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뿔나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뿔나비는 네발나비과의 곤충으로, 앞날개에 뿔 모양의 돌기가 있고, 머리에는 텐구의 코처럼 보이는 돌기가 있어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 홋카이도에서 오키나와섬까지, 한반도와 타이완에 분포하며, 팽나무와 류큐팽나무의 잎을 먹고 산다. 성충은 연 1~2회 발생하며, 가을에 월동한다. 일본에서는 일부 아종이 적색 목록에 지정되어 있고, 오사카부 미노오시의 곤충으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82년 기재된 곤충 - 황개미
  • 네발나비과 - 애기세줄나비
    애기세줄나비는 흰줄표범나비아과에 속하며 날개에 "三"자 모양 흰색 띠가 있는 아시아 지역 분포 나비로, 콩과 식물을 먹는 애벌레 단계를 거치고 앞날개 줄무늬가 끊어지는 특징을 가진다.
  • 네발나비과 - 번개오색나비
    번개오색나비는 흰색 띠와 반점이 있는 짙은 갈색 날개를 가지며 수컷은 보라색-파란색 광택을 띠고, 유럽과 아시아 등지에 분포하며, 서식지 파괴와 수집으로 개체수가 감소했다.
뿔나비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유럽 beak
프랑스
쐐기풀 나무 (Libythea celtis) 불가리아
민트, 불가리아
학명Libythea celtis
명명자(Laicharting, 1782)
한국어 이름테[ng]구초[ng] (천구쵸[ng])
영어 이름Nettle-tree Butterfly
분류
동물계
절지동물
곤충강
나비목
네발나비과
아과테[ng]구초[ng]아과
테[ng]구초[ng]속
테[ng]구초[ng]
아종
본토 아종Libythea c. celtoides
명명자Fruhstorfer, 1909
남서 제도의 아종Libythea c. amamiana
명명자Shirozu, 1956

2. 형태

뿔나비는 이름처럼 머리 부분에 아랫입술수염(팔피)이라는 긴 돌기가 앞으로 뻗어 있는 것이 가장 큰 형태적 특징이다. 이 돌기는 마치 텐구의 코처럼 보여 이름의 유래가 되었다.[1]

성충은 전체적으로 갈색을 띠며, 앞날개에는 주황색-노란색 무늬와 흰색 반점이 있다. 앞날개 길이는 보통 20mm에서 30mm 정도이며, 때로는 약 48mm에 이르기도 한다. 자세한 성충의 형태는 아래 '성충' 문단에서 설명한다.

유충은 팽나무 잎 등을 먹고 자라며, 일반적인 배추벌레 모양을 하고 있다.[3] 번데기는 다른 네발나비과 나비들처럼 꼬리 부분만으로 거꾸로 매달리는 현수형이다. 유충과 번데기의 자세한 형태는 아래 '유충 및 번데기' 문단에서 설명한다.

2. 1. 성충

윗면 몸 색깔은 짙은 갈색이다. 앞날개에는 주황색-노란색 줄무늬로 채워진 반점이 있으며, 이 부분은 움푹 들어가 있다. 1번 간실에는 작은 원반 모양의 주황색-노란색 반점이 있고, 2번 정맥과 4번 정맥 사이에는 훨씬 더 크고 비슷한 색의 원반 모양 반점이 있다. 윗부분에는 흰색의 아정점 반점과 4번과 5번 간실에 사각형 이중 반점이 있는데, 위쪽은 흰색이고 아래쪽은 주황색이다. 뒷날개는 균일한 갈색이며, 불규칙한 곡선 모양의 가로 방향 상부 후원반 주황색 패치가 3번 정맥 바로 아래에서 6번 간실까지 뻗어 있다.[1] 날개 표면의 갈색-주황색 반점 외에 앞날개 앞쪽에 있는 두 개의 반점은 흰색이다. 아랫면의 바탕색: 앞날개는 갈색이고 정점은 연한 보라색을 띠며 미세한 어두운 가로 줄무늬와 점이 뿌려져 있다. 주황색 표시는 윗면보다 더 옅다. 뒷날개는 균일하게 연한 보라색을 띠며 미세한 어두운 점과 가로 줄무늬가 뿌려져 있다.[1]

