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살바도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살바도르는 엘살바도르의 수도이자 경제, 금융, 문화의 중심지이다. 피필족이 쿠스카틀란을 건설했던 지역으로, 스페인 식민지 시대와 중앙아메리카 연방 시절을 거쳐 엘살바도르 공화국의 수도가 되었다. 1811년 중미 최초의 독립을 선포한 곳이며, 1854년 대지진 이후 수도가 산타 테클라로 이전되었다가 재건 후 다시 수도가 되었다. 1986년 지진, 1992년 내전 종식, 2001년 지진 등 여러 사건을 겪었다. 쾨펜의 기후 분류상 열대 몬순 기후에 속하며, 엘살바도르의 경제 활동을 주도하며, 서비스업, 금융,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이 이루어진다. 문화적으로는 스페인 유산을 간직하고 있으며, 다양한 건축물과 박물관이 존재한다. 대중교통 시스템이 잘 갖춰져 있으며, 공항과 도로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살바도르 - 엘살바도르 국제공항
엘살바도르 국제공항은 1980년 쿠스카틀란 국제공항으로 개항하여 2014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지만, 여전히 널리 알려져 있으며 아비앙카 엘살바도르의 허브 공항으로서 중미, 북미, 남미, 유럽을 연결하는 엘살바도르의 주요 관문이다. - 엘살바도르의 도시 - 손소나테
손소나테는 센수낫 강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네 개의 백 개의 물' 또는 '네 개의 백 개의 샘'으로 해석되며, 역사적으로 목화 생산지였으나 현재는 담배 농업, 축산업, 관광업이 주요 산업이다. - 엘살바도르의 도시 - 산비센테 (엘살바도르)
엘살바도르의 산비센테는 산비센테 로마 가톨릭 교구의 주교좌가 있는 도시로, 온천과 간헐천이 풍부한 화산 지역에 위치하며, 카냐스 공원, 산비센테 탑, 아마풀라파 등의 명소가 있다. - 북아메리카에 위치한 수도 - 포르토프랭스
포르토프랭스는 곤아브 만에 위치한 아이티의 수도로, 1749년 건설되어 2010년 대지진과 갱단 발호로 피해를 입었으며, 커피와 설탕 수출이 주요 산업이고 투생 루베르튀르 국제공항이 위치해 있다. - 북아메리카에 위치한 수도 - 오타와
오타와는 캐나다의 수도이자 온타리오주에 위치한 도시로, 1826년 정착지 건설, 리도 운하 건설, 1857년 수도 지정, 다양한 문화 시설과 축제로 유명하며, 오타와 시의회에 의해 통치되고 대중교통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산살바도르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산살바도르 시 |
별칭 | 엘 바예 데 라스 아마카스 |
![]() | |
![]() | |
표어 | 우리 수도 – 2011 이베로-아메리카 문화 수도 |
위치 | 엘살바도르 |
하위 행정 구역 종류 | 도 |
하위 행정 구역 | 산살바도르 주 |
광역 도시권 | 산살바도르 광역권 |
설립 구분 | 건설 |
설립일 | 1525년 |
설립자 | 페드로 데 알바라도 |
명칭 유래 | 신성한 구세주가 기념비에 놓여짐 |
면적 | 72.25 제곱킬로미터 |
도시권 면적 | 651.31 제곱킬로미터 |
해발 고도 | 658 미터 |
시간대 | 북미 중부 표준시 |
UTC 오프셋 | -6 |
우편 번호 종류 | SV-SS |
우편 번호 | CP 1101 |
지역 번호 | + 503 |
인구 통계 종류 | HDI (2018) |
인구 통계 정보 | 0.704 - |
인구 통계 정보 출처 | GlobalDataLab |
정치 | |
정부 형태 | 시장-의회 정부 |
시장 | 마리오 두란 |
인구 | |
총인구 | 525,990 |
인구 조사 시점 | 2024년 |
인구 밀도 | 2901.4 명/제곱킬로미터 |
도시 인구 | 1,538,525명 |
광역권 인구 | 2,177,432명 |
광역권 인구 밀도 | 3,343.16 명/제곱킬로미터 |
인구 순위 | 엘살바도르 1위 |
인구 관련 설명 | 산살바도르 사람 |
인구 관련 설명 (스페인어) | 산살바도르인/산살바도르인 |
인구 관련 설명 (스페인어) 2 | 카피탈리노/카피탈리나 |
