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략은 국가가 발급한 사략 면허를 통해 합법적인 지위를 얻어, 해적 행위와 구분되는 해상 활동을 의미한다. 사략선은 전쟁 시 자국의 이익을 위해 적국의 선박을 공격, 나포하는 역할을 했으며, 17세기와 18세기 해상 군사력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다. 사략선은 국가의 지원을 받으며 활동했지만, 전쟁이 끝나거나 면허가 만료된 후 해적 행위로 전환되는 경우도 있었다. 영국, 프랑스, 스페인 등 여러 국가에서 사략선이 활동했으며, 미국 독립 전쟁과 1812년 전쟁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1856년 파리 선언으로 사략선 이용이 포기되었고, 현대에는 사이버 공격을 하는 해커들을 사략선에 비유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략 - 코르세어
코르세어는 프랑스 국왕의 허가를 받아 적국 선박을 공격한 사략선으로, 12세기부터 활동하여 16세기에서 18세기 초 대서양과 카리브해에서 황금기를 누렸으나, 1856년 파리 선언으로 종식되었다. - 사략 - 파리 선언
파리 선언은 크림 전쟁 이후 해상법 관련 국제 기준을 확립하기 위해 체결되었으며, 사략선 폐지, 중립국 권리 보호, 적국 깃발 하의 물자 보호, 효과적인 봉쇄 원칙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 해상강도 - 위장술책 작전
위장술책 작전은 목표 달성을 위해 정보를 조작하거나 적대 세력을 기만하는 전략적 행위로, 정치, 군사, 사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허위 정보에 대한 비판적 사고와 투명성 확보 노력이 요구된다. - 해상강도 - 스페인 달러
스페인 달러는 스페인 제국에서 사용된 은화로, 8 스페인 레알의 가치를 지녀 '여덟 조각'이라고도 불렸으며, 아메리카 대륙의 은 생산을 바탕으로 국제 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아시아, 미국 등 다양한 문화권에 영향을 미쳤다. - 해양사 - 대항해시대
대항해시대는 15세기부터 17세기까지 유럽 국가들이 새로운 항로를 개척하고 식민지를 건설하며 세계를 탐험한 시기로, 유럽의 영향력 확대를 가져왔지만 아메리카 원주민 문명 파괴, 노예 무역 등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했다. - 해양사 - 범선 시대
범선 시대는 범선이 군함과 상선으로 주요 역할을 한 시대로, 18세기 중반부터 19세기 초 "범선의 황금기"를 거쳐 증기선의 등장과 수에즈 운하 개통으로 쇠퇴했으나, 현재 지속가능성 증대로 풍력 보조 선박 연구를 통해 새로운 가능성이 모색되고 있다.
사략 | |
---|---|
일반 정보 | |
![]() | |
다른 이름 | 코르세어 (Corsair) 프라이비티어 (Privateer) 사략선 |
법적 근거 | |
정의 | 전시 중 정부의 허가를 받아 적의 선박을 공격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선박 또는 선원 |
허가 문서 | 사략 면허장 (Letter of marque) 나포 면허장 (Letter of reprisal) |
국제법 | 1856년 파리 선언에 의해 폐지 일부 국가에서는 여전히 합법적인 전쟁 행위로 간주 |
역사 | |
기원 | 중세 시대의 해상 보복 행위에서 유래 |
주요 활동 시기 | 16세기부터 19세기까지 |
주요 활동 지역 | 카리브해 대서양 인도양 |
특징 | |
활동 동기 | 이익 추구 국가에 대한 기여 |
주요 대상 | 적국의 상선 및 군함 |
법적 지위 | 전쟁 포로로 대우받을 권리 |
사략선과 해적의 구별 | 정부의 허가 유무 공격 대상의 차이 |
유명한 사략선 | |
영국 | 프랜시스 드레이크 헨리 모건 |
프랑스 | 장 바르 로베르 쉬르쿠프 |
미국 | 장 라피트 존 폴 존스 |
사략 행위의 종말 | |
쇠퇴 원인 | 국가 해군의 성장 국제법의 발전 해적 행위와의 구별 어려움 |
공식적인 폐지 | 1856년 파리 선언 |
관련 용어 | |
코르세어 (Corsair) | 주로 지중해에서 활동한 북아프리카의 사략선 |
부카니어 (Buccaneer) | 17세기 카리브해에서 활동한 해적 |
해적 (Pirate) | 정부의 허가 없이 약탈 행위를 하는 선박 또는 선원 |
2. 법적 근거 및 해적과의 관계
사략선은 국가가 발급한 사략위임장(사략 면허)을 통해 합법적인 지위를 얻었으며, 이는 해적 행위와 구분되는 중요한 기준이었다.[2] 사략위임장은 특정 선박, 기간, 대상 등을 명시하여 사략선의 활동 범위를 제한했다. 사략선 선장은 획득물에 대한 합법성을 증명하기 위해 잠재적인 획득 선박의 선장에게 사략위임장을 제시해야 했으며, 획득 선박의 국적이 사략위임장을 발급한 국가의 적이 아닌 경우 그 선박을 획득물로 주장할 수 없었다. 만약 이를 어길 시에는 해적 행위로 간주되었다.
