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초아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하위 분류
- 2.1. 검정방동사니족 (Fuireneae)
- 2.2. 고랭이족 (Scirpeae)
- 2.3. 골풀아재비족 (Rhynchosporeae)
- 2.4. 너도고랭이족 (Sclerieae)
- 2.5. 둘리키움족 (Dulichieae)
- 2.6. 바늘골족 (Eleocharideae)
- 2.7. 방동사니족 (Cypereae)
- 2.8. 사초족 (Cariceae)
- 2.9. 스코이누스족 (Schoeneae)
- 2.10. 코이아마이아족 (Koyamaeae)
- 2.11. 크립탕기움족 (Cryptangieae)
- 2.12. 트릴레피스족 (Trilepideae)
- 2.13. 하늘지기족 (Abildgaardieae)
- 2.14. 분류 불확실 (Incertae sedis)
- 참조
1. 개요
사초아과는 사초과에 속하는 아과로, 여러 족으로 구성되어 있다. 검정방동사니족, 고랭이족, 골풀아재비족, 너도고랭이족, 둘리키움족, 바늘골족, 방동사니족, 사초족, 스코이누스족, 코이아마이아족, 크립탕기움족, 트릴레피스족, 하늘지기족 등이 있으며, 각 족은 여러 속을 포함한다. 또한, 'Khaosokia'는 분류학적 위치가 불확실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초아과 - 사초속
사초속은 린네가 명명한 현화식물 중 가장 큰 속 중 하나로, 과포라는 특징적인 구조를 가지며, 다양한 환경에서 서식하고, 과거 단열재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관상용으로 재배된다. - 사초아과 - 통보리사초
통보리사초는 동아시아 해안에 분포하는 사초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잎이 두껍고 단단하며 과거에는 모래 언덕 안정에 활용되었으나 현재는 침입종으로 지정되었다. - 1831년 기재된 식물 - 석곡아과
석곡아과는 난초과의 아과로 착생식물이며, 고등 석곡아과와 하등 석곡아과로 나뉘고, 열대 및 아열대 우림에서 주로 발견되며 CAM 대사 방식을 활용한다. - 1831년 기재된 식물 - 사스래나무
사스래나무는 일본, 쿠릴 열도, 한반도 등지에 분포하는 낙엽활엽수 교목으로, 얇게 벗겨지는 껍질이 특징이며 과거 껍질에 글씨를 쓸 수 있어 '소우시칸바'라고도 불렸고 불쏘시개나 야구 배트 재료로도 활용된다.
사초아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학적 정보 | |
계 | 식물계 |
미분류 군 | 속씨식물군 |
미분류 군 | 외떡잎식물군 |
미분류 군 | 닭의장풀군 |
목 | 벼목 |
과 | 사초과 |
아과 | 사초아과 |
학명 | Cyperoideae |
명명자 | Kostel., 1831 |
모식 속 | 방동사니속 (Cyperus L.) |
2. 하위 분류
Rchb.와 Fenzl이 명명한[2] 검정방동사니족은 검정방동사니속(''Fuirena'' Rottb.), 매자기속(''Bolboschoenus'' (Asch.) Palla), 송이고랭이속(''Schoenoplectiella'' Lye), 큰고랭이속(''Schoenoplectus'' (Rchb.) Palla) 등을 포함한다. 그 외에도 ''Actinoscirpus'' (Ohwi) R.W.Haines & Lye, × ''Bolboschoenoplectus'' Tatanov, ''Pseudoschoenus'' (C.B.Clarke) Oteng-Yeb. 등이 이 족에 속한다.