성충의 앞날개 길이는 20mm에서 30mm 정도이며, 때로는 약 48mm에 이르기도 한다. 앞날개 가장자리에는 뿔 모양의 돌기가 있다. 머리의 촉각 안쪽에는 앞으로 길게 뻗은 돌기가 있는데, 이는 아랫입술수염(팔피)이라는 기관이다. 이 팔피가 마치 텐구의 코처럼 길게 튀어나와 '뿔나비'라는 이름이 붙었다. 뿔나비의 팔피는 겹눈 지름의 3배 이상으로 길게 뻗어 있어 다른 나비들에 비해 눈에 띄게 크다. 이 팔피는 네발나비과 등에서는 비교적 큰 편이지만, 호랑나비과흰나비과의 나비들에서는 작다.[1] 더듬이, 머리, 가슴, 배는 어두운 갈색이며, 아래쪽의 입술수염, 가슴, 배는 뒷날개 아랫면의 색상과 같다.[1]

뿔나비는 월동하는 대표적인 나비 중 하나로, 날이 온화한 날에는 햇볕을 쬐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성충은 연 1회 또는 2회 발생하는데, 처음 발생하는 시기는 6월에서 7월경이다. 하지만 한여름에는 휴면 상태에 들어갔다가 가을에 다시 활동을 시작하여 그대로 성충 상태로 월동한다. 겨울잠에서 깨어난 초봄에도 다시 활동한다. 날갯짓이 빠르고 민첩하게 날아다니며, 다양한 종류의 꽃을 찾아다닌다. 수 년을 주기로 대량 발생하여 길을 가득 메우는 경우가 종종 보고된다.[4]

2. 2. 유충 및 번데기

유충은 팽나무와 류큐팽나무의 잎을 먹이로 삼는다.[3] 유충은 배추벌레형이며, 번데기는 다른 네발나비과와 마찬가지로 꼬리 부분만으로 거꾸로 매달리는 현수형 번데기 형태를 띤다.

3. 생태

뿔나비는 머리의 촉각 안쪽에 길게 뻗은 돌기(아랫입술수염, 팔피)가 있어 독특한 외형을 가진다. 이 돌기는 마치 텐구의 코처럼 보인다고 하여 이름이 붙여졌으며, 다른 나비들에 비해 매우 길게 뻗어 있어 눈에 띈다. 성충의 앞날개 길이는 20mm에서 30mm 정도이며, 날개는 갈색 바탕에 앞날개 가장자리에 뿔 모양의 돌기가 있다. 날개 표면에는 갈색-주황색 반점이 있으며, 앞날개 앞쪽의 두 반점은 흰색이다.

한반도를 포함하여 일본, 타이완 등지에 분포하며, 산지에서 평지의 활엽수림 주변에서 주로 서식한다. 성충 상태로 월동하는 대표적인 나비 중 하나이며, 빠르게 날갯짓하며 민첩하게 날아다닌다. 유충은 팽나무와 류큐팽나무의 잎을 먹이로 삼는다.[3] 수 년을 주기로 대량 발생하기도 한다.[4]

3. 1. 서식지

홋카이도에서 오키나와섬까지 분포하며, 한반도와 타이완에서도 발견된다. 이 중 일본 야쿠시마 이북의 개체군은 본토 아종 ''L. c. celtoides''[2][3], 아마미오섬부터 오키나와섬의 개체군은 남서 제도 아종 ''L. c. amamiana'' [3]로 분류된다.

