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 피쉬 (뮤지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빅 피쉬는 다니엘 월러스의 소설과 팀 버튼의 영화를 원작으로 제작된 뮤지컬이다. 허풍이 심한 이야기꾼 에드워드 블룸이 아들 윌에게 들려주는 이야기와 윌이 아버지와의 관계를 회복하려는 과정을 그린다. 2013년 시카고에서 초연되었으며, 브로드웨이에서 공연되었고, 한국에서는 2019년에 초연되었다. 앤드루 리파가 작사 및 작곡을, 존 어거스트가 극본을 맡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화의 뮤지컬화 작품 - 브로드웨이 42번가
《브로드웨이 42번가》는 1933년 영화를 바탕으로 제작된 뮤지컬로, 브로드웨이 제작 과정을 중심으로 한 줄거리를 담고 있으며, 1981년 토니상 최우수 뮤지컬 작품상을 수상하고 한국에서도 여러 차례 공연되었다. - 영화의 뮤지컬화 작품 - 드라큘라 (뮤지컬)
브람 스토커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 뮤지컬 《드라큘라》는 2001년 초연 개발 공연 이후 여러 수정을 거쳐 2004년 브로드웨이에서 초연되었으나 상업적 성공을 거두지 못했고, 2005년 스위스에서 대대적인 수정을 거쳐 국제 무대에 데뷔하며 호평을 받은 후 2014년 한국 초연을 시작으로 꾸준히 재연되고 있다. - 2013년 뮤지컬 - 그날들
뮤지컬 《그날들》은 김광석의 노래로 만들어졌으며 청와대 경호실을 배경으로 20년간 사라진 '그녀'와 '무영'의 미스터리를 쫓는 경호원 '정학'의 이야기를 그리고, 여러 뮤지컬 시상식에서 수상했다. - 2013년 뮤지컬 - 고스트 (뮤지컬)
뮤지컬 고스트는 1990년 영화 《사랑과 영혼》을 원작으로, 유령이 된 샘 위트가 연인 몰리 젠슨을 보호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브루클린 배경의 이야기이며, 한국에서는 주원, 아이비 등 다양한 배우들이 출연하여 더뮤지컬어워즈 여우조연상 등을 수상했다. - 소설을 바탕으로 한 뮤지컬 - 맨 오브 라만차
《맨 오브 라만차》는 세르반테스와 《돈키호테》를 배경으로, 데일 바서먼의 텔레플레이를 기반으로 1965년 브로드웨이 초연 이후 토니상 수상과 장기적인 성공을 거둔 뮤지컬이며, 지하 감옥을 배경으로 세르반테스가 돈키호테 이야기를 연극 형식으로 펼치는 독특한 구성과 "불가능한 꿈" 등의 넘버로 유명하고, 세계 각지에서 공연 및 영화로도 제작되었다. - 소설을 바탕으로 한 뮤지컬 - 팬텀 (뮤지컬)
아서 코핏 극본, 모리 예스톤 작곡/작사의 뮤지컬 《팬텀》은 가스통 르루의 소설 《오페라의 유령》을 원작으로, 앤드루 로이드 웨버의 동명 뮤지컬과는 다른 독자적인 해석과 서사를 가지며, 팬텀의 과거와 제라르 카리에르와의 관계를 깊이 있게 다룬다는 평가를 받는다.
