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당뇨병은 고혈당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질환으로, 제1형, 제2형, 임신성 당뇨병 등 여러 유형으로 분류된다. 인슐린 부족 또는 인슐린 저항성이 주요 원인이며, 유전적 요인과 생활 습관의 영향도 받는다. 주요 증상으로는 다뇨, 다음다갈증, 다식증, 체중 감소 등이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혈관 손상으로 인한 심혈관 질환, 망막병증, 신병증, 신경병증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진단은 혈당 검사를 통해 이루어지며, 공복 혈당, 경구 당부하 검사, 당화혈색소 수치를 기준으로 한다. 치료는 식이 요법, 운동, 체중 감량, 약물 요법(인슐린, 경구 혈당 강하제 등), 수술 등을 통해 혈당을 조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사 장애 - 저혈당증
저혈당증은 혈당 수치가 70 mg/dL 미만으로 감소한 상태를 의미하며, 뇌에 포도당 공급 부족으로 신경당결핍 증상과 교감신경성 증상이 나타나고, 당뇨병 환자에게서 흔히 발생하며, 인슐린 과다 복용 등이 주요 원인이다. - 대사 장애 - 알츠하이머병
알츠하이머병은 뇌의 아밀로이드 플라크와 신경원섬유 엉킴 축적을 특징으로 하는 진행성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인지 기능 저하, 일상생활 기능 장애, 기억 상실, 언어 장애 등을 동반하며 완치법은 없지만 증상 완화 치료와 관리가 중요하다. - 질병 및 장애에 관한 - 야맹증
야맹증은 어두운 곳에서 시력 저하를 보이는 증상으로, 유전 질환, 비타민 A 결핍, 망막 질환, 약물 복용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며, 비타민 A 보충 등으로 치료한다. - 질병 및 장애에 관한 - 중독
중독은 유해 물질 노출로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는 상태로, 급성·만성, 외인성·내인성으로 분류되며, 다양한 물질이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예방을 위해 안전 수칙 준수와 응급 처치가 중요하다. - 당뇨병 - 인슐린 저항성
인슐린 저항성은 인슐린이 제 기능을 못하여 혈당 수치가 상승하는 상태로, 고인슐린혈증을 유발하고 2형 당뇨병과 같은 대사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유전적 요인, 비만, 운동 부족 등이 주요 원인이고 생활 습관 개선과 약물 치료로 관리한다. - 당뇨병 - 인슐린
인슐린은 췌장에서 생성되는 단백질 호르몬으로 혈당 조절, 단백질 합성, 세포 성장에 관여하며, 당뇨병 치료에 사용되고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당뇨병 | |
---|---|
질병 정보 | |
분야 | 내분비학 |
증상 | 잦은 소변 목마름 증가 배고픔 증가 |
합병증 | 대사 불균형 심혈관 질환 신경 및 뇌 손상 신부전 위장 장애 |
경과 | 관해될 수 있지만, 당뇨병은 종종 평생 지속됨 |
종류 | 제1형 당뇨병 제2형 당뇨병 임신성 당뇨병 |
원인 | 인슐린 부족 또는 점진적인 저항 |
위험 요인 | 제1형: 유전 및 환경적 요인 제2형: 비만증, 운동 부족, 유전 |
진단 | 고혈당 증가된 HbA1c |
감별 진단 | 요붕증 |
치료 | 생활 방식 변화 당뇨병 약물 |
약물 치료 | 인슐린 항고혈당제 |
유병률 | 4억 6,300만 명 (5.7%) |
사망자 수 | 420만 명 (2019년) |
추가 정보 | |
MedlinePlus | 001214 |
eMedicineSubj | med |
eMedicineTopic | 546 |
MeshName | Diabetes |
MeshNumber | C18.452.394.750 |
국제 질병 분류 | |
ICD-10 | – |
2. 분류 및 원인
당뇨병은 크게 제1형 당뇨병, 제2형 당뇨병, 임신당뇨병, 그리고 기타 특이 형태의 당뇨병으로 분류된다.[304] '기타 특이 형태'는 수십 건의 개별적인 원인을 모은 것이다.[304]
특징 | 제1형 당뇨병 | 제2형 당뇨병 |
---|---|---|
발현 | 급성 | 점진적 |
발현 연령 | 대부분 어린이 | 대부분 어른 |
체격 | 마르거나 보통[303] | 종종 비만 |
케톤산증 | 흔하다 | 드물다 |
자가항체 | 보통 존재 | 결여 |
내인성 인슐린 | 적거나 결여 | 보통, 감소 또는 증가 |
일란성쌍둥이의 형질 일치 | 50% | 90% |
유병률 | ~10% | ~90% |
- 제1형 당뇨병은 췌장 베타 세포의 파괴성 병변에 의해 인슐린이 결핍되어 생기는 당뇨병으로, 면역 매개형과 원인 불명형으로 나뉜다.
- 제2형 당뇨병은 인슐린 분비 저하와 인슐린 저항성(IR)으로 인해 생기며, 인슐린 분비부족 우위 당뇨병과 인슐린 저항성 우위 당뇨병으로 나뉜다.
- 임신성 당뇨병은 임신 중에 처음 발생하거나 진단된 모든 형태의 내당능 장애를 말하며, 정상과 당뇨병 사이의 혈당 농도를 보이는 경우를 경계형 당뇨라고 한다.
세계보건기구는 당뇨병을 1형 당뇨병, 2형 당뇨병, 당뇨병의 혼합 형태(성인의 서서히 진행되는 면역 매개 성인 당뇨병 및 케톤산증 경향 2형 당뇨병 포함), 임신 중 처음 발견된 고혈당증, "기타 특정 유형" 및 "분류되지 않은 당뇨병"의 여섯 가지 범주로 분류한다.[44] 당뇨병은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더 변화가 많은 질병이며, 개인은 여러 형태를 동시에 가지고 있을 수 있다.[45]
2. 1. 제1형 당뇨병
제1형 당뇨병은 췌장에서 인슐린을 생성하는 랑게르한스섬의 베타 세포가 손실되어 인슐린이 결핍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 형태는 다시 면역매개형(immune-mediated)과 원인불명형(idiopathic)으로 세분되기도 한다. 제1형의 대부분은 면역매개이며, T세포 매개의 자가 면역 공격이 베타 세포와 인슐린의 손실을 초래한다.[305] 이는 북아메리카와 유럽에서 발생하는 당뇨병 중 약 10%의 원인이 된다. 발병시 대부분의 사람들은 건강하며 체중도 정상이다. 인슐린에 대한 감수성과 반응은 보통 정상이며, 초기 단계에는 특히 그러하다. 제1형 당뇨병은 어린이나 어른 모두에게 영향을 줄 수 있지만, 어린이들에게서 대부분 발생하므로 전통적으로 '소아당뇨병'이라고 불린다.불안정당뇨병은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에서 종종 특별한 이유 없이 극적으로 재발되는 글루코스 수치의 변동을 전통적으로 불렀던 명칭으로, 생물학적 근거는 없다.[306]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1형 당뇨병은 불규칙하고 예측이 불가능한 고혈당, 종종 케톤증, 가끔씩은 심각한 저혈당을 동반하기도 한다. 다른 합병증으로는 저혈당의 대응 반응 조절 악화, 감염, 식이 탄수화물의 흡수가 불규칙해지는 위마비, 내분비병(예를 들면 에디슨병) 등이 있다.[306] 이러한 현상들은 1%에서 2% 이하의 제1형 당뇨병 환자들에게서 발생한다고 여겨지고 있다.[307]
제1형 당뇨병은 일부분 선천적이며, 당뇨병의 위험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 특정 사람백혈구항원을 포함한 복수의 유전자와 관련이 있다. 유전적으로 감수성이 있는 사람들에게 있어서 당뇨병의 시작은 바이러스 감염이나 식사 등 한 가지 또는 그 이상의 환경적 요인에 의해 촉발될 수 있다. 제1형 당뇨병과 콕사키 B4 바이러스의 연관성을 암시하는 약간의 증거가 있다. 제2형 당뇨병과는 달리 제1형 당뇨병의 시작과 생활 방식은 서로 관련이 없다.
