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행 정보 구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행 정보 구역(FIR)은 전 세계 항공 교통의 안전과 원활한 흐름을 위해 항공기에 항행 정보를 제공하고 수색 및 구조 활동을 수행하는 공역이다.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비가맹국의 영공과 공해 일부 상공을 제외하고 전 세계에 지정되어 있으며, FIR 명칭은 해당 공역의 항공 교통 관리 센터가 위치한 지명을 사용한다. 한국의 인천비행정보구역(RKRR)은 한반도 공역을 관할하며, 주변국인 북한, 일본, 중국, 중화민국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항공 안전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전 세계는 ICAO 코드를 기준으로 FIR로 나뉘며, 각 FIR은 해당 지역의 항공 교통 관제 센터에서 관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항공 교통 관제 - 영공
    영공은 국가 영토와 영해 상공에 주권이 미치는 공역으로, 국제 조약에서 주권이 명시되었으며, 수평적 경계는 영토 및 영해 경계와 일치하나 수직적 경계는 명확히 정의되지 않았고, 항공 교통 관리를 위해 관제구역과 비관제 공역으로 구분되며, 드론 기술 발전과 미사일 위협 등으로 새로운 관리 과제가 발생하고 있다.
  • 항공 교통 관제 - 노탐
    노탐은 항공 운항 관련 시설, 절차, 위험 요소 정보를 담은 공지로, 조종사에게 잠재적 위험 요소를 알리고 안전한 비행을 지원하며, 미국에서는 시스템 장애로 항공편 운행이 중단된 사례가 있고 일부 국가에서는 그래픽 노탐을 도입했다.
비행 정보 구역
개요
정의특정 목적을 위해 설정된 특정 크기의 공역
목적항공 교통 정보 제공
경보 서비스 제공
관할
주체일반적으로 국가
예외여러 국가가 협력하여 설정 (예: 유럽 항공 안전 기구)
서비스
제공 서비스항공 교통 서비스 (ATS)
항공 교통 정보 서비스 (AIS)
기상 서비스
수색 및 구조 서비스
추가 정보
용어비행 정보 구역(FIR)은 또한 상위 공역과 하위 공역으로 나뉨.
하위 구역상위 비행 정보 구역 (UIR)
항공 교통 관제 구역 (CTA)

2. 비행정보구역의 정의 및 역할

비행 정보 구역(FIR)은 국제민간항공기구(ICAO)가 항공 교통의 안전과 효율성을 위해 전 세계 공역을 나눈 구역이다. 각 FIR은 인접 국가 간 협의와 ICAO 이사회의 승인을 거쳐 설정된다. FIR 내에서 항공기에 대한 비행 정보 제공, 비행 정보 업무긴급 업무와 같은 항공 교통 업무를 기본적으로 실시하며, 항공기 사고 발생 시 수색 및 구조 지원 등의 책임을 진다.[1]

3. 대한민국 비행정보구역 (인천 FIR)

대한민국은 인천 비행정보구역(RKRR: Incheon Flight Information Region)을 통해 한반도와 주변 공역을 관할한다. 인천 FIR은 한국의 공역으로 지나가는 외국 민간 항공기의 안전 운항을 위한 정보 제공과 항공기 사고 발생 시 수색, 구조를 제공하는 책임 구역이며, 인접국 간 협의를 바탕으로 ICAO 이사회의 승인을 통해 설정된다.[7] 면적은 43만 km2이다.[7] 인천 FIR의 ICAO 코드 영문자 4자는 RKRR이며, 인천을 나타낸다.

