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우스마이애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우스마이애미는 미국 플로리다주 마이애미-데이드 카운티에 위치한 도시이다. 1896년 정착이 시작되어 1926년 법인화되었으며, 2020년 인구는 12,026명이다. 역사적으로 테퀘스타, 칼루사 등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거주했으며, 20세기 초 플로리다 이스트 코스트 철도 개통과 함께 발전했다. 현재는 시청, 여러 공원, 병원, 상업 지구를 갖추고 있으며, 마이애미 메트로레일 및 메트로버스 시스템을 통해 교통 편의를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플로리다주의 도시 - 세인트피터즈버그
    세인트피터즈버그는 미국 플로리다주에 위치한 도시로, 1876년에 설립되어 1892년 공식 도시가 되었으며, 온화한 기후와 다양한 문화 시설을 갖춘 도시이다.
  • 플로리다주의 도시 - 탬파
    탬파는 플로리다주 힐스버러 카운티의 중심 도시로서 탬파베이 지역의 금융, 소매, 의료, 관광 산업 중심지이며,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주민들이 거주하고 가스파릴라 해적 축제와 같은 다양한 행사와 축제가 열린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사우스마이애미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공식 명칭사우스마이애미 시
별칭소미
모토즐거운 생활의 도시
사우스마이애미 플로리다 깃발
사우스마이애미 깃발
사우스마이애미 문장
사우스마이애미 문장
도시 경계
미국 인구조사국 지도에 표시된 도시 경계
지리
위치미국, 플로리다주, 마이애미-데이드 카운티
총 면적5.98km2
육지 면적5.87km2
물 면적0.11km2
고도3m
행정
정부 형태시의회-매니저
시장하비에르 E. 페르난데스
부시장리사 보니치
시의원스티브 칼레, 브라이언 코리, 조시 리브먼
시 매니저제나로 "칩" 이글레시아스
시 서기엥카 A. 페인
설립1897년
시로 통합1927년 6월 24일
인구
2020년 인구 조사12026명
인구 밀도2048.07명/km2
기타 정보
시간대EST
UTC 오프셋-5
서머타임EDT
UTC 오프셋 (DST)-4
우편 번호33143, 33155 (마이애미)
지역 번호305, 786, 645
FIPS 코드12-67550
지리 이름 정보 시스템 (GNIS) ID0291395
웹사이트사우스마이애미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사우스마이애미 지역은 본래 테퀘스타, 칼루사, 자에가 등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활동하던 곳이었으나, 19세기 말 유럽계 정착민들이 들어오기 시작했다.[5] 1896년 윌슨 알렉산더 라킨스(Wilson Alexander Larkinseng)가 정착하며 초기 커뮤니티의 기반을 닦았고, 이 지역은 한때 "라킨스"(Larkinseng)로 불렸다.[7][8]

20세기 초 플로리다 이스트 코스트 철도가 개통되고[5] 돈(Dorneng) 가문[9][10]과 같은 초기 개척자들과 마셜 윌리엄슨(Marshall Williamsoneng)과 같은 아프리카계 미국인[11][12]들이 정착하며 지역 사회가 점차 형성되었다. 1926년에는 "사우스마이애미 타운"(Town of South Miamieng)으로 공식 법인화되었으나, 같은 해 발생한 1926년 마이애미 허리케인으로 큰 피해를 입기도 했다.[5] 이후 몇 차례의 행정 구역 조정을 거쳐 현재의 불규칙한 도시 경계가 형성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경제 성장과 함께 도시 기반 시설이 확충되었고[5], 1956년에는 현재의 시청 건물이 건립되었다. 잭 블록(Jack Blockeng) 시장 재임 시기에는 인종 간의 화합을 도모하는 노력이 있었으며[5], 캐서린 맥캔(Catherine McCanneng) 시장은 사우스마이애미 최초의 여성 시장으로서 1992년 허리케인 앤드루 피해 복구를 이끌었다.[15] 21세기에 들어서는 자매 도시 프로그램을 통해 국제 교류를 활발히 하고 있다.[16]

2. 1. 초기 역사 (테퀘스타족 ~ 라킨스)

사우스 플로리다는 백인 개척자들이 작은 사냥터(후에 마이애미의 코코넛 그로브)를 거쳐 큰 사냥터(현재 팔메토 베이의 커틀러 지역)로 진출하기 전, 수세기 동안 테퀘스타, 칼루사, 자에가 등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거주하던 곳이었다.[5]

