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잠비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잠비크는 동아프리카에 위치한 국가로, 300만 년 전부터 인류가 거주해 왔다. 8세기부터 아랍 상인과의 교역이 시작되었고, 15세기에는 포르투갈이 진출하여 식민 지배를 받았다. 1964년부터 1974년까지 독립 전쟁을 거쳐 1975년 독립했으며, 공산주의 정부가 수립되었다. 이후 내전과 시장 경제 도입, 다당제 민주주의를 거쳐 현재는 대통령 중심의 공화국이다. 모잠비크는 다양한 종교와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농업, 광업, 관광 산업이 주요 경제 활동이다. 1995년 영연방에 가입하고 포르투갈어 사용국 공동체의 일원이며, 한국과는 1993년에 수교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잠비크 - 고롱고사 국립 공원
고롱고사 국립공원은 모잠비크에 위치하며 아프리카 생물 다양성을 대표하는 지역으로, 내전으로 피해를 입었으나 복원 사업을 통해 야생 동물 개체 수가 증가하고 생태계가 회복되었으며, 다양한 지형과 식생, 야생 동물이 서식하며 지역 사회와 협력하여 생태 관광을 활성화하고 있다. - 포르투갈어 사용국 공동체 회원국 - 브라질
브라질은 남아메리카 동부에 위치한 연방 공화국으로, 포르투갈 식민 지배에서 독립하여 다양한 인종과 문화가 공존하며, 대통령 중심제를 채택하고 경제적으로 농업, 제조업, 서비스업이 발달한 스포츠 강국이다. - 포르투갈어 사용국 공동체 회원국 - 앙골라
앙골라 공화국은 아프리카 남서부에 위치한 국가로, 포르투갈의 식민 지배를 받다가 1975년 독립 후 27년간의 내전을 겪었으며, 풍부한 자원을 바탕으로 경제 성장을 이루었으나 빈부 격차와 사회 불평등이 심각한 국가이다. - 스와힐리어권 - 르완다
아프리카 중부 내륙에 위치한 르완다 공화국은 '천 개의 언덕의 나라'로 불리는 구릉 지형 국가이며, 1994년 집단학살의 아픔을 딛고 경제 성장을 이루어 '아프리카의 기적'으로도 불리며, 대통령 중심제의 공화국으로 폴 카가메 대통령이 이끌고 있다. - 스와힐리어권 - 콩고 민주 공화국
콩고민주공화국은 아프리카 중앙부에 위치한 대통령 중심제 민주공화국으로, 풍부한 광물자원을 보유했으나 내전과 부패로 빈곤과 정치적 불안정에 시달리고 있으며, 격변의 시기를 거쳐 현재는 펠릭스 치세케디 대통령이 집권하고 있는, 다양한 민족과 풍부한 생물다양성을 가진 국가이다.
모잠비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모잠비크 공화국 |
현지 이름 | |
약칭 | 모잠비크 |
![]() | |
국가 표어 | 없음 |
국가 | 사랑스러운 조국 |
수도 | 마푸투 |
최대 도시 | 마푸투 |
공용어 | 포르투갈어 |
지역 언어 | 마쿠와어 세나어 총가어 롬웨어 창가나어 스와힐리어 |
민족 구성 | 99.0% 아프리카인 0.8% 메스티소 0.1% 백인 0.1% 기타 |
인구 | 34,881,007명 (2024년 추정) |
면적 | 801,590 km² |
통화 | 메티칼 |
통화 코드 | MZN |
시간대 | CAT |
UTC 오프셋 | +2 |
국제전화 코드 | +258 |
국가 도메인 | .mz |
공식 웹사이트 | 모잠비크 정부 포털 |
종교 | 55.8% 기독교 26.1% 전통 신앙 17.5% 이슬람교 0.5% 무종교 0.3% 기타 |
정치 | |
정치 체제 | 단위제 반대통령제 공화국 |
대통령 | 필리페 뉴시 |
총리 | 아드리아누 말레이아느 |
국회 의장 | 국회 의장 |
입법부 | 공화국 국회 |
역사 | |
독립 | 포르투갈로부터 독립 (1975년 6월 25일) |
유엔 가입 | 1975년 9월 16일 |
내전 | 1977년-1992년 |
현재 헌법 | 2004년 12월 21일 |
경제 | |
GDP (PPP) | 537억 달러 (2023년) |
GDP (PPP) 순위 | 121위 |
1인당 GDP (PPP) | 1,584 달러 (2023년) |
1인당 GDP (PPP) 순위 | 187위 |
명목 GDP | 219억 달러 (2023년) |
명목 GDP 순위 | 128위 |
1인당 명목 GDP | 647 달러 (2023년) |
1인당 명목 GDP 순위 | 185위 |
지니 계수 | 50.4 (2019년) |
인간 개발 지수 | 0.461 (2022년) |
인간 개발 지수 순위 | 183위 |
기타 정보 | |
운전 방향 | 좌측 통행 |
2. 역사
1498년 바스쿠 다 가마가 희망봉을 넘어 모잠비크에 도착하면서, 16세기 초부터 포르투갈의 식민 지배가 시작되었다. 17세기 중반에는 포르투갈의 식민 지배가 확립되었고, 모잠비크 섬에 식민지 수도가 설치되었다. 1782년에는 마푸투가 건설되었다.
19세기 말, 아프리카 분할 과정에서 포르투갈은 모잠비크와 앙골라를 연결하는 계획을 발표했으나, 1890년 영국의 압력으로 잠비아, 짐바브웨, 말라위 영유를 포기하고, 1891년 조약으로 현재의 모잠비크 영역이 확정되었다.[150] 1898년 식민지 수도는 모잠비크 섬에서 마푸투로 이전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탈식민화 흐름 속에서, 1964년 9월 에두아르두 몬들라네가 이끄는 모잠비크 해방전선(FRELIMO)이 탄자니아를 거점으로 무장 투쟁을 시작하며 모잠비크 독립 전쟁이 발발했다. 마르크스주의를 표방하며 소련과 중화인민공화국의 지원을 받은 FRELIMO는 냉전 상황에서 서방 국가의 위협으로 간주되었고, 포르투갈군은 강경하게 대응했다. 1969년 몬들라네가 암살되었으나, 사모라 마셸 등이 독립 전쟁을 이어갔다. 포르투갈 본국에서 카네이션 혁명이 발생한 후, 1975년 6월 25일 모잠비크는 모잠비크 인민 공화국으로 완전 독립했다.[151]
독립 후, 모잠비크 자유전선(FRELIMO)은 일당제 사회주의 노선을 추진했다. 그러나 1977년부터 모잠비크 민족 저항 운동(MNR, RENAMO)과의 모잠비크 내전으로 정치적 불안이 심화되었다.
1986년 사모라 마셸 대통령이 비행기 사고로 사망하고, 조아킹 시사누 대통령이 취임하여 개혁을 추진했다. 1990년 시장경제와 다당제 민주주의를 도입하고, 1992년 로마에서 평화 협정을 체결하여 내전을 종식시켰다.
1995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주선으로 영국 통치를 받지 않은 국가로는 처음으로 영연방에 가입했다. 포르투갈어 사용국 공동체(CPLP)의 정회원이며, 2006년부터 프랑코포니의 참관국이다.
2. 1. 반투족의 이주와 스와힐리 해안
반투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기원전 4세기 초부터 모잠비크로 이주해 왔다.[17] 서기 1세기에서 5세기 사이에 서쪽과 북쪽에서 온 여러 이주민들이 잠베지 강 유역을 거쳐 남아프리카의 고원 지대와 해안 지역으로 점차 이동했던 것으로 여겨진다.[18] 그들은 소를 치는 농업 공동체 또는 사회를 건설했고, 철 제련[19] 및 철 세공 기술을 가지고 왔다.
서기 1천년 후반부터 광대한 인도양 무역 네트워크는 고대 항구 도시 키부에네(Chibuene)에서 볼 수 있듯 모잠비크 남쪽으로까지 확장되었다.[20] 9세기부터 인도양 무역에 대한 참여가 증가하면서 오늘날 모잠비크를 포함한 동아프리카 해안 전체에 수많은 항구 도시들이 발전했다. 대체로 자치적인 이 도시들은 초기 스와힐리 문화에 광범위하게 참여했다. 이슬람교는 종종 도시 엘리트들에 의해 채택되어 무역을 촉진했다. 모잠비크에서는 소팔라(Sofala), 안고셰(Angoche), 모잠비크 섬이 15세기까지 지역 강국이었다.[21]
이 도시들은 아프리카 내륙과 더 넓은 인도양 세계의 상인들과 무역을 했다. 특히 중요한 것은 금과 상아 카라반 무역로였다. 짐바브웨 왕국과 무타파 왕국과 같은 내륙 국가들은 금과 상아를 제공했고, 이는 해안을 따라 킬와(Kilwa Kisiwani)와 몬바사와 같은 더 큰 항구 도시로 교환되었다.[22]
2. 2. 포르투갈의 식민 지배 (1498년~1975년)

서기 1000년 후반부터 광대한 인도양 무역 네트워크는 모잠비크 남쪽으로까지 확장되었다.[20] 9세기부터 인도양 무역에 대한 참여가 증가하면서 오늘날 모잠비크를 포함한 동아프리카 해안 전체에 수많은 항구 도시들이 발전했다. 이 도시들은 초기 스와힐리 문화에 광범위하게 참여했다. 이슬람교는 종종 도시 엘리트들에 의해 채택되어 무역을 촉진했다. 모잠비크에서는 소팔라, 안고셰, 모잠비크 섬이 15세기까지 지역 강국이었다.[21]
이 도시들은 아프리카 내륙과 더 넓은 인도양 세계의 상인들과 무역을 했다. 특히 중요한 것은 금과 상아 카라반 무역로였다. 짐바브웨 왕국과 무타파 왕국과 같은 내륙 국가들은 금과 상아를 제공했고, 이는 해안을 따라 킬와와 몬바사와 같은 더 큰 항구 도시로 교환되었다.[22]



모잠비크는 모잠비크 해협에 위치한 작은 산호섬인 모잠비크 섬(국가 이름의 유래가 된 섬)에서 유럽인에 의해 처음 탐험되었으며, 이는 15세기 후반에 일어났다.
