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회적 거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회적 거리는 개인이나 집단 간의 심리적, 사회적 거리감을 의미하며, 사회학, 심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된다. 게오르그 짐멜의 연구에서 시작되어, 에모리 보가더스에 의해 정량적으로 측정 가능한 척도가 개발되었다. 사회적 거리는 정서적, 규범적, 상호작용적, 문화적/습관적 차원으로 구분되며, 심리적 거리, 편견, 차별, 관대함, 권력 관계, 미디어의 영향 등 다양한 요인과 관련이 있다. 한국 사회에서는 사회 불평등, 지역 격차, 세대 갈등 등 다양한 사회 문제 분석에 활용되며, 정치/이념 갈등, 지역 갈등, 세대 갈등, 사회경제적 불평등 문제와 해결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2. 역사

현대 사회적 거리 연구는 주로 독일의 사회학자 게오르그 짐멜의 연구에 기인한다.[3][4] 짐멜은 사회적 거리를 그의 저술에서 사회 집단과 동시에 가깝고도 먼 가상의 낯선 사람에 대한 묘사로 나타냈다.[3][5]

짐멜의 이 주제에 대한 강의는 로버트 E. 파크가 참석했으며,[6][5] 그는 나중에 짐멜의 아이디어를 인종/민족 집단 간의 관계 연구로 확장했다.[6][3][4] 당시 미국 내 인종 갈등으로 인해 집단 간의 관계가 학문적 관심의 최전선으로 부상했다.[6][3][4] 로버트 파크는 그의 제자 에모리 S. 보가더스에게 사회적 거리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만들도록 지시했다.[5] 보가더스가 최초의 사회적 거리 척도를 만든 것은 파크와 보가더스의 사회적 거리 개념을 대중화하는 데 큰 역할을 했으며, 이는 짐멜의 원래 아이디어와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3][5][4]

현대 사회적 거리 연구는 일관성 있는 문헌의 특징을 보이기도 하지만, 정의와 틀은 연구자와 학문 분야에 따라 상당한 변동성을 보이기도 한다.[3][4]

3. 사회적 거리의 차원

Nedim Karakayali는 사회적 거리의 네 가지 차원을 설명하는 프레임워크를 제시했다.[4][7]


  • '''정서적 사회적 거리''': 사회적 거리에 대한 널리 퍼진 관점은 정서이다. 사회적 거리는 정서적 거리, 즉 한 집단의 구성원이 다른 집단에 대해 느끼는 공감의 정도와 관련이 있다. "보가더스 사회적 거리 척도"를 만든 에모리 보가더스는 일반적으로 사회적 거리에 대한 이러한 주관적-정서적 개념에 자신의 척도를 기반으로 했다. "[사회적 거리 연구에서] 관심의 초점은 다른 사람과 사람들의 집단에 대한 개인의 감정적 반응에 있다."[8]
  • '''규범적 사회적 거리''': 두 번째 접근 방식은 사회적 거리를 규범적 범주로 본다. 규범적 사회적 거리는 누가 "내부자"로 간주되어야 하고 누가 "외부자/이방인"으로 간주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널리 받아들여지고 종종 의식적으로 표현되는 규범을 말한다. 즉, 이러한 규범은 "우리"와 "그들" 사이의 구분을 명시한다. 따라서 규범적 사회적 거리는 정서적 사회적 거리와 다르다. 왜냐하면 사회적 거리가 비주관적이고, 구조적인 사회 관계의 측면으로 간주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개념의 예는 게오르그 짐멜, 에밀 뒤르켐, 그리고 어느 정도 로버트 파크와 같은 사회학자들의 일부 연구에서 찾을 수 있다.
  • '''상호작용적 사회적 거리''': 두 집단 간의 상호 작용 빈도와 강도에 초점을 맞추며, 두 집단의 구성원이 더 많이 상호 작용할수록 사회적으로 더 가까워진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개념은 두 당사자 간의 상호 작용 빈도가 두 당사자 간의 사회적 관계의 "강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사회 연결망 이론의 접근 방식과 유사하다.
  • '''문화적 및 습관적 거리''': 부르디외(1990)가 제안한 문화적 및 습관적 거리에 초점을 맞춘다. 이러한 유형의 거리는 사람들이 소유한 "자본"의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서로 다른 개념들을 반드시 겹치지 않는 사회적 거리의 "차원"으로 볼 수 있다. 두 집단의 구성원은 서로 상당히 자주 상호 작용할 수 있지만, 이것이 항상 서로 "가깝게" 느껴지거나 규범적으로 서로를 같은 집단의 구성원으로 간주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즉, 상호 작용적, 규범적, 정서적 차원의 사회적 거리가 선형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7]

4. 사회적 거리 측정

사회적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에는 사람들의 상호작용을 직접 관찰하는 방법, 설문 조사, 속도 제한 의사 결정 과제, 경로 계획 연습, 소시오그램을 활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보가더스 사회적 거리 척도와 그 변형은 사회적 거리를 측정하는 데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다.[5][6] 이 척도를 기반으로 한 설문지에서 응답자는 특정 집단의 구성원을 이웃, 동료, 결혼 상대로 받아들일 수 있는지 등의 질문을 받는다. 그러나 이러한 설문 조사는 다른 집단의 구성원이 친구나 이웃이 되려고 할 때 사람들이 실제로 어떻게 행동할지를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할 수 있다. 사회적 거리 척도는 단지 특정 집단과 동등하게 교류하려는 의지가 없는 감정을 측정하려는 시도일 뿐이며, 실제 상황에서 사람의 행동은 여러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9]

5. 사회적 거리의 영향

사회적 거리의 영향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졌다.