1896년, 윌슨 알렉산더 라킨스(Wilson Alexander Larkins, 1860–1946)는 36세의 나이에 아내 케이티 에스텔 버타쇼(Katie Estelle Burtashaw)와 다섯 자녀, 가축들과 함께 포트 댈러스(현재 마이애미의 럼머스 파크 역사 지구)에 도착했다. 그는 레드 로드(Red Road)와 선셋 드라이브(Sunset Drive) 서쪽에 부지를 매입하여 집과 헛간을 지었다. 1898년에는 오늘날 카르타헤나 플라자(Cartagena Plaza) 또는 코코플럼 서클(Cocoplum Circle)[6](현재 코럴 게이블스 지역)로 알려진 곳에 지역 최초의 잡화점을 열었다. 커뮤니티가 성장하자 그는 우체국 설립을 추진했고, 초대 우체국장으로 임명되어 16년간 봉사했다.[7] 라킨스는 이 지역 이름을 "마닐라(Manila)"로 지었으나, 그의 상점 주변에 정착한 사람들은 그의 공로를 기려 "라킨스(Larkins)"라는 이름을 더 선호했다.[8]

1904년 플로리다 이스트 코스트 철도(Florida East Coast Railway)를 따라 역이 설치되었고, 같은 해 존 모세스 다울링(John Moses Dowling)은 현재 사우스 마이애미 시 경계 내에 첫 번째 집을 지었다. 그의 사위는 철도 서쪽에 화이트 팰리스 식료품점(White Palace Grocery)이라는 첫 상점을 열었다.[5]

돈 애비뉴(Dorn Avenue, 현재 사우스웨스트 59번가)와 셸리 빌딩(Shelley Building) 등은 이 지역의 다른 초기 주요 가문들의 이름을 딴 것이다.[5] 해롤드 W. 돈(Harold W. Dorn)과 그의 형제 로버트(Robert)는 1910년 이 지역으로 이주하여 주로 망고아보카도 재배에 힘썼다.[9][10] 메리 E. 돈(Mary E. Dorn)은 라킨스 최초의 여성 클럽인 코코플럼 딤블 클럽(Cocoplum Thimble Club)의 초대 회장이었다.[5] 1925년, 돈 형제는 5700 사우스 딕시 하이웨이(South Dixie Highway)에 리비에라 극장(Riviera Theatre)을 지었으나, 1934년 찰스 T. 푸흐스(Charles T. Fuchs)가 홈스테드에서 홀섬 베이커리(Holsum Bakery)를 이곳으로 이전하면서 극장 건물은 제과점으로 바뀌었다.

라킨스 지역에 처음으로 토지를 구입한 아프리카계 미국인은 플로리다 매디슨에서 온 마셜 윌리엄슨(Marshall Williamson)이었다. 그는 6500 SW 60번가에 집을 지었고, 완공되기도 전에 교회 예배 장소로 사용하도록 허락했다. 1916년에는 라킨스 최초의 교회이자 흑인 커뮤니티 최초의 교회인 세인트 존 AME(아프리카 감리교 감독 교회, St. John's AME Church)를 위해 6461 SW 59번가 부지를 기증했다. 이후 J. R. E. Lee 학교 부지도 기증했다. 그의 관대함을 기려 흑인 거주 지역은 윌리엄슨의 고향 이름을 따 매디슨 스퀘어(Madison Square)로 불리게 되었다. 윌리엄슨은 1972년에 사망했으며, 그의 이름을 딴 마셜 윌리엄슨 공원(Marshall Williamson Park)은 6125 SW 68 스트리트에 위치한다.[11][12]

2. 2. 20세기 초 (철도 개통 ~ 도시 형성)

플로리다 이스트 코스트 철도가 이 지역을 통과하게 된 것은 1904년의 일이다. 같은 해, 존 모세스 다울링(John Moses Dowlingeng)은 현재 사우스마이애미 시 경계 내에 첫 번째 집을 지었으며, 그의 사위는 철도 서쪽에 '화이트 팰리스 식료품점'(White Palace Groceryeng)이라는 이름의 첫 상점을 열었다.[5] 이 지역의 초기 정착과 발전에는 윌슨 알렉산더 라킨스(Wilson Alexander Larkinseng, 1860–1946)의 역할이 컸다. 그는 1896년 가족과 함께 마이애미의 포트 댈러스에 도착하여 레드 로드와 선셋 드라이브 서쪽에 정착했다. 1898년에는 현재 코럴 게이블스의 코코플럼 서클(Cocoplum Circleeng)[6] 근처에 지역 최초의 일반 상점을 열고 우체국을 설립하여 초대 우체국장을 16년간 맡았다.[7] 라킨스는 지역 이름을 "마닐라"(Manilaeng)로 짓고자 했으나, 정착민들은 그의 이름을 따 "라킨스"(Larkinseng)라고 부르기를 선호했다.[8]

1910년에는 해롤드 W. 돈(Harold W. Dorneng)과 그의 형제 로버트가 이주하여 망고아보카도 재배에 힘썼다.[9][10] 돈 가문의 이름을 딴 돈 애비뉴(Dorn Avenueeng, SW 59번가)와 셸리 빌딩(Shelly Buildingeng) 등은 이들의 기여를 기리고 있다.[5] 해롤드의 아내 메리 E. 돈(Mary E. Dorneng)은 라킨스 최초의 여성 클럽인 '코코플럼 딤블 클럽'(Cocoplum Thimble Clubeng)의 초대 회장을 맡기도 했다.[5] 1925년, 돈 형제는 5700 사우스 딕시 하이웨이에 리비에라 극장(Riviera Theatreeng)을 건설했다. 이후 1934년, 찰스 T. 푸흐스(Charles T. Fuchseng)가 홈스테드에서 홀섬 베이커리(Holsum Bakeryeng)를 이곳으로 이전하면서 극장 건물은 제과점으로 사용되었다.