1498년 포르투갈 탐험가들이 모잠비크에 도착했을 때, 아랍 상인들의 정착지는 수세기 동안 해안과 외딴 섬들에 존재하고 있었다.[23][24] 1500년경부터 포르투갈 무역 기지와 요새는 아랍의 상업 및 군사적 패권을 대체하여 동쪽으로 향하는 새로운 유럽 해상 루트의 정기적인 기항지가 되었고,[18][25] 이는 식민화 과정의 첫 단계였다.[25][26]
1498년 바스쿠 다 가마의 희망봉 주변 항해는 포르투갈이 이 지역의 무역, 정치 및 사회에 진입한 것을 의미한다. 포르투갈은 16세기 초 모잠비크 섬과 소팔라 항구 도시를 장악했고, 1530년대까지 소규모의 포르투갈 상인과 금을 찾는 탐험가들이 내륙 지역으로 진출했다. 그들은 잠베지 강의 세나와 테테에 주둔지와 무역 기지를 설립하고 금 무역에 대한 독점적 통제를 확보하려고 시도했다.[24]
모잠비크 중부 지역에서 포르투갈은 ''prazo''의 창설을 통해 무역과 정착 위치를 합법화하고 강화하려고 시도했다.[24] 이 토지 양허는 이민자들을 그들의 정착지에 묶어두었고, 내륙 모잠비크는 주로 프라제이루(prazeiros, 양허권자)에 의해 관리되었으며, 포르투갈 중앙 당국은 아시아와 아메리카의 더 중요한 포르투갈령에 대한 권력 행사에 집중했다.[24][27] 모잠비크의 노예 제도는 유럽과의 접촉 이전부터 존재했다. 아프리카 통치자와 추장들은 노예를 거래했는데, 처음에는 아랍 무슬림 상인들과 거래하여 노예들을 중동 아시아 도시와 농장으로 보냈고, 나중에는 포르투갈과 다른 유럽 상인들과 거래했다. 이러한 무역의 연장선상에서, 노예는 적대 부족을 습격하고 포로를 프라제이루에게 판매하는 적대적인 현지 아프리카 통치자들에 의해 공급되었다. 프라제이루의 권위는 이러한 노예로 구성된 군대, 즉 ''Chikunda''로 알려진 사람들에 의해 현지 주민들 사이에서 행사되고 유지되었다.[24] 19세기 후반까지 포르투갈에서 비교적 낮은 수준의 이민이 계속되면서 "아프리카화"가 진행되었다.[24] 프라조는 원래 포르투갈 식민지 개척자들만 소유하도록 의도되었지만, 혼혈과 지속적인 포르투갈 영향으로부터의 프라제이루의 상대적인 고립으로 인해 프라조는 아프리카-포르투갈식 또는 아프리카-인도식이 되었다.[24][25]

포르투갈의 영향력이 점차 확대되었지만, 그 권력은 광범위한 자치권을 부여받은 개별 정착민과 관리들을 통해 제한적으로 행사되었다. 포르투갈은 1500년부터 1700년 사이에 아랍 무슬림으로부터 많은 해안 무역을 빼앗았지만, 1698년 아랍 무슬림이 몬바사 섬의 예수 요새라는 포르투갈의 중요한 교두보를 점령하면서 추는 반대 방향으로 기울기 시작했다. 결과적으로 리스본이 인도와 극동과의 더욱 수익성 있는 무역과 브라질 식민지화에 전념하면서 투자가 지지부진했다.[18]
마즈루이와 오만 아랍인은 인도양 무역의 상당 부분을 되찾아 포르투갈을 남쪽으로 후퇴하게 만들었다. 19세기 중반까지 많은 프라조가 쇠퇴했지만, 일부는 살아남았다. 19세기 동안 영국 남아프리카 회사와 프랑스(마다가스카르)를 비롯한 다른 유럽 열강들이 포르투갈 동아프리카 영토 주변 지역의 무역과 정치에 점점 더 개입하게 되었다.[28]
20세기 초, 포르투갈은 모잠비크의 행정을 모잠비크 회사, 잠베지 회사, 니아사 회사와 같은 대기업에 이관했는데, 이 회사들은 솔로몬 조엘과 같은 영국 재력가들이 주로 통제하고 자금을 조달했으며, 인접 식민지(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로디지아)에 철도를 건설했다. 19세기 말 모잠비크에서 노예 제도가 법적으로 폐지되었지만, 특허 회사들은 강제 노동 정책을 시행하여 인근 영국 식민지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광산과 농장에 값싼, 종종 강제적인 아프리카 노동력을 공급했다.[18] 가장 수익성이 좋은 특허 회사인 잠베지 회사는 여러 개의 소규모 프라제이루 소유지를 인수하고 자산을 보호하기 위해 군사 기지를 설립했다. 특허 회사들은 현재 짐바브웨와 모잠비크의 베이라 항구를 연결하는 철도를 포함하여 상품을 시장에 내놓기 위해 도로와 항구를 건설했다.[29][30]
통합주의 에스타두 노보 정권의 올리베이라 살라자르 하에서 포르투갈 제국 경제에 대한 포르투갈의 더 강력한 통제로 이행됨에 따라, 특허 회사들의 양허는 만료될 때 갱신되지 않았다. 이는 1942년 모잠비크 회사에서 발생했으며, 이 회사는 농업 및 상업 부문에서 법인으로 계속 운영되었고, 1929년 니아사 회사의 양허 종료와 함께 이미 발생했던 일이다. 1951년 아프리카에 있는 포르투갈 해외 식민지는 포르투갈의 해외 주(Overseas Provinces)로 재분류되었다.[29][30][31]
1960년 6월 16일 발생한 무에다 학살은 마콘데족 시위대의 사망으로 이어져 모잠비크의 포르투갈 통치로부터의 독립 투쟁을 촉발시켰다.
2. 3. 모잠비크 독립 전쟁 (1964년~1975년)
아프리카 전역에 공산주의와 반식민주의 이념이 확산되면서 모잠비크 독립을 지지하는 많은 비밀 정치 운동이 생겨났다. 이러한 운동들은 정책과 개발 계획이 주로 모잠비크의 포르투갈 인구의 이익을 위해 통치 당국에 의해 수립되었기 때문에 모잠비크의 부족 통합과 원주민 공동체의 발전에는 거의 관심이 없었다고 주장했다.[32] 공식 게릴라 성명에 따르면, 이는 국가가 후원하는 차별과 엄청난 사회적 압력을 모두 겪은 대다수의 원주민에게 영향을 미쳤다. 게릴라 운동에 대한 대응으로 1960년대부터, 특히 1970년대 초 포르투갈 정부는 새로운 사회경제적 발전과 평등주의 정책을 통해 점진적인 변화를 시작했다.[33]모잠비크 해방 전선(FRELIMO)은 1964년 9월 포르투갈 지배에 대한 게릴라 작전을 시작했다. 이 갈등은 이미 앙골라와 포르투갈 기니의 다른 포르투갈 식민지에서 시작된 다른 두 가지 갈등과 함께 소위 포르투갈 식민 전쟁(1961~1974)의 일부가 되었다. 군사적 관점에서 포르투갈 정규군은 인구 밀집 지역을 장악했고, 게릴라 부대는 북부와 서부의 농촌과 부족 지역에서 포르투갈군의 영향력을 약화시키려고 했다. FRELIMO에 대한 대응으로 포르투갈 정부는 사회 발전과 경제 성장에 유리한 조건을 조성하는 데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했다.[34]

모잠비크 해방전선(FRELIMO)에 대한 포르투갈의 선전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세계적으로 탈식민화의 흐름이 나타나면서 아프리카 여러 국가들의 유럽 열강으로부터의 독립이 요구되기 시작했고, 그 영향은 모잠비크에도 미쳤다. 포르투갈의 안토니우 살라자르 정권은 1951년에 모잠비크 등 아프리카 식민지를 “해외주”라고 개칭하여 식민지 지배에 대한 국제 사회의 비난을 피하려 했다. 모잠비크와 앙골라는 형식적으로 포르투갈 본국과 동등한 지위를 가진 것으로 간주되었고, 1959년 포르투갈의 개발 계획에 따라 모잠비크에는 3800만 파운드가 투자되었다. 또한 림포포 강 유역에 대한 포르투갈인 이주와 항만 수용 능력 확대를 위한 철도 건설이 추진되었다. 그러나 모잠비크 식민지의 만성적인 포르투갈에 대한 수입 초과를 메우기 위해 남아프리카 공화국 광산으로의 흑인 노동자 출퇴근에 의해 경제가 유지되었다.
그 후, 형식에 불과한 본국 포르투갈과의 동등한 지위와 사실상의 식민지 정책의 모순은 감출 수 없었고, 1964년 9월 에두아르두 몬들라네를 의장으로 한 모잠비크 해방전선(FRELIMO)이 탄자니아를 거점으로 무장 투쟁을 시작하여 모잠비크 독립 전쟁이 발발했다. 마르크스주의를 내걸고 소련과 중화인민공화국의 지원을 받았던 FRELIMO는 냉전 구조 속에서 서방 국가의 위협으로 여겨졌고, 그 때문에 포르투갈군도 강경책으로 FRELIMO에 대응했다. 1969년에 몬들라네가 암살되었지만, 사모라 마셸 등이 뒤를 이어 독립 전쟁을 계속했다. 약 10년 후 포르투갈 본국에서 발생한 카네이션 혁명을 계기로 1975년 6월 25일에 모잠비크는 모잠비크 인민 공화국으로 완전 독립을 쟁취했다.
2. 4. 모잠비크 인민공화국과 내전 (1975년~1992년)
모잠비크는 1964년부터 1974년까지 포르투갈을 상대로 독립전쟁을 벌였으며, 모잠비크 자유전선(FRELIMO)에 의해 공산주의 사상에 입각한 일당체제 정부가 수립되었다. 소련의 원조를 통해 계획경제를 받아들였으나, 아프리카의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계획경제의 부작용과 반공산주의를 주장하는 모잠비크 민족저항전선(RENAMO)과의 내전으로 정치적 불안이 가중되었다.1975년 사모라 마셸 대통령이 모잠비크를 독립시켰으나, 1986년 비행기 사고로 사망하였다. 이는 남아프리카 연방의 반공산주의 세력의 개입에 의한 암살로 여겨진다. 마셸 대통령의 뒤를 이은 조아킹 시사누 대통령은 기술 부족, 외화 부족, 소련 붕괴에 따른 수출 감소로 개혁 정책을 시도하여 모잠비크 민족저항전선과 대화를 시작하였고, 1990년 시장경제를 도입하고 다당제 민주주의를 출범시켰다.

사모라 마셸 대통령이 이끄는 새 정부는 마르크스주의 원칙에 기반한 일당제를 수립했다. 쿠바와 소련으로부터 외교적 및 군사적 지원을 받으면서 반대 세력을 탄압했다.[37] 독립 직후부터 1977년부터 1992년까지 반공주의 모잠비크 민족 저항군(RENAMO)(레나모)과 프렐리모(FRELIMO) 정권 간의 길고 격렬한 내전이 벌어졌다. 이 갈등은 인접국인 로디지아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방해 공작, 비효율적인 정책, 중앙 계획의 실패 및 그로 인한 경제 붕괴와 결합하여 모잠비크 독립 초기 수십 년을 특징지었다.
