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기사와 메구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기사와 메구무는 일본의 소설가, 수필가, 번역가로, 1968년 도쿄에서 태어나 2004년 3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1987년 소설 《강가의 길》로 문학계 신인상을 수상하며 데뷔했으며, 1992년에는 《달리는 소년》으로 이즈미 쿄카 문학상을 받았다. 그녀는 재일 한국인 2세로, 작품을 통해 인간관계와 젊은이들의 불안을 탐구했으며, 20편이 넘는 소설과 에세이를 남겼다. 1990년 결혼 후 이혼했으며,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4년 자살 - 제이슨 레이즈
제이슨 레이즈는 브로드웨이 뮤지컬 《라이온 킹》 오리지널 캐스트의 심바 역으로 성공한 미국의 배우 겸 가수로, 다양한 뮤지컬 투어 참여, 음반 발매, 디즈니 채널 출연, 《브라더 베어》 목소리 연기 등 다방면으로 활동했으며, 그의 유산을 기리기 위한 장학금이 오르페우스 극장에서 수여되고 있다. - 2004년 자살 - 노자와 히사시
노자와 히사시는 일본의 각본가이자 소설가로, 1990년대 인기 드라마 각본을 통해 이름을 알렸으며 무코다 쿠니코상을 역대 최연소로 수상하고 애니메이션 영화 각본으로도 흥행에 성공하는 등 다양한 작품 활동을 펼쳤다. - 조치 대학 동문 - 윤석중
윤석중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아동문학가로서, 아동문학 운동을 이끌고 수많은 동요와 동시집을 발표하며 한국 아동 문학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인물이다. - 조치 대학 동문 - 츠즈키 쿄이치
츠즈키 쿄이치는 일본 잡지 『POPEYE』 창간 멤버 출신으로, 사진집 『TOKYO STYLE』로 데뷔하여 일본 사회 주변부 문화와 소외된 계층의 삶을 독특하게 다루는 사진가이자 편집자, 작가이다. - 자살한 작가 - 미시마 유키오
미시마 유키오는 1925년 도쿄에서 태어나 소설, 희곡, 평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일본의 전통과 현대 사이의 갈등을 작품에 담아낸 20세기 일본 문학의 중요한 인물이며, 1970년 자위대에서 쿠데타를 시도하다 실패하고 할복 자살했다. - 자살한 작가 - 마광수
마광수는 대한민국의 국문학자이자 작가, 대학교수로, 시인과 소설가로 활동하며 성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문학관으로 기성 문단과 갈등을 빚었고, 소설 《즐거운 사라》로 외설 논란에 휩싸인 인물이다.
사기사와 메구무 | |
---|---|
기본 정보 | |
이름 | 메구무 사기사와 |
원어 이름 | 鷺沢萠 |
출생 이름 | 메구미 마쓰오 (, Matsuo Megumi) |
출생일 | 1968년 6월 20일 |
출생지 | 세타가야구, 도쿄, 일본 |
사망일 | 2004년 4월 11일 |
사망지 | 메구로, 도쿄, 일본 |
직업 | 소설가 극작가 |
배우자 | 고 리주 (1990년 - 1991년) |
대표 작품 | 가와베리노 미치 가케루 쇼넨 |
수상 | 이즈미 교카 문학상 분게이슌주 신인상 |
웹사이트 | 메구무 사기사와 공식 웹사이트 |
기타 정보 | |
데뷔 작품 | "가와베리노 미치"(1987년) |
주요 작품 | 마치에데요, 기스오시요 (1991년) 대통령의 크리스마스 트리 (1994년) F 낙제생 (1996년) |
아버지 | 사기사와 쇼지로 |
활동 기간 | 1987년 - 2004년 |
2. 생애
사기사와 메구무는 부모의 이혼, 작가로서의 성공과 좌절, 한국계 일본인으로서의 정체성 탐구, 갑작스러운 죽음 등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다.
