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하라 사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하라 사막은 아프리카 대륙 북부에 위치한 세계 최대의 열대 사막으로, '사막'을 뜻하는 아랍어 '사하라'에서 유래되었다. 알제리, 차드, 이집트, 리비아 등 11개국에 걸쳐 있으며, 면적은 약 900만 제곱킬로미터에 달한다. 주로 암석 고원과 모래 언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극도로 건조하고 일교차가 큰 기후를 보인다. 석유, 천연가스, 인산염 등 자원이 매장되어 있고, 과거에는 교역로로 이용되었으나, 현대에는 사하라 횡단 도로가 건설되고 있다. 사하라 사막은 사막화가 진행 중이며, 아프리카 연합은 사막 확장을 막기 위해 '그레이트 그린 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사하라 사막 | |
---|---|
지도 정보 | |
![]() | |
![]() | |
![]() | |
![]() | |
![]() 사하라 사막 지역이 주변 지역과 생태적으로 뚜렷이 구별되는 것을 볼 수 있다. | |
기본 정보 | |
이름 | 사하라 |
원어 이름 | الصحراء الكبرى aṣ-ṣaḥrāʾ al-kubrá |
뜻 | 가장 큰 사막 |
로마자 표기 | ṣaḥārā |
발음 | səˈhɑːrə səˈhærə //S|a|H|aa|r|aa// |
어원 | 아랍어 "사라" (사막을 뜻함) |
위치 | 북아프리카 |
면적 | 9,200,000 km² |
길이 | 4,800 km |
길이 방향 | 동서 방향 |
너비 | 1,800 km |
너비 방향 | 남북 방향 |
포함 국가 | 알제리 차드 이집트 리비아 말리 모리타니 모로코 니제르 수단 튀니지 서사하라 |
분류 | 사막 |
특징 | 세계에서 남극과 북극 다음으로 세 번째로 넓은 사막, 아열대 사막 중 가장 넓음 |
지질 | 모래사막 20%, 나머지는 풍화성 암석 |
지형 | |
최고점 | 에미쿠시산 |
최고점 위치 | 티베스티 산맥 |
최고점 고도 | 3,445 m |
최저점 | 카타라 저지대 |
최저점 위치 | 리비아 사막 (이집트 북서부 마트루 주) |
최저점 고도 | -132.9 m |
환경 | |
기타 | |
관련 정보 | 기자의 피라미드 나일강 |
음성 정보 |
2. 명칭
사하라라는 이름은 사막을 뜻하는 아랍어 단어 '사하라(صحراء)'에서 기원했으며, 식생이 없는 적색 평원을 뜻하는 '아샤르'와도 연관되어 있다.[117] 사하라(صحراء)는 아랍어 여성 명사로, 문어 아랍어로는 ṣaḥrāʾ(サフラーッ/サハラーッ・サフラーゥ/サハラーゥ・サフラーァ/サハラーァ), 구어 아랍어로는 ṣaḥrā(サフラー/サハラー) 또는 ṣaḥra(サフラ/サハラ)로 발음된다.[117]
원래 아랍어 사전에서는 사하라를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 바위가 없는 부드럽거나 거친 평평한 장소 (اَلْمُسْتَوِيَةُ فِي لِينٍ وغِلَظٍ دُونَ الْقُفِّ, al-mustawiya(h) fī līn wa-ghilaẓ dūna al-quff)
- 아무것도 없는 광대한 장소, 광대한 공허 (اَلْفَضَاء الْوَاسِع, al-faḍāʾ al-wāsiʿ)
- 식물이 전혀 자라지 않는 아무것도 없는 광대한 장소, 광대한 공허 (اَلْفَضَاءُ الْوَاسِعُ لَا نَبَاتَ بِهِ, al-faḍāʾ al-wāsiʿ lā nabāt bi-hi)
즉, "사막" 또는 "토사막"을 의미하는 공간을 가리키며,[118][119] 특히 북아프리카에서는 사하라 사막을 일상적으로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어 유럽 언어에 고유 명사로 자리 잡았다.
아랍어에서 사하라 사막을 명시적으로 가리킬 때는 최상급 형용사 "가장 큰, 최대의 (كُبْرَى, kubrā)[120]"를 뒤에 붙여 اَلصَّحْرَاءُ الْكُبْرَى(al-ṣaḥrāʾ al-kubrā, 아스-사흐라-알-쿠브라, 실제 발음: ʾaṣ-ṣaḥrāʾu-l-kubrā, 아스-사흐라우-르-쿠브라, 직역: "최대의 사막")라고 부른다.[121]
이처럼 명칭 자체에 "사막"이라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영어나 프랑스어에서는 "사막"을 의미하는 단어를 덧붙이지 않고, 단순히 The Sahara영어, Le Sahara프랑스어라고 부르는 것이 공식적인 표현이다.
하지만 한국어에서는 관용적으로 "사하라 사막"이라고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며, 영어에서는 "Sahara desert", 프랑스어에서는 "Désert du Sahara"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이는 모두 "사막 사막"이 되는 의미 중복에 해당한다.
3. 지리
사하라 사막은 알제리, 차드, 이집트, 리비아, 말리, 모리타니, 니제르, 서사하라, 수단의 대부분과 남부 모로코, 튀니지의 일부를 포함한다. 면적은 약 900만 제곱킬로미터로 아프리카 대륙의 31%를 차지한다.[10] 사하라 사막은 세계의 지리적 지역 구분 중 아프리카 대륙의 세 가지 뚜렷한 지리적 구분 중 하나이다.[10]
사하라 사막은 주로 암석으로 이루어진 하마다(돌로 된 고원)로 이루어져 있으며, 에르그(사막의 모래 바다- 모래 사구로 덮인 광대한 지역)는 일부분만을 차지한다.[11] 바람이나 드문 강우는 사구, 사구 지대, 사막의 모래 바다, 암석 고원, 자갈 평원(reg), 건천(wadi), 간헐호, 소금 호수(shatt 또는 chott) 등의 사막 지형을 형성한다.[13] 모리타니아에 있는 리차트 구조와 같이 특이한 지형도 있다.[13]
사막에는 아이르 산맥, 아하가르 산맥, 사하라 아틀라스 산맥, 티베스티 산맥, 아드라르 데 이포라스, 홍해 언덕 등 여러 개의 깊게 갈라진 산맥이 솟아 있다.[13] 사하라 사막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는 차드 북부 티베스티 산맥에 있는 에미 쿠시이다.[13]
사하라 사막 중앙부는 초건조 지역으로 식물이 드물다. 북쪽과 남쪽 끝, 그리고 고지대에는 드문 초원과 사막 관목이 있으며, 습기가 모이는 와디에는 나무와 키 큰 관목이 있다.[13] 북쪽으로는 사하라 사막이 이집트와 리비아 일부에서 지중해와 접해 있지만, 키레나이카와 마그레브에서는 북아프리카의 지중해 삼림, 초원 및 관목지 생태 지역과 경계를 이룬다.[14] 남쪽으로는 사하라 사막이 사헬과 경계를 이룬다.[15][16]
사하라 사막에 위치한 주요 도시로는 모리타니아의 수도인 누아크쇼트, 알제리의 타만라세트, 우아르글라, 베샤르, 하시 메사우드, 가르다이아, 엘 우에드, 말리의 팀북투, 니제르의 아가데즈, 리비아의 가트, 차드의 파야 라르조 등이 있다.
사하라 사막은 이집트, 튀니지, 리비아, 알제리, 모로코, 서사하라, 모리타니, 말리, 니제르, 차드, 수단에 걸쳐 있다. 사막 지형은 바람과 계절풍이 형성한다. 엘르그는 사구가 연이어 있는 광경으로, 사하라 사막 하면 먼저 연상되는 광경이기는 하지만, 엘르그는 사막 전체의 14%에 불과하며, 대부분은 고원상의 암석 사막이다.[125]
사하라 서부, 모리타니 중앙부에는 리샤트 구조라고 불리는 거대한 환상 구조 지형이 존재한다. 이것은 오랜 세월의 풍화와 침식으로 부드러운 암석 부분이 깎여서 만들어진 것으로, 동심원상의 산지가 50킬로미터에 걸쳐 이어지며, 그 특이한 형태 때문에 "사하라의 눈"이라고도 불린다.
사하라 중앙부, 차드 북부에는 보델레 저지라고 불리는 광대한 저지가 있다. 이 저지는 가자르 와디에 의해 남쪽의 차드 호와 연결되어 있으며, 과거 습윤기에는 차드 호 쪽에서 흘러들어온 물에 의해 큰 호수가 되었다. 또한, 사하라에서 가장 낮은 땅은 사하라 북동부, 이집트 서부에 있는 카타라 저지(해발 -133미터)이다.
thumb
사하라에서는 계절에 따라 주변 지역에 바람이 불어온다. 겨울에 기니 만이나 대서양 연안을 향해 부는 바람은 하르마탄이라고 불리며, 매우 건조하여 이 지역에 건기를 가져온다. 여름에 북쪽 리비아 쪽으로 부는 바람은 기브리라고 불리며, 뜨겁고 건조하다. 봄에 사하라에서 리비아나 이집트를 향해 부는 뜨겁고 건조한 바람은 함신이라고 불린다. 어느 바람도 보델레 저지를 중심으로 한 엘르그에서 휘말려 올라온 모래먼지를 대량으로 포함하기 때문에, 주변 지역에 막대한 모래먼지를 내리게 하여 시민 생활에 큰 지장을 준다.[126]
250px
나일 강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하천은 계절적이거나 간헐적으로 볼 수 있다. 지하수가 지표에 나타나 오아시스를 형성한다. 사하라 사막 중앙부는 극도로 건조하여 식물은 거의 없다. 사막 가장자리에서 산지에서 물이 공급되는 곳에서는 풀, 관목, 교목이 자라고 있다.