빅 피쉬 (뮤지컬) | |
---|---|
기본 정보 | |
![]() | |
음악 | 앤드루 리파 |
가사 | 앤드루 리파 |
극본 | 존 어거스트 |
원작 | 빅 피쉬 (존 어거스트 각본) 빅 피쉬: 신화적 비례의 소설 (다니엘 월리스) |
제작 | |
초연 | 2013년 시카고 트라이아웃 |
브로드웨이 초연 | 2013년 브로드웨이 |
웨스트엔드 초연 | 2017년 웨스트엔드 |
2. 원작
(내용 없음)
2. 1. 영화 《빅 피쉬》 (2003)
제공된 원본 소스는 뮤지컬 '빅 피쉬'의 여러 지역 프로덕션 캐스팅 정보가 담긴 표입니다. 요청하신 '영화 《빅 피쉬》 (2003)' 섹션은 영화에 대한 내용을 다루어야 하지만, 주어진 소스에는 해당 영화에 대한 정보가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원본 소스만을 기반으로 해당 섹션의 내용을 작성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3. 줄거리
이야기꾼 아버지 '에드워드 블룸'은 마녀, 인어, 거인 등이 등장하는 환상적이고 과장된 이야기로 주변 사람들을 즐겁게 한다. 하지만 사실과 진실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기자 아들 '윌'은 그런 아버지의 허풍 섞인 이야기를 도무지 믿지 못하고, 아버지와의 관계에 어려움을 겪는다.
부자 사이의 갈등이 깊어지던 중, 윌은 아버지 에드워드의 병세가 위독하다는 소식을 듣게 된다. 아버지가 세상을 떠나기 전, 그의 삶에 담긴 진실을 알고자 한 윌은 그동안 흘려들었던 아버지의 이야기에 다시 귀를 기울이기 시작한다. 에드워드의 이야기 속에는 젊은 시절의 놀라운 모험, 아내 '샌드라'와의 운명적인 만남과 사랑 등 마법과 같은 순간들이 펼쳐진다. 윌은 아버지의 발자취를 따라가며 그의 삶 이면에 숨겨진 진실과 마주하게 된다.[34]
3. 1. 1막
앨라배마에서 에드워드 블룸은 아들 윌에게 그의 결혼과 어린 시절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윌이 어렸을 때, 에드워드는 강가에서 물고기를 잡지 못하는 남자를 만나 올바른 방법을 가르쳐 주었다고 이야기한다("영웅이 되세요"). 이야기가 끝나고 윌의 어머니 샌드라가 윌을 재우려 하지만, 에드워드는 몰래 윌에게 자신이 십 대 시절 만났던 마녀에 대한 이야기를 이어서 들려준다("마녀").시간은 현재로 돌아와, 윌의 결혼식 날 에드워드는 윌의 약혼녀 조세핀이 임신했다고 의심하고 이를 하객들 앞에서 폭로한다. 이 일로 윌은 크게 화를 내고 아버지와 다투게 된다. 결혼 피로연 후, 에드워드의 건강이 좋지 않음을 눈치챈 의사의 권유로 검사를 받게 되고, 에드워드와 샌드라는 그가 앓고 있던 암이 예상보다 심각하게 진행되었음을 알게 된다. 한편, 윌과 조세핀은 곧 태어날 아이가 아들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고("다시 봐"), 윌은 자신을 "낯선 사람"처럼 느끼는 아버지와의 관계를 개선하겠다고 다짐한다.
샌드라는 윌에게 아버지 에드워드와의 관계가 쉽지 않겠지만, 두 사람 모두를 사랑한다고 말하며 위로한다("내 인생의 두 남자"). 에드워드는 샌드라에게 자신이 젊은 시절 고향 애쉬튼의 영웅이었고, 치어리더 제니 힐과 사귀었던 이야기를 들려준다("애쉬튼이 가장 좋아하는 아들").
과거 애쉬튼 마을 사람들은 근처 동굴에 사는 거인을 두려워했지만, 에드워드는 용감하게 거인을 찾아간다. 그는 칼이라는 이름의 거인과 친구가 되어 함께 애쉬튼을 떠나 여행길에 오른다("길 위에서").
다시 현재, 조세핀은 에드워드가 서명한 애쉬튼의 집 문서를 발견하고 이것이 에드워드의 이야기가 사실임을 증명한다고 생각하지만, 윌은 여전히 아버지의 이야기를 믿지 못한다. 조세핀의 관심은 자연스럽게 에드워드와 샌드라가 어떻게 만났는지에 대한 이야기로 이어진다. 윌은 부모님이 대학에서 만났다고 알고 있었지만, 조세핀은 에드워드에게 다른 이야기를 들었다고 설명한다. 윌이 어떤 이야기를 들었는지 묻자, 에드워드의 또 다른 과거 이야기가 펼쳐진다.
