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디오카세트 레코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디오카세트 레코더(VCR)는 비디오테이프에 영상과 음성을 기록하고 재생하는 장치이다. 1956년 Ampex가 개발한 쿼드러플렉스 비디오테이프 레코더가 상업적으로 성공한 최초의 VCR이며, 이후 1970년대에 필립스의 "VCR" 포맷, 소니의 베타맥스, JVC의 VHS 등 다양한 방식이 등장했다. 1980년대 VCR 시장이 급성장하며 VHS와 베타맥스 간의 경쟁이 벌어졌고, VHS가 시장을 장악했다. 1990년대 후반 DVD가 등장하면서 VCR은 쇠퇴했고, 2016년 VHS 레코더 생산이 중단되었다. VCR은 아날로그 기록 방식과 디지털 기록 방식, 내장 튜너 등 다양한 변형이 존재했으며, 캠코더에도 내장되어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상 기기 - 텔레비전
    텔레비전은 움직이는 영상과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수신 측에서 다시 영상과 소리로 바꾸는 기술을 이용한 매체로, 닙코프 원판을 이용한 초기 기계식 방식에서 음극선관 발명을 통해 전자식으로 발전하여 디지털 기술과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 발전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사회, 문화, 경제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지만 건강 문제 및 부정적 콘텐츠 노출 등의 부작용도 존재한다.
  • 영상 기기 - 크롬캐스트
    구글이 개발한 크롬캐스트는 동글형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 제품군으로, 모바일 기기나 PC의 스트리밍 콘텐츠를 TV나 오디오 시스템에서 재생할 수 있게 하며, 구글 캐스트 기술 지원 앱이나 크롬 브라우저 미러링으로 제어 가능하고, 다양한 모델 출시와 저렴한 가격, 편리한 사용성으로 스트리밍 미디어 대중화에 기여했다.
  • 전자제품 - 용산전자상가
    용산전자상가는 1987년 청계천의 전자상인들이 이전하여 조성되었으며, 전기·조명 기구, 휴대전화, 컴퓨터 및 주변기기를 취급하며, 용산역과 연결되었으나 현재는 지하철을 통해 접근 가능하다.
  • 전자제품 - 비디오 게임
    비디오 게임은 1940년대부터 시작되어 발전해 온 전자 게임으로, 다양한 플랫폼과 장르로 분류되며 긍정적, 부정적 사회적 영향을 가지며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 20세기 발명품 - 텔레비전
    텔레비전은 움직이는 영상과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수신 측에서 다시 영상과 소리로 바꾸는 기술을 이용한 매체로, 닙코프 원판을 이용한 초기 기계식 방식에서 음극선관 발명을 통해 전자식으로 발전하여 디지털 기술과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 발전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사회, 문화, 경제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지만 건강 문제 및 부정적 콘텐츠 노출 등의 부작용도 존재한다.
  • 20세기 발명품 - 태양 전지
    태양전지는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로, 기술 발전을 거듭하여 발전 효율이 크게 향상되었고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으며, 고집광 태양전지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등의 새로운 기술 개발과 투자가 지속적으로 요구되는 지속 가능한 에너지원이다.
비디오카세트 레코더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유형자기 테이프 영상 녹화 장치
다른 명칭VCR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VTR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발명 시기1956년 (최초의 비디오테이프 레코더)
개발암펙스
주요 기능비디오 신호 녹화 및 재생
사용 매체자기 테이프
역사
최초의 상업용 모델1970년대 초
초기 모델의 크기캐비닛 크기
가정용 모델 출시1970년대 중반
대중화 시기1980년대
몰락 시기2000년대 초
일본 마지막 생산 중단2016년
기술 변화에 따른 변화DVD, 블루레이 등의 디지털 매체로 대체
기술적 특징
기록 방식자기 테이프에 영상 신호 기록
테이프 방식VHS
베타맥스
비디오 2000
U-matic
녹화 시간테이프 종류에 따라 다양
관련 기술
관련 장치텔레비전, 비디오 카메라
경쟁 기술레이저디스크, DVD, 블루레이
기타 정보
영향가정용 엔터테인먼트 시장에 큰 영향
문화적 의미비디오 대여점 문화 형성
단종 시기시장에서 거의 단종됨

2. 역사

비디오카세트 레코더의 역사는 비디오테이프 녹화 기술의 발전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1956년 암펙스(Ampex)는 2인치(5.1cm) 폭 테이프를 사용하는 세계 최초의 상업적으로 성공한 비디오테이프 레코더인 쿼드러플렉스 비디오테이프 전문 방송 표준 형식(Ampex VRX-1000)을 도입했지만,[2] 가격이 매우 비싸 텔레비전 네트워크와 대형 방송국에서만 사용할 수 있었다.[3][4][5] 1959년 도시바(Toshiba)는 헬리컬 스캔이라는 새로운 녹화 방식을 도입하여 최초의 상업용 헬리컬 스캔 비디오테이프 레코더를 출시했다.[6] 1963년 필립스(Philips)는 기업 및 가정 사용자를 대상으로 EL3400 1인치(2.54cm) 헬리컬 스캔 레코더를 출시했고, 소니(Sony)는 기업, 의료, 항공, 교육용으로 사용할 목적으로 최초의 릴투릴 VTR인 2인치 PV-100을 출시했다.[7]