영국 법률에서는 1536년 해상범죄법(Offences at Sea Act 1536)에 따라 유효한 사략위임장 없이 선박을 습격하는 행위는 반역죄였다. 17세기 후반, 제임스 2세를 지지하는 사략선을 해적으로 기소하면서 해적 행위의 법적 틀이 반역죄에서 재산 범죄로 이동하기 시작했다.[2] 1717년 해적행위법(Piracy Act 1717) 통과로 사략선의 영국에 대한 충성심은 사략위임장을 발급한 군주의 충성심을 능가하게 되었고, 이는 사략선이 해적으로 변했을 경우 자국 법의 관할권 아래에 두는 데 도움이 되었다. 다른 유럽 국가들도 이를 따랐다. 이러한 변화는 유럽 국가들이 식민지 확장을 정당화하는 수단, 즉 식민지화 대상의 전통적인 해상 습격 활동을 범죄화하는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유럽 외 지역에서는 승인된 해상 습격에 대한 법적 개념이 훨씬 불분명했다. 지역 권한 형태에 대한 생소함으로 인해 육지와 바다에서 누가 합법적인 군주인지, 그들의 권위를 받아들일지, 또는 반대 당사자들이 실제로 해적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어려웠다. 지중해 코르세어는 유럽인과 미국인이 이해하기 어려운 종교적 권위 방식으로 활동했다. 술루 군도(현재 필리핀)의 술탄들은 노예 습격자 이라난 공동체에 대해 미약한 권한만 가졌으며, 무단 습격을 통제하기 위해 신중하게 짜여진 결혼과 정치 동맹의 그물을 만들었다.[3]
2. 1. 해적 행위로의 전환
전쟁이 끝나고 사략 면허가 만료된 후, 일부 사략선은 수익성 높은 사업을 포기하기 어려워 해적 행위로 전환하기도 했다.[9] 식민 당국은 새로 정착한 식민지 전초기지에서 절실히 필요한 수입을 가져다주는 숙련된 사략선 선원들의 해적 행위를 묵인하기도 했다.[5]윌리엄 키드는 윌리엄 3세로부터 해적을 사냥하는 사략위임장을 받았지만, 나중에 획득한 선박의 서류를 제시하지 못해 무죄를 증명할 수 없어 교수형을 당했다.[8] 이처럼 일부 사략선은 해적 혐의로 기소되기도 했다. 보스턴 목사 코튼 매더는 해적 존 켈치의 처형 후, 사략 행위가 너무 쉽게 해적 행위로 변질된다고 한탄했다.[10]
3. 주요 사략선
각국은 자국의 이익을 위해 활동한 사략선 선장들을 영웅시했다. 대표적인 사략선 선장은 다음과 같다.
4. 사략선의 역사
사략선은 낡은 군함이나 상선을 개조하여 만들어졌으며, 투자자들은 무장과 많은 선원을 모집하여 운영했다. 이들은 주로 단독으로 활동했지만, 함대를 이루거나 정규 해군과 협력하기도 했다. 1588년 스페인 무적함대에 맞선 영국 함대에도 사략선이 참여했다. 사략선은 군함과의 조우를 피했지만, 1815년 ''샤쇠르''호가 HMS ''세인트 로렌스''호를 만난 것처럼 예외적인 경우도 있었다.[11]
미국 독립 전쟁에서 미국은 프리깃과 사략선으로 구성된 혼성 함대를 운용했다. 프랑스 혁명 이후 프랑스 사략선들은 대서양 서부와 카리브해에서 영국과 미국의 선박에 위협이 되었고, 이는 준전쟁으로 이어졌다. 영국 해군은 프랑스 사략선에 대항하기 위해 버뮤다 슬루프를 확보했다.[11]
대항해시대 이후 항로가 전 세계로 확대되면서 각국은 해군력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민간선에 사략면허를 발행했다. 사략선은 해군력이 약한 국가가 통상파괴를 목적으로 하거나, 해군력이 저하된 국가가 통상로 유지를 위해 모집했다. 전자의 예로는 영국-스페인 전쟁 당시 영국이, 후자의 예로는 18세기 프랑스 사략선이 있다.
사략선은 정부에 부담이 없다는 점에서 용병과 유사했지만, 통제가 어려워 동맹국이나 자국 선박까지 공격하는 경우도 있었다. 17세기 이후에는 국가에 담보를 예납하게 하고, 법률을 통해 운영을 확립했다.
사략선은 때때로 '공인해적'이라고 불리기도 하지만, 엄밀히 말하면 해적은 아니다.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사략선에 의한 통상파괴를 '국가 차원의 해적 행위'라고 보기도 한다.
사략이라는 개념은 서유럽의 것이었으며, 현지 세력에게는 받아들여지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예를 들어, 네덜란드 동인도회사는 히라도(平戸)에 상관을 설치하고 초기에는 일본과의 무역이 부진하여 사략에 힘썼지만, 에도 막부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1621년에 해적 행위를 금지하는 로쥬 봉서를 발부했다.
16세기 중반, 카리브해에서 프랑스와 영국 사략선이 스페인 무역 항로를 공격했다. 윌리엄 호킨스는 사략 행위와 밀수로 큰 이익을 얻어 플리머스 시장이 되었고, 이는 모험 상인들의 등장을 이끌었다.
80년 전쟁에서 네덜란드 귀족들은 "게이젠"을 결성했고, 빌헬름 1세는 사략 면허장을 발행했다. 네덜란드 사략선은 스페인 상선을 습격하고 도시를 불태우며 독립 전쟁에 기여했다.
영국 사략선의 시작은 1243년 헨리 3세가 제프레이 선장에게 준 허가로 여겨지지만, 엘리자베스 1세 치하의 영국-스페인 전쟁 때 적극적으로 장려되었다. 프랜시스 드레이크의 세계 일주와 카디스 습격은 큰 업적으로 칭송받았다.