에드워드는 칼과 함께 서커스단에 도착하고, 그곳에서 세 명의 소녀가 공연하는 것을 본다("앨라배마의 작은 양"). 에드워드는 그중 한 명인 샌드라를 보고 첫눈에 반한다("시간이 멈춘다"). 그는 서커스 단장 아모스에게 칼을 고용하도록 설득하고, 자신은 매달 샌드라에 대한 정보를 하나씩 얻는 대가로 3년 동안 무보수로 서커스에서 일하기로 한다("그녀에게 더 가까이"). 3년 후, 에드워드는 단장 아모스가 사실 늑대인간이라는 비밀을 알게 된다. 아모스의 비밀을 지켜주는 대가로 에드워드는 마침내 샌드라의 이름이 샌드라 템플턴이며, 오번 대학교에 다니고, 수선화를 좋아한다는 사실을 알아낸다.
에드워드는 샌드라를 찾아가지만, 그녀는 이미 에드워드의 고등학교 시절 경쟁자였던 돈 프라이스와 약혼한 상태였다. 돈은 에드워드를 보자마자 때려눕히지만, 에드워드는 포기하지 않고 샌드라에게 수선화로 가득한 삶을 약속하며 청혼한다("수선화").
3. 2. 2막
극은 에드워드가 젊은 윌과 다른 소년들을 이끌고 보이 스카우트 활동을 하며 모닥불 앞에서 자신이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을 때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장면으로 이어진다 (''진실, 진실, 그리고 진실''). 이후 에드워드는 샌드라와 윌에게 여행 판매원 일 때문에 잠시 집을 떠나야 한다고 말한다. 윌은 서운해하지만, 에드워드는 아들에게 용감하게 ''용과 싸워야 한다''고 격려한다.시간은 현재로 돌아와, 윌은 아내 조세핀과 함께 앞서 발견했던 애쉬튼의 집 문서에 대해 아버지 에드워드와 대면할 준비를 한다 (''낯선 사람 (리프라이즈)''). 병상에 누워 있는 에드워드에게 윌이 문서에 대해 묻자, 에드워드는 격분하며 윌에게 나가라고 소리친다. 힘겹게 잠이 든 에드워드는 꿈속에서 윌과 서부극 스타일의 결투를 벌이고 재판까지 받는 장면을 본다 (''대결''). 비명을 지르며 깨어난 에드워드를 샌드라가 위로하는 동안 비가 내리기 시작한다. 에드워드는 집 지붕이 자신이 죽은 후에도 10년은 버틸 것이라고 말하지만, 샌드라는 그에게 "지붕은 필요 없어"라며 그의 곁을 지킨다.
아버지 이야기의 진실을 밝히고자 윌은 애쉬튼으로 가서 제니 힐을 직접 만난다. 제니는 윌에게 그가 아직 어렸을 때 에드워드가 애쉬튼으로 돌아와 겪었던 일을 이야기해준다. 당시 에드워드는 마을이 곧 물에 잠길 것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지만, 시장을 비롯한 마을 사람들은 떠나기를 거부했다. 에드워드는 그들을 설득하여 새로운 마을을 짓도록 돕는다 (''다시 시작''). 하지만 이 과정에서 그는 제니에게 또다시 상처를 남기고 애쉬튼을 떠난 후 다시는 돌아오지 않았다 (''다시 시작 (리프라이즈)''). 제니의 이야기가 끝날 무렵, 윌은 아버지가 위독하다는 전화를 받고 급히 병원으로 향한다.
