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제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제우는 포르투갈 중부에 위치한 도시로, 로마 시대부터 역사가 시작되었다. 루시타니아인의 정착지에서 기원했으며, 로마 도로의 교차점에 위치하며 중요성을 얻었다. 중세 시대에는 기독교 세력과 무어인 세력의 지배를 번갈아 받았으며, 포르투갈 백작령 시대를 거쳐 1123년 도시 헌장을 부여받았다. 비제우는 비제우 고원 중앙에 위치하며, 지중해성 기후를 보인다. 주요 산업으로는 다웅 와인 생산, 농업, 수공예, 통신, 건설 등이 있으며, 인구는 1960년대 이후 감소했다가 1980년대부터 증가하여 2011년에는 약 99,274명으로 기록되었다. 비제우는 다양한 문화 유적과 시설을 보유하고 있으며, 폴란드, 코트디부아르 등 여러 국가의 도시들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르투갈의 도시 - 마달레나 (아소르스 제도)
마달레나는 포르투갈 아소르스 제도 피쿠섬에 위치한 도시이자 지방 자치체로, 와인 산업 번성으로 성장했으며 경제 다각화를 거쳐 현재는 에코투어리즘이 발전했고 파이알섬과의 주요 항구 역할을 하는 6개의 교구로 나뉜다. - 포르투갈의 도시 - 아르가닐
아르가닐은 포르투갈 코임브라 현에 위치한 도시이자 지방 자치 단체로, 선사 시대부터 근현대까지 다양한 역사를 거쳐 14개의 교구로 행정 구역이 나뉘며 농업, 임업, 경공업, 소매 및 서비스업이 경제의 중심을 이룬다.
비제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일반 정보 | |
![]() | |
![]() | |
![]() | |
위치 | 포르투갈 중부 |
지역 | 센트루 |
연합 자치구 | 비제우 당 라폰이스 |
현 | 비제우 현 |
교구 | 25개 |
면적 | 507.10km² |
인구 (2022년) | 100,105명 |
기념일 | 9월 21일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정치 | |
시장 | 페르난두 루아스 |
시장 소속 정당 | PSD |
일본어 정보 (참고) | |
현 (일본어) | 비제우 현 |
면적 (일본어) | 507.1 |
인구 (일본어) | 98,753 |
인구 밀도 (일본어) | 191 |
교구 (일본어) | 34 |
한국어 정보 (참고) | |
인구 (2021년) | 99,551명 |
인구 밀도 | 200명/km² |
추가 이미지 | |
![]() | |
![]() | |
![]() | |
![]() |
2. 역사
비제우의 기원은 고대 로마 이전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Vissaîegobor"라는 토착어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알려져 있으며, *Vissaium*으로 라틴어 접미사가 붙었을 수 있다.[2] 루시타니아인의 영웅 비리아투스가 이 지역 출신으로 추정된다.
로마 시대에 비제우는 메리다, 리스본, 갈리시아를 연결하는 도로의 교차점에 위치하여 중요한 도시로 성장했다. 서고트족 통치 시기에는 도시 지위와 교구의 중심지로 격상되었다.[3] 6세기 중반에는 브라가 대교구의 지지를 받는 주교가 있는 공동체가 세워졌다.[3]
비제우에는 켈트족 계통의 루시타니아인 해방을 위해 로마인과 싸운 영웅 비리아투스의 동상(마리아노 벤리우레 작)이 있다.
2. 1. 중세 시대
레온의 페르난도 1세가 1058년에 이 도시를 무어인으로부터 점령하면서, 기독교 세력과 무어인 세력 사이에서 여러 차례 지배권이 바뀌었다.[3] 무어인들은 비제우를 바주라고 불렀다.[4] 레콩키스타 기간인 1147~1148년이 되어서야 비제우 교구는 주교를 지원할 수 있게 되었다.[3] 오랜 세월 동안 코임브라 교구에 흡수되기도 했다.[3] 이후 비제우는 도시 중심지로서의 중요성을 회복하기 시작했다.[3]포르투갈 백작령 시대에는 포르투갈 백작 헨리와 포르투갈 백작 부인 테레사의 궁정이 위치했으며, 1123년에 도시 헌장(포랄)을 부여받았다. 비제우는 1109년에 그들의 아들 아폰수 엔리케스가 태어난 가능한 장소 중 하나이기도 하다.[3] 1187년에 새로운 헌장을 받았고, 1217년에 포르투갈의 아폰수 2세에 의해 강화되었다.