라킨스 지역에 토지를 매입한 최초의 아프리카계 미국인은 매디슨, 플로리다 출신의 마셜 윌리엄슨(Marshall Williamsoneng)이었다. 그는 6500 SW 60번가에 집을 지었고, 완공되기도 전에 교회 예배 장소로 제공했다. 1916년에는 라킨스 최초의 교회이자 흑인 커뮤니티 최초의 교회인 세인트 존 AME(아프리카 감리교 감독 교회, St. John's AME (African Methodist Episcopal) Churcheng) 설립을 위해 6461 SW 59번가 부지를 기증했으며, 이후 J. R. E. Lee 학교 부지도 기증했다. 그의 공로를 기려 흑인 거주 지역은 그의 고향 이름을 따 "매디슨 스퀘어"(Madison Squareeng)로 불리게 되었다. 윌리엄슨은 1972년 사망했으며, 그의 이름을 딴 마셜 윌리엄슨 공원(Marshall Williamson Parkeng)이 6125 SW 68 스트리트에 있다.[11][12]

1926년, 지역 주민들은 북쪽 마이애미 시의 번영에 발맞춰 "사우스마이애미 타운"(Town of South Miamieng)이라는 이름으로 법인화를 추진했다. 초기 도시 경계는 동쪽 레드 로드(Red Roadeng), 남쪽 켄달 드라이브(Kendall Driveeng), 서쪽 팔메토 로드(Palmetto Roadeng, 현 팔메토 고속도로), 북쪽 버드 로드(Bird Roadeng)와 밀러 드라이브(Miller Driveeng)까지였다. 같은 해 첫 가로등이 설치되었고, 도시 동쪽 경계(SW 57번가)에 새로 문을 연 마이애미 대학교 캠퍼스에 신입생들이 입학했다. 대학 개교의 영향을 받아 대학 테마로 조성된 케임브리지 론스(Cambridge Lawns) 지역이 캠퍼스에서 약 약 1.13km 떨어진 곳에 건설되기 시작했다. 튜더 부흥 및 지중해 부흥 양식의 주택 30채로 구성된 케임브리지 론스 역사 지구는 1928년 완공되었고, 2005년 사우스마이애미 시로부터 역사 지구로 지정받았다.

그러나 1926년은 1926년 마이애미 허리케인으로 인해 도시에 막대한 피해가 발생한 해이기도 했다. 도시 지도자들은 연방 의회에 세금 감면을 요청했으나 별다른 지원을 받지 못했다.[5] 이 허리케인으로 플로리다 이스트 코스트 철도역이 소실되어 도시는 수년간 기차역 없이 지내야 했다.

1927년 6월 25일, W. A. 포스터(W. A. Fostereng)가 사우스마이애미의 초대 시장으로 취임했다.[13]

2. 3. 도시 성장과 변화 (1930년대 ~ 현재)

1933년, 사우스 마이애미의 원래 면적 6제곱마일은 지방 자치 단체의 책임을 줄이기 위한 노력으로 약 4.83km 남짓으로 축소되었다. 1937년에는 도시 크기가 다시 줄어들었는데, 많은 북부 도시 주민들이 도시에서 벗어나기 위해 소송을 제기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오늘날 사우스 마이애미 시는 마이애미-데이드 카운티에서 가장 불규칙한 경계를 가지게 되었다.

20세기 중반의 사우스 마이애미는 도시와 시골의 특징이 공존하는 곳이었다. 지역 역사가 도나 셸리에 따르면, 당시 사우스 마이애미는 "말에게 건초를 사고 사교 행사에서 턱시도를 살 수 있는 곳"이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경제가 호황을 누리면서 사우스 마이애미 최초의 은행이 설립되었고, 새로운 건물들이 들어섰으며, 사우스 마이애미 병원이 세워지는 등 지역 사회가 번영했다. 1934년 홈스테드에서 사우스 마이애미로 이전한 홀섬 베이킹 컴퍼니는 도시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많은 오랜 주민들은 선셋 드라이브와 레드 로드 모퉁이에 있던 홀섬 베이커리에서 풍기는 빵 굽는 냄새를 기억한다.[5]

1955년 국민 투표를 통해 현재의 시청 건물 건설이 승인되었다. 건축가 헨리 조지 핑크가 설계한 이 정부 청사는 1956년 10월 폴 U. 테비스 시장에 의해 헌정되었다.