특징 | 1형 당뇨병 |
---|---|
발병 | 급성 |
발병 연령 | 모든 연령; 평균 진단 연령 24세[36] |
체격 | 마른 체형 또는 정상 체형[37] |
케톤산증 | 흔함 |
자가항체 | 대개 존재함 |
내인성 인슐린 | 낮거나 없음 |
유전율 | 0.69 ~ 0.88[38][39][40] |
유병률 | 1,000명당 2명 미만[42] |
2. 2. 제2형 당뇨병
인슐린 저항성을 특징으로 하며, 상대적으로 감소된 인슐린 분비와 함께 나타날 수 있다.[10] 신체 조직의 인슐린 반응성 결함은 인슐린 수용체와 관련이 있다고 여겨진다.[54] 그러나 구체적인 결함은 알려져 있지 않다. 알려진 결함으로 인한 당뇨병은 별도로 분류된다. 2형 당뇨병은 당뇨병의 95%를 차지하는 가장 흔한 유형이다.[2] 많은 2형 당뇨병 환자는 2형 당뇨병 기준에 도달하기 전에 당뇨병 전 단계(공복혈당 장애 및/또는 포도당 내성 장애)의 증거를 보인다.[55] 당뇨병 전 단계에서 명백한 2형 당뇨병으로의 진행은 생활 습관 변화 또는 인슐린 감수성을 개선하거나 약물을 통해 간의 포도당 생성을 줄임으로써 늦추거나 역전될 수 있다.[56]2형 당뇨병은 주로 생활 습관 요인과 유전적 요인 때문이다.[57] 2형 당뇨병 발병에 중요한 것으로 알려진 여러 가지 생활 습관 요인에는 비만(30보다 큰 체질량 지수로 정의됨), 신체 활동 부족, 불량한 식단, 스트레스 및 도시화가 포함된다.[35][58] 과도한 체지방은 중국계와 일본계 사람들의 경우 30%, 유럽계와 아프리카계 사람들의 경우 60~80%, 피마 인디언과 태평양 섬 주민들의 경우 100%의 경우와 관련이 있다.[10] 비만이 아닌 사람들조차도 높은 허리-엉덩이 비율을 가질 수 있다.[10]
설탕이 든 음료와 같은 식이 요인은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59][60] 식단의 지방 유형도 중요하며, 포화 지방과 트랜스 지방은 위험을 증가시키고 다불포화 지방과 단불포화 지방은 위험을 감소시킨다.[57] 흰쌀을 과도하게 섭취하면 특히 중국인과 일본인에게 당뇨병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61] 신체 활동 부족은 일부 사람들에게 당뇨병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62]
어린 시절의 역경, 즉 학대, 방임 및 가정 문제는 나중에 2형 당뇨병 가능성을 32% 증가시키며, 방임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63]
항정신병 약물의 부작용(특히 대사 이상, 지질 이상혈증 및 체중 증가)도 잠재적인 위험 요소이다.[64]

2. 3. 임신성 당뇨병
임신당뇨병(GDM)은 임신 중 처음 발생하거나 진단된 당뇨병으로, 인슐린 분비와 반응이 상대적으로 불충분한 상태를 말하며 여러 면에서 제2형 당뇨병과 유사하다. 임신부의 약 2~10%에서 발생하며, 출산 후에는 대부분 증세가 좋아지거나 사라진다.[313] 하지만 임신 후 임신당뇨병을 겪은 여성의 5~10%는 당뇨병, 주로 제2형 당뇨병으로 진단받는다.[313]임신당뇨병은 완전히 치료할 수 있지만, 임신 기간 동안 주의 깊은 의학적 관리가 필요하다. 관리에는 식습관 개선, 혈당 감시, 그리고 경우에 따라 인슐린 투여가 포함될 수 있다.
치료하지 않은 임신당뇨병은 태아와 산모 모두에게 위험할 수 있다. 태아에게는 거대아, 선천성 심장 및 중추신경계 이상, 골격근 기형 등의 위험이 있다. 또한 태아의 인슐린 증가로 인해 태아의 표면활성제 생산이 억제되어 호흡곤란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다. 적혈구 파괴로 고빌리루빈혈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혈관 장애로 인한 태반 관류 불량으로 주산기 사망에 이를 수 있다. 태반 기능 저하 시에는 분만유도가 필요할 수 있으며, 태아곤란[68]이나 어깨난산과 같은 거대증으로 인한 부상 위험이 증가하면 제왕 절개를 실시할 수도 있다.[69]
2. 4. 기타 유형
성인 잠복 자가면역 당뇨병(LADA, Latent autoimmune diabetes of adults)은 성인기에 제1형 당뇨병으로 발전하는 경우이다. LADA를 가진 성인은 종종 병인론 때문에 제2형 당뇨병으로 오진되기도 한다.[314]체조직의 수용체가 인슐린에 반응하지 않아 발생하는 당뇨병도 있다. 이는 인슐린이 정상 수치임에도 발생하며, 제2형 당뇨병과는 다르지만 매우 드물다.[314] 보통 염색체나 미토콘드리아의 유전적 변이가 이자 베타 세포 기능의 결함을 유발할 수 있다. 만성재발이자염이나 낭포성 섬유증처럼 이자에 큰 손상을 주는 질병, 인슐린 길항성 호르몬 과다 분비 관련 질병도 당뇨병을 유발할 수 있지만, 호르몬 과잉이 제거되면 대개 해결된다.[314] 많은 약물들이 인슐린 분비에 손상을 주고, 일부 독소는 이자의 베타 세포에 피해를 준다.[314]
과량의 당질 코르티코이드로 유발되는 스테로이드 당뇨병, 여러 유형의 단일유전자 당뇨병(MODY, Maturity onset diabetes of the young) 등도 기타 유형의 당뇨병에 속한다.[314]
당뇨병의 기타 원인들은 다음과 같다.[315]
원인 | 상세 설명 |
---|---|
베타 세포 기능의 유전적 결함 | |
인슐린 생성/작용의 유전적 결함 | |
외분비이자 결손 | |
내분비학적 원인 | |
감염 | |
약제 |
인슐린은 체세포, 특히 간, 근육, 지방조직으로의 포도당 흡수를 조절하는 주요 호르몬이다. 인슐린 부족이나 그 수용체의 감수성 저하는 모든 형태의 당뇨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317]
3. 병태생리학
인체는 주로 음식 흡수, 글리코겐 분해, 당신생합성을 통해 포도당을 얻는다.[318] 인슐린은 글리코겐 분해나 당신생합성을 억제하고, 포도당의 지방과 근육 세포로의 운반을 활성화하며, 포도당을 글리코겐 형태로 저장하도록 돕는다.[318]
인슐린은 주로 식사 후 혈당치 상승에 반응하여 이자 내 랑게르한스섬의 베타 세포에서 혈액으로 방출된다. 인슐린은 체세포의 약 2/3에서 포도당을 흡수하여 연료로 사용하거나, 다른 분자로 전환하거나, 저장하는 데 쓰인다. 혈당 수치가 낮아지면 베타 세포의 인슐린 방출이 감소하고, 글루카곤의 작용으로 글리코겐이 포도당으로 분해된다.[319]
인슐린이 부족하거나, 세포가 인슐린에 잘 반응하지 않거나, 인슐린 자체가 결함이 있으면 포도당은 체세포에 제대로 흡수되지 않고, 간과 근육에 적절하게 저장되지 않는다. 이는 고혈당, 단백질 합성 저하, 산증 등의 대사 장애를 일으킨다.[318]
혈당 농도가 높으면 콩팥의 재흡수 능력을 초과하여 포도당이 소변으로 배설된다(당뇨).[320] 이는 소변의 삼투압을 높여 다뇨증을 유발하고, 체액 손실과 혈액량 감소로 이어진다. 결국 탈수와 다음증을 일으킨다.[318]
3. 1. 병리 기전
한국인에게 흔한 제2형 당뇨병은 인슐린 저항성이 주된 원인이며, 초기에는 췌장에서 인슐린 분비를 늘려 혈당을 조절하지만, 췌장의 기능이 저하되면 증상이 나타나고 합병증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46]
인슐린은 혈액으로부터 포도당을 신체의 대부분의 세포, 특히 간, 지방 조직 및 근육(평활근 제외)으로 흡수하는 것을 조절하는 주요 호르몬이다.[76] 따라서 인슐린 결핍 또는 인슐린 수용체의 비감수성은 모든 형태의 당뇨병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77]
신체는 음식의 장 흡수, 간에 있는 포도당의 저장 형태인 글리코겐의 분해(글리코젠분해), 그리고 신체에서 비탄수화물 기질로부터 포도당을 생성하는 당신생합성의 세 가지 주요 원천에서 포도당을 얻는다.[78] 인슐린은 글리코겐의 분해 또는 당신생합성 과정을 억제하고, 지방 및 근육 세포로의 포도당 수송을 자극하며, 글리코겐 형태로 포도당 저장을 자극하여 신체에서 포도당 수치를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78]
인슐린은 췌장의 랑게르한스섬에 있는 베타 세포(β-세포)에 의해 혈액으로 방출되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식사 후 혈당 수치가 상승함에 따라 일어난다. 인슐린은 신체 세포의 약 3분의 2가 혈액으로부터 포도당을 흡수하여 연료로 사용하거나, 다른 필요한 분자로 전환하거나, 저장하는 데 사용한다. 포도당 수치가 낮아지면 베타세포에서 인슐린 방출이 감소하고 글리코겐이 포도당으로 분해된다. 이 과정은 주로 인슐린과 반대로 작용하는 호르몬인 글루카곤에 의해 조절된다.[79]
사용 가능한 인슐린의 양이 부족하거나, 세포가 인슐린의 효과에 제대로 반응하지 않거나(인슐린 저항성), 인슐린 자체에 결함이 있는 경우, 포도당이 필요한 신체 세포에 의해 제대로 흡수되지 않고 간과 근육에 적절하게 저장되지 않는다. 그 결과 혈당 수치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단백질 생합성이 저하되며, 완전한 인슐린 결핍의 경우 대사성 산증과 같은 다른 대사 장애가 발생한다.[78]
혈중 포도당이 장시간 과다하면 신장이 모두 흡수할 수 없게 되고(재흡수 역치에 도달), 여분의 포도당이 소변을 통해 신체 밖으로 배출된다(당뇨).[80] 이는 소변의 삼투압을 증가시키고 신장에 의한 수분 재흡수를 억제하여 소변 생성 증가(다뇨), 체액 손실 증가를 초래한다. 손실된 혈액량은 신체 세포 및 다른 신체 구획의 물에서 삼투적으로 대체되어 탈수와 갈증 증가(다갈증)를 유발한다.[78] 또한 세포 내 포도당 결핍은 식욕을 자극하여 과도한 식사(다식)를 초래한다.[81]
4. 징후와 증상
치료받지 않은 전형적인 당뇨병의 증상은 체중 감소, 다뇨증(소변량 증가), 다음다갈증(심한 갈증), 다식증(배고픔)이다.[295] 1형 당뇨병은 증상이 수 주 또는 수 개월 사이에 급속하게 발전할 수 있지만, 2형 당뇨병은 훨씬 천천히 진행되며 증상이 미미하거나 없을 수 있다.
당뇨병에만 특정되지 않지만, 여러 다른 징후와 증상으로 당뇨병이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위에 언급된 증상 외에도 흐린 시야, 두통, 피로, 상처 치유 지연, 피부 가려움 등이 있다. 높은 혈당이 지속되면 수정체에 포도당이 흡수되어 모양이 변형되고 시력이 변화될 수 있다. 당뇨병으로 일어날 수 있는 피부 발진은 총괄하여 당뇨병 피부증후군으로 알려져 있다.