1383–85 위기 동안, 도시는 카스티야 군대에 포위되었고, 포르투갈의 주앙 1세는 방어 요새 건설을 시작하게 되었으며, 이는 포르투갈의 아폰수 5세 통치까지 계속되었다.[3]
1415년, 항해왕자 엔히크가 비제우 공작이 되면서 도시의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
16세기에는 포르투갈 르네상스를 대표하는 화가인 바스쿠 페르난데스(그라운 바스쿠)가 이 도시에서 태어나 활동하며 문화적 전성기를 맞이했다.
3. 지리
비제우는 비제우 고원(Planalto de Viseu) 중앙에 위치하며, 레오밀, 몬테무로, 라파, 아라다, 시에라 다 에스트렐라, 카라물루 등의 산으로 둘러싸여 있다. 겨울철에는 산 정상에 눈이 쌓이기도 한다. 도시는 해발 400m에서 700m 사이의 불규칙한 지형에 위치하며, 보가(Vouga), 다웅(Dão), 파이바(Paiva) 강 유역의 수많은 수로가 지난다.
3. 1. 기후
비제우는 지중해성 기후(''Csb'', ''Csa''에 인접)를 보이며,[5] 춥고 습한 겨울과 덥고 건조한 여름이 특징이다. 1981–2010년 평균 기온은 22°C 등온선 바로 아래를 나타낸다.[6] 내륙 위치와 상대적인 고도는 연평균 31일의 서리를 동반하는, 국가의 해안 지역보다 더 시원한 겨울을 만드는 데 기여한다.[9] 또한 비교적 큰 일교차와 카스텔루 브랑쿠와 같이 포르투갈 중북부 지역의 저지대 내륙 도시보다 낮은 평균 기온을 보인다.내륙에 위치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해양의 영향은 1981–2010년 기준 기간 동안 9월의 평균 기온이 6월과 비슷한 계절 지연을 초래할 정도로 강하다. 이는 10월과 5월에도 적용된다. 그러나 11월에는 기온이 급격히 떨어져 겨울 계절의 지연이 줄어든다. 7월과 8월은 가장 건조하고 더운 달로, 낮 최고 기온은 두 달 모두 평균 29.6°C이다. 겨울은 훨씬 더 습하며, 12월 평균 강수량은 203.4mm이다.[6]
도시 서쪽에 위치한 카라물루 산맥은 서쪽 공기 덩어리의 영향을 줄임으로써 기후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비제우는 전이대에 위치해 있어 여러 미기후가 존재한다.
4. 인구
1960년대의 이민 정책으로 인해 비제우는 인구가 크게 감소했다. 포르투갈 식민지 전쟁 (1961–1974)이 끝난 후, 독립을 쟁취한 포르투갈의 아프리카 식민지에서 난민들이 귀환하면서, 1970년대 말부터 시작된 경제 및 인구 증가로 인해 자치구의 인구는 약 10% 증가하여 약 83,261명의 인구로 추산되었다. 이후 1991년 인구 조사에서 83,601명의 인구를 기록하며 정체되었다.[10]
연도 | 인구 |
---|---|
1801 | 33,699 |
1849 | 36,049 |
1900 | 54,047 |
1930 | 61,140 |
1960 | 79,890 |
1981 | 83,261 |
1991 | 83,601 |
2001 | 93,501 |
2011 | 99,274 |
5. 경제
비제우는 다웅 와인 생산의 중심지이며, 다웅 와인 연구소인 '솔라르 두 비뉴 두 다웅'(Solar do Vinho do Dão)이 있다. 매년 "페이라 드 상 마테우스"(Feira de São Mateus) 농업 박람회가 개최된다.[1] 흑색 도자기, 레이스, 자수, 구리 및 연철 제품 등 지역 수공예품도 유명하다.[1]
통신, 건설, 산업, 관광, 부동산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들이 위치하며, 특히 포르투갈 기반의 국제적 대기업인 비자베이라(Visabeira)의 본사가 있다.[1] 비제우는 레이리아와 함께 국가의 급격히 성장하는 경제 중심지가 되고 있다.[2]
6. 교통
비제우는 시 전체에서 여러 노선을 운영하는 버스 네트워크인 MUV를 갖추고 있으며, 최근에는 하부 도시와 상부 도시를 연결하는 삭도(푸니쿨라)가 설치되었다. A25 고속도로(구 IP5)는 비제우를 아베이루와 구아르다와 연결하며, 이후 스페인의 살라망카까지 이어진다. IP3 및 A24 고속도로는 코임브라와 스페인 국경의 샤베스를 연결하며, 비제우를 남쪽에서 북쪽으로 가로지른다. 1980년대까지 비제우는 해안과 철도로 연결되어 있었지만, 이후 폐쇄되었다.
