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빈저우 철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빈저우 철도는 하얼빈에서 만저우리까지 연결되는 중국철도의 간선 철도 노선이다. 1896년 청나라와 러시아 간의 조약으로 건설이 시작되어, 1903년 정식 개통되었다. 러일 전쟁 이후 일본의 영향 아래 놓였다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에 의해 통제되었고,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중국철도의 일부가 되었다. 1983년 복선화가 시작되어 2007년에 완료되었으며, 2017년 전철화가 완료되었다. 주요 경유지로는 하얼빈, 다칭, 치치하얼, 자란툰, 하이라얼 등이 있으며, 하얼빈역에서 시베리아 횡단 철도까지 연결된다. 2013년부터 중유럽 화물 열차 운행이 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치치하얼시의 교통 - 푸씨 철로
    푸씨 철로는 프랑스에 의해 건설되어 석탄 수송에 사용된 철도를 시초로, 일본, 만주국 시기를 거쳐 확장되었고, 폐선 후 중화인민공화국에 의해 일부 재건설되어 현재는 여러 노선을 아우르며 하얼빈 철로국에서 운영 및 관리하는 1,435mm 표준궤 철도망이다.
  • 치치하얼시의 교통 - 핑치 철로
    핑치 철도는 중화인민공화국 헤이룽장성과 지린성을 연결하는 표준궤 철도로, 1917년부터 1926년 사이에 건설되어 만주국 시기에 국유화되었으며, 치치하얼 역에서 쓰핑 역까지 571km를 운행하며 여러 노선과 접속한다.
빈저우 철로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노선 이름시베리아 횡단철도 하얼빈-만저우 철도
원어 이름滨洲铁路 (Bīnzhōu Tiělù)
노선 종류중량 철도, 지역 철도
노선 상태운영 중
위치헤이룽장성, 내몽골 자치구
기점하얼빈
종점만저우
역 수102
개통일1902년 1월 14일
폐쇄일해당 없음
재개통일해당 없음
운영 주체중국 철도 하얼빈 그룹
기술 정보
노선 길이 (km)935
전철화 방식25 kV 50 Hz AC 가공 전차선 하얼빈-만저우 & 자바이칼스크-카림스카야 구간
최고 속도160 km/h
운영
운영 기관 (과거)중국 동청 철도 (1902–1932), 북만주 철도 (1932–1935), 만주국 국유철도 (1935–1945), 중국 창춘 철도 (1945–1955), 중국 철도 (1955–현재)
지도
만저우 국경문
만저우 국경문 (중국-러시아 국경)

2. 역사

빈저우선은 20세기 초부터 현재까지 여러 국가와 정권의 영향을 받으며 복잡한 역사를 거쳐왔다.

1896년 청나라러시아 간의 조약으로 건설이 시작되어, 러일 전쟁, 10월 혁명, 만주 사변 등 굵직한 사건들을 겪으며 소유권과 운영 주체가 여러 번 바뀌었다.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중국으로 반환되었으며, 이후 지속적인 개량과 현대화를 통해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간단한 연혁은 다음과 같다.

시기주요 내용
1896년 ~ 1903년청나라러시아의 협약으로 건설 시작 및 개통.
1904년 ~ 1945년러일 전쟁, 10월 혁명, 만주 사변 등을 거치며 러시아, 일본, 만주국 등의 영향.
1945년 ~ 현재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중국으로 반환, 복선화, 전철화 등 현대화 진행.


2. 1. 청나라 시기 (건설 초기)

1896년 6월 3일, 청나라 특사 이홍장러시아를 방문하여 니콜라이 2세의 대관식에 참석하고 청-러 밀약을 체결했다. 이 조약으로 러시아는 중국 북동부를 통과하는 철도 건설권(중국동청철도)을 획득했다.[4] 하얼빈은 새로운 철도 시스템의 중심지로 선정되었고, 하얼빈에서 동쪽, 서쪽, 남쪽으로 뻗어나가는 세 개의 러시아 광궤 노선이 계획되었다. 하얼빈-만저우리(러시아 국경) 구간은 하만 철도라고 불렸으며, 서쪽 지선에 해당한다. 1898년 6월 양쪽 끝에서 동시에 착공되어 1902년에 완공되었다.[4]

1900년 4월 하얼빈역 - 안다역 간 철로 부설이 완료되었고,[4] 1902년 1월 14일 임시 영업을 시작했다. 1903년 7월 정식으로 영업을 시작했으며, 개업 당시에는 직통 여객 열차 1왕복, 객화 혼합 열차 1왕복이 운행되었다.

2. 2. 러시아와 일본의 영향 (1904년-1945년)

러일 전쟁(1904~1905) 이후, 일본은 남만주 철도를 장악했고, 중국동청철도의 남쪽 부분은 일본의 영향권 아래 놓이게 되었다.[4] 10월 혁명(1917) 이후, 러시아 내전 기간 동안 백군이 잠시 철도를 통제하기도 했지만, 1922년 중국동청철도는 공식적으로 중-소 합작 기업이 되었다.[4]

1929년 중소 분쟁 발생: 중국이 중국동청철도(CER)에 대한 완전한 통제권을 확보하려 시도하면서 소련과의 갈등이 발생했다. 소련은 군사력으로 대응하여 중국을 제압하고, 다시 공동 통제를 회복했다.

