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육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육장은 소를 대규모로 사육하는 시설로, 1960년대 초 대량의 쇠고기 수요 증가와 함께 도입되었다. 초기에는 곡물 농장과 통합되어 운영되었으며, 현재는 사육 일정, 사료, 동물 건강 및 복지, 폐기물 처리 등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된다. 비육장은 운영을 위해 정부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미국, 캐나다, 호주 등 각국에서 관련 규제를 시행하고 있다. 소고기 가축을 육가공업체에 판매하는 방식은 현물/현금 마케팅, 선도 계약, 공식 가격 책정 등 다양하며, 수직적 통합 방식도 존재한다. 비육장의 대안으로는 방목 사육이 제시되지만, 기후 및 효율성 문제로 인해 어려움이 있다. 비육장과 관련하여 동물 복지, 환경, 항생제 사용 문제 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식육 산업 - 정육점
    정육점은 고기를 전문적으로 취급하고 판매하는 상점 또는 직업을 의미하며, 프랑스에는 다양한 레벨의 정육점 관련 직업 자격이, 일본에는 직업 훈련 지도원 (식육과) 자격이 존재한다.
  • 식육 산업 - 정육사
    정육사는 동물을 도축하고 고기를 손질하는 직업으로, 정육점이나 도살장에서 일하며 고기의 부위별 절단을 통해 다양한 육류를 판매한다.
  • 집약농업 - 신젠타
    신젠타는 노바티스와 아스트라제네카의 농업 부문 합병으로 2000년에 설립된 스위스 기반의 농업 기업으로, 종자 및 농약 제품을 개발, 생산, 판매하며, 2016년 중국 화학 공업 그룹에 인수되었고, 개발도상국 농가 지원을 위한 재단을 운영하며, 대한민국에는 신젠타 코리아로 진출했다.
  • 집약농업 - 집약적 축산
    집약적 축산은 과학 기술 발전을 통해 생산성 증대를 목표로 하는 현대 축산 방식으로, 육류 생산량 증대에 기여했으나 동물 복지 저해, 환경 오염, 항생제 내성 문제 등 다양한 논란을 야기한다.
  • 동물 학대 - 투우
    투우는 메소포타미아와 지중해 지역의 황소숭배 의식에서 기원하여 소와 인간 또는 소끼리 싸우는 전통 행사로,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규칙을 가지지만 동물 복지 문제로 논란이 되고 있다.
  • 동물 학대 - 전류 전쟁
    전류 전쟁은 19세기 후반 전기 보급 초기에 토머스 에디슨의 직류 방식과 조지 웨스팅하우스와 니콜라 테슬라의 교류 방식이 전력 시스템 표준을 놓고 경쟁한 사건으로, 기술적 우위, 특허, 금융, 선전전 양상으로 전개되어 결국 교류가 표준으로 자리 잡았다.
비육장
개요
종류산업
산업 분야농업
목적가축 사육 및 비육
관련 법규가축분뇨의 관리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상세 정보
정의일정한 시설과 장비를 갖추고 가축을 집단으로 사육하는 장소
축사, 운동장, 사료 보관창고 등을 포함
목적가축의 성장을 촉진하고 출하 시기를 단축
육질을 향상시키고 생산성을 높임
사육 방식밀집 사육: 좁은 공간에 많은 수의 가축을 사육하는 방식
방목: 가축을 목초지에 풀어 놓고 사육하는 방식
사료곡물: 옥수수, 콩, 보리
조사료: 건초, 사일리지 등
배합사료: 곡물, 조사료, 비타민, 미네랄 등을 혼합한 사료
환경 문제가축분뇨로 인한 수질 오염, 토양 오염, 악취 발생
온실 가스 배출로 인한 기후 변화
윤리적 문제동물 복지 문제: 밀집 사육으로 인한 가축의 스트레스 및 질병 발생
항생제 내성 문제: 질병 예방을 위해 사용하는 항생제로 인한 항생제 내성 세균 증가
국가별 현황
대한민국가축분뇨의 관리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비육장 설치 및 운영 규제
가축분뇨 처리 시설 설치 의무화
미국EPA (환경 보호청)에서 대규모 가축 사육 시설 (CAFO) 규제
가축분뇨 처리 및 관리 기준 설정
캐나다각 주 정부에서 집약적 가축 사육 운영 (Intensive Livestock Operation) 규제
최소 거리 분리 (Minimum Distance Separation) 기준 적용