병원에 도착한 윌은 아버지가 임종을 앞두고 있음을 알게 된다. 에드워드는 윌에게 자신이 어떻게 죽는지에 대한 마지막 이야기를 만들어 달라고 부탁한다. 윌은 아버지를 위해 상상력을 발휘하여, 에드워드가 병원이라는 "감옥"을 탈출해 강가로 향하는 이야기를 지어낸다 (''다음은 무엇인가''). 강가에는 그의 인생에 등장했던 모든 인물들이 모여 에드워드를 맞이하고, 마지막으로 샌드라가 나타나 그와 작별 인사를 나눈다. 상상 속 인물들이 하나둘 사라지고 병상에는 윌과 에드워드만이 남아, 에드워드는 평화롭게 눈을 감는다 (''어떻게 끝나는가'').
몇 년 후, 윌은 자신의 아들을 데리고 강가로 간다. 그는 아들에게 할아버지 에드워드가 자신에게 그랬던 것처럼, 놀랍고 환상적인 이야기를 들려주기 시작한다 (''영웅이 되세요 (리프라이즈)'').
4. 등장인물
- '''에드워드 블룸''': 윌의 아버지이자 샌드라의 남편. 젊은 시절부터 자신이 겪었다고 주장하는 과장되고 환상적인 이야기들을 아들 윌에게 들려주는 것을 좋아한다. 앨라배마 애쉬튼의 영웅으로 불렸으며, 여행 세일즈맨으로 일하며 다양한 모험담을 만들어낸다. 이야기 속에서는 마녀를 만나 미래를 엿보거나, 거인 칼과 친구가 되고, 늑대인간인 서커스 단장 아모스를 만나는 등 비범한 일들을 겪는다. 특히 아내 샌드라에게 첫눈에 반해 수선화를 선물하며 청혼한 로맨틱한 면모도 가지고 있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병마와 싸우며 아들 윌과 진실에 대한 문제로 갈등을 겪기도 한다.
- '''윌 블룸''': 에드워드와 샌드라의 아들이자 조세핀의 남편. 현실적이고 이성적인 성격의 기자로, 아버지 에드워드의 허풍 섞인 이야기보다는 진실을 알고 싶어 한다. 아버지의 과장된 삶에 대해 의구심을 품고 거리를 두지만, 아버지의 병세가 악화되면서 점차 그의 삶과 이야기를 이해하려 노력한다. 결국 아버지의 마지막 순간에는 그의 방식대로 마지막 이야기를 완성시켜 들려준다.
- '''샌드라 블룸''': 에드워드의 아내이자 윌의 어머니. 에드워드가 첫눈에 반한 여성으로, 오번 대학교 출신이다. 남편 에드워드의 환상적인 이야기를 때로는 의심하면서도 그의 낭만적인 면모를 사랑하고 지지한다. 남편과 아들 사이의 갈등을 중재하며 가족을 따뜻하게 보듬는 이해심 많은 인물이다.
- '''조세핀''': 윌의 아내. 현실적인 남편 윌과 달리 에드워드의 이야기를 흥미롭게 받아들이며 긍정적인 태도를 보인다. 윌과 에드워드 사이의 관계 개선에 도움을 주려 노력한다.
- '''칼''': 에드워드가 젊은 시절 애쉬튼 근처 동굴에서 만난 거인. 마을 사람들에게 공포의 대상이었으나, 에드워드의 설득으로 함께 마을을 떠나 서커스단에 합류한다.
- '''아모스 캘러웨이''': 칼과 에드워드가 찾아간 서커스의 단장. 밤에는 늑대인간으로 변하는 비밀을 가지고 있다. 에드워드가 그의 비밀을 알게 된 후, 샌드라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는 대가로 에드워드를 서커스단에서 일하게 한다.
- '''제니 힐''': 에드워드의 고향인 애쉬튼의 치어리더 리더이자 그의 어린 시절 첫사랑. 에드워드가 마을을 떠난 후에도 오랫동안 그를 기다렸다. 훗날 윌에게 에드워드의 과거에 대한 진실의 일부를 알려준다.
- '''마녀''': 에드워드가 십 대 시절 만났다고 하는 인물. 에드워드에게 그의 미래와 죽음에 대한 예언을 해준다.