17세기에 카리브해의 에스파냐올라섬을 근거지로 스페인 선박을 노리는 해적 바카니어가 나타났고, 프랑스, 잉글랜드, 네덜란드는 이들에게 사략 면허를 주었다. 올리버 크롬웰의 "서방 정책"으로 자메이카를 점령한 잉글랜드는 토마스 모디포드 총독이 바카니어를 공인하여 포트로열을 발전시켰다. 헨리 모건은 스페인 도시들을 습격하고 파나마시티를 약탈, 파괴하여 기사 작위를 받고 자메이카 부총독이 되었다.
18세기 영국-프랑스 전쟁 중에는 많은 사략선이 활동했다.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에서 프랑스는 많은 사략선을 내보냈지만, 제해권은 영국이 쥐고 있었다.
미국 독립 전쟁에서는 1775년에 대륙 해군이 편성되었고, 약 1500척의 사략선이 참가했다. 존 폴 존스는 영국 본토 연안에서 견제 공격을 했지만, 많은 사략선은 주로 수송선이나 상선을 습격했다.
프랑스 혁명에서 나폴레옹 전쟁에 걸쳐 프랑스 측 사략선이 활약하여 교전국과 중립국을 약탈하고 대륙 봉쇄령을 지원했다. 프랑스령 서인도 제도에서는 사략 면허증이 공공연하게 팔렸고, 찰스턴 거주 프랑스인들은 위조된 위임장으로 사략선을 만들었다. 1798년 미국과 프랑스는 비공식적인 전쟁 상태에 들어갔고, 미국도 사략 면허를 발행했다.
미국 남북 전쟁에서 남부연합 정부는 사략선 면허를 발행했지만, 북부 해군에 의해 곧 진압되었다.
1856년 파리 선언에서 유럽 열강은 사략선 이용을 포기했고, 1907년 헤이그 평화 회의에서 무장 상선은 군함으로 등록되어야 한다는 것이 국제법으로 규정되면서 사략선의 관습은 소멸되었다.
4. 1. 개요
유럽에서 해상 약탈 허가 관행은 최소 13세기부터 시작되었으며, '사략선'이라는 단어는 17세기 중반에 등장했다.[12] 17세기와 18세기 해상 군사력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던 사략선은, 산업혁명 이후 국가의 폭력 독점과 양립할 수 없게 되면서 1856년 파리 선언을 통해 폐지되었다.[13]군함에 승선한 선원들은 임금과 식량을 지급받았지만, 상선과 사략선의 선원들은 노획물을 나눠 가졌다.[14] 이는 노동 계급에게 상당한 부를 얻을 기회를 제공했으며, 국가 재정이 부족했던 시대에 지역 선원들을 보조군으로 동원하는 수단이 되었다.[13]
제1차 영국-네덜란드 전쟁에서 영국 사략선들은 네덜란드 상선 1,000척 이상을 나포하며 네덜란드 무역에 큰 타격을 주었다. 1654년 영국-스페인 전쟁 동안에는 스페인과 플랑드르 사략선들이 1,500척의 영국 상선을 나포하기도 했다. 제2차 영국-네덜란드 전쟁과 제3차 영국-네덜란드 전쟁에서도 영국 무역은 네덜란드 사략선을 포함한 여러 사략선의 공격을 받았다. 피에트 피터르손 하인과 마그누스 하이나손은 스페인에 대항한 네덜란드 사략선 선장으로 유명하다.

4. 2. 영국/영국
영국은 잦은 전쟁과 해상 무역 의존으로 인해 사략선을 효과적으로 활용했다. 잉글랜드 왕국은 다른 국가의 사략 행위로 많은 피해를 보기도 했다. 15세기에는 제도적 구조와 조직적인 재정이 부족하여 해적 행위가 증가하자, 브리스톨과 같은 상인 공동체가 자구책으로 상업을 보호하기 위해 자비로 배를 무장하고 장비하기 시작했다.[15] 왕실은 이러한 개인 소유 상선에 면허를 발급하여 해적으로 간주되는 선박을 합법적으로 나포할 수 있게 하였다.[15]엘리자베스 1세 여왕(1558~1603) 재위 기간 동안 보조 해군 발전을 장려했다.[16] 그녀는 프랜시스 드레이크, 월터 롤리 같은 해상 약탈자(엘리자베스 시대의 해상견으로 알려짐)를 허가하여 공식적으로 거리를 두면서도 약탈에서 얻은 금을 누렸다.[18] 영국-스페인 전쟁(1585–1604) 기간 동안, 잉글랜드는 재정 부족으로 이베리아 선박을 공격하기 위해 계속해서 사략선에 의존했다.[19]
엘리자베스 1세 이후 제임스 1세, 찰스 1세는 사략을 허용하지 않았다. 그러나 앤 여왕은 값비싼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에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사략을 재개했고, 군주가 가져가는 비율을 없애기도 했다.[2] 18세기 내내 영국 사략선에 면허를 계속 발급했으며, 사략선 선원들은 영웅적인 애국자로 여겨졌다. 영국 사략선은 나폴레옹 전쟁에서 마지막으로 대거 등장했다.[21]
1609년 우연히 건설된 버뮤다(또는 소머스 제도)는 1612년 공식적으로 버지니아 회사의 영토가 된 이후 영국 사략선의 기지로 사용되었다.[24][25] 특히 버뮤다의 워릭 구의 이름이 된 워릭 백작 로버트 리치 소유의 배들을 중심으로 사용되었다. 많은 버뮤다인들이 17세기 내내 사략선 선원으로 고용되었다.
4. 3. 버뮤다
17세기부터 버뮤다는 사략선의 기지로 활용되었다. 특히 버뮤다 슬루프는 빠른 속도 덕분에 상업 및 사략 활동에 모두 적합한 선박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1684년 소머스 제도 회사(Somers Isles Company)가 해산된 이후, 버뮤다 주민들은 해양 무역에 전념하면서 상선과 사략선으로 버뮤다 슬루프를 적극 활용했다.[24][25]버뮤다 사략선은 18세기 여러 전쟁에서 활약했다.
