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정관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정관념은 프랑스어 'stéréotype'에서 유래된 용어로, 특정 집단이나 대상에 대해 굳어진 일반적인 생각이나 이미지를 의미한다. 이는 개인의 경험이나 학습을 통해 형성되며, 사회적 관념에 대한 맹목적인 동조로 나타날 수 있다. 고정관념은 정보를 단순화하고 세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인지적 기능을 수행하지만, 편견, 차별, 자기 충족적 예언으로 이어져 개인과 사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고정관념은 자동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으며, 긍정적 고정관념 학습을 통해 부정적 고정관념의 자동적 활성화를 줄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정관념 - 일탈
    일탈은 사회 규범을 벗어나는 행위로, 공식적 일탈은 범죄, 비공식적 일탈은 사회적 불문율 위반을 의미하며, 다양한 사회학적 관점과 이론으로 설명된다.
  • 고정관념 - 이모 (음악)
    이모는 1980년대 워싱턴 D.C. 하드코어 펑크에서 시작된 포스트 하드코어의 하위 장르로, 감성적인 가사와 펑크 록의 격렬함, 섬세한 기타 연주가 특징이며, 2000년대 초 주류 음악 시장에 진출 후 2010년대 인기가 시들해지며 이모 리바이벌이 등장했다.
  • 인지 편향 - 호손 효과
    호손 효과는 작업 환경 변화보다 작업자에게 관심을 기울이는 행위 자체가 생산성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의미하며, 산업 심리학 및 조직 행동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인지 편향 - 합리화
    합리화는 심리학에서 개인이 자신의 행동 동기를 숨기기 위해 상황을 단순화하거나 미화하여 해석하는 방어 기제이며, 자기 방어적인 설명으로 정의되고, 정신분석학에서 긍정적 및 부정적 관점으로 연구되었으며, 사회적으로 불평등과 차별을 정당화하는 수단으로도 작용한다.
고정관념
개요
정의어떤 종류의 사람이나 사물에 대해 널리 퍼져 있지만 단순화된 고정된 이미지나 아이디어
프랑스어Stéréotype
영어Stereotype
사회적 영향
사회적 범주화사회 집단을 분류하고 배열하는 것.
편견그룹 및 그룹 구성원에 대한 감정.
차별그룹 구성원에 대한 정당화되지 않은 부정적인 행동.

2. 어원

'고정관념'이라는 용어는 프랑스어 형용사 stéréotype프랑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그리스어 단어 στερεόςgrc (stereosgrc), '단단한, 견고한'[10]과 τύποςgrc (typosgrc), '인상'[11]에서 파생되어 '하나 이상의 아이디어/이론에 대한 확고한 인상'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1798년 피르맹 디도가 인쇄 산업에서 모든 활자를 복제하는 인쇄판을 묘사하기 위해 처음 사용했다. 복제된 인쇄판(스테레오타입)은 원본 대신 인쇄에 사용된다.

인쇄 외에 영어에서 '고정관념'에 대한 최초의 언급은 1850년에 '변화 없이 영속되는 이미지'를 의미하는 명사로 나타났다.[12] 1922년 미국 언론인 월터 리프먼이 그의 저서 ''여론''에서 현대 심리학적 의미로 '고정관념'을 처음 사용했다.[13]

3. 형성

고정관념은 학습, 사회화, 집단 간 관계 등 다양한 요인을 통해 형성된다.


  • '''대응 편향''': 개인의 행동을 상황적 요인보다 성향이나 인성에 귀속시키는 경향으로, 고정관념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38] 예를 들어, 특정 학과 학생들이 특정 주제에 대해 찬성하거나 반대하는 주장을 하도록 무작위로 지시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그들의 반응을 상황적 요인이 아닌 학생들의 성향 탓으로 돌리는 경향이 있다.[39]
  • '''허위 상관''': 두 사건 사이의 관계에 대한 오류적 추론이다. 통계적으로 드문 사건들이 함께 발생하면, 그 빈도를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다.[6][44][45] 예를 들어, 소수 집단과의 상호작용과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은 모두 드문 사건이기 때문에, 이 둘이 결합되면 사람들은 그 빈도를 과대평가하게 된다.[46]
  • '''공통 환경''': 사람들이 동일하게 반응하도록 자극하는 공통 환경의 결과로 고정관념이 공유될 수 있다.[6] 그러나 이는 직접적인 자극 없이 공유된 고정관념이 어떻게 발생하는지 설명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6]
  • '''사회화''': 부모, 교사, 동료, 미디어 등의 영향으로 어린 시절부터 고정관념을 습득한다.[6] 사회적 가치의 변화에 따라 고정관념도 변화할 수 있다.[6]
  • '''집단 간 관계''': 집단 간의 경쟁, 갈등, 협력 등이 고정관념 형성에 영향을 준다.[71][51][52] 집단 간 관계가 개선되면 고정관념이 긍정적으로, 악화되면 부정적으로 변할 수 있다.[71]


이야기나 픽션 등에서 조형되는 인물상에서 그 전형적인 형태를 볼 수 있으며, 권선징악의 이야기에서는 선역과 악역이 전형적인 모습과 언행으로 표현된다. 만화나 애니메이션 등에서는 "Boy meets girl, and fall in love"라는 말이 있는데, 이것은 고대 청춘 연애 소설인 『다프니스와 크로에』에서도 비슷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근대에 들어 대중사회와 매스 커뮤니케이션이 성립되면서 정치, 경제, 사회적인 목적으로 과도하게 단순화되고 유형화된 이미지가 널리 유포되었고, 고정관념으로 굳어지게 되었다. 많은 사람이 가진 관념에는 선입견이나 타블로이드적 사고를 포함하며, 편견이나 차별적인 의식과도 관련이 있다.

4. 기능

고정관념은 인지적 기능과 사회적 기능을 수행한다.[8][30] 인지적 기능은 대인 관계 수준에서, 사회적 기능은 집단 간 수준에서 나타난다.[8][30] 고정관념이 집단 간 수준에서 기능하려면, 개인이 자신을 집단의 일부로 인식하고, 집단의 일원이라는 점이 개인에게 두드러져야 한다.[30]

크레이그 맥가티, 러셀 스피어스, 빈센트 Y. 이저바이트는 고정관념의 인지적 기능과 사회적 기능은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고 주장했다.[32]

초기 연구에서는 고정관념이 경직되고 억압적이며 권위주의적인 사람들에게서만 사용된다고 보았으나, 현대 연구에서는 고정관념이 보편적인 현상임을 시사한다.[30] 현대 연구는 고정관념을 특정 문화나 하위 문화 내에서 공유되는 것과 개인의 마음속에서 형성되는 것, 두 가지 상호 보완적인 관점에서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한다.[31]

고정관념은 효율적인 지름길이자 감각을 만들어내는 도구이지만, 새로운 정보나 예상치 못한 정보를 처리하는 것을 방해하여 인상 형성 과정을 편향시킬 수 있다.[139] 초기 연구자들은 고정관념이 현실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않는다고 생각했지만,[140] 실증적인 사회 과학 연구에 따르면 고정관념은 종종 정확하다는 것이 밝혀졌다.[147][148] 리 유심 등은 인종 및 성별 고정관념에 관한 연구들을 검토한 결과, 민족이나 성별 고정관념에는 정확한 부분이 있지만, 정치적 소속이나 국적에 관한 고정관념은 정확성이 부족하다는 것을 발견했다.[149]

4. 1. 인지적 기능

고정관념은 정보를 단순화하고 체계화하는 범주화의 한 형태이다. 따라서 정보를 더 쉽게 식별하고, 기억하고, 예측하고, 반응할 수 있게 돕는다.[30] 고정관념은 대상이나 사람의 범주인데, 고정관념 간에는 대상이나 사람이 서로 최대한 다르고, 고정관념 내에서는 서로 최대한 유사하다.[6]

고든 올포트는 사람들이 범주화된 정보를 더 쉽게 이해하는 이유에 대해 다음과 같은 설명을 제시했다.[33]

  • 사람들은 반응 패턴을 식별하기 위해 범주를 참조한다.
  • 범주화된 정보는 범주화되지 않은 정보보다 더 구체적이다. 범주화는 그룹의 모든 구성원이 공유하는 속성을 강조하기 때문이다.
  • 사람들은 동일한 범주에 있는 대상이 뚜렷한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범주 내의 대상을 쉽게 설명할 수 있다.
  • 사람들은 특정 범주의 특성을 당연하게 여길 수 있다. 범주 자체가 임의의 그룹화일 수 있기 때문이다.