4. 1. 한국 공연 캐스트 (2019)
5. 창작진
- 원작: 다니엘 월러스 소설 빅 피쉬
- 극본: 존 어거스트
- 작사/작곡: 앤드류 리파
- 연출: 스캇 슈왈츠
- 협력연출: 김정한
- 편곡/음악감독: 김성수
- 안무가: 홍유선
- 조명: 이우형
- 무대: 오필영
- 영상: 조수현
- 의상: 김지연
6. 뮤지컬 넘버
'''잘린 곡'''
두 개의 보너스 트랙이 캐스트 녹음에 추가되었다. 이 곡들은 처음에 쇼에 포함되었지만, 나중에 여러 가지 이유로 잘렸다.[19]
- "우리 사이의 이 강" This River Between Us영어 – 에드워드 블룸과 윌 블룸 ("대결 시퀀스"에서)
- "그 남자 안의 마법" The Magic in the Man영어 – 샌드라 블룸 ("내 인생의 두 남자" 대신)
6. 1. 1막
- "이야기의 주인공" (Be the Hero)
- "인생은 끝을 향한 여행" (I Know What You Want)
- "인생은 끝을 향한 여행 리프라이즈" (I Know What You Want Reprise)
- "이 낯선 느낌" (Stranger)
- "애쉬턴의 영원한 아들" (Ashton's Favorite Son)
- "길을 따라 사는 인생" (Out There On The Road)
- "알라바마의 작은 양들" (Little Lamb From Alabama)
- "멈춘 순간" (Time Stops)
- "그녀에게 더 가까이" (Closer To Her)
- "수선화" (Daffodils)[1][18]
6. 2. 2막
- 영웅의 길 (Red, White and True) – 샌드라 블룸, 에드워드 블룸과 컴퍼니[1][18]
- 용과 싸워라 (Fight the Dragons) – 에드워드 블룸과 어린 윌 블룸[18]
- 낯선 사람 (Stranger) (리프라이즈) – 윌 블룸[18]
- 우리 사이의 강 (This River Between Us)[1][18]
- 우리 쉼터 (I Don't Need A Roof) – 샌드라 블룸[1][18]
- 새 시작 (Start Over) – 에드워드 블룸, 돈 프라이스, 아모스 캘러웨이, 칼, 재키 프라이스와 컴퍼니[1][18]
- 새 시작 리프라이즈 (Start Over Reprise) – 에드워드 블룸[1][18]
- 다음은 뭘까? (What's Next) – 윌 블룸, 에드워드 블룸과 컴퍼니[1][18]
- 이것이 끝 (How It Ends) – 에드워드 블룸[1][18]
- 행진곡 (The Procession)[1][18]
- 이야기의 주인공 – 리프라이즈 (Be The Hero Reprise) – 윌 블룸[1][18]
7. 공연 역사
뮤지컬 '''빅 피쉬'''는 2013년 4월 시카고 오리엔탈 극장에서 첫 시연회를 가진 후,[2] 같은 해 9월 브로드웨이 닐 시몬 극장에서 프리뷰 공연을 시작하여 10월 6일 정식 개막했다.[4] 브로드웨이 공연은 2013년 12월 29일까지 약 3개월간 이어졌다.[5]
이후 '''빅 피쉬'''는 미국 내 여러 지역 공연을 거쳤으며,[6][7] 독일(2016),[10] 스코틀랜드(2017),[11] 호주(2017),[12] 영국(2017),[13] 스웨덴(2019), 노르웨이(2022), 벨기에(2022)[15] 등 세계 여러 나라에서 공연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2019년 12월 4일부터 2020년 2월 9일까지 예술의전당 CJ 토월극장에서 초연 무대를 가졌다.[14] 일본에서는 2024년 여성 극단인 다카라즈카 가극단이 제작하여 공연하기도 했다.[16]
7. 1. 해외 공연