1968년 잭 블록이 시장으로 선출되어 1984년까지 연임했다. 그는 마이애미 대학교 구술 역사 프로그램과의 인터뷰에서 사우스 마이애미의 역사에 대해 다음과 같이 회고했다. 그는 1956년 3월 6일에 이사 와서 같은 집에서 계속 살았다고 말하며 도시에 대한 애정을 드러냈다. 그는 닉슨의 첫 취임식 당시 오버타운 등 마이애미 곳곳에서 폭동이 일어났을 때를 언급하며, 당시 사우스 마이애미에서는 흑인 지역에서 큰 바베큐 파티가 열렸다고 설명했다. 제이시 회원들과 블록 자신을 포함한 백인들이 밤새 갈비를 구워 흑인 커뮤니티에 봉사했으며, 덕분에 사우스 마이애미는 아무런 문제 없이 평온을 유지할 수 있었다고 한다. 그는 "이 지역 사회는 그런 곳입니다. 밀접하게 연결된 지역 사회입니다. 흑인들이 백인들과 함께 사는 곳은 다른 곳에서는 찾아볼 수 없습니다."라고 덧붙였다.[5]

1990년, 캐서린(러더퍼드) 맥캔(1933–2009)이 사우스 마이애미 최초의 여성 시장으로 선출되었고, 1992년에 재선되었다. 그녀는 1992년 허리케인 앤드루가 강타한 후 도시의 복구 작업을 이끌었다. ''마이애미 헤럴드''는 그녀가 "사우스 마이애미 시 헌장에 대한 백과사전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저렴한 주택 공급과 책임 있는 개발을 추진했다"고 평가했다.[15] 사우스 마이애미는 1998년 허리케인 보니 (1998)로 인해 다시 한번 폭풍 피해를 겪었다.

2000년, 사우스 마이애미는 전 세계 도시 간의 문화 및 경제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도시 파트너십 형성에 참여했다. 자매 도시 국제의 회원 도시로서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의 그랜드 터크 및 세인트 키츠 네비스의 바스테르와 관계를 맺었다. 2018년 8월 21일에는 콜롬비아의 메델린 시와 자매 도시 협약을 공식적으로 체결했다.[16]

3. 지리

사우스마이애미는 동쪽으로 코럴게이블스, 남쪽으로 파인크레스트, 서쪽으로는 비법인 지역인 글렌바 하이츠, 북쪽으로는 비법인 지역인 코럴 테라스와 경계를 이룬다.[17] 미국 1번 국도(사우스 딕시 하이웨이)가 도시를 통과하며, 북동쪽으로 약 12.87km 떨어진 다운타운 마이애미와 남서쪽으로 약 32.19km 떨어진 홈스테드로 이어진다.

미국 인구조사국에 따르면, 사우스마이애미의 총 면적은 약 5.96km2이며, 이 중 약 0.10km2는 수역으로, 전체 면적의 1.78%를 차지한다.[1]

4. 인구

'''연도별 인구 변화'''
연도인구
19301,160
19402,408
19504,809
19609,846
197011,780
198010,895
199010,404
200010,741
201011,657
202012,026



2000년 인구 조사 당시, 사우스마이애미에는 10,741명의 인구가 거주하고 있었다. 가구 구성은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가구가 26.1%, 부부가 함께 사는 가구가 40.4%, 남편 없이 여성 가구주인 가구가 15.2%, 비가족 가구가 39.7%였다. 전체 가구의 30.7%는 개인이었으며, 9.0%는 65세 이상 노인이 혼자 살고 있었다. 가구당 평균 인원은 2.47명, 가족당 평균 인원은 3.15명이었다.

2000년 도시 인구의 연령 분포는 18세 미만이 22.7%, 18세에서 24세가 8.2%, 25세에서 44세가 31.8%, 45세에서 64세가 23.7%, 65세 이상이 13.6%였다. 중간 연령은 37세였다. 여성 100명당 남성은 92.8명이었고, 18세 이상 여성 100명당 남성은 90.4명이었다.

2000년 도시 가구의 중간 소득은 42488USD였고, 가족의 중간 소득은 57791USD였다. 남성의 중간 소득은 37250USD, 여성은 29772USD였다. 도시의 1인당 소득은 24526USD였다. 약 8.9%의 가족과 17.1%의 인구가 빈곤선 아래에 있었으며, 이 중 18세 미만은 22.0%, 65세 이상은 13.4%였다.