고정관념은 사람들이 더 효율적으로 행동할 수 있도록 시간과 에너지를 절약하는 역할을 한다.[6] 또 다른 관점은 고정관념이 사람들의 사회적 맥락에 대한 편향된 인식이라고 제시한다.[6] 이러한 관점에서 사람들은 고정관념을 지름길로 사용하여 사회적 맥락을 이해하며, 이는 개인의 세상을 이해하는 작업을 인지적으로 덜 요구하게 만든다.[6]

1952년 3월 『Beauty Parade』지에 게재된 여성 드라이버를 스테레오타입화한 특집. 모델은 베티 페이지가 기용되었다.

4. 2. 사회적 기능

고정관념은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여 사회 현상을 설명하고, 집단의 활동을 정당화하며, 내집단외집단을 구별하는 데 기여한다.[34]
사회적 범주화고정관념은 사람들이 자신의 집단(내집단)을 긍정적으로 보이게 하고, 다른 집단(외집단)과 구별하는 데 사용된다.[34] 예를 들어, 특정 직업군에 대한 고정관념은 그 직업군에 속한 사람들을 다른 직업군과 구별하고, 그 직업군의 특징을 긍정적으로 부각할 수 있다.
자기 범주화고정관념은 개인의 집단 소속감을 강조하고, 내집단과 외집단 간의 차이를 부각한다.[21] 이는 개인이 집단의 일원이라는 점을 인식하고, 집단의 정체성을 내면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한국인은 '정(情)'이 많다는 고정관념은 한국인으로서의 소속감을 강화하고, 다른 문화권 사람들과의 차이를 강조할 수 있다.
사회적 영향과 합의고정관념은 내집단의 합의를 나타내는 지표로 작용하며, 내집단 구성원 간의 의견 불일치를 해결하는 데 기여한다.[34] 만약 내집단 구성원들이 특정 외집단에 대한 고정관념에 대해 의견이 다를 경우, 이들은 서로 협상하고 토론하여 공통된 고정관념을 형성하거나, 서로 다른 하위 집단을 고정관념화하는 방식으로 의견 불일치를 해소할 수 있다.[34] 예를 들어, '경상도 사람은 억세다'는 고정관념에 대해 경상도 사람들 사이에서 의견이 다를 경우, 서로 토론을 통해 '경상도 남자'와 '경상도 여자'에 대한 고정관념을 분리하여 형성할 수 있다.

5. 내용

고정관념, 편견, 인종차별, 차별[14]은 서로 관련되어 있지만, 다른 개념으로 이해된다.[15][16][71][53] 고정관념은 가장 인지적인 구성 요소로, 종종 의식적인 인식 없이 발생한다. 반면 편견은 고정관념의 정동적 구성 요소이며, 차별은 편견 반응의 행동적 구성 요소 중 하나이다.[15][16][17] 집단 간 태도에 대한 이러한 삼자 구분에 따르면, 고정관념은 자신의 집단과 다르다고 인식되는 집단의 구성원에 대한 기대와 믿음을 반영하고, 편견은 정서적 반응을, 차별은 행동을 의미한다.[15][16]

이러한 세 가지 개념은 서로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16][30] 다니엘 카츠와 케네스 브레이리에 따르면, 고정관념은 사람들이 집단의 이름에 정서적으로 반응하고, 해당 집단의 구성원에게 특성을 부여한 다음, 이러한 특성을 평가할 때 인종적 편견으로 이어진다.[71]

고정관념은 다음과 같은 편견적 영향을 줄 수 있다.[8]


  • 근거 없는 편견이나 무지를 정당화함
  • 자신의 태도와 행동을 재고하려는 의지가 없음
  • 고정관념화된 집단의 일부 사람들이 활동이나 분야에 진입하거나 성공하는 것을 막음[18]


고정관념 내용은 사람들이 집단을 특징짓는다고 생각하는 속성을 의미한다. 고정관념 내용 연구는 고정관념 형성의 이유와 메커니즘보다는 사람들이 타인에 대해 어떤 생각을 하는지를 조사한다.[19]

5. 1. 고정관념 내용 모델 (SCM)

고정관념 내용 모델은 피스크 등의 논문을 참고하여 제작되었다(2002). 지각된 온정성과 유능함의 조합으로 나타나는 네 가지 유형의 고정관념.


고정관념 내용 연구는 고정관념 형성의 이유와 메커니즘보다는 사람들이 타인에 대해 어떤 생각을 하는지를 조사한다.[19]

고든 올포트와 같은 사회 심리학자들은 외집단에 대한 고정관념이 일관된 반감을 반영한다고 가정했다.[20][21]

반대로, 더 새로운 고정관념 내용 모델은 고정관념이 자주 양면적이며 온정성과 유능함이라는 두 가지 차원에서 다양하다고 이론화한다. 온정성과 유능함은 각각 경쟁 부족과 사회적 지위에 의해 예측된다. 같은 자원을 놓고 내집단과 경쟁하지 않는 집단은 온정적이라고 인식되는 반면, 높은 지위(예: 경제적 또는 교육적으로 성공한) 집단은 유능하다고 여겨진다. 온정성과 유능함의 네 가지 조합 각각 내의 집단은 뚜렷한 감정을 불러일으킨다.[22] 이 모델은 일부 외집단은 존경받지만 싫어하고, 다른 외집단은 좋아하지만 존중받지 못하는 현상을 설명한다. 이 모델은 다양한 국가 및 국제적 표본에 대해 경험적으로 테스트되었으며 고정관념 내용을 안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0][23]

5. 2. 에이전시-신념-공동체 (ABC) 모델

에이전시-신념-공동체(ABC) 모델은 고정관념 내용 모델(SCM)의 한계를 보완하여 고정관념 내용의 세 가지 차원을 제시한다.[24] SCM은 사람들이 다른 집단을 평가할 때 온정성과 유능함이라는 두 가지 차원만을 사용한다고 가정하지만, 실제로는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다양한 고정관념 차원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을 간과했다.[25]

2016년 Koch 등이 제안한 ABC 모델은 사람들이 특성을 사용하여 미국의 사회 집단에 대해 자발적으로 고정관념을 형성하는 방식을 추정한다.[24] 이들은 사람들이 집단을 나열하고 유사성에 따라 분류하는 연구를 통해 세 가지 차원을 발견했다. 세 가지 차원은 다음과 같다.[26]

  • 에이전시 (Agency): 목표 달성, 두각, 사회 경제적 지위와 관련되며, SCM의 유능함과 유사하다. (예: 빈곤층과 부유층, 권력자와 무력자)
  • 신념 (Belief): 세상에 대한 관점, 도덕, 보수-진보적 신념과 관련된다. (예: 전통적, 현대적, 종교적, 과학 지향적)
  • 공동체 (Community): 타인과의 연결 및 융화와 관련되며, SCM의 온정성과 유사하다. (예: 신뢰할 수 있는 사람과 신뢰할 수 없는 사람, 차가운 사람과 따뜻한 사람)


