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 파워 설루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블랙 파워 설루트는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 남자 200m 달리기 시상식에서 금메달리스트 토미 스미스와 동메달리스트 존 카를로스가 흑인 빈곤과 인종차별에 항의하기 위해 검은 장갑을 낀 주먹을 들어 올린 사건을 말한다. 두 선수는 시상대에서 신발을 벗고 검은 양말을 신었으며, 스미스는 흑인 자긍심을 상징하는 검은 스카프를, 카를로스는 린치 피해자를 추모하는 묵주를 착용했다. 이들의 행동은 미국 국가 연주 중에 이루어졌으며, 은메달리스트 피터 노먼도 인권을 위한 올림픽 프로젝트 배지를 착용하며 동참했다. 국제 올림픽 위원회는 이들의 행동을 비난하고 미국 선수단에서 퇴출시켰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이들의 용기 있는 행동은 재평가되었으며, 샌호세 주립 대학교에는 이를 기리는 조각상이 세워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멕시코의 항의행동 - 중앙아메리카 이주민 카라반
중앙아메리카 이주민 카라반은 중앙아메리카 국가 출신 이주민들이 더 나은 삶을 찾아 멕시코를 거쳐 미국으로 이동하는 대규모 행렬을 의미하며, 사회적, 정치적 영향을 미치고 긍정적/부정적 영향과 논란을 야기한다. - 멕시코의 항의행동 - 틀라텔롤코 학살
틀라텔롤코 학살은 1968년 10월 2일 멕시코 정부군이 멕시코시티 틀라텔롤코 광장에서 학생 시위대를 무력 진압하며 발생한 사건으로, 구스타보 디아스 오르다스 정부가 올림픽을 앞두고 사회적 불안을 잠재우려 평화 시위대에 발포하여 수많은 사상자를 낳았으며 멕시코 현대사의 비극으로 기록되고 있다. - 1968년 하계 올림픽 - 틀라텔롤코 학살
틀라텔롤코 학살은 1968년 10월 2일 멕시코 정부군이 멕시코시티 틀라텔롤코 광장에서 학생 시위대를 무력 진압하며 발생한 사건으로, 구스타보 디아스 오르다스 정부가 올림픽을 앞두고 사회적 불안을 잠재우려 평화 시위대에 발포하여 수많은 사상자를 낳았으며 멕시코 현대사의 비극으로 기록되고 있다. - 1968년 하계 올림픽 - 1968년 하계 올림픽 메달 집계
1968년 하계 올림픽 메달 집계는 미국이 107개로 1위를 차지했고, 복싱과 체조에서 금메달이, 근대5종에서 메달 순위 변동이 있었다. - 민권 운동 - 미국의 흑인 민권 운동
미국의 흑인 민권 운동은 17세기부터 20세기 후반까지 미국 내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인종차별 철폐와 시민권 획득을 위해 투쟁한 것으로, 비폭력 저항과 시민 불복종 운동을 통해 1964년 민권법, 1965년 투표권법, 1968년 공정 주택법 등의 제정으로 이어졌으나, 여전히 인종차별과 사회경제적 불평등이 존재하며 인종 평등과 사회 정의를 위한 투쟁은 계속되고 있다. - 민권 운동 - 앵무새 죽이기
하퍼 리가 1960년에 발표한 소설 《앵무새 죽이기》는 1930년대 앨라배마주 메이콤을 배경으로 어린 소녀 스카웃의 시선을 통해 인종차별과 편견, 인간의 존엄성을 그리고, 흑인 남성 톰 로빈슨 재판을 통해 사회 부조리를 드러내며 성장 과정에서 마주하는 현실과 용기, 동정심 등의 주제를 탐구하는 성장 소설이자 남부 고딕 소설로, 퓰리처상을 수상하고 다양한 형태로 각색되었지만 인종차별적 묘사 논란도 있다.