고랭이족(Scirpeaela)은 T.Lestib.가 분류한 족이다.[3] 고랭이족에는 고랭이속(''Scirpus'' Tourn. ex L.), 애기황새풀속(''Trichophorum'' Pers.), 황새풀속(''Eriophorum'' L.)과 기타 속(''Amphiscirpus'', ''Calliscirpus'', ''Cypringlea'', ''Erioscirpus'', ''Oreobolopsis'', ''Phylloscirpus'', ''Rhodoscirpus'', ''Zameioscirpus'' Dhooge & Goetgh.)이 속한다.[3]
골풀아재비속( ''Rhynchospora'' Vahl)과 ''Pleurostachys'' Brongn. 두 속(屬)으로 이루어져 있다.[4]
너도고랭이족(Sclerieae)은 Wight와 Arn.이 분류한 족이다.[5] 너도고랭이속, 애기개올미속 등 여러 속을 포함한다.
- 너도고랭이속(''Scleria'' P.J.Bergius)
- 애기개올미속(''Diplacrum'' R.Br.)
- ''Becquerelia'' Brongn.
- ''Bisboeckelera'' Kuntze
- ''Calyptrocarya'' Nees
둘리키움족(Dulichieae)은 Rchb. ex W.Schultze-Motel이 명명한 족으로, 둘리키움속( ''Dulichium'' Pers.), ''Blysmus'' Panz. ex Schult., ''Sumatroscirpus'' Oteng-Yeb.을 포함한다.[6]
바늘골족(Eleocharideae Goetgh.)은 사초과에 속하는 족이다.[7] 바늘골족에는 바늘골속(''Eleocharis'' R.Br.)이 속한다.[7]
방동사니족(Cypereae)은 Dumort.가 분류한 족이다.[8] 방동사니족에는 방동사니속(''Cyperus'' L.)을 포함하여, ''Afroscirpoides'' García-Madr. & Muasya, ''Androtrichum'' (Brongn.) Brongn., ''Dracoscirpoides'' Muasya, ''Ficinia'' Schrad., ''Hellmuthia'' Steud., ''Isolepis'' R.Br., ''Scirpoides'' Ség. 등의 속이 속한다.[8]
사초족(Cariceae)은 Dumort.가 분류한 족이다.[9] 사초족에는 사초속(''Carex'' L.)이 포함된다.[9]
스코이누스족(Schoeneae)은 Fenzl이 분류한 사초과의 한 족이다.[10] 스코이누스속(''Schoenus'' L.), 층층고랭이속(''Cladium'' P.Browne)을 포함하여 ''Capeobolus'' Browning, ''Carpha'' Banks & Sol. ex R.Br., ''Caustis'' R.Br., ''Costularia'' C.B.Clarke, ''Cyathochaeta'' Nees, ''Cyathocoma'' Nees, ''Evandra'' R.Br., ''Gahnia'' J.R.Forst. & G.Forst., ''Gymnoschoenus'' Nees, ''Lepidosperma'' Labill., ''Machaerina'' Vahl, ''Mesomelaena'' Nees, ''Morelotia'' Gaudich., ''Neesenbeckia'' Levyns, ''Oreobolus'' R.Br., ''Ptilothrix'' K.L.Wilson, ''Reedia'' F.Muell., ''Rhynchocladium'' T.Koyama, ''Tetraria'' P.Beauv., ''Trianoptiles'' Fenzl ex Endl., ''Tricostularia'' Nees 등의 속(genus)으로 구성되어 있다.[10]
W.W.Thomas와 Davidse가 분류한 사초아과의 족이다.[11] 유일한 속은 코이아마이아속(''Koyamaea'' W.W.Thomas & G.Davidse)이다.
크립탕기움족(Cryptangieae)은 벤섬(Benth.)이 분류한 사초과의 족이다.[12] 크립탕기움족에는 케팔로카르푸스속(''Cephalocarpus''), 에베라르디아속(''Everardia''), 라게노카르푸스속(''Lagenocarpus'')이 속한다.
