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헬름 폰 외스터라이히 공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빌헬름 폰 외스터라이히 공작은 오스트리아 공작 레오폴트 3세의 장남으로, 폴란드 왕위 계승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그는 앙주 공주 야드비가와 약혼했으나, 폴란드 귀족들의 반대로 무산되었고, 야드비가는 리투아니아의 요가일라와 결혼했다. 이후 나폴리의 조반나 2세와 결혼했지만 자녀는 없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70년대 출생 - 파올라 콜론나
- 1370년대 출생 - 대립교황 요한 23세
대립교황 요한 23세는 서방 교회 대분열기에 활동한 발다사레 코사로, 피사 공의회에서 선출된 알렉산데르 5세의 뒤를 이어 대립교황이 되었으나 콘스탄츠 공의회에서 폐위되었다. - 14세기 오스트리아 공작 - 레오폴트 3세 정의공
레오폴트 3세는 합스부르크 가문으로서 영토를 확장하고 아드리아 해로의 접근성을 확보하는 등 업적을 남겼으나 스위스 연방과의 전투에서 사망했다. - 14세기 오스트리아 공작 - 레오폴트 4세 폰 외스터라이히 공작
레오폴트 4세 폰 외스터라이히 공작은 합스부르크 가문 출신으로 1386년부터 1396년까지 오스트리아 공작으로 재위하며 형과 함께 오스트리아를 공동 통치했고, 티롤과 전방 오스트리아를 다스렸으며, 사촌 조카의 섭정을 수행하기도 했다. - 케른텐 공작 - 막시밀리안 1세 (신성 로마 황제)
막시밀리안 1세는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이자 오스트리아 대공으로서, 부르고뉴 공국과의 결혼을 통해 세력을 확장하고 합스부르크 가문의 영향력을 넓혔으며, 르네상스 시대의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 케른텐 공작 - 하인리히 3세 (신성 로마 황제)
하인리히 3세는 잘리어 왕조의 전성기를 이끈 독일 왕이자 신성 로마 황제로서, 제후 세력 약화, 교회 영향력 확대, 그리고 수트리 공의회를 통한 교황 임명 등으로 제국의 영향력을 강화했다.
빌헬름 폰 외스터라이히 공작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빌헬름 데어 프로인트리헤 (Wilhelm der Freundliche) |
별칭 | 친절공 |
통치 | |
칭호 | 오스트리아 공작 |
재위 기간 | 1386년–1406년 |
유형 | 공작 |
이전 통치자 | 레오폴트 3세 |
다음 통치자 | 레오폴트 4세 |
가문 | 합스부르크가 |
개인 정보 | |
출생 | 1370년경 |
출생지 | 빈, 오스트리아 |
사망일 | 1406년 7월 15일 (36세) |
사망지 | 빈 |
매장지 | 공작 지하실, 슈테판 대성당 |
아버지 | 레오폴트 3세 |
어머니 | 비리디스 비스콘티 |
결혼 | |
배우자 | 야드비가 폴스카 (논쟁 중) (1385년 결혼, 1385년 이혼) |
배우자 | 조반나 디 두라초 (1401년 결혼) |
2. 생애
빌헬름은 빈에서 오스트리아의 레오폴트 3세 (1351–1386)와 그의 배우자 비리디스 비스콘티 (1352–1414)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비리디스는 밀라노의 베르나보의 딸이었다. 레오폴트 3세는 이미 티롤과 슈바벤의 오스트리아 영토를 섭정했으며, 1379년에는 형인 알베르트 3세와 노이베르크 조약을 체결하고 내오스트리아 영토를 받았다.
8세 때 빌헬름은 앙주 공주 야드비가 (1373–1399)와 약혼했는데, 야드비가는 1370년에 폴란드 국왕이 된 헝가리의 루이 1세의 막내딸이었다. 이는 합스부르크가가 상속녀와 결혼하여 영토를 확장하려는 첫 번째 시도 중 하나였다. 헝가리 왕국의 상속자로 지정되었던 야드비가는 1382년 루이 1세가 사망하자 폴란드 귀족들에 의해 여왕으로 선택되었다. 그들은 또한 빌헬름과의 약혼을 파기하고 약혼을 해소했다.