경제 | |
경제 지표 종류 | GDP (PPP, 2015년 불변 가격) |
년도 | 2023 |
총 GDP (광역권) | 147억 달러 |
1인당 GDP | 13,200 달러 |
경제 정보 출처 | TelluBase—엘살바도르 팩트 시트 |
기타 | |
공식 웹사이트 | sansalvador.gob.sv |
2. 역사
피필족은 스페인의 정복 이전, 현재 산살바도르 위치 근처에 수도 쿠스카틀란을 건설했다. 스페인 지배를 피하기 위해 주민들이 쿠스카틀란을 버렸기 때문에, 쿠스카틀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 콘키스타도르 페드로 데 알바라도의 명령에 따라 그의 동료 곤살로 데 알바라도와 디에고 데 올긴은 버려진 마을을 점령하고 개발하기 시작했다. 1525년 4월 1일 도시가 건설된 후 디에고 데 올긴은 산살바도르의 초대 시장이 되었다. 도시는 1528년과 1545년 두 차례 위치를 변경했다. 원래 현재의 시우다드 비에하 유적지(현재 도시 북쪽)에 세워졌지만, 강한 지진 활동으로 유명한 '발레 데 라스 아마카스'로 이전되었다. 아셀와테 강 덕분에 더 넓은 공간과 더 비옥한 토지가 있었기에 새로운 부지가 선택되었다. 20세기 초까지 도시 인구는 비교적 적었다.
1811년, 마누엘 호세 아르세가 산살바도르에서 중미 최초의 독립을 선포했다. 1821년, 과테말라 총독령이 독립했다. 1822년, 멕시코 제국에 정복당했다. 1823년, 멕시코 제국이 붕괴하고 중앙아메리카 연방이 성립되었다. 1835년, 자유주의자 프란시스코 모라산 대통령에 의해 중앙아메리카 연방의 수도가 되었다.
1839년, 중앙아메리카 연방이 붕괴했다. 1841년, 엘살바도르 공화국이 독립하자 산살바도르는 공화국의 수도가 되었다. 1854년, 대지진으로 도시가 파괴되어 산타 테클라로 수도를 이전했다. 1859년, 재건이 진행된 산살바도르로 다시 수도를 이전했다.
1885년 1월, 라파엘 잘디바르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사업가 그룹과 대통령 가족은 빈민과 노인들을 위한 사라 잘디바르 구호소 건설 자금을 기부했다. 1902년에는 병원과 고아원에 자신의 재산을 기부한 은행가 호세 로살레스의 후원을 받아 로살레스 병원이 건설되었다. 병원 건설은 카를로스 에세타 대통령이 시작하여 토마스 레갈라도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완료되었다. 1905년, 페드로 호세 에스칼론 대통령은 커피 수출세로 조달된 국립궁전 건설을 시작했다. 플라사 리베르타드에 위치한 '1811년 영웅 기념비' (Monumento a los Próceres de 1811)와 엘살바도르 국립극장은 마누엘 엔리케 아라우호 대통령 재임 기간인 1911년에 건설되었다.
1917년, 인근 산살바도르 화산 폭발 중 발생한 지진으로 도시가 피해를 입었지만, 용암이 화산 뒤쪽으로 흘러내렸기 때문에 추가 피해는 면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급속한 도시 성장으로 도시권이 확장되어 산살바도르 대도시권을 형성했다.
1931년 12월 2일, 아르투로 아라우호 대통령은 군사 쿠데타에 의해 축출되었고 군사 시민위원회에 의해 대체되었다. 위원회는 부통령 막시밀리아노 에르난데스 마르티네스를 대통령으로 임명했고, 아라우호는 망명했다. 에르난데스 마르티네스 정권은 1931년 12월 4일부터 1944년 5월 6일까지 지속되었다.
1964년, 기독민주당 후보 호세 나폴레옹 두아르테가 시장으로 선출되어 1964년부터 1970년까지 재임했다. 그의 재임 기간 동안 비스타 에르모사 지역에 판초 라라 공원을 건설을 지시하고 전력망을 개선했으며 성인 교육 시스템을 구축했다.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는 안보, 삶의 질, 현대화의 모든 면에서 산살바도르의 황금기였다.
1969년, 에스타디오 쿠스카틀란에서 온두라스와의 축구 전쟁에서 돌아온 군대를 기리는 행사가 열렸다. '영웅들의 대로'(Boulevard de los Héroes)는 그곳에서 싸운 엘살바도르 군인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1979년, 엘살바도르 내전이 발발하여 산살바도르는 좌우 양파의 테러가 벌어지는 도시가 되었다.