1987년 도쿄도립 유키가야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조치 대학 외국어문학부 러시아어학과에 입학했으나 제적되었다. 1993년 연세대학교 부속 어학연구원에 유학해 한국어를 공부했다.[1] 1990년 영화 감독 리쥬 고와 결혼했으나 1년 만에 이혼했다.[1][7]
2004년 4월 11일, 도쿄도 메구로구 자택에서 사망한 채 발견되었다. 향년 35세였다. 처음에는 심부전으로 알려졌으나, 이후 도쿄도 경찰청은 자살로 추정된다고 발표했다.[1][8][13]
2. 1. 초기 생애 (1968-1987)
사기사와 메구무는 1968년 6월 20일 일본 도쿄도 오타구에서 네 자매 중 막내로 태어났다.[1] 8살 때 아버지가 땅을 사면서 다엔조후에서 자랐다. 열다섯 살 때 부모가 이혼했다.[3] 아버지는 교육 출판사 코키출판 대표이자 『싸워라 리키』 등의 저자인 사기사와 쇼지로이다. 사기사와는 한국계로, 할머니는 대한민국 대천에서 태어나 일본으로 이민 온 1세대 한국 이민자였으며 도쿄에서 일본인 남성과 결혼했다.[3][4][5]1987년 도쿄도립 유키가야 고등학교를 졸업했다.[1] 이후 조치 대학 외국어문학부 러시아어학과에 입학했으나 제적되었고, 1993년 연세대학교 부속 어학연구원에 유학했다.
1987년 「강가의 길」로 제64회 문학계 신인상을 수상하며 여자 대학생 소설가로 데뷔했다. 당시 최연소 수상이었다.[17] 「강가의 길」 응모 당시에는 아버지 쇼지로가 사용했던 필명인 「공목룡타로(公木龍太郎)」를 기반으로 한 공목 메구무(公木 萠)라는 필명을 사용했다.
2. 2. 등단과 작가 활동 (1987-2004)
사기사와 메구무는 대학교 재학 중이던 1987년에 고등학교 시절에 쓴 데뷔 소설 川べりの道|카와베리노 미치일본어 (가칭: 강가의 길)를 출판했다.[2] 이 소설은 청소년기의 고뇌를 섬세하게 묘사하여 호평을 받았다. 그녀는 이 소설로 문학계 신인상을 수상했으며, 18세의 나이로 최연소 수상자라는 기록을 세웠다. 같은 해 소피아대학교 외국어학과에 진학하여 러시아어를 전공했지만 졸업 전에 중퇴했다.[6][7]1989년에는 帰れぬ人びと|카에루무 히토비토일본어 (가칭: 돌아오지 않는 사람들)을 출판하여 아쿠타가와상 후보에 올랐지만 수상하지는 못했다.[6] 이후 아쿠타가와상 후보에 네 번 더 이름을 올렸다.[8] 1992년에는 소설 駆ける少年|카케루 쇼넨일본어 (가칭: 달리는 소년)으로 이즈미 쿄카 문학상을 수상했다.[9] 이 소설을 집필하는 동안 그녀는 할머니가 원래 한국 출신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녀는 1993년 연세대학교에서 유학하며 한국어를 공부하기 시작했다. 2002년에는 자전적 소설 私の話|와타시노 하나시일본어 (가칭: 나의 이야기)를 출판했다.[8]
사기사와는 수필가이자 어린이 그림책 번역가로도 알려져 있다.[1] 그녀는 사망할 때까지 코미디를 제작하는 극단 イルカ団|이루카 단일본어 (가칭: 돌핀 그룹)에서 각본가 겸 감독인 小林ヒデタケ|코바야시 히데타케일본어 (가칭: 고바야시 히데타케)와 함께 일했다.[10][11] 그녀의 책 ウェルカム・ホーム!|우에루카무 호무일본어 (가칭: 환영합니다!)는 2004년 3월 말에 처음 출판되었고, 6월에 그녀 자신의 프로덕션으로 공연될 예정이었다.[8]
2. 3. 재일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
사기사와는 한국계였다. 그녀의 할머니는 대한민국 대천에서 태어나 일본으로 이민 온 1세대 한국 이민자였으며, 도쿄에서 일본인 남성과 결혼했다.[3][4][5] 1992년 소설 駆ける少年|카케루 쇼넨|달리는 소년일본어을 집필하는 동안 할머니가 한국 출신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1993년 연세대학교에서 유학하며 한국어를 공부하기 시작했다.[8]2. 4. 결혼과 이혼
사기사와는 1990년에 리쥬 고(일본어: りじゅう ごう/李重豪) 감독과 결혼했으나, 1년 후 이혼했다.[1][7]2. 5. 사망