3. 1. 한국의 주변국과의 관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FIR): 면적은 32만 km2이다. 대한민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항공 안전 협력 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정치적 긴장 관계로 인해 실질적인 협력은 제한적인 상황이다.[7]

일본 (후쿠오카 FIR): 면적은 930만 km2이다. 과거 독도 영유권 문제와 역사 문제로 갈등을 겪기도 했지만, 현재는 항공 안전 분야에서 상호 협력하고 있다.[7] 1974년 중일 국교 정상화를 반영하여, 일본항공중화인민공화국에 노선을 개설하면서, 중화민국 당국으로부터 타이베이 FIR 통과를 거부당했다. 이로 인해 타이완으로의 취항과 통과가 불가능해져, 동남아시아 노선이 우회를 강요받게 되었다. 그 후, 이 문제는 해제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 FIR 등): 면적은 960만 km2이다. 대한민국은 중국과의 항공 안전 협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특히 서해 상공의 항공 교통량 증가에 따른 안전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7]

중화민국 (타이베이 FIR): 면적은 41만 km2이다. 대한민국은 중화민국과 '하나의 중국' 원칙을 존중하는 선에서 비공식적인 항공 안전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7]

4. 세계의 비행정보구역

전 세계는 ICAO 코드를 기준으로 알파벳순으로 정렬된 비행 정보 구역(FIR)으로 나뉜다. 각 FIR은 해당 지역의 항공 교통 관제 센터(ACC)에서 관리하며, 일부 FIR은 대양(Oceanic) FIR로 지정되어 넓은 해양 상공을 관할한다.