사회적 거리는 심리적 거리의 한 형태로 연구되었으며, 구성 수준 이론에 따르면 사회적 거리가 클수록 더 높은 수준의 인지적 추상화를 촉진한다고 한다.[12][10] 또한, 사회적 거리와 물리적 거리 사이에는 체계적인 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13][14]

사회적 거리는 문화, 인종, 민족, 사회 경제적 계층 등 다양한 차원에서 차이를 보이는 집단들 사이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16] 고정관념에 의존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한다.[17] 특히, 정신 질환을 앓는 개인에 대한 태도 연구에서 사회적 거리와 편견의 관계가 문서화되어 있다.[18]

최후통첩 게임과 독재자 게임을 사용한 경제적 의사 결정 실험에서 사회적 거리가 멀어질수록 이타적인 행동이 줄어든다는 것이 밝혀졌다.[20][21][22]

권력을 가진 개인들은 타인과의 거리감을 더 크게 인식한다고 알려져 있다.[11][25][26]

제3자 효과 연구에서는 미디어 메시지가 자신보다 다른 사람들에게 더 큰 영향을 미친다고 개인이 추정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준다.[28][29][30]

5. 1. 심리적 거리와의 관계

일부 연구자들은 사회적 거리를 심리적 거리의 한 형태로 연구해 왔다.[30][10][11] 이러한 연구는 사회적 거리와 시간적 거리 등 다른 종류의 심리적 거리 사이의 연관성을 밝혀냈다.[12][10] 또한, 사회적 거리가 구성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사회적 거리가 클수록 더 높은 수준의 인지적 추상화를 촉진한다는 것을 시사했다.[12][10]

속도 반응 의사 결정 과제에서, 연구들은 사회적 거리와 물리적 거리 사이에 체계적인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사람들은 제시된 단어의 공간적 위치를 표시하거나 단어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도록 요청받았을 때, "우리"가 공간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표시되었을 때 더 빠르게 반응했고, "다른 사람들"이 공간적으로 멀리 떨어진 위치에 표시되었을 때 더 빠르게 반응했다.[13] 이는 사회적 거리와 물리적 거리가 개념적으로 관련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경로 계획 연습 또한 사회적 거리와 물리적 거리 사이의 개념적 연결을 보여주었다. 사람들은 지도에 경로를 그리도록 요청받았을 때, 길을 따라 만나는 친구들에게는 더 가깝게, 낯선 사람들에게는 더 멀리 경로를 그리는 경향이 있었다.[14] 이러한 효과는 서로 지나치는 사람들이 얼마나 쉽게 소통할 수 있는지 통제한 후에도 강력하게 나타났다.

사회적 거리와 물리적 거리에 대한 추론이 인간의 두정엽 피질에서 공유된 처리 자원을 사용한다는 증거가 있다.[15]

5. 2. 편견 및 차별

사회적 거리는 문화, 인종, 민족, 사회 경제적 계층 등 다양한 차원에서 차이를 보이는 집단들 사이에서 나타날 수 있다.[16] 구성 수준 이론은 더 큰 사회적 거리가 사회적으로 멀리 떨어진 개인/집단을 평가할 때 고정관념에 의존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17]

사회적 거리와 편견의 관계는 정신 질환을 앓는 개인에 대한 태도 연구에서 문서화되어 있다.[18] 정신 질환자로부터의 거리와 이를 유지하려는 욕구는 진단에 따라 다르며, 연령대와 국적에 따라 다양하다.[18] 사회적 거리를 유지하려는 욕구는 정신 질환에 대한 노출이나 친숙함에 따라 감소하며,[18] 정신 질환자가 위험하다고 인식될수록 증가한다.[19][18]

5. 3. 관대함과 이타성

최후통첩 게임과 독재자 게임을 사용한 경제적 의사 결정 실험에서 사회적 거리가 연구되었다. 연구자들은 경제적 결정을 익명화하여 사회적 거리를 늘리는 방식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이 연구들은 사회적 거리가 멀어질수록 이타적인 행동이 줄어든다는 것을 발견했다.[20][21][22] 반대로, 사회적 신호를 늘리거나 최소한의 상호작용을 추가하여 사회적 거리를 좁히는 실험에서는 관대함이 증가하는 결과가 나타났다.[23][21][24]