최초의 가정용 비디오 레코더는 1963년 영국의 노팅엄 일렉트로닉 밸브 컴퍼니(Nottingham Electronic Valve Company)가 생산한 텔칸(Telcan)이다.[8][9][10] 1965년에는 소니(Sony)의 1/2인치 테이프 모델 CV-2000이 출시되었다.[11]

이후 비디오 카세트 개발은 소비재에서 오픈릴 시스템을 대체하며, 스테레오-팩(Stereo-Pak) 4트랙 오디오 카트리지(1962년), 컴팩트 카세트(compact audio cassette) 및 인스타매틱(Instamatic) 필름 카트리지(1963년), 8트랙 카트리지(1965년), 슈퍼 8 홈무비 카트리지(1966년) 등이 출시되었다.[13]

1971년 9월에는 소니 U-matic 시스템이 출시되어 세계 최초의 상업용 비디오테이프 포맷이 되었다.[16] 1970년에는 필립스(Philips)가 "비디오테이프 녹화(Video Cassette Recording)"라는 가정용 비디오 카세트 포맷을 개발했다.[17]

1980년대에 비디오카세트 레코더(VCR)를 구입하는 소비자가 늘어나면서 VCR 산업이 급성장했다. 1982년에는 영국 가구의 10%가 VCR을 소유하고 있었고, 1985년에는 그 수치가 30%에 달했으며, 10년이 끝날 무렵에는 영국 가정의 절반 이상이 VCR을 소유하게 되었다.[18]

소니의 베타맥스(Betacord 또는 Beta라고도 함)와 JVCVHS(Video Home System)는 포맷 전쟁이라고 알려진 경쟁에서 판매를 놓고 경쟁했다.[19]

1980년대 초, 미국 영화사들은 VCR이 저작권을 침해한다며 확산을 막으려 했다. 미국 영화 협회(MPAA) 회장 잭 발렌티는 의회 청문회에서 VCR이 영화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보스턴 스트랭글러에 비유하며 비난했다.[21] 그러나 미국 대법원은 ''소니사 대 유니버설 시티 스튜디오 사건''에서 개인적인 용도로 VCR을 사용하는 것은 허용된다고 판결했다. 이후 영화사들은 자사 제작물의 비디오 녹화물 제작 및 판매가 주요 수익원이 되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22]

2. 1. 초기 기계 및 형식

1956년 암펙스(Ampex)는 2인치(5.1cm) 폭 테이프를 사용하는 세계 최초의 상업적으로 성공한 비디오테이프 레코더인 쿼드러플렉스 비디오테이프 전문 방송 표준 형식(Ampex VRX-1000)을 도입했다.[2] 그러나 50,000달러(1956년 기준)라는 높은 가격 때문에[3][4][5] 텔레비전 네트워크와 대형 방송국에서만 사용할 수 있었다.

1959년 도시바(Toshiba)는 헬리컬 스캔이라는 새로운 녹화 방식을 도입하여 최초의 상업용 헬리컬 스캔 비디오테이프 레코더를 출시했다.[6] 헬리컬 스캔 방식은 처음에는 릴투릴 비디오테이프 레코더(VTR)에 구현되었고, 나중에는 카세트 테이프와 함께 사용되었다.

1963년 필립스(Philips)는 기업 및 가정 사용자를 대상으로 EL3400 1인치 헬리컬 스캔 레코더를 출시했고, 소니(Sony)는 기업, 의료, 항공, 교육용으로 사용할 목적으로 최초의 릴투릴 VTR인 2인치 PV-100을 출시했다.[7]

2. 1. 1. 최초의 가정용 비디오 레코더

1963년 영국의 노팅엄 일렉트로닉 밸브 컴퍼니(Nottingham Electronic Valve Company)가 텔칸(Telcan, Television in a Can)을 생산했는데, 이것이 최초의 가정용 비디오 녹화기였다.[8][9][10] 텔칸은 마이클 터너(Michael Turner)와 노먼 러더퍼드(Norman Rutherford)가 개발했으며, 1337GBP에 단품 또는 키트 형태로 구입할 수 있었다. 비싸고 조립이 쉽지 않았으며, 한 번에 20분만 녹화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당시 영국에서는 컬러 방송이 없었기 때문에 흑백으로만 녹화되었으며, 컬러 방송은 BBC Two가 1967년에 컬러 방송을 시작하면서 가능해졌다. 최초의 텔칸 가정용 비디오 녹화기는 노팅엄 산업 박물관에서 볼 수 있다.

1965년에 처음 출시된 소니(Sony)의 1/2인치 테이프 모델 CV-2000은 최초의 가정용 VTR이었다.[11] 또한 최초의 완전 트랜지스터식 VCR이었다.[12]

비디오 카세트의 개발은 소비재에서 다른 오픈릴 시스템을 카세트로 대체한 것에 따른 것이었다.