2000년 기준으로,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주민은 59.69%였고, 스페인어 사용자는 37.45%, 프랑스어 사용자는 1.26%를 차지했다.[22]

2010년 미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시에는 11,657명의 인구, 4,127가구, 2,596가족이 거주하고 있었다.[21]

사우스마이애미 인구 통계 (2010년)
2010년 인구 조사사우스마이애미마이애미-데이드 카운티플로리다
총 인구11,657명2,496,435명18,801,310명
인구 증가율, 2000년~2010년+8.5%+10.8%+17.6%
인구 밀도5137.6/sqmi1315.5/sqmi350.6/sqmi
백인 또는 코카서스인 (백인 히스패닉 포함)75.1%73.8%75.0%
비히스패닉 백인 또는 코카서스인35.4%15.4%57.9%
흑인 또는 아프리카계 미국인17.0%18.9%16.0%
히스패닉 또는 라틴계 (모든 인종)43.1%65.0%22.5%
아시아인3.9%1.5%2.4%
아메리카 원주민 또는 알래스카 원주민0.3%0.2%0.4%
태평양 섬 주민 또는 하와이 원주민0.0%0.0%0.1%
2개 이상의 인종 (다인종)2.0%2.4%2.5%
기타 인종1.7%3.2%3.6%



2020년 미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이 도시에는 12,026명의 인구, 4,329가구, 2,533가족이 거주하고 있었다.[20]

'''사우스마이애미 인종 구성 (2020년)'''
(히스패닉은 인종 범주에서 제외)
(''NH = 비히스패닉'')[19]
인종비율
백인(NH)3,46628.82%
흑인 또는 아프리카계 미국인(NH)1,42411.84%
아메리카 원주민 또는 알래스카 원주민(NH)60.05%
아시아인(NH)4934.10%
태평양 섬 주민 또는 하와이 원주민(NH)10.01%
기타 인종(NH)960.80%
둘 이상의 인종/다인종(NH)3272.72%
히스패닉 또는 라틴계(모든 인종)6,21351.66%
합계12,026100.00%


5. 경제

사우스마이애미의 상업 지구는 사우스마이애미 80번가 남서 6410번지에 사무실을 둔 Chamber South와 사우스마이애미의 Red Sunset Merchants Association의 지원을 받는다.

멕시코 마이애미 총영사관은 사우스마이애미 72번가 남서 5975번지(선셋 드라이브)에 위치한 오피스 빌딩 1층에 자리 잡고 있다.[23] 기술 및 자동차 전자 상거래 신생 기업인 PartsHawk[24]는 같은 건물의 최상층을 사용하고 있다.

과거 Holsum Bakery가 있던 9acre 규모의 부지는 수십 년간 지역 주민들에게 Bakery Center로 알려져 있었다. Holsum이 문을 닫은 후에도 여러 사업체가 이 부지에 들어섰다가 사라지기를 반복했다.

1982년에는 실제로 'Bakery Center'라는 이름의 3500만달러 규모 대형 단지 건설이 제안되었다. 이 단지는 1985년에 완공되어 문을 열었지만, 큰 인기를 얻지 못하고 1996년에 철거되었다.[25] 사우스마이애미 주민들은 이 건물이 보행자에게 닫힌 듯한 느낌을 주고, 엘리트적이며, 개인 상점을 선호하는 마을 분위기와 어울리지 않게 너무 높다고 비판했다. (역사가 도나 셸리는 "반죽 굽기에서 돈 쓰기, 돈 잃기까지"라는 제목의 에세이를 썼고,[25] ''뉴욕 타임스''는 1996년 기사에서 "Bakery Center만큼 실패한 소매 프로젝트는 거의 없었다"고 평가했다.[26]) 아마도 유일하게 긍정적인 평가를 받은 것은 건물 외벽에 그려진 Richard Haas의 거대한 벽화였다.[27] 투자자들은 거대한 건물에 입점할 만한 충분한 소규모 사업체를 찾지 못했고, 꾸준히 성공하던 IMAX 영화관마저 저조한 실적으로 문을 닫았다.[25]

1990년대에는 Bakery Center가 있던 자리에 넓고 개방적인 입구를 갖춘 대형 쇼핑몰인 The Shops at Sunset Place가 들어섰다. 이 쇼핑몰은 소매 및 엔터테인먼트 센터로, 여러 주요 상점, 24개 상영관을 갖춘 메가플렉스 영화관, 레스토랑 등을 포함했지만, 일부는 문을 닫기도 했다. 길거리 크레페 가게와 같은 레스토랑에서 음식을 제공하며, 10대들이 자주 찾는 장소가 되었다.