2. 역사

비육장의 역사는 1950년대와 1960년대에 하이브리드 곡물과 관개 기술이 발달하면서 시작되었다. 이러한 기술 발전은 곡물 생산량 증가로 이어져 비육장이 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25] 한 장소에서 많은 수의 소를 사육하여 운송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었고, 곡물 농장과 비육장의 위치가 통합되었다. 1980년대에는 육류 가공업체도 비육장 근처로 이전하였다.

2. 1. 1960년대 이전

1960년대 초, 대량의 고품질 쇠고기에 대한 수요가 발생하면서 대규모 가축 사육이 처음 도입되었다.[24] 농부들은 쇠고기 비육뿐만 아니라 토양 건강, 작물 및 인건비 관리 등 비육장과 관련된 다양한 측면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다. 20세기 초에는 사육 작업이 다른 모든 관련 작업과 분리되어 비육장이 존재하지 않았다.[25] 1950년대와 1960년대에 하이브리드 곡물과 관개 기술이 발달하면서 더 큰 곡물 작물을 수확하게 되었고, 이는 풍부한 곡물 수확으로 이어져 비육장이 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결과적으로 한 장소에서 많은 수의 소를 사육하여 운송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었고, 곡물 농장과 비육장의 위치가 통합되었다.

2. 2. 1960년대~1990년대

1960년대 초, 대량의 고품질 쇠고기에 대한 수요가 발생하면서 대규모 가축 사육 방식이 처음 도입되었다.[24] 농부들은 쇠고기 비육뿐만 아니라 토양 건강, 작물 관리, 인건비 관리 등 비육장과 관련된 다양한 측면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1960년대 초부터 1990년대까지 비육장 방식의 육우 사육은 크게 성장했으며, 오늘날에도 비육 산업은 새로운 지식, 과학 및 기술로 꾸준히 발전하고 있다. 20세기 초에는 사육 작업이 다른 모든 관련 작업과 분리되어 있었고 비육장은 존재하지 않았다.[25] 1950년대와 1960년대에 하이브리드 곡물과 관개 기술이 발전하면서 비육장이 등장했으며, 이는 곡물 생산량 증가로 이어졌다. 그 결과 한 장소에서 많은 수의 소를 사육하여 운송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었고, 곡물 농장과 비육장의 위치가 통합되었다. 소는 더 이상 캘리포니아와 같은 남부 여러 주에 있는 대규모 도축장으로 보내지지 않게 되었다. 1980년대에는 육류 가공업체도 비육장 근처로 이전하였다.

2. 3.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 비육 산업은 한우 고급화 정책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발전해 왔다.

3. 운영 방식

비육장 운영은 육우의 효율적인 생산과 관리를 위한 체계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는 일반적으로 봄에 태어나 목초지나 방목지에서 어미 소와 함께 여름을 보내며 성장한다. 약 136.08kg에서 약 317.51kg 사이의 체중에 도달하면 육우장으로 직접 판매되거나 소 경매를 통해 비육장으로 보내진다.[11] 비육장으로 옮겨진 소는 6~8개월 동안 사육되며, 체중 증가를 위해 전체 혼합 배합 사료[12]가 제공된다. 사료는 근육량을 늘리고 지방 분포(마블링)를 촉진하여 맛과 부드러움을 향상시킨다.[13][14] 약 200일 동안 사육된 소는 입고 체중에 따라 약 181.44kg에서 약 272.16kg를 더 얻게 되고, 최종 체중에 도달하면 도축장으로 운송된다.