비제우는 현재 철도 연결이 없는 유럽 최대 도시 중 하나이다. 과거에는 보우가 선 (협궤 철도)을 통해 아베이루와 연결되었고, 상타 콤바 다웅 (또 다른 협궤 철도인 다웅 선)에서는 광궤(국제선)인 베이라 알타 선과 연결되었다. 다웅 선은 1988년 여객 운송이 중단되었다.
비제우에는 비제우 공항(코드 VSE)(일명 로바투, 로르도사 교구)이 있으며, 아에로 VIP(포르투갈)를 통해 일부 국내선 목적지로 정기 상업 항공편을 제공한다.
7. 교육
비제우 공과대학교(Instituto Politécnico de Viseu)에는 교육, 기술 및 경영, 농업 분야의 고등 교육 폴리테크닉 학교가 있다. 시 정치 및 시민 단체들은 비제우 공과대학교를 대학교로 승격시키도록 정부에 압력을 가했지만, 바람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포르투갈 가톨릭 대학교와 피아제 연구소 두 곳의 사립 대학교가 있다. 볼로냐 프로세스 이후, 의학, 경제학, 법학과 같이 대학교에서만 수여되는 일부 학위를 제외하고는 대학교와 폴리테크닉의 차이가 덜 중요해졌다.
세 곳의 중등 교육(포르투갈의 고등학교에 해당) 기관으로는 비리아투 중등학교(Escola Secundária de Viriato), 알베스 마르틴스 중등학교(Escola Secundária Alves Martins), 에미디오 나바로 중등학교(Escola Secundária Emídio Navarro)가 있다.
8. 문화
비제우에는 바스쿠 페르난데스의 작품을 소장하고 있는 그라운 바스쿠 미술관이 있다. 이 미술관은 오래된 주교관을 전용한 것으로, 페르난데스의 걸작 몇 점과 비제우파 화가들의 작품이 있다.
시내에는 교회와 수도원, 예배당이 많다. 비제우 대성당 외에 6개의 주요 교회, 2개의 수도원, 주교관이 있다. 대성당 내에는 종교 미술관이 있다. 자비의 교회(Igreja da Misericórdia)도 주요 문화 유적 중 하나이다.
9. 국제 관계
2023년 기준으로 비제우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11]
국가 | 도시 |
---|---|
코트디부아르 | 아비장 |
이탈리아 | 아레초 |
브라질 | 캄피나스 |
상투메 프린시페 | 칸타갈루 |
포르투갈 | 엘바스 |
불가리아 | 하스코보 |
폴란드 | 루블린 |
프랑스 | 마를리르후아 |
모잠비크 | 마톨라 |
브라질 | 리우데자네이루 |
카보베르데 | 상필리페 |
중화인민공화국 | 타이위안 |
10. 저명한 출신 인물
- 포르투갈의 에드워드 국왕(1391–1438): 1433년부터 1438년까지 포르투갈 국왕을 지냈다. '두아르테'로도 알려져 있다.
- 바스쿠 페르난데스(ca.1475 – ca.1542): '그라웅 바스쿠'로 더 잘 알려진 주요 포르투갈 르네상스 화가이다.
- 주앙 드 바루스(ca.1496 – 1570): 역사가로, 저서 ''아시아의 데카다스''를 통해 포르투갈의 인도, 아시아, 동남 아프리카에서의 역사를 다루었다.[12]
- 안토니오 토마스(ca.1520 – 1590년대): 스페인 왕실을 섬긴 해군이자 정복자였다.
- 마누엘 드 알메이다(1580–1646): 예수회 소속으로 인도로 파견된 선교사였다.
- 베아트리스 피네이루(1872–1922): 여성 권리 향상에 관심을 가진 작가이자 평화주의자였다.
- 주디테 테이셰이라(1880-1959): 세 권의 시집과 한 권의 단편 소설집을 쓴 작가였다.