이 모델을 사용한 연구에 따르면 에이전시와 공동체 사이에는 곡선 관계가 존재한다.[27] 예를 들어, 한 집단이 에이전시 차원에서 높거나 낮으면 비공동체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에이전시가 평균적인 집단은 더 공동체적으로 보인다.[28]

ABC 모델은 고정관념화된 집단에 대한 행동을 예측하는 데 유용하다. 예를 들어, 에이전시와 신념의 유사성이 집단 간 협력을 증가시킨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29]

6. 활성화

고정관념은 자동적 또는 통제된 방식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고정관념에 대한 인지 과정의 이중 과정 모델은 고정관념의 자동적 활성화 이후 통제된 처리 단계가 이어진다고 주장하며, 이 단계에서 개인은 떠올린 고정관념 정보를 무시하거나 무시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17]

명시적 고정관념은 자신이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사람을 판단하는 데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인지하는 고정관념이다. 만약 A가 집단 G에 속한 특정인 B에 대해 판단을 내리고, A가 집단 G에 대한 명시적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다면, 의식적인 통제를 사용하여 결정 편향을 부분적으로 완화할 수 있다. 그러나 고정관념에 대한 의식적인 인식으로 인한 편향을 상쇄하려는 시도는 고정관념으로 인해 발생하는 편향의 양을 과소평가하거나 과대평가하기 때문에 진정으로 공정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암묵적 고정관념은 개인이 의식하지 못하고 통제할 수 없는 잠재의식 속에 자리 잡고 있다.[4] 암묵적 고정관념은 의미(지식) 기억 속 연상 네트워크와 자동 활성화라는 두 가지 개념을 기반으로 구축된다.[5] 예를 들어, 여성과 남성이 성공적인 전기 기술자가 될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질 수 있지만, 동시에 많은 사람이 전기 기술자를 여성보다 남성과 더 연관시킬 수 있다.[5]

6. 1. 자동적 활성화

패트리샤 데바인(1989)의 연구에 따르면, 고정관념은 고정관념 대상 집단의 구성원이나 상징이 존재할 때 자동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의도하지 않은 고정관념의 활성화는 편견이 높은 사람과 낮은 사람 모두에게 동일하게 강력하게 나타난다. 흑인에 대한 문화적 고정관념과 관련된 단어들이 잠재의식적으로 제시되었을 때, 인종이 명시되지 않은 대상의 행동을 평가한 결과, 인종 관련 단어를 많이 받은 참가자들이 그렇지 않은 참가자들보다 대상 인물을 훨씬 더 적대적으로 평가했다. 이러한 효과는 편견 정도와 관계없이 나타났다. 따라서 인종적 고정관념은 개인적으로 이를 지지하지 않는 사람에게도 활성화되었다.[17][55][56] 성별 및 연령 고정관념의 활성화 또한 자동적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57][58]

하지만 범주 활성화와 고정관념 활성화 간의 관계는 더 복잡하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56][59] 레포어와 브라운(1997)은 중립적 범주 레이블(예: "흑인")만 제시된다면 편견이 높은 사람과 낮은 사람이 다르게 반응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실험 결과, 범주 자체가 아닌 편견 수준과 고정관념 지지가 사람들의 판단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했다.[60]

한편, 반고정관념 정보를 활성화하도록 훈련받으면 부정적 고정관념의 자동적 활성화를 줄일 수 있다.[61][62] 이는 새롭고 더 긍정적 고정관념을 학습하는 것에 기반한다.[62]

고정관념 활성화가 사회적 행동에 자동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실험들도 있다.[63][64][65][66] 예를 들어, 바그, 첸, 버로우스(1996)의 실험에서 노인에 대한 고정관념이 활성화된 피험자들은 대조군보다 훨씬 느리게 걸었다.[67] 흑인에 대한 고정관념이 활성화되면 공격성과 적대감이 증가한다는 실험 결과도 있다.[68] 코렐 외(2002)의 실험에서는 흑인과 백인 참가자들이 총을 든 흑인 또는 백인 표적을 쏘는 비디오 게임을 했을 때, 표적이 흑인일 때 더 빨리 쏘는 경향을 보였다.[69]

6. 2. 통제된 활성화

고정관념은 자동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패트리샤 데바인 (1989)은 고정관념 대상 집단의 구성원이나 상징이 존재할 때 고정관념이 자동 활성화되며, 이는 편견이 높은 사람과 낮은 사람 모두에게 동일하게 강력하다고 주장했다. 흑인에 대한 문화적 고정관념과 관련된 단어를 잠재의식적으로 제시한 후, 참가자들은 인종이 명시되지 않은 대상의 행동을 평가했는데, 인종 관련 단어를 많이 받은 참가자들이 대상을 더 적대적으로 평가했다. 이는 인종적 고정관념이 개인적으로 지지하지 않는 사람에게도 활성화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17][55][56]

그러나 후속 연구에서는 범주 활성화와 고정관념 활성화의 관계가 더 복잡하다는 것을 보여준다.[56][59] 레포어와 브라운(1997)은 중립적 범주 레이블(예: "흑인")만 제시될 경우 편견 수준에 따라 사람들의 판단이 달라진다는 것을 발견했다.[60]

반고정관념 정보를 활성화하도록 훈련하면 부정적 고정관념의 자동 활성화를 줄일 수 있다. 카와카미 등(2000)의 연구에서 참가자들은 범주 레이블에 대해 고정관념적 특성에는 "아니요", 비고정관념적 특성에는 "예"라고 응답하도록 훈련받은 후 고정관념 활성화가 감소하는 것을 보였다.[61][62]

고정관념 활성화는 사회적 행동에 자동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바그, 첸, 버로우스(1996)는 노인에 대한 고정관념을 활성화시키면 피험자들이 더 느리게 걷는다는 것을 발견했다.[67] 또한 흑인에 대한 고정관념이 공격성을 포함하기 때문에 흑인 얼굴에 잠재의식적으로 노출되면 백인 대학생들이 더 공격적으로 반응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68] 코렐 외(2002)는 흑인에 대한 고정관념이 활성화되면 사람들이 총을 든 흑인을 더 빨리 쏘도록 결정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주었다.[69]

7. 영향

고정관념은 개인과 사회에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


  • 귀인 모호성: 고정관념의 대상이 되는 사람들은 타인의 행동 원인을 해석할 때 불확실성을 겪는 '귀인 모호성'을 경험한다. 예를 들어, 흑인 학생이 백인 교사에게 낮은 평가를 받으면, 실력 부족 때문인지 교사의 인종차별적 편견 때문인지 확신하기 어렵다.[78][79] 이는 자존감에 부정적 영향을 주거나, 자신을 보호하는 기제로 작용하기도 한다.[78]

  • 고정관념 위협: 특정 집단에 대한 부정적 고정관념은 그 구성원에게 불안감을 유발하여 실제 수행 능력을 저하시키는 '고정관념 위협'을 초래한다.[82] 예를 들어, '여성은 수학을 못한다'는 고정관념은 여성의 수학 시험 성적을 떨어뜨릴 수 있다.[81]

  • 자기 충족적 예언: 고정관념은 특정 집단에 대한 잘못된 기대를 만들어, 결국 그 기대를 현실로 만드는 '자기 충족적 예언'을 유발한다.[101][102][103] 예를 들어, 면접관이 흑인 지원자에게 부정적 고정관념을 가지면, 차별 대우로 인해 흑인 지원자가 낮은 평가를 받을 수 있다.[104]

  • 차별과 편견: 고정관념은 사회를 단순화하고 특정 집단 차별을 정당화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109] 예를 들어, '게이 남성은 여성스럽다'는 고정관념은 채용 과정에서 게이 남성 차별로 이어질 수 있다.[18]