1형 당뇨병과 2형 당뇨병 환자에게는 저혈당이 흔하다. 대부분 증상이 가볍고 의료적 응급 상황으로 간주되지 않지만, 심한 경우에는 착란, 행동 변화, 발작, 의식상실, 드물게는 뇌손상 또는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다.[296][297] 가벼운 저혈당은 당분이 많은 음식을 먹거나 마심으로써 스스로 치료할 수 있고, 심한 저혈당은 의식을 잃게 할 수 있으므로 포도당 정맥 주사 또는 포도당 주사로 치료해야 한다.
당뇨병성 케톤산증(주로 1형 당뇨병에서 흔함)은 구역 및 구토와 복통, 숨 쉴 때 아세톤 냄새, 쿠스마울 호흡으로 알려진 심호흡, 심한 경우 의식 혼탁이 특징인 대사 장애이다.[298]
드물지만 심한 증상으로 고삼투압성 비케톤성 혼수가 나타날 수 있는데, 이는 2형 당뇨병에서 흔하며 주로 탈수에 의한 것이다.[298]
일반적인 당뇨병의 증상으로는 갈증 증가와 잦은 배뇨, 심한 허기, 그리고 의도하지 않은 체중 감소가 있다.[19][20] 피로감, 시야 흐림, 단내가 나는 소변/정액, 칸디다증으로 인한 생식기 가려움증과 같은 기타 징후 및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20]
4. 1. 합병증
당뇨병의 합병증은 크게 만성 합병증과 급성 합병증으로 나뉜다.만성 합병증은 장기간 고혈당에 노출되어 발생하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301]
- '''심혈관 질환''': 당뇨병은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2배로 높인다.[299] 심근경색, 뇌졸중, 말초혈관병 등이 발생할 수 있다.[300]
- '''당뇨병성 망막병증''': 눈의 망막 혈관 손상으로 시력이 점차 저하되어 실명에 이를 수 있다.[301]
- '''당뇨병콩팥병증''': 신장 손상으로 흉터 형성, 단백뇨 등이 발생하고, 심하면 만성 콩팥병으로 진행되어 투석이나 신장 이식이 필요할 수 있다.[301]
- '''당뇨병신경병증''': 신체 신경 손상으로 무감각, 저림, 통증 등이 나타나며, 피부 손상, 당뇨족(당뇨병성 족부 궤양), 절단 등의 위험이 있다.[301]
- '''인지 기능 저하''': 당뇨병 환자는 당뇨병이 없는 사람보다 인지 기능 감소 속도가 1.2~1.5배 빠르다.[302]
합병증 종류 | 주요 증상 및 특징 |
---|---|
심혈관 질환 | 심근경색, 뇌졸중, 말초혈관병 위험 증가 |
당뇨병성 망막병증 | 망막 혈관 손상, 시력 저하, 실명 위험 |
당뇨병콩팥병증 | 신장 손상, 단백뇨, 만성 콩팥병, 투석/신장 이식 필요 가능성 |
당뇨병신경병증 | 신경 손상, 무감각, 저림, 통증, 당뇨족, 절단 위험 |
인지 기능 저하 | 인지 기능 감소 가속화 |
급성 합병증은 혈당 조절 실패로 인해 갑작스럽게 발생하며, 저혈당, 당뇨병성 케톤산증, 고삼투압성 비케톤성 혼수 등이 있다.
5. 진단
당뇨병은 혈액 검사를 통해 혈당 수치를 측정하여 진단한다. 세계보건기구(WHO)와 미국 당뇨병 협회(ADA)의 진단 기준은 약간의 차이가 있다.[327][88]
당화혈색소는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을 알아내는데 공복 혈당보다 낫다.[328][89]
요붕증은 당뇨병과 유사한 증상을 갖지만, 당 대사의 장애는 없으며, 질환의 기제도 다르다.
5. 1. 진단 기준
당뇨병은 반복되거나 지속되는 고혈당이 특징이며, 다음 기준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하고, 다른 날 반복 검사하여 확인해야 진단된다.[314][72]- 공복 혈당 ≥ 7.0 mmol/L (126 mg/dL).[72] 이 검사는 아침 식사 전 공복 상태에서 채혈하며, 최소 8시간 금식이 필요하다.
- 당부하검사에서 75 g 경구 포도당 섭취 2시간 후 혈장 혈당치 ≥ 11.1 mmol/l (200 mg/dl).[314]
- 고혈당 증상과 함께 평상시 혈장 혈당 ≥ 11.1 mmol/l (200 mg/dl).[314]
- 당화혈색소 (HbA1C) ≥ 48 mmol/mol (≥ 6.5 DCCT%).[314][82]
공복 혈당 검사가 간편하여 선호되는데, 당부하검사는 2시간이 걸리고 공복 검사에 비해 예측의 장점이 없기 때문이다.[324] 현재 정의에 따르면, 두 차례의 공복 혈당 검사에서 126mg/dl을 초과하면 당뇨병이 있다고 진단된다.
세계 보건 기구(WHO)에 따르면, 공복 혈당이 6.1mmol/l에서 6.9mmol/l (110mg/dl에서 125mg/dl)인 사람들은 공복 혈당 장애가 있다고 고려된다.[325][86] 75 g 경구 포도당 섭취 2시간 후 혈장 혈당이 7.8mmol/l (140mg/dl)을 초과하면서 11.1mmol/l (200mg/dl)을 넘지 않는 사람들은 내당능 장애가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326][87] 미국 당뇨병 협회(ADA)는 2003년부터 공복 혈당 장애에 대해 5.6mmol/l에서 6.9mmol/l (100mg/dl에서 125mg/dl)의 약간 다른 범위를 이용한다.[327][88]
일본 당뇨병 학회는 2010년 7월부터 새로운 진단 기준을 시행했다. 신기준에서는 혈당치뿐만 아니라 헤모글로빈 A1c(HbA1c) 기준도 마련되어, 혈당치(공복시 혈당치, 경구 포도당 부하 검사(75gOGTT)의 2시간 후 혈당치, 수시 혈당치) 및 HbA1c 검사 결과로 판정한다.
정상형 | 경계형 | 당뇨병형 | |
---|---|---|---|
공복시 혈당치 | (미만) | (이상) | |
2시간 후 혈당치 | (미만) | (이상) | |
판정 조건 | 공복과 2시간 후의 모두 | 또는 | 또는 |
다음은 당뇨병 진단 과정이다.
- 첫 번째 판정에서 당뇨병으로 진단되는 경우
- 혈당치와 HbA1c가 모두 당뇨병형이었던 경우
- 혈당치만 당뇨병형이며, 갈증이나 다뇨, 다갈 등 당뇨병의 전형적인 증상이나 당뇨병성 망막증이 보이는 경우
- 두 번째 판정에서 당뇨병으로 진단되는 경우
- 첫 번째에서는 혈당치만 당뇨병형. 두 번째에서 혈당치, HbA1c 중 어느 하나(혹은 둘 다)가 당뇨병형이었던 경우
- 첫 번째에서는 HbA1c만 당뇨병형. 두 번째에서 혈당치가 당뇨병형이었던 경우
혈당치, HbA1c 중 어느 하나가 당뇨병형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이외의 경우 당뇨병으로 진단되지 않았다면 “당뇨병 의심”으로 간주된다. 당뇨병 의심인 사람은 3~6개월 이내의 재검사가 권장되며, 그 시점에서 다시 판정하게 된다.
정맥혈의 혈장 포도당 농도를 기준으로 진단이 이루어지는데, 서로 다른 날 2번 검사하여 공복시(보통 검사 전 8~12시간 금식 상태) 혈장 포도당 농도가 둘 다 126mg/dl 이상이면 당뇨로 진단한다. 학회마다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정상 혈장 포도당 농도는 보통 100mg/dl 미만(110mg/dl을 기준으로 하기도 함)이며, 100mg/dl~125mg/dl 사이를 경계형 당뇨병라고 한다. 경계형 당뇨병의 경우 당뇨로 진행하는 경우가 25~30%로 알려져 있으므로, 자주 혈당을 측정하여 당뇨병으로의 진행여부를 조기에 파악해야 한다.
흔히 사용하는 휴대용 혈당측정기의 경우 말초혈액을 측정하는 것이어서, 정맥혈의 혈장 포도당을 측정한 결과에 비해 혈당이 낮게 측정된다. 따라서 휴대용 혈당 측정기로 혈당이 110mg/dl 이상으로 측정되면 병원에서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좋다.
6. 예방
제1형 당뇨병은 현재까지 알려진 예방법이 없다.[283] 반면, 제2형 당뇨병은 정상 체중 유지, 규칙적인 신체 활동, 건강한 식단 섭취를 통해 예방하거나 발병을 지연시킬 수 있다.[283]
당뇨병 예방에 도움이 되는 식단으로는 통곡물과 섬유질이 풍부한 식사, 불포화 지방 섭취 등이 있다.[329] 포화지방산이 포함된 붉은 고기 섭취를 줄이고, 설탕이 든 음료 섭취를 제한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329] 금연 또한 당뇨병의 위험 증가와 관련되어 있어 중요한 예방법이 될 수 있다.[330]
운동은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 발생 기작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제2형 당뇨병 예방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특히 장거리 걷기는 체지방을 사용하는 산소성 생화학적 메커니즘을 활성화하여 당뇨병성케톤산증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331] 하루 90분 이상의 신체 활동은 당뇨병 위험을 28% 감소시킨다.[92]
다음은 당뇨병 예방과 관련된 추가 정보이다.