연도카트리지 형식
1962년스테레오-팩(Stereo-Pak) 4트랙 오디오 카트리지
1963년컴팩트 카세트(compact audio cassette), 인스타매틱(Instamatic) 필름 카트리지
1965년8트랙 카트리지
1966년슈퍼 8 홈무비 카트리지[13]


2. 1. 2. 소니 U-matic

소니는 1969년 10월 비디오테이프 프로토타입을 시연한 후, 1970년 3월까지 7개의 제조업체와 함께 업계 표준을 마련하기 위해 작업을 중단했다. 그 결과, 1971년 9월 도쿄에서 출시된 소니 U-matic 시스템은 세계 최초의 상업용 비디오테이프 포맷이 되었다.[16] 이 카트리지는 VHS 카세트보다 큰 버전과 유사하며, 3/4인치(1.9cm) 너비의 테이프를 사용했고 최대 재생 시간은 60분이었고, 나중에 80분으로 연장되었다. 소니는 또한 새로운 테이프를 사용하는 두 대의 기계(VP-1100 비디오카세트 플레이어와 VO-1700, VO-1600 비디오카세트 레코더라고도 함)를 출시했다. U-matic은 사용 편의성으로 인해 일본과 북미에서 다른 가정용 비디오테이프 시스템을 빠르게 구식으로 만들었으며, U-matic VCR은 텔레비전 뉴스룸(소니 BVU-150 및 Trinitron DXC 1810 비디오 카메라), 학교 및 기업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그러나 TV/VCR 결합 제품의 경우 1395USD로 가격이 비싸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사용할 수 없었다.[16]

2. 1. 3. 필립스 "VCR" 형식

1970년, 필립스(Philips)는 가정용 비디오 카세트 포맷을 개발했다. 필립스는 이 포맷을 "비디오테이프 녹화(Video Cassette Recording)"라고 명명했으며, 최초 레코더 모델 번호를 따서 "N1500"이라고도 불렀다.[17]

필립스는 그룬디히(Grundig)와 뢰베(Loewe)의 지원을 받아 포맷을 개발했으며, 정사각형 카트리지와 1.3cm 너비의 테이프를 사용하여 동축 릴에 장착하는 형태를 채택했다. 녹화 시간은 1시간이었다.

최초의 기종은 1972년에 영국에서 판매되었으며, 회전 다이얼 방식의 타이머가 장착되어 있었다. 약 600파운드(2,087달러, 당시 환율(1달러=308엔) 기준으로 약 64만 엔)에 가까운 가격은 너무 높아 가정용으로는 실패했다. 1975년에는 디지털 타이머 방식의 N1502가 출시되었다. 1977년에는 같은 테이프로 장시간 재생이 가능한 신형으로 호환성을 갖춘 VCR-LP 또는 N1700이 출시되어 학교와 대학교를 대상으로 판매되었다.

2. 2. 대중 시장 성공

1980년대에 비디오카세트 레코더(VCR)를 구입하는 소비자가 늘어나면서 VCR 산업이 급성장했다. 1982년에는 영국 가구의 10%가 VCR을 소유하고 있었고, 1985년에는 그 수치가 30%에 달했으며, 10년이 끝날 무렵에는 영국 가정의 절반 이상이 VCR을 소유하게 되었다.[18]

비디오테이프 레코더의 역사는 비디오테이프에 기록하는 역사와 거의 같다. 암펙스(Ampex)는 1956년에 최초로 상업적으로 성공한 비디오테이프 레코더인 Ampex VRX-1000을 출시했다. 이 기기는 약 5.08cm 너비의 테이프를 사용하는 2인치 쿼드러플렉스(2" Quadruplex) 포맷이었으며,[31] 당시 가격은 50000USD였고, 대규모 방송국이나 큰 제작 회사에만 도입이 제한되었다.[32] 1963년, 필립스(Philips)는 비즈니스 및 가정 사용자를 위해 EL3400 약 2.54cm 헬리컬 스캔(1" Helical Scan) 레코더를 출시했고, 소니(Sony)는 비즈니스, 의료, 항공, 교육용으로 최초의 오픈릴(Open Reel) 방식 VTR인 PV-100을 출시했다.[33] 당시 가격은 12000USD였으며, 미국 시장을 중심으로 판매되었다. 트랜지스터화에 따라 방송용의 1/50 크기로 줄였고, 헤드는 기존의 5배인 1000시간을 견딜 수 있도록 했으며, 정지(스틸) 기능을 탑재했다.[34] 소니(Sony)의 CV-2000은 1965년 4월 당시로서는 놀라운 198000JPY이라는 가격으로 판매된 세계 최초의 가정용 비디오 데크로, 무게는 15kg, 소비 전력은 60W였다.[35] 암펙스와 RCA는 1965년 독자 사양의 오픈릴 방식 흑백 VTR을 1000USD 이하로 가정용 시장에 출시했다.

교환식 비디오 카세트의 개발은 계속되어 소비자 시장에서 오픈릴 방식을 대체했다. 4트랙 오디오 카트리지가 1962년, 콤팩트 카세트와 인스타매틱 필름 카트리지가 1963년, 8트랙이 1965년, 그리고 슈퍼 8(Super 8)이 가정용 영화 카트리지로 1966년에 출시되었다.