'''빅 피쉬'''는 2013년 4월 2일부터 5월 5일까지 시카고의 오리엔탈 극장에서 수잔 스트로먼의 연출 및 안무로 첫 시연회를 가졌다.[2] 이 공연에는 노버트 레오 부츠(에드워드 블룸 역), 케이트 볼드윈(산드라 블룸 역), 바비 스테게르트(윌 블룸 역) 등이 주요 배우로 참여했다.[5] 댄 징크스와 브루스 코헨이 스테이지 엔터테인먼트와 공동으로 제작하였다.[3]같은 해 브로드웨이에서는 2013년 9월 5일 닐 시몬 극장에서 프리뷰 공연을 시작하여 10월 6일에 정식 개막했다.[4] 총 34회의 프리뷰와 98회의 정규 공연을 마친 후, 2013년 12월 29일에 막을 내렸다.[5]
미국 내 첫 지역 공연은 2014년 7월 29일부터 8월 10일까지 일리노이주 시세로의 제들리카 공연 예술 센터에서 열렸다. 이어서 캘리포니아주 롱비치의 카펜터 공연 예술 센터에서 뮤지컬 극장 웨스트 주최로 2014년 10월 31일부터 11월 16일까지 두 번째 지역 공연이 진행되었다.[6][7] 롱비치 공연은 오리지널 브로드웨이 프로덕션의 세트, 의상 등을 일부 활용했으며, 래리 카펜터가 연출을 맡았다.[7]
독일에서는 2016년 11월 10일 뮌헨의 프린츠레겐텐테아터에서 초연되었다. 안드레아스 게르겐이 연출하고 "아우구스트 에버딩" 극장 아카데미 학생들이 주로 출연했다.[10]
스코틀랜드 초연은 2017년 1월 글래스고에서 에필로그 극장 주관으로 열렸다.[11]
호주에서는 2017년 4월 2일 시드니의 헤이즈 극장에서 12인 버전으로 초연되었다. 타이란 파크가 연출을 맡았다.[12]
영국 초연은 2017년 11월 런던의 더 오더 팰리스에서 열렸다. 이 공연에는 켈시 그래머가 출연했으며, 나이젤 하먼이 연출했다.[13]
스웨덴에서는 2019년 3월 13일 웁살라 테아터에서 초연되었다.
노르웨이 초연은 2022년 10월 산비카 테아터에서 열렸다.
벨기에 초연은 2022년 9월 브뤼헤에서 웨스트 엔드 버전으로 공연되었다.[15]
일본에서는 여성 극단인 다카라즈카 가극단이 제작하여 2024년 5월 30일부터 6월 16일까지 도큐 극장 오르브에서 공연될 예정이다. 이나바 다이치가 연출하며, 스타 조의 레이 마코토가 에드워드 역을 맡는다.[16] 작곡가 앤드루 리파는 6월 7일 이 공연을 관람하기도 했다.[17]
7. 2. 한국 공연 (2019)
2019년 12월 4일부터 2020년 2월 9일까지 예술의전당 CJ토월극장에서 한국 초연이 열렸다. 스콧 슈워츠와 김정한이 연출하고, 김성수가 편곡 감독을, 홍유선이 안무를 맡았다.[14]한국 초연에 맞춰 극본을 맡은 존 어거스트가 한국을 방문했다. 그는 한국 공연을 관람한 뒤 "한국 프로덕션은 한번도 보지 못한 요소들이 결합돼 있었다"며 놀라움을 표했다.[35]
8. 평가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뮤지컬 '빅 피쉬'의 줄거리만 상세히 기술되어 있을 뿐, 작품에 대한 평가(비평, 관객 반응, 수상 내역 등) 정보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해당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Big Fish Broadway @ Neil Simon Theatre
https://www.playbill[...]
2020-09-08
[2]
간행물
Big Fish, With Norbert Leo Butz and Kate Baldwin, Ends Chicago Run May 5; Broadway Is Next
https://www.playbill[...]
Playbill
2013-05-05
[3]
웹사이트
'Big Fish' Musical to Open in Chicago
https://artsbeat.blo[...]
2012-09-06
[4]
간행물
Andrew Lippa and John August's Big Fish Swims Onto Broadway Beginning Sept. 5
https://www.playbill[...]