7. 관리 및 치료
당뇨병 관리는 저혈당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혈당 수치를 정상에 가깝게 유지하는 데 중점을 둔다.[101] 이는 식이요법, 운동, 체중 감량 및 적절한 약물(인슐린, 경구 약물) 사용을 통해 달성할 수 있다.[101] 혈당 수치가 잘 관리된 사람들은 합병증이 훨씬 덜 흔하고 심각도가 낮기 때문에 질병에 대한 이해와 치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다.[101][103] 치료 목표는 A1C 수치가 7% 미만이다.[104][105]
흡연, 고혈압, 대사증후군, 비만, 규칙적인 운동 부족 등 당뇨병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다른 건강 문제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101][106] 특수 신발은 발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여 당뇨병성 발궤양 위험을 줄이는 데 널리 사용된다.[107]
일차의료의 시스템을 사용하는 국가에서는 병원 밖에서 주로 치료가 이루어지며, 합병증, 혈당 조절의 어려움 또는 연구 프로젝트의 경우에만 병원 기반의 전문의 치료가 이용될 수 있다. 사회적 처방은 2형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을 약간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54] 가정 원격의료 지원은 효과적인 관리 기술이 될 수 있다.[155]
당뇨병 치료는 분류 또는 중증도(진행도)에 따라 다르다.
- 1형 당뇨병: 인슐린 주사 등으로 혈당치를 조절하는 것이 기본적인 치료 목표이다.
- 2형 당뇨병: 생활 습관 교정, 경구 혈당 강하제나 인슐린 주사로 혈당치를 조절하여 합병증을 예방한다.
- 식이 요법과 운동 요법이 우선 시행된다.
- 식이 요법과 운동 요법으로 혈당치가 정상화되지 않거나, 처음부터 혈당치가 매우 높으면 경구 혈당 강하제 또는 GLP-1 수용체 작동약을 병용한다.
- 경구 혈당 강하제 또는 GLP-1 수용체 작동약으로도 혈당치가 정상화되지 않으면 인슐린 자가 주사를 시작한다.
- 2형 당뇨병의 경우, 인슐린을 도입해도 식생활과 생활 습관을 개선하면 혈당치가 정상화되어 인슐린 자가 주사를 중단할 수 있는 경우가 많지만, 고혈당의 영향으로 인슐린 분비 능력이 상실되어 평생 인슐린 자가 주사를 계속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속발성 당뇨병(ICD-10:E13)은 다른 질병에 의해 발생하는 당뇨병이다. 원인이 되는 질병은 다음과 같다.
- 글루카곤을 이상 분비하는 글루카곤 생성 종양
- 부신피질 호르몬(코르티솔 등)의 작용이 이상 증가하는 쿠싱 증후군, 원발성 알도스테론증
- 부신수질 호르몬(에피네프린)을 이상 분비하는 갈색세포종
- 성장 호르몬을 이상 분비하는 성장 호르몬 생성 종양(말단비대증)
- 간경변
- 만성 췌장염, 헤모크로마토시스, 췌장암
- 근긴장성 이영양증
- 약제성(티아지드계 이뇨제, 페니토인, 당질 코르티코이드) 등
7. 1. 생활 방식
당뇨병 환자는 질병에 대한 교육, 치료, 영양 섭취, 운동 등을 통해 혈당치를 적정 범위 내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심혈관 질환 위험이 있으므로, 혈압 조절을 위한 생활 방식 변화도 권장된다.[332]당뇨병 관리는 혈당 수치를 정상에 가깝게 유지하면서 저혈당을 예방하는 데 중점을 둔다.[101] 이를 위해 식이요법,[102] 운동, 체중 감량, 그리고 적절한 약물 사용이 필요하다.[101]
- 당뇨병 교육: 질병에 대한 이해와 치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합병증 발생률과 심각도를 낮출 수 있다.[101][103]
- 식사 관리: 건강한 식이 패턴(지중해식 식단, 저탄수화물 식단, DASH 식단 등)이 권장되지만, 특정 식단이 다른 식단보다 우월하다는 증거는 없다.[114][115] 미국 당뇨병 협회(ADA)는 탄수화물 섭취를 줄이는 것이 혈당 개선에 효과적이라고 밝히고 있다.[115]
- 운동: 운동은 건강 결과를 개선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형 당뇨병 청소년의 경우 신체 활동 증가는 더 나은 지질 프로필, 건강한 체구성, 전반적인 신체 건강 개선과 관련이 있다.[122] 2형 당뇨병 청소년의 경우, 신체 활동 및 심폐 지구력(CRF) 증진을 위한 중재가 필요하다.[123]
- 체중 관리: 체중 감량은 당뇨병 전 단계에서 2형 당뇨병으로의 진행을 예방하고, 심혈관 질환 위험을 줄이며, 당뇨병 환자의 부분적 치유를 가져올 수 있다.[114][115] 과체중인 2형 당뇨병 환자의 경우, 체중 감량을 목표로 하는 모든 식단이 효과적이다.[116][117]
이 외에도 흡연, 고혈압, 대사증후군, 비만, 운동 부족 등 당뇨병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른 건강 문제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101][106]
2형 당뇨병의 경우, 사회적 처방은 혈당 조절을 약간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154] 가정 원격의료 지원은 효과적인 관리 기술이 될 수 있다.[155]
7. 2. 투약
제1형 당뇨병은 췌장에서 인슐린이 감소하는 경우이므로 인슐린 주사를 이용한 치료가 필요하다.[35] 1형 당뇨병은 인슐린 치료가 필요하며, 이상적으로는 정상적인 인슐린 분비를 가장 잘 모방하는 "기저-볼루스" 요법을 사용한다. 즉, 기저 분비율에는 장시간 작용 인슐린을, 식사와 함께는 단시간 작용 인슐린을 사용하는 것이다.[128]제2형 당뇨병의 경우 초기에는 약으로 조절 가능하지만, 일부는 결국 인슐린이나 GLP-1 수용체 작용제의 주사 치료가 필요하게 된다.[129] 제2형 당뇨병 치료의 1차 약제로 일반적으로 메트포르민이 있는데, 사망률을 줄이는 충분한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130] 메트포르민은 간에서의 포도당 생성을 감소시키고 말초 조직에 저장되는 포도당의 양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한다.[131] 경구 약물을 중심으로 한 다른 여러 약물 그룹도 2형 당뇨병 환자의 혈당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에는 인슐린 분비를 증가시키는 약제(설포닐우레아), 장에서의 당 흡수를 감소시키는 약제(아카보스), 인크레틴(GLP-1 및 GIP)을 불활성화하는 효소인 디펩티딜 펩티다제-4(DPP-4)를 억제하는 약제(시타글립틴), 인슐린에 대한 신체의 감수성을 높이는 약제(티아졸리딘디온), 그리고 소변으로 포도당 배설을 증가시키는 약제(SGLT2 억제제)가 포함된다.[131] 제2형 당뇨병에서 인슐린을 사용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장시간 작용 제제를 처음에 추가하고 경구 약물은 계속 복용한다.[130] 일부 심한 2형 당뇨병 환자는 인슐린으로 치료될 수도 있으며, 혈당 목표치에 도달할 때까지 인슐린 용량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킨다.[130][132]
7. 3. 수술
신장 이식이 필요한 만성 신부전을 포함하여 합병증이 심한 제1형 당뇨병 환자에게는 췌장 이식이 종종 고려된다.[333]비만의 제2형 당뇨병 환자에게는 배리애트릭 수술이 종종 유효하다.[334] 많은 이들이 수술 후 약 없이 또는 적은 양의 약으로 정상 혈당치를 유지할 수 있고,[335] 장기 사망률도 감소한다.[337] 다만, 1% 미만에서 수술 후 단기 사망률이 높아질 위험이 있다.[336] 체질량 지수를 참고하여 수술의 적절성 여부를 판단하며,[337] 체중과 혈당 모두 조절할 수 없는 환자에 대하여 수술을 고려하도록 권고된다.[338]
고혈당이 과식을 원인으로 하는 경우, 소매 위 절제술이나 십이지장 스위치와 같은 외과 수술로 식욕을 감퇴시켜 비만 및 제2형 당뇨병 치료의 일환으로 하는 경우도 있다.[243]
8. 역학
2013년 전 세계적으로 약 3억 8,200만 명이 당뇨병을 앓고 있었으며, 이는 1980년의 1억 800만 명에서 크게 증가한 수치이다.[158] 전 세계 성인의 당뇨병 유병률은 8.8%로, 1980년의 4.7%에 비해 거의 두 배나 증가했다.[160][159] 이 중 2형 당뇨병이 전체 사례의 약 90%를 차지한다.[161][35]
세계보건기구(WHO)는 2012년에 당뇨병으로 인해 150만 명이 사망하여, 당뇨병이 사망 원인 8위에 해당한다고 추산했다.[164][159] 그러나 고혈당, 심혈관 질환, 신부전 등 관련 합병증으로 인한 사망자 220만 명을 추가하면 당뇨병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더욱 늘어난다.[159][165] 국제당뇨병연맹(IDF)은 2017년 전 세계적으로 당뇨병으로 인해 400만 명이 사망했다고 추산했다.[160]
당뇨병은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지만, 특히 2형 당뇨병은 선진국에서 더 흔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유병률 증가는 저소득 및 중간소득 국가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당뇨병으로 인한 사망의 80% 이상이 이들 국가에서 발생한다.[159][166] 유병률 증가는 아시아와 아프리카에서 가장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며, 2030년에는 당뇨병 환자 대부분이 이 지역에 거주할 것으로 예상된다.[167] 개발도상국에서 유병률이 증가하는 것은 도시화와 생활 방식 변화, 즉 점점 더 정적인 생활 방식, 신체적으로 덜 힘든 직업, 그리고 고에너지 밀도이지만 영양가가 낮은 음식(종종 설탕과 포화 지방이 많은 음식, 때로는 "서구식" 식단이라고 함)의 섭취 증가를 특징으로 하는 세계적인 영양 전환 추세를 따르는 것으로 보인다.[159][167]
국제당뇨병연맹(IDF)에 따르면, 2019년 기준 전 세계 당뇨병 환자는 약 4억 6,300만 명이며, 2030년에는 5억 7,800만 명, 2045년에는 7억 명에 달할 것으로 예측된다.