ICAO 코드유형FIR 또는 ACC 이름대양 또는 기타 하위 유형국가 또는 영토
AGGGFIR호니아라 ACC
ANAUFIR나우루 ACC
AYPMFIR포트모르즈비 ACC
BGGLFIR누크 ACC()
BIRDFIR레이캬비크 ACC
CZEGFIR에드먼턴 ACC
CZQMFIR몽크턴 남부 ACC
CZQXFIR갠더 국내 ACC
CZULFIR몬트리올 ACC
CZVRFIR밴쿠버 ACC
CZWGFIR위니펙 ACC
CZYZFIR토론토 ACC
DAAAFIR알제 ACC
DGACFIR아크라 ACC
DIIIFIR아비장 ACC
DNKKFIR카노 ACC
DRRRFIR니아메 ACC
DTTCFIR튀니스 ACC
EZZZFIREUROCONTROLEUROCONTROL
EBBUFIR브뤼셀 ACC/
EDGGFIR랑겐 ACC
EDMMFIR뮌헨 ACC
EDUUUIR라인 UAC
EDVVUIR하노버 ACC
EDWWFIR브레멘 ACC
EDYYUIR마스트리흐트 UAC///
EETTFIR탈린 ACC
EFINFIR헬싱키 ACC
EGGXFIR섐윅 대양 OCA대양/
EGPXFIR스코틀랜드 ACC
EGQQFIR스코틀랜드 ACC (군)군사
EGTTFIR런던 ACC
EHAAFIR암스테르담 ACC
EISNFIR섀넌 ACC
EKDKFIR코펜하겐 ACC
ENOBFIR보도 대양 OCA대양
ENORFIR폴라리스 ACC
EPWWFIR바르샤바 ACC
ESAAFIR스웨덴 ACC
ESMMFIR말뫼 ACC
ESOSFIR스톡홀름 ACC
EVRRFIR리가 ACC
EYVLFIR빌뉴스 ACC
FABLFIR블룸폰테인 ACC
FACAFIR케이프타운 ACC
FACTFIR케이프타운 ACC
FADNFIR더반 ACC
FAJOFIR요하네스버그 대양 ACC대양
FAJXFIR요하네스버그 ACC
FAPXFIR포트엘리자베스 ACC
FBGRFIR가보로네 ACC
FCCCFIR브라자빌 ACC
FIMMFIR모리셔스 ACC
FKKKFIR두알라 ACC
FLFIFIR루사카 ACC
FMCXFIR코모로 ACC
FMMMFIR안타나나리보 ACC
FNANFIR루안다 ACC
FOOOFIR리브르빌 ACC
FQBEFIR베이라 ACC
FSSSFIR세이셸 ACC
FTTTFIR은자메나 ACC
FVHFFIR하라레 ACC
FWLLFIR릴롱궤 ACC
FYWFFIR빈트후크 ACC
FZZAFIR킨샤사 ACC
GCCCFIR카나리아 제도 ACC()
GLRBFIR로버츠 ACC
GMACFIR아가디르 ACC
GMMMFIR카사블랑카 ACC
GOOOFIR다카르 대양 ACC대양
GVSCFIR살 대양 ACC대양
HAAAFIR아디스아바바 ACC
HBBAFIR부줌부라 ACC
HCSMFIR모가디슈 ACC
HECCFIR카이로 ACC
HHAAFIR아스마라 ACC
HKNAFIR나이로비 ACC
HLLLFIR트리폴리 ACC
HRYRFIR키갈리 ACC
HSSSFIR하르툼 ACC
HTDCFIR다르에스살람 ACC
HUECFIR엔테베 ACC
KZABFIR앨버커키 ARTCC
KZAKFIR오클랜드 대양 ARTCC대양
KZAUFIR시카고 ARTCC
KZBWFIR보스턴 ARTCC
KZDCFIR워싱턴 ARTCC
KZDVFIR덴버 ARTCC
KZFWFIR포트워스 ARTCC
KZHUFIR휴스턴 ARTCC
KZIDFIR인디애나폴리스 ARTCC
KZJXFIR잭슨빌 ARTCC
KZKCFIR캔자스시티 ARTCC
KZLAFIR로스앤젤레스 ARTCC
KZLCFIR솔트레이크시티 ARTCC
KZMAFIR마이애미 ARTCC
KZMEFIR멤피스 ARTCC
KZMPFIR미니애폴리스 ARTCC
KZNYFIR뉴욕 ARTCC
KZOAFIR오클랜드 ARTCC
KZOBFIR클리블랜드 ARTCC
KZSEFIR시애틀 ARTCC
KZTLFIR애틀랜타 ARTCC
KZWYFIR뉴욕 대양 ARTCC대양
LAAAFIR티라나 ACC
LBSRFIR소피아 ACC
LCCCFIR니코시아 ACC
LDZOFIR자그레브 ACC
LECBFIR바르셀로나 ACC
LECMFIR마드리드 ACC
LECSFIR세비야 ACC
LFBBFIR보르도 ACC
LFEEFIR랭스 ACC
LFFFFIR파리 ACC
LFMMFIR마르세유 ACC
LFRRFIR브레스트 ACC
LGGGFIR아테네 ACC
LHDCFIR데브레첸 ACC
LIBBFIR브린디시 ACC
LIMMFIR밀라노 ACC
LIRRFIR로마 ACC
LJLAFIR류블랴나 ACC
LKAAFIR프라하 ACC
LLLLFIR텔아비브 ACC
LMMMFIR몰타 ACC
LOVVFIR빈 ACC
LPPCFIR리스본 ACC
LPPOFIR산타마리아 대양 ACC대양()
LQSBFIR사라예보 ACC
LRBBFIR부쿠레슈티 ACC
LSAGFIR제네바 ACC
LSASFIR스위스 ACC
LSAZFIR취리히 ACC
LTAAFIR앙카라 ACC