2. 2. 1. VHS 대 베타맥스

소니 베타맥스 C7 VCR, 1980년경


소니의 베타맥스(Betacord 또는 Beta라고도 함)와 JVCVHS(Video Home System)는 포맷 전쟁이라고 알려진 경쟁에서 판매를 놓고 경쟁했습니다.[19]

베타맥스는 1975년 11월에 처음 출시되었으며, 많은 사람들은 녹화 품질 면에서 기술적으로 더 정교하다고 주장했습니다.[20]

2. 3. 법적 문제

1980년대 초, 미국 영화사들은 비디오카세트 레코더(VCR)가 저작권을 침해한다며 VCR의 확산을 막으려 했다. 미국 영화 협회(MPAA) 회장 잭 발렌티는 의회 청문회에서 VCR이 영화 산업과 미국 대중에 미치는 영향을 보스턴 스트랭글러에 비유하며 "잔혹함과 파괴적인 영향"을 비난했다.[21]

I say to you that the VCR is to the American film producer and the American public as the Boston strangler is to the woman home alone.|저는 여러분께 VCR이 미국 영화 제작자와 미국 대중에게 보스턴 스트랭글러가 혼자 집에 있는 여성에게 해당하는 것과 같다고 말씀드립니다.영어

1982년 CES 부스에서 가정용 녹음 권리를 홍보하는 모습.


1998년경 파나소닉 DV/MiniDV VCR


그러나 미국 대법원은 ''소니사 대 유니버설 시티 스튜디오 사건''에서 개인적인 용도로 VCR을 사용하는 것은 허용된다고 판결했다. 이후 영화사들은 자사 제작물의 비디오 녹화물 제작 및 판매가 주요 수익원이 되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22]

3. 기술적 특징 및 한계

VCR은 온도와 습도 변화에 민감하다. 기기나 테이프를 고온에서 저온으로 옮기면 회전하는 비디오 헤드 드럼 같은 내부에 수분이 응결될 수 있다. 일부 후기 모델에는 이러한 경우 작동을 막는 '결로 경고' 기능이 있었지만, 테이프 표면의 수분은 감지할 수 없었다. 테이프와 회전하는 헤드 드럼 사이에 수분이 있으면 마찰이 커져 정상 작동을 방해하고 녹화 장치와 테이프 모두를 손상시킬 수 있다. 극단적인 경우, 결로 센서가 작동하지 않으면 수분 때문에 테이프가 회전하는 비디오 헤드에 달라붙어 많은 양의 테이프가 카세트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 테이프는 심하게 손상되고, 비디오 헤드는 막히며, 카세트 배출 장치가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23] 결로 센서는 비디오 헤드 드럼에 매우 가깝게 장착되어 있으며, 수분이 있을 때 저항이 증가한다. 센서 접촉 불량은 임의의 결로 센서 경고를 유발할 수 있다. "DEW" 표시등이나 오류 코드가 켜지거나, 일부에서는 버저가 울릴 수 있다.

자기 테이프는 수분 등의 문제로 기기에서 배출될 때 기계적으로 손상될 수 있다. 고무 드라이브 벨트와 롤러는 시간이 지나면서 경화되어 오작동을 일으킨다.[23]

3. 1. 품질

비디오 및 하이파이 오디오 헤드가 통과하는 경로는 선형 오디오 트랙과 달리 줄무늬가 있고 불연속적이기 때문에, 연속적인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려면 헤드 전환이 필요하다. 비디오 신호는 신호의 보이지 않는 수직 재추적 구간에서 헤드 전환 지점을 쉽게 숨길 수 있어 정확한 전환 지점이 매우 중요하지 않지만, 들리지 않는 구간이 없는 연속적인 오디오 신호에서는 분명히 불가능하다. 따라서 하이파이 오디오는 비하이파이 VHS 기기보다 훨씬 더 정확한 헤드 전환 지점 정렬에 의존한다. 정렬이 잘못되면 신호 연결이 불완전해져 저음의 윙윙거리는 소리가 날 수 있다.[28]

4. 쇠퇴

1990년대 후반 DVD가 사전 녹화된 비디오 재생을 위한 보편적이고 성공적인 광학 매체로 등장하면서 VHS는 점차 가장 인기 있는 소비자 포맷의 자리를 내주게 되었다. DVD 레코더 및 기타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가격이 급격히 하락하면서 VCR은 구식이 되었다. 2003년 6월, 미국의 DVD 대여 건수는 VHS 대여 건수를 처음으로 넘어섰다.[24]

2007년 3월 1일부터 시행된 미국 FCC의 지침에 따라 미국 내 모든 새로운 TV 튜너에 ATSC 및 QAM 지원이 포함되도록 요구되면서, 주요 전자 제조업체들은 독립형 VCR 생산을 중단하고 VCR/DVD 콤보 데크를 생산하기 시작했다. 2016년 7월, VHS VCR/DVD 콤보 레코더의 마지막 제조업체인 후나이 일렉트릭(Funai Electric)은 그 달 말까지 VHS 레코더 생산을 중단할 것이라고 발표했다.[25][26]

포맷 전쟁에서 HD DVD를 이긴 블루레이 디스크는 DVD 포맷을 대체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러나 많은 가정에 여전히 많은 수의 VHS 테이프가 있었고, 모든 블루레이 플레이어가 기본적으로 일반 DVD와 CD를 재생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일부 제조업체는 VCR/블루레이 콤보 플레이어를 만들기 시작했다.[27]

디지털 방송이 시작되면서 녹화 매체는 기존의 비디오테이프에서 DVD, HDD, BD로 이동했다. 이러한 기록 매체들은 비디오테이프보다 공간 절약적인 보관이 가능하고, 조작성, 화질, 음질도 기존의 비디오데크보다 훨씬 향상되었기 때문에, 비디오데크 단독 기기는 2007년경까지 생산이 종료되었다. S-VHS 소프트웨어는 모두 「SQPB」에 의한 간이 재생만 가능하게 되었고(화질은 VHS와 동일), S-VHS 기기의 생산도 2007년경까지 완전히 종료되었다.