전쟁 | 기간 |
---|---|
킹 윌리엄 전쟁 | 1688년 ~ 1697년 |
앤 여왕 전쟁 | 1702년 ~ 1713년[26][27] |
젠킨스의 귀 전쟁 | 1739년 ~ 1748년 |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킹 조지 전쟁) | 1740년 ~ 1748년 |
7년 전쟁 (미국에서는 프랑스-인디언 전쟁으로 알려짐) | 1754년 ~ 1763년 |
미국 독립 전쟁 | 1775년 ~ 1783년 |
영국-스페인 전쟁 | 1796년 ~ 1808년[28][29] |
18세기 중반, 버뮤다는 대륙 식민지보다 두 배나 많은 사략선을 운용했다. 버뮤다 사략선은 많은 선원을 태우고 출항하여, 더 큰 선박을 제압하는 데 유리했다. 또한, 나포한 선박을 본국으로 송환하는 데 필요한 인력을 확보할 수 있었다.[31]
미국 독립 전쟁 동안, 버뮤다 사략선은 미국 선박을 공격하여 경제적 이익을 추구했다. 그러나 버뮤다와 미국 식민지 간의 무역은 계속되었으며, 일부 역사가들은 버뮤다 슬루프가 미국에 불법적으로 판매되어 독립에 기여했다고 주장한다.[31]
1812년 전쟁에서 버뮤다 사략선은 다시 등장하여 298척의 선박을 나포했다. 이는 그레이트 레이크스와 서인도 제도 사이에서 영국 해군과 사략선이 나포한 전체 선박의 약 19%에 해당한다.[40]
4. 4. 프로비던시아 섬 식민지
버뮤다인들은 니카라과 연안의 프로비덴시아 섬(Isla de Providencia)에서 벌어진 단기간 존속했던 영국 식민지에서 사략 활동에 참여했다. 1631년, 약 80명의 버뮤다인들이 프로비덴시아로 이주했다. 이들은 본래 상품 작물 재배를 목표로 했으나, 스페인 지배 영토 한가운데 위치했기 때문에 빠르게 사략선 기지로 변모했다.버뮤다 출신 사략선 선장 다니엘 엘프리스(Daniel Elfrith)는 1625년 ''소머 섬(Somer Ilands)'' (버뮤다 제도의 다른 이름, 제독 조지 소머스(Sir George Somers) 경 기념)을 타고 사략 항해 중 니카라과 연안에서 두 개의 섬을 발견했다. 엘프리스는 프로비덴시아 섬에 대한 소식을 가지고 버뮤다로 돌아왔고, 버뮤다 총독은 엘프리스를 대신하여 사업가이자 워릭 백작의 사촌인 네사니엘 리치 경에게 편지를 썼다. 리치는 "인디언의 중심부이자 스페인인들의 입구에 위치해 있다"는 전략적 위치를 언급하며 섬 식민지화를 제안했다. 엘프리스는 1631년 식민지 군대의 제독으로 임명되어 7년 이상 최고 군사 사령관으로 활동하며, 카리브해에 도착한 다른 사략선 선장과 해군 장교들에게 안내자 역할을 했다. 그는 유명한 사략선 선장 디에고 엘 뮬라토(Diego el Mulato)를 섬으로 초청하기도 했다.
스페인은 콜론주 포르토벨로(Portobelo, Colón)의 파나마 지협(Isthmus of Panama)에서 영국인들을 사로잡은 1635년까지 프로비덴시아 섬 식민지에 대해 알지 못했다. 카르타헤나(Cartagena, Colombia)의 총독 겸 사령관 프란시스코 데 무르가(Francisco de Murga)는 식민지를 파괴하기 위해 병력을 파견했으나, 스페인군은 격퇴되어 "급히 그리고 혼란스럽게" 후퇴했다.[2] 공격 후, 잉글랜드의 찰스 1세(Charles I of England) 국왕은 1635년 12월 21일 프로비덴시아 섬 회사에 사략 허가장(letters of marque)을 발급하여 스페인을 공격할 수 있도록 허가했다. 회사는 섬을 기지로 사용하는 하청 사략선에 유료로 사략 허가장을 발급할 수 있었고, 이는 곧 중요한 수입원이 되었다. 1636년 3월, 회사는 로버트 헌트 선장을 ''블레싱(Blessing)''호에 태워 총독직을 맡도록 파견했다.
1640년, 런던의 스페인 대사는 영국이 스페인 신하들을 약탈하고 살해하는 것에 대해 항의했다. 이전 버뮤다 총독이었던 네사니엘 버틀러(Nathaniel Butler)는 1638년에 헌트를 대신하여 프로비덴시아 섬의 마지막 정식 총독이 되었다. 같은 해, 카르타헤나의 총독 겸 사령관인 멜코르 데 아길레라(Melchor de Aguilera)는 섬에 만연한 해적들을 제거하기 위해 병력을 파견했다. 치열한 전투 끝에 스페인군은 철수했고, 카터는 스페인 포로들을 처형했다.
스페인은 패배에 대한 복수를 위해 필리프 4세(Philip IV of Spain) 국왕의 명령에 따라 프란시스코 디아스 피멘타(Francisco Díaz Pimienta) 장군이 이끄는 병력을 파견하여 1641년 5월 프로비덴시아를 점령했다. 피멘타는 섬을 점령하고 350명의 정착민을 사로잡았다. 스페인은 섬에서 금, 인디고, 코치닐, 600명의 흑인 노예 등 총 500,000 두캇의 가치가 있는 전리품을 발견했다.[3] 피멘타는 섬을 유지하고 네덜란드의 점령을 방지하기 위해 소규모 수비대를 남겼다.