비육장에서의 사료는 동물의 건강과 사료 효율을 높이기 위해 사료, 곡물, 미네랄, 보충제 등으로 구성된 총 배합 사료가 사용된다.[15] 여기에는 옥수수, 옥수수 부산물, 수수 곡물, 보리 및 다양한 곡물이 포함된 특수 동물 사료가 포함된다. 옥수수 줄기, 짚, 수수, 건초, 면실박, 항생제, 발효 제품, 미네랄 등도 포함될 수 있다.[15]

가축의 건강은 매우 중요하며, 질병은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질병 통제가 어렵다.[17] 따라서, 많은 비육장에서는 새로 들어온 동물에게 백신을 접종하는 입구 프로토콜을 운영하여 질병을 예방한다.[17] 아픈 소는 수척해 보이거나, 콧물, 코 마름, 귀 처짐 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으며, 조기 발견이 중요하다.[18]

동물 복지는 중요한 문제로, 콘크리트 바닥은 다리 문제를, 야외 비육장은 진흙, 열 스트레스, 전기 자극기 사용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22]

폐기물 재활용은 주로 가축에게 먹이를 주는 경작지에 분뇨를 뿌리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깔짚과 섞인 분뇨는 밭에 살포하거나 퇴비화한다. 액체 분뇨를 밭에 뿌리거나, 바이오가스 플랜트에서 가축 분뇨를 이용하여 바이오 연료를 만들기도 한다.[23]

3. 1. 사육 일정 (Scheduling)

육우 산업은 순차적으로 운영된다. 육우장에 들어가기 전 어린 송아지들은 일반적으로 봄에 태어나 목초지나 방목지에서 어미 소와 함께 여름을 보낸다. 이러한 생산자들을 모우 운영이라고 하며, 육우장 운영에 필수적이다.[11] 어린 송아지가 약 136.08kg에서 약 317.51kg 사이의 체중에 도달하면 모아져 육우장으로 직접 판매되거나, 육우장이 입찰할 수 있도록 소 경매장으로 보내진다. 육우장으로 옮겨진 후에는 6~8개월 동안 사육되며, 체중 증가를 위해 전체 혼합 배합 사료[12]가 제공된다.

육우장 사료는 근육량 증가와 일부 지방 분포를 촉진한다(도살된 고기에서 마블링으로 알려져 있다). 마블링은 맛과 부드러움에 기여하므로 소비자들에게 선호된다. 이 동물들은 육우장에서 약 200일 동안 입고 체중에 따라 약 181.44kg에서 약 272.16kg를 더 얻을 수 있다.[13][14] 소가 최종 체중으로 살이 찌면, 비육우는 도축장으로 운송된다.

3. 2. 사료 (Diet)

총 배합 사료는 동물의 건강과 사료 효율을 높이기 위해 사료, 곡물, 미네랄, 보충제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배합 사료에는 옥수수, 옥수수 부산물(일부는 에탄올 및 고과당 옥수수 시럽 생산에서 파생), 수수 곡물, 보리 및 다양한 곡물이 포함된 특수 동물 사료도 포함된다. 일부 배합 사료에는 옥수수 줄기, 짚, 수수 또는 기타 건초, 면실박, 항생제, 발효 제품, 미세 및 거대 미네랄 등도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성분은 광물 회사에서 자루 형태로 구입하여 상업용 배합 사료에 섞는다.[15]

많은 사료 회사는 수의사가 요청하는 경우 농장의 사료에 첨가할 약품을 처방할 수 있다. 농부들은 영양사와 협력하여 배합 사료를 만들고, 동물이 권장되는 수준의 미네랄과 비타민을 섭취하고 분뇨로 사료를 낭비하지 않도록 한다.[15] 미국 북서부와 캐나다에서는 보리, 저급 듀럼 밀, 병아리콩(강낭콩), 귀리, 때때로 감자가 사료로 사용된다.

