[162] 서적 ソロビヨフ
[163] 서적 ヴォルコゴーノフ
[164] 서적 ソロビヨフ
[165] 서적 新開
[166] 서적 ソロビヨフ
[167] 서적 ソロビヨフ
[168] 서적 ソロビヨフ
[169] 서적 ソロビヨフ
[170] 서적 木村
[171] 서적 ソロビヨフ
[172] 서적 新開
[173] 서적 木村
[174] 서적 ソロビヨフ
[175] 웹사이트 Memorandum from the KGB Regarding the Planning of a Demonstration in Memory of John Lennon https://digitalarchi[...] Wilson Center Digital Archive 1980-12-20
[176] 서적
[177] 서적
[178] 서적
[179] 서적
[180] 서적
[181] 서적
[182] 서적
[183] 서적
[184] 서적
[185] 서적
[186] 웹사이트 Пост. ЦК КПСС № П185.34 от 4 августа 1975 г. http://www.bukovsky-[...] 2014-02-18
[187] 서적
[188] 서적
[189] 서적
[190] 서적
[191] 서적
[192] 서적
[193] 서적
[194] 서적
[195] 서적
[196] 서적
[197] 서적
[198] 서적
[199] 서적
[200] 서적
[201] 서적
[202] 서적
[203] 서적
[204] 서적
[205] 서적
[206] 서적
[207] 서적
[208] 서적
[209] 서적
[210] 서적
[211] 서적
[212] 서적
[213] 서적
[214] 서적
[215] 서적
[216] 서적
[217] 서적
[218] 서적
[219] 서적
[220] 서적
[221] 서적
[222] 서적
[223] 서적
[224] 서적
[225] 서적
[226] 서적
[227] 서적
[228] 서적
[229] 서적
[230] 서적
[231] 서적
[232] 서적
[233] 서적
[234] 서적
[235] 서적
[236] 서적
[237] 서적
[238] 서적
[239] 서적
[240] 서적
[241] 서적
[242] 서적
[243] 서적
[244] 서적
[245] 서적
[246] 서적
[247] 서적
[248] 서적
[249] 서적
[250] 서적
[251] 서적
[252] 서적
[253] 서적
[254] 서적
[255] 서적
[256] 서적
[257] 서적
[258] 서적
[259] 서적
[260] 서적
[261] 서적
[262] 서적
[263] 서적
[264] 서적
[265] 서적
[266] 서적
[267] 서적
[268] 서적
[269] 서적
[270] 서적
[271] 서적
[272] 서적
[273] 서적
[274] 서적
[275] 서적
[276] 서적
[277] 서적
[278] 서적
[279] 서적
[280] 서적
[281] 서적 梅津(1984年)
[282] 서적 梅津(1984年)
[283] 서적 梅津(1984年)
[284] 서적 梅津(1984年)
[285] 서적 梅津(1984年)
[286] 서적 梅津(1984年)
[287] 서적 梅津(1984年)
[288] 서적 梅津(1983年)
[289] 서적 新開(1983年)
[290] 서적 新開(1983年)
[291] 서적 新開(1983年)
[292] 서적 新開(1983年)
[293] 서적 木村(1985年)
[294] 서적 新開(1983年)
[295] 서적 新開(1983年)
[296] 서적 梅津(1984年)
[297] 서적 新開(1983年)
[298] 서적 ヴォルコゴーノフ(1997年)
[299] 서적 ヴォルコゴーノフ(1997年)
[300] 서적 新開(1983年)
[301] 서적 ヴォルコゴーノフ(1997年)
[302] 서적 ヴォルコゴーノフ(1997年)
[303] 서적 ヴォルコゴーノフ(1997年)
[304] 서적 ヴォルコゴーノフ(1997年)
[305] 서적 梅津(1984年)
[306] 서적 梅津(1984年)
[307] 서적 梅津(1984年)
[308] 서적 梅津(1984年)
[309] 서적 ヴォルコゴーノフ(1997年)
[310] 서적 木村(1985年)
[311] 서적 木村(1985年)
[312] 서적 梅津(1984年)
[313] 서적 梅津(1984年)
[314] 서적 ヴォルコゴーノフ(1997年)
[315] 서적 梅津(1984年)
[316] 서적 木村(1985年)
[317] 서적 梅津(1984年)
[318] 서적 梅津(1984年)
[319] 서적 ヴォルコゴーノフ(1997年)
[320] 서적 木村(1985年)
[321] 웹사이트 Remember Andropov? Putin does http://www.breitbart[...] Breitbart News 2014-03-06
[322] 뉴스 Andropov birth centenary evokes nostalgia for Soviet hardliner http://www.dailystar[...] 2014-07-29
[323] 뉴스 Putin puts Yuri Andropov back on his pedestal http://www.irishtime[...] 2004-06-16
[324] 서적 プーチンの謎 現代思潮新社 2000
[325] 서적 メドベージェフ(1983年)
[326] 서적 メドベージェフ(1983年)
[327] 서적 木村(1985年)
[328] 서적 新開(1983年)
[329] 서적 新開(1983年)
[330] 서적 花井(1983年)
[331] 서적 ソロビヨフ(1984年)
[332] 서적 ソロビヨフ(1984年)
[333] 서적 ソロビヨフ(1984年)
[334] 서적 ソロビヨフ(1984年)
[335] 서적 木村(1987年)
[336] 서적 フリーマントル(1983年)
[337] 서적 ヴォルコゴーノフ(1997年)
[338] 서적 バロン(1984年)
[339] 서적 木村(1987年)
[340] 서적 木村(1987年)
[341] 서적 ソロビヨフ(1984年)
[342] 서적 メドベージェフ(1983年)
[343] 서적 ソロビヨフ(1984年)
[344] 서적 ソロビヨフ(1984年)
[345] 웹인용 안드로포프에 대한 정보1 http://www.questia.c[...] 2013-10-11
[346] 웹사이트 안드로포프에 대한 정보2 https://commons.wiki[...]
[347] 문서 The KGB in Europe and the West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