4. 기후
사하라 사막은 말 위도에 위치한 세계 최대의 열대 사막이다.[18][19] 상층 대류권의 공기가 하강하여 하층 대류권을 따뜻하고 건조하게 만들며 구름 형성을 방지하는 아열대 고압대의 영향으로 맑고 건조하며 안정적인 날씨가 지속된다. 특히, 리비아 사막은 아타카마 사막과 견줄 만큼 지구상에서 가장 햇볕이 잘 들고 건조한 지역 중 하나이다.[20]
사하라의 열대 사막 기후(쾨펜 기후 분류 ''BWh'')는 아조레스 고압대의 동쪽 연장부인 사하라 고기압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덥고 건조한 대륙 열대(cT) 기단이 주로 형성되어 사막 전역에 영향을 미치며, 아틀라스 산맥은 강우 그림자 효과를 일으켜 사막 북부의 건조함을 더욱 심화시킨다.[20]
사하라 사막의 강수량은 매우 적고 불규칙하며, 열대 수렴대의 영향으로 사헬과 사하라 남부에 짧은 우기가 나타날 뿐이다. 사막 대부분 지역은 연간 20mm 미만의 강수량을 기록하며, 특히 동부 지역은 연평균 강수량이 0.5mm에 불과할 정도로 극도로 건조하다.[26] 반면, 잠재 증발량은 연간 2,500mm에서 6,000mm 이상으로 매우 높아 세계에서 가장 건조한 지역 중 하나이다.[27]
일조시간은 매우 길어 대부분 지역에서 연간 3,600시간 이상이며, 동부 지역은 4,000시간을 넘는다.[21] 연평균 직달 태양 복사량은 약 2,800 kWh/(m2·년)에 달해 태양 에너지 생산에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21]
기온은 매우 높아 여름철 평균 최고 기온은 38~40°C를 넘으며, 알제리 사막의 부 벨누스에서는 47°C까지 기록되기도 했다.[21] 모래 표면 온도는 80°C 이상까지 올라가기도 한다.[23] 일교차는 큰 편이지만, 밤이 극도로 춥다는 것은 잘못된 속설이다. 평균적으로 밤 기온은 낮보다 13~20°C 정도 낮다.[24][25]
최후 빙기 최대기(LGM) 동안 사하라는 현재보다 더 넓었으며, 뵈링 진동/알레뢰드 진동 단계를 거치며 습윤한 시기가 나타나기도 했다. 홀로세 최고 온난기에는 기온이 지금보다 2~3도 더 높았고, 몬순의 영향으로 사하라에 사바나 기후가 형성되기도 했다. 그러나 하인리히 사건과 관련된 엘니뇨-남방 진동 변화로 인해 사하라는 다시 급격히 건조해졌다.[42][43][44]
5. 생태
사하라 사막은 여러 개의 서로 다른 생물지리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지역은 온도, 강수량, 고도, 토양의 차이에 따라 고유한 식물과 동물 군집을 이룬다.[45][46][13][47][48][49][50]
- 대서양 연안 사막은 카나리아 해류의 영향으로 안개가 발생하여 지의류, 다육식물, 관목이 자란다.
- 북사하라 스텝과 삼림지는 북쪽의 지중해 삼림, 삼림지 및 관목지 생물지리구와 인접하며, 겨울 강우로 관목지와 건조한 삼림지가 유지된다.
- 사하라 사막 생물지리구는 강수량이 매우 적고 산발적이어서 식물이 드물며, 모래 언덕, 암석 고원, 자갈 평원, 건조한 계곡, 소금 평원 등으로 구성된다.
- 남사하라 스텝과 삼림지는 사하라와 남쪽 사헬 사바나 사이에 위치하며, 여름 강우로 풀과 허브의 여름 목초지가 유지되고, 계절적 수로를 따라 건조한 삼림지와 관목지가 형성된다.
- 서사하라 산악 건조 삼림지는 화산 고지대의 시원하고 습한 환경으로 사하로-지중해 삼림과 관목지가 유지된다.
- 티베스티-제벨 우에이나트 산악 건조 삼림지는 더 높고 규칙적인 강우와 서늘한 기온으로 대추야자, 아카시아, 도금양, 협죽도, 타마릭스 등 다양한 식물이 자란다.
- 사하라 염생식물은 계절적으로 범람하는 염호 지역으로, 염생식물 군집이 서식한다.
- 타네즈루프트는 사하라에서 가장 건조한 지역 중 하나로, 식물이 거의 없다.
사하라 사막의 식물상은 약 2800종의 관속식물로 구성되며, 이 중 약 4분의 1은 고유종이다.[51][52] 중앙 사하라에는 약 500종의 식물이 서식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아카시아 나무, 야자수, 다육식물, 가시 관목, 풀 등은 건조한 환경에 적응하여 수분 손실을 최소화하고 물을 저장하며, 넓은 지역의 물을 찾기 위해 뿌리를 뻗는 등의 특징을 보인다.[52]

사하라 사막에는 페넥 여우, 엷은 여우, 뤼펠 여우 등 여러 종의 여우가 서식한다. 큰 흰 영양인 아닥스 영양(addax)과 도르카스 가젤(dorcas gazelle)은 물 없이도 오랫동안 생존할 수 있다. 사하라 표범(북서 아프리카 표범)은 매우 조심스러워 인간의 접근을 피하며, 250마리 미만의 성체가 남아 있다.[53][54] 다른 표범 아종(동북 아프리카 표범)은 차드, 수단, 니제르 동부 지역에 서식하며, 야생에는 약 2000마리의 성체가 남아 있다.

이 외에도 모니터 도마뱀, 나무늘보, 모래살모사, 아프리카 들개(African wild dog),[55] 붉은목 타조(red-necked ostrich), 아프리카은부리새(African silverbill), 검정얼굴불꽃새(black-faced firefinch), 사막 악어(desert crocodile),[57] 황제전갈(deathstalker), 사하라 은개미(Saharan silver ant)[58] 등이 서식한다. 낙타와 염소는 사하라 사막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사육 동물이다.
인간 활동은 오아시스와 같이 물이 있는 지역의 서식지에 큰 영향을 미치며, 대형 포유류 개체군은 사냥으로 크게 감소했다. 최근에는 관개용수를 사용하는 개발 프로젝트가 시작되었으나, 토양 퇴화와 염류화를 초래하기도 한다.[59]
6. 역사
사하라 사막은 중생대와 신생대 동안 늪, 맹그로브, 열대 우림 지대였다. 중생대 지층에서는 스피노사우루스와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 등의 화석이 발견된다.[63]
최종 빙기 이후 수천 년 전부터 사람들은 사막 가장자리에 살았다.[60] 사하라 중앙부에서는 1만 년 전부터 암벽화가 제작되었는데, 이는 부팔린 시대, 켈 에수프 시대, 원형 머리 시대, 목축 시대, 카발린 시대, 카멜린 시대를 아우른다.[61] 당시 사하라는 현재보다 습윤했으며, 악어[62] 등 강의 동물을 묘사한 3만 개 이상의 암각화가 남아있고, 그 절반은 알제리 남동부 타실리나제르에서 발견되었다. 공룡 화석 중 아프로베나토르, 조바리아, 우라노사우루스 등이 발견되었다.[63] 그러나 현대 사하라는 나일 강 유역, 오아시스, 올리브 나무 등 지중해 식물이 자라는 북부 고지대를 제외하고 식물이 거의 없다. 지축 경사 변화로 기온 상승, 강수량 감소로 약 5,400년 전 북아프리카 사막화가 급격히 시작되었다.[36]
기원전 1만 년에서 8천 년 사이, 사하라 사막의 신석기 아습윤기(Neolithic Subpluvial)에 키피안 문화가 존재했다.[64] 2000년 니제르 테네레 사막의 고베로 유적에서 인골이 발견되었는데,[64] 이 유적은 사하라 사막에서 가장 크고 초기의 석기시대 사람들 무덤으로 알려져 있다.[65] 키피안인들은 숙련된 수렵 채집인이었으며, 홀로세 습윤기(Holocene Wet Phase) 동안 호숫가에 살았다.[65] 키피안인들은 키가 큰 민족으로, 6피트가 넘는 신장을 가졌으며,[64] 두개골 측정 분석에 따르면 후기 플라이스토세 이베로마우루시안 문화와 초기 홀로세 캡시안 문화, 중기 홀로세 메크타-아팔루 집단과 관련이 있다.[66] 사하라 사막이 건조해지면서 8천 년 전 이후 키피안 문화 흔적은 남아 있지 않다.[67] 이후 테네리안 문화가 이 지역에 정착했다.