일반적인 비육장에서 소의 식단은 대략 62%의 거친 사료, 31%의 곡물, 5%의 보충제(미네랄 및 비타민), 2%의 프리믹스로 구성된다. 곡물 함량이 높은 식단은 동물의 반추위 pH를 낮추는데, 이러한 조건에서 오는 스트레스와 일부 질병 때문에 때때로 동물에게 항생제를 투여해야 할 수 있다.[16]

3. 3. 동물 건강 및 복지 (Animal health and welfare)

비육장에서 가축의 건강은 매우 중요하며, 질병은 동물에게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많은 동물이 함께 생활하기 때문에 질병을 통제하기는 어렵다.[17]

이를 위해 많은 비육장에서는 새로 들어온 동물에게 백신을 접종하는 입구 프로토콜을 운영한다. 이 프로토콜은 비육장에서 처음 몇 주 동안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인 질병으로부터 동물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비육우의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이 많기 때문에, 입구 프로토콜은 일반적으로 농장 수의사와의 상의를 통해 결정된다.[17]

아픈 소를 식별하고 치료하는 것은 비육장에서 어렵지만 중요한 역할 중 하나이다. 소는 포식자의 먹이 동물이므로 잠재적인 위협으로부터 약점을 숨기려 하기 때문에, 동물이 언제 아픈지 알아내는 것은 쉽지 않다. 아픈 동물은 일반적으로 수척해 보이며, 콧물이 나거나 코가 마르고, 귀가 처져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증상을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동물을 성공적으로 치료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소의 체온은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가장 좋은 지표이지만, 하루에 많은 동물을 살펴보는 경우 항상 가능한 것은 아니다.[18]

동물의 식단과 배합사료 내의 다양한 성분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 비육장의 소는 자연적인 사료 대신 곡물을 섭취하는데, 이는 체중을 더 빨리 늘리도록 설계되었지만 내부 농양과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다.[19] 곡물 기반 식단은 ''Clostridium perfringens'' 및 ''E. coli''와 같은 유해 박테리아의 성장을 초래할 수도 있다.[20] 곡물이 너무 많으면 소가 팽만, 설사, 소화 불량 등의 문제를 겪을 수 있으므로, 동물을 면밀히 관찰하고 반추동물 영양사와 협력하는 것이 중요하다.[21]

동물 복지는 오늘날 농장에 대한 주요 논쟁거리 중 하나이며, 소비자들은 동물 복지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콘크리트 바닥이 있는 실내 비육장은 관절 부기를 포함한 다리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야외 비육장의 경우, 비가 많이 오는 지역의 진흙, 그늘이 없는 곳에서의 열 스트레스, 마실 물 부족, 과도한 추위, 전기 자극기 사용과 같은 소 취급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22] 또한, 많은 소가 함께 사용하는 물통은 소 호흡기 질병을 포함한 질병 확산을 증가시킬 수 있다.[22]

3. 4. 폐기물 처리 (Waste recycling)

비육장에서 폐기물 재활용은 여러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가축에게 먹이를 주는 경작지에 분뇨를 다시 뿌리는 것이다. 비육장에서는 보통 짚, 톱밥, 나무 조각, 콩 껍질, 옥수수 껍질 같은 작물 부산물을 깔짚으로 사용하는데, 이것이 가축의 분뇨와 섞이게 된다. 사용 기한이 다 된 깔짚과 분뇨는 밭에 직접 살포하거나 퇴비화를 위해 쌓아둔다.

덜 일반적인 재활용 방법으로는 액체 분뇨가 있다. 액체 분뇨는 깔짚이 거의 섞이지 않아 액체 상태로 유지되며, 이 상태로 밭에 뿌려진다. 최근에는 목재 잔류물 깔짚을 사용한 노지 월동 패드를 운영하는 소 비육장이 늘고 있다.[23] 이 경우, 폐목재와 가축 폐수에 포함된 영양분은 농장 시스템 내에서 재활용될 수 있다.