블랙 파워 설루트 | |
---|---|
개요 | |
![]() | |
사건 | 1968년 하계 올림픽에서의 인권 시위 |
장소 | 멕시코 멕시코시티 |
날짜 | 1968년 10월 16일 |
관련된 인물 | 토미 스미스 존 카를로스 피터 노먼 |
원인 | 아프리카계 미국인에 대한 지속적인 인종 차별 |
시위 방법 | 블랙 파워 경례와 배지 착용 |
결과 | 스미스와 카를로스의 올림픽 출전 자격 정지 및 사회적 비난 노먼에 대한 차별과 불이익 인권 문제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 증가 |
배경 | |
주요 인물 | 토미 스미스 존 카를로스 피터 노먼 |
사건 배경 | 1968년 하계 올림픽 |
관련 운동 | 흑인 인권 운동 |
이념 | 블랙 파워 |
사건 상세 | |
날짜 및 장소 | 1968년 10월 16일, 멕시코 멕시코시티 에스타디오 올림피코 우니베르시타리오 |
시위 내용 | 미국 국가 연주 중 블랙 파워 경례 올림픽 프로젝트 인권 배지 착용 |
관련된 선수 | 토미 스미스 (금메달) 존 카를로스 (동메달) 피터 노먼 (은메달) |
반응 | |
국제 올림픽 위원회 (IOC) | 스미스와 카를로스의 올림픽 출전 자격 박탈 |
미국 여론 | 엇갈린 반응 (비난과 지지) |
호주 여론 | 대체로 비판적 |
여파 | |
스미스와 카를로스 | 사회적 비난과 경제적 어려움, 후에는 명예 회복 |
피터 노먼 | 차별과 불이익, 사후에 명예 회복 |
유산 | 인권 운동의 상징, 사회적 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영향 |
추가 정보 | |
관련 단체 | 올림픽 프로젝트 인권 (OPHR) |
관련 인물 | 해리 에드워즈 |
2.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 시상식
1968년10월 17일 저녁, 남자 200미터 달리기 결승전 직후 시상식이 열렸다. 토미 스미스(미국)가 19초 83의 세계 신기록으로 우승, 피터 노먼(오스트레일리아)이 20초 06으로 2위, 존 카를로스(미국)가 20초 10으로 3위를 차지했다.[2]
스미스와 카를로스는 흑인 빈곤을 상징하기 위해 신발을 벗고 검은 양말을 신은 채 시상대에 올랐다.[3] 스미스는 흑인의 자긍심을 상징하는 검은 스카프를 목에 둘렀고, 카를로스는 백인 우월주의 단체에 의해 린치당한 사람들을 추모하기 위해 묵주를 착용했다.[4] 피터 노먼 또한 인권을 위한 올림픽 프로젝트(OPHR) 배지를 착용하여 이들의 항의에 동참했다.[5]
미국 국가가 연주되는 동안 스미스와 카를로스는 고개를 숙이고 검은 장갑을 낀 주먹을 들어 올리는 블랙 파워 경례를 했다. 이 모습은 전 세계에 보도되었고, 현장의 관중들은 야유를 보냈다.[9]
스미스는 이후 "내가 이기면 나는 미국인이지, 흑인 미국인이 아니다. 그러나 내가 나쁜 짓을 하면 그들은 '흑인'이라고 말할 것이다. 우리는 흑인이고 흑인인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 흑인 미국은 우리가 오늘 밤 한 일을 이해할 것이다."라고 말했다.[3]
2. 1. 시상식 전 상황
1968년 하계 올림픽 남자 200미터 달리기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토미 스미스와 동메달을 획득한 존 카를로스는 흑인 인권 운동 단체인 '인권을 위한 올림픽 프로젝트(OPHR)'에 참여하며 미국의 흑인 차별 현실을 전 세계에 알리고자 했다.[5] 피터 노먼(은메달)은 오스트레일리아의 백호주의(백인 우월주의) 정책에 비판적인 입장이었으며, 두 선수의 항의에 공감하여 OPHR 배지를 착용했다.[5]1968년 10월 16일, 스미스는 200m 달리기에서 19.83초의 세계 신기록으로 우승했고, 노먼은 20.06초로 2위, 카를로스는 20.10초로 3위를 기록했다.[2] 경기 후 시상식에서 스미스와 카를로스는 흑인의 빈곤을 상징하기 위해 신발을 신지 않고 검은 양말을 신었다.[3] 스미스는 흑인의 자긍심을 나타내기 위해 검은 스카프를 목에 둘렀고, 카를로스는 블루칼라 노동자와의 연대를 보여주기 위해 트랙 수트 상의 지퍼를 열고, 린치 희생자들을 위한 구슬 목걸이를 착용했다.[4]