트릴레피스족(Trilepideae)은 괴트게뵈르가 분류한 족이다.[13] 트릴레피스속(''Trilepis''), 아프로트릴레피스속(''Afrotrilepis''), 콜레오클로아속(''Coleochloa''), 미크로드라코이데스속(''Microdracoides'')을 포함한다.[13]
하늘지기족(Abildgaardieae)은 뤼에(Lye)가 분류한 족이다.[14] 하늘지기족에는 모기골속(''Bulbostylis'' Kunth), 하늘지기속(''Fimbristylis'' Vahl) 등이 속한다.[14] 그 외에 ''Actinoschoenus'' Benth., ''Arthrostylis'' R.Br., ''Crosslandia'' W.Fitzg., ''Nelmesia'' Van der Veken, ''Nemum'' Desv., ''Trachystylis'' S.T.Blake, ''Trichoschoenus'' J.Raynal 등의 속이 있다.
''Khaosokia'' D.A.Simpson, Chayam. & J.Parn.은 정확한 계통 분류학적 위치가 불확실(''incertae sedis'')하다.
2. 1. 검정방동사니족 (Fuireneae)
Rchb.와 Fenzl가 명명한[2] 검정방동사니족은 검정방동사니속(''Fuirena'' Rottb.), 매자기속(''Bolboschoenus'' (Asch.) Palla), 송이고랭이속(''Schoenoplectiella'' Lye), 큰고랭이속(''Schoenoplectus'' (Rchb.) Palla) 등을 포함한다. 그 외에도 ''Actinoscirpus'' (Ohwi) R.W.Haines & Lye, × ''Bolboschoenoplectus'' Tatanov, ''Pseudoschoenus'' (C.B.Clarke) Oteng-Yeb. 등이 이 족에 속한다.2. 2. 고랭이족 (Scirpeae)
고랭이족(Scirpeaela)은 T.Lestib.가 분류한 족이다.[3] 고랭이족에는 고랭이속(''Scirpus'' Tourn. ex L.), 애기황새풀속(''Trichophorum'' Pers.), 황새풀속(''Eriophorum'' L.)과 기타 속(''Amphiscirpus'', ''Calliscirpus'', ''Cypringlea'', ''Erioscirpus'', ''Oreobolopsis'', ''Phylloscirpus'', ''Rhodoscirpus'', ''Zameioscirpus'' Dhooge & Goetgh.)이 속한다.[3]2. 3. 골풀아재비족 (Rhynchosporeae)
골풀아재비속( ''Rhynchospora'' Vahl)과 ''Pleurostachys'' Brongn. 두 속(屬)으로 이루어져 있다.[4]2. 4. 너도고랭이족 (Sclerieae)
너도고랭이족(Sclerieae)은 Wight와 Arn.이 분류한 족이다.[5] 너도고랭이속, 애기개올미속 등 여러 속을 포함한다.- 너도고랭이속(''Scleria'' P.J.Bergius)
- 애기개올미속(''Diplacrum'' R.Br.)
- ''Becquerelia'' Brongn.
