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디미르 이바시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블라디미르 이바시코는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시대의 정치인으로, 우크라이나 공산당 제1서기를 거쳐 1990년 우크라이나 최고 라다 의장을 역임했다. 그는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개혁 노선을 지지하며 소련 말기 개혁파와 보수파 사이에서 중도적 입장을 취했다. 1990년 7월 소련 공산당 부서기장으로 선출되었으며, 1991년 8월 쿠데타 실패 이후에는 소련 공산당 서기장 대행을 맡았다. 이후 소련 붕괴 과정에서 공산당 자금 은닉 의혹에 연루되었으며, 1992년 은퇴 후 1994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크라이나의 무신론자 - 레프 트로츠키
레프 트로츠키는 러시아 혁명과 내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붉은 군대를 창설한 혁명가이자 마르크스주의 이론가였으나, 스탈린과의 권력 투쟁에서 패배하여 망명 중 암살당했으며, 그의 영구혁명론은 사회주의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우크라이나의 무신론자 - 라자리 카가노비치
라자리 카가노비치는 소련의 스탈린주의 정치인으로, 볼셰비키 혁명에 참여하여 스탈린의 측근이 되었고, 모스크바 지하철 건설을 주도하며 '철의 라자리'로 불렸지만, 스탈린 체제의 어두운 면에서 핵심 역할을 수행했다는 비판을 받으며 말년에는 공산당에서 축출되었다. -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장 - 이오시프 스탈린
이오시프 스탈린은 소비에트 연방의 독재자이자 소련 공산당 지도자로서, 소련의 산업화와 2차 세계 대전 승리를 이끌었지만 대숙청과 공포 정치로 수백만 명의 희생을 초래했으며, 그의 통치와 유산은 오늘날까지도 논쟁의 대상이다. -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장 - 미하일 고르바초프
미하일 고르바초프는 소련의 마지막 지도자로서 페레스트로이카와 글라스노스트 정책을 추진하여 냉전 종식과 소련 붕괴에 영향을 미쳤으며, 1990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지만 그의 역할에 대한 논쟁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 폴타바 출신 - 아나톨리 루나차르스키
아나톨리 루나차르스키는 러시아의 마르크스주의 혁명가이자 정치가, 문예 비평가, 작가로서, 10월 혁명 후 최초의 소비에트 정권에서 인민 교육위원을 맡아 교육 및 문화 정책을 이끌었으며, 볼셰비키 운동에 참여했고 '건신론'을 주창했지만 만년에는 외교관으로 활동하다 사망했다. - 폴타바 출신 - 베르카 세르두치카
우크라이나 희극 배우 안드리 다닐코가 연기하는 여성 캐릭터 베르카 세르두치카는 철도 승무원 설정으로 우스꽝스러운 분장, 과장된 몸짓, 독특한 음악 스타일로 인기를 얻었으며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2위, 영화 출연, 텔레비전 쇼 심사위원 등 다양한 활동과 반전 운동 참여로 우크라이나를 지지하고 있다.
블라디미르 이바시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블라디미르 이바시코 |
원어 이름 | 러시아어: Влади́мир Анто́нович Ива́шко 우크라이나어: Володимир Антонович Івашко |
출생일 | 1932년 10월 28일 |
출생지 |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폴타바 |
사망일 | 1994년 11월 13일 |
사망지 | 러시아, 모스크바 |
국적 | 우크라이나인 |
![]() | |
경력 | |
소속 정당 |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 |
학력 | 하르코프 광산 대학 |
주요 직책 | |
직책 |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 서기장 권한대행 |
임기 시작 | 1991년 8월 24일 |
임기 종료 | 1991년 8월 29일 |
이전 | 미하일 고르바초프 |
이후 | 폐지 (보리스 옐친이 대통령으로서 계승) |
직책 |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 중앙위원회 부서기장 |
서기장 | 미하일 고르바초프 |
임기 시작 | 1990년 7월 12일 |
임기 종료 | 1991년 8월 29일 |
이전 | 예고르 리가초프 |
이후 | 폐지 |
직책 | 우크라이나 공산당 제1서기 |
임기 시작 | 1989년 9월 28일 |
임기 종료 | 1990년 6월 22일 |
이전 | 볼로디미르 셰르비츠키 |
이후 | 스타니슬라프 후렌코 |
직책 |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최고 소비에트 의장 |
임기 시작 | 1990년 6월 4일 |
임기 종료 | 1990년 7월 9일 |
이전 | 플라톤 코스티우크 |
이후 | 레오니드 크라프추크 |
직책 | 정치국 정회원 (제27기, 제28기) |
임기 시작 | 1989년 12월 9일 |
임기 종료 | 1991년 8월 29일 |
직책 | 서기국 위원 (제28기) |
임기 시작 | 1990년 7월 14일 |
임기 종료 | 1991년 8월 29일 |
2. 생애
블라디미르 이바시코는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폴타바에서 태어났다. 하르키우 광산 대학을 졸업하고,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주 당 제1서기, Communist Party of Ukraine (Soviet Union)|label=우크라이나 공산당영어 제1서기를 역임했으며, 1990년 6월 우크라이나 최고 회의 의장으로 선출되었다.[7]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동맹이었던 이바시코는 1989년 9월 28일, 볼로디미르 셰르비츠키의 후임으로 우크라이나 공산당 제1서기에 임명되었다. 1990년 3월 4일부터 3월 18일까지 우크라이나 SSR에서 열린 최초의 비교적 자유로운 의회 선거에서 공산당은 331석, 민주 블록은 111석을 얻으며 승리했다. 1990년 6월 4일, 이바시코는 공산당 다수의 지지로 우크라이나 SSR 최고 라다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1990년 초 공산당이 "주도적 역할"을 포기한 이후, 이 직위는 우크라이나에서 가장 강력한 직위로 제1서기직을 대체했다.