내전 대부분 기간 동안 프렐리모가 구성한 중앙 정부는 도시 지역을 제외한 지역에 대한 효과적인 통제력을 행사할 수 없었다.[18] 레나모가 장악한 지역은 여러 주의 시골 지역 최대 50%에 달했으며, 그 지역의 보건 서비스가 수년 동안 지원으로부터 고립되었다는 보고가 있다.[39] 이 전쟁은 양측 모두의 대규모 인권 침해로 특징지어졌으며, 레나모와 프렐리모 모두 테러와 민간인에 대한 무차별적인 공격을 통해 혼란을 야기했다.[40][41]
전쟁 중 레나모는 레나모가 장악한 북부 및 서부 지역을 독립적인 ''롬베시아 공화국''으로 분리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평화 협정을 제안했지만, 프렐리모는 전국의 불가분의 주권을 주장하며 거부했다. 내전 중 약 100만 명의 모잠비크인이 사망했고, 170만 명이 인접국으로 피난했으며, 수백만 명이 국내 실향민이 되었다.[42] 프렐리모 정권은 또한 남아프리카 공화국 (아프리카 민족회의)과 짐바브웨 (짐바브웨 아프리카 민족연합) 반군 운동에 피난처와 지원을 제공했고, 로디지아 정부와 이후 아파르트헤이트 남아프리카 공화국 정부는 내전에서 레나모를 지원했다.[18]
1986년 10월 19일, 마셸은 잠비아에서 열린 국제 회의에서 돌아오는 길에 비행기가 남아프리카 공화국 엠부지니 근처 레봄보 산맥에 추락하여 사망했다. 소련 대표들은 비행기가 남아프리카 공화국 정부의 군사 정보국 요원이 제공한 기술을 사용하여 잘못된 항행 신호등 신호에 의해 의도적으로 경로를 이탈했다는 이론을 제시했다.[44]
마셸의 후임인 조아킴 시사누는 마르크스주의에서 자본주의로의 변화와 같은 개혁을 시작하고 레나모와 평화 협상을 시작했다. 1990년에 제정된 새로운 헌법은 다당제 시장경제 및 자유 선거를 규정했다. 같은 해 모잠비크는 국가의 공식 명칭으로 인민 공화국을 폐지했다. 1992년 10월 로마 일반 평화 협정으로 내전이 종식되었는데, 이 협정은 유엔 평화유지군의 감독하에 모잠비크에 평화가 돌아왔다.[45][18]
1975년 독립 후, 모잠비크 자유전선(FRELIMO)은 일당제에 의한 사회주의 노선을 추진했다. 1976년 국제연합 제재 결의에 따라 백인 지배 국가 로디지아의 국경을 봉쇄했다. 이 조치는 로디지아 경제에 큰 타격을 주었지만, 모잠비크 역시 철도와 항만 수입에서 얻는 수익을 잃는다는 것을 의미하여 서로 손해를 보는 결과가 되었다.[151]
1977년 로디지아 정보기관에 의해 결성된 반정부 조직 모잠비크 민족 저항 운동(MNR, RENAMO)이 정부군과 충돌하면서 모잠비크 내전이 발발했다. RENAMO는 폭력과 공포를 앞세워 학교와 병원을 공격하는 작전을 수행했다.
1980년 로디지아가 붕괴하고 흑인 국가 짐바브웨가 독립하자,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모잠비크와 앙골라의 사회주의 정권에 대해 불안정화 공작을 벌였다. 1984년 모잠비크와 남아프리카 공화국 사이에 놈마티 협정이 체결되었으나, 실질적으로 파기되었고, 이후에도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의한 RENAMO 지원이 계속되었다.[153]
모잠비크 내전이 장기화되고 경제가 피폐해지는 가운데, 동유럽 혁명과 소련 붕괴로 동구권의 세력이 약화되었다. 1989년, 시사누 대통령이 이끄는 모잠비크 정부는 사회주의 체제의 포기를 결정했고, 1990년에 다당제와 자유시장경제를 규정한 새로운 헌법을 제정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정부도 흑인을 차별하는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을 1991년에 폐지 선언했다.[154] 1992년에 로마에서 평화 협정이 체결되고 내전은 종식되었다.
2. 5. 민주화 시대 (1993년~)
모잠비크는 1994년 선거를 치렀는데, 대부분의 정당은 자유롭고 공정한 선거로 받아들였지만 많은 국민과 관찰자들은 여전히 이의를 제기했다.[46][47] 조아킹 시사누가 이끄는 모잠비크 자유전선(FRELIMO)이 승리했고, 아폰소 들라카마가 이끄는 모잠비크 민족저항전선(RENAMO)은 공식 야당으로 출마했다.[46][47]1995년 모잠비크는 영국 연방에 가입하여 당시 영국 제국에 속한 적이 없는 유일한 회원국이 되었다.[48] 1995년 중반까지 이웃 국가들에 망명을 신청했던 170만 명이 넘는 난민들이 모잠비크로 귀환하여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에서 목격된 가장 큰 송환의 일부가 되었다.[18] 추가로 400만 명의 국내 실향민들이 집으로 돌아왔다.[18]
1999년 12월 모잠비크는 내전 이후 두 번째 선거를 치렀고, 다시 모잠비크 자유전선이 승리했다. 모잠비크 민족저항전선은 모잠비크 자유전선이 부정행위를 저질렀다고 비난하며 내전 재개를 위협했지만 대법원에 사건을 제기하고 패소한 후 물러섰다.[49][50]
2000년 초 사이클론으로 인해 광범위한 홍수가 발생하여 수백 명이 사망하고 이미 불안정했던 인프라가 파괴되었다.[51] 모잠비크 자유전선의 강력한 지도자들이 외국 원조 자원을 착복했다는 의혹이 널리 퍼졌다. 이러한 주장을 조사하던 언론인 카를로스 카르도소가 살해되었고,[52][53] 그의 죽음은 만족스럽게 설명되지 않았다.[54]
조아킹 시사누는 2001년 세 번째 임기에 출마하지 않겠다고 밝히면서,[55] 자신보다 더 오랫동안 집권한 지도자들을 비판했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잠비아 대통령 프레드릭 칠루바(Frederick Chiluba)와 짐바브웨 대통령 로버트 무가베(Robert Mugabe)를 언급한 것으로 여겨졌다.[56]
2004년 12월 1~2일 대통령 및 국회의원 선거가 실시되었다. 모잠비크 자유전선 후보 아르만도 게부자(Armando Guebuza)가[57] 득표율 64%로 승리했고, 아폰소 들라카마는 32%의 득표율을 얻었다. 모잠비크 자유전선은 의회에서 160석을 차지했고, 모잠비크 민족저항전선과 여러 소규모 정당의 연합이 나머지 90석을 차지했다. 아르만도 게부자는 2005년 2월 2일 모잠비크 대통령으로 취임[58]하여 두 번의 5년 임기를 수행했다. 그의 후임인 필리페 뉴시(Filipe Nyusi)는 2015년 1월 15일 모잠비크의 네 번째 대통령이 되었다.[59][60]
2013년부터 2019년까지 주로 모잠비크 중부와 북부 지역에서 저강도 레나모의 반란이 발생했다. 2014년 9월 5일 아르만도 게부자와 아폰소 들라카마는 적대 행위 중단 협정에 서명하여 군사적 적대 행위를 중단하고 양측이 2014년 10월에 열릴 총선에 집중할 수 있도록 했다. 그러나 총선 이후 새로운 정치 위기가 발생했다. 모잠비크 민족저항전선은 선거 결과의 유효성을 인정하지 않고 자신들이 다수를 차지했다고 주장하는 6개 주(남풀라, 니아사, 테테, 잠베지아, 소팔라, 마니카)의 통제를 요구했다.[61] 약 1만 2천 명의 난민이 말라위로 피신했다.[62] UNHCR, 국경없는 의사회 및 휴먼라이츠워치는 정부군이 마을을 불태우고 즉결처형과 성폭력을 자행했다고 보고했다.[63]
2019년 10월 필리페 뉴시 대통령은 총선에서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고 재선되었다. 모잠비크 자유전선은 184석을, 모잠비크 민족저항전선은 60석을, MDM당은 나머지 6석을 국회에서 차지했다. 야당은 부정행위와 불규칙성 주장으로 결과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모잠비크 자유전선은 의회에서 3분의 2의 다수 의석을 확보하여 야당의 동의 없이 헌법을 재조정할 수 있게 되었다.[64]
2017년부터 모잠비크는 이슬람 무장 단체의 지속적인 반란에 직면해 왔다.[65][66][67] 2020년 9월 ISIL 반군은 인도양의 바미지 섬(Vamizi Island)을 점령하고 잠시 점거했다.[68][69] 2021년 3월 이슬람 반군이 팔마시를 점령한 후 수십 명의 민간인이 사망하고 3만 5천 명이 이재민이 되었다.[70][71] 2021년 12월 니아사에서 지하디스트 공격이 강화된 후 거의 4천 명의 모잠비크인들이 마을을 떠났다.[72]
3. 정치
모잠비크 헌법은 대통령이 국가원수, 정부수반, 군 최고사령관, 그리고 국가 통합의 상징으로서 기능한다고 규정하고 있다.[76] 대통령은 결선 투표를 통한 직접 선거로 5년 임기를 수행한다. 1차 투표에서 어떤 후보도 투표수의 과반을 얻지 못하면, 1차 투표에서 가장 많은 표를 얻은 두 후보만 참여하는 2차 투표가 실시되며, 2차 투표에서 과반수의 표를 얻은 후보가 대통령으로 선출된다. 총리는 대통령이 임명한다. 총리의 직무는 각료회의(내각) 소집 및 의장직 수행, 대통령 자문, 국가 통치에 대한 대통령 지원, 그리고 다른 장관들의 직무 조정 등을 포함한다.
공화국 의회(''Assembleia da República'')는 비례 대표제에 의해 선출된 250명의 의원으로 구성되며, 5년 임기를 수행한다. 사법부는 대법원과 지방, 지구, 시 법원으로 구성된다.
모잠비크는 국내 방위의 모든 측면을 담당하는 소규모이지만 기능하는 군대인 모잠비크 국방군을 운영하고 있다.
3. 1. 정당
모잠비크의 주요 정당으로는 모잠비크 해방전선(FRELIMO), 모잠비크 민족저항운동(Renamo-UE), 모잠비크 민주운동(MDM)이 있다. FRELIMO는 사회민주주의 및 민주사회주의 성향을, Renamo-UE는 보수주의 성향을, MDM은 중도우파 성향을 띤다.1994년 10월, 제1차 대통령 및 국정 선거에서 시사노 대통령이 53%의 득표율로 재선되었다. 이 선거는 민주화의 방향을 가늠하는 중요한 선거였다. 주요 정당별 득표율은 다음과 같다.
정당 | 득표율 |
---|---|
모잠비크 해방전선 (FRELIMO) | 44.7% |
모잠비크 민족저항운동 (Renamo-UE) | 37.8% |
1998년 6월 지방 선거가 실시되었으나, 교육 수준 저하와 환경 미비 등으로 인해 33개 자치단체의 평균 투표율이 15%에 미치지 못할 정도로 매우 낮았다.
1999년 12월 3일부터 5일까지 치러진 제2차 대통령 및 국민의회 선거에서는 시사노 대통령이 재선되었다. 정당별 획득 의석 수는 다음과 같다.
정당 | 의석 수 |
---|---|
모잠비크 해방전선 (FRELIMO) | 133석 |
모잠비크 민족저항운동 (Renamo-UE) | 117석 |
2004년 12월 1일부터 2일까지 실시된 제3차 대통령 및 국민의회 선거에서는 아르만도 게부자 여당 공인 후보(FRELIMO 사무총장)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정당별 획득 의석 수는 다음과 같다.
정당 | 의석 수 |
---|---|
모잠비크 해방전선 (FRELIMO) | 160석 |
모잠비크 민족저항운동 (Renamo-UE) | 90석 |
2009년 10월에 실시된 제4차 대통령 및 국민의회 선거에서는 아르만도 게부자 여당 공인 후보(현직 대통령)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여당이 승리하였으며, 정당별 획득 의석 수는 다음과 같다.
정당 | 의석 수 |
---|---|
모잠비크 해방전선 (FRELIMO) | 191석 |
모잠비크 민족저항운동 (Renamo-UE) | 51석 |
모잠비크 민주운동 (MDM) | 8석 |
4. 행정 구역
모잠비크는 10개의 주(província, 프로빈시아)와 주와 동등한 1개의 시(cidade, 시다데)로 나뉜다.[162]
각 주는 129개의 구(distritos)로 세분된다. 구는 다시 405개의 행정구역(postos administrativos, secretários가 책임짐)으로 나뉘고, 그 아래에는 중앙 정부 행정의 최하위 지리적 단위인 지역(localidades)이 있다. 53개의 시(municípios)가 있다.
5. 대외 관계
모잠비크의 외교 정책은 해방 투쟁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충성심이 여전히 중요하지만, 점점 더 실용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모잠비크 외교 정책의 두 가지 기둥은 이웃 국가들과의 관계 유지[77]와 개발 파트너들과의 관계 유지 및 확대[18]이다.
