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석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석포는 14세기 초중반부터 사용된 대포의 일종으로, 특히 14~15세기에는 대형 대포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영국에서는 14세기 초부터 대포가 사용되었으며, 백년 전쟁과 같은 주요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조선 시대에는 화포 기술이 발전하여 성벽 방어 및 공성전에 활용되었으나, 임진왜란 당시에는 일본군에 비해 성능과 수량 면에서 열세를 보였다. 사석포는 몬스 메그, 켄트 주의 보디엄 성에서 발견된 사석포, 차르 대포, 다르다넬스 대포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었으며, 이후 더 작고 효율적인 무기에 의해 점차 대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세의 대포 - 그리스의 불
    그리스의 불은 비잔티움 제국에서 개발되어 물로도 꺼지지 않고 수면에서도 타오르는 무기로, 적의 군함에 뿌리거나 투석기로 발사하는 방식으로 사용되었으며,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에서 이슬람 세력을 격퇴하는 데 기여했다.
  • 중세의 대포 - 컬버린
    컬버린은 15세기부터 사용된 화포의 한 종류로, 긴 사거리와 강력한 위력을 자랑하며 경량포 역할을 수행했으나, 기술 발전에 따라 야전포로 대체되어 영국에서는 18세기 초에 명칭이 더 이상 사용되지 않았다.
  • 캐넌 - 홍이포
    홍이포는 16세기에서 17세기 복건인들이 '홍모'라고 부르던 네덜란드인이나 포르투갈인이 만든 대포를 지칭하며, 명나라와 후금, 청나라에서 생산 및 사용되었고 명나라에서는 철과 청동을 결합한 정료대장군으로 개량되기도 했다.
  • 캐넌 - 컬버린
    컬버린은 15세기부터 사용된 화포의 한 종류로, 긴 사거리와 강력한 위력을 자랑하며 경량포 역할을 수행했으나, 기술 발전에 따라 야전포로 대체되어 영국에서는 18세기 초에 명칭이 더 이상 사용되지 않았다.
  • 군사에 관한 - 국가 헌병
    국가 헌병은 프랑스어에서 유래된 군사 조직 기반의 민간 치안 담당 제도로, 평시에는 치안 유지 및 테러 진압, 전시에는 전투 임무를 수행하며, 국방부 또는 내무부의 통제를 받는다.
  • 군사에 관한 - 순찰
    순찰은 넓은 지역을 돌아다니며 감시하거나 경계하는 행위로, 군사, 법 집행 기관, 민간 분야에서 각기 다른 목적과 방법으로 수행된다.
사석포
개요
몬스 메그
몬스 메그
종류대포
시대중세
사용 국가스코틀랜드 왕국
제원
발사 거리100-200 미터 (추정)
포탄 무게260 킬로그램
전체 무게3325 킬로그램
설명
특징중세 시대의 대형 대포로, 주로 공성전에 사용됨
별칭몬스 메그 (Mons Meg)

2. 용어

'사석포'라는 용어는 14세기 초중반부터 모든 종류의 대포를 묘사하는 데 처음 사용되었지만, 이후 14세기에서 15세기 동안 주로 대형 대포에 적용되었다.[1] 대형 대포와의 강한 연관성에도 불구하고, 사석포에 대한 표준 크기는 없었으며, 길이가 1m에 불과한 대포뿐만 아니라 무게가 20ton에 달하는 여러 미터 길이의 대포에도 이 용어가 적용되었다.[2]

3. 역사

다주 석각에서 가장 오래된 불랑기 묘사가 발견되었다. 1985년, 캐나다 역사학자 로빈 D. S. 예이츠는 불교 사찰 동굴 벽에서 악마가 손으로 잡는 불랑기를 쏘는 조각상을 발견했는데, 이는 12세기 초로 거슬러 올라간다.[2]

초기 불랑기에는 150kg이 넘는 두 개의 중국 c. 1377 주철 박격포도 포함되어 있으며, 각 포신에는 4개의 포이가 있다.[3]

캔터베리 웨스트게이트의 권총 사격구


영국은 14세기 초부터 대포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크레시 전투에서 에드워드 3세가 야전 포병을 배치했고, 보디엄 성, 쿨링 성, 캔터베리 웨스트게이트에는 중형 권총 발사를 위한 건 루프가 있었다. 14세기 후반, 원시적인 불랑기가 공성 무기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헨리 4세와 헨리 5세는 불랑기를 사용하여 전투에서 승리했다. 헨리 5세는 1415년 아르플뢰르 공성전에서 불랑기를 사용했고, 아쟁쿠르 전투에서 포병 사격을 받았다. 스코틀랜드의 제임스 2세는 "사자"라는 이름의 1.5ton 대포로 많은 성을 파괴했다.[1]