폴란드 귀족들은 14살의 야드비가의 약혼자 빌헬름 폰 합스부르크를 그들의 군주로 받아들이고 싶어하지 않았다. 그들은 경험이 부족한 빌헬름과 그의 오스트리아 친족들이 헝가리에 대한 강력한 권리를 가지고 있던 룩셈부르크 가문으로부터 폴란드의 이익을 보호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 소폴란드의 귀족들이 야드비가가 이교도 공작 리투아니아의 요가일라와 결혼해야 한다고 처음 제안했다.
요가일라는 1385년 1월에 크라쿠프에 특사를 보냈는데, 여기에는 그의 형제 스키르가일라와 리가 출신의 독일 시민 한울이 포함되어 야드비가의 손을 요청했다. 야드비가는 대답을 거부하고 어머니가 결정할 것이라고만 말했다. 요가일라의 두 특사는 헝가리로 가서 엘리자베스 여왕을 만났다. 얀 둥고쉬의 연대기에 따르면 엘리자베스 여왕은 "폴란드에 유리한 것은 무엇이든 허용하고 딸과 왕국의 고위 성직자들과 귀족들이 기독교와 그들의 왕국에 유익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해야 한다"고 그들에게 알렸다. 크라쿠프, 산도미에르 및 대폴란드의 귀족들은 6월 또는 7월에 크라쿠프에 모였고 "더 분별있는 다수"가 요가일라의 결혼 제안 수락에 투표했다.
그동안 빌헬름의 아버지 레오폴트 3세는 1385년 7월 말 부다로 급히 가서 8월 16일 전에 빌헬름과 야드비가의 결혼을 완수할 것을 요구했다. 엘리자베스 여왕은 결혼에 관한 이전 합의를 확인하고 오폴레의 블라디슬라우스 2세에게 결혼식을 준비하도록 명령했다. 가톨릭 교회의 교회법에 따르면 야드비가의 결혼 성사는 그녀가 조숙한 성숙함을 증언한 유능한 고위 성직자 앞에서 그녀의 열두 번째 생일 전에만 완료될 수 있었다. 에스테르곰의 데메트리우스 에스테르곰 대주교는 필요한 문서를 발급했다. 빌헬름은 8월 상반기에 크라쿠프로 갔지만 바벨 성으로 들어가는 것이 금지되었다. 둥고쉬는 야드비가와 빌헬름은 인근의 프란체스코회 수도원에서만 만날 수 있다고 말한다.
빌헬름과 야드비가의 결혼 완료에 대한 동시대 또는 거의 동시대 기록은 모순되고 불분명하다. 크라쿠프 시 당국의 공식 기록에는 1385년 8월 23일에 여왕의 결혼 축하 행사를 기념하여 시 감옥의 죄수들에게 사면이 주어졌다고 기록되어 있다. 반면에, 동시대 오스트리아 연대기인 ''Continuatio Claustroneubuzgis''는 폴란드인들이 빌헬름이 결혼을 완료하기 전에 빌헬름을 살해하려고 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다음 세기에 둥고쉬는 빌헬름이 "수치스럽고 모욕적인 방식으로 제거되어 성에서 쫓겨났다"고 말하며 "여왕의 침실"에 들어간 후라고 묘사했다. 그러나 같은 연대기 저술가는 또한 야드비가가 "많은 사람들이 ... 그녀가 2주 동안 빌헬름 공작과 침대를 함께 사용했고 육체적인 관계를 가졌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다고 언급했다.
둥고쉬에 따르면 빌헬름이 여왕의 침실에 들어간 밤에 폴란드 귀족들이 성으로 쳐들어가 빌헬름을 도망치게 했다. 둥고쉬는 이러한 굴욕 이후 야드비가가 바벨을 떠나 빌헬름과 합류하기로 결정했지만 성문이 잠겨 있었다고 계속 말한다. 그녀는 "도끼를 요청하고 열려고 했다" 그러나 고라지 영주의 디미트르가 그녀를 설득하여 성으로 돌아갔다. 오스카 할레츠키는 둥고쉬의 이야기가 "낭만적인 전설로 치부될 수 없다"고 말하며 로버트 I. 프로스트는 그것이 "거의 확실히 외경적인 이야기"라고 썼다. 그러나 오스트리아의 빌헬름이 폴란드를 떠날 수밖에 없었다는 데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2. 1. 폴란드 왕위 계승 시도와 실패
빌헬름은 빈에서 오스트리아의 레오폴트 3세 공작 (1351–1386)과 그의 배우자 비리디스 비스콘티 (1352–1414)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비리디스는 밀라노의 베르나보의 딸이었다. 레오폴트 3세는 이미 티롤과 슈바벤의 오스트리아 영토를 섭정했으며, 1379년에는 형인 알베르트 3세 공작과 노이베르크 조약을 체결하고 내 오스트리아 영토를 받았다.8세 때 빌헬름은 앙주 공주 야드비가 (''야드비가''; 1373–1399)와 약혼했는데, 야드비가는 1370년에 폴란드 국왕이 된 헝가리의 루이 1세의 막내딸이었다. 이는 합스부르크가가 상속녀와 결혼하여 영토를 확장하려는 첫 번째 시도 중 하나였다. 헝가리 왕국의 상속자로 지정되었던 야드비가는 1382년 루이 1세가 사망하자 폴란드 귀족들에 의해 여왕으로 선택되었다. 그들은 또한 빌헬름과의 약혼을 파기하고 약혼을 해소했다.