1970년대와 1980년대 초, 모잠비크의 외교 정책은 로디지아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다수파 통치 투쟁, 그리고 초강대국 경쟁과 냉전에 큰 영향을 받았다.[78] 1980년 짐바브웨 정부의 변화로 이러한 위협은 사라졌지만, 남아프리카 공화국 정부는 계속해서 모잠비크를 불안정하게 만들었다.[18] 모잠비크는 전선 국가에도 속해 있었다.[79] 1984년 놈파티 협정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레나모(RENAMO) 지원 중단이라는 목표를 달성하지는 못했지만, 모잠비크와 남아프리카 공화국 간의 초기 외교 접촉을 가능하게 했다. 이 과정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아파르트헤이트 철폐와 함께 탄력을 받았고, 1993년 10월 완전한 외교 관계 수립으로 이어졌다. 짐바브웨, 말라위, 잠비아, 탄자니아 등 이웃 국가들과의 관계에 가끔 긴장이 나타나지만, 모잠비크와 이들 국가의 유대는 여전히 강하다.[18]
독립 직후 몇 년 동안 모잠비크는 스웨덴, 노르웨이, 덴마크, 아이슬란드 등 스칸디나비아 국가들을 중심으로 일부 서구 국가들로부터 상당한 지원을 받았다. 소련과 그 동맹국들은 모잠비크의 주요 경제, 군사 및 정치적 지원국이었고, 모잠비크의 외교 정책은 이러한 관계를 반영했다. 그러나 1983년부터 변화가 시작되어, 1984년 모잠비크는 세계은행과 국제통화기금에 가입했다. 스칸디나비아 국가들의 서방 지원이 소련의 지원을 빠르게 대체했다.[18] 핀란드[80]와 네덜란드는 점점 더 중요한 개발 지원의 원천이 되고 있다. 이탈리아는 평화 프로세스에서의 주요 역할로 인해 모잠비크에서 중요한 입지를 유지하고 있다. 전 식민지 지배국인 포르투갈과의 관계는 포르투갈 투자자들이 모잠비크 경제에서 눈에 띄는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계속 중요하다.[18]
모잠비크는 비동맹 운동의 회원국이며, 유엔 및 기타 국제기구에서 아프리카 국가들의 온건파에 속한다. 아프리카 연합과 남부 아프리카 개발 공동체에도 속해 있다. 1994년, 국제적 지지를 확대하고 상당한 규모의 무슬림 인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이슬람 회의 기구의 정회원이 되었다. 1995년에는 영어권 이웃 국가들과 함께 영연방에 가입했는데, 당시 모잠비크는 영국 제국의 일부였던 적이 없는 유일한 영연방 가입국이었다. 같은 해 포르투갈어 사용 국가 공동체의 창립 회원국이자 초대 의장이 되었으며, 다른 포르투갈어 사용 국가들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18]
5. 1. 대한민국과의 관계
대한민국과 모잠비크는 1993년에 수교하였으며, 양국은 남북한 동시수교국이다.[163]임진왜란 당시 명나라 장수들이 포르투갈 상인들에게서 사들인 노비들 중 일부는 모잠비크 출신이었다. 이들은 조선 선조에게 바쳐졌고, 선조는 이들을 수군에 하사하였다. 조선왕조실록에서는 이들을 해귀라고 불렀으며, 수군에서 잠수부 역할을 수행하였다.
6. 경제
모잠비크는 1994년부터 2006년까지 연평균 GDP 성장률이 약 8%였음에도 불구하고 세계에서 가장 빈곤하고 저개발된 국가 중 하나이다. 2014/15년 이후 가계 실질 소비는 상당히 감소했고, 소득 불평등이 급격히 증가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12] IMF는 모잠비크를 채무 탕감 대상 빈곤국으로 분류한다.
모잠비크의 공식 통화는 메티칼이다(2023년 10월 기준, 미화 1달러는 약 64 메티칼에 해당). 미국 달러, 남아프리카 공화국 랜드, 그리고 유로는 널리 사용되며, 사업 거래에도 흔히 사용된다. 최저 법정 임금은 월 약 60달러이다. 모잠비크는 남부 아프리카 개발 공동체(SADC) 회원국이며,[18] SADC의 자유 무역 협정은 관세와 기타 무역 장벽을 제거하여 남부 아프리카 지역의 경쟁력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1980년대에는 내정 실패, 내전, 가뭄으로 경제가 파탄 직전에 이르렀다. 내전 종식 후에도 1999년과 2000년에 연이어 발생한 대홍수 등의 자연재해로 경제가 타격을 입었지만, 1990년대 후반부터 경제가 급속히 발전하였다. 1,200개가 넘는 대부분 중소 규모의 국영기업이 민영화되었고, 통신, 에너지, 항만, 철도 등 나머지 준국영기업에 대해서는 민영화 및/또는 부문 자유화를 위한 준비가 이루어졌다. 정부는 준국영기업을 민영화할 때 자주 전략적 외국 투자자를 선정했다. 또한 관세가 인하되었고, 관세 관리가 간소화되고 개혁되었다. 정부는 국내 세수 증대 노력의 일환으로 1999년 부가가치세를 도입했다.
모잠비크 경제는 수많은 부패 스캔들로 인해 타격을 입었다. 2011년 7월 정부는 공금 횡령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횡령, 이권 개입, 그리고 부정부패를 범죄화하는 새로운 반부패 법안을 제안했고, 모잠비크 각료회의의 승인을 받았다. 모잠비크는 부정부패 혐의로 두 명의 전 장관을 유죄 판결했다.[90] 2005년 USAID 보고서에 따르면 "모잠비크의 부패 규모와 범위는 우려할 만하다"[91]. 2012년 인함바네(Inhambane) 주 정부는 주 마약 방지국 국장 칼리스토 알베르토 토모(Calisto Alberto Tomo)가 공금을 횡령한 사실을 밝혀냈다. 그는 마약 방지국 회계 담당자 레칼다 구암베(Recalda Guambe)와 공모하여 2008년부터 2010년까지 26만 메티칼 이상을 훔친 것으로 드러났다.[92] 모잠비크 정부는 부패 문제 해결을 위해 조치를 취했으며, 2012년 여러 반부패 법안이 통과되는 등 긍정적인 발전이 나타나고 있다.[93]
2010년 9월 1일, 수도 마푸토에서 빵 가격이 30% 인상된 것에 대한 항의를 계기로 폭동이 발생했다. 경찰이 발포하여 어린이 2명을 포함한 시민 7명이 사망했다. 2일, 정부는 시위대가 만든 바리케이드를 제거하기 위해 군대를 투입했다. 민영 방송국 STV는 10명이 사망하고 27명이 중경상을 입었으며 140명이 구금되었다고 보도했다.[168]
6. 1. 농업
내전 난민들의 재정착과 성공적인 경제 개혁으로 모잠비크는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게 되었다. 1996년부터 2006년까지 연평균 경제 성장률이 8%에 달하는 눈부신 회복세를 보였으며,[86] 2006년부터 2011년까지는 6~7%의 성장률을 유지했다.[87] 2013년 기준으로 인구의 약 80%가 농업에 종사했으며,[88] 그 대부분은 여전히 부족한 인프라, 상업 네트워크 및 투자에 시달리는 소규모 자급자족 농업에 종사했다.[18] 그러나 2012년 기준 모잠비크의 경작 가능한 토지의 90% 이상은 여전히 경작되지 않은 상태였다.광산 자원 개발이 활발해지기 전에는 1차 산품인 농산물 생산이 주를 이루었다. 일본으로의 수출은 새우(Shrimp)가 많았다.
2020년 7월, 일본의 정부개발원조(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사업의 일환으로 2011년부터 시작된 일본・브라질・모잠비크의 삼각 협력에 의해 진행되고 있는 농업 지원 사업 “프로사바나(ProSAVANA-JBM)”가 중단되는 사태가 되었다.[169] 이 사건은 현지 소규모 농가의 생활을 파괴하는 것이라는 비판이 사업 시작부터 잇따랐고, 사업에 종사하는 NPO법인(Non-profit organization) 관계자에 대한 비자(Visa) 발급이 거부되는 등의 문제를 일으켰기 때문에 관계국 사이에서 꾸준히 문제가 되어왔던 것이었다.[170][171]
6. 2. 광업
모잠비크는 석탄, 보석 등 다양한 광물 자원이 풍부하며, 자원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2012년부터는 대규모 천연가스전이 해상에서 발견되면서 주목받고 있다.[172]모잠비크 북동부의 지층은 남북 방향으로 기울어진 모잠비크대와 동서 방향으로 기울어진 잠베지대의 분기 합류 지점에 위치하며, 신원생대(약 8억 년 전~5억 년 전)의 조산대이기 때문에, 오랜 기간 복합적인 열과 변형 작용이 루비와 가닛 등의 광물 형성에 이상적인 온도와 압력을 제공했다고 여겨진다.[173] 이 외에도 철광석, 망간, 티탄(중사) 등이 있다.
;석탄
: 석탄 매장량은 약 7억 톤으로, 모잠비크의 주요 광산물 중 하나이다. 일본의 주도로 "석탄산업 발전 5개년 계획"이 추진되고 있으며, 2011년 테테 주에서의 탐사 활동 결과 약 200억 톤의 매장량이 보고되었다.[174]
;천연가스
: 모잠비크에서는 세계 최대 규모의 매장량을 자랑하는 가스전이 발견되었다. 2003년에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기업이 육상 가스전 생산을 시작했고,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가스 파이프라인으로 연결되는 등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부터의 투자가 최근 증가하고 있다. 2010년에서 2011년 사이에는 아나다르코 페트롤리엄(Anadarko Petroleum)과 에니(Eni)가 북부 카보델가도 주 해안 앞 루부마 분지(Rovuma Basin, 루부마 강)에서 4,2000억 입방미터(150조 입방피트)의 매장량을 가진 맘바 사우스 가스전(Mamba South gas field)을 발견했다. 개발이 완료되면 모잠비크는 세계 최대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LNG) 생산국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 2017년 1월, 정부는 루부마 가스 분지의 천연가스 개발 프로젝트를 위해 3개 회사를 선정했다. GL Africa Energy (UK)는 입찰 중 하나를 수주했으며, 250MW 가스 발전소 건설 및 운영을 계획했다.[94][95] 생산은 2018년에 시작될 예정이었다.[96] 현재 모잠비크는 2024년에 LNG 수출을 시작할 예정이며, 2019년, 모잠비크 LNG 프로젝트(The Mozambique LNG Project)로 불리는 루부마 분지 개발 사업은 투자자 컨소시엄으로부터 1900억달러를 유치하여 마침내 LNG를 시장에 출시했다. 프로젝트와 관련 운영의 대부분은 토탈에너지(TotalEnergies)에 수주되었다.[97] 또한, 모잠비크 북부 해상의 오프쇼어 천연가스 액화 설비 계획이 미쓰이물산 등에 의해 추진되고 있다. 플랜트 건설은 치요다화공건설과 미국 CB&I社, 이탈리아의 사이펜사 3사 연합이 맡는다. LNG 생산능력은 연간 1,200만 톤이며, 인프라를 포함한 사업 총액은 최소 1조 엔 규모로 추정된다.[175]
;보석
: 1980년대 후반부터 루비가 생산되기 시작했으며, 특히 2009년 이후로는 세계 루비 수요를 담당하게 되었다. 북동부 지역의 루비 채굴이 활발하며, 전기석의 일종인 파라이바 전기석도 생산된다. 브라질산과 나이지리아산 파라이바 전기석이 고갈되고 있는 상황에서, 양질의 보석급 파라이바 전기석은 모잠비크에서만 생산된다.[176]
6. 3. 관광
모잠비크는 자연 환경, 야생 동물, 역사적 유산을 바탕으로 해변, 문화, 생태 관광 등 다양한 관광 기회를 제공한다.[98] 이는 모잠비크 국내총생산(GDP) 성장에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99]특히, 깨끗한 물이 있는 북부 해변은 도시 중심에서 멀리 떨어진 키림바스 제도(Quirimbas Islands)와 바자루투 군도(archipelago of Bazaruto)를 중심으로 관광에 적합하다.[100] 인함바네 주(Inhambane Province)는 다양한 해양 생물과 고래상어, 쥐가오리를 볼 수 있어 국제 다이버들에게 인기가 높다.[101] 고롱고사 국립공원을 비롯한 여러 국립공원도 주요 관광 자원이다.[102]
7. 사회
모잠비크의 상하수도는 개선된 수원 접근성(2011년 기준 약 51%)과 위생 시설 접근성(2011년 기준 약 25%)이 낮고, 서비스 품질이 저조하다는 특징이 있다. 2007년 정부는 농촌 지역의 상하수도 전략을 수립했고, 도시 지역에서는 비공식 및 공식 공급업체가 물을 공급한다.[108] 1998년부터 모잠비크는 도시 상수도 부문을 개혁했지만, 2010년 외국 파트너가 큰 손실을 이유로 철수하면서 종료되었다.