원래 두 선수는 검은 장갑을 한 켤레씩 준비했지만, 카를로스가 장갑을 잊고 선수촌에 두고 왔다. 이때 노먼이 카를로스에게 스미스의 왼손 장갑을 착용하도록 제안하여, 카를로스는 왼손을 들게 되었다.[8]
2. 2. 시상식에서의 행동
1968년 하계 올림픽 남자 200미터 달리기에서 토미 스미스가 19초 83의 세계 신기록으로 우승하고, 피터 노먼이 20초 06으로 2위, 존 카를로스가 20초 10으로 3위를 기록한 후, 10월 17일 저녁에 시상식이 열렸다.[2]스미스와 카를로스는 흑인 빈곤을 상징하기 위해 신발을 신지 않고 검은 양말만 신은 채 시상대에 올랐다.[3] 스미스는 흑인의 자긍심을 상징하는 검은 스카프를 목에 둘렀고, 카를로스는 백인 우월주의 단체에 의해 린치당한 사람들을 추모하기 위해 묵주를 착용했다.[4] 피터 노먼 또한 인권을 위한 올림픽 프로젝트(OPHR) 배지를 착용하여 이들의 항의에 동참했다.[5]
카를로스가 숙소에 장갑을 두고 오는 바람에, 노먼의 제안으로 스미스의 장갑을 나눠 꼈다.[8] 이로 인해 카를로스는 왼손에 장갑을 끼고 블랙 파워 경례를 하게 되었다.[8]
미국 국가가 연주되는 동안 스미스와 카를로스는 고개를 숙이고 검은 장갑을 낀 주먹을 들어 올리는 블랙 파워 경례를 했다.[9] 이 모습은 전 세계에 보도되었고, 현장의 관중들은 야유를 보냈다.[9]
스미스는 이후 "내가 이기면 나는 미국인이지, 흑인 미국인이 아니다. 그러나 내가 나쁜 짓을 하면 그들은 '흑인'이라고 말할 것이다. 우리는 흑인이고 흑인인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 흑인 미국은 우리가 오늘 밤 한 일을 이해할 것이다."라고 말했다.[3]
3. 항의의 배경
Black Power salute영어는 1960년대 미국 사회의 흑인 민권 운동과 베트남 전쟁 반대 운동 등 시대적 배경 속에서 발생했다.
3. 1. 미국의 인종차별과 흑인 민권 운동
1968년 당시 미국 사회는 흑인에 대한 차별과 불평등이 만연했고, 이에 맞선 흑인 민권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인권을 위한 올림픽 프로젝트(Olympic Project for Human Rights, OPHR)'가 결성되어 흑인 선수들의 올림픽 보이콧 움직임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1]1968년 하계 올림픽 남자 200m 달리기가 끝난 1968년 10월 17일 저녁, 세계 신기록으로 우승한 미국 선수 토미 스미스와 3위를 한 미국 선수 존 카를로스는 흑인 차별에 항의하는 의미로 시상식에서 검은 장갑을 낀 주먹을 들어 올리는 퍼포먼스를 선보였다. 이들은 흑인의 빈곤을 상징하기 위해 신발을 신지 않고 검은 양말을 신었으며, 흑인의 자존심을 상징하는 검은 스카프를 착용했다. 또한, 백인 우월주의 단체에 의해 희생된 사람들을 기리는 묵주를 지니고 있었다. 2위를 한 오스트레일리아 선수 피터 노먼도 이들의 뜻에 동조하여 '인권을 위한 올림픽 프로젝트(OPHR)' 배지를 착용했다.[1]
4. 국제올림픽위원회(IOC)의 대응과 비판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는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 남자 200m 시상식에서 토미 스미스와 존 카를로스가 한 블랙 파워 설루트를 정치적 행위로 규정하고, "올림픽 정신의 기본 원칙을 고의적이고 폭력적으로 위반한 것"이라고 비판했다.[3] IOC는 두 선수에게 출전 정지 징계를 내렸지만, 메달을 반납하도록 강요하지는 않았다.[12]
2013년, IOC 공식 웹사이트는 "메달 획득 외에도 흑인 미국 선수들은 인종 차별 항의 행위로 이름을 알렸다"라고 기술하여,[17] 과거와는 다소 다른 입장을 보였다. 그러나 2020년 도쿄 올림픽(2021년 개최) 이전까지 IOC는 선수들의 정치적 의사 표현을 엄격히 제한해왔다.