폴란드 귀족들은 14살의 야드비가의 약혼자 빌헬름 폰 합스부르크를 그들의 군주로 받아들이고 싶어하지 않았다. 그들은 경험이 부족한 빌헬름과 그의 오스트리아 친족들이 헝가리에 대한 강력한 권리를 가지고 있던 룩셈부르크 가문으로부터 폴란드의 이익을 보호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 소폴란드의 귀족들이 야드비가가 이교도 공작 리투아니아의 요가일라와 결혼해야 한다고 처음 제안했다.
요가일라는 1385년 1월에 크라쿠프에 특사를 보냈는데, 여기에는 그의 형제 스키르가일라와 리가 출신의 독일 시민 한울이 포함되어 야드비가의 손을 요청했다. 야드비가는 대답을 거부하고 어머니가 결정할 것이라고만 말했다. 요가일라의 두 특사는 헝가리로 가서 엘리자베스 여왕을 만났다. 얀 둥고쉬의 연대기에 따르면 엘리자베스 여왕은 "폴란드에 유리한 것은 무엇이든 허용하고 딸과 왕국의 고위 성직자들과 귀족들이 기독교와 그들의 왕국에 유익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해야 한다"고 그들에게 알렸다. 크라쿠프, 산도미에르 및 대폴란드의 귀족들은 6월 또는 7월에 크라쿠프에 모였고 "더 분별있는 다수"가 요가일라의 결혼 제안 수락에 투표했다.
그동안 빌헬름의 아버지 레오폴트 3세는 1385년 7월 말 부다로 급히 가서 8월 16일 전에 빌헬름과 야드비가의 결혼을 완수할 것을 요구했다. 엘리자베스 여왕은 결혼에 관한 이전 합의를 확인하고 오폴레의 블라디슬라우스 2세에게 결혼식을 준비하도록 명령했다. 가톨릭 교회의 교회법에 따르면 야드비가의 결혼 성사는 그녀가 조숙한 성숙함을 증언한 유능한 고위 성직자 앞에서 그녀의 열두 번째 생일 전에만 완료될 수 있었다. 에스테르곰의 데메트리우스 에스테르곰 대주교는 필요한 문서를 발급했다. 빌헬름은 8월 상반기에 크라쿠프로 갔지만 바벨 성으로 들어가는 것이 금지되었다. 둥고쉬는 야드비가와 빌헬름은 인근의 프란체스코회 수도원에서만 만날 수 있다고 말한다.
빌헬름과 야드비가의 결혼 완료에 대한 동시대 또는 거의 동시대 기록은 모순되고 불분명하다. 크라쿠프 시 당국의 공식 기록에는 1385년 8월 23일에 여왕의 결혼 축하 행사를 기념하여 시 감옥의 죄수들에게 사면이 주어졌다고 기록되어 있다. 반면에, 동시대 오스트리아 연대기인 ''Continuatio Claustroneubuzgis''는 폴란드인들이 빌헬름이 결혼을 완료하기 전에 빌헬름을 살해하려고 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다음 세기에 둥고쉬는 빌헬름이 "수치스럽고 모욕적인 방식으로 제거되어 성에서 쫓겨났다"고 말하며 "여왕의 침실"에 들어간 후라고 묘사했다. 그러나 같은 연대기 저술가는 또한 야드비가가 "많은 사람들이 ... 그녀가 2주 동안 빌헬름 공작과 침대를 함께 사용했고 육체적인 관계를 가졌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다고 언급했다.