5. 변형

20세기에 생산된 대부분의 캠코더는 내장 VCR을 갖추고 있었다. 일반적으로 타이머나 TV 튜너는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이러한 캠코더의 대부분은 8mm, VHS-C, 또는 MiniDV와 같이 더 작은 형식의 비디오카세트를 사용했지만, 초기 모델 중 일부는 표준 크기의 VHS와 베타맥스를 지원했다.[29] 21세기에 들어서면서 디지털 녹화가 표준이 되었고 비디오카세트 테이프는 점차 사라졌다. 테이프리스 캠코더는 DVD 또는 내장 플래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SD 카드와 같은 다른 저장 매체를 사용한다.[29]

6. 종류

비디오카세트 레코더의 역사는 일반적으로 비디오테이프 녹화의 역사와 궤를 같이한다.

1956년 암펙스(Ampex)는 2인치(5.1cm) 폭 테이프를 사용하는 세계 최초의 상업적 비디오테이프 레코더인 쿼드러플렉스 비디오테이프 전문 방송 표준 형식을 도입했다.[2] 당시 50,000달러[3][4][5]라는 높은 가격 때문에 텔레비전 네트워크와 대형 방송국에서만 사용할 수 있었다.

1959년 도시바(Toshiba)는 헬리컬 스캔이라는 새로운 녹화 방식을 도입, 최초의 상업용 헬리컬 스캔 비디오테이프 레코더를 출시했다.[6] 이는 처음에는 릴투릴 비디오테이프 레코더(VTR)에 구현되었고, 나중에는 카세트 테이프와 함께 사용되었다.

1963년 필립스(Philips)는 기업 및 가정 사용자를 대상으로 EL3400 1인치 헬리컬 스캔 레코더를 출시했고, 소니(Sony)는 기업, 의료, 항공, 교육용으로 사용할 목적으로 최초의 릴투릴 VTR인 2인치 PV-100을 출시했다.[7]

비디오테이프를 담는 데 카세트를 사용하지 않는 비디오테이프 레코더도 있었다. 초기 가정용 VTR과 대부분의 전문 방송용 아날로그 비디오테이프 기기(예: 1인치 C형)는 릴투릴 테이프 릴을 사용했다.


1963년 영국의 노팅엄 일렉트로닉 밸브 컴퍼니(Nottingham Electronic Valve Company)가 생산한 텔칸(Telcan)은 최초의 가정용 비디오 녹화기였다. 1,337파운드에 단품 또는 키트 형태로 구입할 수 있었지만, 가격이 비싸고 조립이 쉽지 않았으며 한 번에 20분만 녹화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당시 영국에서는 컬러 방송이 없었기 때문에 흑백으로만 녹화되었으며, 컬러 방송은 BBC Two가 1967년에 컬러 방송을 시작하면서 가능해졌다.[8][9][10]

1965년에 처음 출시된 소니의 1/2인치 테이프 모델 CV-2000은 최초의 가정용 VTR이자[11] 최초의 완전 트랜지스터식 VCR이었다.[12]

1972년, 카트리비전(Cartrivision)을 통해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영화 비디오 카세트가 출시되었다.[14] 그러나 녹화기가 1350USD[15]로 비쌌고, 플레이어가 독립형 장치로 제공되지 않았기 때문에 널리 보급되지 못했다.

6. 1. 아날로그 기록

초기 가정용 VCR에는 이 VHS 모델과 같은 상단 로딩 카세트 메커니즘이 일반적이었다.


1970년대 초반 필립스 N1500 비디오 레코더


비디오 카세트의 개발은 스테레오-팩(Stereo-Pak) 4트랙 오디오 카트리지(1962년), 컴팩트 카세트(compact audio cassette) 및 인스타매틱(Instamatic) 필름 카트리지(1963년), 8트랙 카트리지(1965년), 슈퍼 8 홈무비 카트리지(1966년) 등 소비재에서 오픈릴 시스템을 카세트로 대체한 것에 따른 것이었다.[13]

1972년, 카트리비전(Cartrivision)을 통해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영화 비디오 카세트가 출시되었다.[14]

소니(Sony)는 1969년 10월 비디오테이프 프로토타입을 시연한 후, 1970년 3월까지 7개의 제조업체와 함께 업계 표준을 마련하기 위해 작업을 중단했다. 그 결과, 1971년 9월 도쿄에서 출시된 소니 U-matic 시스템은 세계 최초의 상업용 비디오테이프 포맷이 되었다.

1970년, 필립스(Philips)는 1970년 TV 방송국을 위해 특별히 제작되었고 1972년 소비자 시장에 출시된 가정용 비디오 카세트 포맷을 개발했다. 필립스는 이 포맷을 "비디오테이프 녹화"(Video Cassette Recording)라고 명명했다(최초 레코더 모델 번호를 따서 "N1500"이라고도 함).[17]