  • 자기 고정관념: 고정관념은 스스로에 대한 평가에 영향을 미쳐 '자기 고정관념'을 형성하게 한다.[8][114] 예를 들어, '여성은 수학을 못한다'는 고정관념은 여성이 자신의 수학 능력을 과소평가하게 만들 수 있다.[115][116]

7. 1. 귀인 모호성

귀인 모호성은 고정관념 집단의 구성원들이 자신을 향한 타인의 행동 원인을 해석할 때 겪는 불확실성을 의미한다. 부정적인 피드백을 받은 고정관념을 가진 개인은 이를 능력 부족이나 노력 부족과 같은 개인적인 결함, 또는 평가자의 사회 집단에 대한 고정관념과 편견으로 귀인할 수 있다. 반대로, 긍정적인 피드백은 개인적인 자질 때문이거나 동정심 또는 연민의 형태로 치부될 수 있다.[77][78][79]

크로커 등(1991)은 흑인 참가자가 자신의 인종을 인지한 백인에게 평가받을 때, 흑인 피험자들이 피드백을 불신하며, 부정적인 피드백은 평가자의 고정관념 때문이라고, 긍정적인 피드백은 평가자가 편견이 없는 것처럼 보이려는 의도 때문이라고 귀인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흑인 참가자의 인종을 평가자가 알지 못했을 때, 그들은 피드백을 더 잘 수용했다.[80]

귀인 모호성은 개인의 자존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적인 평가를 받을 때, 고정관념을 가진 개인은 자신이 정말 성공할 자격이 있었는지 확신하지 못하며, 결과적으로 자신의 성과를 인정하는 것을 어려워한다. 부정적인 피드백의 경우, 모호성은 외부 원인에 책임을 돌릴 수 있게 해주기 때문에 자존감에 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일부 연구에서는 이러한 효과가 고정관념을 가진 개인이 자신의 부정적인 결과가 평가자의 편견 때문이라는 것을 절대적으로 확신할 수 있을 때만 나타난다는 것을 발견했다. 불확실성의 여지가 조금이라도 남아 있다면, 고정관념을 가진 개인은 자신을 탓하는 경향이 있다.[78]

귀인 모호성은 또한 성과 관련 평가를 불신하거나 무시하기 때문에 자신의 기술을 평가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 또한, 자신의 노력이 결과와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다는 믿음으로 이어져 성공하려는 동기 부여를 저하시킬 수 있다.[77]

7. 2. 고정관념 위협

고정관념 위협은 사람들이 자신의 사회 집단에 대한 부정적인 고정관념을 인식하고, 그 고정관념을 실제로 드러낼 수도 있다는 불안감이나 걱정을 느낄 때 발생한다.[82] 고정관념 위협은 다양한 영역에서 수행 능력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83][84]



클로드 M. 스틸과 조슈아 아론슨은 고정관념 위협이 표준화 시험의 지적 수행 능력을 저하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는 최초의 실험을 수행했다. 한 연구에서 그들은 흑인 대학생들이 언어 시험에서 지능을 측정하는 것으로 제시되었을 때 백인 학생들보다 낮은 점수를 받았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 방식으로 제시되지 않았을 때, 수행 능력 격차는 줄어들었다. 후속 실험에서는 시험이 지적 능력 진단이라고 제시하자 흑인 학생들이 자신의 집단에 대한 부정적인 고정관념을 더 많이 인식하게 되었고, 이는 결과적으로 그들의 수행 능력을 저하시켰다.[85] 고정관념 위협 효과는 학문뿐만 아니라 스포츠,[86] 체스[87] 및 비즈니스[88]를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사회 집단에 대해 입증되었다.

일부 연구자들은 고정관념 위협을 실제 생활에서의 성과 격차의 요인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고 제안하며, 출판 편향의 가능성을 제기했다.[89][90][91] 다른 비판가들은 큰 영향을 보여주는 초기 연구에 대한 오해라고 주장하는 점을 바로잡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92] 그러나, 메타 분석과 체계적인 검토는 고정관념 위협 효과에 대한 상당한 증거를 보여주었지만, 이 현상은 지나치게 단순한 특징 규정을 거부한다.[93][94][95][96][97][98][99][100]

7. 3. 자기 충족적 예언

고정관념은 특정 사회 집단에 속한 구성원들에게 어떤 행동을 기대하게 만든다. 이러한 기대는 자기 충족적 예언으로 이어질 수 있는데, 이는 잘못된 기대가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그 사람을 고정관념에 맞는 방식으로 행동하게 만들어, 결국 처음에 가졌던 잘못된 기대를 확증하고 고정관념을 정당화하는 현상이다.[101][102][103]

Word, 자나, Cooper(1974)는 면접 상황에서 고정관념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보여주었다. 백인 참가자들은 흑인 및 백인 지원자들을 면접했는데, 면접 전에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행동하도록 훈련받았다. 면접을 비디오로 분석한 결과, 흑인 지원자들은 면접 시간이 짧고 눈 맞춤이 적었으며, 면접관들은 말더듬, 불완전한 문장, 앞뒤가 맞지 않는 소리 등 더 많은 말실수를 하고 흑인 지원자들과 거리를 두는 등 다르게 대우받았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훈련된 면접관들이 모든 지원자(백인)를 첫 번째 실험에서 흑인 또는 백인에게 했던 것과 같은 방식으로 대하도록 했다. 그 결과, 첫 번째 실험에서 흑인처럼 대우받은 지원자들은 더 불안해했고, 이전에 백인에게 제공되었던 대우를 받은 지원자들보다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104]

Snyder, Tanke, 버샤이드(1977)의 연구는 남성과 여성 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서도 비슷한 패턴을 발견했다. 남성 대학생들은 육체적 매력이 있거나 없다고 생각하는 여성 대학생들과 전화 통화를 했다. 대화 내용을 녹음해 분석한 결과, 매력적인 여성과 대화한다고 생각한 남성들은 매력 없는 여성과 대화한다고 믿는 남성들보다 더 긍정적이고 친근하게 소통했다. 이는 여성의 행동을 변화시켜, 육체적으로 매력적이라고 여겨진 여성들은 그렇지 않은 여성들보다 더 친근하고 호감이 가며 사교적으로 행동했다.[105]

J. Thomas Kellow와 Brett D. Jones(2005)의 연구는 자기 충족적 예언이 아프리카계 미국인과 백인 고등학생 신입생에게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백인과 흑인 학생 모두 자신의 시험 성적이 주 전체의 중요한 표준화 시험 성적을 예측한다는 말을 들었다. 또한 역사적으로 백인 학생들이 흑인 학생들보다 시험에서 더 높은 성적을 냈다는 말을 들었다. 이러한 지식은 백인 학생과 흑인 학생 모두에게 자기 충족적 예언을 만들어냈고, 백인 학생들은 시험에서 아프리카계 미국인 학생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받았다. 고정관념 위협은 아프리카계 미국인 학생들이 표준화된 시험에서 저조한 성적을 보이는 결과를 낳았다.[106]

7. 4. 차별과 편견

고정관념은 사회적 현실을 단순화하고 정당화하기 때문에 사람들이 서로를 인식하고 대하는 방식에 잠재적으로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109] 결과적으로 고정관념은 노동 시장 및 기타 영역에서 차별로 이어질 수 있다.[110]

예를 들어, 틸치크(Tilcsik)의 2011년 연구에 따르면 전형적인 남성적 이성애적 특성을 가진 구직자를 찾는 고용주는 게이 남성에 대한 차별을 특히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적 지향에 따른 차별이 부분적으로 특정한 고정관념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이러한 고정관념이 많은 노동 시장에서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것을 시사한다.[18] 아게르스트룀(Agerström)과 루트(Rooth)의 2011년 연구에서는 암묵적 연상 검사로 포착된 자동적인 비만 고정관념이 비만인에 대한 실제 채용 차별을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111] 유사하게, 여러 실험에서 성별 고정관념이 채용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판단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98][112]