사기사와 메구무는 2004년 4월 11일 일본 도쿄 메구로 자택에서 사망했다.[1] 사인은 처음에는 심부전으로 보고되었으나, 나중에 도쿄도 경찰청에 의해 자살로 밝혀졌다.[1][8][13] 사망 후, 한국의 조선일보, 한겨레, 동아일보는 그녀를 일본의 대표적인 재일 한국인 여성 작가 중 한 명으로 묘사했다.[14][15][16]3. 작품 세계
사기사와 메구무는 소설가이자 수필가, 어린이 그림책 번역가로도 활동했다.[1] 그녀의 소설은 복잡한 인간관계와 "젊은이들의 불안"을 주제로 다루는 것이 특징이다.[6]
1987년 고등학교 시절 쓴 소설 川べりの道|카와베리노 미치일본어(강가의 길)로 문학계 신인상을 최연소(18세)로 수상하며 문단에 데뷔했다.[2] 이 소설은 청소년기의 고뇌를 섬세하게 묘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2] 1989년에는 帰れぬ人びと|카에루무 히토비토일본어(돌아오지 않는 사람들)로 아쿠타가와상 후보에 올랐으며,[6] 1992년에는 駆ける少年|카케루 쇼넨일본어(달리는 소년)으로 이즈미 쿄카 문학상을 수상했다.[9]
1993년 연세대학교에서 유학하며 한국어를 공부했는데, 이는 駆ける少年|카케루 쇼넨일본어 집필 중 할머니가 한국 출신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 것이 계기가 되었다.[9] 2002년에는 자전적 소설 私の話|와타시노 하나시일본어(나의 이야기)를 출판했다.[8]
사기사와는 극단 イルカ団|이루카 단일본어(돌핀 그룹)에서 각본가 겸 감독인 小林ヒデタケ|코바야시 히데타케일본어와 함께 코미디 작품을 만들기도 했다.[10][11] 2004년에는 小林ヒデタケ|코바야시 히데타케일본어와 공동으로 ばら色の人生|바라 이로노 진세일본어를 출판하였다. 그녀의 책 ウェルカム・ホーム!|우에루카무 호무일본어(웰컴 홈)는 2004년 3월 말 출판되었고, 같은 해 6월에 그녀 자신의 프로덕션으로 공연될 예정이었다.[8]
3. 1. 주요 작품
사기사와 메구무는 20편이 넘는 소설과 단편 소설집을 출간했으며, 그녀의 작품은 이탈리아어, 한국어, 영어로도 번역되었다.[1] 다음은 주요 작품 목록이다.제목 | 출판 연도 | 출판사 | 비고 |
---|---|---|---|
川べりの道|카와베리노 미치일본어 (강가의 길) | 1987 | ||
帰れぬ人びと|카에루무 히토비토일본어 (돌아오지 않는 사람들) | 1989 | 분게이슌주(文藝春秋) | 아쿠타가와상 후보작[6] |
少年たちの終わらない夜|쇼넨타치노 오와라나이 요루일본어 (소년들의 끝나지 않는 밤) | 1989 | 카와데쇼보 신샤 | |
海の鳥、空の魚|우미노 토리, 소라노 사카나일본어 (바다의 새, 하늘의 물고기) | 1990 | 가도카와쇼텐(角川書店) | |
スタイリッシュ・キッズ|스타이릿슈 킷즈일본어 (스타일리쉬 키즈) | 1990 | 카와데쇼보 신샤 | |
葉桜の季節|하이자쿠라노 키세츠일본어 (잎새 벚나무의 날) | 1990 | 신초샤 | |
町へ出よ、キスをしよう|마치에 데요, 키스오 시요일본어 (거리로 나가자, 키스를 하자) | 1991 | ||
駆ける少年|카케루 쇼넨일본어 (달리는 소년) | 1992 | 분게이슌주(文藝春秋) | 이즈미 쿄카 문학상 수상작[9] |
ケナリも花、サクラも花|케나리모 하나, 사쿠라모 하나일본어 (개나리도 꽃 사쿠라도 꽃) | 1994 | ||
君はこの国を好きか|키미와 코노 쿠니오 스키카일본어 (그대는 이 나라를 사랑하는가) | 1997 | 신초샤 | |
過ぎし川、けぶりし橋|스기시 카와, 케부리시 하시일본어 (지나는 강, 흐려진 다리) | 1999 | 신초샤 | |
終の二人|츠이노 후타리일본어 (최후의 두 사람) | 1999 | 가도카와쇼텐(角川書店) | |
私の話|와타시노 하나시일본어 (나의 이야기) | 2002 | 카와데쇼보 신샤 | |
ウェルカム・ホーム!|우에루카무 호무일본어 (웰컴 홈) | 2004 | 신초사(新潮社)[12] | |
ビューティフル・ネーム|뷰티푸루 네무일본어 (뷰티풀 네임) | 2004 | 신초샤 | |
私はそれを我慢できない|와타시와 소레오 가만데키나이일본어 (난 그걸 참을 수 없다) | 1995 | ||