  • 1/2인치
  • * 통합 I형
  • * 소니 CV 방식
  • * 파나소닉 방식
  • * 시바덴 방식
  • * 일본 빅터 방식
  • * 기타
  • 1/4인치
  • * 아카이 방식
  • * 후나이 방식
  • U-매틱
  • VHS, VHS-C, S-VHS, S-VHS-C
  • W-VHS
  • 8mm 비디오, Hi8
  • 베타맥스(하이밴드 베타, ED-베타)
  • V코드, V코드 II (동부(東芝), 삼성(三洋電機))
  • VX(마쓰시타 주(松下寿))
  • CVC(후나이전기(船井電機), 캐논(キヤノン))
  • 카트리비전(Avco)
  • 비디오 카트리지(EIAJa형)
  • VK 방식
  • VCR 방식
  • VCC
  • 셀렉터비전
  • 인스턴트비전

6. 2. 아날로그 기록 (음성은 디지털 기록)


  • S-VHS DA
  • 8mm 비디오, Hi8 (PCM 옵션)

6. 3. 디지털 기록

20세기 생산된 캠코더는 대부분 내장 VCR을 갖추고 있으며, 8mm, VHS-C, MiniDV와 같이 더 작은 형식의 비디오카세트를 사용했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 디지털 녹화가 표준이 되었고, 테이프리스 캠코더는 DVD, 내장 플래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SD 카드와 같은 저장 매체를 사용한다.[29]

디지털 기록 방식은 다음과 같다.

  • DV (표준 DV, MiniDV), HDV
  • D-VHS
  • Digital8
  • MICROMV

7. 내장 튜너

초기 비디오테이프 레코더(VTR)는 지상파 아날로그 튜너만 내장되어 있었다.[39] BS 아날로그 방송 시작 후에는 BS 아날로그 튜너 내장 모델도 판매되었다.[39] 초기 BS 아날로그 내장 기기는 BS 안테나 단자가 입력 전용이어서 BS 아날로그 튜너 내장 TV와 연결하려면 분배기가 필요했지만, 나중에 BS-IF 출력 단자가 표준 장착되어 분배기가 필요 없게 되었다.[40]

1992년 이후 제조된 BS 아날로그 내장 비디오에는 BS 아날로그 하이비전 방송을 간편하게 시청할 수 있는 "M-N 컨버터"를 연결하기 위한 "AFC 입력 단자"가 표준 장착되었지만(일부 제조사에서는 M-N 컨버터 내장 VTR도 출시), 2000년 이후 제조된 BS 아날로그 내장 비디오는 AFC 입력 단자를 폐지하고 (WOWOW 시청용 BS 디코더 연결용) "검파 & 비트스트림 입출력 단자"만 탑재되었다(이후 BS 아날로그 하이비전 방송은 2007년 9월 30일 종료).[41]

지상파 아날로그 안테나 단자는 초기에는 VHF·UHF 별도 입출력(VHF 단자는 초기 케이블 직결 나사식, 후기 플러그식. UHF 단자는 나사식)이었지만, 1990년 이후 출시 기종은 플러그식 VU 혼합 입출력이 표준 규격이 되었다.

채널 설정의 경우, 아날로그 VHF와 아날로그 BS 채널은 출고 시 설정되어 있었다. 아날로그 UHF 채널은 초기 기종에서 한 채널씩 수동 선국하여 맞추었지만, 지역이나 기종에 따라 자동 미세 조정으로 완벽하게 조정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사용자가 화면을 보면서 다이얼이나 버튼으로 수동 조정해야 했다. 1990년 이후 제조 기종에서는 설정 화면을 보면서 숫자를 바꾸고 화면도 바뀐 숫자에 연동하여 바뀌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1993년 이후 기종에서는 화면 수동 설정 외에, 거주지 시외전화번호 또는 제조사 지정 거주지 지역 번호를 입력하면 거주 가능 채널이 자동 설정되는 방식도 등장했다. G 코드 예약 기능 탑재 기종은 "가이드 채널"을 정확하게 설정해야 목적 채널·프로그램의 G 코드 예약 녹화가 가능했다.[42] (NHK는 전국 공통 종합 "80"·교육 "90". 민영 방송은 아날로그 기본 채널 번호 가이드 채널 할당.[43]) 1990년 이후 제조 기종에서는 NHK 교육텔레비전 정오(오후 0시) 시보에 맞춰 비디오 본체 시계 오차를 자동 수정하는 "자동 시각 맞춤(저스트 클록)" 기능이 추가되어, 시각 맞춤 시 자동 시각 수정 채널을 거주지 NHK 교육텔레비전에 맞추면 작동했다.[44] 단, 지상파 디지털 시작 후 NHK 교육텔레비전은 (시간 지연 발생) 시보 방송을 폐지해 "딱 맞는 시계" 기능은 현재 사용 불가능하다.[45]