바이오가스 플랜트에서는 가축 분뇨를 이용하여 바이오 연료를 만들기도 한다. 혐기성 소화 시스템을 통해 메탄을 포집하고 질소를 농축하여 밭에 살포할 수 있는 귀중한 영양분을 얻는다.

4. 규제

대부분의 비육장은 운영을 위해 정부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일반적으로 농업 부지 허가가 필요하다. 비육장에는 또한 다수의 가축에서 발생하는 대량의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환경 계획이 마련되어야 한다. 환경 농장 계획은 환경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마련되었으며,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농장과 관련된 23가지 측면을 다룬다.[4]

4. 1. 미국

미국 환경 보호청(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은 수질 정화법(Clean Water Act)에 따라 미국의 모든 동물 사육 시설을 규제할 권한을 가지고 있다. 이 권한은 경우에 따라 개별 주에 위임된다.[5]

4. 2. 캐나다

캐나다에서는 비육장 규제가 모든 정부 수준에서 공유된다. 특정 주는 농장이 동물에게 먹이는 모든 것(미네랄 포함)을 검토하는 영양 관리 계획을 법으로 요구한다.[6] 새로운 농장은 가축 운영법에 따라 면허를 취득해야 하며, 이는 적절한 분뇨 저장 시설과 다른 농장 또는 주거지와의 적절한 거리를 검토하는 것을 포함한다.[7] 캐나다의 모든 비육장을 통과하는 모든 동물에는 의무적으로 RFID 태그(CCIA 태그, 캐나다 소 식별 기관)를 부착해야 한다.[8] CCIA 태그는 캐나다 식품 검사청(CFIA)에서 관리한다.[9]

4. 3. 호주

호주에서는 국가 비육장 인증 제도(NFAS)가 비육장 관련 역할을 처리한다.[10]

4. 4.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 비육장은 동물 복지와 환경 규제라는 두 가지 주요 법규 및 정책의 영향을 받는다.

동물 복지 측면에서, 대한민국은 동물보호법을 통해 동물 학대를 방지하고 적절한 사육 환경을 제공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 법은 비육장 운영자에게 동물에게 충분한 공간, 먹이, 물을 제공하고, 질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치를 취하도록 요구한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동물 복지 기준 강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왔으며, 동물권 보호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제안하고 있다.

환경 규제 측면에서, 비육장은 가축분뇨 처리 및 악취 관리에 대한 엄격한 규제를 받는다. 가축분뇨는 수질 오염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간주되므로, 비육장 운영자는 가축분뇨 처리 시설을 설치하고 적절하게 운영해야 한다. 또한, 악취 방지 시설 설치 및 운영을 통해 주변 지역 주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해야 한다. 더불어민주당은 환경 보호를 위한 정책을 강조하며, 비육장으로 인한 환경 오염을 줄이기 위한 규제 강화를 지지하고 있다.

이처럼 대한민국에서 비육장은 동물 복지와 환경 보호라는 두 가지 중요한 가치를 균형 있게 고려해야 하는 산업으로 인식되고 있다.

5. 마케팅

소고기 가축을 육가공업체에 판매하는 방식에는 현물 또는 현금 마케팅, 선도 계약 외에도 공식 가격 책정이 있다. 공식 가격 책정은 육가공업체가 받는 고기의 가치를 더 정확하게 나타내므로 인기가 높다. 이 방식은 육가공업체와 비육장 간의 신뢰가 필요하지만, 비육장에 지불되는 금액이 육가공업체의 고기 평가에 따라 결정되기에 비육장의 비판을 받기도 한다.[26] 생체중 또는 도체중 기반 공식 가격 책정이 가장 일반적이며, 그리드 가격 책정 및 박스형 쇠고기 가격 책정도 활용된다. 가장 논란이 되는 마케팅 방식은 육가공업체 소유 비육장의 수직적 통합으로, 전체의 10% 미만이지만 점차 증가하고 있다.[26]