ありがとう|아리가토일본어 (고마워) | 2000 | 원래 제목은 旅人・旅の途中|타비비토・타비노 도추일본어 (나그네, 여행 도중) |
3. 2. 작품 목록
사기사와 메구무는 소설, 수필, 번역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분야 | 작품 목록 (출판 연도) |
---|---|
소설 | |
번역 |
3. 2. 1. 소설
사기사와 메구무의 소설 작품들은 복잡한 인간관계와 "젊은이들의 불안"과 같은 주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평가받는다.[6] 그녀는 20편이 넘는 소설과 단편 소설집을 출간했으며, 이 작품들은 이탈리아어, 한국어, 영어로 번역되었다.[1]작품 목록은 다음과 같다.[5][6][11]
- 강가의 길|川べりの道|Kawaberi no michi일본어, 1987
- 돌아오지 않는 사람들|帰れぬ人びと|Kaerenu hitobito일본어, 문예춘추(文藝春秋), 1989
- 스타일리시 키즈| |Stairisshū kittzū일본어, 가와데쇼보신샤(河出書房新社), 1990
- 달리는 소년|駆ける少年|Kakeru shōnen일본어, 문예춘추(文藝春秋), 1992
- 영어 번역: Grillo, Tyran. ''The Running Boy and Other Stories'', Cornell University Press, 2020
- 행 루즈| |Hangu rusu일본어, 가와데쇼보신샤(河出書房新社), 1993
- 개나리도 꽃, 벚꽃도 꽃| |Kenari mo hana, sakura mo hana일본어, 1994
- 키네마 순보|キネマ旬砲|Kinema junpō일본어, 가도카와쇼텐(角川書店), 2002
- 장미빛 인생|ばら色の人生|일본어, 사쿠힌샤(作品社), 2004 (고바야시 히데타케(小林秀武)와 공저)
- 웰컴 홈!|ウェルカム・ホーム!|Uerukamu hōmu일본어, 신초사(新潮社), 2006[12]
- 『소년들의 끝나지 않는 밤』(1989년) 카와데쇼보 신샤 발행, 후에 문고본 발행
- 『바다의 새, 하늘의 물고기』(1990년) 각카쿠쇼텐 발행, 후에 문고본 발행
- 『잎새 벚꽃의 날』(1990년) 신초샤 발행, 후에 문고본 발행
- 잎새 벚꽃의 날 『신초』(1990년 8월호)
- 과일의 배를 강에 띄워 『신초』(1989년 12월호)
- 『사랑해』(1991년) 각카쿠쇼텐 발행, 후에 문고본 발행
- 『달리는 소년』(1992년) 분게이슌주 발행, 후에 문고본 발행
- 은하의 마을(「푸르스름한 빛」 개제명) 『문학계』(1987년 12월호)
- 달리는 소년 (1989년 12월호)
- 야윈 등 (1991년 12월호)
- 『대통령의 크리스마스 트리』(1994년) 고단샤 발행, 후에 문고본 발행(1996년 영화화)
- 『기적의 섬』(1994년) 아사히출판사 발행, 후에 각카쿠문고 발행
- 『꿈을 꾸지 않고 잠들다』(1996년) 고단샤 발행, 후에 문고본 발행
- 『F 낙제생』(1996년) 각카쿠쇼텐 발행, 후에 문고본 발행(1998년, 『F (에프)』라는 제목으로 영화화)
- 『바이바이』(1997년) 각카쿠쇼텐 발행, 후에 문고본 발행
- 『너는 이 나라를 좋아하니』(1997년) 신초샤 발행, 후에 문고본 발행
- 『지나간 강, 연기 나는 다리』(1999년) 신초샤 발행, 후에 문고본 발행
- 『끝자락의 두 사람』(1999년) 각카쿠쇼텐 발행, 후에 문고본 발행
- 『실연』(2000년) 지쓰교노니혼샤 발행, 후에 신초문고 발행
- 『나의 이야기』(2002년) 카와데쇼보 신샤 발행, 후에 문고본 발행
- 『뷰티풀 네임』(2004년) 신초샤 발행, 후에 문고본 발행
- 봄의 거처(미완, 2006년 영화화)
3. 2. 2. 에세이
제목 | 출판사 | 출판일 | 비고 |
---|---|---|---|
돌아가지 못하는 사람들 | |||
소년들의 끝나지 않는 밤 | |||
바다의 새, 하늘의 물고기 | |||
스타일리쉬 키즈 | |||
벚나무의 날 | |||
거리로 나가자, 키스를 하자 | 광제당출판(廣済堂出版) → 신초문고 | 1991년 | |
달리는 소년 | |||
개나리도 꽃 사쿠라도 꽃 | 신초사(新潮社) → 문고본 | 1994년 | |