폴 세레노가 이끈 고고학 탐험대가 2000년 고베로를 발견했다. 초기 홀로세 시대의 키피안 문화와 중기 홀로세 시대의 테네리안 문화가 발견되었다. 키피안 문화 이후 건조화는 기원전 4600년경까지 지속되었고, 이 시기가 테네리안 문화 관련 초기 유물의 연대다. 고베로에서는 약 200구의 유골이 발견되었다. 테네리안인들은 키피안인들보다 작고 덜 건장했다. 두개골 분석 결과, 키피안인들의 두개골은 후기 플라이스토세 시대의 이베로마우루시안인들, 초기 홀로세 시대의 캡시안인들, 중기 홀로세 시대의 메크타-아팔루 집단의 두개골과 유사한 반면, 테네리안인들의 두개골은 지중해 지역 사람들의 두개골과 더 유사하다.[68][69] 테네리안인들은 하마 상아 장신구, 점토 항아리 등 유물과 함께 매장되어 영적 전통을 가지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5300년 전 성인 여성과 5세, 8세 아이 두 명이 서로 껴안고 매장된 삼중 매장이 발견되었다. 꽃가루 잔류물은 그들이 꽃 위에 묻혔음을 나타낸다. 이 세 사람은 24시간 이내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유골에는 외상이 없고 정교하게 매장되어 사망 원인은 미스터리다.
우안 무후기아 유적지는 기원전 6천년경부터 기원전 2700년경까지 거주했지만, 끊임없이 거주하지는 않았다.[70] 우안 무후기아 유적지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발견은 약 2.5세 어린아이 미라가 잘 보존된 채 발견된 것이다. 아이는 태아 자세로 미라로 만들어졌고, 영양 사슴가죽 자루에 담겨 잎으로 단열 처리되었다.[71] 아이의 내장은 제거되었고, 유기 보존제가 주입되었다.[72] 목에는 타조알 껍데기 목걸이가 발견되었다.[70] 방사성탄소 연대 측정 결과, 이 미라는 약 5600년 전 것으로, 고대 이집트의 가장 오래된 미라보다 약 1000년 앞선다.[73] 1958-1959년 안토니오 아센치가 이끄는 고고학 탐사대가 우안 무후기아 미라에 대해 인류학적, 방사선학적, 조직학적, 화학적 분석을 실시했다. 연구팀은 이 미라가 성별이 불확실한 30개월 된 아이이며, 시신은 내장 제거 후 자연 건조되었다고 주장했다. 또한 이 미라가 "네그로이드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74] 그러나 현대 유전학은 이 주장이 비과학적이며 증거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는다는 것을 증명했다.[75][76] 최근 발표된 논문에서는 어린아이 미라의 피부 특징에 대한 실험실 검사 결과, 아이가 어두운 피부색을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77] 우안 무후기아에서는 또 다른 성인이 웅크린 자세로 매장된 채 발견되었지만,[70] 내장 제거 등 보존 방법의 흔적은 발견되지 않았다. 이 시신은 약 7500년 전 것으로 추정된다.[78]
[[파일:https://cdn.onul.works/wiki/source/194f893c851_8d75c0e8.jpg|thumb|알제리 사하라 사막에 있는 두꺼운 성벽으로 둘러싸인 성스러운 도시 베니 이스귈]
신석기 시대 기원전 9500년경 사막화 시작 전, 수단 중부는 현재 불모의 사막인 와디엘카압(Wadi el-Qa'ab) 등에 걸쳐 광범위한 인구를 부양하는 풍부한 환경이었다. 기원전 5천년경 현재 누비아에 거주하던 사람들은 "농업 혁명"에 참여하여 가축화된 식물과 동물을 기르며 정착 생활을 했다. 사하라 암벽화의 소와 목동은 오늘날 수단과 아프리카 목축 사회의 소숭배를 시사한다.[79] 납타 플라야의 거석은 세계 최초 고천문학 기구의 예이며, 스톤헨지보다 약 2,000년 앞선다.[80] 납타 플라야에서 관찰된 복잡성은 납타 신석기 사회와 이집트 고왕국 구조의 기초를 형성했을 가능성이 크다.[81]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누비아에는 플라이스토세 후기부터 기원전 5천년부터 인구 정착지가 있었던 반면, 이 시기 이집트 나일 계곡에는 인간 존재에 대한 "증거가 없거나 부족"한데, 이는 유적지 보존 문제 때문일 수 있다.[82]
기원전 6000년경 이집트 남서부에서 이집트 초기 왕조 시대 사람들이 가축을 사육하고 큰 건물을 짓고 있었다. 기원전 6천년대 중반 이집트 초기 왕조 시대의 조직적, 영구적 정착지의 생계는 주로 곡물과 동물 농업(소, 염소, 돼지, 양)에 중점을 두었다. 돌로 만든 물건은 금속으로 대체되었다. 동물 가죽 무두질, 도자기 제작, 직조도 일반적이었다. 기원전 6천년대 파유멈 지역이 계절적, 일시적 거주지였던 흔적이 있으며, 어업, 사냥, 채집이 중심이었다. 당시 돌 화살촉, 칼, 긁개는 흔히 발견된다.[83] 매장품에는 도자기, 보석류, 농업, 사냥 도구, 말린 고기, 과일 등이 포함되었다. 사막 환경 매장은 이집트 보존 의례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보이며, 죽은 자는 서쪽을 향해 묻혔다.[84] 일부 학자들은 이집트 문명의 아프리카 기원이 기원전 5천년대 나일 계곡의 이집트와 수단 지역 목축 공동체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한다.[85]
기원전 3400년경 지구 공전궤도 변화로 인한 강수량 감소, 기온 상승으로 사하라 사막은 현재처럼 건조했다.[1] 사하라는 사람들에게 통과 불가능한 장벽이 되었고, 정착지는 오아시스 주변에 집중되었다. 그 이후 내륙을 통과하는 무역, 상업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으며, 유일한 예외는 나일 강이다. 그러나 나일 강은 폭포에서 통행이 불가능하여 배를 이용한 무역, 접촉이 어려웠다.
기원전 4000년, 사하라 목축 시대에 목축민들 사이에서 소와 같은 귀중한 자산 거래 등 정교한 사회 구조가 발달하기 시작했다.[86] 사하라 목축 문화(예: 무덤, 윤기 있는 돌 고리, 도끼)는 복잡했다.[87] 기원전 1800년까지 사하라 목축 문화는 사하라와 사헬 지역 전역으로 확장되었다.[86] 사하라 목축민들 사이 정교한 사회 구조 초기 단계는 티시트 등 아프리카 정착지의 정교한 계층 발전을 위한 전환점이 되었다.[86] 중앙 사하라에서 이주한 후, 원시 만데족은 서사하라[88]의 티시트 지역[97]에 문명을 건설했다.[97] 마우리타니아 동부 티시트 전통은 기원전 2200년[89][90]부터 기원전 200년[91][92]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네마, 타간트, 티시트, 왈라타의 티시트 문화는 4계층 계층적 사회 구조, 곡물 농업, 금속 가공, 수많은 장례식 무덤, 암각화 전통을 포함했다.[93] 티시트와 왈라타에서는 기장이 신석기 시대에 독립적으로 길들여졌을 가능성도 있다.[94] 다클렛 엘 아트루스 포함 티시트는 티시트 전통 다계층 계층적 사회 구조 주요 지역 중심지 역할을 했을 가능성이 있으며,[95] 말리 호수 지역(톤디다루 포함)은 티시트 전통의 두 번째 지역 중심지 역할을 했을 가능성이 있다.[96] 도시[88] 티시트 전통은 서아프리카 초기 대규모 복잡하게 조직된 사회[98]이자 사하라 초기 문명[97][89]이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서아프리카 국가 형성 전환점이 되었을 수 있다.[87]
티시트 문화 전통 존재 지역으로서, 티시트와 왈라타는 네마보다 더 자주 점유되었다.[98] 기장 등 작물 재배는 기원전 3천년경 티시트에서 티시트 문화 전통 특징이었을 가능성이 있다.[98]
기원전 1천년기 서아프리카 사헬 지역에서 발전한 철 금속 가공 광범위한 추세로, 타간트에서는 철 제품(기원전 350년 – 기원후 100년)이,[98] 디아 쇼마와 왈랄데에서는 철 금속 가공 및/또는 제품(기원전 800년 – 기원전 400년)이, 부 크자마와 지가냐이에서는 철 잔해(기원전 760년 – 기원전 400년)가 발견되었다.[98] 발견된 철 재료는 타간트에서의 철 금속 가공 증거다.[92] 네마의 티시트 전통 후기에는 길들여진 기장을 타원형 저축 용광로 노즐 굳히는 데 사용했다. 이 용광로는 고지대에 위치한 16개 용광로 중 하나였다.[91] 기원전 800년에서 기원전 200년 사이 토기에서 알 수 있듯, 철 금속 가공은 기원전 1천년기 후반 이전에 발전했을 가능성이 있다.[91] 왈라타와 티시트에서는 구리도 사용되었다.[88]
마우리타니아에서 쇠퇴한 후, 티시트 전통은 말리의 중니제르 지역(예: 메마, 마시나, 디아 쇼마, 제네 제노)으로 확산되어 기원전 1300년부터 기원전 400년까지 다져진 흙 건축과 철 금속 가공(기원전 900년 이후 발전) 사이에서 파이타 면상 세라믹스로 발전하여 지속되었다.[99] 그 후, 기원후 1천년기에 가나 제국이 발전했다.[99]
기원전 1200년부터 800년까지 번영했던 페니키아 사람들은 북아프리카 해안선을 따라 정착지를 건설하고 주민들과 무역했다. 이들은 오늘날 북아프리카와 사하라 사막에서 베르베르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조상인 고대 리비아 사람들과 접촉했다.