고정관념은 인종차별적 편견을 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학자와 활동가들은 선불 사기범을 지칭하기 위해 "나이지리아 왕자"라는 고정관념을 사용하는 것이 인종차별적이라고 경고했다. 즉, "나이지리아를 사기꾼과 사기 왕자의 국가로 축소하는 것, 즉 일부 사람들이 여전히 온라인에서 하는 것처럼, 시정되어야 할 고정관념"이다.[113]

7. 5. 자기 고정관념

고정관념은 자기 평가에 영향을 미쳐 자기 고정관념으로 이어질 수 있다.[8][114] 예를 들어, 여성은 수학 능력이 떨어진다는 고정관념은 여성과 남성의 능력 평가에 영향을 미쳐, 동일한 수준의 과제를 수행하는 여성보다 남성이 자신의 과제 능력을 더 높게 평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115][116] 이와 유사하게, 아시아계 미국인 여성은 자신의 민족성과 관련된 긍정적인 고정관념(예: 아시아계 미국인은 수학에 뛰어나다)이 부각될 때 자신의 수학 능력을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반면, 여성의 수학 능력에 대한 부정적인 고정관념이 부각될 때는 자신의 능력을 덜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러나 이러한 고정관념이 자기 평가에 미치는 영향은 주변 사람들이 그 고정관념을 얼마나 지지하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117]

고정관념은 또한 사람들이 자신에 대해 부정적인 자기 고정관념을 가질 때 우울증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부정적인 고정관념은 자기-도식으로 특징지어지는 우울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낙인찍힌 집단의 구성원은 자신의 집단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를 내면화하여 우울증을 겪을 수 있다. 또한, 언어적, 신체적 학대와 같은 부정적인 어린 시절 경험으로 인해 자기 고정관념을 통해 편견을 내면화할 수도 있다.[118]

8. 예술과 문화에서의 역할

고정관념은 다양한 문화 매체에서 흔히 나타나며, 드라마틱한 전형적인 인물의 형태를 띤다. 광고, 시트콤, 영화와 같은 매체에서는 즉각적으로 인지될 수 있는 고정관념을 활용하여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꾀한다.[121]

영화에 등장하는 캐릭터는 전 세계 사람들이 성 관계, 인종, 문화 공동체를 인식하는 방식에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전 세계 티켓 판매의 약 85%를 차지하는 할리우드 영화 산업은 다양한 문화와 배경을 가진 캐릭터를 고정관념적 범주에 맞게 묘사하는 경향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123] 예를 들어, 러시아인은 할리우드 영화에서 냉혹한 요원, 잔혹한 폭력배, 악당 등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124][125][126] 라틴 아메리카인은 주로 성적인 존재나 갱 단원, (불법) 이민자 등으로 묘사되며, 직업적인 전문가나 사업가, 정치인으로 묘사되는 경우는 드물다.[98]

문학과 예술에서 고정관념은 진부하거나 예측 가능한 인물 또는 상황을 의미한다. 스토리텔러들은 이러한 고정관념을 활용하여 청중이 이야기에 즉시 공감하도록 유도한다.[132] 이야기나 픽션에서 전형적인 인물상이 나타나는데, 권선징악 이야기에서 선역과 악역은 각각 그에 맞는 모습과 언행을 보인다.

만화의 악역상


대중을 위한 오락 목적의 소설, 영화, 드라마 등에서는 인물, 이야기 구성, 플롯, 전개, 결말 등이 모두 고정관념화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9. 고정관념의 예

고정관념은 다양한 영역에서 나타나며, 통계적, 과학적 근거가 없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 아시아인은 수학을 잘하고, 흑인은 랩과 운동을 잘하며, 남자가 먼저 사랑을 고백해야 하고, 여자는 남자보다 약하다는 고정관념이 있다.
  • 대한민국의 TV 프로그램 대탈출3 아차랜드 편에서는 멤버들이 범인이 남자라는 고정관념을 갖고 진행했지만, 결론적으로 범인은 여자였다.[169]


이러한 고정관념은 편견이나 차별로 이어질 수 있다. 미디어나 주변 사람들의 말에 영향을 받아 무비판적으로 고정관념을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다. 객관적인 근거 없이 개인의 생각이나 관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단순화된 고정관념을 가지게 되면, 당사자는 이해하고 있다는 착각에 빠지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다.

9. 1. 성별, 신체적 특징


  • 동성애자 - 2006년 11월에 의결된 국제 인권법에 관한 욕야카르타 원칙은 이러한 고정관념을 편견이나 차별의 요인으로 간주하여 국가 및 사회에 그 철저한 철폐를 요구하고 있다.
  • 혈액형 성격설 - 일본대한민국 이외의 나라에서는 이러한 고정관념은 보이지 않는다. 과학적으로 입증된 예는 없다.
  • 여성은 운전을 못하고 방향치라는 고정관념이 있다.[153]
  • 남성은 마초적이며 여성보다 성욕이 강하고, 동시에 여러 가지 일을 처리할 수 없다는 고정관념이 있다.[153]


9. 2. 인종, 국적, 피부색 등


  • 뉴욕 타임스는 미국인의 대표적인 고정 관념으로 욕심 있는 유대인, 비열한 중국인, 바보 영국인, 게으른 흑인 등을 들고 있다.[154] 미국 내 인종 및 국적에 따른 고정관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영어 위키백과의 :en:Stereotypes of groups within the United States를 참조할 수 있다.
  • 일본인에 대한 고정관념은 다음과 같다.
  • 안경을 쓰고, 덧니에 키가 작고, 목에 카메라를 걸고 있다는 이미지가 있다(이는 전후 일본 단체 여행객의 인상이 강했기 때문이다).
  • 항상 미소를 짓고, 예스와 노가 모호하다.
  • 개인주의적인 서양인에 비해 집단주의적이며, 수치심의 문화를 가지고 있다.
  • 포로가 되어 모욕을 받느니 깨끗하게 죽음을 선택하며 (전진 훈), "하라키리"나 "반자이 돌격", "가미카제"에 이른다.
  • 영어 발음이 서툴고 독특한 문법의 영문을 만든다.
  • 손재주가 좋고 물건 만들기를 잘한다는 이미지도 있다.
  • 일본 여성에 대해서는 정숙하고 남편을 받드는 헌신적(예속적이라고 여겨지는 경우도 있다)이라는 고정관념이 일본 외의 국가에 존재한다. 한편으로는 성적으로 방종하고 백인 남성에게 약한 "게이샤걸"[162]의 이미지도 일부 있다.
  • 일본 남성에 대해서는 일 중독에 빠져 돈벌이에 열심 (경제 동물), 근면함이 지나쳐 과로사 (Karoshi)한다. 성기가 작다[163], 호색[164], 남존여비, 오타쿠 등의 고정관념이 서양 일부에 보인다.
  • 이슬람교도는 테러리스트라는 고정관념이 있다 (기독교 국가에서 퍼뜨린 이슬람 혐오)[153]
  • 이탈리아인파스타피자를 먹는다는 고정관념이 있다[153]
  • 유대인은 "유대인은 교육에 열성적"이라는 고정관념이 있으며, 과도한 교육열을 "유대인 어머니 (Jewish mother영어)"라고 부른다.
  • 그리스인은 교활하다는 고정관념이 있다[153]
  • 흑인체취가 강하다는 고정관념이 있다[153]。 일본에서는 흑인 차별을 없애는 모임의 항의 활동으로 인해 고정관념으로 묘사된 그림책 『검둥이 삼보』의 절판, 칼피스의 등록상표 사용 중지, 후지코 프로의 『유령 Q타로』의 특정 에피소드 게재 중지 및 이후 게재 중단, 닷코짱의 판매 중단으로 이어졌다. 이후 출판사나 애니메이션 제작사 등에서는 작품에 흑인 자체를 등장시키는 것을 금기시하고 자제했다. 자제가 없어지고 흑인이 등장하게 되더라도 "댄서나 운동선수", "근육질에 쾌활함" 등 새로운 고정관념이 나타나고 있다[155][156]
  • 스코틀랜드인은 "구두쇠"라는 고정관념이 있다[153]
  • 독일인은 근면하고 합리적이지만, 맥주를 좋아한다는 이미지가 있다.
  • 중국인은 인구 수에 따라 번식 능력이 높은 인종으로 여겨진다.[153] 최근에는 타이거 맘 등 새로운 이미지도 등장하고 있다.
  • 동양인은 인사할 때 반드시 합장하고 을 한다. 이공계 학과를 잘한다[157]。그에 반해, 사물에 대해 대충 하는 면이 있다. 시간과 약속에 대해 엉성하다. 조용하고, 집단적이고, 세탁소를 경영하고, 근면하며, 윗사람에게 절대 복종한다 등. 명상 (불교수행)을 하기 때문에 정신이 안정되어 있다. 가라테・유도권법 등 격투기의 달인이다.
  • 러시아인은 술고래이며 민주주의적인 생각을 받아들이지 않는 인종이라는 고정관념이 있다[153]