프랑스는 백년 전쟁에서 공성전에 상당한 포병을 사용했다. 카스티용 전투(1453)에서 프랑스 포병은 앵글로-가스코뉴 군대를 격파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대부분의 불랑기는 나무 심을 철 막대로 둘러싸고, 철 링을 끼운 후 약 1388.9°C의 뜨거운 상태에서 망치로 용접하는 방식으로 제작되었다. 이 복잡한 절차는 고도로 숙련된 대장장이를 필요로 했다.[1]

3. 1. 한국에서의 발전 (추가)

조선 시대에는 화포가 널리 사용되었으며, 특히 세종대왕 시기에 화포 기술이 크게 발전하였다. 총통완구와 같은 대형 화포가 제작되어 성벽 방어 및 공성전에 활용되었다.

임진왜란(1592~1598) 당시 조선군은 일본군에 맞서 화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였으나, 성능과 수량 면에서 열세를 보였다.

4. 제작

대부분의 불랑기는 나무 심을 철 막대로 둘러쌌다. 그런 다음 철 링을 이러한 막대 위에 끼워 넣고 덮었다. 그 후 전체 구조를 약 약 1371.1°C의 뜨거운 상태에서 망치로 용접했다. 링은 이후 냉각되어 막대 위에 형성되어 고정되었다. 마지막 단계는 나무 심을 태우고 일체형 주물을 부착하는 것이었다. 복잡한 절차는 망치로 빠르고 정확하게 작업할 수 있는 고도로 숙련된 대장장이가 필요했다.[1]

5. 주목할 만한 예시

스코틀랜드의 국왕 제임스 2세가 사용한 몬스 메그는 1449년경에 제작되었으며, 성벽을 무너뜨리는 데 사용될 정도로 매우 강력했다.[4] 부르고뉴 공작 필리프 3세는 몬스 메그가 자신의 아이디어라고 말했으며, 1449년경에 주문 제작되었다.[5] 몬스 메그는 180kg의 포탄을 발사할 수 있었고 당시 가장 큰 사석포 중 하나였으며, 현재 에든버러 성에 전시되어 있다.

켄트 주 보디엄 성의 해자에서는 구경이 약 약 30.48cm인 사석포가 발견되었다. 이 사석포는 띠와 통나무 구조의 전선식 장전포로, 14세기 후반 또는 15세기 초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원본은 울리치의 왕립 포병 박물관에 있으며, 복제품은 보디엄 성에서 전시 및 발사 시연에 사용되었다.[6]

15세기의 다른 대구경 화포로는 단철로 된 폼하르트 폰 슈타이어와 둘레 그리트, 주조 청동으로 된 파울레 메테, 파울레 그레테, 그로세 보체 등이 있다. 1586년에 제작된 차르 대포는 현재 모스크바 크렘린에 전시되어 있으며, 지금까지 제작된 가장 큰 사석포이다.

다르다넬스 대포는 1464년 오스만 제국에서 제작되었으며, 무게 18.6ton, 길이 518cm에 달하며, 최대 63cm 직경의 돌덩이를 발사할 수 있었다.[7]

헨리 8세프랑스 원정 중 테루안과 투르네 포위전에 열두 사도의 이름을 딴 12개의 대포 세트를 배치하기도 했다.

5. 1. 한국의 대형 화포 (추가)

총통완구는 조선 시대에 제작된 대형 화포 중 하나로, 돌덩이나 철환을 발사하는 데 사용되었다.

6. 쇠퇴

사석포는 더 강력한 화약과 더 긴 포신을 가진 더 작은 구경의 철제 발사체를 사용하는 무기에 의해 대체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화포의 기동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7. 갤러리

연철제 보병포(약 1450년, 메스). 철 막대를 두드려 쇠 고리로 고정, 6kg 돌 공을 발사. 길이 82cm.


덴마크, 공성전 위치의 보병포.

참조

[1] 논문 Though One Of The Best-Documented Of Medieval Bombards, Mons Meg Was The Subject Of Exaggeration And Legend
[2] 논문 The Oldest Representation of a Bombard 1988-07
[3] 서적 New Perspectives on the History and Historiography of Southeast Asia: Continuing Explosions 2011
[4] 웹사이트 Reconstruction of Norham Castle {{Sic|Sei|ge|hide=y}} by Scots in 1513 http://www.maybole.o[...] 2018-04-19
[5] 간행물 The Scottish Historical Review 1948-10
[6] 웹사이트 Bodiam Bombard http://www.courier.c[...] 2015-04-13
[7] 문서 1977b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