북아프리카 고대 리비아인들의 리비아-베르베르 알파벳은 페니키아어를 기반으로 한 것으로 보이며, 그 후손인 티피나그는 오늘날 중앙 사하라 (베르베르족) 투아레그 사람들에 의해 사용되고 있다.
기원전 5세기 페니키아 항해사 한노 항해기는 그가 아프리카 대서양 연안, 어쩌면 서사하라 포함 지역에 정착지를 세웠다고 주장한다. 논의된 장소 확인은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고고학적 확인이 부족하다.
기원전 500년경 그리스인들이 사막에 도착했다. 그리스 상인들은 사막 동쪽 해안을 따라 퍼져나가 홍해를 따라 무역 식민지를 건설했다. 카르타고인들은 사막 대서양 연안을 탐험했지만, 거친 바닷물과 시장 부족으로 모로코보다 더 남쪽으로 진출하지 못했다. 중앙집권 국가들이 사막 북쪽과 동쪽을 에워쌌고, 사막은 이들 국가 통제를 벗어나 있었다. 사막 유목민 베르베르족 습격은 사막 가장자리 사람들에게 걱정거리였다.
기원전 500년경, 사하라 사막 현재 와디 알 아잘이라 불리는 페잔, 리비아 계곡에 도시 문명을 건설한 가람만테스가 등장했다.[30] 가람만테스는 사막 한가운데 번영하는 제국을 건설했다.[100] 그들은 계곡을 둘러싼 산맥 깊숙이 터널을 파서 화석수를 끌어들여 농지를 관개했다. 가람만테스는 인구가 증가하고 강력해져 이웃을 정복하고 많은 사람들을 사로잡아 노예로 삼았으며, 터널 확장 일에 강제로 동원되었다. 고대 그리스인과 로마 제국 로마인들은 가람만테스를 미개한 유목민으로 여겼지만, 그들과 무역했으며, 가람만테스 수도 가라마에서는 로마식 목욕탕이 발견되었다. 고고학자들은 가람만테스 영토에서 8개 주요 도시와 여러 다른 정착지를 발견했다. 가람만테스 문명은 대수층의 이용 가능한 물 고갈 후, 산으로 터널 확장 노력 지속 불가능으로 붕괴되었다.[101]
기원전 1세기부터 기원후 4세기, 로마 제국 군사, 상업 부대들이 사하라 사막 남쪽 지역의 로마인들에 의해 여러 차례 사하라 사막으로의 로마 원정을 수행했다.
비잔티움 제국은 5세기부터 7세기까지 사하라 사막 북쪽 해안을 지배했다. 아라비아 반도, 특히 아라비아 반도 무슬림 정복 이후, 7세기 중반부터 8세기 초 북아프리카의 이슬람 정복이 시작되었고, 사하라 사막에 이슬람 영향력이 빠르게 확대되었다. 641년 말 이집트 전체가 무슬림 손에 들어갔다. 사막을 가로지르는 무역이 활성화되었고, 상당한 규모의 노예 무역이 사막을 횡단했다. 10세기부터 19세기까지 매년 약 6,000~7,000명 노예가 북쪽으로 이송된 것으로 추산된다.[102]
17세기 샤르 부바 전쟁 이후 베니 하산 등 유목 아랍 부족들이 서사하라 산하자 베르베르 부족들을 지배했다. 그 결과 아랍 문화와 언어가 지배적이었고, 베르베르 부족들은 아랍화를 겪었다.
16세기, 사하라 사막 북부, 예컨대 오늘날 알제리와 튀니지 해안 지방, 오늘날 리비아 일부 지역은, 반자치 왕국인 이집트와 함께 오스만 제국에 점령되었다. 1517년부터 이집트는 오스만 제국의 귀중한 일부가 되었고, 오스만 제국은 나일 계곡, 동지중해, 북아프리카를 장악했다. 오스만 제국 이점은 시민과 상품의 자유로운 이동이었다. 상인들은 오스만 육상 교역로를 이용하여 동방 향신료, 금, 비단, 유럽 공산품, 아프리카 노예와 금을 거래했다. 아랍어는 지역 언어로 계속 사용되었고, 이슬람 문화는 강화되었다. 사헬과 사하라 사막 남부 지역에는 여러 독립 국가 또는 유목민 투아레그 부족들이 거주했다.
사하라 사막에서 유럽 식민주의는 19세기에 시작되었다. 프랑스(July Monarchy)는 1830년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알제리 섭정을 정복했고, 프랑스 지배는 프랑스 알제리에서 남쪽으로, 프랑스 세네갈에서 동쪽으로 상류 니제르 강까지 확장되어, 현재 알제리, 차드, 말리(당시 프랑스 수단, 팀북투 포함, 1893년), 모리타니, 모로코(1912년), 니제르, 튀니지(1881년)를 포함하게 되었다. 20세기 초 사하라 횡단 무역은 비행기 등 현대적, 효율적 수단으로 상품 이동으로 감소했다.[103]
프랑스는 샤암바 아랍인과 투아레그족 사이 오랜 적대감을 이용했다. 신설된 메하리스트 낙타 부대는 처음에는 주로 샤암바 유목 부족 출신으로 모집되었다. 1902년 프랑스는 호가르 산맥에 진입하여 티트 전투에서 켈 아하가르 투아레그족을 패퇴시켰다.
프랑스 식민 제국은 사하라에서 가장 지배적이었다. 프랑스는 에어로포스탈 본부 툴루즈에서 오랑 거쳐 호가르 산맥 넘어 팀북투와 서쪽으로 바마코, 다카르까지 정기 항공편 운항, 라 콩파니 트란사하리엔(1927년 설립)이 운영하는 사하라 횡단 버스 서비스도 운영했다.[104] 르네 워터 대위가 1933년에 촬영한 영화는 알제리에서 차드까지 사하라 사막 횡단 대형 트럭 컨보이 최초 횡단을 기록하고 있다.[105]
무함마드 알리와 그 후계자들 치하 이집트는 1820~1822년 누비아 정복, 1823년 카르툼 건설, 1874년 다르푸르 정복했다. 수단 포함 이집트는 1882년 영국 보호령이 되었다. 이집트와 영국은 마흐디스트 전쟁 결과 1882년부터 1898년까지 수단 통제권 상실했다. 1898년 영국군 점령 후 수단은 영국-이집트 공동 통치가 되었다.
스페인은 1874년 이후 현재 서사하라 점령했지만, 리오 데 오로는 대부분 사하라위족 영향 아래 남아 있었다. 1912년 이탈리아는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리비아 일부를 점령했다. 사막에서 로마 가톨릭 종교 장려 위해 교황 비오 9세는 1868년 사하라와 수단의 사도 대표 임명, 19세기 후반 관할권은 사하라 사도 관구로 재편되었다.
이집트는 1936년 영국으로부터 독립 쟁취했지만, 1936년 영국-이집트 조약에 따라 영국은 이집트 군대 주둔, 수단에 대한 영국-이집트 공동 통치 유지했다. 영국군은 1954년 철수했다.
사하라 사막 지역 대부분 국가들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립 쟁취했다. 리비아는 1951년, 모로코, 수단, 튀니지는 1956년, 차드, 말리, 모리타니, 니제르는 1960년, 알제리는 1962년 독립했다. 스페인은 1975년 서사하라에서 철수했고, 이 지역은 모리타니와 모로코 사이에 분할되었다. 모리타니는 1979년 철수했지만, 모로코는 계속 점유하고 있다(서사하라 분쟁 참조).[106]
말리의 투아레그족은 20세기 동안 여러 차례 반란을 일으켰고, 2012년 투아레그 반란에서 말리군이 아자와드와 말리 남부 구분선 이남으로 철수하도록 강제했다.[107] 알카에다 이슬람 마그레브 지부라고 자칭하는 사하라 사막 이슬람 반군들은 최근 몇 년 동안 폭력 행위를 강화하고 있다.[108]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시대에는 사막 천연 자원 이용 위해 여러 광산과 지역 사회가 발전했다. 여기에는 알제리와 리비아의 대규모 석유, 천연가스 매장량, 모로코와 서사하라의 대규모 인산염 매장량이 포함된다.[109] 리비아 대인공하천은 세계에서 가장 큰 관개 프로젝트다.[110] 이 프로젝트는 누비아 사암대수층에서 화석수를 펌핑하는 파이프라인 시스템을 사용하여 트리폴리와 벵가지 등 리비아 북부 지중해 연안 인구 밀집 도시에 물을 공급한다.[111]
범아프리카 고속도로망 일부인 여러 고속도로가 사하라 사막 가로질러 건설될 계획이며, 대서양 연안 따라 달리는 카이로-다카르 고속도로, 지중해 연안 알제에서 나이지리아 카노까지 이어지는 사하라 횡단 고속도로, 리비아 트리폴리에서 차드 엔자메나까지 이어지는 트리폴리-케이프타운 고속도로, 나일 강 따라 이어지는 카이로-케이프타운 고속도로 포함된다. 이들 고속도로는 부분적으로 완공되었지만, 상당한 간격과 포장되지 않은 구간이 존재한다.