9. 3. 직업, 학업


  • 문과와 이과
  • * 이과 - 백의를 입는 경우가 많다. 따지기를 좋아하는 경향이 있다. 팝 컬처에서 과학자의 고정관념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로 아인슈타인이 있다. 부스스한 백발에 백의를 입고 있다는 이미지는 많은 픽션과 영화에서 사용되었다(실제로는 그는 백의를 입지 않았다. 자세한 내용은 :en:Albert Einstein in popular culture 참조). 매드 사이언티스트는 비정상적인 지식·기술력과 연구욕, 공명심을 가지는 한편, 일반적인 도덕심이나 윤리, 사회 통념을 결여하거나 무시하며 정신적으로 불안정한 경우가 많다.
  • 미국경찰이 자주 도넛 가게에서 도넛과 커피를 주문하는 것은 고정관념의 한 예라고 할 수 있다.
  • 스포츠 선수는 머리가 나쁘다는 고정관념이 있다.

9. 4. 취미, 기호

애니메이션, 게임 등 특정 취미를 가진 사람은 용모가 좋지 않다는 고정관념이 있다.[169] 오타쿠는 사회 부적응자라는 편견에 기초한 고정관념은 1990년대 초반에 나타나 지금도 굳건히 남아 있다.[169]

10. 비판 및 논란

고정관념은 효율적인 지름길이자 의미를 부여하는 도구가 될 수 있지만, 개별 인물에 대한 새롭거나 예상치 못한 정보를 처리하는 것을 방해하여 인상 형성 과정에 편견을 줄 수 있다.[6] 초기 연구자들은 고정관념이 현실에 대한 부정확한 표현이라고 믿었다.[70] 1930년대의 여러 선구적인 연구에서는 널리 퍼진 인종적 고정관념에 대한 실증적 근거가 발견되지 않았다.[71] 1950년대 중반, 고든 올포트는 "모든 증거를 무시하고 고정관념이 생겨날 수 있다"고 언급했다.[33]

환상 상관관계가 고정관념 형성에 미치는 역할에 대한 연구는 고정관념이 두 사건(예: 사회 집단 구성원과 나쁜 또는 좋은 속성) 간의 관계에 대한 잘못된 추론 때문에 발생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적어도 일부 고정관념이 부정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44][46][48][72]

1995년 유에팅 리 등의 저서에서는 고정관념이 때로는 정확하다고 주장했다.[73] 마찬가지로, 2015년 저심 등의 연구에서는 인구 통계학적 특성, 학업 성취, 성격 및 행동에 관한 인종적 고정관념에 대한 4건의 연구와 성별 고정관념에 대한 7건의 연구를 검토하여, 민족적 및 성별 고정관념의 일부 측면은 정확하지만, 정치적 소속 및 국적에 관한 고정관념은 훨씬 덜 정확하다고 주장했다.[74]

2005년 테라치아노 등의 연구에서는 국적에 대한 전형적인 믿음이 서로 다른 문화권의 사람들의 실제 성격 특성을 반영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다.[75]

1973년 논문에서 말린 맥키는 고정관념이 부정확하지만, 이것은 실증적 주장이 아닌 정의라고 주장했다. 고정관념은 단지 부정확하다고 정의되었으며, 고정관념의 부정확성은 실증적 발견인 것처럼 취급되었다.[76]