5. 1. 현물/현금 마케팅

현물 또는 현금 마케팅은 소고기 가축을 판매하는 전통적이며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다. 가격은 현재 수요와 공급에 따라 영향을 받으며, 생체중 또는 마리당 가격으로 결정된다.[26] 선도 계약은 이와 비슷한 방법이지만, 가격이 시장 수요 변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차이가 있다.[26]

5. 2. 선도 계약

선도 계약은 소고기 가축을 육가공업체에 판매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가격은 현물 또는 현금 마케팅과 유사하게 결정되지만, 시장 수요 변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는다. 선도 계약에서는 양측이 정해진 기간 동안 협상하여 판매 가격을 결정한다.[26] 그러나 이 방법은 생산 비용에 대한 지식과 선물 시장에서 위험을 감수하려는 양측의 의지가 필요하기 때문에 가장 덜 사용된다.[26]

5. 3. 공식 가격 책정

소고기 가축을 육가공업체에 판매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현물 또는 현금 마케팅은 전통적이며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다. 가격은 현재의 수요와 공급에 영향을 받으며, 생체중 또는 마리당 가격으로 결정된다. 이와 비슷한 방법으로 선도 계약이 있는데, 가격은 같은 방식으로 결정되지만 시장 수요 변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는다. 선도 계약은 양측이 정해진 기간 동안 협상하여 판매 가격을 결정한다. 그러나 이 방법은 생산 비용에 대한 약간의 지식과 선물 시장에서 위험을 감수하려는 양측의 의지가 필요하기 때문에 가장 덜 사용된다. 공식 가격 책정은 육가공업체가 받는 고기의 가치를 더 정확하게 나타내기 때문에 가장 인기 있는 방식이 되고 있다. 이는 육가공업체와 비육장 사이의 신뢰를 필요로 하지만, 비육장에 지불되는 금액이 육가공업체의 고기 평가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비육장으로부터 비판을 받고 있다.[26]

5. 4. 기타 방식

쇠고기 가축을 육가공업체에 판매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사용된다. 현물 또는 현금 마케팅은 전통적이며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다. 가격은 현재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영향을 받으며, 생체중 또는 마리당 가격으로 결정된다. 이와 비슷한 방법으로 선도 계약이 있는데, 가격은 같은 방식으로 결정되지만 시장 수요 변동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는다. 선도 계약은 양측이 정해진 기간 동안 협상하여 판매 가격을 결정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생산 비용에 대한 약간의 지식과 선물 시장에서 위험을 감수하려는 양측의 의지가 필요하기 때문에 가장 덜 사용된다.

공식 가격 책정은 육가공업체가 받는 고기의 가치를 보다 정확하게 나타내기 때문에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이 방식은 육가공업체와 비육장 사이의 신뢰를 필요로 하지만, 비육장에 지불되는 금액이 육가공업체의 고기 평가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비육장으로부터 비판을 받기도 한다.[26]

생체중 또는 도체중 기반 공식 가격 책정이 가장 일반적이다. 다른 유형으로는 그리드 가격 책정 및 박스형 쇠고기 가격 책정이 있다. 가장 논란이 많은 마케팅 방법은 육가공업체가 소유한 비육장의 수직적 통합에서 비롯되는데, 이는 여전히 전체 방법의 10% 미만을 차지하지만, 수년에 걸쳐 증가해 왔다.[26]

6. 대안

비육장의 대안으로 소가 일생 동안 풀을 뜯어먹도록 하는 방목 사육이 제시되기도 하지만, 이는 효율적이지 않고 매우 어려울 수 있다. 캐나다와 미국 북부 지역의 경우, 혹독한 겨울 날씨 때문에 연중 방목은 불가능하다. 대한민국 역시 겨울철 기온이 낮고 강설량이 많아 연중 방목이 어려운 환경이다. 이러한 종류의 통제된 방목 방식은 더 높은 쇠고기 가격을 필요로 하며, 소가 시장 출하 체중에 도달하는 데 더 오랜 시간이 걸린다.[27]