1975년 독립 이후, 모잠비크 내전이 발발하여 1992년까지 지속되었다. 내전 이후 1994년 유엔 모잠비크 활동(ONUMOZ)의 지원 하에 다당제 선거가 실시되었고, 1995년에는 영국 연방에, 1996년에는 포르투갈어 사용국 공동체에 가입했다.
최근 자원 가격 하락과 대외 채무 문제로 경제 상황이 악화되면서 소득 불평등이 심화되고, 강도, 유괴, 성범죄 등 범죄가 빈발하여 치안 악화가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1992년 내전 종식 후에도 FRELIMO(프렐리모)와 RENAMO(레나모) 간의 정치적 긴장 관계가 지속되고 있다.
7. 1. 인구
모잠비크에는 여러 부족이 존재한다.[148]마쿠아족(Emakhuwa)·Lomwe (peuple d'Afrique)|롬웨족프랑스어(Elomwe)이 40%를 차지하고, 마콘데족, 샨가네족, 쇼나족, 스와질리족 등 반투계 흑인 여러 민족이 국민 전체의 99%를 구성한다.[178] 그 외 메스티소(흑인과 백인의 혼혈. 뮬라토)가 0.8%, 인도인(인도계 모잠비크인)이 0.08%, 포르투갈계 모잠비크인을 중심으로 한 백인이 0.06% 등 매우 적은 수의 비흑인계 소수 민족이 존재한다.[179] 2007년 시점에서는 1,500명에서 12,000명에 달하는 규모의 중국계 공동체가 존재한다고 추정되고 있다.[180][181]
2010년대 초부터 경제적 침체가 계속되는 구 종주국 포르투갈에서 경제적으로 급성장하고 있는 모잠비크로 전문직 종사자의 이주가 진행되고 있으며, 수도 마푸토에는 약 2만 명의 포르투갈인이 존재한다고 추정된다.[182]
잠베지아주와 남풀라주를 포함한 중북부 지방이 전체 인구의 약 45%를 차지하며 가장 인구 밀도가 높다. 추산 4백만 명의 마쿠아인은 모잠비크 북부 지역의 주요 집단이며, 세나인과 쇼나인(대부분 다우인과 마니카인)은 잠베지 계곡에서 두드러지고, 총가인과 샹가안족은 모잠비크 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거주한다. 다른 집단으로는 마콘데인, 야오인, 스와힐리인, 통가인, 초피인, 응구니인(이에는 줄루인 포함) 등이 있다. 반투인은 인구의 97.8%를 차지하며, 나머지는 포르투갈계 후손, 유럽-아프리카 혼혈인(''메스티소'') 및 인도인으로 구성되어 있다.[109] 모잠비크에는 약 4만 5천 명의 인도계 사람들이 거주하고 있다.[110]
포르투갈 식민 통치 기간 동안, 상당수의 포르투갈계 사람들이 모잠비크 전역에 거주했으며,[111] 독립 당시 포르투갈계 유산을 가진 모잠비크인은 약 36만 명이었다.[112] 이들 중 많은 수가 1975년 포르투갈로부터의 독립 이후 모잠비크를 떠났다.[113]
2011년 조사에 따르면, 총출산율은 여성 1명당 5.9명으로, 농촌 지역은 6.6명, 도시 지역은 4.5명이었다.[116]
2017년 인구조사에 따른[117] 모잠비크의 주요 도시는 다음과 같다.
도시 | 행정구역 | 인구 | 이미지 |
---|---|---|---|
마푸토 | 마푸토 | 1,080,277 | -- |
마톨라 | 마푸토 | 1,032,197 | -- |
낭풀라 | 낭풀라 | 663,212 | ![]() |
베이라 | 소팔라 | 592,090 | -- |
키모이오 | 마니카 | 363,336 | |
테테 | 테테 | 307,338 | |
켈리마네 | 잠베지아 | 246,915 | |
리칭가 | 니아사 | 242,204 | |
모쿠바 | 잠베지아 | 240,000 | |
나칼라 | 낭풀라 | 225,034 | |
구루에 | 잠베지아 | 210,000 | |
펨바 | 카보델가도 | 201,846 | |
샤이샤이 | 가자 | 132,884 | |
막시셰 | 인함바네 | 123,868 | |
안고셰 | 낭풀라 | 89,998 | |
인함바네 | 인함바네 | 82,119 | |
쿠암바 | 니아사 | 79,013 | |
몬테푸에스 | 카보델가도 | 76,139 | |
돈도 | 소팔라 | 70,817 | |
모삼비크 | 낭풀라 | 65,712 |
7. 2. 언어
포르투갈어는 모잠비크의 공식 언어이자 가장 널리 사용되는 언어로, 인구의 50.3%가 사용한다.[118] 마푸토 인구의 약 50%는 포르투갈어를 모어로 사용한다.[119]모잠비크 원주민 언어인 반투어군 언어들은 그 분류가 매우 다양하며, 어떤 경우에는 제대로 이해되거나 기록되지 않은 경우도 있다.[120] 스와힐리어는 모잠비크 북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지만, 탄자니아 국경 인근 해안의 작은 지역에서만 사용된다. 이 지역 남쪽, 모잠비크 섬 방향으로는 스와힐리어 방언으로 여겨지는 킴와니어가 사용된다. 스와힐리어 사용 지역 바로 내륙에는 마콘데어가 사용되며, 더 안쪽으로는 마쿠와어 사용 지역이 작은 띠 모양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그 안쪽에서 야오어 또는 치야오가 사용된다. 마콘데어와 야오어는 다른 그룹에 속하며, 야오어는 탄자니아 론도 고원 지역의 므웨라어와 매우 유사하다.[121][122] 냐냐자어는 말라위 호수 연안과 호수 건너편에서 사용된다.[123][124]
이들과 다소 다른 것은 에마쿠와어 그룹의 언어들로, 초기 k-가 소실되어 많은 명사가 모음으로 시작한다. 예를 들어, ''epula''는 "비"를 의미한다.[120] 에마쿠와어와 관련된 에롬웨어 및 에추와보어가 있으며, 해안에는 작은 에코티어 사용 지역이 있다. 잠베지 강 하류 지역에는 냐냐자어와 같은 그룹에 속하는 세나어가 사용되며, 더 상류 지역에서는 관련된 치뉴웅웨어와 치센가어가 사용된다.
짐바브웨 국경과 바다 사이에는 광대한 쇼나어 사용 지역이 펼쳐져 있다. 이전에는 ンダウ(Ndau) 방언으로 알려졌지만,[125] 현재는 짐바브웨 표준 쇼나어의 철자법을 사용한다. 쇼나어와 비슷하지만 쇼나어의 음조 패턴이 없고 화자들에 의해 별개의 언어로 간주되는 치발케어(또는 루에어, 바르웨어)는 짐바브웨 국경 근처의 작은 지역에서 사용된다. 이 지역 남쪽에는 총가어 그룹의 언어들이 있다. 츠와어는 해안과 내륙에서 사용되며, 총가어는 림포포 강 주변 지역을 포함하여 시흘랑가누어, 시엔왈룬구어, 시빌라어, 시흘렝웨어, 시드종가어와 같은 지역 방언을 포함한다. 이 언어 사용 지역은 인접한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확장된다. 이들과 관련 있지만 별개인 기통가어, 비통가어, 그리고 림포포 강 어귀 북쪽에서 사용되는 치코피어 (초피어)와 마푸토 주변 지역에서 사용되는 시롱가어 (롱가어)가 있다. 짧은 어휘집을 통해 판단했을 때,[120] 이 그룹의 언어들은 줄루어와 매우 희미하게 유사하지만, 명백히 같은 직접적인 그룹에는 속하지 않는다. 스와질란드와 크와줄루나탈 주 국경 바로 옆에는 소규모 스와지어와 줄루어 사용 지역이 있다.
아랍인, 중국인, 인도인은 주로 포르투갈어와 일부 힌디어를 사용한다. 포르투갈령 인도 출신 인도인들은 포르투갈어 외에 출신지의 포르투갈 크리올어를 제2언어로 사용한다.
모잠비크의 공용어는 포르투갈어이다. 그 외에도 반투어(마쿠아어, 세나어, 총가어, 뉴응웨어, 체와어, 쇼나어, 롬웨어, 마콘데어, 츠와어, 롱가어, 초피어, 야오어, 코티어, 므와니어 등)가 사용되며, 북부 지역에서는 스와힐리어도 사용된다.
모잠비크의 언어 상황은 복잡하다. 1997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공용어인 포르투갈어를 제1언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은 국민의 8.8%이며,[179] 제2언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의 27%[179]를 합쳐도 35% 정도에 불과하다. 반투어 중에서도 가장 많은 화자 수를 보유한 마쿠아어조차도 26.1% 정도에 그치며,[179] 여러 언어가 혼재하는 상태이다.