4. 1. 에이버리 브런데이지 IOC 위원장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위원장 에이버리 브런데이지는 블랙 파워 설루트를 올림픽의 비정치적이고 국제적인 포럼에 부적합한 국내 정치적 발언으로 간주했다. 그는 스미스와 카를로스에게 미국 팀 자격 정지 및 올림픽 선수촌 출입 금지 명령을 내렸다. 미국 올림픽 위원회가 거부하자 브런데이지는 미국 육상팀 전체를 출전 금지하겠다고 위협했고, 결국 두 선수는 대회에서 퇴출되었다.[11]IOC 대변인은 스미스와 카를로스의 행동이 "올림픽 정신의 기본 원칙을 고의적이고 폭력적으로 위반한 것"이라고 말했다.[3]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당시 미국 올림픽 위원회 위원장이었던 브런데이지는 나치식 경례에 대해 아무런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다. 그는 나치식 경례가 당시 국가적인 경례였기에 국가 간 경쟁에서 용납될 수 있는 반면, 선수들의 경례는 국가적인 것이 아니므로 용납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13]
브런데이지는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이후에도 미국에서 가장 저명한 나치 동조자 중 한 명으로 비난받았으며,[14][15] 그의 IOC 위원장 퇴출은 올림픽 인권 프로젝트가 내세운 세 가지 목표 중 하나였다.[16]
4. 2. IOC의 입장 변화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는 대회 중 선수의 메시지 표현을 금지해 왔으나, 2020년 도쿄 올림픽(2021년 개최)부터는 시상식, 개·폐회식, 선수촌 등을 제외한 일부 장소에서 제한적으로 허용하기로 방침을 변경했다.[60]5. 사건의 여파와 평가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 남자 200m 시상식에서 있었던 블랙 파워 설루트는 당시 미국 사회와 국제 사회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9] 시상식 직후, 토미 스미스와 존 카를로스는 미국 올림픽 위원회와 언론으로부터 즉각적인 비난을 받았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 에이버리 브런디지는 이들의 행동을 올림픽 정신에 위배되는 정치적 행위로 규정하고, 미국 올림픽 위원회에 징계를 요구했다.