4. 5. 스페인과 그 식민지
스페인이 카리브해 식민지에서 외국과의 상품 거래, 판매, 구매를 금지하는 법령을 발표하면서, 이 지역 전체는 해상 강대국 간의 권력 투쟁에 휘말렸다.[43] 나중에 독립한 미국이 이 상황에 개입하여 갈등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었다.[43] 그 결과, 스페인은 사략선 계약 발급을 늘렸다.[43] 이 계약은 스페인 정복자와 관련이 없는 식민지 주민들에게 수입원을 제공했다.18세기 스페인 식민지에서 가장 유명한 사략선 선장은 푸에르토리코의 미구엘 엔리케스와 산토 도밍고의 호세 캄푸사노-폴란코였다.[44] 미구엘 엔리케스는 푸에르토리코 출신의 물라토였는데, 구두 제작 일을 그만두고 사략선 선장으로 일하기 시작했다. 엔리케스의 성공은 대단해서 그는 신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사람들 중 한 명이 되었다. 그의 함대는 35년에 걸친 그의 경력 동안 약 300척의 다양한 선박으로 구성되었고, 군사 자산이 되어 바를로벤토 함대의 효율성을 능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엔리케스는 기사 작위를 받고 그의 민족적, 사회적 배경으로는 전례 없는 일이었던 필립 5세로부터 돈이라는 칭호를 받았다. 스페인 출신 사략선 선장 중 가장 유명한 인물 중 한 명은 아마로 파르고였다.
4. 6. 프랑스
사략선(프랑스어: corsaire)은 프랑스 왕실을 대신하여 프랑스와 전쟁 중인 국가의 선박을 공격할 권한을 받은 사략선이었다. 나포한 선박과 화물은 경매에 부쳐졌으며, 사략선 선장은 그 수익의 일부를 받을 권리가 있었다. 프랑스 해군 인원은 아니었지만, 사략선은 선박의 지휘관이 유효한 사략 허가장(프랑스어: Lettre de Marque 또는 Lettre de Course)을 소지하고 있으며, 장교와 승무원이 당시의 해상법(admiralty law)에 따라 행동하는 경우 프랑스(및 동맹국)에서 정당한 전투원으로 간주되었다. 프랑스 왕실을 대신하여 행동했기 때문에, 적에게 나포되더라도 해적이 아닌 포로로서의 대우를 받을 수 있었다.[73] 사략선은 낭만적이고 화려한 이미지를 얻었기 때문에, "사략선"이라는 단어는 사략선, 심지어 해적을 가리키는 보다 낭만적이거나 화려한 일반적인 표현으로도 사용된다.
프랑스 혁명 이후 프랑스 사략선들은 대서양 서부와 카리브해에서 영국과 미국의 선박들에게 위협이 되었다. 이는 준전쟁으로 이어졌는데, 이는 프랑스와 미국 사이의 단기간의 분쟁으로, 주로 해상에서 벌어졌고, 영국 해군은 프랑스 사략선에 대항하기 위해 버뮤다 슬루프를 확보했다.[11]

프랑스 혁명에서 나폴레옹 전쟁에 걸쳐 프랑스 측 사략선이 활약하여, 교전국·중립국에 대해 약탈하고, 대륙 봉쇄령을 측면에서 지원했다. 혁명 후, 프랑스령 서인도 제도에서는 조건을 자유롭게 적을 수 있는 사략 면허증이 공공연하게 팔렸다. 또한, 찰스턴(Charleston) 거주 프랑스인들은 위조된 위임장을 근거로 사략선을 만들어 파괴 활동을 했다. 1797년 미 국무부의 보고서에는 연간 300척 이상의 미국 상선이 프랑스 사략선에 나포되었다고 한다. 이듬해인 1798년 미국과 프랑스는 비공식적인 전쟁 상태에 들어가 미국 측도 200척에 달하는 상선에 대해 대 프랑스 사략 면허와 보복적 나포 인가장을 발행했다.[73]
4. 7. 몰타
몰타 기사단 통치 시기, 사략(corso)은 몰타 경제의 중요한 부분이었다. 이는 기사단 통치 이전부터 시작되었지만, 기사단 통치 시기에 더욱 활성화되었다. 사략선들은 기사단의 대총장을 대신하여 사유선을 이용하여 항해했으며, 주로 오스만 제국의 상선을 공격할 권한을 가졌다.[45] 사략선에는 기사단 기사들, 몰타 원주민들, 그리고 외국인들이 포함되었다. 그들이 배를 나포하면 상품은 팔리고 선원과 승객들은 몸값을 받거나 노예로 팔렸으며, 기사단은 전리품 가치의 일정 비율을 가져갔다.[45] 사략 행위는 18세기 말까지 계속해서 성행했다.[46]4. 8. 미국
미국은 영국 식민지 시대부터 사략선을 활용했으며, 미국 독립 전쟁과 1812년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미국 독립 전쟁에서 미국은 프리깃과 사략선으로 구성된 혼성 함대를 사용했다.[11] 프랑스 혁명 이후 프랑스 사략선들은 대서양 서부와 카리브해에서 영국과 미국의 선박에 위협이 되었고, 이는 준전쟁으로 이어졌다.[11]
1609년 건설된 버뮤다는 17세기부터 사략선의 기지로 사용되었다. 버뮤다인들은 해양 무역에 종사하며 버뮤다 슬루프를 개발했고, 18세기 중반까지 대륙 식민지보다 두 배나 많은 사략선을 운용했다. 미국 독립 전쟁 동안 버뮤다 사략선들은 미국 선박을 공격했지만, 버뮤다와 미국 간의 무역은 계속되었다.