- 카를루스 드 리스-테이셰이라 브랑퀴뉴(1902–1973): 포르투갈 외교관으로, 나치 점령 하의 헝가리에서 1,000명의 유대인 생명을 구했다.
- 마누엘 마리아 카릴류(1951년 출생): 철학자, 학자, 정치인으로, 1995년부터 2000년까지 문화부 장관을 역임했다.
- 아르바로 산투스 페레이라(1972년 출생): 경제학자, 교수, 작가로, 2011/2013년 정부 장관을 지냈다.
- 카를루스 로페스 (1947년 빌데모이노스 출생): 전 장거리 달리기 선수로, 1984년 하계 올림픽 마라톤에서 우승하여 포르투갈 최초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가 되었다.
카를루스 로페스, 1985 - 파울루 소자 (1970년 출생): 전 축구 선수로, 클럽에서 256경기, 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51경기를 뛰었으며, 이후 ACF 피오렌티나와 폴란드 축구 국가대표팀의 감독을 역임했다.
- 파울루 고메스 (1975년 출생): 은퇴한 축구 선수로, 클럽에서 296경기를 뛰었다.
- 브루노 마데이라 (1984년 출생): 축구 선수로, 클럽에서 360경기 이상을 뛰었다.
- 페르난두 페레이라 (1986년 출생): 축구 선수로, 클럽에서 330경기 이상을 뛰었다.
- 치아구 곤칼베스 (1986년 출생): 아카데미쿠 드 비제우 FC에서 247경기를 뛴 축구 선수이다.
- 파비우 산투스 (1988년 출생): 축구 선수로, 클럽에서 300경기 이상을 뛰었으며, 아카데미쿠 드 비제우 FC에서 활약하고 있다.
- 네이데 시모에스 (1988년 출생): 여자 축구 골키퍼로, 포르투갈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60경기를 뛰었다.
- 브루누 로레이루 (1989년 출생): 축구 선수로, 클럽에서 270경기 이상을 뛰었으며, 아카데미쿠 드 비제우 FC에서 활약하고 있다.
- 안드레 코엘류 (1993년 출생): 풋살 선수로, 포르투갈 풋살 국가대표팀에서 41경기를 뛰었다.
- 루이 미겔 (1983년 출생): 축구 선수로, 클럽에서 330경기 이상을 뛰었다.
- 주앙 펠릭스 (1999년 출생): 첼시 FC에서 활약하는 축구 선수로, 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51경기를 뛰었다.
- 안토니우 실바 (2003년 출생): 축구 선수이다.
참조
[1]
웹사이트
Portal do INE
https://www.ine.pt/x[...]
2023-06-28
[2]
논문
Sobre la inscripción lusitano-latina de Visseu
[3]
웹사이트
História
https://web.archive.[...]
Câmara Municipal de Viseu
2015-09-24
[4]
서적
O Douro no Garb al-Ândalus: A região de Lamego durante a presença árabe
2018-08-02
[5]
웹사이트
Viseu, Portugal Climate Summary
http://www.weatherba[...]
Weatherbase
2015-03-21
[6]
웹사이트
Climate Normals for Viseu 1981-2010
http://www.ipma.pt/e[...]
IPMA
2015-03-21
[7]
웹사이트
Plano Municipal de Defesa da Floresta Contra Incêndios
https://www.cm-morta[...]
Mortágua Municipality
2021-09-27
[8]
웹사이트
Normal Climatológica – Viseu 1981-2010
https://www.ipma.pt/[...]
IPMA
2022-02-17
[9]
웹사이트
Climate Normals - Viseu 1971-2000
https://www.ipma.pt/[...]
Portuguese Institute of Meteorology
2020-08-29
[10]
웹사이트
Law nr. 11-A/2013, pages 552 141-142
http://dre.pt/pdf1sd[...]
2014-08-05
[11]
웹사이트
Cidades Geminadas
https://www.cm-viseu[...]
Seara.com
2023-03-01
[12]
EB1911
Barros, João de
[13]
webarchive
UMA POPULAÇÃO QUE SE URBANIZA, Uma avaliação recente - Cidades, 2004
http://62.48.187.117[...]
Instituto Geográfico Português
2007-06-20
[14]
웹인용
Climate Normals for Viseu 1981-2010
http://www.ipma.pt/e[...]
IPMA
2015-03-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