LTBBFIR이스탄불 ACC
LUUUFIR키시네프 ACC
LWSSFIR스코페 ACC
LYBAFIR베오그라드 ACC
LZBBFIR브라티슬라바 ACC
MDCSFIR산토도밍고 ACC
MHTGFIR중앙 아메리카 ACC
MKJKFIR킹스턴 ACC
MMFOFIR마자틀란 대양 ACC대양
MMFRFIR멕시코 ACC
MPZLFIR파나마 ACC
MTEGFIR포르토프랭스 ACC
MUFHFIR아바나 ACC
MYNAFIR나소 ACC
NFFFFIR난디 ACC
NTTTFIR타히티 ACC()
NWWXFIR누메아 ACC()
NZZCFIR뉴질랜드 ACC
NZZOFIR오클랜드 대양 ACC대양
OAKXFIR카불 ACC
OBBBFIR바레인 ACC
OEJDFIR제다 ACC
OIIXFIR테헤란 ACC
OJACFIR암만 ACC
OKKKFIR쿠웨이트 ACC
OLBBFIR베이루트 ACC
OMAEFIR에미레이트 ACC
OOMMFIR무스카트 ACC
OPKRFIR카라치 ACC
OPLRFIR라호르 ACC
ORBBFIR바그다드 ACC
ORMMFIRORMM FIR
OSTTFIR다마스쿠스 ACC
OTDFFIR도하 ACC
OYSCFIR사나 ACC
PAZAFIR앵커리지 ARTCC
PAZNFIR앵커리지 대양 ACC대양
PHZHFIR호놀룰루 ACC
RCAAFIR타이베이 ACC
RPHIFIR마닐라 ACC
SACFFIR코르도바 ACC
SACUUIR코르도바 UIR
SAEFFIR에세이자 ACC
SAEUUIR에세이자 UIR
SAMFFIR멘도사 ACC
SAMVUIR멘도사 UIR
SARRFIR레시스텐시아 ACC
SAVFFIR코모도로 리바다비아 ACC
SAVUUIR코모도로 리바다비아 UIR
SBAOFIR아틀란티코 ACC
SBAZFIR아마조니카 ACC
SBBSFIR브라질리아 ACC
SBCWFIR쿠리치바 ACC
SBREFIR헤시피 ACC
SCCZFIR푼타 아레나스 ACC
SCEZFIR산티아고 ACC
SCFZFIR안토파가스타 ACC
SCIZFIR이스터섬 ACC()
SCTZFIR푸에르토몬트 ACC
SEFGFIR과야킬 ACC
SGFAFIR아순시온 ACC
SKECFIR바랑키야 ACC
SKEDFIR보고타 ACC
SLLFFIR라파스 ACC
SMPMFIR파라마리보 ACC
SOOOFIR로샹보 ACC()
SPIMFIR리마 ACC
SUEOFIR몬테비데오 ACC
SVZMFIR마이케티아 ACC
SYGCFIR조지타운 ACC
TJZSFIR산후안 ACC()
TNCFFIR퀴라소 ACC()
TTZPFIR피아르코 ACC
UAAXFIR알마티 ACC
UACXFIR아스타나 ACC
UAFXFIR비슈케크 ACC
UASSFIR세미팔라틴스크 ACC
UDDDFIR예레반 ACC
UEMHFIR푭리 클류치 ACC
UENNFIR냐르바 ACC
UESSFIR체르스키 ACC
UESUFIR지릐얀카 ACC
UEVVFIR기간스크 ACC
UGEEFIR예레반/즈바르트노츠 ACC
UGGGFIR트빌리시 ACC
UHBIFIR마가다치 ACC
UHHHFIR하바롭스크/노비
UHMIFIR미스 슈미타 ACC
UHMMFIR마가단 대양대양
UHMPFIR페벡 ACC
UHNNFIR니콜라예프스크나아무레 ACC
UHPTFIR틸리치키 ACC
UHPUFIR우스트카이료조보 ACC
UHSHFIR오하 ACC
UIKBFIR보다이보 ACC
UIKKFIR키렌스크 ACC
UKBVUIR키예프 ACC
UKDVUIR드니프로 ACC
UKFVUIR심페로폴 ACC
UKLVUIR르비우 ACC
UKOVUIR오데사 ACC
ULLLFIR상트페테르부르크 ACC
ULOLFIR벨리키예 루키 ACC
UMKDFIR카잔 ACC
UMMVFIR민스크 ACC
UNLLFIR콜파셰보 ACC
UOTTFIR투루한스크 ACC
URRVFIR로스토프나도누 ACC
USDKFIR미스 카멘니 ACC
USHBFIR베료조보 ACC
USHHFIR한티만시스크 ACC
UTAAFIR아슈하바트 ACC
UTAKFIR투르크멘바시 ACC
UTAVFIR투르크메나바트 ACC
UTNRFIR누쿠스 ACC
UTSDFIR사마르칸트 ACC
UTTRFIR타슈켄트 ACC
UUWVFIR모스크바 ACC
UUYWFIR보르쿠타 ACC
UUYYFIR시크티프카르 ACC
UWOOFIR오렌부르크/첸트랄니 ACC
VABFFIR뭄바이 ACC
VCCFFIR콜롬보 ACC
VDPFFIR프놈펜 ACC
VECFFIR콜카타 ACC
VGFRFIR다카 ACC
VHHKFIR홍콩 ACC
VIDFFIR델리 ACC
VLIVFIR비엔티안 ACC
VLVTFIR비엔티안 ACC
VNSMFIR카트만두 ACC
VOMFFIR첸나이 ACC
VRMFFIR몰디브 ACC
VTBBFIR방콕 ACC
VVHMFIR호치민 ACC
VVHNFIR하노이 ACC
VYMDFIR미얀마 ACC[7]
VYYFFIR양곤 ACC
WAAFFIR우중 판당