왕립전쟁 당시 약 3만 6천 명의 미국인들이 사략선에서 근무했다.[47] 1812년 전쟁 이후, 버뮤다 해군 기지 증설과 미국 법적 소송 등으로 버뮤다 사략선은 쇠퇴했다.
미국 헌법은 미국 의회에 사략 허가장 발급 권한을 부여했다. 미국 독립 전쟁 이후 30년 동안, 여러 국가들이 약 2,500척의 미국 선박을 나포했다.[50] 1800년 바르바리 해적국에 대한 몸값과 공물 지불액은 미국 연방 정부 연간 수입의 20%에 달했고,[51] 이는 미국이 제1차 바르바리 전쟁과 제2차 바르바리 전쟁을 치르게 된 원인이 되었다.
장 라피트와 그의 사략선들은 뉴올리언스 전투에서 앤드류 잭슨 장군을 도와 완전한 사면을 받았다.[57][58][59][60][61]
미국은 1856년 파리 선언의 초기 서명국은 아니었지만, 미국 남북 전쟁 이후 파리 선언 조항을 채택했다. 미국과 스페인은 미국-스페인 전쟁에서 사략선을 승인하지 않았다.[66]
4. 8. 1. 미국 독립 전쟁
미국 독립 전쟁 당시 미국 대륙 의회와 일부 주 정부는 영국 해군과 토리 사략선으로부터 전리품을 얻기 위해 상선 선장들에게 사략 면허를 발급했다. 이는 미국 해군 함선의 수가 적고 포로 교환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약 5만 5천 명의 미국 선원들이 사략선에 승선했다.[49] 이들은 전리품을 신속하게 판매하고, 수익을 재정가(개인 또는 회사)와 주(식민지)와 나누었다. 롱 아일랜드 사운드는 미국 독립 전쟁(1775~1783) 동안 사략 활동의 중심지였는데, 뉴욕을 오가는 대부분의 수송선이 이 해협을 통과했기 때문이다. 코네티컷주 뉴런던은 미국 식민지의 주요 사략선 항구였으며, 1778년부터 1779년까지 영국 해군의 봉쇄를 받았다. 뉴런던의 토마스 앤 네사니얼 쇼와 라임의 존 맥커디가 사략선의 주요 재정가였다. 영국군이 뉴런던과 그로턴을 급습하기 몇 달 전, 뉴런던 사략선이 ''Hannah''호를 나포했는데, 이는 전쟁 중 미국 사략선이 획득한 가장 큰 전리품으로 여겨진다. ''Hannah''호에는 클린턴 주지사(뉴욕)의 소중한 물품들이 많이 실려 있었기 때문에, 아놀드의 습격의 동기 중 하나가 보복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미국 사략선은 전쟁 동안 최대 300척의 영국 선박을 나포한 것으로 추정된다. 영국 선박 ''Jack''호는 케이프브르턴 해전에서 나포되어 미국 사략선으로 바뀌었지만, 노바스코샤 할리팩스 해전에서 다시 영국군에 나포되었다. 미국 사략선은 해전뿐만 아니라 1782년 루넨부르크 습격과 같이 영국 식민지의 여러 지역을 습격하기도 했다.
4. 8. 2. 1812년 전쟁
1812년 전쟁 당시 영국과 미국 정부는 모두 사략선을 이용했다.[52] 미국 의회는 영국 및 그 속령과의 전쟁을 선포하며, 대통령에게 사략선 허가증을 발부할 권한을 부여했다.[53] 매디슨 대통령은 500장의 사략선 허가증을 발부했다.[54]토마스 보일 선장은 볼티모어의 스쿠너선 코멧호와 클리퍼선 샤쇠르호를 지휘하며 50척이 넘는 영국 상선을 나포한 유명한 사략선 선장이었다.[55] 샤쇠르호는 1813년-1815년 활동으로 영국 상선에 15억달러의 피해를 입혔다. 볼티모어 사략선 함대는 500척의 영국 선박을 침몰시키거나 나포하여 1600만달러의 가치를 창출했는데, 이는 전쟁 기간 동안 나포된 모든 적선 가치의 약 3분의 1에 해당한다.[56]

제임스 드 울프의 사략선 함대는 1812년 전쟁의 해상 작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을 것으로 보인다. 그의 배 양키호는 전쟁에서 가장 재정적으로 성공적인 배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미국 사략선은 전쟁 중 나포된 1600척의 영국 상선 중 4분의 3을 차지할 정도로 해군보다 훨씬 성공적이었다.[52]
그러나 미국이 나포한 선박 중 상당수는 영국 해군에 의해 다시 나포되었다. 영국은 호송 시스템과 봉쇄를 통해 나포된 선박의 판매를 어렵게 만들었고, 이는 미국 사략선이 나포한 선박을 소각하도록 하는 명령으로 이어졌다. 200척이 넘는 미국 사략선이 영국 해군에 나포되어 봉쇄군에 사용되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812년 전쟁 중 사략선들은 미국 해안에서 활동하며 최대 2,500척의 영국 선박을 나포하거나 침몰시켰고, 영국 경제에 약 4000만달러의 피해를 입혔다.[52]
4. 8. 3. 남북 전쟁
미국 남북 전쟁 당시 사략 활동은 여러 형태를 띠었는데, 봉쇄 돌파를 포함하여 북부와 남부 모두의 이익을 위해 일반적으로 사략 행위가 발생했다. 사략 허가장은 종종 사선 회사 및 기타 사선 선박 소유주에게 발급되어 발급 정부에 적대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선박을 공격할 수 있도록 허가했다. 선박 승무원들은 남부연합에 보급품을 공급하거나 연합군을 지원하려는 선박을 찾기 위해 멀리 항해하는 인센티브로 나포한 선박에 실린 화물 및 기타 획득물을 보상받았다.[64]남북 전쟁 기간 동안 남부연합 대통령 제퍼슨 데이비스는 연합군 선박을 공격하거나 연합군 봉쇄를 통과하여 남부 항구로 긴급히 필요한 물자를 반입하는 데 선박을 사용할 사람에게 사략 허가장을 발급했다.[64]
남부연합으로 반입된 대부분의 물자는 민간 소유 선박으로 운송되었다. 남부연합이 군사 물자에 거의 어떤 가격이라도 지불할 의향이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여러 이해관계자들은 특별히 설계된 경량 해상 증기선, 즉 연합군 함선의 봉쇄 순찰을 따돌리도록 특별히 설계 및 건조된 봉쇄 돌파선을 설계하고 건조했다.[65]

4. 9. 라틴 아메리카

스페인 아메리카 독립 전쟁 기간 동안, 반란 정부는 스페인 무역을 파괴하고 스페인 상선을 나포하기 위해 사략선을 모집했다. 이 사략선들은 대부분 미국에서 왔으며, 영국, 미국, 프랑스 선원들이 주로 운항했다.[1]
5. 현대의 비유