참조

[1] 웹사이트 This is Why Doughnuts Are Associated With Cops https://spoonunivers[...] Spoon University 2017-11-15
[2] 서적 Dictionary of Psychology https://archive.org/[...] Fitzroy Dearborn 1999
[3] 서적 Intuition: Its Powers and Perils Yale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s://implicit.har[...] 2018-04-14
[5] 간행물 Implicit stereotypes and the predictive brain: Cognition and culture in "biased" person perception 2017-09-01
[6] 서적 Stereotypes as explanations: The formation of meaningful beliefs about social group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7] 간행물 Definition and assessment of accuracy in social stereotypes 1993
[8] 간행물 Stereotypes, Prejudice, and Depression: The Integrated Perspective 2012-09
[9] 간행물 Stereotypes in social psychology: The 'West-East' differentiation as a reflection of Western traditions of thought https://www.ssoar.in[...] 2010-03
[10] 웹사이트 στερεός https://www.perseus.[...]
[11] 웹사이트 τύπος https://www.perseus.[...]
[12] 웹사이트 stereotype – Origin and meaning http://www.etymonlin[...] 2017-10-22
[13] 서적 Hate, Prejudice and Racism https://archive.org/[...]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3
[14] 뉴스 Working while brown: What discrimination looks like now https://money.cnn.co[...] 2018-03-26
[15] 서적 The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McGraw-Hill 1998
[16] 서적 The Corsini Encyclopedia of Psychology John Wiley 2010
[17] 간행물 Stereotypes and Prejudice: Their Automatic and Controlled Components https://www.research[...] 1989
[18] 간행물 Pride and Prejudice: Employment Discrimination against Openly Gay Men in the United States 2011
[19] 서적 Blackwell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Intergroup Processes Blackwell 2003
[20] 간행물 A Model of (Often Mixed) Stereotype Content: Competence and Warmth Respectively Follow From Perceived Status and Competition http://www.cos.gatec[...] 2002
[21] 서적 Ageism: Stereotyping and Prejudice against Older Persons MIT Press 2002
[22] 서적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https://archive.org/[...] John Wiley 2010
[23] 간행물 Stereotype content model across cultures: Towards universal similarities and some differences 2009-03
[24] 논문 "The ABC of Stereotypes About Groups: Agency/Socioeconomic Success, Conservative-Progressive Beliefs, and Communion" 2016
[25] 논문 "Groups' warmth is a personal matter: Understanding consensus on stereotype dimensions reconciles adversarial models of social evaluation"
[26] 논문 "Chapter One – Social evaluation: Comparing models across interpersonal, intragroup, intergroup, several-group, and many-group contexts" Academic Press 2021
[27] 문서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gency and communion by means of lay personality theories and connectionist modelling" https://doi.org/10.3[...]
[28] 문서 "Theory-grounded Measurement of U.S. Social Stereotypes in English Language Models" 2022
[29] 논문 "The ABC of society: Perceived similarity in agency/socioeconomic success and conservative-progressive beliefs increases intergroup cooperation" 2020
[30] 서적 Intergroup behaviour Blackwell 1981
[31] 서적 Stereotypes and Stereotyping 1995
[32] 서적 Stereotypes as explanations: The formation of meaningful beliefs about social group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33] 서적 The Nature of Prejudice https://archive.org/[...] Addison-Wesley 1954
[34] 간행물 Stereotypes as Explanations 2002
[35] 간행물 Comparing Self-stereotyping with In-group-stereotyping and Out-group-stereotyping in Unequal-status Groups: The Case of Gender 2013
[36] 논문 Endorsing a negative in-group stereotype as a self-protective strategy: Sacrificing the group to save the self 2008
[37] 서적 Social Psychology Pearson 2010
[38] 서적 Stereotypes and Stereotyping Guilford Press 1996
[39] 논문 Social attribution, correspondence bias, and the emergence of stereotypes http://www.psor.ucl.[...] 2013-04-05
[40] 논문 Group status, perceptions of agency, and the correspondence bias: Attributional processes in the formation of stereotypes about high and low status groups 2012
[41] 논문 Unconscious Bias in Citizens' Evaluations of Public Sector Performance 2015-01-30
[42] 논문 Processing stereotypes: Professionalism confirmed or disconfirmed by sector affiliation? 2021-09-22
[43] 논문 Public servant stereotypes: It is not (at) all about being lazy, greedy and corrupt 2020
[44] 논문 Distinctiveness-based illusory correlations and stereotyping: A meta-analytic integration 1990
[45] 서적 Information Sampling and Adaptive Cogn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46] 논문 Illusory correlation in interpersonal perception: A cognitive basis of stereotypic judgments 1976
[47] 서적 Stereotypes as explanations: The formation of meaningful beliefs about social group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48] 서적 Cognitive Social Psychology: The Princeton Symposium on the Legacy and Future of Social Cogniti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001
[49] 논문 Social Networks Among Blacks and Whites: The Interaction Between Race and Age 2001-03-01
[50] 서적 Social Cognition: Understanding Self and Others https://books.google[...] Guilford Press 2005
[51] 논문 A Comparison of Racial Stereotypes of 1935 and 1942 1943
[52] 논문 Context-dependent variation in social stereotyping 1: The effects of intergroup relations as mediated by social change and frame of reference 1992
[53] 서적 Stereotyping and Social Reality Blackwell 1994
[54] 논문 International Migration and Stereotype Formation: Indonesian Migrants in Hong Kong https://figshare.com[...] 2019
[55] 서적 Dual-Process Theories in Social Psychology Guilford Press 1999
[56] 서적 Handbook of Social Cognition https://archive.org/[...] Lawrence Earlbaum 1994
[57] 논문 Automatic Stereotyping https://web.archive.[...] 2013-01-12
[58] 논문 Evidence for the automaticity of ageism 1990
[59] 서적 Prejudice: Its Social Psychology https://books.google[...] Wiley-Blackwell 2010
[60] 논문 Category and Stereotype Activation: Is Prejudice Inevitable? http://www.atkinson.[...] 1997
[61] 논문 Just say no (to stereotyping): Effects of training in the negation of stereotypic associations on stereotype activation 2000
[62] 논문 When 'Just Say No' is not enough: Affirmation versus negation training and the reduction of automatic stereotype activation 2008
[63] 논문 The Effects of Stereotype Activation on Behavior: A Review of Possible Mechanisms http://www.communica[...] 2013-06-10
[64] 서적 Handbook of self and identity Guilford Press 2012
[65] 서적 Social influence: direct and indirect processes Psychology Press 2001
[66] 서적 How People Evaluate Others in Organizations https://archive.org/[...] Lawrence Erlbaum 2001
[67] 서적 Encyclopedia of Clinical Neuropsychology 2011
[68] 논문 Automaticity of Social Behavior: Direct Effects of Trait Construct and Stereotype Activation on Action http://www.yale.edu/[...] 2013-06-10
[69] 논문 The Police Officer's Dilemma: Using Ethnicity to Disambiguate Potentially Threatening Individuals 2002
[70] 논문 Racial stereotypes of one hundred college students 1933
[71] 논문 Racial prejudice and racial stereotypes 1935
[72] 논문 Illusory correlation in the perception of groups: an extension of the distinctiveness-based account http://allenmcconnel[...] 1994
[73] 서적 Stereotype Accuracy: Toward Appreciating Group Difference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95-09
[74] 서적 Handbook of prejudice, stereotyping, and discrimination https://archive.org/[...] Psychology Press 2009
[75] 논문 National Character Does Not Reflect Mean Personality Trait Levels in 49 Cultures 2005
[76] 간행물 Arriving at "truth" by definition: The case of stereotype inaccuracy. 1973
[77] 서적 The Developmental Social Psychology of Gender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000
[78] 서적 The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79] 서적 The Psychology of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https://books.google[...] Wadsworth / Cengage Learning 2010
[80] 논문 Social stigma: The affective consequences of attributional ambiguity 1991
[81] 논문 Linking Stereotype Threat and Anxiety 2007
[82] 서적 The SAGE Handbook of Prejudice, Stereotyping and Discrimination SAGE Publications 2010
[83] 서적 Stereotype Threat: Theory, Process, and Applic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84] 서적 Handbook of Competence and Motivation Guilford Press 2005
[85] 논문 Stereotype threat and the intellectual test performance of African Americans http://users.nber.or[...] 1995-11
[86] 논문 Stereotype threat effects on Black and White athletic performance 1999
[87] 논문 Checkmate? The role of gender stereotypes in the ultimate intellectual sport http://clarksvillech[...] 2012-09-05
[88] 논문 The Influence of Proactive Personality and Stereotype Threat on Women's Entrepreneurial Intentions 2007