두 선수는 미국 스포츠계에서 사실상 추방되었고, 언론과 대중으로부터 거센 비난과 협박에 시달렸으며,[20] 귀국 후에도 살해 협박을 받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20]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스미스와 카를로스의 행동은 재평가되기 시작했다. 이들의 행동은 단순한 항의를 넘어, 인종차별에 대한 저항과 인권 신장을 위한 용기 있는 행동으로 재조명되었다. 특히 민권 운동의 중요한 상징으로 자리 잡으며, 흑인 인권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피터 노먼 또한 두 선수의 행동에 동조하여 인권을 위한 올림픽 프로젝트(OPHR) 배지를 착용했지만, 호주 내에서는 비난과 따돌림을 받았다.[5]
5. 1. 미국 사회의 비난과 억압
스미스와 카를로스는 미국 스포츠계에서 사실상 추방되었고, 언론과 대중으로부터 거센 비난과 협박에 시달렸다.[20] 보수 언론들은 이들의 행동을 '나치식 경례'에 비유하며 맹비난했다. 타임지는 올림픽 표어인 "'더 빠르게, 더 높이, 더 강하게'를 "더 화나고, 더 험악하고, 더 흉하다"라고 비꼬았다.[18][19] CBS 스포츠와 ESPN에서 활동했던 브렌트 무스버거는 이들을 "두 명의 흑인 폭풍 부대원"이라며 비난했다.[21]귀국 후, 스미스와 카를로스, 그리고 그 가족들은 살해 협박을 받기도 했다.[20]
5. 2. 선수들의 이후 삶
토미 스미스는 신시내티 벵갈스에서 NFL 선수로 활동했고,[22] 오벌린 칼리지 체육 조교수를 거쳐 육상 코치로도 일했다. 1995년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에서 미국 팀을 지도했으며, 1999년에는 밀레니엄 시대 캘리포니아 흑인 스포츠맨 상을 받았다. 현재는 대중 연설가로 활동하고 있다.존 카를로스 역시 이듬해 100야드 달리기 세계 기록을 세우는 등 육상 선수로 활동했다. 1970년 NFL 드래프트에서 15라운드에 지명되어 필라델피아 이글스에서 뛸 기회를 얻었으나, 무릎 부상으로 좌절되었다.[23] 이후 캐나다 풋볼 리그의 몬트리올 알루엣에서 한 시즌 동안 선수 생활을 했다.[24] 1970년대 후반, 전 부인의 자살로 인한 우울증을 겪는 등 어려운 시기를 보냈다.[25] 1982년에는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1984년 하계 올림픽 조직 위원회에서 일했고, 1985년부터 팜스프링스 고등학교에서 육상 코치를 맡았다. 2012년 현재, 카를로스는 같은 학교에서 상담가로 일하고 있다.[26]
스미스와 카를로스는 2008년 ESPY 어워드에서 그들의 행동을 기리는 아서 애시 용기상을 받았다.[27]
은메달리스트 피터 노먼은 시위에 동조했다는 이유로 호주 올림픽 당국의 질책과 언론의 비판, 따돌림을 받았다.[28][29] 출전 자격을 여러 차례 얻었음에도 1972년 대회에 참가하지 못했는데, 1968년 시위 때문이라는 의견이 분분하다.[8][30] 2000년 하계 올림픽이 시드니에서 개최되었을 때, 멜버른에서 스포츠 행정가로 활동하며 호주 올림픽 팀을 발표하는 역할을 맡았음에도 시드니의 축하 행사에 초청받지 못했다.[28][31] 이를 알게 된 미국은 그에게 축하 행사 초청장을 보냈다.[32]
2006년 노먼이 사망하자 스미스와 카를로스는 그의 장례식에서 운구인으로 참여했다.[33]
2012년, 호주 하원은 노먼에게 공식 사과했으며, 국회의원 앤드류 레이는 노먼의 행동이 "인종 불평등에 대한 국제적 인식을 발전시킨 영웅심과 겸손함의 순간"이었다고 평가했다.[34] 2018년, 호주 올림픽 위원회는 노먼의 공로를 인정하여 사후 AOC 공로 훈장을 수여했고, 존 코츠 AOC 회장은 "우리가 당시 그의 역할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했다"고 밝혔다.[35]
5. 3. 재평가와 기념
시간이 흐르면서 스미스와 카를로스의 행동은 재평가되었고, 인종차별에 저항한 용기 있는 행동으로 기억되고 있다. 1968년 당시에는 미국 스포츠계에서 따돌림을 당하고 비판을 받았지만, 현재는 그들의 행동이 인권 운동의 중요한 상징으로 여겨진다.2005년, 샌호세 주립 대학교는 예술가 리고 23이 제작한 시위 조형물인 ''승리 경례'' 조각상을 통해 과거 학생이었던 스미스와 카를로스를 기렸다. 이 조형물은 약 6.71m 높이이다.[40] 학생 에릭 그로츠가 이 프로젝트를 시작했는데, 그는 교수 중 한 명이 숨겨진 영웅들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토미 스미스와 존 카를로스를 언급했고, 그들이 시민권을 신장하기 위해 용감한 일을 해냈지만, 정작 그들의 모교에서는 존경받지 못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44] 조각상은 로버트 D. 클라크 홀과 타워 홀 옆, 캠퍼스 중심부에 위치해 있다.