7. 논란

비육장은 여러 가지 논란에 직면해 있다.
동물 복지 문제: 비육장은 동물 복지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비육우들은 자연적인 식습관과 거리가 먼 곡물 위주의 사료를 먹으며, 좁은 공간에서 많은 수가 함께 사육되어 스트레스를 받고 질병에 취약해진다.[1]
환경 문제: 비육장은 가축을 집중적으로 사육하는 시설로, 여러 환경 문제를 야기한다. 대량의 분뇨는 수질 오염토양 오염의 원인이 되며, 악취는 지역 주민들에게 불쾌감을 준다. 또한, 소와 같은 반추동물의 소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메탄은 이산화탄소보다 강력한 온실가스로, 지구 온난화를 가속화한다.
항생제 사용 문제: 비육 과정에서 질병 예방 및 치료, 성장 촉진을 위해 항생제가 사용된다. 밀집 사육 환경은 질병 발생 위험을 높여 항생제 사용을 불가피하게 만들지만,[1] 이는 가축의 장내 미생물 균형을 깨뜨리고, 항생제 내성균 출현의 원인이 될 수 있다.[1] 항생제 내성균은 사람에게도 전파될 수 있어 공중 보건에 심각한 위협이 된다.[1]

7. 1. 동물 복지 문제

비육장은 동물 복지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비육장에서 소들은 주로 곡물 위주의 사료를 먹는데, 이는 소의 자연적인 식습관과는 거리가 멀다. 또한, 좁은 공간에 많은 소를 밀집 사육하는 환경은 소들에게 스트레스를 주고 질병 발생 가능성을 높인다.[1]

더불어민주당은 동물 복지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동물 복지형 축산 환경 조성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7. 2. 환경 문제

비육장은 가축을 집중적으로 사육하는 시설로, 여러 환경 문제를 야기한다.
분뇨 처리 문제비육장에서 발생하는 대량의 분뇨는 수질 오염토양 오염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분뇨에는 질소, 등 영양염류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적절히 처리되지 않으면 인근 수계의 부영양화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분뇨에서 발생하는 악취는 지역 주민들에게 불쾌감을 주고 생활 환경을 악화시킨다.
온실가스 배출와 같은 반추동물은 소화 과정에서 메탄가스를 생성하는데, 메탄은 이산화탄소보다 훨씬 강력한 온실가스이다. 비육장의 밀집 사육 환경은 메탄 배출량을 증가시켜 지구 온난화를 가속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친환경 축산 시스템 구축 노력이러한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분뇨를 자원화하여 퇴비나 바이오 에너지로 활용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가축의 사료 효율을 개선하여 메탄 배출량을 줄이는 연구도 진행 중이다. 또한, 동물 복지를 고려한 친환경 축산 시스템을 구축하여 환경 부담을 줄이고 지속 가능한 축산업을 실현하려는 움직임도 있다.

7. 3. 항생제 사용 문제

비육 과정에서 가축의 질병 예방 및 치료, 성장 촉진을 위해 항생제를 사용한다. 좁은 공간에 많은 가축을 밀집 사육하는 환경에서는 질병 발생 위험이 높아 항생제 사용이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1] 그러나 항생제 사용은 가축의 장내 미생물 균형을 깨뜨리고, 항생제 내성균 출현의 원인이 될 수 있다.[1]

항생제 내성균은 가축뿐만 아니라 사람에게도 전파될 수 있으며, 이는 공중 보건에 심각한 위협이 된다. 항생제 내성균에 감염되면 기존 항생제로 치료가 어려워져 치료 기간이 길어지고,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항생제 사용에 대한 사회적 우려가 커지고 있으며, 항생제 사용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1]