난 그걸 참을 수 없다 | 다이와쇼보(大和書房) → 신초문고 | 1995년 | |
그대는 이 나라를 사랑하는가 | |||
최후의 두 사람 | |||
지나는 강, 흐려진 다리 | |||
나의 이야기 | |||
나그네, 여행 도중 (후에 문고화되며 고마워.로 개정) | 가가와쇼텐(角川書店) | 2000년 | |
웰컴 홈 | |||
뷰티풀 네임 | |||
THEY THEIR THEM | 가가와쇼텐(角川書店) | 1992년 | 1995년 문고본 발행 시 『그런 의도는 아니었습니다』로 제목 변경 |
월간 사기사와 | 고단샤(講談社) → 문고본 | 1994년 | |
터무니없는 방과 후 | 다이와쇼보(大和書房) → 신초문고 | 1998년 | |
코마의 어머니 | 고단샤(講談社) → 문고본 | 1998년 | |
술과 주사위의 나날 | 푸타바샤(双葉社) → 신초문고 | 1998년 | |
사기사와@오피스 메메 | 가가와문고(角川文庫) | 2000년 | |
사기사와@오피스 메메 덴덴무시국 창립! 건국편 | 가가와문고(角川文庫) | 2001년 | |
키네마 슌포 | 가가와쇼텐(角川書店) | 2002년 | |
사기사와@오피스 메메 우리 집에 없어, 나! 방언 배틀편 | 가가와문고(角川文庫) | 2002년 | |
이 행성 위를 걷자 | 다이와쇼보(大和書房) | 2002년 | 2007년 가가와문고(角川文庫) 발행 시 『기다려주는 사람』으로 제목 변경 |
귀여운 아이에게는 여행을 시키지 마라 | 다이와쇼보(大和書房) → 가가와문고(角川文庫) | 2004년 | |
시네마 봄! CINEMA BOMB! | 액세스 퍼블리싱(アクセス・パブリッシング) | 2004년 | |
빌어라, 끝까지・사기사와 마작 | 타케쇼보(竹書房) | 2004년 | 사기사와 마작은 마작 관련 에세이집 |
내일이 좋은 날이기를. 사기사와@오피스 메메 | 가가와쇼텐(角川書店) | 2005년 |
3. 2. 3. 번역
출판 연도 | 제목 | 출판사 | 비고 |
---|---|---|---|
1994년 | Cowboys Are My Weakness|사랑스런 불량배영어 | 고단샤 | 팸 휴스턴 저, 후에 문고화 |
1995년 | 케이티와 큰 곰 | 고단샤 | 헬만 메엘스 글, 요제프 빌콘 그림 |
1996년 | Snoopy|스누피영어 박사의 개의 마음이 이해되는 책 | 고단샤 | 후에 문고화 |
1997년 | 고양이의 선물 | 고단샤 | 리 W. 라트리지 저, 후에 문고화 |
1997년 | 마리온의 달 | 고단샤 | 요제프 빌콘 저 |
1997년 | 동물원에서 도망치자! | 고단샤 | 요제프 빌콘 저 |
1998년 | 작은 늑대 | 고단샤 | 요제프 빌콘 저 |
1999년 | 클라라, 행복을 찾아서 | 고단샤 | 요제프 빌콘 저 |
2004년 | La vie en Rose|장밋빛 인생프랑스어 | 작품사 | |
2004년 | 붉은 물, 검은 물 | 작품사 | 미즈사키 마나미와의 공저 |
4. 수상 경력
연도 | 상 이름 | 작품명 | 비고 |
---|---|---|---|
1987년 | 문학계 신인상 | 강가의 길 | 수상, 등단 |
1989년 |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상 | 돌아오지 않는 사람들 | 후보 |
1990년 | 미시마 유키오 상 | 과실의 배를 강에 띄워 | 후보 |
노마 문예 신인상 | 돌아오지 않는 사람들 | 후보 | |
1991년 |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상 | 잎벚꽃 피는 날 | 후보 |
1992년 | 미시마 유키오 상 | 진정한 여름 | 후보 |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상 | 진정한 여름 | 후보 | |
1992년 | 이즈미 쿄카 문학상 | 달리는 소년 | 수상 |
1993년 | 노마 문예 신인상 | 행 루즈 | 후보 |
1997년 |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상 | 너는 이 나라를 좋아하니 | 후보 |
5. 기타
- 좋아하는 작가는 심택칠랑(深沢七郎), 안오카 쇼타로(安岡章太郎), 무라마쓰 유지(村松友視)이다.