7. 3. 종교
2007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모잠비크 인구의 59.2%가 기독교인, 18.9%가 무슬림, 7.3%가 다른 신앙(주로 토착신앙)을 가지고 있으며, 13.9%는 종교적 신념이 없다고 나타났다.[109][126] 2017년 추정에 따르면, 기독교 내에서는 가톨릭교회가 27.2%, 오순절교회가 15.3%, 시온교회(Zionist Churches)가 15.6%를 차지한다. 이슬람교는 18.9%, 무종교는 13.9%이다.[178] 2015년에 실시된 인구 및 건강 조사 프로그램의 최근 정부 조사에서는 가톨릭 신자가 인구의 30.5%로 증가했고, 무슬림은 19.3%, 다양한 개신교 그룹은 총 44%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27]
가톨릭교회는 베이라, 키모이오, 구루에, 인함바느, 리칭가, 마푸토, 나칼라, 납풀라, 펨바, 켈리마느, 테테[129], 샤이샤이에 12개의 교구를 설립했다. 주요 개신교 교파로는 모잠비크 연합침례교회(Igreja União Baptista de Moçambique), 하나님의 성회,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남아프리카 성공회, Igreja do Evangelho Completo de Deus, 연합감리교회, 모잠비크 장로교회, 그리스도의 교회, 하나님의 복음 집회가 있다.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는 1999년에 처음으로 모잠비크에 선교사를 파송하기 시작했으며, 2015년 4월 기준으로 7,943명이 넘는 회원을 보유하고 있다.[131]
무슬림들은 특히 북부 지역에 많이 거주하고 있으며, 여러 "타리카" 또는 수도회로 조직되어 있다. "''Conselho Islâmico de Moçambique''"과 "''Congresso Islâmico de Moçambique''"이라는 두 개의 전국 조직도 있다. 또한 중요한 파키스탄, 인도 협회와 일부 시아파 공동체도 있다. 마푸토에는 매우 작지만 번영하는 유대교 공동체가 있다.[132]
7. 4. 보건
모잠비크의 기아 문제는 매우 심각하다. 아일랜드의 NGO인 컨선월드와이드, 독일의 NGO인 세계기아원조(Welthungerhilfe), 미국의 연구기관인 국제식량정책연구소(IFPRI)가 협력하여 매년 발표하는 세계 기아 지수(GHI)에 따르면, 2016년 모잠비크의 기아 지수는 100점 만점 중 31.7점으로, 조사 대상 118개 개발도상국 중 104위에 해당한다.[192]
출산율은 여성 1인당 약 4.89명이다.[178] 2004년 공공 보건 지출은 GDP의 2.7%, 민간 보건 지출은 1.3%였다.[185] 같은 해 1인당 보건 지출은 42USD였다.[185] 2017년 인구 10만 명당 의사 수는 8명이었다. 2021년 추정 영아 사망률은 신생아 1,000명당 63.03명이었다.[178] 2010년 모잠비크의 모성 사망률(출생 10만 명당)은 550명으로, 2008년(598.8명), 1990년(385명)에 비해 여전히 높다. 5세 미만 아동 사망률(출생 1,000명당)은 147명이며, 신생아 사망률은 5세 미만 아동 사망률의 29%를 차지한다. 모잠비크의 출생 1,000명당 조산사 수는 3명이며, 임산부의 평생 사망 위험은 37명 중 1명이다.[134]
2011년 공식 HIV 유병률은 15~49세 인구의 11.5%였다. 모잠비크 남부 지역(마푸토와 가자 주, 마푸토 시)의 HIV 유병률은 전국 평균의 두 배 이상이다. 2011년 보건 당국은 약 170만 명의 모잠비크인이 HIV 양성 반응을 보였으며, 그중 60만 명이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가 필요하다고 추산했다.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를 받은 사람은 2011년 12월 24만 명에서 2014년 3월 41만 6천 명으로 증가했다. 15세에서 49세 사이의 HIV 감염률은 10%를 넘는다.[185] 2019년 HIV 감염자는 약 220만 명으로 감염률은 12.1%에 달한다.[178]
2017년에는 말라리아와 콜레라 유행이 심각했다. 2017년 1월부터 3월 사이에 말라리아 감염자는 148만 명, 사망자는 288명이었다. 콜레라는 3년 연속 유행하여 1,222명이 감염되었고, 그중 2명이 사망했다.[186]
7. 5. 교육
모잠비크의 모든 학교에서는 포르투갈어가 주요 교육 언어이다. 모잠비크 국민은 법적으로 초등 교육을 이수해야 하지만, 생계를 위해 가족 농장에서 일해야 하는 많은 어린이들이 초등학교에 다니지 못하고 있다. 2007년에는 100만 명의 어린이들이 여전히 학교에 다니지 못했는데, 대부분 가난한 농촌 가정 출신이었으며, 교사의 절반 가까이는 자격이 없었다. 여아의 취학률은 2002년 300만 명에서 2006년 410만 명으로 증가했고, 졸업률도 31,000명에서 90,000명으로 증가했지만, 여전히 매우 낮은 졸업률을 보여주었다.[135]
7학년 이후에는 중학교(8학년~10학년)에 진학하기 위해 표준화된 전국 시험을 치러야 한다.[136] 에두아르두 몬들라네 대학교의 수용 인원은 매우 제한적이므로, 대학교 예비 과정을 마친 대부분의 학생들은 바로 대학에 진학하지 못한다. 많은 학생들이 교사로 일하거나 실업 상태에 있다. 또한 농업, 기술 또는 교육학 분야를 전문으로 하는 직업 훈련을 제공하는 기관도 있는데, 학생들은 10학년 이후 대학교 예비 과정 대신 이러한 기관에 다닐 수 있다.
1975년 포르투갈로부터 독립한 이후, 학교 건설과 교사 양성은 인구 증가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특히 모잠비크 내전(1977-1992년) 이후, 취학률은 꾸준한 청년 인구 증가로 인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교육의 질은 그 영향을 받고 있다. 2010년 추산에 따르면 읽기 쓰기 능력은 56.1%(남성 70.8%, 여성 42.8%)였으며,[137] 2015년에는 58.8%(남성 73.3%, 여성 45.4%)로 증가했다.[138] 2017년 추계에 따르면, 15세 이상 국민의 문해율은 60.7%(남성: 72.6%, 여성: 50.3%)이다.[178]
8. 문화
모잠비크는 포르투갈의 지배를 받았으며, 포르투갈어와 로마 가톨릭교를 주요 언어와 종교로 공유하고 있다. 그러나 모잠비크 인구의 대부분이 반투족이기 때문에 문화의 대부분은 토착 문화이다. 도시 지역에 사는 반투족에게는 포르투갈의 영향이 어느 정도 있다. 모잠비크 문화는 포르투갈 문화에도 영향을 미친다.
마콘데족은 전통 무용에 흔히 사용되는 목각과 정교한 가면으로 유명하다. 목각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 하나는 주로 무거운 에보니(ebony)로 조각되고 키가 크며 우아하게 곡선을 이루고 기호와 비대상적인 얼굴을 가진 악령(shetani)이고, 다른 하나는 사람들의 사실적인 얼굴과 다양한 인물을 묘사하는 토템 형태의 조각인 우자마(ujamaa)이다. 이 조각들은 여러 세대의 이야기를 전하기 때문에 보통 "가계도"라고 불린다.
식민지 시대 말년에는 모잠비크 예술이 식민 지배의 억압을 반영하며 저항의 상징이 되었다. 1975년 독립 이후 현대 미술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가장 잘 알려지고 영향력 있는 모잠비크 현대 예술가 두 명은 화가 말랑가타나 응웨냐(Malangatana Ngwenya)와 조각가 알베르토 치사누(Alberto Chissano)이다. 1980년대와 1990년대의 독립 후 예술 작품들은 정치 투쟁, 내전, 고통, 기아, 그리고 투쟁을 반영한다.
모잠비크 전역에서는 춤이 일반적으로 복잡하고 발전된 전통이다. 부족마다 다양한 종류의 춤이 있으며, 대부분 의례적인 성격을 띤다. 예를 들어, 초피족(Chopi)은 동물 가죽을 입고 전투를 재현한다. 마쿠아족(Makua) 남성들은 화려한 의상과 가면을 쓰고 마을 주변에서 몇 시간 동안 스틸트를 타고 춤을 춘다. 북부 지역의 여성들은 이슬람 명절을 기념하기 위해 투포(Tufo)라는 전통 춤을 공연한다.[139]
모잠비크의 음악은 종교적 표현에서부터 전통 의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악기는 대개 수제로 만들어진다. 모잠비크 음악 표현에 사용되는 악기 중 일부에는 나무와 동물 가죽으로 만든 북, 동물 뿔이나 나무로 만든 목관악기인 ''루펨베'', 그리고 모잠비크와 아프리카 다른 지역이 원산지인 일종의 실로폰인 마림바가 있다. 마림바는 남중부 해안의 초피족에게 인기 있는 악기이며, 이들은 음악적 기량과 춤으로 유명하다.
모잠비크 매체는 정부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140] 신문 가격이 높고 읽기 능력이 낮기 때문에 신문의 발행 부수는 비교적 낮다.[140] 가장 많이 발행되는 신문으로는 ''Noticias''와 ''Diário de Moçambique''와 같은 정부가 통제하는 일간지와 주간지 ''Domingo''가 있다.[141] 이들의 발행 부수는 대부분 마푸투에 집중되어 있다.[142] 정부 친화적인 신문에 대부분의 자금과 광고 수익이 집중된다.[140]
접근 용이성 때문에 라디오 프로그램은 모잠비크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매체 형태이다.[140] 국영 방송국은 사영 매체보다 더 인기가 있다. 이는 모잠비크에서 가장 인기 있는 방송국인 정부 방송국 Rádio Moçambique(라디오 모잠비크)에서 잘 나타난다.[140] 이 방송국은 모잠비크 독립 직후 설립되었다.[143] 모잠비크 시민들이 시청하는 텔레비전 방송국은 STV, TIM, 그리고 TVM(텔레비자웅 드 모잠비크)이다. 케이블 및 위성을 통해 시청자들은 수십 개의 다른 아프리카, 아시아, 브라질 및 유럽 채널에 접근할 수 있다.
약 500년 동안 모잠비크에 머물렀던 포르투갈인들은 모잠비크 요리에 큰 영향을 미쳤다. 카사바(브라질 원산의 녹말이 많은 뿌리채소)와 캐슈너트(브라질 원산이지만 한때 모잠비크가 최대 생산국이었던 견과류)와 같은 주식 및 작물과 ''pãozinho''(pɐ̃wˈzĩɲu|팡징유pt, 포르투갈식 빵)는 포르투갈인들에 의해 도입되었다. 월계수잎, 고추, 신선한 고수, 마늘, 양파, 파프리카, 빨간 피망, 와인과 같은 향신료와 양념의 사용도 포르투갈인들에 의해 도입되었으며, 옥수수, 감자, 쌀, 그리고 사탕수수도 마찬가지이다. 인기 있는 ''에스페타다'', ''inteiro com piripiri''(페리페리 소스를 곁들인 통닭), ''prego''(스테이크 롤), ''pudim''(푸딩), ''rissóis''(튀긴 새우)는 모두 현재 모잠비크에서 흔히 먹는 포르투갈 요리이다.
이슬람 연안 상인과 유럽 식민자의 영향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모잠비크 사람들은 소규모 농업에 기반한 토착 문화를 유지하고 있다. 모잠비크에서 가장 잘 알려진 미술 및 예술로는, 특히 모잠비크 북부의 마콘데족(Maconde)의 목조품과 춤이 유명하다. 중산층과 상류층은 포르투갈 식민지 시대의 유산과 언어적 영향을 여전히 강하게 받고 있다.
글자로 된 모잠비크의 인쇄 문학은 식민지 시대인 20세기 전반에 Rui de Noronha|루이 드 노로냐de의 포르투갈어 시로 시작되었다.[187] 이는 앙골라나 카보베르데와 같은 대서양 연안의 포르투갈 식민지보다 약 반세기 늦은 것이었다.[187] 이후, 식민주의를 비판하는 시를 남긴 여성 시인 노에미아 드 소우자(Noémia de Sousa)와 1991년 카몽이스 상을 수상하고 포르투갈어권에서 위대한 시인 중 한 명으로 여겨지는[187] 조제 크라베이리냐(José Craveirinha)에 의해 모잠비크의 포르투갈어 시는 발전을 거듭했다. 독립 후에는 마르크스주의적인 선전 시가 눈에 띄게 되었다. 독립 후 주목받는 시인으로는 Luís Carlos Patraquim|루이스 카를루스 파트라킴영어을 들 수 있다.