4. 1. 주요 국가 및 지역별 FIR

유럽 연합의 '''유럽비행정보구역'''(EFIR: Europe Flight Information Region)은 유럽의 공역을 지나는 외국 민간 항공기의 안전 운항을 위한 정보 제공과 항공기 사고 발생 시 수색, 구조 제공에 대한 책임 구역이다. 인접국간 협의를 바탕으로 ICAO 이사회의 승인을 통해 설정된다.

국가 및 지역면적
대한민국(인천 FIR)430000km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평양 FIR)320000km2
중화인민공화국(상해 FIR, 심양 FIR 등)9600000km2
홍콩 FIR370000km2
일본(후쿠오카 FIR)9300000km2
중화민국(타이베이 FIR)410000km2



300px


일본에서는 후쿠오카 FIR(호출 부호: RJJJ)가 담당하고 있다.

이전에는 미국에 의한 오키나와 통치의 영향으로, 오키나와현가고시마현의 아마미 제도를 포함)은 나하 FIR(호출 부호: RORG), 오키나와현 이외는 도쿄 FIR(호출 부호: RJTG)였지만, 2006년에 통합되어 후쿠오카 FIR가 되었다. 지금도 ICAO 공항 코드에서 구 도쿄 FIR 내의 공항이 "RJ"로 시작하는 데 반해, 구 나하 FIR 내의 공항은 "RO"로 시작하거나, VOLMET 방송에서 구 도쿄 FIR 부분을 도쿄 VOLMET가, 구 나하 FIR 부분을 홍콩 VOLMET가 담당하는 등, 별개의 FIR였던 영향이 남아 있다.

FIR는 국토의 면적이나 경제력에 관계없이, 오히려 지리적인 조건으로 결정된다. 예를 들어, 이시가키섬이리오모테섬 사이, 코하마섬 동단 부근을 통과하는 동경 124도선 이서는 타이베이 FIR(RCAA)에 들어가 있다.

1974년 중일 국교 정상화를 반영하여, 일본항공중화인민공화국에 노선을 개설하면서, 중화민국 당국으로부터 타이베이 FIR의 통과를 거부당해, 타이완으로의 취항과 통과가 불가능해져, 동남아시아로의 노선이 우회를 강요받게 되었다. 그 후, 해제되었다.

5. 과거의 사례

(이전 출력에서 주어진 원본 소스가 없어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는 결론은 여전히 유효합니다. 따라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5. 1. 일본 - 중화민국 관계 악화에 따른 우회 사례

1974년 중일 국교 정상화로 일본항공중화인민공화국 노선을 개설하자, 중화민국 당국은 이에 반발하여 타이베이 FIR 통과를 거부했다.[7] 이로 인해 일본항공은 타이완 취항 및 통과가 불가능해졌고, 동남아시아 노선은 우회를 강요받게 되었다.[7] 이후 이러한 조치는 해제되었다.[7]

참조

[1] 서적 A Dictionary of Aviation Osprey
[2] 뉴스 Record Strait Traffic Due Today http://nla.gov.au/nl[...]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1947-12-24
[3] 뉴스 Ensuring safety of air routes. http://nla.gov.au/nl[...]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1953-02-04
[4] 간행물 Gaborone flight information region requirements for meteorological service http://trove.nla.gov[...] Director, Meteorological Services 1990
[5] 뉴스 Ex-military spy drone to conduct NASA climate tests in Australian airspace http://www.abc.net.a[...] Australian Broadcasting Company 2014-01-24
[6] 논문 South Pacific Forum pushes for unified flight information region Reed Business Information Ltd 1999-03-10
[7] 웹사이트 航空:情報区(FIR)及び管制部管轄空域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