만주 사변(1931) 이후, 일본은 만주국을 세우고, 1935년 소련으로부터 북만주 철도(중국동청철도의 북쪽 부분)를 1.4억에 매수하여 만주국 국유 철도에 편입시켰다.[4] 이 과정에서 하얼빈-만저우리 구간은 빈저우선으로 개칭되었다. 1936년 8월 1일에는 러시아 광궤에서 표준궤로 궤간을 변경하여 운행 속도가 60km/h로 증가했다.

2. 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5년-현재)

1945년 만주 전략 공세 작전을 통해 소련만주국을 붕괴시키고 빈저우선을 포함한 이 지역 철도에 대한 통제권을 다시 확보했다.[4]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빈저우선은 중국 창춘 철도라는 중-소 공동 기업에 인수되었다가, 한국 전쟁으로 인해 1955년에 중국으로 완전히 이관되어 중국철로의 일부가 되었다.[6]

이후 빈저우선은 여러 차례 개량 및 현대화 작업을 거쳤다.[4] 1983년부터 복선화가 시작되어 하얼빈–안다 구간이 1985년에 완공되었고, 2007년에 전 구간 복선화가 완료되어 노선 용량이 6배 증가했다.[7] 1990년에는 반자동 열차 제어가 도입되었고, 여객 열차에는 DFH3형 디젤 기관차가, 화물 열차에는 DF4B형 디젤 기관차와 인민형 증기 기관차가 사용되었다. 노선의 운행 속도는 100km/h로 향상되었다.

2014년 10월 25일부터 전철화 사업이 시작되어 2017년에 완료되었다.[8][9] 총 933km 노선에 전선이 가설되었고, 17개의 새로운 변전소가 건설되었다.[8] 2013년부터는 중유럽 화물 열차가 빈저우선을 경유하여 운행되기 시작하면서, 국제 물류 운송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thumb

원래의 빈저우 철교는 1901년에 건설되었으며, 2014년에 새로운 다리로 교체되었다. 구 다리는 현재 하얼빈 시에서 보호하는 역사적 랜드마크이다.[11]

3. 노선

부그트(Bugt) 근처 후룬베이얼 내몽골의 빈저우 철도


빈저우 철로는 하얼빈역에서 시작하여 만저우리역까지 이어지는 노선으로, 총 길이는 약 933km이다. 전 구간이 전철화되어 있으며, 하얼빈 철로국이 관할하고 있다.

남동-북서 방향으로 뻗어 있는 이 철로는 헤이룽장성 하얼빈시를 기점으로 쑹화강을 건너 둥베이 평원을 횡단한다. 그 후 푸라얼지구눈강을 건너 내몽골 자치구로 들어선다. 내몽골 자치구에서는 다싱안링 산맥을 넘어 후룬베이얼 초원을 가로지른다. 하이라얼역을 통과한 후 하이라얼 강 근처를 지나 만저우리역에 도착하며, 자바이칼스크역에서 시베리아 횡단 철도 지선과 연결된다.

주요 경유지는 하얼빈, 다칭, 치치하얼, 자란툰, 하이라얼, 만저우리 등이다.

3. 1. 주요 역 및 접속 노선

역명연결 노선
하얼빈역빈베이 철도, 징하 철도, 빈수이 철도, 라빈 철도
다칭 서역통랑 철도
앙앙시역핑치 철도
야커스역야린 철도
만저우리역시베리아 횡단 철도 (자바이칼스크역)


참조

[1] 서적 Trans-Siberian Handbook Roger Lascelles 1988
[2] 서적 China Railway Atlas Quail Map Company 2008
[3] 웹사이트 在"火车吧"里话别铁道部-中国青年报 http://zqb.cyol.com/[...]
[4] 웹사이트 滨洲铁路简介 http://www.hclx.net/[...] 2013-02-21
[5] 서적 Trans-Siberian Rail Guide Bradt Publications 1987
[6] 웹사이트 哈尔滨铁路的百年历史发展 http://www.tieliu.co[...] Tieliu 2011-02-09
[7] 웹사이트 滨洲铁路海拉尔至满洲里段复线全线通车 中国铁路网 http://www.railcn.ne[...] 2013-02-22
[8] 뉴스 百年滨洲铁路进入电气化时代 http://news.ifeng.co[...]
[9] 웹사이트 百年滨洲铁路接触网工程全线成功送电 http://www.crcebgf.c[...] 2017-12-26
[10] 웹사이트 Northernmost PDL opens in Heilongjiang http://www.railwayga[...] 2017-12-05
[11] 웹사이트 哈尔滨滨洲铁路桥等19处建筑申报全国重点文物保护单位 http://heilongjiang.[...]
[12] 웹사이트 満洲里駅経由の「中欧班列」が5000本に 内モンゴル自治区 https://www.afpbb.co[...] AFPBB 2019-09-29
[13] 웹사이트 滨洲铁路全线实现电气化 http://www.xinhuanet[...] 신화망 2017-12-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