모잠비크 소설의 역사는 João Dias|조앙 디아스de가 포르투갈어로 쓴 『고디도』(1952년 발표)로 시작되었다.[187] 그 후 대표적인 작가로는 『우리는 피부병에 걸린 개를 죽였다』(1964)로 국내외에서 호평을 받은[187] 루이스 베르나르두 온와나(Luís Bernardo Honwana)와 1980년대부터 활동하며 『몽유의 대지』(1992년) 등에서 신어 창조에 힘쓴 미아 코우투(Mia Couto), 『우아랄라피』(1987)로 데뷔한 웅그라니 바 카 코사(Ungulani Ba Ka Khosa) 등을 들 수 있다.
모잠비크는 마라벤타의 발상지이다.
모잠비크에는 유네스코의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된 문화유산이 1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Censo 2017 Brochura dos Resultados Definitivos do IV RGPH - Nacional
https://web.archive.[...]
2019-12-14
[2]
SSRN
Between Constitutional Diffusion and Local Politics: Semi-Presidentialism in Portuguese-Speaking Countries
[3]
논문
Semi-Presidential Systems: Dual Executive and Mixed Authority Patterns
http://dss.ucsd.edu/[...]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2016-08-20
[4]
논문
Semi-Presidential Systems: Dual Executive And Mixed Authority Patterns
2005-12-00
[5]
웹사이트
Mozambique Population (2024) - Worldometer
https://www.worldome[...]
2024-09-30
[6]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October 2023 Edition. (Mozambique)
https://www.imf.org/[...]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23-10-16
[7]
웹사이트
Gini Index
https://data.worldba[...]
World Bank
2022-09-30
[8]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Report 2023/2024
https://hdr.undp.org[...]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24-03-13
[9]
웹사이트
National Profiles
https://www.thearda.[...]
2023-03-01
[10]
서적
A Short History of Mozambique
Oxford University Press
[11]
웹사이트
African Development Bank and Portugal sign EUR 400 million guarantee agreement to underpin Lusophone Compact, © 2022 African Development Bank, Amba Mpoke-Bigg, Retrieved 06.09.2022
https://www.afdb.org[...]
2022-09-06
[12]
서적
The evolution of inequality in Mozambique
http://www.wider.unu[...]
United Nations University World Institute for Development Economics Research
2022
[13]
웹사이트
Investing in rural people in Mozambique
http://www.ifad.org/[...]
[14]
웹사이트
Glottolog 4.7 – Languages of Mozambique
https://glottolog.or[...]
2023-01-10
[15]
웹사이트
History
https://web.archive.[...]
[16]
논문
The Early History of the Sultanate of Angoche
https://www.jstor.o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4-07-14
[17]
논문
The archaeological evidence for the appearance of pastoralism and farming in southern Africa
[18]
웹사이트
Mozambique (07/02)
https://2009-2017.st[...]
U.S. Department of State
2018-07-01
[19]
웹사이트
Metallurgy in Tanzania
https://www.research[...]
2022-07-01
[20]
논문
Trade and Society on the Southeast African Coast in the Later First Millennium AD: the Case of Chibuene
[21]
논문
Hunt for Oil in Offshore Angoche, Mozambique
http://dx.doi.org/10[...]
European Association of Geoscientists & Engineers
2021-00-00
[22]
서적
Mozambique Island: The Rise and Decline of an East African Coastal City
[23]
서적
Portuguese decolonization in the Indian Ocean world: History and ethnography
Bloomsbury Academic
2019
[24]
서적
Arming Slaves: From Classical Times to the Modern Age
Yale University Press
2006
[25]
웹사이트
Encyclopedia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1-06-07
[26]
논문
Mozambique Island: The Rise and Decline of an East African Coastal City, 1500–1700
http://www.jstor.org[...]
2021-06-07
[27]
논문
Chikunda transfrontiersmen and transnational migrations in pre-colonial South Central Africa, ca 1850–1900
https://hdl.handle.n[...]
2021-06-07
[28]
논문
African Economic Development and Colonial Legacies
http://journals.open[...]
2021-01-28
[29]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fric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0]
서적
The Third Portuguese Empire, 1825–1975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ND
[31]
웹사이트
Agência Geral do Ultramar
http://arquivo.pt/wa[...]
[32]
웹사이트
Independence redux in postsocialist Mozambique
https://web.archive.[...]
2007-09-26
[33]
웹사이트
piri piri {{!}} BOOK OF DAYS TALES
https://www.bookofda[...]
2021-01-28
[34]
Youtube
CD do Diário de Notícias – Parte 08
https://www.youtube.[...]
2010-05-02
[35]
간행물
Keesing's Contemporary Archives
[36]
웹사이트
Carnation revolution
http://mondediplo.co[...]
2004-04-00
[37]
서적
Mozambique: a tortuous road to democracy
Macmillan
2001
[38]
뉴스
Dismantling the Portuguese Empire
http://www.time.com/[...]
1975-07-07
[39]
논문
International NGOs and primary health care in Mozambique: The need for a new model of collaboration
2003
[40]
웹사이트
Table 14.1C Centi-Kilo Murdering States: Estimates, Sources and Calculations
http://www.hawaii.ed[...]
[41]
서적
1988
[42]
뉴스
A Mozambique Formally at Peace Is Bled by Hunger and Brutality
https://www.nytimes.[...]
1992-10-13
[43]
웹사이트
Mozambique
https://communistcri[...]
2020-10-29
[44]
웹사이트
Special Investigation into the death of President Samora Machel
http://www.news24.co[...]
2006-06-18
[45]
웹사이트
UNITED NATIONS OPERATION IN MOZAMBIQUE
https://web.archive.[...]
[46]
뉴스
Mozambican Elections Thrown in Doubt
https://www.nytimes.[...]
2020-11-12
[47]
웹사이트
Frelimo History & Facts
https://www.britanni[...]
2020-11-12
[48]
웹사이트
Commonwealth History, Members, & Facts
https://www.britanni[...]
2020-11-12
[49]
웹사이트
Mozambique: 1999 Election review
https://www.eisa.org[...]
2020-11-12
[50]
뉴스
Frelimo's election win to be challenged
https://www.irishtim[...]
2020-11-12
[51]
뉴스
Mozambique: How disaster unfolded
http://news.bbc.co.u[...]
2020-11-12
[52]
웹사이트
Carlos Cardoso
http://www.theguardi[...]
2020-11-12
[53]
웹사이트
Mozambique News Agency – AIM Reports
http://www.poptel.or[...]
2020-11-12
[54]
웹사이트
Attacks on the Press 2001: Mozambique
https://cpj.org/2002[...]
2020-11-12
[55]
뉴스
No third term for Mozambique president
http://news.bbc.co.u[...]
2020-11-12
[56]
웹사이트
afrol News: Mozambican President not going for third term
http://afrol.com/New[...]
2020-11-12
[57]
뉴스
World Briefing Africa: Mozambique: Election Winner Declared
https://www.nytimes.[...]
2020-11-12
[58]
웹사이트
New President Pledges Unrelenting Fight Against Poverty
https://www.thenewhu[...]
2023-12-22
[59]
뉴스
Mozambique profile – Timeline
https://www.bbc.com/[...]
2020-11-12
[60]
뉴스
Mozambique swears in new president, opposition stays away
https://www.reuters.[...]
2020-11-12
[61]
논문
Provincial Autonomy: The Territorial Dimension of Peace in Mozambique
https://www.academia[...]
2016-08-23
[62]
뉴스
Mozambican refugees stuck between somewhere and nowhere
http://www.aljazeera[...]
Al Jazeera
2016-07-23
[63]
뉴스
Mozambique's Invisible Civil War
https://foreignpolic[...]
foreign policy
2016-05-06
[64]
뉴스
Mozambique: President Filipe Nyusi re-elected in landslide victory
https://www.dw.com/e[...]
2021-06-02
[65]
뉴스
Jihadists behead Mozambique villagers
https://www.bbc.com/[...]
2019-11-11
[66]
뉴스
Religious unrest in Mozambique – in pictures
http://www.theguardi[...]
2019-11-11
[67]
뉴스
Mozambique country profile
https://www.bbc.com/[...]
2019-11-11
[68]
뉴스
ISIS take over luxury islands popular among A-list celebrities
https://www.news.com[...]
2020-09-19
[69]
웹사이트
Mozambique: Police Claim Control Of Empty Mocimboa, From A Distance
https://allafrica.co[...]
2021-06-02
[70]
뉴스
Rebels leave beheaded bodies in streets of Mozambique town
https://apnews.com/a[...]
2021-03-30
[71]
뉴스
Mozambique: Dozens dead after militant assault on Palma
https://www.bbc.com/[...]
2021-03-29
[72]
뉴스
Thousands flee Niassa as jihadist attacks spread to other parts of Mozambique
https://www.news24.c[...]
[73]
뉴스
Amid a Cyclone's Floods and Destruction, Mozambique Finds Shards of Hope
https://www.nytimes.[...]
2019-04-20
[74]
웹사이트
Subregional Southern Africa – Climate hazards: Urgent call for assistance - Madagascar
https://reliefweb.in[...]
2023-05-17
[75]
논문
Anthropogenic modification of forests means only 40% of remaining forests have high ecosystem integrity – Supplementary Material
[76]
웹사이트
Article 119
https://cdn.accf-fra[...]
[77]
간행물
Subsystemic Unipolarities?
https://www.academia[...]
[78]
웹사이트
Mozambique
https://2009-2017.st[...]
2012-06-13
[79]
웹사이트
Frontline States
https://www.sahistor[...]
2011-03-30
[80]
웹사이트
President Halonen: Development aid should be transparent and efficient
https://web.archive.[...]
[81]
뉴스
Mozambique decriminalises gay and lesbian relationships
https://www.bbc.com/[...]
BBC News
2015-07-01
[82]
뉴스
Mozambique's enduring discrimination leaves gay men untreated for HIV
https://www.theguard[...]
2016-03-29
[83]
간행물
Is Poverty Decreasing in Mozambique?
http://www.iese.ac.m[...]
2007-09-19
[84]
웹사이트
Global Innovation Index 2024. Unlocking the Promise of Social Entrepreneurship
https://www.wipo.int[...]
[85]
서적
Do Bicycles Equal Development in Mozambique?
Boydell & Brewer
[86]
웹사이트
Mozambique
http://www.iceida.is[...]
Iceida.is
1999-06-01
[87]
웹사이트
World DataBank World Development Indicators Mozambique
https://web.archive.[...]
2013
[88]
웹사이트
Mozambique
http://www.acdi-cida[...]
2013-01-29
[89]
뉴스
Portugal's unemployed heading to Mozambique 'paradise'
https://www.bbc.co.u[...]
2013-04-05
[90]
뉴스
Mozambique proposes new anti-corruption laws
https://www.google.c[...]
2011-07-27
[91]
웹사이트
CORRUPTION ASSESSMENT: MOZAMBIQU
http://maputo.usemba[...]
USAID
2005-12-16
[92]
뉴스
Mozambique: Corruption Alleged in Anti-Drugs Office
http://allafrica.com[...]
2012-03-27
[93]
웹사이트
Mozambique Corruption Profile
http://www.business-[...]
[94]
웹사이트
Great Lakes Africa Energy Our Projects
https://www.glaenerg[...]
[95]
뉴스
GLA Energy to construct 250MW gas powered plant in Mozambique
https://construction[...]
2017-02-02
[96]
뉴스
Will Mozambique end up like Nigeria or Norway?
https://www.bbc.co.u[...]