Playbill
2013-09-05
[5]
간행물
"'Big Fish', Starring Norbert Leo Butz, Ends Broadway Run Dec. 29"
https://www.playbill[...]
Playbill
2013-12-29
[6]
웹사이트
Big Fish
http://www.musical.o[...]
[7]
웹사이트
ON WITH THE SHOW: Musical Theatre West Captures "Big Fish" Magic
https://www.gazettes[...]
2014-11-06
[8]
웹사이트
Big Fish - Small Cast Edition
https://www.theatric[...]
2020-09-08
[9]
웹사이트
Stage review: 'Big Fish' magic with emotional bait
https://www.post-gaz[...]
2017-08-20
[10]
웹사이트
Big Fish
https://www.theatera[...]
2020-09-08
[11]
웹사이트
Review: Big Fish by Epilogue Theatre
https://glasgowguard[...]
2019-02-22
[12]
웹사이트
Big Fish: The Musical {{!}} Australian Premiere
https://www.bigfisha[...]
2017-04-23
[13]
웹사이트
First look at Kelsey Grammer in Big Fish at The Other Palace
https://www.whatsons[...]
2017-11-07
[14]
웹사이트
빅피쉬
https://www.themusic[...]
YES24 Corp.
2024-05-25
[15]
웹사이트
Big Fish - KotéKoer, musical in Brugge
https://kote-koer.be[...]
[16]
웹사이트
BIG FISH(ビッグ・フィッシュ)
https://kageki.hanky[...]
Hankyu Corporation
2024-05-25
[17]
웹사이트
星組 東急シアターオーブ公演『BIG FISH』をアンドリュー・リッパ氏が観劇
https://kageki.hanky[...]
Hankyu Corporation
2024-06-09
[18]
웹사이트
Big Fish - Songs
https://www.ibdb.com[...]
2015-12-10
[19]
웹사이트
AUDIO EXCLUSIVE: Norbert Leo Butz Sings 'Fight The Dragons' from Big Fish Broadway Cast Album
http://www.playbill.[...]
2014-02-03
[20]
웹사이트
빅피쉬
https://www.themusic[...]
[21]
웹사이트
BIG FISH(ビッグ・フィッシュ)
https://kageki.hanky[...]
Hankyu Corporation
2024-05-31
[22]
문서
Big Fish
http://www.theatrica[...]
[23]
간행물
Legit Review: 'Big Fish'
https://variety.com/[...]
Variety
2013-04-22
[24]
간행물
Swimming in father's stories in 'Big Fish'
https://www.chicagot[...]
Chicago Tribune
2013-04-23
[25]
간행물
Hooked by storytelling in 'Big Fish' the musical
https://www.chicagot[...]
Chicago Tribune
2013-10-07
[26]
간행물
Big Fish theater review
http://www.nydailyne[...]
Daily News
2013-10-06
[27]
간행물
A Dad's Tall Tales and a Down-to-Earth Son
http://theater.nytim[...]
The New York Times
2013-10-06
[28]
간행물
"'Big Fish' won't quite reel you in"
https://www.usatoday[...]
USA Today
2013-10-06
[29]
간행물
"'Big Fish': EW review"
https://web.archive.[...]
Entertainment Weekly
2013-10-06
[30]
간행물
Review - BIG FISH Makes Wholesome The New Hip
http://www.broadwayw[...]
BroadwayWorld.com
2013-10-06
[31]
간행물
"'Big Fish' Is a Gorgeous, Charming, Dream Musical: Review"
https://www.bloomber[...]
Bloomberg
2013-10-06
[32]
간행물
Broadway Review: 'Big Fish'
https://variety.com/[...]
Variety
2013-10-06
[33]
뉴스
네이버뉴스(KBS미디어)
https://entertain.na[...]
2019-12-25
[34]
웹인용
플레이디비
http://www.playdb.co[...]
2019-12-25
[35]
뉴스
네이버뉴스
https://entertain.na[...]
2019-12-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