조각상을 보러 온 사람들은 기념비 위에 서서 참여할 수 있다. 피터 노먼은 기념비에 포함되지 않아, 관람객들이 그의 자리에 설 수 있도록 했다. 빈 공간에는 "입장을 취하라(Take a Stand)"는 문구가 적힌 명판이 있다.[41] 노먼은 방문객들이 그의 자리에 서서 그가 느꼈던 것을 느낄 수 있도록 자신의 공간을 비워두도록 요청했다.[42]
청동 조각상은 신발을 신지 않았지만, 기념비 기단에는 두 개의 신발이 포함되어 있다. 오른발 신발, 청동색 파란색 퓨마는 카를로스 옆에 놓여 있고, 왼발 신발은 스미스 뒤에 놓여 있다. 작가의 서명은 스미스의 신발 뒤쪽에, 2005년은 카를로스의 신발에 새겨져 있다.
조각상의 얼굴은 현실적이고 감정적이다. 이 조각상은 강철 지지대 위에 유리 섬유를 씌우고, 세라믹 타일로 외골격을 만들었다.[43] 리고 23은 3D 스캔 기술과 컴퓨터 지원 가상 이미징을 사용하여 두 사람의 전신 스캔을 했다. 그들의 트랙 바지와 재킷은 짙은 파란색 세라믹 타일로 모자이크 처리되었으며, 트랙 수트의 줄무늬는 빨간색과 흰색으로 세밀하게 표현되었다.
2007년 1월, 역사 샌호세는 샌호세 주립 운동 프로그램을 다루는 새로운 전시회 ''스피드 시티: 시민권에서 흑인 권력으로''를 개최했다.[44]
2002년, 샌호세 주립 대학교 학생들과 교직원들은 승리 경례 조각상을 저항으로서의 공공 예술 프로젝트에 포함시켰다.
2016년에 개관한 국립 아프리카계 미국인 역사 문화 박물관은 시상대에 있는 세 명의 운동선수 모두의 조각상을 전시하고 있다.[47]

2000년, 시드니 올림픽 6주 전에 "Three Proud People Mexico 68"이라는 제목의 벽화가 Donald Urquhart에 의해 시드니 뉴타운 지역의 철도 옆 테라스 하우스 옆면에 그려졌다. 이 벽화는 기차 통근자들에게 보이도록 설계되었으며, 기차 선로 주변에 방음벽이 세워지기 전까지 수년간 그 자리에 있었다. 오늘날, 맥도널드타운 역에서, 열렬한 관찰자들에게 검은 권투 주먹이 벽 위로 튀어나와 보인다. 노먼은 2006년에 이 벽화를 방문했다.[48] 이 벽화는 2010년 철도 터널 건설을 위해 철거될 위기에 처했지만,[48] 현재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49] 2019년 Kelly Wallwork가 복원했다.

2017년, 피터 노먼 기념 위원회라는 단체가 노먼의 고향인 멜버른에 그를 기리는 기념물을 세울 것을 촉구하기 시작했다.[50] 이 운동의 결과로 2019년 10월 9일 (피터 노먼의 날) 앨버트 파크의 레이크사이드 스타디움 옆에 노먼의 동상이 공개되었다. 동상은 루이스 라우멘이 디자인했다.[51]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출신 운동선수이자 전 정치인인 노바 페리스는 이 동상에 대해 "오래 기다렸다"고 말했으며, 자신의 아이들과 함께 원래의 경례를 재현하기 위해 주먹을 쥔 채 사진을 찍었다.[52]
2012년, 호주 하원은 노먼에게 공식적으로 사과했으며, 국회의원 앤드류 레이는 의회에서 노먼의 제스처가 "인종 불평등에 대한 국제적 인식을 발전시킨 영웅심과 겸손함의 순간"이라고 말했다.[34] 2018년, 호주 올림픽 위원회는 노먼에게 시위에 대한 공로를 인정하여 사후에 AOC 공로 훈장을 수여했으며, AOC 회장 존 코츠는 "우리는 그가 당시 했던 역할을 인식하지 못한 데 대해 과실이 있었다"고 말했다.[35]
6. 한국 사회에 주는 시사점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기 때문에, 주어진 지시사항에 따라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전 출력을 그대로 유지합니다.