하지만 이 쇼핑몰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시민 담론"에 대한 블로그 활동으로 ''마이애미 뉴 타임스''로부터 칭찬을 받은[28] 도시 계획가 가브리엘 로페스-베르날은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 "이전 건물과 달리 선셋 플레이스는 거리 레스토랑, 가짜 도시 경관, 심지어 몇 개의 주거 단위까지 통합하여 개방된 지중해풍 커뮤니티처럼 설계되었다. 원래 엔터테인먼트 센터로 구상되었지만, 일부 테마 레스토랑과 IMAX 영화관이 빠르게 실패하면서 의도했던 목표 사용이 급격히 변경되었다. 쇼핑몰은 개장 이후 강력하고 지속적인 사업 기반을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어왔다."[29]

2015년, The Shops at Sunset Place는 Federal Realty Investment Trust(NYSE: FRT), 코코넛 그로브에 본사를 둔 Grass River Property, 마이애미 비치에 본사를 둔 Comras Co.의 합작 투자사에 1.102억달러에 인수되었다.[30] 이에 따라 쇼핑몰은 새로운 경영진 아래 운영되고 있으며,[31] 새로운 호텔 건설 및 기타 개선 계획을 포함한 부지 재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6. 교통

사우스마이애미 지역 전역에서 메트로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마이애미 메트로레일을 이용하면 다운타운 켄달, 다운타운 마이애미, 마이애미 국제공항의 마이애미 복합 운송 센터까지 갈 수 있다. 메트로레일은 다음 역에서 탑승 가능하다.


  • 사우스마이애미 (SW 72번가 및 US 1)


사우스마이애미 시에서는 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정해진 시간 동안 시내 다운타운 지역을 순환하는 무료 셔틀 서비스를 운영한다. 이 셔틀은 약 약 3.22km 길이의 노선을 돌며 9개의 정류장에 정차한다. 일요일과 월요일에는 운행하지 않는다.[32]

7. 문화

사우스마이애미는 수많은 공원과 역사적인 건물, 레스토랑, 독특한 상점들로 가득한 활기찬 시내를 가지고 있다.[33] 도시의 대부분은 US 1번 국도를 따라 뻗어 있으며, 이곳에는 오랫동안 자리를 지켜온 상점이나 새로운 쇼핑 플라자에 다양한 소매점과 레스토랑이 들어서 있다. 마이애미-데이드 공립 도서관 시스템의 사우스마이애미 분관은 주 6일 문을 열며, 넓은 어린이실과 함께 (작은 분관임에도 불구하고) 방대한 양의 DVD 및 큰 글자 도서 자료를 갖추고 있다.

7. 1. 공원

사우스마이애미에는 다음과 같은 여러 공원이 있다.

  • 올아메리카 공원(All-America Park): 토종 나무와 피크닉 테이블이 있는 자연적인 분위기의 공원이다.
  • 브루어 공원(Brewer Park): 테니스, 핸드볼, 농구 코트와 놀이터, 피크닉 공간이 있다.
  • 단테 파스셀 공원(Dante Fascell Park)
  • 도그 공원(Dog Park)
  • 푹스 공원(Fuchs Park): 연못에 분수가 있는 자연 구역으로, 오리들이 사람을 잘 따르며 먹이를 주는 것을 좋아한다.
  • 진 윌리스 공원(Jean Willis Park)(때로는 진 H. 윌리스 꽃 피는 나무 공원이라고도 함): 사우스마이애미 경찰서 옆에 있는 작은 공간으로, 정자, 피크닉 벤치와 다양한 토종 꽃나무가 있으며[34], 사우스마이애미 고등학교 학생들은 2013년에 공원 양쪽 끝을 잇는 두 쌍의 트렐리스를 건설했다.[35]
  • 마샬 윌리엄슨 공원(Marshall Williamson Park): 테니스 코트정자가 있다.
  • 머레이 공원(Murray Park)(깁슨-베델 커뮤니티 센터 인접)[36]: 조명이 켜진 농구 코트, T-볼 경기장, 축구장 2개, 플래그 풋볼 경기장이 있다.
  • 팔머 공원(Palmer Park): 야구 및 T-볼(조직 리그, [http://smybaseball.com/ 사우스마이애미 유소년 야구 리그] 포함), 소프트볼, 플래그 풋볼, 축구 경기장이 있다.
  • 파세오 공원(Paseo Park)
  • 사우스마이애미 공원(South Miami Park)
  • 반 스미스 공원(Van Smith Park): 자연 해먹(hammock) 지대 공원이다.
  • 베테랑스 공원(Veterans Park)
  • 로버트 C. 웰시 주니어 부시장 공원(Vice Mayor Robert C. Welsh, Jr Park)


2017년 사우스마이애미시는 공원 및 레크리에이션 마스터 플랜을 채택했는데, 이는 채택일로부터 8~10년 동안 도시의 공원 및 레크리에이션 시스템의 방향, 개발 및 제공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주는 장기 계획 문서이다.[37] 사우스마이애미시 웹사이트에 따르면, "[이 계획의] 목적은 고품질 공원 시스템을 구축하고 부서와 자원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공원 및 레크리에이션 부서의 사명과 비전을 발전시키는 것"이다.[37]

7. 2. 음식

사우스마이애미의 레스토랑에서는 다양한 음식을 제공한다. 다라 스미스와 올리 파울러는 2020년 1월에 "역사적으로 도시의 주요 음식 목적지 중 하나로 여겨지지는 않았지만, 사우스마이애미의 요리 현장은 천천히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고급 식당부터 패스트 캐주얼까지 놓칠 수 없는 음식과 음료 명소가 있다."라고 평가했다.[39] 스시 바를 갖춘 일본 식당이 많으며, 이탈리아, 미국쿠바 레스토랑도 쉽게 찾을 수 있다.