둥고쉬에 따르면 빌헬름이 여왕의 침실에 들어간 밤에 폴란드 귀족들이 성으로 쳐들어가 빌헬름을 도망치게 했다. 둥고쉬는 이러한 굴욕 이후 야드비가가 바벨을 떠나 빌헬름과 합류하기로 결정했지만 성문이 잠겨 있었다고 계속 말한다. 그녀는 "도끼를 요청하고 열려고 했다" 그러나 고라지 영주의 디미트르가 그녀를 설득하여 성으로 돌아갔다. 오스카 할레츠키는 둥고쉬의 이야기가 "낭만적인 전설로 치부될 수 없다"고 말하며 로버트 I. 프로스트는 그것이 "거의 확실히 외경적인 이야기"라고 썼다. 그러나 오스트리아의 빌헬름이 폴란드를 떠나야 했다는 데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2. 2. 나폴리 여왕과의 결혼
빌헬름은 빈에서 레오폴트 3세와 밀라노의 군주 베르나보 비스콘티의 딸인 비리디스 비스콘티 사이에서 태어났다. 1370년, 8세가 된 빌헬름은 헝가리 왕 러요시 1세의 막내딸인 야드비가 공주와 약혼했다. 이는 합스부르크가가 상속녀와 결혼하여 지배권을 확장하려는 첫 번째 시도 중 하나였다. 1382년 러요시 왕이 죽자, 폴란드 귀족들은 야드비가를 여왕으로 선택하고 빌헬름과의 약혼을 파기했다.폴란드 귀족들은 야드비가의 약혼자 빌헬름을 군주로 받아들이려 하지 않았다. 그들은 빌헬름과 그의 오스트리아 친족들이 보헤미아와 브란덴부르크를 통제하고 헝가리에 대한 강력한 권리를 가지고 있던 룩셈부르크 가문으로부터 폴란드의 이익을 보호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 대신 소폴란드의 귀족들은 야드비가가 리투아니아의 요가일라 공작과 결혼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요가일라는 1385년 1월에 크라쿠프에 특사를 보내 야드비가와의 결혼을 요청했고, 야드비가는 어머니가 결정할 것이라고만 답했다. 크라쿠프, 산도미에르 및 대폴란드의 귀족들은 요가일라의 결혼 제안 수락에 투표했다.
1385년 7월 말, 빌헬름의 아버지 레오폴트 3세는 부다로 가서 빌헬름과 야드비가의 결혼을 요구했다. 엘리자베스 여왕은 결혼에 대한 이전 합의를 확인하고 결혼식을 준비하도록 명령했다. 가톨릭 교회의 교회법에 따라 야드비가의 결혼은 12세 이전에 완료될 수 있었고, 에스테르곰 대주교는 필요한 문서를 발급했다. 빌헬름은 8월 상반기에 크라쿠프로 갔지만 바벨 성으로 들어가는 것이 금지되었다.
빌헬름과 야드비가의 결혼에 대한 기록은 모순되고 불분명하다. 크라쿠프 시 당국의 공식 기록에는 결혼 축하 행사를 기념하여 죄수들에게 사면이 주어졌다고 기록되어 있지만, 오스트리아 연대기는 폴란드인들이 빌헬름을 살해하려고 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얀 둥고쉬는 빌헬름이 "여왕의 침실"에 들어간 후 쫓겨났다고 묘사했지만, 야드비가가 빌헬름과 2주 동안 침대를 함께 사용했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고 언급했다. 둥고쉬에 따르면 빌헬름이 여왕의 침실에 들어간 밤, 폴란드 귀족들이 성으로 쳐들어가 빌헬름을 도망치게 했다. 야드비가는 성문을 부수려 했지만, 고라지 영주의 디미트르가 그녀를 설득하여 성으로 돌아갔다. 오스트리아의 빌헬름은 폴란드를 떠날 수밖에 없었다.
이후 빌헬름은 야드비가의 사촌인 나폴리의 조반나 공주와 1401년에 결혼했으나, 자녀를 얻지 못했다.