- 차를 좋아해서 수동차를 선호했다.
- 에세이 집필 외에도 소설과 그림책 번역도 했다. 작품은 이탈리아, 한국 등에서도 번역되었다.
- 대단한 마작 애호가로도 알려져 있다.
- 자매 구성은 큰언니와 8살, 둘째 언니와 6살, 셋째 언니와 4살 차이가 난다.
- 산케이 신문(産経新聞) 인터뷰에서 "물이 없으면 불안하다"며 물에 대한 중독증(依存症)과 같은 상태임을 이야기한 적이 있다.
- 흡연자이기도 했다.
- 사카이 준코(酒井順子)와는 동갑내기인데다 절친이며, 사기자와의 작품에 많은 서평을 써주었다. 무라구미 료코(群ようこ)의 경우 언니와 닮았다는 이유로 "언니"라고 불렀다.
- 자신은 친한 사람들에게 "메메(めめ)", "메메짱(めめちゃん)"이라는 애칭으로 불린다. 공식 사이트 "Office Meimei"의 일기에서 후지와라 이오리(藤原伊織)(사이트에서는 "이오린(いおりん)"이라는 핸들네임을 사용)와 자주 교류했다. 사기자와의 토크 라이브에 후지와라 이오리가 게스트로 출연한 적도 있다.
참조
[1]
서적
The Running Boy and Other Stories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020-04-15
[2]
웹사이트
早生の天才作家・鷺沢萠の小説おすすめランキングトップ5!
https://honcierge.jp[...]
[3]
뉴스
한국유학온 일 신예작가 사기사와 메구무
https://news.joins.c[...]
1993-04-14
[4]
서적
Zainichi (Koreans in Japan): Diasporic Nationalism and Postcolonial Identit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8-11-17
[5]
학술지
Constructing the self in Megumu Sagisawa's and Miri Yu's travelogues: a case study of two Japan-based female writers of Korean origin
2016-10-28
[6]
웹사이트
Biographies of modern Japanese authors N–S
http://www.jlit.net/[...]
[7]
웹사이트
クリエイターズワールド/執筆前夜
http://www.creatorsw[...]
2004-01-09
[8]
뉴스
作家の鷺沢萠さんが死去
http://www.asahi.com[...]
The Asahi Shimbun Company
2004-04-15
[9]
웹사이트
泉鏡花文学賞
https://www4.city.ka[...]
City of Kanazawa
2019-08-18
[10]
보도자료
2004年に急逝した作家・鷺沢 萠が一番つたえたかった"差別"と"絆"がテーマのコメディ2作品「ウェルカム・ホーム!」「ばら色の人生」を8月30日から7日間公演
https://www.value-pr[...]
2016-08-02
[11]
웹사이트
小林ヒデタケ
http://www.maroon.dt[...]
[12]
뉴스
家族を家族たらしめるのは血のつながりじゃない。号泣必至。電車の中で読んだら超危険
https://news.nicovid[...]
Niconico
2020-03-14
[13]
뉴스
作家の鷺沢萠さんは自殺
http://www.asahi.com[...]
The Asahi Shimbun Company
2004-04-15
[14]
뉴스
한국계 日작가 사기사와 메구무 자살
https://m.chosun.com[...]
2004-04-18
[15]
뉴스
한국계 일 여성작가 사기사와 메구무 자살 : 문화생활 : 인터넷한겨레
http://legacy.www.ha[...]
2004-04-18
[16]
뉴스
재일교포작가 사기사와 메구무 자살
https://www.donga.co[...]
2004-04-18
[17]
문서
『駆ける少年』あとがき
[18]
뉴스
「川べりの道」「葉桜の日」作家の鷺沢萠さんが急死
https://www.yomiuri.[...]
2004-04-15
[19]
뉴스
鷺沢萠さん死去は自殺/遺書はなし
https://www.shikoku-[...]
2021-06-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