8. 교육

마이애미-데이드 카운티 공립학교가 사우스마이애미 지역의 공교육을 담당한다. 주요 학교는 다음과 같다.


  • 사우스마이애미 K-8 센터[40] (표현 예술 자석 학교)
  • 사우스마이애미 중학교 커뮤니티 학교[41] (예술 센터)
  • 사우스마이애미 시니어 고등학교[42] (미편입 마이애미-데이드 카운티 소재)


사우스마이애미에는 마이애미 음악원도 있다. 현재는 토마스 아머 청소년 발레단[43]으로 알려져 있으며, 1949년에 설립되어 마이애미에서 가장 오래되고 잘 알려진 발레 학교 중 하나이다.

9. 행정

(2023년 1월 기준)Genaro "Chip" Iglesias|제나로 "칩" 이글레시아스eng



2022년 11월 8일 선거 결과 및 헌장 개정 투표 결과는 다음과 같다. https://enr.electionsfl.org/DAD/3267/Summary/ 2022년 11월 8일 선거 결과

2022년 11월 8일 선거 결과
선거후보득표수
사우스마이애미 시장Javier E. Fernandez|하비에르 E. 페르난데스eng2,833
Horace G. Feliu|호레이스 G. 펠리우eng1,652
시 위원 그룹 ISteve Calle|스티브 칼레eng2,126
Luis Joseph Gil|루이스 조셉 길eng2,026
시 위원 그룹 IVLisa Bonich|리사 보니치eng2,230
Michelle Riedley|미셸 리든eng2,025



2022년 11월 8일 헌장 개정 투표 결과
개정안찬성반대결과
시 위원회 회의 의무화2,5181,833가결
시장 임기 4년2,1672,278부결
시청/부서 내부 자금 이체2,6701,603가결
선출직 공무원 취임3,444862가결



Lisa Bonich|리사 보니치eng는 다음 시 선거까지 부시장으로 임명되었다.

10. 사우스 마이애미 병원

사우스마이애미 병원은 62번가(폴 테비스 로드)와 1번 국도에 위치해 있다. 1960년 100병상 규모로 개원했으며, 현재는 467병상을 운영하고 있다. 이 병원은 Baptist Health South Florida 시스템에 속한 7개 병원 중 하나이다.[44]

이 병원은 간호 분야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미국 간호사 자격 심사 센터로부터 2004년과 2008년에 자석 병원으로 지정되었다.[44] 또한 솔루시언트가 선정한 미국 100대 병원 목록에 포함되었으며, 2010년에는 플로리다 주지사 스털링 상을 수상했다.[45] 2012년에는 ''U.S. 뉴스 & 월드 리포트''에 의해 사우스 플로리다 최고의 병원 1위로 선정되었고, 전국적으로는 노인병학 부문 42위, 정형외과 부문 47위를 기록했다.[46]

사우스마이애미 병원은 중독 치료 프로그램, 심장 카테터 삽입 실험실, 당뇨병 프로그램, 완벽한 종양학 부서를 갖추고 있다. 또한 로봇 수술 센터, 여성 및 영아 센터, 사우스마이애미 심장 센터, 레벨 III 신생아 집중 치료실도 운영 중이다.[5] 2012년에는 3550만달러의 수익을 기록했다.[47]