7. 4. 국민의힘 비판

제시된 원본 자료는 오클라호마 역사 및 문화 백과사전의 비육장(Feedlots) 항목으로, 국민의힘의 정책이나 입장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주어진 원본 자료와 요약 내용만으로는 '국민의힘 비판' 섹션을 작성하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참조

[1] 웹사이트 Animal Feeding Operations http://cfpub.epa.gov[...]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10-06-20
[2] 웹사이트 Intensive Livestock Operation Regulatory Program - Agriculture - Government of Saskatchewan http://www.agricultu[...] 2012-04-27
[3] 간행물 The Application of the Minimum Distance Separation (MDS) for Siting Confined Feeding Operations in Alberta http://www1.agric.go[...] 2018-04-15
[4] 웹사이트 Environmental Farm Plan https://www.ontarios[...]
[5] 웹사이트 EPA - Concentrated Animal Feeding Operations - Final Rule http://cfpub.epa.gov[...] 2009-07-01
[6] 웹사이트 Part 7 - Nutrient Management Plans http://www.omafra.go[...]
[7] 웹사이트 Licensing of Livestock Operation https://www2.gnb.ca/[...] 2004-03-15
[8] 웹사이트 How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echnology is used https://www.canadaid[...] 2020-09-30
[9] 웹사이트 Livestock Identification and Traceability Program (TRACE) newsletters https://inspection.g[...] 2019-05-27
[10] 서적 "Beef Cattle Production and Trade" http://www.publish.c[...] CSIRO Publishing
[11] 웹사이트 Cow-calf Production » the Canadian Cattlemen's Association http://www.cattle.ca[...] 2022-01-28
[12] 웹사이트 Feeding total mixed rations https://extension.um[...]
[13] 웹사이트 Steer Feeding Guidelines Based on Hip Height Measurements https://www1.agric.g[...]
[14] 웹사이트 Harris Feeding Company http://www.harrisran[...] 2005-03-06
[15] 문서 A Guide to Feed Mixing http://animalscience[...] R. A. Zinn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16] 서적 The Compassionate Carnivore: Or, How to Keep Animals Happy, save Old MacDonald's Farm, Reduce Your Hoofprint, and Still Eat Meat Da Capo Lifelong 2008
[17] 웹사이트 Feedlot Health Management http://www.cattle.ca[...] 2022-01-28
[18] 웹사이트 Identifying Sick or Injured Cattle https://www.thecattl[...]
[19] 웹사이트 CAFOs: Farm Animals and Industrialized Livestock Production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02-15
[20] 웹사이트 Diet and Disease in Cattle: High-Grain Feed May Promote Illness and Harmful Bacteria https://www.scienced[...]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2001-05-11
[21] 웹사이트 Bloat Prevention and Treatment in Cattle https://extensionpub[...] 2010-05
[22] 논문 Evaluation of the welfare of cattle housed in outdoor feedlot pens 2016-12-01
[23] 간행물 'Silage Dry-Matter Yield and Nitrogen Response following Land Application of Spent Timber Residue from Out-Wintering Pads to Irish Grassland' 2008
[24] 웹사이트 History in Alberta https://www.cattlefe[...]
[25] 문서 West Texas Feedlots: Reality and Perspectives Texas Tech University 2005
[26] 문서 Captive Supply Price Relationships and Impacts Oklahoma State University Oklahoma Extension Service 2005
[27] 웹사이트 What's the Beef? The Pros and Cons of Grass Fed vs. Grain Fed https://www.trulocal[...] 2023-09-22
[28] 서적 動物の権利入門 緑風出版 2018
[29] 웹인용 Animal Feeding Operations http://cfpub.epa.gov[...]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10-06-20
[30] 웹인용 Intensive Livestock Operation Regulatory Program - Agriculture - Government of Saskatchewan http://www.agricultu[...] 2012-04-27
[31] 저널 The Application of the Minimum Distance Separation (MDS) for Siting Confined Feeding Operations in Alberta http://www1.agric.go[...] 2018-04-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