일본의 경우, 지난 40년 동안 당뇨병 환자 수는 약 3만 명에서 700만 명 정도로 크게 증가했으며, 당뇨병 전단계를 포함하면 2000만 명에 달할 수 있다고 한다. 2006년 후생노동성 발표에 따르면, 당뇨병이 의심되는 사람은 약 820만 명으로 추산되었다.
8. 1. 한국의 당뇨병 현황
대한당뇨병학회에 따르면, 2020년 기준 대한민국 30세 이상 성인의 당뇨병 유병률은 16.7%이며, 65세 이상에서는 30%에 달한다. 당뇨병 전단계 인구까지 포함하면, 대한민국 성인 3명 중 1명은 당뇨병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대한민국의 경우 제2형 당뇨병이 대부분인데, 제2형 당뇨병은 주로 성인에서 발생하고 제1형 당뇨병은 주로 소아에서 발생한다.[251]참조
[1]
웹사이트
Diabetes Blue Circle Symbol
https://web.archive.[...]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2006-03-17
[2]
웹사이트
Diabetes
https://www.who.int/[...]
2022-10-01
[3]
논문
Diabetic Gastroparesis: Principles and Current Trends in Management
2018-07-01
[4]
논문
Diabetes mellitus and cognitive impairments
2016-09-01
[5]
웹사이트
Causes of Diabetes – NIDDK
http://www.niddk.nih[...]
2014-06-01
[6]
웹사이트
Drug Treatment of Diabetes Mellitus
https://www.msdmanua[...]
2017-02-01
[7]
웹사이트
IDF DIABETES ATLAS Ninth Edition 2019
https://www.diabetes[...]
2020-05-18
[8]
웹사이트
Diabetes
https://www.who.int/[...]
2023-01-29
[9]
웹사이트
Diabetes Mellitus (DM) – Hormonal and Metabolic Disorders
https://www.msdmanua[...]
2022-10-01
[10]
서적
Greenspan's basic & clinical endocrinology
McGraw-Hill Medical
[11]
논문
Hyperglycemic crises in adult patients with diabetes
http://care.diabetes[...]
2009-07-01
[12]
웹사이트
Symptoms and Causes of Diabetes
https://www.niddk.ni[...]
National Institute of Diabetes and Digestive and Kidney Diseases, U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24
[13]
웹사이트
Diabetes
https://www.who.int/[...]
2024-12-17
[14]
웹사이트
The top 10 causes of death
https://www.who.int/[...]
2024-08-12
[15]
웹사이트
Facts & figures
https://idf.org/abou[...]
2023-08-10
[16]
논문
Inequalities in the prevalence of diabetes mellitus and its risk factors in Sri Lanka: a lower middle income country
2018-04-01
[17]
웹사이트
The top 10 causes of death
https://www.who.int/[...]
2020-05-18
[18]
논문
Global Economic Burden of Diabetes in Adults: Projections From 2015 to 2030
2018-05-01
[19]
웹사이트
Diabetes
https://my.cleveland[...]
2023-02-17
[20]
서적
Kumar and Clark's Clinical Medicine
Elsevier
[21]
서적
Goldman-Cecil Medicine
Elsevier
[22]
서적
Davidson's Principles and Practice of Medicine
Elsevier
[23]
논문
Hyperglycaemic presentations in type 2 diabetes
https://www1.racgp.o[...]
2019-05-01
[24]
논문
The consequences of hypoglycaemia
https://doi.org/10.1[...]
2021-05-01
[25]
웹사이트
Diabetes – long-term effects
http://www.betterhea[...]
Department of Health
[26]
논문
Diabetes mellitus, fasting blood glucose concentration, and risk of vascular disease: a collaborative meta-analysis of 102 prospective studies
2010-06-01
[27]
논문
2013 ACCF/AHA guideline for the management of ST-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a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Foundation/American Heart Association Task Force on Practice Guidelines
2013-01-01
[28]
논문
Complications of Diabetes 2017
2018-03-11
[29]
웹사이트
Diabetes eye care
https://medlinepl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30]
서적
Cecil Essentials of Medicine
Elsevier
[31]
논문
A systematic review of the association of Type I diabetes with sensorineural hearing loss
2024-02-09
[32]
논문
Obesity, Type 2 Diabetes, Lifestyle Factors, and Risk of Gallstone Disease: A Mendelian Randomization Investigation
2022-03-01
[33]
논문
Cognitive decline and dementia in diabetes—systematic overview of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ies
2005-12-01
[34]
논문
Diabetes mellitus and risk of falls in older adul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6-11-01
[35]
서적
Williams textbook of endocrinology
Elsevier/Saunders
[36]
웹사이트
Over a Third of Adults With Type 1 Diabetes Weren't Diagnosed Until After 30
https://www.usnews.c[...]
2023-09-28
[37]
논문
What is Type 1 Diabetes?
[38]
논문
Co-aggregation and heritability of organ-specific autoimmunity: a population-based twin study
2020-05-01
[39]
논문
Genetic liability of type 1 diabetes and the onset age among 22,650 young Finnish twin pairs: a nationwide follow-up study
2003-04-01
[40]
논문
A study of diabetes mellitus within a large sample of Australian twins
https://www.pure.ed.[...]
2008-02-01
[41]
논문
The Concordance and Heritability of Type 2 Diabetes in 34,166 Twin Pairs From International Twin Registers: The Discordant Twin (DISCOTWIN) Consortium
2015-12-01
[42]
논문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burden and trend of diabetes in 195 countries and territories: an analysis from 1990 to 2025
2020-09-01
[43]
논문
An Update on the Epidemiology of Type 2 Diabetes: A Global Perspective
2021-09-01
[44]
보고서
Classification of diabetes mellitus 2019
https://apps.who.int[...]
World Health Organisation
2019-01-01
[45]
논문
The many faces of diabetes: a disease with increasing heterogeneity
2014-03-01
[46]
서적
Robbins & Cotran Pathologic Basis of Disease
Elsevier
[47]
논문
Diabetes treatment—bridging the divide
2007-04-01
[48]
웹사이트
Diabetes Mellitus (DM)
https://www.msdmanua[...]
Merck & Co.
2022-09-01
[49]
Review
Mechanisms of Beta Cell Dysfunction Associated With Viral Infection
2015-10-01
[50]
Review
Environmental Risk Factors and Type 1 Diabetes: Past, Present, and Future
2016-12-01
[51]
논문
Latent autoimmune diabetes of the adult: current knowledge and uncertainty
2015-07-01
[52]
웹사이트
What Is Diabetes?
https://www.diabetes[...]
[53]
논문
Identification and phenotypic characterization of patients with LADA in a population of southeast Mexico
2023-04-29
[54]
웹사이트
Insulin Resistance
http://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4-01-01
[55]
논문
2. Classification and Diagnosis of Diabetes
2017-01-01
[56]
논문
Prevention of Diabetes Mellitus in Patients With Prediabetes
2019-02-01
[57]
논문
Dietary fats and prevention of type 2 diabetes
2009-01-01
[58]
논문
Risk factors for type 2 diabetes mellitus
https://pubmed.ncbi.[...]
2002-01-01
[59]
논문
Sugar-sweetened beverages, obesity, type 2 diabetes mellitus,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2010-03-01
[60]
논문
Sugar-sweetened beverages and risk of metabolic syndrome and type 2 diabetes: a meta-analysis
2010-11-01
[61]
논문
White rice consumption and risk of type 2 diabetes: meta-analysis and systematic review
2012-03-01
[62]
논문
Effect of physical inactivity on major non-communicable diseases worldwide: an analysis of burden of disease and life expectancy
2012-07-01
[63]
논문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and risk of type 2 diabet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5-11-01
[64]
논문
The metabolic side effects of 12 antipsychotic drugs used for the treatment of schizophrenia on glucose: a network meta-analysis
2017-11-01
[65]
웹사이트
National Diabetes Clearinghouse (NDIC): National Diabetes Statistics 2011
http://diabetes.nidd[...]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66]
논문
Krause's Food & The Nutrition Care Process
2019-11-01
[67]
웹사이트
Managing & Treating Gestational Diabetes {{!}} NIDDK
https://www.niddk.ni[...]
[68]
논문
Intrapartal cardiotocographic patterns and hypoxia-related perinatal outcomes in pregnancies complicated by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2021-11-01
[69]
서적
Diabetes in Pregnancy: Management of diabetes and its complications from preconception to the postnatal period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are Excellence (UK)
2015-02-01
[70]
웹사이트
Monogenic Forms of Diabetes
https://www.niddk.ni[...]
US NIH
[71]
논문
Diagnosis and management of maturity onset diabetes of the young (MODY)
2011-10-01
[72]
웹사이트
Definition,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of Diabetes Mellitus and its Complications
http://whqlibdoc.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73]
논문
Insulin resistance in type 1 diabetes: what is 'double diabetes' and what are the risk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13-07-01
[74]
서적
Robbins Basic Pathology
Saunders
[75]
논문
Statins and risk of incident diabetes: a collaborative meta-analysis of randomised statin trials
2010-02-01
[76]
논문
Insulin and Insulin Resistance
2005-05-05
[77]
웹사이트
Insulin Basics
https://diabetes.org[...]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2023-06-25
[78]
서적
Greenspan's basic & clinical endocrinology
McGraw-Hill Medical
[79]
서적
Ganong's review of medical physiology
McGraw-Hill Medical
[80]
서적
Harper's illustrated biochemistry
McGraw-Hill Medical
[81]
서적
Juta's Complete Textbook of Medical Surgical Nursing
Juta
[82]
논문
Summary of revisions for the 2010 Clinical Practice Recommendations
http://care.diabetes[...]
2010-01-01
[83]
서적
Definition and diagnosis of diabetes mellitus and intermediate hyperglycemia: Report of a WHO/IDF consultation
http://www.who.int/d[...]