1986년 산살바도르 지진으로 많은 정부 건물과 중요한 시설이 파괴되었고 수백 명이 부상하거나 사망했다. 이 재난으로 수천 명의 사람들이 삶의 터전을 잃었고 많은 사람들이 폐허 속에서 숙소를 찾기 위해 고군분투했다. 1986년, 모랄레스 에를리히 시장은 시내 중심가의 도로를 폐쇄하여 대형 보행자 몰을 조성했는데, 이로 인해 만성적인 교통 체증이 발생했다.
차풀테펙 평화 협정은 1992년 1월 16일에 체결되어 12년간 지속된 내전에 종지부를 찍었다. 조인식은 국경일로 기념되며 사람들은 제라르도 바리오스 광장과 리베르타드 공원에 있는 산살바도르 시내로 몰려듭니다.
2001년, 다시 대지진이 발생했다.
2009년부터 노먼 키하노 시장은 노점상을 제거하는 ''역사지구 구제''에 있는 공원과 역사 건물의 재개발을 위해 노력했다. 이로 인해 해당 지역에서 여러 차례 폭동이 발생했지만, 그는 노점상들에게 자신의 가판대를 운영할 수 있는 새로운 시장을 마련하는 데 성공했다.
2. 1. 식민지 이전 시대
피필족은 스페인의 정복 이전, 현재 산살바도르 위치 근처에 수도 쿠스카틀란을 건설했다. 스페인 지배를 피하기 위해 주민들이 쿠스카틀란을 버렸기 때문에, 쿠스카틀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 콘키스타도르 페드로 데 알바라도의 명령에 따라 그의 동료 곤살로 데 알바라도와 디에고 데 올긴은 버려진 마을을 점령하고 개발하기 시작했다. 1525년 4월 1일 도시가 건설된 후 디에고 데 올긴은 산살바도르의 초대 시장이 되었다. 도시는 1528년과 1545년 두 차례 위치를 변경했다. 원래 현재의 시우다드 비에하 유적지(현재 도시 북쪽)에 세워졌지만, 강한 지진 활동으로 유명한 '발레 데 라스 아마카스'로 이전되었다. 아셀와테 강 덕분에 더 넓은 공간과 더 비옥한 토지가 있었기에 새로운 부지가 선택되었다. 20세기 초까지 도시 인구는 비교적 적었다.2. 2. 식민지 시대
스페인 정복 이전, 피필족은 현재 산살바도르 위치 근처에 수도 쿠스카틀란을 건설했다. 스페인 지배를 피하기 위해 주민들이 쿠스카틀란을 버렸기 때문에, 쿠스카틀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 콘키스타도르 페드로 데 알바라도의 명령에 따라 그의 동료 곤살로 데 알바라도와 디에고 데 올긴은 버려진 마을을 점령하고 개발하기 시작했다. 1525년 4월 1일 도시가 건설된 후 디에고 데 올긴은 산살바도르의 초대 시장이 되었다. 도시는 1528년과 1545년 두 차례 위치를 변경했다. 원래 현재의 시우다드 비에하 유적지(현재 도시 북쪽)에 세워졌지만, 강한 지진 활동으로 유명한 '발레 데 라스 아마카스'로 이전되었다. 아셀와테 강 덕분에 더 넓은 공간과 더 비옥한 토지가 있었기에 새로운 부지가 선택되었다. 20세기 초까지 도시 인구는 비교적 적었다.1811년, 마누엘 호세 아르세가 산살바도르에서 중미 최초의 독립을 선포했다. 1821년, 과테말라 총독령이 독립했다. 1822년, 멕시코 제국에 정복당했다. 1823년, 멕시코 제국이 붕괴하고 중앙아메리카 연방이 성립되었다. 1835년, 자유주의자 프란시스코 모라산 대통령에 의해 중앙아메리카 연방의 수도가 되었다.