참조
[1]
뉴스
Caught in Time: Black Power salute, Mexico, 1968
https://archive.toda[...]
The Sunday Times
2008-11-09
[2]
웹사이트
1968: Black athletes make silent protest
https://web.archive.[...]
SJSU
2008-11-09
[3]
뉴스
1968: Black athletes make silent protest
http://news.bbc.co.u[...]
BBC
2008-11-09
[4]
웹사이트
Black Power
http://www.famouspic[...]
Famous Pictures: The Magazine
2008-11-09
[5]
웹사이트
Peter Norman
http://www.historyle[...]
2015-06-13
[6]
뉴스
A Moment In Time: Remembering an Olympic Protest
https://web.archive.[...]
CSTV
2008-11-09
[7]
뉴스
Hope and Defiance: The Black Power Salute That Rocked the 1968 Olympics
https://web.archive.[...]
Life (magazine)
2013-11-13
[8]
뉴스
The other man on the podium
http://news.bbc.co.u[...]
BBC
2008-11-09
[9]
웹사이트
John Carlos
https://web.archive.[...]
Freedom Weekend
2008-11-09
[10]
웹사이트
Smith: 'They tried to make it a moment, but it was a movement'
http://www.indystar.[...]
[11]
웹사이트
On This Day: Tommie Smith and John Carlos Give Black Power Salute on Olympic Podium
http://www.findingdu[...]
2015-06-13
[12]
뉴스
Tommie Smith & John Carlos did NOT give up their Olympic medals
https://oklahoman.co[...]
The Oklahoman
2020-06-02
[13]
서적
The Olympic Story
Grolier Enterprises Inc.
1983
[14]
간행물
Hitler's Pawn: The Margeret Lambert Story
HBO and Black Canyon Productions
[15]
웹사이트
Adolf Hitler and the man 'who beat Jesse Owens'
http://www.cnn.com/2[...]
CNN
2015-07-31
[16]
서적
Silent Gesture – Autobiography of Tommie Smith
https://books.google[...]
Temple University Press
2007
[17]
웹사이트
Mexico 1968
http://www.olympic.o[...]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2013-06-30
[18]
웹사이트
The TIME Vault: October 25, 1968
https://time.com/vau[...]
2016-08-20
[19]
뉴스
The Olympics: Black Complaint
https://web.archive.[...]
1968-10-25
[20]
웹사이트
Tommie Smith 1968 Olympic Gold Medalist
http://www.tommiesmi[...]
Tommie Smith
2008-11-09
[21]
뉴스
Now on Film: Raised Fists And the Yogi Love Letter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2-09-10
[22]
웹사이트
Tommie Smith
http://www.biography[...]
[23]
서적
The Eagles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Temple University Press
[24]
웹사이트
John Carlos
http://www.cflapedia[...]
2016-10-16
[25]
뉴스
Olympic Protester Maintains Passion
https://www.nytimes.[...]
2011-10-11
[26]
뉴스
Former Olympians: No regrets over 1968 protest
https://www.reuters.[...]
Reuters
2012-12-13
[27]
뉴스
Salute at ESPYs – Smith and Carlos to receive Arthur Ashe Courage Award
https://www.espn.com[...]
espn.com
2009-01-17
[28]
뉴스
Peter Norman – Unlikely Australian participant in black athletes' Olympic civil rights protest
https://www.theguard[...]
2016-08-23
[29]
뉴스
Clenched fists, helping hand
https://www.washingt[...]
2008-11-09
[30]
뉴스
Leigh sprints into wrong lane over Norman
http://www.smh.com.a[...]
Sydney Morning Herald
2015-11-12
[31]
뉴스
Apology urged for Australian Olympian in 1968 black power protest
http://www.cnn.com/2[...]
CNN
2015-09-02
[32]
웹사이트
It's a film worthy not only of our praise, but of our thanks.
http://www.theage.co[...]