- ''Bisboeckelera'' Kuntze
- ''Calyptrocarya'' Nees
2. 5. 둘리키움족 (Dulichieae)
둘리키움족(Dulichieae)은 Rchb. ex W.Schultze-Motel이 명명한 족으로, 둘리키움속( ''Dulichium'' Pers.), ''Blysmus'' Panz. ex Schult., ''Sumatroscirpus'' Oteng-Yeb.을 포함한다.[6]2. 6. 바늘골족 (Eleocharideae)
바늘골족(Eleocharideae Goetgh.)은 사초과에 속하는 족이다.[7] 바늘골족에는 바늘골속(''Eleocharis'' R.Br.)이 속한다.[7]2. 7. 방동사니족 (Cypereae)
방동사니족(Cypereae)은 Dumort.가 분류한 족이다.[8] 방동사니족에는 방동사니속(''Cyperus'' L.)을 포함하여, ''Afroscirpoides'' García-Madr. & Muasya, ''Androtrichum'' (Brongn.) Brongn., ''Dracoscirpoides'' Muasya, ''Ficinia'' Schrad., ''Hellmuthia'' Steud., ''Isolepis'' R.Br., ''Scirpoides'' Ség. 등의 속이 속한다.[8]2. 8. 사초족 (Cariceae)
사초족(Cariceae)은 Dumort.가 분류한 족이다.[9] 사초족에는 사초속(''Carex'' L.)이 포함된다.[9]2. 9. 스코이누스족 (Schoeneae)
스코이누스족(Schoeneae)은 Fenzl이 분류한 사초과의 한 족이다.[10] 스코이누스속(''Schoenus'' L.), 층층고랭이속(''Cladium'' P.Browne)을 포함하여 ''Capeobolus'' Browning, ''Carpha'' Banks & Sol. ex R.Br., ''Caustis'' R.Br., ''Costularia'' C.B.Clarke, ''Cyathochaeta'' Nees, ''Cyathocoma'' Nees, ''Evandra'' R.Br., ''Gahnia'' J.R.Forst. & G.Forst., ''Gymnoschoenus'' Nees, ''Lepidosperma'' Labill., ''Machaerina'' Vahl, ''Mesomelaena'' Nees, ''Morelotia'' Gaudich., ''Neesenbeckia'' Levyns, ''Oreobolus'' R.Br., ''Ptilothrix'' K.L.Wilson, ''Reedia'' F.Muell., ''Rhynchocladium'' T.Koyama, ''Tetraria'' P.Beauv., ''Trianoptiles'' Fenzl ex Endl., ''Tricostularia'' Nees 등의 속(genus)으로 구성되어 있다.[10]2. 10. 코이아마이아족 (Koyamaeae)
W.W.Thomas와 Davidse가 분류한 사초아과의 족이다.[11] 유일한 속은 코이아마이아속(''Koyamaea'' W.W.Thomas & G.Davidse)이다.2. 11. 크립탕기움족 (Cryptangieae)
크립탕기움족(Cryptangieae)은 벤섬(Benth.)이 분류한 사초과의 족이다.[12] 크립탕기움족에는 케팔로카르푸스속(''Cephalocarpus''), 에베라르디아속(''Everardia''), 라게노카르푸스속(''Lagenocarpus'')이 속한다.2. 12. 트릴레피스족 (Trilepideae)
트릴레피스족(Trilepideae)은 괴트게뵈르가 분류한 족이다.[13] 트릴레피스속(''Trilepis''), 아프로트릴레피스속(''Afrotrilepis''), 콜레오클로아속(''Coleochloa''), 미크로드라코이데스속(''Microdracoides'')을 포함한다.[13]2. 13. 하늘지기족 (Abildgaardieae)
하늘지기족(Abildgaardieae)은 뤼에(Lye)가 분류한 족이다.[14] 하늘지기족에는 모기골속(''Bulbostylis'' Kunth), 하늘지기속(''Fimbristylis'' Vahl) 등이 속한다.[14] 그 외에 ''Actinoschoenus'' Benth., ''Arthrostylis'' R.Br., ''Crosslandia'' W.Fitzg., ''Nelmesia'' Van der Veken, ''Nemum'' Desv., ''Trachystylis'' S.T.Blake, ''Trichoschoenus'' J.Raynal 등의 속이 있다.2. 14. 분류 불확실 (Incertae sedis)
{{columns-list|colwidth=20em|- 검정방동사니족[2]
- * 검정방동사니속
- * 매자기속
- * 송이고랭이속
- * 큰고랭이속
- * ''Actinoscirpus''
- * × ''Bolboschoenoplectus''
- * ''Pseudoschoenus''
- 고랭이족[3]
- * 고랭이속
- * 애기황새풀속
- * 황새풀속
- * ''Amphiscirpus''