World Health Organization
[84]
논문
In the clinic. Type 2 diabetes
2010-03-01
[85]
논문
Postchallenge hyperglycemia and mortality in a national sample of U.S. adults
2001-08-01
[86]
서적
Definition and diagnosis of diabetes mellitus and intermediate hyperglycemia: report of a WHO/IDF consultation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87]
논문
Diagnosis, prognosis, and treatment of impaired glucose tolerance and impaired fasting glucose
http://www.ahrq.gov/[...]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2005-08-01
[88]
논문
The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revisited
2011-02-01
[89]
논문
Glycated hemoglobin, diabetes, and cardiovascular risk in nondiabetic adults
2010-03-01
[90]
논문
Understanding Pre-Type 1 Diabetes: The Key to Prevention
2018-03-06
[91]
논문
Tackling risk factors for type 2 diabetes in adolescents: PRE-STARt study in Euskadi
Anales de Pediatría
2020-01-01
[92]
논문
Physical activity and risk of breast cancer, colon cancer, diabetes, ischemic heart disease, and ischemic stroke events: systematic review and dose-response meta-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3
2016-08-01
[93]
웹사이트
Simple Steps to Preventing Diabetes
http://www.hsph.harv[...]
Harvard T.H. Chan School of Public Health
2012-09-18
[94]
논문
Active smoking and the risk of type 2 diabet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07-12-01
[95]
웹사이트
Chronic diseases and their common risk factors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5-01-01
[96]
웹사이트
Diabetes and Your Immune System
https://www.cdc.gov/[...]
2023-07-31
[97]
논문
Diabetes in COVID-19: Prevalence, pathophysiology, prognosis and practical considerations
2020-01-01
[98]
논문
Diabetes in COVID-19 pandemic-prevalence, patient characteristics and adverse outcomes
2021-07-01
[99]
논문
Intensive blood-glucose control with sulphonylureas or insulin compared with conventional treatment and risk of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UKPDS 33). UK Prospective Diabetes Study (UKPDS) Group
https://pubmed.ncbi.[...]
1998-09-12
[100]
서적
Williams Textbook of Endocrinology
Elsevier
2020-01-01
[101]
웹사이트
Managing diabetes
https://www.niddk.ni[...]
National Institute of Diabetes and Digestive and Kidney Diseases, U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16-12-01
[102]
논문
Effectiveness of plant-based diets in promoting well-being in the management of type 2 diabetes: a systematic review
2018-10-30
[103]
논문
The effect of intensive diabetes therapy on the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neuropathy
1995-04-01
[104]
웹사이트
The A1C test and diabetes
https://www.niddk.ni[...]
National Institute of Diabetes and Digestive and Kidney Diseases, U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18-04-01
[105]
논문
Hemoglobin A1c Targets for Glycemic Control With Pharmacologic Therapy for Nonpregnant Adul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A Guidance Statement Update From the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2018-04-01
[106]
NICE
Type 2 diabetes
2008
[107]
논문
Footwear and offloading interventions to prevent and heal foot ulcers and reduce plantar pressure in patients with diabetes: a systematic review
2016-01-01
[108]
논문
Effectiveness of offloading methods in preventing primary diabetic foot ulcers in adults with diabetes: a systematic review
2016-07-01
[109]
논문
Prevention of foot ulcers in the at-risk patient with diabetes: a systematic review
https://eprints.qut.[...]
2023-01-23
[110]
논문
Preventive foot care in diabetes
2004-01-01
[111]
논문
Self management interventions for type 2 diabetes in adult people with severe mental illness
2016-04-01
[112]
논문
Long-term Sustainability of Diabetes Prevention Approach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linical Trials
2017-12-01
[113]
논문
Weight Management in Patients with Type 1 Diabetes and Obesity
2017-08-01
[114]
논문
5. Lifestyle Management: ''Standards of Medical Care in Diabetes-2019''
2019-01-01
[115]
Professional society guidelines
Nutrition Therapy for Adults With Diabetes or Prediabetes: A Consensus Report
2019-05-01
[116]
논문
The effect of macronutrients on glycaemic control: a systematic review of dietary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in overweight and obese adults with type 2 diabetes in which there was no difference in weight loss between treatment groups
2015-11-01
[117]
논문
Weight Loss and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Using Lifestyle Therapy, Pharmacotherapy, and Bariatric Surgery: Mechanisms of Action
2015-06-01
[118]
논문
Non-nutritive sweeteners for diabetes mellitus
2020-05-25
[119]
논문
Continuous moderate and intermittent high-intensity exercise in youth with type 1 diabetes: Which protection for dysglycemia?
https://linkinghub.e[...]
2024-04-01
[120]
논문
Exploring Factors That Influence Postexercise Glycemia in Youth With Type 1 Diabetes in the Real World: The Type 1 Diabetes Exercise Initiative Pediatric (T1DEXIP) Study
https://diabetesjour[...]
2024-05-01
[121]
논문
"It changed everything we do": A mixed methods study of youth and parent experiences with a pilot exercise education intervention following new diagnosis of type 1 diabetes
2024-01-01
[122]
논문
The impact of physical activity, quality of life and eating habits on cardiometabolic profile and adipokines in youth with T1D
https://research.ebs[...]
2023-04-21
[123]
논문
Type 2 diabetes in youth: A phenotype of poor cardiorespiratory fitnessand low physical activity
https://research.ebs[...]
2009-10-31
[124]
논문
Resistance Training and Insulin Sensitivity in Youth: A Meta-analysis
https://research.ebs[...]
2019-04-01
[125]
논문
Diabetic retinopathy: current concepts and emerging therapy
2013-12-01
[126]
논문
Glycemic Control as Primary Prevention for Diabetic Kidney Disease
2018-03-01
[127]
논문
One size does not fit all glycemic targets for type 2 diabetes
2014-03-01
[128]
웹사이트
Type 1 diabetes in adults: diagnosis and management
https://www.nice.org[...]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are Excellence
2020-12-25
[129]
웹사이트
Type 2 diabetes in adults: management
https://www.nice.org[...]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are Excellence
2020-12-25
[130]
논문
Management of blood glucose in type 2 diabetes mellitus
http://www.aafp.org/[...]
2009-01-01
[131]
논문
Oral antidiabetic agents: current role in type 2 diabetes mellitus
2005-01-01
[132]
간행물
Choosing a type 2 diabetes drug – Why the best first choice is often the oldest drug
http://consumerhealt[...]
Consumer Reports
2012-08-14
[133]
논문
A Roadmap on the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Among People Living With Diabetes
2019-09-01
[134]
논문
Effect of antihypertensive treatment at different blood pressure levels i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es
2016-02-01
[135]
논문
Benefits and harms of lower blood pressure treatment target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sed placebo-controlled trials
2019-09-01
[136]
논문
Update on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Adul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in Light of Recent Evidence: A Scientific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and the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2015-09-01
[137]
논문
Effect of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s and angiotensin II receptor blockers on all-cause mortality, cardiovascular deaths, and cardiovascular events i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a meta-analysis
2014-05-01
[138]
논문
Effects of aliskiren on mortality, cardiovascular outcomes and adverse events in patients with diabe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or risk: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13,395 patients
2017-09-01
[139]
논문
Cardiovascular and Renal Outcomes of Renin-Angiotensin System Blockade in Adult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A Systematic Review with Network Meta-Analyses
2016-03-01
[140]
논문
Aspirin for primary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events in people with diabetes: a position statement of the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a scientific statement of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and an expert consensus documen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Foundation
2010-06-01
[141]
논문
The clinical effectiveness and cost-effectiveness of bariatric (weight loss) surgery for obesity: a systematic review and economic evaluation
2009-09-01
[142]
논문
Bariatric surgery for diabetes management
2009-04-01
[143]
논문
Bariatric surgery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 viable option
2011-01-01
[144]
논문
"Metabolic" surgery for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mellitus
2009-09-01
[145]
논문
Bariatric surgery for type 2 diabetes
2012-06-01
[146]
웹사이트
Pancreas Transplantation
http://www.diabetes.[...]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2014-04-09
[147]
논문
Prevalence of peripheral neuropathy in patients with diabet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20-10-01
[148]
논문
Advances in Interventional Therapies for Painful Diabetic Neuropathy: A Systematic Review
2022-06-01
[149]
논문
Surgical Decompression in the Treatment of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7-03-01
[150]
논문
A cause for optimism in diabetic neuropathy
1988-02-01
[151]
논문
Biologic Basis of Nerve Decompression Surgery for Focal Entrapments in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
2014-03-01
[152]
논문
Lower Extremity Nerve Decompression for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22-08-01
[153]
논문
Advances in Interventional Therapies for Painful Diabetic Neuropathy: A Systematic Review
2022-06-01
[154]
논문
Can social prescribing improve the health of people with diabetes?
https://evidence.nih[...]
2024-01-26
[155]
논문
Home telehealth for diabetes managemen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09-10-01
[156]
논문
Computer-based diabetes self-management interventions for adul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2013-03-01
[157]
논문
Computer-assisted versus oral-and-written dietary history taking for diabetes mellitus
2011-12-01
[158]
논문
The global implications of diabetes and cancer
2014-06-01
[159]
웹사이트
Global Report on Diabetes
http://apps.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6-09-20
[160]
웹사이트
Estimated number diabetics worldwide
https://www.statista[...]
2019-12-10
[161]
논문
Years lived with disability (YLDs) for 1160 sequelae of 289 diseases and injuries 1990–2010: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0
2012-12-01
[162]
논문
Diabetes and gender
2001-01-01
[163]
논문
Sex differences in risk factors for incident type 2 diabetes mellitus: the MONICA Augsburg cohort study
2002-01-01
[164]
웹사이트
The top 10 causes of death Fact sheet N°310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3-10-01
[165]
간행물
Diabetes in Canada: Facts and figures from a public health perspective
Public Health Agency of Canada
2011-01-01
[166]
논문
Projections of global mortality and burden of disease from 2002 to 2030
2006-11-01
[167]
논문
Global prevalence of diabetes: estimates for the year 2000 and projections for 2030
2004-05-01
[168]
웹사이트
Prevalence of Prediabetes Among Adults – Diabetes
https://www.cdc.gov/[...]