The Age
2013-10-22
[33]
뉴스
Olympic protest heroes praise Norman's courage
http://www.smh.com.a[...]
2008-11-09
[34]
웹사이트
Parliament Apologises to Peter Norman
http://www.andrewlei[...]
2018-04-03
[35]
뉴스
Peter Norman given posthumous Order of Merit by AOC
https://www.sbs.com.[...]
2018-04-28
[36]
서적
Jet
https://books.google[...]
Johnson Publishing Company
1973
[37]
웹사이트
2008 Program Revealed!
http://www.sydneyfil[...]
2009-01-17
[38]
뉴스
Remembering the Black Power protest
https://www.theguard[...]
2008-11-09
[39]
간행물
Speech to the Ontario Equine Center at the University of Guelph
2011-05-27
[40]
뉴스
America finally honours rebels as clenched fist becomes salute
http://www.timesonli[...]
2008-11-09
[41]
학술
Placing second: Empathic unsettlement as a vehicle of consubstantiality at the Silent Gesture statue of Tommie Smith and John Carlos
http://journals.sage[...]
2024-05-28
[42]
웹사이트
Part 2: John Carlos, 1968 U.S. Olympic Medalist, On the Response to His Iconic Black Power Salute
http://www.democracy[...]
Democracy Now!
2015-10-08
[43]
뉴스
SF GATE – Olympic Protest
http://www.sfgate.co[...]
2005-10-18
[44]
웹사이트
Speed City: From Civil Rights to Black Power
https://web.archive.[...]
History San José
2008-11-09
[45]
웹사이트
It Only Takes a Pair of Gloves Mural
http://oaklandwiki.o[...]
[46]
웹사이트
West Oakland Mural Bulldozed | bayareaintifada
https://bayareaintif[...]
2015-06-13
[47]
뉴스
The Smithsonian's African American museum – a monument to respectability politics
https://www.theguard[...]
2016-09-17
[48]
뉴스
Last stand for Newtown's 'three proud people'
http://www.smh.com.a[...]
The Sydney Morning Herald
2010-07-27
[49]
문서
Heritage Assessment of the Three Proud People mural 2012
http://meetings.city[...]
2015-06-13
[50]
뉴스
Group calls for statue of 'ostracised' Australian Olympian Peter Norman for human rights stand
https://www.abc.net.[...]
2017-09-13
[51]
웹사이트
Statue honouring Australian Olympian Peter Norman unveiled in Melbourne
https://worldathleti[...]
World Athletics
2022-08-16
[52]
뉴스
Nova Peris commends 'overdue' statue for Olympian Peter Norman
https://www.sbs.com.[...]
2024-08-12
[53]
웹사이트
Tropes in Media – The Clinched Fist – GD 203
https://go.distance.[...]
[54]
Youtube
I Can't Breathe
https://www.youtube.[...]
2018-10-31
[55]
웹사이트
Three Proud People Mural
https://www.clovermo[...]
[56]
웹사이트
"20. 白人選手のブラックパワー・サリュート - オリンピックの歴史を知る - スポーツ 歴史の検証 - 特集"
https://www.ssf.or.j[...]
笹川スポーツ財団
2023-06-23
[57]
웹사이트
【オリ・パラ今昔ものがたり】ブラックパワー・サリュート
https://www.nippon-f[...]
日本財団
2023-06-23
[58]
뉴스
1968: Black athletes make silent protest
http://news.bbc.co.u[...]
BBC
2012-11-26
[59]
뉴스
半世紀前の五輪で起きた黒人差別抗議「自分たちが信じるもののために」加わったある白人メダリスト
https://www.tokyo-np[...]
2022-04-19
[60]
뉴스
コスタリカの体操選手、演技中に片膝つき拳を突き上げる。Black Lives Matterへの敬意表明
https://www.huffingt[...]
2023-06-18
[61]
뉴스
東京五輪体操女子予選の床運動で人種差別への抗議の思いを込めた演技を披露する、コスタリカのルシアナ・アルバラド=有明体操競技場(AP=共同)
https://www.nishinip[...]
2023-06-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