사하라 사막 주민들은 다양한 기원을 가지고 있다. 그중에는 베르베르인(Amazigh), 특히 투아레그족(Tuareg people)과 아랍화된 여러 베르베르 집단, 예를 들어 하사니야어를 사용하는 사하라위가 있으며, 그중에는 즈나가 부족도 포함되는데, 이 부족 이름은 선사 시대 제나가어 잔재다. 다른 주요 집단으로는 투부족, 누비아인, 자가와족, 카누리족, 하우사족, 송가이족, 베자족, 풀라족(; ) 등이 있다. 홀로세 시대 고고학적 증거는 약 1500년 전에 베르베르어족과 아랍어 사용자들이 유입되기 전에 니로-사하라어족을 사용하는 집단들이 사하라 사막 중부와 남부에 거주했음을 보여준다.[112]
아랍어 방언은 사하라 사막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언어다. 아랍어, 베르베르어와 그 변종들(현재 베르베르어라는 용어로 묶여 있으며, 카나리아 제도 원주민 베르베르인들이 사용했던 관체어 포함) 및 베자어는 아프로-아시아어족 또는 함-셈어족에 속한다. 이웃한 서아프리카와 사하라 사막 구성 국가들 중앙 정부와는 달리, 프랑스어는 이 지역 대인 간 담화와 상업에는 거의 관련 없으며, 주민들은 투아레그족과 베르베르인 지도자 및 문화와 굳건한 민족적, 정치적 유대감을 유지하고 있다.[113] 프랑스 프랑스령 북아프리카 식민 시대 행정 유산은 주로 프랑스 제3공화국과 프랑스 제4공화국에 의해 제정된 영토 재편성에 나타나는데, 이는 이전까지 고립되고 투과성이 높았던 지역 내 인위적 정치적 분열 초래했다.[114] 현지 고객과의 외교는 관료 업무 전통적 언어였던 아랍어로 주로 진행되었다. 분쟁 조정과 부처 간 의사소통은 프랑스 정부가 계약한 통역사들이 담당했는데, Keenan에 따르면 이들은 "문화 간 중재 공간 기록"하여 이 지역 토착 문화 정체성 보존에 크게 기여했다.[115]
사하라 사막 주변 인류 정착 역사는 50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석비 등 출토품으로 보아 당시 이 지역은 습윤한 기후였으며, 들소 등 사냥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아프리카 해안 항로 개척될 때까지 사하라 사막 내부에는 몇몇 중요한 통상로가 존재했다. 고고학적으로도 사하라 주변과 다른 지역 간 교역이 유사 이전부터 이루어졌음이 밝혀졌다. 알제리 남동부 타시리 나제르와 니제르 북부 아이르 산지, 리비아 서부 타드라르트 아카쿠스 등에서는 동굴 벽화가 발견되었는데, 그 변천 과정 통해 사하라 기후 변화와 그에 따른 사람들 생활 변화를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 부발루스 시대 (Bubalus period):기원전 35000년경 ~ 기원전 8000년경
- 들소, 코끼리, 하마 등 오늘날 이 지역에서는 멸종한 동물들이 서식했던 것으로 보인다.
- 인간은 주로 곤봉으로 무장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 외에 도끼와 활도 사용되었지만, 창은 사용되지 않았다. 일부에서는 투구도 사용되었다.
- 가축 시대 (Cattle period):기원전 7500년경 ~ 기원전 4000년경
- 가축 사육이 보편화되었다. 양과 염소가 사육되었고, 요업이 시작되었다.
- 연마에 의한 석도끼와 돌촉 등이 생산되기 시작했다. 활과 화살은 주로 사냥에 사용되었다. 가축들은 아시아에서 수입되었다.
- 이 시대 후기에는 마을이 형성되어 이전보다 많은 인구를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가축 떼를 사육하는 일도 행해지게 되었다.
- 이마지겐 시대 (Imazighen period):기원전 3000년경 ~ 기원전 700년경
- 이 시대 초기에는 말, 낙타, 젖소의 사육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마지겐(إيمازيغنar ; )은 소위 베르베르인을 말한다.
- 기원전 1220년경부터 페니키아인과의 교역에 의해 철기가 전래되었다.
- 사하라 사막에서 이집트로 건너가 여러 왕국의 연합체가 만들어졌다. 이러한 왕국들은 해안 근처에 위치했지만, 사막 안쪽에까지 이르는 것도 있었다.
이 무렵부터 지중해 연안에는 도시 국가가 번영하기 시작했다. 그중에서도 가장 강력했던 것은 지중해에 면한 페니키아인 식민지를 기반으로 한 도시 국가 카르타고였으며, 기원전 8세기경부터 기원전 3세기경까지 번영했다. 로마 공화정에 의해 카르타고가 멸망하자 이 지역들은 로마 지배하에 들어가 아프리카 등 여러 속주로 분할되었다. 그러나 이들 국가 지배는 해안 지역에 한
7. 자원
사하라 사막은 광물 자원이 풍부한 지역은 아니지만, 몇몇 대규모 광산이 존재한다. 가장 풍부하고 가치 있는 자원은 석유이다. 특히 사막 북부의 알제리와 리비아에는 풍부한 석유와 천연가스가 매장되어 있으며, 알제리의 하시 메사우드 유전과 하실 멜 가스전, 리비아의 젤텐 유전, 사리르 유전, 아마르 유전 등의 거대 유전이 개발되어 양국의 경제를 떠받치고 있다.
모로코와 서사하라에는 인산염이 매장되어 있다. 서사하라의 부 크라아에서 채굴되는 인 광석은 길이 약 90킬로미터가 넘는 벨트 컨베이어로 수도 아이운(El Aaiún)까지 운반되어 배에 실린다.[122]
사막 서부 모리타니 북부, 주에라트에는 거대한 철광층이 존재하며, 여기서 채굴되는 철광석은 최근 대서양 연안에서 석유가 발견될 때까지 모리타니아 경제의 중추였다. 사막 중앙부, 니제르령 아르리트에는 우라늄 광상이 있으며, 아쿠타 광산과 아르리트 광산의 두 광산이 개발되어 니제르 경제의 원동력이 되어 왔다.
북동부 리비아 사막에는 리비아글라스라는 천연 유리가 매장되어 고대 이집트 시대부터 보석으로 귀하게 여겨졌다. 또한, 사하라 북부에는 사막의 장미가 많이 존재하여 기념품이 되고 있다.
역사적으로 사하라 사막에서 가장 귀중한 광물은 소금이었다. 1030년경, 현재 말리 최북단에 타가자 소금 광산이 개장되어 사하라 무역의 가장 중요한 거점 중 하나가 되었고, 타우데니의 소금 광산이 대신 개장되어 현재도 중요한 소금 산지이다. 타우데니에서 남쪽 팀북투까지는 현재도 낙타의 캐러밴에 의해 소금 덩어리가 운반된다.[123]
사하라 사막에서 가장 귀한 자원은 물이지만, 사하라는 수천 년 전에는 습윤한 땅이었으며, 그 당시 축적된 화석수가 지하 깊숙이 잠들어 있다. 리비아의 카다피 대령은 1984년에 리비아 대인공하천 계획을 발표했다.[124] 이것은 페자즈와 키레나이카 남부의 화석수를 끌어올려 트리폴리와 벵가지와 같은 해안부의 대도시에 공급하는 것이며, 1993년에는 벵가지에, 1996년에는 트리폴리에 송수가 시작되었다. 그러나 이 화석수는 현재의 기후 조건 하에서는 재생 불가능하며, 환경 파괴의 우려가 있다는 비판도 있다.
8. 국제 관계와 정치
이집트는 1936년에 영국으로부터 독립을 쟁취했지만, 1936년 영국-이집트 조약에 따라 영국은 이집트에 군대를 주둔시키고 수단에 대한 영국-이집트 공동 통치를 유지할 수 있었다.[106] 영국군은 1954년에 철수했다. 사하라 사막 지역의 대부분 국가들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립을 쟁취했다.[106] 리비아는 1951년, 모로코, 수단, 튀니지는 1956년, 차드, 말리, 모리타니, 니제르는 1960년, 알제리는 1962년에 독립했다.