2018-03-13
[169]
서적
Exercise and disease management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1-04-25
[170]
간행물
Sickening sweet
https://www.scienceh[...]
2015-01-01
[171]
서적
Principles of diabetes mellitus
https://books.google[...]
Springer
[172]
논문
Aretaeus of Cappadocia and the first description of diabetes
http://www.hormones.[...]
[173]
사전
diabetes
Oxford English Dictionary
2011-06-10
[174]
웹사이트
Online Etymology Dictionary. ''diabetes.''
http://www.etymonlin[...]
[175]
웹사이트
De causis et signis acutorum morborum (lib. 2), Chapter 2, On Diabetes
https://www.perseus.[...]
[176]
서적
mellite
Oxford English Dictionary
2011-06-10
[177]
웹사이트
MyEtimology. mellitus.
http://www.myetymolo[...]
2011-06-10
[178]
서적
-ite
Oxford English Dictionary
2011-06-10
[179]
논문
Diabetes Urine Testing: An Historical Perspective
https://journals.sag[...]
1988
[180]
서적
The New Public Health, Second Edition
Academic Press
[181]
논문
Monitoring the targets of the St Vincent Declaration and the implementation of quality management in diabetes care: the DIABCARE initiative. The DIABCARE Monitoring Group of the St Vincent Declaration Steering Committee
1993-05-01
[182]
논문
Type 2 diabetes programmes in Europe
http://www2.lse.ac.u[...]
[183]
웹사이트
Diabetes Stigma: Learn About It, Recognize It, Reduce It
https://www.cdc.gov/[...]
2022-11-03
[184]
논문
Social Stigma in Diabetes
2013-03-01
[185]
논문
Weight stigma and diabetes stigma in U.S. adults with type 2 diabetes: Associations with diabetes self-care behaviors and perceptions of health care
https://doi.org/10.1[...]
2020-10-01
[186]
논문
Race/Ethnic Difference in Diabetes and Diabetic Complications
2013-12-01
[187]
웹사이트
Hispanic/Latino Americans and Type 2 Diabetes
https://www.cdc.gov/[...]
2022-04-04
[188]
웹사이트
Diabetes and Asian American People
https://www.cdc.gov/[...]
2022-11-21
[189]
논문
Lost productive time and costs due to diabetes and diabetic neuropathic pain in the US workforce
2007-06-01
[190]
간행물
Emergency Department Visits for Adults with Diabetes, 2010
http://www.hcup-us.a[...]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2013-11-01
[191]
웹사이트
Type 1 vs. Type 2 Diabetes Differences: Which One Is Worse?
https://www.medicine[...]
2021-03-21
[192]
서적
Living with diabetes
https://archive.org/[...]
Facts On File
2008
[193]
논문
Comparative occurrence of diabetes in canine, feline, and few wild animals and their association with pancreatic diseases and ketoacidosis with therapeutic approach
2018-04-01
[194]
논문
Reptile Medicine and Surgery
W.B. Saunders
2006-01-01
[195]
논문
Revisiting glucose regulation in birds - A negative model of diabetes complications
2022-07-08
[196]
웹사이트
Diabetes mellitus
http://www.merckvetm[...]
[197]
서적
Feline diabetes mellitus Aspects on epidemiology and pathogenesis
https://pub.epsilon.[...]
Acta Universitatis agriculturae Sueciae
[198]
웹사이트
Diabetes Blue Circle Symbol
http://www.diabetesb[...]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2006-03-17
[199]
보고서
Global health estimates: Leading causes of DALYs
https://www.who.int/[...]
세계보건기구
2020-12-01
[200]
웹사이트
糖尿病を「ダイアベティス」に、新たな呼称案を提案
https://www.m3.com/n[...]
2023-09-22
[201]
웹사이트
外国人患者さんには通じない医療用語|ディーエム|#072|佐藤まりこ 外国人患者さんには通じない医療用語
https://ml.medica.co[...]
2022-06-22
[202]
웹사이트
糖尿病には「1型」と「2型」があるそうですが、どのように違うのでしょうか?
https://www.healthca[...]
[203]
웹사이트
糖尿病の病名変更を提唱へ“不正確でイメージ悪い”専門医団体 NHK
https://web.archive.[...]
[204]
웹사이트
飽食の時代と肥満~2型糖尿病の根本原因~|時事メディカル|時事通信の医療ニュースサイト
https://medical.jiji[...]
[205]
논문
Is Alzheimer's disease a Type 3 Diabetes? A critical appraisal
2017-05-01
[206]
웹사이트
世界糖尿病デー 世界の糖尿病人口は4億6300万人に増加 糖尿病が大きな脅威に
https://dm-net.co.jp[...]
株式会社創新社
2019-11-14
[207]
웹사이트
9th Edition of IDF Diabetes Atlas(IDF 糖尿病アトラス 第9版)
https://www.diabetes[...]
2019-11-14
[208]
보고서
Global health estimates: Leading causes of DALYs
https://www.who.int/[...]
세계보건기구
2020-12-01
[209]
보고서
Global health estimates: Leading causes of death
https://www.who.int/[...]
세계보건기구
2020-12-01
[210]
웹사이트
Factsheet - Diabetes
http://www.who.int/m[...]
WHO
2015-01-01
[211]
보고서
10 facts about diabetes
http://www.who.int/f[...]
WHO
2014-11-01
[212]
웹사이트
糖尿病は「食べる順番」と「食後の10分運動」で防ごう 自覚症状がなくても6人に1人が罹患 名医が治療法を解説
https://www.fnn.jp/a[...]
2021-11-09
[213]
웹사이트
糖尿病の三大合併症「しめじ」を押さえましょう
https://medical.nikk[...]
2023-09-27
[214]
웹사이트
糖尿病の大血管合併症、命に関わる「えのき」
https://medical.nikk[...]
2023-10-11
[215]
웹사이트
高齢化と関連する合併症「こがに」
https://medical.nikk[...]
2023-10-25
[216]
웹사이트
糖尿病第4の合併症「脂肪肝由来の肝硬変」
https://medical.nikk[...]
2017-06-06
[217]
논문
変貌する生活習慣病の現状と課題:久山町研究
2010
[218]
웹사이트
糖尿病とその後のがん罹患との関連について
http://epi.ncc.go.jp[...]
[219]
웹사이트
インスリン関連マーカーと大腸がん罹患との関係についてJPHC Study 多目的コホート研究
http://epi.ncc.go.jp[...]
[220]
논문
Pancreatic cancer manifesting as Sister Mary Joseph nodule during follow up of a patient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A case report
2019-04-01
[221]
웹사이트
認定看護師リレーエッセイ No.11 {{!}} 市立旭川病院
https://www.city.asa[...]
2022-11-20
[222]
웹사이트
糖尿病の新呼称提案、「ダイアベティス」 学会など
https://www.nikkei.c[...]
2023-09-26
[223]
뉴스
糖尿病新呼称案を発表
読売新聞
2023-09-23
[224]
서적
Williams textbook of endocrinology
Elsevier/Saunders
[225]
논문
What is Type 1 Diabetes?
[226]
논문
膵性糖尿病の臨床経過
日本糖尿病学会
1994
[227]
논문
Genetics of type 2 diabetes—pitfalls and possibilities.
https://www.ncbi.nlm[...]
[228]
논문
Variants in KCNQ1 are associated with susceptibility to type 2 diabetes mellitus
[229]
논문
SNPs in KCNQ1 are associated with susceptibility to type 2 diabetes in East Asian and European populations
[230]
논문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of 14,000 cases of seven common diseases and 3,000 shared controls
[231]
논문
A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identifies novel risk loci for type 2 diabetes
[232]
논문
A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of Type 2 Diabetes in Finns Detects Multiple Susceptibility Variants
[233]
논문
Identification of KCNJ15 as a Susceptibility Gene in Asia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234]
논문
特集 病期別にみた糖尿病およびその合併症への新しい対策 膵β細胞不全からみた2型糖尿病の病期とそれに応じた対策
2002
[235]
논문
II型糖尿病の成因と病態
[236]
논문
Active smoking and the risk of type 2 diabet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37]
논문
脳卒中後の回復期リハビリテーションにおける糖尿病未診断患者の耐糖能異常の頻度と臨床的意義
[238]
논문
糖尿病の分類と診断基準に関する委員会報告
[239]
용어
maturity onset diabetes of young
[240]
용어
maternally inherited diabetes and deafness
[241]
웹사이트
Urinary chiro- and myo-inositol levels as a biological marker for type 2 diabetes mellitus.
http://iospress.meta[...]
[242]
논문
Lucica MI urinary myoinositol kit: a new diagnostic test for diabetes mellitus and glucose intolerance
[243]
논문
[244]
웹사이트
糖尿病診療ガイドライン2016
https://www.jds.or.j[...]
[245]
간행물
糖尿病患者に対する歯周治療ガイドライン
http://www.perio.jp/[...]
日本歯周病学会
[246]
약어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247]
논문
内科診療の進歩糖尿病合併症の成因と対策
1989-00-00
[248]
논문
The features of causes of death in Japanese diabetics during the period 1971-1980.
[249]
논문
動脈硬化症の分子機構
2003-00-00
[250]
논문
アンケート調査による日本人糖尿病の死因 -1991~2000年の10年間,18,385名での検討-
2007-00-00
[251]
보고서
平成14年度糖尿病実態調査報告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健康局
2004-06-00
[252]
논문
Prevalence of obesity, diabetes, and obesity-related health risk factors, 2001
[253]
논문
Active smoking and the risk of type 2 diabet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54]
논문
Walking compared with vigorous physical activity and risk of type 2 diabetes in women: a prospective study
[255]
웹사이트
成人期における体重変化と糖尿病との関連について
http://epi.ncc.go.jp[...]
独立行政法人 国立がん研究センター がん予防・検診研究センター 予防研究部
[256]
웹사이트
米飯摂取と糖尿病との関連について
http://epi.ncc.go.jp[...]