현대의 컴퓨터 해커들은 옛날의 사략선 선장들에 비유되곤 한다.[67] 이들은 컴퓨터 시스템을 인질로 잡고, 피해자들에게 자신의 컴퓨터 시스템과 데이터에 대한 접근 권한을 복구하는 대가로 거액의 지불을 요구한다.[68] 에너지, 식량, 운송업계를 포함한 산업에 대한 최근 랜섬웨어 공격은 특정 국가 행위자의 영향권 안에 있거나 근처에 기반을 둔 범죄 조직이 저질렀으며, 해당 국가가 이를 알고 묵인했을 가능성도 있다.[69] 사이버 절도와 랜섬웨어 공격은 현재 미국에서 가장 빠르게 증가하는 범죄이다.[70] 비트코인 및 기타 암호화폐는 대기업, 병원 및 시 정부로부터 막대한 몸값을 갈취하는 데 이용되며, 잡힐 가능성은 거의 또는 전혀 없다.[71]
참조
[1]
서적
Mercenaries, pirates and sovereigns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2]
학술지
Prosecuting Privateers for Piracy: How Piracy Law Transitioned from Treason to a Crime against Property
2016-00-00
[3]
서적
The Sulu Zone 1768–1898
Singapore University Press
1981-00-00
[4]
서적
Pirates of the South China Coast
Stanford University Press
1987-00-00
[5]
서적
Naval History 1500–1680
Ashgate Publishing Limited
2005-00-00
[6]
서적
Pirates of the Americas
https://books.google[...]
ABC-CLIO
2017-09-12
[7]
서적
The Politics of Piracy: Crime and Civil Disobedience in Colonial America
https://books.google[...]
ForeEdge from University Press of New England
2019-01-31
[8]
서적
Captain Kidd and the War against the Pirates
Harvard University Press
1986-00-00
[9]
서적
History of the State of Rhode Island, Volume I: 1636–1700
https://books.google[...]
Appleton
2019-01-31
[10]
서적
Faithful warnings to prevent fearful judgments. Uttered in a brief discourse, occasioned, by a tragical spectacle, in a number of miserables under a sentence of death for piracy. At Boston in N.E. Jun. 22. 1704.: [Five lines of quotations]
https://quod.lib.umi[...]
2007-10-00
[11]
뉴스
Bermuda Gazette and Weekly Advertiser
https://web.archive.[...]
1795-08-15
[12]
학술지
The law and language of private naval warfare
[13]
웹사이트
Letters of Marque Today
https://www.navalgaz[...]
2022-06-29
[14]
서적
The Making of the Elizabethan Navy, 1540–1590: From the Solent to the Armada
Boydell
2009-00-00
[15]
서적
The Making of the Elizabethan Navy, 1540–1590: From the Solent to the Armada
Boydell
2009-00-00
[16]
서적
The Making of the Elizabethan Navy, 1540–1590: From the Solent to the Armada
Boydell
2009-00-00
[17]
서적
The Making of the Elizabethan Navy, 1540–1590: From the Solent to the Armada
Boydell
2009-00-00
[18]
서적
Trade, Plunder and Settlement 1480-1630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서적
Trade, Plunder and Settlement 1480-1630
Cambridge University Pr3ess
[20]
서적
A Nation of Pirates: English Piracy in its Heyday
https://archive.org/[...]
David & Charles
[21]
서적
Privateering, Piracy and British Policy in Spanish America 1810–1830
Boydell Press
2013-00-00
[22]
뉴스
The Legendary Captain Morgan Raids Panama!
https://www.thoughtc[...]
2017-10-19
[23]
웹사이트
The Newport Ship
http://www.newportpa[...]
2022-10-25
[24]
웹사이트
The Wreck of the Warwick, Bermuda 1619
https://core.tdar.or[...]
Center for Digital Antiquity, a collaborative organization and university Center at Arizona State University
2022-05-30
[25]
웹사이트
1619: Unrecoverably lost in Castle Harbour
https://warwick1619.[...]
The Warwick Excavation is a National Museum of Bermuda (NMB) project in partnership with Texas A&M and the Institute of Nautical Archaeology (INA), in association with The Global Exploration and Oceanographic Society (G-EOS) and Department of Archaeology at the University of Southampton.
2022-05-30
[26]
문서
Cedar on the Reef
http://thescholarshi[...]