스페인은 1975년 서사하라에서 철수했고, 이 지역은 모리타니와 모로코 사이에 분할되었다. 모리타니는 1979년에 철수했지만, 모로코는 계속해서 이 지역을 점유하고 있다(서사하라 분쟁 참조).[106]
독립 이후 사하라에 그어진 국경선을 둘러싸고 여러 차례 국경 분쟁이 발생했다. 또한 특히 사하라에 거주하는 투아레그족이나 투부족 등이 중앙 정부에 대해 반란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아 정세는 불안정하다.
1960년 아프리카의 해에 대부분의 국가가 독립한 후, 사하라에서 처음 혼란이 발생한 곳은 차드였다. 프랑수아 토뻬 대통령이 이끄는 남부 흑인 중심 정권에 대해 1965년 북부 이슬람계 주민이 반란을 일으켰고[132], 1990년까지 간헐적으로 내전이 계속되었다. 이 내전에는 북쪽의 리비아가 개입하여 1973년에는 리비아가 영유권을 주장했던 차드 북부의 아오주 지대를 점령했다. 리비아는 이센 하브레와 구쿠니 외디를 번갈아 지원하며 수도 엔자메나까지 여러 차례 공격했다. 1986년 하브레 정권이 리비아와 대립이 심해지자 리비아는 차드를 공격했다. 이에 맞서 차드는 반격하여 1987년의 토요타 전쟁에서 기술(장비)을 활용하여 리비아의 전차 부대를 궤멸시키고 아오주를 탈환했다. 1994년의 국제사법재판소 판결에 따라 이 지역은 차드 영토로 판결되었고, 리비아도 철수했다.
스페인령 사하라에서는 모로코와 모리타니아가 영유권을 주장했지만, 1975년 11월 모로코가 녹색 행진이라는 대규모 시위를 벌여 스페인으로부터 할양에 동의를 받아냈고, 이 지역은 북쪽 3분의 2를 모로코가, 남쪽 3분의 1을 모리타니아가 지배하게 되었다. 이에 대해 서사하라 독립 세력인 폴리사리오 전선이 강하게 반발하며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의 건국을 선포하고 이 지역에서 게릴라전을 전개하여 특히 모리타니아군에 압력을 가했다. 1976년 6월 수도 누악쇼트를 공격했고, 서사하라와 국경 지역에 있는 후데릭의 철광산을 타격하는 데 성공했다. 이로 인해 모리타니아는 1979년에는 이 지역의 영유권을 포기했다. 그러나 동시에 모로코군이 포기된 남부에도 진출하여 지배하에 두고 남부 주로 실효 지배하게 되었다. 국제연합이 중재에 나서 1991년에는 사하라 자치 계획이 양측 간에 합의되었고, 주민 투표를 통해 귀속 의사를 묻기로 결정되어 휴전이 성립되었다. 동시에 이 휴전을 감시하는 국제연합 서사하라 국민투표 미션(MINURSO)의 평화유지군도 설립되었다. 그러나 투표 자격을 둘러싸고 양측이 대립하여 휴전은 계속되고 있지만 투표는 무기한 연기된 상태이다. 현재 모로코군은 사막의 벽이라는 벽을 쌓아 해안 지역을 장악하고 있으며, 서사하라 측은 벽 외부를 지배하고 있다.
말리의 투아레그족은 20세기 동안 여러 차례 반란을 일으켰고, 마침내 2012년 투아레그 반란에서 말리군이 아자와드와 말리 남부를 구분하는 선 이남으로 철수하도록 강제했다.[107]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기후 건조화에 따른 경제 악화와 중앙 정부의 부패에 반대하여 말리와 니제르 북부에 거주하는 투아레그족이 반란을 일으키기 시작했다. 이 반란은 곧 중앙 정부와 평화 협정을 맺었지만, 2012년 말리 북부에서 반란이 재점화되었다. 북부를 완전히 장악하고 아자와드로 독립을 선포했다.
알카에다 이슬람 마그레브 지부(AQIM)라고 자칭하는 사하라 사막의 이슬람 반군들은 최근 몇 년 동안 폭력 행위를 강화하고 있다.[108]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알 카에다 마그레브 이슬람 지하드(AQIM)의 세력 확장에 대항하기 위해 테러와의 전쟁의 일환으로 2007년부터 사하라 사막에서의 자유 작전이 시작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시대에는 사막의 천연 자원을 이용하기 위해 여러 광산과 지역 사회가 발전했다. 여기에는 알제리와 리비아의 대규모 석유와 천연가스 매장량, 모로코와 서사하라의 대규모 인산염 매장량이 포함된다.[109] 리비아의 대인공하천은 세계에서 가장 큰 관개 프로젝트이다.[110] 이 프로젝트는 누비아 사암대수층에서 화석수를 펌핑하는 파이프라인 시스템을 사용하여 트리폴리와 벵가지 등 리비아 북부 지중해 연안의 인구 밀집 도시에 물을 공급한다.[111]
범아프리카 고속도로망의 일부인 여러 고속도로가 사하라 사막을 가로질러 건설될 계획이며, 여기에는 대서양 연안을 따라 달리는 카이로-다카르 고속도로, 지중해 연안의 알제에서 나이지리아의 카노까지 이어지는 사하라 횡단 고속도로, 리비아의 트리폴리에서 차드의 엔자메나까지 이어지는 트리폴리-케이프타운 고속도로, 그리고 나일 강을 따라 이어지는 카이로-케이프타운 고속도로가 포함된다. 이러한 고속도로들은 부분적으로 완공되었지만, 상당한 간격과 포장되지 않은 구간이 존재한다.
사하라 주변국들이 사하라에 대해 논의하는 국제기구나 협정은 존재하지 않는다. 아프리카 연합도 폴리사리오 전선이 수립한 망명정부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이 아프리카 통일 기구에 1985년에 가입한 것을 계기로 모로코가 같은 해 탈퇴했고, 주변 국가들이 모두 가입한 것은 아니다.
9. 교통
모리타니아 철도의 궤선 풍경]]
사하라 사막을 남북으로 종단하는 노선은 여러 개 있지만, 일반적인 자동차가 통과 가능한 도로와 주유 편의성을 고려하면 3개 정도로 압축된다.[135] 모로코의 마라케시에서 대서양 연안을 따라 서사하라의 아이운, 다클라, 모리타니아의 누아디부를 거쳐 누악쇼트에 이르는 노선, 알제리의 베샤르나 아바드라에서 남하하여 말리의 가오에 이르는 노선, 알제에서 타만라세트, 니제르의 아르리트를 거쳐 아가데스로 빠져나가는 노선 등이 있다. 그러나 어떤 노선도 국경 부근에는 제대로 된 도로가 없어 앞차의 바퀴 자국을 길잡이 삼아 달려야 한다. 차량 고장은 치명적이며, 많은 희생자를 내는 경우도 있다.[136]
21세기에 들어 누아디부에서 누악쇼트까지의 도로가 포장되어 대서양 연안 노선은 거의 포장이 완료되었고, 사하라 최초의 종단 포장 도로가 되었다. 사하라 사막을 횡단하는 도로는 없다.
종단 도로는 사하라 사막 이남의 경제 난민들이 사막을 횡단하여 유럽으로 향하는 경로이기도 하다. 그러나 악덕 밀항업자에 의해 사막에서 난민이 유기되는 경우가 있으며, 사망자도 발생하고 있다.[137]
1979년부터 2007년까지는 파리에서 출발하여 세네갈의 다카르까지 약 1만 2000km를 주파하는 세계적인 랠리 레이드 경주인 파리-다카르 랠리의 메인 코스였지만, 테러나 강도를 당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고, 2008년에는 치안 악화로 인해 경주 자체가 중단되었다. 2009년부터는 다카르 랠리-아르헨티나-칠레-페루라는 이름으로 남아메리카 대륙에서 경주가 개최되면서 사하라에서의 경주는 행해지지 않게 되었다.
철도는 거의 존재하지 않지만, 모리타니아 북단을 달리는 모리타니아 철도는 예외이다. 이 철도는 사하라 사막 한가운데 있는 주에라트와 대서양 연안의 누아디부를 잇는 총연장 717km의 철도로, 전 구간이 사막 한가운데를 달린다. 주에라트 근교의 푸데릭의 철광석을 누아디부 항구까지 운반하기 위한 철도이며, 철광석을 실은 화차의 열은 길이가 3km에 달해 세계에서 가장 긴 열차로 알려져 있다. 여객 전용 열차는 없지만, 이 화물 열차의 마지막에 객차가 연결되어 (혼성 열차) 여객 이용도 가능하다.