- * ''Calliscirpus''
- * ''Cypringlea''
- * ''Erioscirpus''
- * ''Oreobolopsis''
- * ''Phylloscirpus''
- * ''Rhodoscirpus''
- * ''Zameioscirpus''
- 골풀아재비족[4]
- * 골풀아재비속
- * ''Pleurostachys''
- 너도고랭이족[5]
- * 너도고랭이속
- * 애기개올미속
- * ''Becquerelia''
- * ''Bisboeckelera''
- * ''Calyptrocarya''
- 둘리키움족[6]
- * 둘리키움속
- * ''Blysmus''
- * ''Sumatroscirpus''
- 바늘골족[7]
- * 바늘골속
- 방동사니족[8]
- * 방동사니속
- * ''Afroscirpoides''
- * ''Androtrichum''
- * ''Dracoscirpoides''
- * ''Ficinia''
- * ''Hellmuthia''
- * ''Isolepis''
- * ''Scirpoides''
- 사초족[9]
- * 사초속
- 스코이누스족[10]
- * 스코이누스속
- * 층층고랭이속
- * ''Capeobolus''
- * ''Carpha''
- * ''Caustis''
- * ''Costularia''
- * ''Cyathochaeta''
- * ''Cyathocoma''
- * ''Evandra''
- * ''Gahnia''
- * ''Gymnoschoenus''
- * ''Lepidosperma''
- * ''Machaerina''
- * ''Mesomelaena''
- * ''Morelotia''
- * ''Neesenbeckia''
- * ''Oreobolus''
- * ''Ptilothrix''
- * ''Reedia''
- * ''Rhynchocladium''
- * ''Tetraria''
- * ''Trianoptiles''
- * ''Tricostularia''
- 코이아마이아족[11]
- * 코이아마이아속
- 크립탕기움족[12]
- * ''Cephalocarpus''
- * ''Everardia''
- * ''Lagenocarpus''
- 트릴레피스족[13]
- * 트릴레피스속
- * ''Afrotrilepis''
- * ''Coleochloa''
- * ''Microdracoides''
- 하늘지기족[14]
- * 모기골속
- * 하늘지기속
- * ''Actinoschoenus''
- * ''Arthrostylis''
- * ''Crosslandia''
- * ''Nelmesia''
- * ''Nemum''
- * ''Trachystylis''
- * ''Trichoschoenus''
- ''Khaosokia''
}}
참조
[1]
간행물
Allgemeine Medizinisch-Pharmazeutische Flora 1
Vincenz Franz Kosteletzky
1831
[2]
간행물
Genera Plantarum (Endlicher) 2
Heinrich Gottlieb Ludwig Reichenbach
1836
[3]
간행물
Essai Cypér.
Thémistocle Gaspard Lestiboudois
1819
[4]
간행물
Synopsis der Mitteleuropäischen Flora 2(2)
Paul Friedrich August Ascherson & Karl Otto Robert Peter Paul Graebner
1902
[5]
간행물
Contributions to the Botany of India
Christian Gottfried Daniel Nees von Esenbeck
1834
[6]
간행물
Willdenowia 2
Heinrich Gottlieb Ludwig Reichenbach
1959
[7]
간행물
Taxon 34
Paul Goetghebeur
1985
[8]
간행물
Analyse des Familles des Plantes
Barthélemy Charles Joseph Dumortier
1829
[9]
간행물
Florula belgica, opera majoris prodromus, auctore ...
Barthélemy Charles Joseph Dumortier
1827
[10]
간행물
Genera Plantarum (Endlicher) 2
Heinrich Gottlieb Ludwig Reichenbach
1836
[11]
간행물
Systematic Botany 14(2)
William Wayt Thomas & Gerrit Davidse
1989
[12]
간행물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Botany 18
George Bentham
1881
[13]
간행물
Taxon 34
Paul Goetghebeur
1985
[14]
간행물
Botaniska Notiser 126
Kåre Arnstein Lye
197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