[89] 논문 An examination of stereotype threat effects on girls' mathematics performance https://dl.dropboxus[...] 2013-10
[90] 논문 Can stereotype threat explain the gender gap in mathematics performance and achievement? 2012
[91] 논문 Does stereotype threat influence performance of girls in stereotyped domains? A meta-analysis 2014
[92] 논문 On interpreting stereotype threat as accounting for African American-White differences on cognitive tests http://www2.uni-jena[...] 2004-01
[93] 논문 Twenty Years of Stereotype Threat Research: A Review of Psychological Mediators 2016-01-11
[94] 논문 Does stereotype threat affect test performance of minorities and women? A meta-analysis of experimental evidence 2008-11
[95] 논문 Latent ability: grades and test scores systematically underestimate the intellectual ability of negatively stereotyped students 2009-09
[96] 논문 'You play like a Woman!' Effects of gender stereotype threat on Women's performance in physical and sport activities: A meta-analysis 2018-11-01
[97] 논문 A review and meta-analysis of age-based stereotype threat: negative stereotypes, not facts, do the damage 2015-03
[98] 논문 Exploring the moderating role of context on the mathematics performance of females under stereotype threat: a meta-analysis 2013-05
[99] 논문 Effectiveness of stereotype threat interventions: A meta-analytic review 2021-06
[100] 논문 A scoping review of stereotype threat for BIPOC: Cognitive effects and intervention strategies for the field of neuropsychology 2022-02
[101] 서적 Social psychology https://books.google[...] Wadsworth / Cengage Learning 2011
[102] 서적 Prejudice: Its Social Psychology https://books.google[...] Wiley-Blackwell 2010
[103] 논문 Nonconscious Behavioral Confirmation Processes: The Self-Fulfilling Consequences of Automatic Stereotype Activation http://www.yale.edu/[...] 2013-04-05
[104] 논문 The nonverbal mediation of self-fulfilling prophecies in interracial interaction 1974
[105] 논문 Social perception and interpersonal behavior: On the self-fulfilling nature of social stereotypes http://jefferson.lib[...] 1977
[106] 논문 The Effects of Stereotypes on the Achievement Gap: Reexamining the Academic Performance of African American High School Students 2008-02
[107] 논문 The beancounter stereotype: Towards a general model of stereotype generation 2001
[108] 논문 Jokes in popular culture: The characterisation of the accountant 2012
[109] 서적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Pergamon 2002
[110] 서적 Diversity at W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111] 논문 The role of automatic obesity stereotypes in real hiring discrimination 2011
[112] 논문 Prescriptive Gender Stereotypes and Backlash toward Agentic Women https://wesfiles.wes[...] 2001
[113] 논문 Anti-Afropolitan ethics and the performative politics of online scambaiting https://www.tandfonl[...] 2020-09-09
[114] 서적 Stigma and Group Inequality: Social Psychological Perspective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006
[115] 논문 Gender and the career choice process: The role of biased self-assessments http://www.chaire-cr[...] 2001
[116] 논문 Constraints into Preferences: Gender, Status, and Emerging Career Aspirations http://people.uncw.e[...] 2004
[117] 논문 Self-Stereotyping in the Context of Multiple Social Identities http://psych.princet[...] 2006
[118] 논문 Implicit Social Cognitive Processes Underlying Victim Self and Identity: Evidence With College-Aged Adults 2017-11-14
[119] 논문 Recognizing Stereotypes as Substitutes for Thought 1950
[120] 논문 Using information literacy to promote critical thinking 2000-12
[121] 웹사이트 Lesson 2 – Stock Characters http://tedb.byu.edu/[...] 2018-03-30
[122] 논문 Media Stereotypes Analysis in the Classroom at the Student Audience 2015
[123] 논문 'The Little State Department': Hollywood and the MPAA's Influence on U.S. Trade Relations https://scholarlycom[...] 2008-01
[124] 뉴스 Will the cliche of the 'Russian baddie' ever leave our screens? https://www.theguard[...] 2017-07-10
[125] 뉴스 Russian film industry and Hollywood uneasy with one another https://www.foxnews.[...] Fox News 2014-10-14
[126] 뉴스 5 Hollywood Villains That Prove Russian Stereotypes Are Hard to Kill https://www.themosco[...] 2015-08-09
[127] 뉴스 Hollywood stereotypes: Why are Russians the bad guys? https://www.bbc.com/[...] 2014-11-05
[128] 논문 Stereotyping in films in general and of the Hispanic in Particular 1990-06
[129] 논문 Work–Family Imagery and Gender Stereotypes: Television and the Reproduction of Difference https://www.scienced[...] 1997-04
[130] 서적 Handbook of Research on Effective Electronic Gaming in Education Information Science Reference 2008-01
[131] 논문 Playing With Prejudice: The Prevalence and Consequences of Racial Stereotypes in Video Games 2011-09-15
[132] 논문 The Influence of Reader's Stereotypes on the Assessment of Fictional Characters 2017
[133] 논문 Stereotypes in Women's Sports and their Psychological Effects https://digitalcommo[...] 2021-05-05
[134] 서적 ステレオタイプの社会心理学 サイエンス社 2002
[135] 서적 Dictionary of psychology https://archive.org/[...] Chicago Fitzroy Dearborn 1999
[136] 서적 Social psychology https://www.worldcat[...] McGraw-Hill 2013
[137] 웹사이트 Truth, lies and stereotypes: when scientists ignore evidence – Lee Jussim https://aeon.co/essa[...] 2021-03-13
[138] 웹사이트 webio「stereo typical」 https://ejje.weblio.[...]
[139] 서적 Stereotypes as explanations: The formation of meaningful beliefs about social group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140] 논문 Racial stereotypes of one hundred college students 1933
[141] 논문 Racial prejudice and racial stereotypes
[142] 서적 The Nature of Prejudice https://archive.org/[...] Addison-Wesley
[143] 논문 Distinctiveness-based illusory correlations and stereotyping: A meta-analytic integration
[144] 논문 Illusory correlation in interpersonal perception: A cognitive basis of stereotypic judgments
[145] 서적 Cognitive Social Psychology: The Princeton Symposium on the Legacy and Future of Social Cogniti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46] 논문 Illusory correlation in the perception of groups: an extension of the distinctiveness-based account http://allenmcconnel[...]
[147] 서적 Stereotype Accuracy: Toward Appreciating Group Difference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95-09-01
[148] 논문 Stereotype (In)Accuracy in Perceptions of Groups and Individuals https://semanticscho[...]
[149] 서적 Handbook of prejudice, stereotyping, and discrimination https://archive.org/[...] Psychology Press
[150] 논문 National Character Does Not Reflect Mean Personality Trait Levels in 49 Cultures
[151] 웹사이트 Truth, lies and stereotypes: when scientists ignore evidence – Lee Jussim {{!}} Aeon Essays https://aeon.co/essa[...] 2021-03-13
[152] 간행물 Arriving at "truth" by definition: The case of stereotype inaccuracy.
[153] 서적 Délires racistes et savants fous, Male Sex Role Conflicts, Sexism, and Masculinity: Psychological Implications for Men, Women, and the Counseling Psychologist, La Force du préjugé. Essai sur le racisme et ses doubles, Le Racisme : un exposé pour comprendre, un essai pour réfléchir éditions Pocket, The Counseling Psychologist, La Découverte, Gallimard, Flammarion
[154] 뉴스 こいつは人種差別主義者だ。だけど、ねえ、それがディズニーなのさ(It's Racist, But Hey, It's Disney) ニューヨーク・タイムズ紙 1993-07-14
[155] 웹사이트 あの名作マンガの主要人物が黒人の理由 メディアの先を行く現実: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2024-09-08
[156] 웹사이트 人気マンガ「映像研」の大童澄瞳さんに聞く、マイノリティーの描き方: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2024-09-08
[157] 웹사이트 Chapter 1: Elementary and Secondary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 Figures http://www.nsf.gov/s[...]
[158] 웹사이트 LPGA reverses xenophobia http://www.examiner.[...] examiner.com 2008-10-06
[159] 웹사이트 New tourism agency to act as policy 'control tower' http://search.japant[...] The Japan Times Online 2008-10-06
[160] 웹사이트 THE CHANGING SHAPE OF JAPANESE TEETH:New Cosmetic Treatments Promote Smiles http://web-japan.org[...] Trends in JAPAN 2008-10-06
[161] 웹사이트 RELAX AND SAY 'AHHH'There's no need to grit your teeth http://search.japant[...] The Japan Times 2008-10-06
[162] 서적 The Asian Mystique: Dragon Ladies, Geisha Girls & Our Fantasies of the Exotic Orient PublicAffairs
[163] 웹사이트 South Park Season 3 Epsode 11 - Chinpoko Mon http://www.twiztv.co[...] WWW.TWIZTV.COM 2008-10-06
[164] 웹사이트 My Dog Jackie and Japanese Porn http://jp.youtube.co[...] YouTube: kevjumba 2008-10-06
[165] 문서 尤も、同じ区部でも大根の産地として知られる練馬区がある
[166] 웹사이트 アニマルファッション東阪一致!?か? http://www.seikatsus[...]
[167] 웹사이트 1946年のTIME誌の表紙 http://content.time.[...]
[168] 웹사이트 This is Why Doughnuts Are Associated With Cops https://spoonunivers[...] Spoon University 2020-11-02
[169] 웹인용 방심위 측 "'대탈출3' 성인지감수성 결여→'부부의 세계' 폭행, 행정지도 결정" http://mstoo.asiae.c[...] 2020-05-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