[27]
웹사이트
Cedar on the reef: archaeological and historical assessments of the Eighteenth-Century Bermuda Sloop, exemplified by the wreck of the Hunter Galley
http://libres.uncg.e[...]
2019-02-06
[28]
서적
In the Eye of All Trade: Bermuda, Bermudians, and the Maritime Atlantic World, 1680–1783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010-00-00
[29]
간행물
Bermuda's Sailors of Fortune"
Bermuda Historical Society
1963-00-00
[30]
잡지
Foreign Interlopers at Bermuda's Turks Islands
2002-00-00
[31]
잡지
Bermuda in the Privateering Business
https://web.archive.[...]
The Bermudian
2023-11-26
[32]
서적
Bermudiana
Rinehart & Company, Inc.
1946-00-00
[33]
서적
Tidewater Triumph: The Development and Worldwide Success of the Chesapeake Bay Pilot Schooner
http://freepages.gen[...]
Schiffer Publishing
[34]
잡지
The Exodus
2001-06-00
[35]
서적
Bermuda From Sail To Steam: The History Of The Island From 1784 to 1901
Oxford University Press
[36]
서적
Bermuda Forts 1612–1957
The Bermuda Maritime Museum Press
[37]
웹사이트
1777: The US Navy & The Battle Of Wreck Hill
http://bernews.com/2[...]
2012-04-08
[38]
웹사이트
Maritime Masters and Seafaring Slaves in Bermuda, 1680–1783
http://jefferson.lib[...]
[39]
웹사이트
A list of 130 prizes (ships) captured and brought into the port of Bermuda between 4...
https://discovery.na[...]
1783-04-04
[40]
서적
The Andrew and the Onions: The Story Of The Royal Navy In Bermuda, 1795–1975
The Bermuda Maritime Museum Press
[41]
서적
The Prince of Privateers: Bridger Goodrich and His Family in America, Bermuda and Britain: 1775–1825
M.& M. Baldwin
2012
[42]
웹사이트
Bermuda in the Privateering Business
http://www.thebermud[...]
[43]
뉴스
En busca de Cofresí
http://www.adendi.co[...]
1991-01-09
[44]
서적
La defensa marítima en la Capitanía General de Venezuela, 1783–1813
https://books.google[...]
Instituto Nacional de los Espacios Acuáticos e Insulares
[45]
학술지
The Maltese Corsairs and the Order of St. John of Jerusalem
http://melitensiawth[...]
1963-01-01
[46]
뉴스
A history of plundering on high seas
http://www.timesofma[...]
2016-02-02
[47]
웹사이트
Privateering and the Private Production of Naval Power
https://web.archive.[...]
[48]
서적
The Sinews of Power: War, Money, and the English State, 1688–1783
Alfred A. Knopf
[49]
웹사이트
Privateers or Merchant Mariners help win the Revolutionary War
http://www.usmm.org/[...]
[50]
웹사이트
US Navy Fleet List War of 1812
http://orbat.com/sit[...]
[51]
웹사이트
The Middle East and the Making of the United States, 1776 to 1815
http://www.columbia.[...]
2005-11-03
[52]
잡지
The Rise, Fall, and Rise Again of Privateers
https://www.independ[...]
2007-01-01
[53]
웹사이트
Annals of Congress Home Page: U.S. Congressional Documents
http://memory.loc.go[...]
[54]
웹사이트
12 at Midnight; the Hibernia attempting to run the Comet down
https://npg.si.edu/o[...]
[55]
서적
History of the American privateers, and letters-of-marque during our war with England in the years 1812, '13 and '14 interspersed with several naval battles between American and British ships of war
G. Coggeshall
1861
[56]
서적
Maryland privateers, War of 1812
J. Mart
1983
[57]
문서
[58]
문서
[59]
문서
[60]
문서
[61]
문서
[62]
문서
[63]
문서
[64]
학술지
Confederate Naval and Privateering Activities in the Pacific
1934
[65]
서적
Blockade Runners of the Confederacy
U of Alabama Press
[66]
학술지
Why there was no privateering in the Spanish-American War
[67]
서적
Cybersecurity and the Age of Privateering
https://carnegieendo[...]
Georgetown University Press
[68]
웹사이트
Ransomware: Should paying hacker ransoms be illegal?
https://www.bbc.com/[...]
2021-05-20
[69]
웹사이트
What you need to know about ransomware and the future of cyberattacks
https://www.vox.com/[...]
2021-06-16
[70]
웹사이트
Protect against the Fastest-Growing Crime: Cyber Attacks
https://www.cnbc.com[...]
2017-07-25
[71]
뉴스
How Bitcoin Has Fueled Ransomware Attacks
https://www.npr.org/[...]
NPR
2021-06-10
[72]
웹사이트
海運資料室:海運雑学ゼミナール
https://www.jsanet.o[...]
[73]
서적
アメリカの歴史 2
集英社
1997
[74]
웹사이트
사략선 [privateer, 私掠船, corsaire]
https://terms.naver.[...]
정치학대사전편찬위원회
[75]
웹사이트
해적 [Pirate, 海賊]
https://terms.naver.[...]
두산백과
[76]
서적
로마멸망 이후의 지중해 세계 (상)
한길사
[77]
서적
해적의 역사
가람기획
2003
[78]
서적
해적의 역사
가람기획
2003
[79]
서적
해적의 역사
가람기획
2003
[80]
서적
해적의 역사
가람기획
2003
[81]
서적
해적의 세계사
AK커뮤니케이션즈
2018
[82]
서적
해적의 세계사
AK커뮤니케이션즈
[83]
서적
해적의 세계사
AK커뮤니케이션즈
2018
[84]
서적
해적의 세계사
AK커뮤니케이션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