우크라이나에서 이바시코는 레오니트 브레즈네프의 측근으로, 오랫동안 우크라이나 당 제1서기로 우크라이나를 장악했던 볼로디미르 시체르비츠키 아래에서 성장했다. 지역에서는 보수파로 여겨졌지만, 당 중앙에서는 자신을 좌우 어느 쪽에도 치우치지 않는 온건 개혁파처럼 행동했는데, 이것이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주목을 받았다.
1990년 7월, 제28차 소련 공산당 대회에서 고르바초프는 서기장제를 폐지하고 당 의장·부의장제를 도입하려 했지만, 보수파의 반대로 좌절되었다. 결국 이 대회에서는 서기장 아래에 부서기장직이 신설되기로 결정되었고, 고르바초프는 이바시코를 추천했으며, 그 외에 보수파의 영수였던 예고르 리가초프가 입후보했다. 투표 결과, 이바시코가 리가초프를 큰 표 차이로 누르고 당선되었다. 이는 대의원들이 리가초프가 부서기장으로 선출됨으로써 개혁파와 보수파로 소련 공산당이 분열될 것을 우려했기 때문이다.
1991년8월 쿠데타에서 부통령 겐나디 야나예프 등의 국가 비상 사태 위원회에 대한 지지가 얇았고, 8월 24일부터 8월 29일까지 이바시코는 고르바초프를 대신하여 서기장 대행이 되었지만,[7] 쿠데타는 실패했다.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는 해산되었고, 이바시코도 정치 권력을 잃었다.
1994년11월 13일 모스크바에서 사망했으며, 고국 우크라이나 하르키우에 매장되었다.
3. 소련 공산당에서의 경력
1990년 6월 22일, 제1서기와 의장직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에 대한 반대 시위로 이바시코는 제1서기직에서 사임했다. 1990년 7월 9일, 모스크바에서 열린 제28차 공산당 대회에 참석하여 키예프로 소환되는 것을 거부하고 우크라이나 SSR 최고 라다 의장직에서도 사임했으며, 며칠 후 소련 공산당 부서기직을 확보했다.
1991년 8월 쿠데타 실패 이후, 고르바초프는 소련 공산당 총서기직에서 사임했고, 이바시코는 총서기 대행이 되었다.[7]
3. 1. 1991년 8월 쿠데타 전후
8월 쿠데타 당시 이바시코는 공개적인 성명을 발표하지 않았지만, 서기국을 대신하여 지역 당 조직에 소련 공산당(CPSU)을 지지하라는 서신을 배포했다.[7]
쿠데타 실패 이후, 미하일 고르바초프는 소련 공산당 총서기직에서 사임했고, 이바시코는 총서기 대행이 되었다.[7] 그러나 1991년 8월 29일, CPSU의 활동은 전국에서 중단되었고,[8] 11월 6일 보리스 옐친은 러시아에서 당의 활동을 금지했다.[9] 결국 12월 25일 고르바초프는 대통령직에서 사임했고, 다음 날 공화국 소비에트는 소련을 해체했다.[10]
3. 2. 소련 공산당 자금 은닉 의혹
1990년 8월 23일, 보리스 옐친이 소련 공산당의 재산에 세금을 부과하려 하자, 이바시코는 비밀 각서를 통해 당 자산을 러시아 및 국제 합작 투자를 통해 은닉하는 전략을 제시했다. 이 각서는 공산당 자금, 자금 조달, 협회, 벤처 기업, 재단 등을 활용하여 '보이지 않는 경제'를 구축하려는 의도였다.[2][3]
1990년 11월, 고스방크는 자금 은닉을 위해 역외 구조인 피마코를 설립했다.[4] 세르게이 트레티야코프에 따르면, KGB 국장 블라디미르 크류치코프는 소련 붕괴 직전 공산당 자금 500억달러 상당을 알 수 없는 곳으로 이동시켰다.[5][6]
4. 우크라이나 최고 라다 의장
이바시코는 1990년 3월 4일부터 3월 18일까지 우크라이나 SSR에서 열린 최초의 비교적 자유로운 의회 선거에서 공산당의 승리를 이끌었으며, 공산당은 331석을, 민주 블록은 111석을 얻었다.[1] 1990년 6월 4일, 공산당 다수에 의해 우크라이나 SSR 최고 라다의 의장으로 선출되었다.[1] 1990년 초 공산당이 "주도적 역할"을 포기한 이후, 이 직위는 우크라이나에서 가장 강력한 직위로서 공산당 제1서기의 직위를 대체했다.[1]
집권당의 제1서기와 입법부 의장직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에 반대하는 시위가 있은 후, 1990년 6월 22일 제1서기직에서 사임했다.[1] 그러나 1990년 7월 9일, 모스크바에서 열린 제28차 공산당 대회 중에 키예프로 소환되는 것을 거부한 후, 우크라이나 SSR 최고 라다 의장직에서도 사임했으며, 며칠 후 소련 공산당 부서기직을 성공적으로 확보했다.[1]
5. 사망
1994년 11월 13일, 모스크바에서 오랜 투병 끝에 사망했으며, 고국 우크라이나 하르키우에 안장되었다.[7]
6. 평가
블라디미르 이바시코는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개혁 노선을 지지하며 소련 말기 개혁파와 보수파 사이에서 중도적 입장을 취했다. 지역적으로는 보수파로 여겨졌지만, 당 중앙에서는 온건 개혁파처럼 행동하여 고르바초프의 주목을 받았다.[7]