5. 4. 권력 관계

권력과 사회적 거리 사이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권력을 가진 개인들이 타인과의 거리감을 더 크게 인식한다는 것을 시사한다.[11][25][26] 구성 수준 이론에 따르면, 이는 권력을 가진 개인들이 상위 수준의 해석을 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11][26] 권력, 사회적 거리, 해석 수준 간의 이러한 연관성은 권력과 관련된 인지 및 행동의 다른 특징, 예를 들어 권력을 가진 개인들이 타인에게 영향을 덜 받으며, 고정관념을 가질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다.[11][26] 또한, 사회적 거리가 클수록 관대함이 감소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 연구는 중요한 시사점을 갖는다.[25]

5. 5. 미디어의 영향

사회적 거리는 제3자 효과의 맥락에서 연구되어 왔다.[27][28][29][30] 제3자 효과는 미디어 메시지가 자신보다 다른 사람들에게 더 큰 영향을 미친다고 개인들이 추정하는 경향을 설명한다.[28] 어떤 연구에서는 이러한 효과가 자기 자신으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개인과 가상의 대상 사이의 사회적 거리가 클수록, 미디어 메시지가 대상에게 미치는 영향력도 더 크게 인식된다는 것이다.[27][28][29][30] 이러한 현상은 사회적 거리 부가 명제라고 불린다.[27][30]

6. 한국 사회의 사회적 거리 문제와 해결 노력

한국 사회는 다양한 사회적 거리 문제를 겪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참조

[1] 논문 Models of social networks based on social distance attachment 2004
[2] 논문 The influence of social distance on community corrections officer perceptions of offender reentry needs 2008
[3] 학술지 Simmel's Influence on American Sociology. I http://dx.doi.org/10[...] 1976-01
[4] 서적 Exploring Distance in Leader-Follower Relationships http://dx.doi.org/10[...] 2012-09-10
[5] 학술지 The Intellectual Construction of "Social Distance": Toward a Recovery of Georg Simmel's Social Geometry 1997-09-16
[6] 학술지 Emory Bogardus and the Origins of the Social Distance Scale http://dx.doi.org/10[...] 2007-12
[7] 간행물 "Social Distance and Affective Orientations." 2009
[8] 간행물 Measurement of Personal-Group Relations 1947
[9] 웹사이트 Social Distance, Basic Concepts of Sociology Guide http://www.sociology[...]
[10] 학술지 Politeness and psychological distance: A construal level perspective. 2010
[11] 학술지 The Social Distance Theory of Power http://dx.doi.org/10[...] 2013-01-24
[12] 학술지 The effects of time perspective and level of construal on social distance 2011-03
[13] 논문 Automatic processing of psychological distance: Evidence from a Stroop task 2007
[14] 논문 Understanding the link between spatial distance and social distance 2011
[15] 논문 Social distance evaluation in human parietal cortex 2009
[16] 학술지 The Simultaneous Effect of Social Distance and Physical Distance on the Formation of Neighborhood Ties http://dx.doi.org/10[...] 2009-03
[17] 학술지 Effects of Temporal and Social Distance on Consumer Evaluations: Table 1 http://dx.doi.org/10[...] 2008-12
[18] 학술지 Desire for Social Distance from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http://dx.doi.org/10[...] 2009-01
[19] 학술지 The stigma of mental illness: effects of labelling on public attitudes towards people with mental disorder http://dx.doi.org/10[...] 2003-09-02
[20] 학술지 What's in a name? Anonymity and social distance in dictator and ultimatum games http://dx.doi.org/10[...] 2008-10
[21] 학술지 Minimal social cues in the dictator game http://dx.doi.org/10[...] 2009-06
[22] 학술지 Let's get personal: An international examination of the influence of communication, culture and social distance on other regarding preferences http://dx.doi.org/10[...] 2006-07
[23] 학술지 Group identity, social distance and intergroup bias http://dx.doi.org/10[...] 2007-06
[24] 학술지 Social distance modulates recipient's fairness consideration in the dictator game: An ERP study http://dx.doi.org/10[...] 2011-12
[25] 학술지 Power Increases Social Distance http://dx.doi.org/10[...] 2011-08-15
[26] 기타 Power: Past findings, present considerations, and future directions. http://dx.doi.org/10[...]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20-11-30
[27] 학술지 Rethinking the Target Corollary http://dx.doi.org/10[...] 2005-12
[28] 학술지 Topic-Relevant Reference Groups and Dimensions of Distance http://dx.doi.org/10[...] 2004-04
[29] 학술지 Third-Person Effects and the Environment: Social Distance, Social Desirability, and Presumed Behavior http://dx.doi.org/10[...] 2005-06-01
[30] 학술지 Body Image, Race, and Fashion Models http://dx.doi.org/10[...] 2002-06
[31] 서적 Communications and Control: Networks and the New Economics of Communication Polity, Cambridge 1991
[32] 논문 Models of social networks based on social distance attachment 2004
[33] 논문 The influence of social distance on community corrections officer perceptions of offender reentry needs 2008
[34] 학술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