3. 유산
4. 가계도
wikitable
합스부르크 가계도 | ||||||||||||||||||||||||||||||||||||||||||||||||||||||||||||||||||||||||||||||||||||||||||||||||||||||||||||||||||||||||||||||||||||||||||||||||||||||||||||||||||||||||||||||||||||||||||||
---|---|---|---|---|---|---|---|---|---|---|---|---|---|---|---|---|---|---|---|---|---|---|---|---|---|---|---|---|---|---|---|---|---|---|---|---|---|---|---|---|---|---|---|---|---|---|---|---|---|---|---|---|---|---|---|---|---|---|---|---|---|---|---|---|---|---|---|---|---|---|---|---|---|---|---|---|---|---|---|---|---|---|---|---|---|---|---|---|---|---|---|---|---|---|---|---|---|---|---|---|---|---|---|---|---|---|---|---|---|---|---|---|---|---|---|---|---|---|---|---|---|---|---|---|---|---|---|---|---|---|---|---|---|---|---|---|---|---|---|---|---|---|---|---|---|---|---|---|---|---|---|---|---|---|---|---|---|---|---|---|---|---|---|---|---|---|---|---|---|---|---|---|---|---|---|---|---|---|---|---|---|---|---|---|---|---|---|---|
Box= | 1H=알브레히트 합스부르크 백작 1188년경–1239년 | boxstyle_1H=background-color:#D4F1F9 | 2H=루돌프 1세 독일 왕 1218년경–1291년 | boxstyle_2H=background-color:#D4F1F9 | 3H=알브레히트 1세 독일 왕 1255년–1308년 | boxstyle_3H=background-color:#D4F1F9 | Hartm=하르트만 1263년–1281년 | Ru2Au=루돌프 2세 오스트리아 공작 1270년–1290년 | Ru1Bo=루돌프 1세 보헤미아 왕 1281년–1307년 | Fr1Ge=미남 프리드리히 1289년경–1330년 | Le1Au=레오폴트 1세 오스트리아 공작 1290년–1326년 | 4H=알브레히트 2세 오스트리아 공작 1298년–1358년 | boxstyle_4H=background-color:#D4F1F9 | Heinr=헨리 1299년–1327년 | OttAu=오토 오스트리아 공작 1301년–1339년 | JohPa=존 파리시다 1290년경–1312/1313년 | Box1= 알베르티나 가계 | Box2= 레오폴디나 가계 | Ru4Au=루돌프 4세 오스트리아 공작 1339년–1365년 | Fr3Au=프리드리히 3세 1347년–1362년 | Al3Au=알브레히트 3세 오스트리아 공작 1349년–1395년 | boxstyle_Al3Au=background-color:#FFDDF4 | 5H=레오폴트 3세 오스트리아 공작 1351년–1386년 | boxstyle_5H=background-color:#CEF2DA | Fr2Au=프리드리히 2세 오스트리아 공작 1327년–1344년 | Le2Au=레오폴트 2세 오스트리아 공작 1328년–1344년 | Al4Au=알브레히트 4세 오스트리아 공작 1377년–1404년 | boxstyle_Al4Au=background-color:#FFDDF4 | WilAu=빌헬름 오스트리아 공작 1370년경–1406년 | Le4Au=레오폴트 4세 오스트리아 공작 1371년–1411년 | 6H=에른스트 오스트리아 공작 1377년–1424년 | boxstyle_6H=background-color:#CEF2DA | Fr4Au=프리드리히 4세 오스트리아 공작 1382년–1439년 | Al2Ge=알브레히트 2세 독일 왕 1397년–1439년 | boxstyle_Al2Ge=background-color:#FFDDF4 | 7H=프리드리히 3세 신성 로마 황제 1415년–1493년 | boxstyle_7H=background-color:#CEF2DA | Al6Au=알브레히트 6세 오스트리아 대공 1418년–1463년 | SigAu=지기스문트 오스트리아 대공 1427년–1496년 | La1Bo=포스투무스의 라디슬라우스 1440년–1457년 | boxstyle_La1Bo=background-color:#FFDDF4 | 8H=막시밀리안 1세 신성 로마 황제 1459년–1519년 | boxstyle_8H=background-color:#CEF2DA | 9H=펠리페 1세 카스티야 왕 1478년–1506년 | boxstyle_9H=background-color:#CEF2DA | Box1= / 이베리아 계보 | Box2= 오스트리아 / 신성 로마 제국 황제 계보 | C5HRE=카를 5세 신성 로마 황제 1500년–1558년 | boxstyle_C5HRE=background-color:#E0B0FF | 10H=페르디난트 1세 신성 로마 황제 1503년–1564년 | boxstyle_10H=background-color:#B1D2FF | Ph2Sp=펠리페 2세 스페인 왕 1527년–1598년 | boxstyle_Ph2Sp=background-color:#E0B0FF | M2HRE=막시밀리안 2세 신성 로마 황제 1527년–1576년 | Fe2Au=페르디난트 2세 오스트리아 대공 1529년–1595년 | 11H=카를 2세 오스트리아 대공 1540년–1590년 | boxstyle_11H=background-color:#B1D2FF | CarAs=카를로스 아스투리아스 공 1545년–1568년 | Ph3Sp=펠리페 3세 스페인 왕 1578년–1621년 | boxstyle_Ph3Sp=background-color:#E0B0FF | R2HRE=루돌프 2세 신성 로마 황제 1552년–1612년 | ErnA2=에른스트 오스트리아 대공 1553년–1595년 | MaHRE=마티아스 신성 로마 황제 1557년–1619년 | Ma2Au=막시밀리안 3세 오스트리아 대공 1558년–1618년 | Al7Au=알브레히트 7세 오스트리아 대공 1559년–1621년 | Wen1A=벤첼 오스트리아 대공 1561년–1578년 | AndAu=안드레아스 부르가우 변경백 1558년–1600년 | KarAu=카를 부르가우 변경백 1560년–1618년 | 12H=페르디난트 2세 신성 로마 황제 1578년–1637년 | boxstyle_12H=background-color:#B1D2FF | MaxEr=막시밀리안 에른스트 오스트리아 대공 1583년–1616년 | Le5Au=레오폴트 5세 오스트리아 대공 1586년–1632년 | Karlx=카를 오스트리아 1590년–1624년 | Ph4Sp=펠리페 4세 스페인 왕 1605년–1665년 | boxstyle_Ph4Sp=background-color:#E0B0FF | CarSp=카를 오스트리아 1607년–1632년 | CIFer=페르디난트 오스트리아 1609년–1641년 | JoCha=요한 카를 오스트리아 1605년–1619년 | 13H=페르디난트 3세 신성 로마 황제 1608년–1657년 | boxstyle_13H=background-color:#B1D2FF | LeWAu=레오폴트 빌헬름 오스트리아 1614년–1662년 | FeCAu=페르디난트 카를 오스트리아 공작 1628년–1662년 | SiFAu=지기스문트 프란츠 오스트리아 대공 1630년–1665년 | BaCAs=발타자르 카를로스 아스투리아스 공 1629년–1646년 | CH2Sp=카를 2세 스페인 왕 1661년–1700년 | boxstyle_CH2Sp=background-color:#E0B0FF | Fe4Hu=페르디난트 4세 로마왕 1633년–1654년 | 14H=레오폴트 1세 신성 로마 황제 1640년–1705년 | boxstyle_14H=background-color:#B1D2FF | ChJAu=카를 요제프 오스트리아 1649년–1664년 | J1HRE=요제프 1세 신성 로마 황제 1678년–1711년 | C4HRE=카를 6세 신성 로마 황제 1685년–1740년 | }
합스부르크 가계도 | |||||||||||||||||||||||||||||||||||||||||||||||||||||||||||||||||||||||||||||||||||||||||||||
---|---|---|---|---|---|---|---|---|---|---|---|---|---|---|---|---|---|---|---|---|---|---|---|---|---|---|---|---|---|---|---|---|---|---|---|---|---|---|---|---|---|---|---|---|---|---|---|---|---|---|---|---|---|---|---|---|---|---|---|---|---|---|---|---|---|---|---|---|---|---|---|---|---|---|---|---|---|---|---|---|---|---|---|---|---|---|---|---|---|---|---|---|---|