10. 사막화
사하라 일대는 홀로세(1만 년 전 ~ 현재) 이후 습윤과 건조를 반복해왔다. 2만 년 전부터 1만 2천 년 전까지는 사하라 사막이 가장 확장된 시기로, 현재의 사헬 지대 대부분이 사하라 사막에 잠식되었다.[128] 이후 최종 빙기가 끝나면서 사하라는 습윤화되기 시작하여 약 8000년 전에 가장 습윤한 시기를 맞았다. 이 시기 사막은 아틀라스 산맥 바로 아래 일부에까지 축소되었고, 사하라 대부분은 사바나와 스텝이 되어 숲도 생겨났다. 7500년 전에 일시적으로 건조화되었지만 곧 회복되었고, 5000년 전까지 습윤한 기후가 계속되었다.[128]
최후 빙기 최대기(LGM) 동안 사하라는 현재보다 더 광범위했고 열대 우림의 범위는 크게 감소했으며,[42] 저온은 해들리 세포의 강도를 약화시켰다. 이 기후 세포는 열대 수렴대(ITCZ)의 상승하는 열대 공기를 통해 열대 지방에 비를 가져오는 반면, 북위 약 20도 부근의 건조한 하강 기류는 적도로 돌아와 이 지역에 사막 조건을 가져온다. 기원전 12,500년경 뵈링 진동/알레뢰드 진동 단계에서 코어 내 먼지량이 급격히 감소하여 사하라의 훨씬 더 습한 시기를 보여주며, 단스가르드-외슈거 사건(DO 사건)을 나타낸다. 더 습한 사하라 조건은 기원전 12,500년경에 북반구 여름에 ITCZ가 북쪽으로 확장되면서 시작되어, (영거 드라이아스와 관련된 짧은 건조한 시기를 제외하고) 기원전 4000년 홀로세 최고 온난기 기후 단계 동안 정점에 달했다.[42] 하인리히 사건과 관련된 엘니뇨-남방 진동 순환의 변화와 함께 ITCZ가 남쪽으로 갑자기 이동하면서 사하라와 아라비아 지역이 급격히 건조해져 사막이 되었다.[44]
그 후, 점차 건조화가 시작되어 현재까지 건조한 기후가 계속되고 있다. 5000년 전과 비교하면 사막의 남쪽 경계는 1,000킬로미터나 남하했다.[128] 건조화는 역사 시대를 통해 진행되어 왔으며, 사막의 남하도 진행 중이다. 1915년경 이후 강수량이 증가했지만, 1920년대 이후 현재까지는 강수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1960년대 이후, 사하라 지역을 포함한 아프리카에서는 인구 폭발이 계속되고 있다. 식량 증산과 생활을 위해 화전 농업·과방목·관목의 과도한 벌채가 이루어져 생태계가 파괴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1968년 - 1973년에 걸쳐 사하라 일대에 2,500만 명이 피해를 입은 대규모 가뭄이 발생했다. 이를 계기로 1977년에 유엔 사막화 방지 회의(UNCOD)가 개최되었다. 그러나 1983년 - 1984년에 걸쳐 다시 대가뭄이 발생했다. 모잠비크, 앙골라, 수단, 차드, 에티오피아에서는 가뭄에 정치 불안까지 겹쳐 기근으로 많은 사망자가 발생했다.
인구 폭발과 가뭄으로 사막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기 시작했다. 빈곤과 기후변화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결정적인 해결책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현재도 사하라 남쪽 경계는 세계에서 가장 사막화가 진행되고 있는 지역으로, 매년 약 6만 제곱킬로미터의 속도로 사막의 면적이 증가하고 있다. 유엔환경계획(UNEP)의 조사에 따르면 남쪽으로 매년 150만 헥타르(15,000제곱킬로미터)씩 확장되고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129]
2007년부터는 사막의 확장을 막기 위해 아프리카 연합의 주도로 아프리카 서해안 세네갈에서 동해안 지부티 연안까지 약 7000km를 수림대로 잇는 그레이트 그린 월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130] 그러나 지구 온난화에 의한 기후변화로 다시 식생이 변화하고 있으며, 남쪽 경계에는 녹화의 징후도 있다고 한다. 이러한 최근의 조사 연구에 따른 예측 모델에서는 강수량이 증가하여 습윤화될 것이라는 설도 있다.[131]
참조
[1]
논문
Detection and Analysis of an Amplified Warming of the Sahara Desert
2015
[2]
웹사이트
Largest Desert in the World
http://geology.com/r[...]
2011-12-30
[3]
웹사이트
Is the World Full or Empty?
http://storymaps.esr[...]
2018-10-19
[4]
웹사이트
Sahara
http://www.etymonlin[...]
Douglas Harper
2007-06-25
[5]
웹사이트
English-Arabic online dictionary
http://online.ectaco[...]
Online.ectaco.co.uk
2006-12-28
[6]
서적
A Dictionary of Modern Written Arabic (Arabic-English)
Otto Harrassowitz
[7]
서적
al-Mawrid: Qāmūs 'Arabī-Inklīzī
Dār al-'Ilm lil-Malāyīn
[8]
웹사이트
Sahara Location, History, Map, Countries, Animals, & Facts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4-16
[9]
뉴스
A "pacemaker" for North African climate
http://news.mit.edu/[...]
MIT News
2019-01-02
[10]
논문
Exocartographer: A Bayesian Framework for Mapping Exoplanets in Reflected Light
[11]
웹사이트
Journey through a stunning diversity of cultures and sounds in the Sahara Desert
https://www.abc.net.[...]
2024-06-20
[12]
서적
Modern Physical Geography
John Wiley & Sons
[13]
웹사이트
Sahara desert
2007-12-30
[14]
서적
Ecophysiology of Economic Plants in Arid and Semi-Arid Lands
Springer
[15]
논문
The Ancient Erg of Hausaland, and Similar Formations on the South Side of the Sahara
[16]
서적
Mythes et réalités d'un désert convoité: le Sahara
L'Harmattan
[17]
서적
The Arid Zones
Aldine
[18]
웹사이트
The 10 Largest Deserts In The World
https://www.worldatl[...]
2022-01-18
[19]
웹사이트
Interesting Facts About the Sahara Desert
https://www.globalad[...]
2023-04-16
[20]
서적
The Atlas of African Affair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6-17
[21]
서적
Encyclopedia of World Climatology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8-04-23
[22]
서적
Survey of Climatology
https://books.google[...]
C.E. Merrill Publishing Company
[23]
서적
Dryland Climatolog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10-27
[24]
논문
The North Atlantic Oscillation: Past, present, and future
2001-11-06
[25]
논문
An Overview of the North Atlantic Oscillation
https://onlinelibrar[...]
American Geophysical Union (AGU)
2003
[26]
서적
Bioclimatology and Biogeography of Africa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8-12-10
[27]
서적
Desert Biology: Special Topics on the Physical and Biological Aspects of Arid Regions
https://books.google[...]
Elsevier
2013-09-17
[28]
웹사이트
Snow falls in Sahara for first time in 37 years
http://edition.cnn.c[...]
CNN
2016-12-22
[29]
논문
Aridification of the Sahara desert caused by Tethys Sea shrinkage during the Late Miocene
2014-09-17
[30]
논문
Ancient Lakes of the Sahara
[31]
논문
Regime Shifts in the Sahara and Sahel: Interactions between Ecological and Climatic Systems in Northern Africa
2003-10-01
[32]
서적
Earth's Climate: Past and Future
W.H. Freeman and Company
2001
[33]
논문
Monsoon Climate of the Early Holocene: Climate Experiment with the Earth's Orbital Parameters for 9000 Years Ago
1981-10-02
[34]
서적
The Civilizations of Africa
University Press of Virginia
[35]
웹사이트
Fezzan Project — Palaeoclimate and environment
http://www.cru.uea.a[...]
2006-03-15
[36]
웹사이트
Sahara's Abrupt Desertification Started by Changes in Earth's Orbit
https://www.scienced[...]
2014-03-07
[37]
논문
Climate-Driven Ecosystem Succession in the Sahara: The Past 6000 Years
https://web.archive.[...]
2013-02-22
[38]
논문
Megalakes in the Sahara? A Review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07-19
[39]
뉴스
Progress is slow on Africa's Great Green Wall, but some bright spots bloom
https://news.mongaba[...]
2023-08-03
[40]
뉴스
What Really Turned the Sahara Desert From a Green Oasis into a Wasteland?
https://www.smithson[...]
2017-03-24
[41]
논문
Desert speleothems reveal climatic window for African exodus of early modern humans
https://web.archive.[...]
[42]
웹사이트
Africa during the last 150,000 years
https://web.archive.[...]
Environmental Sciences Division, ORNL Oak Ridge National Laboratory
[43]
논문
The late Pleistocene desiccation of Lake Victoria and the origin of its endemic biota
[44]
서적
Climate Change in Prehistory: the end of the reign of chaos
Cambridge University Press
[45]
WWF_ecoregion
2007-12-29
[46]
WWF_ecoregion
2007-12-29
[47]
WWF_ecoregion
2007-12-29
[48]
WWF_ecoregion
2007-12-29
[49]
WWF_ecoregion
2007-12-29
[50]
WWF_ecoregion
2007-12-29
[51]
서적
Encyclopedia of Desert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2015-11-15
[52]
서적
Bioclimatology and Biogeography of Africa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5-11-15
[53]
뉴스
Rare cheetah captured on camera
http://news.bbc.co.u[...]
2009-02-24
[54]
IUCN
Acinonyx jubatus ssp. hecki
2008
[55]
IUCN
Lycaon pictus
2020
[56]
잡지
Endangered in South Africa: Those Doggone Conservationists
https://web.archive.[...]