참조

[1] 잡지 RIP the VCR: The last manufacturer in Japan is finally stopping production https://www.wired.co[...]
[2] 웹사이트 Ampex VRX-1000 – The First Commercial Videotape Recorder in 1956 http://www.cedmagic.[...] Cedmagic.com 1956-04-14
[3] 웹사이트 Labguy's World: The Birth of Video Recording http://www.labguyswo[...] Labguysworld.com
[4] 학술지 50 Years of the Video Cassette Recorder http://www.wipo.int/[...] 2006-11-00
[5] 학술지 The History of Video and Related Innovations http://inventors.abo[...]
[6] 웹사이트 World's First Helical Scan Video Tape Recorder http://toshiba-mirai[...]
[7] 웹사이트 Sony Global – Sony History http://www.sony.net/[...] Sony.net
[8] 웹사이트 The quest for home video: Telcan home video recorder http://www.terramedi[...] Terramedia.co.uk 2001-10-22
[9] 웹사이트 Total Rewind http://www.totalrewi[...] Total Rewind
[10] 웹사이트 BBC History https://www.bbc.co.u[...] BBC.co.uk 1963-06-24
[11] 웹사이트 Sony CV Series Video http://www.smecc.org[...] Smecc.org
[12] 웹사이트 Trends in the Semiconductor Industry: 1970s http://www.shmj.or.j[...]
[13] 웹사이트 Vintage Kodak home movie cameras from the '60s: Instamatics, Super 8 & more https://clickamerica[...] 2020-02-22
[14] 웹사이트 Cartrivision – The First VCR with Prerecorded Sale/Rental Tapes in 1972 http://www.cedmagic.[...]
[15] 잡지 Television on a Disk https://web.archive.[...] 1972-09-18
[16] 잡지 Television on a Disk 1972-09-18
[17] 학술지 VCR http://www.computerh[...]
[18] 뉴스 In Pictures | Thatcher years in graphics http://news.bbc.co.u[...] 2005-11-18
[19] 웹사이트 The Betamax vs VHS Format War http://www.mediacoll[...] Mediacollege.com
[20] 웹사이트 Why is Beta better http://www.betainfog[...] 2007-06-08
[21] 웹사이트 Jack Valenti Testimony at 1982 House Hearing on Home Recording of Copyrighted Works http://cryptome.org/[...] Cryptome.org
[22] 웹사이트 A Look Back At How The Content Industry Almost Killed Blockbuster And Netflix (And The VCR) https://techcrunch.c[...] 2013-12-28
[23] 웹사이트 VCR eats tapes http://www.repairfaq[...] The Sci.Electronics.Repair (S.E.R) FAQ
[24] 웹사이트 DVDs pass VHS in rental revenues https://www.deseret.[...] 2003-03-29
[25] 웹사이트 VHS is dead, but at least it outlived Betamax tapes by nine months https://www.theguard[...] Guardian 2016-07-22
[26] 웹사이트 VHS, Beloved Home Video Format, Dies at 40 https://screencrush.[...] 2016-07-21
[27] 웹사이트 Panasonic DMP-BD70V Blu-ray Disc/VHS Multimedia Player: Electronics https://www.amazon.c[...]
[28] 웹사이트 14.18 Is VHS Hi-Fi sound perfect? Is Beta Hi-Fi sound perfect? http://stason.org/TU[...]
[29] 웹사이트 CES 2011 Camcorder Coverage http://www.camcorder[...] CamcorderInfo.com
[30] 문서 video cassette recorder
[31] 웹사이트 Ampex VRX-1000 - The First Commercial Videotape Recorder http://www.cedmagic.[...]
[32] 웹사이트 Charles P. Ginsburg, The Birth of Video Recording http://www.labguyswo[...]
[33] 웹사이트 The Airborne VTR http://www.sony.net/[...]
[34] 잡지 小型テレビ録画装置お目見得 1962-09-16
[35] 웹사이트 Sony CV Series Video http://www.smecc.org[...]
[36] 웹사이트 第1章 ビデオもカセットに <ビデオカセット> https://www.sony.com[...] 2023-11-20
[37] 문서 日本円に換算すると、1971年時点(1ドル=360円)では約50万円、2005年時点(1ドル=105円で計算)では約67万円。
[38] 뉴스 Television on a Disk タイム誌 1972-09-18