11. 저명한 인물

참조

[1] 웹사이트 2022 U.S. Gazetteer Files: Florida https://www2.census.[...]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22-12-27
[2] 웹사이트 P1. Race – South Miami city, Florida: 2020 DEC Redistricting Data (PL 94-171) https://data.census.[...] U.S. Census Bureau 2022-12-27
[3] 웹사이트 U.S. Census website https://www.census.g[...]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08-01-31
[4] 웹사이트 US Board on Geographic Names http://geonames.usgs[...]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08-01-31
[5] 웹사이트 History of the City of South Miami http://www.southmiam[...] City of South Miami 2013-01-03
[6] 웹사이트 South Miami Town Center http://somimag.com/a[...] 2012-12-29
[7] 웹사이트 Family Information, Samuel Larkins http://www.cumberlan[...] Cumberland.org 2012-12-29
[8] 웹사이트 University of Miami Oral History Program: South Miami Community http://www.library.m[...] University of Miami Otto G. Richter Library Special Collections 2012-12-29
[9] 간행물 Mango Growing Around Early Miami http://digitalcollec[...] Historical Association of Southern Florida and [[Florida International University]]
[10] 간행물 The Avocado Today in Dade County Florida State Horticultural Society
[11] 웹사이트 University of Miami Oral History Program: South Miami Parks http://www.library.m[...] University of Miami Otto G. Richter Library Special Collections 2012-12-29
[12] 웹사이트 About South Miami http://www.southmiam[...] 2012-12-29
[13] 웹사이트 South Miami History: Part III http://somimag.com/a[...] 2012-12-29
[14] 웹사이트 Jack Block http://www.library.m[...] University of Miami Otto G. Richter Library Special Collections 2012-12-29
[15] 뉴스 City mourns passing of its first female mayor, Cathy McCann http://www.southmiam[...] The McClatchy Company 2012-12-29
[16] 웹사이트 "SISTER-CITY" IS ESTABLISHED https://somimag.com/[...] 2020-02-18
[17] 웹사이트 US Gazetteer files: 2010, 2000, and 1990 https://www.census.g[...]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1-04-23
[18] 웹사이트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https://www.census.g[...] Census.gov 2015-06-04
[19] 웹사이트 Explore Census Data https://data.census.[...] 2022-02-08
[20] 웹사이트 S1101 HOUSEHOLDS AND FAMILIES - 2020: South Miami city, Florida https://data.census.[...]
[21] 웹사이트 S1101 HOUSEHOLDS AND FAMILIES - 2010: South Miami city, Florida https://data.census.[...]
[22] 웹사이트 MLA Data Center Results of South Miami, FL http://www.mla.org/m[...] Modern Language Association 2007-11-02
[23] 문서 Home Page
[24] 웹사이트 PartsHawk {{!}} Performance & Replacement Car Parts Online https://partshawk.co[...] 2023-05-21
[25] 웹사이트 South Miami History: Part IV http://somimag.com/a[...] 2012-12-29
[26] 뉴스 A failed luxury mall in South Miami, Fla., is demolished for a new mall with a new concept 1996-12-18
[27] 웹사이트 The Bakery Center, South Miami, Florida (no longer extant) http://www.artnet.co[...] 2012-12-29
[28] 뉴스 Miami's best blogs: Honorable mention http://www.miaminewt[...] Village Voice Media 2012-12-29
[29] 웹사이트 The Shops at Wasted Space http://www.transitmi[...] TransitMiami.com 2012-12-29
[30] 웹사이트 More details unveiled for redevelopment of struggling mall as hearing looms (Renderings) https://www.bizjourn[...] South Florida Business Journal 2020-02-18
[31] 웹사이트 The Shops at Sunset Place http://properties.fe[...] 2020-02-18
[32] 웹사이트 SOMI Shuttle Service flyer https://www.southmia[...] 2020-02-17
[33] 웹사이트 Welcome to South Miami http://www.southmiam[...] City of South Miami 2012-12-29
[34] 웹사이트 Jean H. Willis Flowering Tree Park (Slideshow) http://www.locations[...] 2012-12-29
[35] 웹사이트 South Miami Senior High School https://smshs.enscho[...] 2020-02-18
[36] 웹사이트 Gibson-Bethel Community Center https://www.southmia[...] 2020-02-18
[37] 웹사이트 Master Plan {{!}} South Miami, FL - Official Website https://www.southmia[...] 2020-02-18
[38] 웹사이트 SOUTH MIAMI TOWN CENTER https://somimag.com/[...] 2020-02-18
[39] 뉴스 Where to Eat and Drink in South Miami: There's so much more than Sunset Place https://miami.eater.[...] Eater 2020-01-08
[40] 웹사이트 South Miami K-8 Center https://www.smk8cent[...] 2020-02-18
[41] 웹사이트 South Miami Middle School https://southmiamimi[...] 2020-02-18
[42] 웹사이트 South Miami Senior High School https://www.southmia[...] 2020-02-18
[43] 웹사이트 About Us - Thomas Armour Youth Ballet, Teaching Since 1949 https://taybballet.o[...] 2020-02-18
[44] 웹사이트 About South Miami Hospital http://baptisthealth[...] Baptist Health South Florida 2012-12-29
[45] 웹사이트 Sterling Award http://www.floridast[...] Florida Sterling Council 2012-12-29
[46] 뉴스 South Miami No. 1 hospital in Region http://www.miamihera[...] The McClatchy Company 2012-07-17
[47] 뉴스 Baptist Health profit doubles in fiscal 2012 http://www.bizjourna[...] American City Business Journal 2012-12-18
[48] 웹인용 South Miami (city), Florida http://quickfacts.ce[...] U.S. Census Bureau 2012
[49] 웹인용 Population and Housing Unit Estimates https://www.census.g[...]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20-05-24
[50] 웹인용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https://www.census.g[...] Census.gov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