独立行政法人 国立がん研究センター がん予防・検診研究センター 予防研究部
[257]
논문
亜鉛と糖尿病
日本衛生学会
2014-00-00
[258]
논문
5. 糖尿病と食事由来金属元素
日本糖尿病学会
2013-00-00
[259]
뉴스
マグネシウム摂取量の増加で2型糖尿病発症率が有意に低下
https://medical.nikk[...]
日経メディカルオンライン
2012-05-21
[260]
웹사이트
マグネシウム摂取と糖尿病との関連について
http://epi.ncc.go.jp[...]
国立がん研究センター がん予防・検診研究センター 予防研究部
[261]
논문
Red and processed meat consumption and risk of incident coronary heart disease, stroke, and diabetes mellitu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62]
논문
White rice, brown rice, and risk of type 2 diabetes in US men and women.
[263]
뉴스
妊娠前にファーストフードを頻繁に食べた場合、妊娠糖尿病リスクがおよそ2倍に
https://medical.nikk[...]
日経メディカルオンライン
2013-06-25
[264]
웹사이트
清涼飲料水(ソフトドリンク)と糖尿病発症との関連について
http://epi.ncc.go.jp[...]
国立がん研究センター がん予防・検診研究センター 予防研究部
[265]
웹사이트
野菜・果物摂取と糖尿病との関連について
http://epi.ncc.go.jp[...]
国立がん研究センター がん予防・検診研究センター 予防研究部
[266]
서적
臨床歯周病学
医歯薬出版
2007-00-00
[267]
웹사이트
精神的要因、コーヒーと糖尿病との関連について
http://epi.ncc.go.jp[...]
国立がん研究センター がん予防・検診研究センター 予防研究部
[268]
뉴스
糖尿病の死亡リスク、夜明けのコーヒーで増:米国民健康・栄養調査の糖尿病患者5,000例超の解析
https://www.yomiuri.[...]
読売新聞
2024-12-25
[269]
논문
Fruit consumption and risk of type 2 diabetes: results from three prospective longitudinal cohort studies
[270]
웹사이트
米学会が7時間の睡眠を勧告、不足で心臓病や脳卒中のリスク
https://www.cnn.co.j[...]
CNN
2015-06-22
[271]
웹사이트
古代食の総合的復元による食生活と疾病の関係解明
https://kaken.nii.ac[...]
科学研究費助成事業データベース
[272]
서적
先駆者の勇気に応えたい―医療の歴史エピソード集
テルモ
1981-00-00
[273]
웹사이트
飽食の時代と肥満~2型糖尿病の根本原因~
https://medical.jiji[...]
[274]
웹사이트
「無自覚性低血糖症」を示す者の運転免許証の申請について(理事会見解)
https://www.jds.or.j[...]
[275]
웹인용
Diabetes Blue Circle Symbol
http://www.diabetesb[...]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2006-03-17
[276]
논문
Hyperglycemic crises in adult patients with diabetes
2009-07-00
[277]
논문
Diabetic Gastroparesis: Principles and Current Trends in Management
2018-07-00
[278]
논문
Type 1 diabetes through the life span: a position statement of the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2014-07-00
[279]
웹인용
Causes of Diabetes
http://www.niddk.nih[...]
2014-06-00
[280]
논문
Management of blood glucose in type 2 diabetes mellitus
http://www.aafp.org/[...]
2009-01-00
[281]
웹인용
Drug Treatment of Diabetes Mellitus
https://www.msdmanua[...]
2018-10-12
[282]
서적
IDF Diabetes Atlas, 8th edn.
http://www.diabetesa[...]
Brussels, Belgium: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2017-00-00
[283]
웹인용
Diabetes Fact sheet N°312
http://www.who.int/m[...]
2015-06-06
[284]
서적
RSSDI textbook of diabetes mellitus
http://books.google.[...]
Jaypee Brothers Medical Publishers
[285]
웹인용
The top 10 causes of death Fact sheet N°310
http://www.who.int/m[...]
2013-10-00
[286]
서적
Manual of intensive care medicine
http://books.google.[...]
Wolters Kluwer Health/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0-00-00
[287]
저널
The clinical effectiveness and cost-effectiveness of bariatric (weight loss) surgery for obesity: a systematic review and economic evaluation
2009-09-00
[288]
서적
Family Practice Guidelines
http://books.google.[...]
Springer
[289]
웹인용
Update 2014
https://thewttnroc.c[...]
국제 당뇨병 연맹
2015-06-08
[290]
서적
Williams textbook of endocrinology
Elsevier/Saunders
[291]
저널
The global implications of diabetes and cancer
http://linkinghub.el[...]
2014-06-07
[292]
저널
Years lived with disability (YLDs) for 1160 sequelae of 289 diseases and injuries 1990–2010: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0.
2012-12-15
[293]
서적
IDF DIABETES ATLAS
http://www.idf.org/s[...]
국제 당뇨병 연맹
2014-06-08
[294]
저널
Economic costs of diabetes in the U.S. in 2012.
2013-04-00
[295]
저널
Type 1 diabetes mellitus in pediatrics
2008-11-00
[296]
저널
When hypoglycemia is not obvious: diagnosing and treating under-recognized and undisclosed hypoglycemia
http://www.primary-c[...]
2014-04-00
[297]
저널
Seizures and type 1 diabetes mellitus: current state of knowledge
http://eje-online.or[...]
2015-04-16
[298]
저널
Hyperglycemic crises in adult patients with diabetes
http://care.diabetes[...]
2009-07-00
[299]
저널
Diabetes mellitus, fasting blood glucose concentration, and risk of vascular disease: A collaborative meta-analysis of 102 prospective studies
[300]
저널
2013 ACCF/AHA guideline for the management of ST-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a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Foundation/American Heart Association Task Force on Practice Guidelines.
2013-01-29
[301]
웹인용
Diabetes Programme
http://www.who.int/d[...]
세계 보건 기구
2015-06-09
[302]
웹인용
Cognitive decline and dementia in diabetes—systematic overview of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ies
http://link.springer[...]
Springer-Verlag
2015-06-09
[303]
저널
What is Type 1 Diabetes?
[304]
서적
Greenspan's basic & clinical endocrinology
https://archive.org/[...]
McGraw-Hill Medical
[305]
저널
Diabetes treatment—bridging the divide
2007-04-00
[306]
웹인용
Diabetes Mellitus (DM): Diabetes Mellitus and Disorders of Carbohydrate Metabolism: Merck Manual Professional
http://www.merck.com[...]
Merck Publishing
2010-07-30
[307]
저널
Essential labile diabetes
1977-05-00
[308]
저널
Dietary fats and prevention of type 2 diabetes
2009-01-00
[309]
저널
Sugar Sweetened Beverages, Obesity, Type 2 Diabe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2010-03-23
[310]
저널
Sugar-Sweetened Beverages and Risk of Metabolic Syndrome and Type 2 Diabetes: A meta-analysis
2010-11-00
[311]
저널
White rice consumption and risk of type 2 diabetes: meta-analysis and systematic review
2012-03-15
[312]
저널
Effect of physical inactivity on major non-communicable diseases worldwide: an analysis of burden of disease and life expectancy
2012-07-01
[313]
웹인용
National Diabetes Clearinghouse (NDIC): National Diabetes Statistics 2011
http://diabetes.nidd[...]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15-06-15
[314]
웹인용
Definition,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of Diabetes Mellitus and its Complications
http://whqlibdoc.who[...]
세계 보건 기구
2015-06-22
[315]
서적
Robbins Basic Pathology
Saunders
[316]
저널
Statins and risk of incident diabetes: a collaborative meta-analysis of randomised statin trials
2010-02-00
[317]
웹인용
Insulin Basics
https://web.archive.[...]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2015-06-24
[318]
서적
Greenspan's basic & clinical endocrinology
https://archive.org/[...]
McGraw-Hill Medical
2011-00-00
[319]
서적
Ganong's review of medical physiology
McGraw-Hill Medical
2012-00-00
[320]
서적
Harper's illustrated biochemistry
McGraw-Hill Medical
2012-00-00
[321]
서적
Definition and diagnosis of diabetes mellitus and intermediate hyperglycemia: report of a WHO/IDF consultation
http://www.who.int/d[...]
세계 보건 기구
[322]
저널
Type 2 diabetes
2010-03-00
[323]
웹인용
"Diabetes Care" 2010년 1월
http://care.diabetes[...]
2015-06-27
[324]
저널
Postchallenge hyperglycemia and mortality in a national sample of U.S. adults
2001-08-00
[325]
서적
Definition and diagnosis of diabetes mellitus and intermediate hyperglycemia : report of a WHO/IDF consultation
http://www.who.int/d[...]
세계 보건 기구
[326]
웹인용
Diagnosis, Prognosis, and Treatment of Impaired Glucose Tolerance and Impaired Fasting Glucose
http://www.ahrq.gov/[...]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2008-07-20
[327]
저널
The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revisited.
2011-02-00
[328]
저널
Glycated hemoglobin, diabetes, and cardiovascular risk in nondiabetic adults
[329]
웹인용
The Nutrition Source
http://www.hsph.harv[...]
Harvard School of Public Health
2015-06-09
[330]
저널
Active smoking and the risk of type 2 diabet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07-12-12
[331]
서적
Biochemistry
W.H. Freeman
2007-00-00
[332]
저널
Association of systolic blood pressure with macrovascular and microvascular complications of type 2 diabetes (UKPDS 36):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2000-08-00
[333]
웹인용
Pancreas Transplantation
https://web.archive.[...]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2015-07-13
[334]
저널
The clinical effectiveness and cost-effectiveness of bariatric (weight loss) surgery for obesity: a systematic review and economic evaluation
2009-09-00
[335]
저널
Bariatric surgery for diabetes management
2009-04-00
[336]
저널
Bariatric surgery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 viable option
2011-01-00
[337]
저널
"Metabolic" surgery for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mellitus
2009-09-00
[338]
저널
Bariatric surgery for type 2 diabetes
2012-06-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