2009-08-19
[57]
뉴스
Desert-Adapted Crocs Found in Africa
http://news.national[...]
2002-06-18
[58]
논문
Desert ants on a thermal tightrope
[59]
논문
Organic Farming By Using Saharan Soil: Could It Be An Alternative To Fertilizers?
http://www.hjbc.hace[...]
2011
[60]
웹사이트
Sahara desert savanna climate
http://discovermagaz[...]
2006-10
[61]
논문
Central Saharan rock art: Considering the kettles and cupules
https://www.academia[...]
[62]
뉴스
Desert-Adapted Crocs Found in Africa
http://news.national[...]
2006-06-17
[63]
뉴스
Near-perfect fossils of Egyptian dinosaur discovered in the Sahara desert
2018-01-29
[64]
웹사이트
Stone Age Graveyard Reveals Lifestyles of A 'Green Sahara'
https://www.scienced[...]
2008-08-15
[65]
뉴스
Graves Found From Sahara's Green Period
https://www.nytimes.[...]
2008-08-14
[66]
논문
Lakeside Cemeteries in the Sahara: 5000 Years of Holocene Population and Environmental Change
2008
[67]
잡지
Stone Age mass graves reveal green Sahara
https://www.newscien[...]
2008-08-14
[68]
논문
Lakeside Cemeteries in the Sahara: 5000 Years of Holocene Population and Environmental Change
2008
[69]
뉴스
In the Sahara, Stone Age graves from greener days
https://www.nytimes.[...]
2008-08-14
[70]
서적
The Great Civilisations of the ancient Sahara: Neolithisation and the earliest evidence of anthropomorphic religions
L'Erma di Bretschneider
[71]
비디오
Black Mummy of the Green Sahara
2003
[72]
서적
Mummies, Disease and Ancient Culture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73]
웹사이트
Wan Muhuggiag
https://www.temehu.c[...]
2015-11-16
[74]
학술지
Antonio Ascenzi (1915–2000), a Pathologist devoted to Anthropology and Paleopathology
http://www.pathologi[...]
2016-11-24
[75]
서적
Evolution and Notions of Human Race
https://www.jstor.or[...]
Princeton University Press
[76]
웹사이트
AAPA Statement on Race and Racism
https://physanth.org[...]
American Association of Physical Anthropologists
2019-03-27
[77]
서적
Round Heads: The Earliest Rock Paintings in the Sahara
https://books.googl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13-01-16
[78]
서적
Round Heads: The Earliest Rock Paintings in the Sahara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79]
웹사이트
History of Nubia
http://www.anth.ucsb[...]
Anth.ucsb.edu
[80]
웹사이트
The History of Astronomy
https://web.archive.[...]
[81]
웹사이트
Late Neolithic megalithic structures at Nabta Playa
https://web.archive.[...]
[82]
웹사이트
The Nubian Pastoral Culture as Link between Egypt and Africa: A View from the Archaeological Record
https://www.academia[...]
[83]
웹사이트
Fayum, Qarunian
http://www.digitaleg[...]
[84]
웹사이트
Predynastic (5,500–3,100 BCE)
[85]
학술지
Cultural convergence in the Neolithic of the Nile Valley: a prehistoric perspective on Egypt's place in Africa
2014-03
[86]
웹사이트
The Emergence of Mobile Pastoral Elites during the Middle to Late Holocene in the Sahara
https://www.research[...]
Journal of African Archaeology
[87]
학술지
Reconsidering the emergence of social complexity in early Saharan pastoral societies, 5000 – 2500 B.C.
Sahara (Segrate)
[88]
웹사이트
Expansions and Contractions: World-Historical Change And The Western Sudan World-System (1200/1000 B.C. - 1200/1250 A.D.)
https://www.research[...]
Journal of World-Systems Research
[89]
웹사이트
Saharan Peoples and Societies
https://oxfordre.com[...]
[90]
학술지
Coping with uncertainty: Neolithic life in the Dhar Tichitt-Walata, Mauritania, (ca. 4000–2300 BP)
https://www.scienced[...]
[91]
서적
Early domesticated pearl millet in Dhar Nema (Mauritania): evidence of crop processing waste as ceramic temper
https://books.google[...]
Barkhuis
2007
[92]
학술지
Diversification, Intensification and Specialization: Changing Land Use in Western Africa from 1800 BC to AD 1500
https://link.springe[...]
[93]
서적
Urbanisation and State Formation in the Ancient Sahara and Beyond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03-26
[94]
학술지
Agricultural diversification in West Africa: an archaeobotanical study of the site of Sadia (Dogon Country, Mali)
[95]
학술지
Spatial Organization and Socio-Economic Differentiation at the Dhar Tichitt Center of Dakhlet el Atrouss I (Southeastern Mauritania)
2022-04-13
[96]
학술지
The Tichitt Culture and the Malian Lakes Region
2023-09-27
[97]
웹사이트
A New Recording of Mauritanian Rock Art
https://discovery.uc[...]
[98]
웹사이트
Dhar Néma: From early agriculture to metallurgy in southeastern Mauritania
https://www.research[...]
Azania Archaeological Research in Africa
[99]
웹사이트
Betwixt Tichitt and the IND: the pottery of the Faita Facies, Tichitt Tradition
https://dokumen.tips[...]
Azania: Archaeological Research in Africa
[100]
서적
Archaeology of Fazzan
[101]
잡지
Kingdom of the Sands
http://www.archaeolo[...]
[102]
서적
A History of Africa
Routledge
[103]
서적
Trans-Saharan Africa in World History
[104]
웹사이트
Wauthier Bréard 1933
http://saharayro.fre[...]
[105]
웹사이트
Reconnaissance saharienne
http://www.cnc-aff.f[...]
[106]
뉴스
Algeria recalls envoy to Morocco in row over Western Sahara
https://www.aljazeer[...]
2021-07-18
[107]
뉴스
Mali Tuareg rebels declare independence in the north
https://www.bbc.com/[...]
BBC News
2012-04-06
[108]
뉴스
Al-Qaeda in North Africa appoints new leader to replace Droukdel
https://www.france24[...]
2020-11-22
[109]
뉴스
The Desert Rock That Feeds the World
https://www.theatlan[...]
2016-11-29
[110]
뉴스
Libya's Qaddafi taps 'fossil water' to irrigate desert farms
https://www.csmonito[...]
2010-08-23
[111]
웹사이트
The Eighth Wonder of the World?
https://en.qantara.d[...]
[112]
논문
Ancient watercourses and biogeography of the Sahara explain the peopling of the desert
2011-01-11
[113]
서적
Berber Culture on the World Stage: From Village to Video
Indiana University Press
[114]
서적
Trans-Saharan Africa in World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115]
서적
The Sahara: Past, Present and Future
Routledge
[116]
서적
トリビアの泉〜へぇの本〜 2
講談社
[117]
웹사이트
The Living Arabic Project - صحراء
https://www.livingar[...]
[118]
웹사이트
معنى شرح تفسير كلمة (صحراء)
https://www.almougem[...]
[119]
웹사이트
المعاني - صحراء
https://www.almaany.[...]
[120]
웹사이트
The Living Arabic Project - كبرى
https://www.livingar[...]
[121]
기타
[122]
간행물
週刊朝日百科世界の地理98 モロッコ・モーリタニア・西サハラ
朝日新聞社
1985-09-08
[123]
간행물
週刊朝日百科世界の地理99 アフリカ西部諸国
朝日新聞社
1985-09-15
[124]
서적
リビアを知るための60章
明石書店
2006-08-15
[125]
서적
アフリカを知る事典
平凡社
1989-02-06
[126]
서적
キリマンジャロの雪が消えていく―アフリカ環境報告
岩波新書
[127]
서적
ビジュアルシリーズ世界再発見2 北アフリカ・アラビア半島
同朋舎出版
1992-05-20
[128]
서적
アフリカを知る事典
平凡社
1989-02-06
[129]
서적
地球環境報告
岩波書店
[130]
웹사이트
アフリカに築かれる「緑の万里の長城(Great Green Wall)」
http://rief-jp.org/c[...]
一般社団法人環境金融研究機構
2016-09-07
[131]
뉴스
サハラ砂漠、気候変動で緑化が進行か
https://natgeo.nikke[...]
ナショナルジオグラフィック ニュース
2009-07-31
[132]
서적
世界地理大百科事典2 アフリカ
朝倉書店
[133]
서적
新書アフリカ史
講談社
2003-02-20
[134]
서적
サハラが結ぶ南北交流
山川出版社
2004-06-25
[135]
뉴스
砂漠の真ん中でカローラとすれ違う アフリカ道路事情(1) <アフリカン・メドレー>
http://dot.asahi.com[...]
アサヒカメラ.net
2015-07-08
[136]
뉴스
サハラ砂漠に92人の遺体、行き倒れたニジェール難民
http://topics.jp.msn[...]
フランス通信社
2013-11-02
[137]
뉴스
サハラ砂漠に水・食糧なしで放置、移民67人を救助 ニジェール
https://www.afpbb.co[...]
AFP
2017-07-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