1990년 7월, 제28차 소련 공산당 대회에서 고르바초프는 서기장제를 폐지하고 당 의장·부의장제를 도입하려 했으나, 보수파의 반대로 좌절되었다. 결국 부서기장직이 신설되었고, 이바시코는 보수파의 예고르 리가초프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이는 대의원들이 당의 분열을 우려했기 때문이다.
1991년 8월 쿠데타 실패 이후, 고르바초프가 사임하자 이바시코는 총서기 대행이 되었다.[7] 그러나 소련 공산당은 해산되었고, 이바시코는 정치 권력을 잃었다.
우크라이나 독립 초기, 이바시코는 최고 라다 의장으로서 국가 운영의 기틀을 다지는 데 기여했다.
한편, 이바시코는 소련 붕괴 과정에서 공산당 자금 은닉에 연루되었다는 의혹을 받았다.[5] 1990년 8월 23일, 이바시코의 비밀 각서는 공산당 자산을 러시아 및 국제 합작 투자를 통해 숨기는 전략을 담고 있었다.[2][3] 1990년 11월, 고스방크는 피마코를 설립하여 자금 은닉을 도왔다.[4] 세르게이 트레티야코프에 따르면, KGB 국장 크류치코프는 소련 붕괴 직전 500억 달러 상당의 공산당 자금을 알 수 없는 곳으로 보냈다.[5]
7. 기타
(원문 소스에 기타 섹션에 포함될 내용이 없으므로, 해당 섹션에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7. 1. 역대 선거 결과
(원문 소스에 역대 선거 결과 정보가 없으므로, 해당 섹션에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참조
[1]
뉴스
Ex-Communists are scrambling for quick cash
https://www.washingt[...]
1993-02-01
[2]
웹사이트
Statement of Richard L. Palmer, president of Cachet International, Inc. on the Infiltration of the Western Financial System by Elements of Russian Organized Crime before the House Committee on Banking and Financial Services
https://archives-fin[...]
1999-09-21
[3]
뉴스
Russian-Style Kleptocracy Is Infiltrating America: When the U.S.S.R. collapsed, Washington bet on the global spread of democratic capitalist values—and lost.
https://www.theatlan[...]
2019-03-01
[4]
서적
Russian Money Laudering: United States Congressional Hearing (serial number 106-38)
https://books.google[...]
Diane Publishing
1999-09-21
[5]
뉴스
Spy vs. Spy: They had Robert Hanssen. We had Sergei Tretyakov
http://www.washingto[...]
2008-01-27
[6]
뉴스
Comrade J by Pete Earley
https://townhall.com[...]
2008-03-31
[7]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Russia: Volume 3, The Twentieth Centu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11-02
[8]
웹사이트
Постановление Верховного Совета СССР от 29 августа 1991 г. № 2371-I «О ситуации, возникшей в стране в связи с имевшим место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м переворотом»
http://constitution2[...]
[9]
웹사이트
Decree of the President of the RSFSR of November 6, 1991 No. 169
http://kremlin.ru/ac[...]
[10]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Russia: Volume 3, The Twentieth Centu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11-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