Box= | 1H=알브레히트 합스부르크 백작 –1239}} | boxstyle_1H=background-color:#D4F1F9 | 2H=루돌프 1세 독일 왕 –1291}} | boxstyle_2H=background-color:#D4F1F9 | 3H=알브레히트 1세 독일 왕 | boxstyle_3H=background-color:#D4F1F9 | Hartm=하르트만 | Ru2Au=루돌프 2세 오스트리아 공작 | Ru1Bo=루돌프 1세 보헤미아 왕 | Fr1Ge=미남 프리드리히 –1330}} | Le1Au=레오폴트 1세 오스트리아 공작 | 4H=알브레히트 2세 오스트리아 공작 | boxstyle_4H=background-color:#D4F1F9 | Heinr=헨리 | OttAu=오토 오스트리아 공작 | JohPa=존 파리시다 –1312/1313}} | Box1= | Box2= | Ru4Au=루돌프 4세 오스트리아 공작 | Fr3Au=프리드리히 3세 | Al3Au=알브레히트 3세 오스트리아 공작 | boxstyle_Al3Au=background-color:#FFDDF4 | 5H=레오폴트 3세 오스트리아 공작 | boxstyle_5H=background-color:#CEF2DA | Fr2Au=프리드리히 2세 오스트리아 공작 | Le2Au=레오폴트 2세 오스트리아 공작 | Al4Au=알브레히트 4세 오스트리아 공작 | boxstyle_Al4Au=background-color:#FFDDF4 | WilAu=빌헬름 오스트리아 공작 –1406}} | Le4Au=레오폴트 4세 오스트리아 공작 | 6H=에른스트 오스트리아 공작 | boxstyle_6H=background-color:#CEF2DA | Fr4Au=프리드리히 4세 오스트리아 공작 | Al2Ge=알브레히트 2세 독일 왕 | boxstyle_Al2Ge=background-color:#FFDDF4 | 7H=프리드리히 3세 신성 로마 황제 | boxstyle_7H=background-color:#CEF2DA | Al6Au=알브레히트 6세 오스트리아 대공 | SigAu=지기스문트 오스트리아 대공 | La1Bo=포스투무스의 라디슬라우스 | boxstyle_La1Bo=background-color:#FFDDF4 | 8H=막시밀리안 1세 신성 로마 황제 | boxstyle_8H=background-color:#CEF2DA | 9H=펠리페 1세 카스티야 왕 | boxstyle_9H=background-color:#CEF2DA | Box1= | Box2= | C5HRE=카를 5세 신성 로마 황제 | boxstyle_C5HRE=background-color:#E0B0FF | 10H=페르디난트 1세 신성 로마 황제 | boxstyle_10H=background-color:#B1D2FF | Ph2Sp=펠리페 2세 스페인 왕 | boxstyle_Ph2Sp=background-color:#E0B0FF | M2HRE=막시밀리안 2세 신성 로마 황제 | Fe2Au=페르디난트 2세 오스트리아 대공 | 11H=카를 2세 오스트리아 대공 | boxstyle_11H=background-color:#B1D2FF | CarAs=카를로스 아스투리아스 공 | Ph3Sp=펠리페 3세 스페인 왕 | boxstyle_Ph3Sp=background-color:#E0B0FF | R2HRE=루돌프 2세 신성 로마 황제 | ErnA2=에른스트 오스트리아 대공 | MaHRE=마티아스 신성 로마 황제 | Ma2Au=막시밀리안 3세 오스트리아 대공 | Al7Au=알브레히트 7세 오스트리아 대공 | Wen1A=벤첼 오스트리아 대공 | AndAu=안드레아스 부르가우 변경백 | KarAu=카를 부르가우 변경백 | 12H=페르디난트 2세 신성 로마 황제 | boxstyle_12H=background-color:#B1D2FF | MaxEr=막시밀리안 에른스트 오스트리아 대공 | Le5Au=레오폴트 5세 오스트리아 대공 | Karlx=카를 오스트리아 | Ph4Sp=펠리페 4세 스페인 왕 | boxstyle_Ph4Sp=background-color:#E0B0FF | CarSp=카를 오스트리아 | CIFer=페르디난트 오스트리아 | JoCha=요한 카를 오스트리아 | 13H=페르디난트 3세 신성 로마 황제 | boxstyle_13H=background-color:#B1D2FF | LeWAu=레오폴트 빌헬름 오스트리아 | FeCAu=페르디난트 카를 오스트리아 공작 | SiFAu=지기스문트 프란츠 오스트리아 대공 | BaCAs=발타자르 카를로스 아스투리아스 공 | CH2Sp=카를 2세 스페인 왕 | boxstyle_CH2Sp=background-color:#E0B0FF | Fe4Hu=페르디난트 4세 로마왕 | 14H=레오폴트 1세 신성 로마 황제 | boxstyle_14H=background-color:#B1D2FF | ChJAu=카를 요제프 오스트리아 | J1HRE=요제프 1세 신성 로마 황제 | C4HRE=카를 6세 신성 로마 황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