산지에서 평지의 활엽수림 주변에 주로 서식한다. 성충은 1년에 1회 또는 2회 발생하며, 처음 나타나는 시기는 6월에서 7월경이다. 그러나 한여름에는 활동을 멈추고 휴면 상태에 들어간다. 가을에 다시 활동을 시작하여 성충 상태로 월동하며, 겨울잠에서 깨어난 초봄에도 다시 활동한다. 날갯짓이 빠르고 민첩하게 날아다니며, 다양한 종류의 꽃을 찾아다닌다. 드물게 대량으로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유충은 팽나무와 류큐팽나무의 잎을 먹이로 삼는다[3]. 유충은 배추벌레와 비슷한 형태이며, 번데기는 다른 네발나비과 나비들처럼 꼬리 부분만으로 거꾸로 매달리는 형태(현수형)를 띤다.

3. 2. 생활사

뿔나비는 성충 상태로 월동하는 대표적인 나비 중 하나로, 날씨가 온화한 날에는 햇볕을 쬐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겨울잠에서 깨어난 초봄에 활동을 시작하며, 성충은 연 1회 또는 2회 발생한다. 첫 발생 시기는 6월에서 7월경이지만, 한여름에는 휴면한다. 가을에 다시 활동하다가 그대로 월동에 들어간다.

성충은 빠르게 날갯짓하며 민첩하게 날아다니고, 다양한 종류의 꽃을 찾아 꿀을 빤다. 유충은 팽나무와 류큐팽나무의 잎을 먹이식물로 삼는다.[3] 유충은 배추벌레와 비슷한 형태이며, 번데기는 다른 네발나비과 나비들처럼 꼬리 부분만으로 거꾸로 매달리는 현수형(懸垂蛹) 형태를 띤다.

수 년을 주기로 대량 발생하여 길을 가득 메울 정도로 많은 수가 나타나는 경우가 종종 있다.[4]

3. 3. 월동

성충 상태로 월동하는 대표적인 나비 중 하나이다. 가을에 활동하다가 성충 상태 그대로 월동에 들어가며, 겨울잠에서 깨어난 초봄에도 다시 활동한다. 날씨가 온화한 날에는 햇볕을 쬐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 수 년을 주기로 대량으로 발생하여 길을 가득 메우는 경우가 종종 있다.[4]

3. 4. 대발생

뿔나비는 월동하는 대표적인 나비 중 하나로, 수 년을 주기로 대량 발생하여 길을 가득 메우는 경우가 종종 있다.[4]

4. 분포

서유럽, 소아시아, 중앙아시아, 파키스탄치트랄 산맥에 걸쳐 분포한다. 산지에서 평지의 활엽수림 주변에 서식한다.

4. 1. 아종

홋카이도에서 오키나와섬까지 분포하며, 한반도와 타이완에도 서식한다. 이 중 야쿠시마 이북의 개체군은 본토 아종 L. c. celtoides[2][3], 아마미오섬부터 오키나와섬의 개체군은 남서 제도 아종 L. c. amamiana [3]로 분류된다.

5. 보전

(내용 없음)

5. 1. 한국

(작성할 내용 없음)

5. 2. 일본

일본의 일부 도도부현에서는 뿔나비를 적색 목록에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2]

  • 본토 아종 ''L. c. celtoides'': 아오모리현에서 준위협 상태이다.
  • 홋카이도 아종 ''L. c. matsumurae'': 홋카이도에서 위기 II류로 분류된다.

6. 인간과의 관계

일본 오사카부 미노오시의 시를 상징하는 곤충으로 지정되어 있다.

참조

[1] 서적 The Fauna of British India, Including Ceylon and Burma Butterflies Taylor & Francis, Ltd.
[2] 웹사이트 日本のレッドデータ検索システム(テングチョウ) http://jpnrdb.com/se[...] エンビジョン環境保全事務所 2023-04-04
[3] 문서 蝶 (2006)、181頁
[4] 웹인용 수목원의 뿔나비 떼 https://www.youtub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