2013-04-04
[97]
웹사이트
About the project
https://mzlng.totale[...]
2023
[98]
웹사이트
Mozambique Advertising
https://theempire.co[...]
[99]
웹사이트
Mozambique – Economy
https://www.britanni[...]
[100]
웹사이트
Mozambique — African Destinations
https://www.greatadv[...]
[101]
논문
Diving tourism in Mozambique: an opportunity at risk?
[102]
웹사이트
mozambique capital and currency
https://seedtracker.[...]
[103]
웹사이트
The World Factbook – Central Intelligence Agency
https://www.cia.gov/[...]
[104]
뉴스
Mozambique: Australian Company Plans New Coal Mine in Tete By 2010
http://allafrica.com[...]
Allafrica.com
[105]
웹사이트
Railway Gazette: Pointers September 2010
http://www.railwayga[...]
[106]
간행물
Railway Gazette International
2008-08
[107]
웹사이트
Golden Rock workshop exports locos to Mozambique
https://web.archive.[...]
2014-12-24
[108]
웹사이트
PUBLIC-PRIVATE-PARTNERSHIP LEGAL RESOURCE CENTER
https://ppp.worldban[...]
2023-01-26
[109]
웹사이트
Mozambique
2007-05-22
[110]
서적
Report of the High Level Committee on the Indian Diaspora
https://web.archive.[...]
Ministry of External Affairs
[111]
웹사이트
Mozambique (01/09)
https://2009-2017.st[...]
U.S. Department of State
2019-06-04
[112]
뉴스
Flight from Angola
http://www.economist[...]
1975-08-16
[113]
뉴스
Portuguese Flee Mozambique and Tell of Persecution
https://www.nytimes.[...]
1976-03-02
[114]
논문
莫桑比克华侨的历史与现状 (The History and Status Quo of Overseas Chinese in Mozambique)
https://web.archive.[...]
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s
[115]
뉴스
China, Mozambique: old friends, new business
https://web.archive.[...]
2007-08-13
[116]
간행물
Moçambique Inquérito Demográfico e de Saúde 2011
http://www.measuredh[...]
Instituto Nacional de Estatística, Ministério da Saúde Maputo, Moçambique
2013-03
[117]
웹사이트
Mozambique
http://citypopulatio[...]
[118]
웹사이트
Quadro 24. População de 5 anos e mais por condição de conhecimento da língua portuguesa e sexo, segundo área de residência e idade
http://197.249.4.187[...]
Instituto Nacional de Estatística
2007
[119]
웹사이트
Language and spatiality in urban Mozambique: Ex-colonial language spread "from below"
https://www.research[...]
2020-02
[120]
간행물
Relatório do I Seminário sobre a Padronização da Ortografia de Línguas Moçambicanas
NELIMO, Universidade Eduardo Mondlane
1989
[121]
서적
Malangano ga Sambano (Yao New Testament)
British and Foreign Bible Society
1952
[122]
서적
A Grammar of Mwera
Witwatersrand University Press
[123]
서적
Nyanja – English Vocabulary
https://archive.org/[...]
Society for Promoting Christian Knowledge
[124]
간행물
ChiChewa Intensive Course
1969
[125]
서적
A Comparative Study in Shona Phonetics
University of Witwatersrand Press
[126]
웹사이트
3º Recenseamento Geral da População e Habitação
http://www.ine.gov.m[...]
2007
[127]
웹사이트
Moçambique: Inquérito de Indicadores de Imunização, Malária e HIV/SIDA em Moçambique (IMASIDA), 2015
https://web.archive.[...]
Ministério da Saúde & Instituto Nacional de Estatística
[128]
웹사이트
Mozambique 2018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Report
https://www.state.go[...]
United States Commission on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129]
웹사이트
CELEBRANDO O ANO DA FÉ NA DIOCESE DE TETE
http://www.diocesede[...]
2012-09-07
[130]
웹사이트
UMC in Mozambique
https://web.archive.[...]
2011-07
[131]
웹사이트
LDS Statistics and Church Facts for Mozambique
https://newsroom.chu[...]
Mormonnewsroom.org
2019-07-12
[132]
웹사이트
In Mozambique, A Jewish Community Thrives
https://web.archive.[...]
2018-02
[133]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Report 2009 – Mozambique
https://web.archive.[...]
Hdrstats.undp.org
[134]
웹사이트
The State of the World's Midwifery
https://web.archive.[...]
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
[135]
웹사이트
Key facts
http://www.dfid.gov.[...]
Department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DFID), UK Government
2007-05-24
[136]
웹사이트
World Data on Education
http://www.ibe.unesc[...]
UNESCO
2010-09
[137]
웹사이트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138]
웹사이트
Education
https://web.archive.[...]
UNESCO
[139]
서적
Mozambique
https://books.google[...]
Lonely Planet
[140]
서적
The Internet and Democracy Building in Lusophone African Countries
https://books.google[...]
Ashgate
[141]
서적
Compendium of Elections in Southern Africa 1989–2009: 20 Years of Multiparty Democracy
EISA, Johannesburg
[142]
서적
Assessment of Media Development in Mozambique: Based on UNESCO's Media Development Indicators
https://books.google[...]
UNESCO
2015-07-15
[143]
서적
Broadcasting on the Short Waves, 1945 to Today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08-10-24
[144]
뉴스
Mozambique – Cultural institutions
https://www.britanni[...]
2021-01-26
[145]
뉴스
Mozambique defeat hosts Uganda in Olympic qualifier of women's beach volleyball
https://www.indiablo[...]
2020-03-11
[146]
웹사이트
UNdata
http://data.un.org/e[...]
국連
2021-10-10
[147]
웹사이트
IMF Data and Statistics
https://www.imf.org/[...]
2021-11-07
[148]
웹사이트
モザンビーク共和国(Republic of Mozambique)基礎データ
https://www.mofa.go.[...]
2021-04-18
[149]
서적
〈世界現代史14〉アフリカ現代史II──東アフリカ
山川出版社
1990-02-10
[150]
서적
ポルトガル3──世界の教科書=歴史
ほるぷ出版
[151]
뉴스
アフリカ南部、動乱の兆し モザンビークの戦争状態宣言
朝日新聞
1976-03-04
[152]
서적
紛争後モザンビーク社会の課題──村に戻らない人々
朝倉書店
2008-04
[153]
서적
南アフリカの歴史【最新版】
明石書店
2009-11
[154]
웹사이트
わかる!国際情勢>Vol.49 躍進する南アフリカ~途上国のリーダーとして
https://www.mofa.go.[...]
2021-04-18
[155]
뉴스
China Built New Presidential Palace in Mozambique
https://china.aiddat[...]
China Aidd
2018-07-26
[156]
뉴스
モザンビークの政府と野党、歴史的な和平協定に調印
https://www.afpbb.co[...]
2019-08-02
[157]
웹사이트
モザンビーク
https://www.soumu.go[...]
日本国総務省
2020-11-29
[158]
웹사이트
主要な社会指標
https://afdb-org.jp/[...]
アフリカ開発銀行グループ
2020-11-29
[159]
웹사이트
世界の平均寿命は72歳 国の豊かさで格差顕在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0-11-29
[160]
뉴스
東アフリカ産LNG台頭/モザンビークなど 日本にも恩恵
https://plaza.rakute[...]
日本経済新聞
2019-09-01
[161]
뉴스
モザンビーク 戦闘激化/対過激派 ガス田開発に影響
https://www.yomiuri.[...]
読売新聞
2021-04-07
[162]
서적
ポルトガルの世界 海洋帝国の夢のゆくえ
社会評論社
2001-12
[163]
웹사이트
初めて日本に渡ったアフリカ人はモザンビーク人(在モザンビーク日本国大使館)
https://www.mofa.go.[...]
[164]
웹사이트
日・モザンビーク投資協定の署名
https://www.mofa.go.[...]
[165]
웹사이트
人事制度と人財育成 {{!}} IHI原動機 リクルーティングサイト2021
https://www.ihi.co.j[...]
2021-02-06
[166]
웹사이트
Military and Security
https://www.cia.gov/[...]
CIA
2021-02-01
[167]
웹사이트
http://www.iceida.is[...]
2021-04
[168]
뉴스
食料と燃料の値上げで暴動、死傷者多数 モザンビーク
http://www.cnn.co.jp[...]
CNN
2010-09-02
[169]
뉴스
モザンビークでのODA事業が人々の声を受け中止へ︕現地からの反対の声に寄り添い活動してきた日本のNGOが8/12(水)にオンラインイベントで生報告(聞き手:ジャーナリスト堀潤氏)
https://prtimes.jp/m[...]
PR TIMES
2020-08-06
[170]
웹사이트
日本のODA事業がモザンビークの小規模農家の生活を破壊する!
https://hbol.jp/1570[...]
HARBOR BUSINESS Online
2017-12-20
[171]
뉴스
35億円超の国費が投入されている日本のODA「プロサバンナ」に現地からの反発の声、事態を憂慮する国会議員による一般公開勉強会を12/23(月)に開催
https://prtimes.jp/m[...]
PR TIMES
2019-12-17
[172]
웹사이트
http://bizgate.nikke[...]
日経BizGate
[173]
웹사이트
モザンビーク:21世紀に向けたルビーの発見
http://www.gia.edu/J[...]
米国宝石学会(GIA)
2014-12-03
[174]
웹사이트
http://www.jogmec.go[...]
石油天然ガス・金属鉱物資源機構
[175]
뉴스
千代田化工、モザンビークのLNG基地受注へ 1兆円規模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ニュースサイト
2015-05-18
[176]
웹사이트
パライバトルマリンの品質と価値、産出動向、処理について
https://www.feelsogo[...]
福岡宝石市場
2021-04-18
[177]
웹사이트
Mozambique Culture, History, & People Britannica
https://web.archive.[...]
[178]
웹사이트
People and Society
https://www.cia.gov/[...]
CIA
2021-02-01
[179]
웹사이트
『CIA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020-11-29
[180]
논문
莫桑比克华侨的历史与现状 (The History and Status Quo of Overseas Chinese in Mozambique)
http://scholar.ilib.[...]
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s
2007
[181]
간행물
China, Mozambique: old friends, new business
http://www.isn.ethz.[...]
2007-08-13
[182]
뉴스
ポルトガルから旧植民地への「逆頭脳流出」
http://jbpress.ismed[...]
JBPress
2012-03-21
[183]
웹사이트
Key facts
https://web.archive.[...]
Department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DFID)
2007-05-24
[184]
서적
ポルトガル3
ほるぷ出版
1981-11-01
[185]
웹사이트
アーカイブされたコピー
http://hdrstats.undp[...]
[186]
뉴스
「モザンビークでコレラ流行、1222人感染」
https://www.afpbb.co[...]
AFP
2017-03-15
[187]
서적
モザンビーク文学と公用語問題
拓殖書房
1994-11
[188]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October 2023 Edition. (Mozambique)
https://www.imf.org/[...]
국제 통화 기금
2023-10-10
[189]
간행물
Human Development Report 2023/2024
https://hdr.undp.org[...]
유엔 개발 계획
2024-03-13
[190]
뉴스
"아프리카 전환점 돌아..성장 국면으로 들어선 듯" [WB보고서]
http://news.mk.co.kr[...]
매일경제
2007-11-15
[191]
뉴스
'아프리카 순방' 한총리, 모잠비크 대통령 면담 "자원협력 강화"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2-12-01
[192]
보고서
Global Hunger Index-기아가 없는 세상
http://www.concern.o[...]
2017-10-13
[193]
일반
[194]
일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