[39] 문서 [[1990年代]]後半には「(BSアナログあるいはBSデジタル内蔵テレビでなく地上アナログのみ内蔵のテレビと組み合わせている場合でも)地上アナログ放送を録画中にBSアナログ放送をビデオチューナーで視聴可能な“BSモニター機能”」を搭載したBSアナログビデオが一時期発売されていた(BSアナログ放送を録画中にビデオチューナーで別のBSアナログチャンネル視聴は不可)。
[40] 문서 ただしBS・110度CSデジタル内蔵テレビとBSアナログ内蔵録画機を組み合わせる場合、BSアナログ内蔵録画機の「BS-IF出力端子」は110度CSデジタル(2150MHz)に非対応であるため、そちらからテレビの「BS・110度CSデジタルアンテナ入力」端子に繋ぐとBS・110度CSデジタルが映らない場合がある。よって(BSアナログ内蔵録画機とBS・110度CS内蔵テレビを組み合わせる場合は)市販の110度CSデジタル対応分配器を用い、直接テレビの110度CSデジタル端子へ接続するのが望ましい。なおデジタルチューナー内蔵録画機のBSアンテナ入出力は全て110度CS対応なので、地上・BS・110度CSデジタルテレビとは従来のBSアナログ録画機と同様の方法でアンテナ接続可。
[41] 문서 現在のデジタル放送有料チャンネル視聴は局側と契約して視聴料金を支払うのみで可(ただし[[B-CASカード]]が必要)となっており、アナログ時代のデコーダー類は一切不要である。
[42] 문서 現在は「電子番組表([[Gガイド]])」に取って代わられ、録画したい番組を番組表から選んで録画モードを設定するのみで予約が完了し、番組延長や突発的な番組変更にも対応するので従来のGコードやフリーセット方式より録画予約が簡単で、ガイドチャンネル設定も不要。なお現在発売されているデジタルチューナー内蔵録画機の直接記録媒体はHDD主体となっており、BD/DVDおよびVHSへの録画はHDDよりダビングするかたちとなる機種がほとんどである。
[43] 문서 市外局番チャンネル設定一覧表に非掲載の地域ではガイドチャンネルを手動設定。なおIAT[[岩手朝日テレビ]]は[[紫波新山|アナログ親局]]チャンネル番号「31」だが、ガイドチャンネルは隣接県のAAB[[秋田朝日放送]]との重複を避けるため、親局チャンネル番号と異なる「20」が割り当てられている。同様に、GYT[[とちぎテレビ]]も[[宇都宮タワー|アナログ親局]]チャンネル番号「31」だが、ガイドチャンネルは隣接県のTUF[[テレビユー福島]]との重複を避けるため、親局チャンネル番号と異なる「23」が割り当てられている。KSB[[瀬戸内海放送]]は[[前田山送信所|旧アナログ親局]]のチャンネル番号「33」をガイドチャンネルとしている。
[44] 문서 メモリー用バックアップバッテリーも内蔵され、工場出荷時から1年間或いは5年間は電源プラグを抜いたり停電があっても時刻合わせ・チャンネル・予約録画日時などの再設定が不要。ただし「ぴったり時計」機能は「誤差が2分以内となっている場合」に限り動作するので、誤差が3分以上ある場合、および(メモリー用バックアップバッテリーの有効期限切れで)時計が「0:00」の点滅表示となっている場合は従来通り手動修正する(時刻設定で「自動時刻チャンネル」項が「-」表示になっている時、[[選抜高等学校野球大会|春]]・[[全国高等学校野球選手権大会|夏]]の[[日本の高校野球|高校野球]]期間中など時報自体が流れないとき、時報が流れる時間に機器の電源が入っているときも「ぴったり時計」は動作しない)。
[45] 문서 デジタルチューナー内蔵録画機では「ぴったり時計」機能がアナログ録画機より進化。デジタル放送経由で正確な時刻情報が自動送信されるので時計精度はアナログ録画機より向上し、時刻ズレが極めて発生しにくくなっている(電源プラグを抜いたり停電があっても手動時刻設定は不要)。
[46] 문서 デジタル放送を[[i-LINK]]ケーブル経由でハイビジョン録画可能なビデオデッキも登場したが、i-LINKビデオにデジタルチューナーは非搭載で、対応機が少なく高価だったことから量産はされず発売期間は短かった。なおデジタルチューナー内蔵録画機およびデジタルテレビの上位機は現在でもi-LINK端子搭載機が発売されている。
[47] 문서 全機種「光デジタル音声出力端子」を標準装備(BD/DVD単体機のうち一部上級機は同軸デジタル出力端子も併載)。(AVデジタルアンプやコードレスサラウンドヘッドホン等の)光デジタル入力端子付機器と接続すれば(従来のBSアナログ内蔵高級機になかった機能として)デジタル3波放送全て・BD/DVD/CDのみならず、VHS音声や地上アナログ放送もCD並みの高音質で再生される(アナログ録画機のうちVTR単体機には光デジタル音声出力端子が基本的に非搭載。BSアナログ内蔵ビデオおよびS-VHSの一部上位機において光デジタル音声出力搭載機が発売されていたが、その大半はBSアナログ放送の音声のみを出力し、地上アナログとVHS/S-VHS再生音は光デジタル端子から出力されずアナログ音声端子からのみ出力されるタイプだった。BSアナログ内蔵テレビにも[[1980年代]]後半から1990年代前半にかけて発売された上位機には光デジタル出力端子搭載機があったが、そちらもBSアナログ放送のみを出力するタイプだった)。
[48] 문서 2000年代末になるとテレビ番組録画の主役は画質・音質が従来のAV接続よりはるかに良く操作・接続も簡単な[[HDMI]]連動([[ビエラリンク]]など)にほぼ完全移行してきたため、IrシステムやAV接続の地位は次第に低下。2010年以降製造のデジタルテレビ受像機はIrシステム・モニター出力・[[S端子|S2/S1映像入出力]]・側面ビデオ入力の各端子を全廃し、かつ従来型AV入力端子の数も大幅削減する機種が急増。これにより([[2010年]]以降製造の)最新型デジタルテレビと(アナログチューナーのみ搭載の)従来型録画機を組み合わせた場合は(アナログチューナーのみ内蔵の録画機は)再生専用となりデジタル放送の録画ができなくなる(デジタルチューナー内蔵録画機とHDMI接続した場合のみデジタル放送録画が可能となる)他、入力端子数削減により繋げる(HDMI非搭載の)従来型AV機器が少なくなるので、端子がすぐ塞がりやすくなる。また従来型アナログテレビ受像機で引き続き(外付デジタルチューナーを繋いで)地デジを視聴する場合、録画も可能な[[BDレコーダー]]や[[DVDレコーダー]]のほうが安上がりである(故障したアナログテレビ受像機をリサイクルに出してデジタルテレビに買い換えた場合、他にデジタルチューナー非内蔵機器がない限り録画機能なしの単体デジタルチューナーは無用の長物となる)。
[49] 문서 릴(reel, 감개)은 필름이나 테이프를 감을 때 쓰는 이탈방지용 가장 자리가 있는 둥근 바퀴 모양의 플라스틱 또는 금속제의 감는 기구이다.
[50] 뉴스 <용어설명> VTR과 VCR?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5-04-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