2. 3. 독립 이후
피필족은 스페인의 지배를 피하기 위해 현재 산살바도르 위치 근처에 있던 수도 쿠스카틀란을 버렸다. 쿠스카틀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 콘키스타도르 페드로 데 알바라도의 명령에 따라 그의 동료 곤살로 데 알바라도와 디에고 데 올긴은 버려진 마을을 점령하고 개발하기 시작했다. 1525년 4월 1일 도시가 건설된 후 디에고 데 올긴은 산살바도르의 초대 시장이 되었다. 도시는 1528년과 1545년 두 차례 위치를 변경했다. 원래 현재의 시우다드 비에하 유적지(현재 도시 북쪽)에 세워졌지만, 강한 지진 활동으로 유명한 '발레 데 라스 아마카스'로 이전되었다. 아셀와테 강 덕분에 더 넓은 공간과 더 비옥한 토지가 있었기에 새로운 부지가 선택되었다. 20세기 초까지 도시 인구는 비교적 적었다.1811년, 마누엘 호세 아르세가 산살바도르에서 중미 최초의 독립을 선포했다. 1821년, 과테말라 총독령이 독립했다. 1822년, 멕시코 제국에 정복당했다. 1823년, 멕시코 제국이 붕괴하고 중앙아메리카 연방이 성립되었다. 1835년, 자유주의자 프란시스코 모라산 대통령에 의해 중앙아메리카 연방의 수도가 되었다.
1839년, 중앙아메리카 연방이 붕괴했다. 1841년, 엘살바도르 공화국이 독립하자 산살바도르는 공화국의 수도가 되었다. 1854년, 대지진으로 도시가 파괴되어 산타 테클라로 수도를 이전했다. 1859년, 재건이 진행된 산살바도르로 다시 수도를 이전했다.
1885년 1월, 라파엘 잘디바르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사업가 그룹과 대통령 가족은 빈민과 노인들을 위한 사라 잘디바르 구호소 건설 자금을 기부했다. 1902년에는 병원과 고아원에 자신의 재산을 기부한 은행가 호세 로살레스의 후원을 받아 로살레스 병원이 건설되었다. 병원 건설은 카를로스 에세타 대통령이 시작하여 토마스 레갈라도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완료되었다. 1905년, 페드로 호세 에스칼론 대통령은 커피 수출세로 조달된 국립궁전 건설을 시작했다. 플라사 리베르타드에 위치한 '1811년 영웅 기념비' (Monumento a los Próceres de 1811)와 엘살바도르 국립극장은 마누엘 엔리케 아라우호 대통령 재임 기간인 1911년에 건설되었다.
1917년, 인근 산살바도르 화산 폭발 중 발생한 지진으로 도시가 피해를 입었지만, 용암이 화산 뒤쪽으로 흘러내렸기 때문에 추가 피해는 면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급속한 도시 성장으로 도시권이 확장되어 산살바도르 대도시권을 형성했다.
1931년 12월 2일, 아르투로 아라우호 대통령은 군사 쿠데타에 의해 축출되었고 군사 시민위원회에 의해 대체되었다. 위원회는 부통령 막시밀리아노 에르난데스 마르티네스를 대통령으로 임명했고, 아라우호는 망명했다. 에르난데스 마르티네스 정권은 1931년 12월 4일부터 1944년 5월 6일까지 지속되었다.
1964년, 기독민주당 후보 호세 나폴레옹 두아르테가 시장으로 선출되어 1964년부터 1970년까지 재임했다. 그의 재임 기간 동안 비스타 에르모사 지역에 판초 라라 공원을 건설을 지시하고 전력망을 개선했으며 성인 교육 시스템을 구축했다.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는 안보, 삶의 질, 현대화의 모든 면에서 산살바도르의 황금기였다.
1969년, 에스타디오 쿠스카틀란에서 온두라스와의 축구 전쟁에서 돌아온 군대를 기리는 행사가 열렸다. '영웅들의 대로'(Boulevard de los Héroes)는 그곳에서 싸운 엘살바도르 군인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1979년, 엘살바도르 내전이 발발하여 산살바도르는 좌우 양파의 테러가 벌어지는 도시가 되었다.
1986년 산살바도르 지진으로 많은 정부 건물과 중요한 시설이 파괴되었고 수백 명이 부상하거나 사망했다. 이 재난으로 수천 명의 사람들이 삶의 터전을 잃었고 많은 사람들이 폐허 속에서 숙소를 찾기 위해 고군분투했다. 1986년, 모랄레스 에를리히 시장은 시내 중심가의 도로를 폐쇄하여 대형 보행자 몰을 조성했는데, 이로 인해 만성적인 교통 체증이 발생했다.
차풀테펙 평화 협정은 1992년 1월 16일에 체결되어 12년간 지속된 내전에 종지부를 찍었다. 조인식은 국경일로 기념되며 사람들은 제라르도 바리오스 광장과 리베르타드 공원에 있는 산살바도르 시내로 몰려듭니다.
2001년, 다시 대지진이 발생했다.
2009년부터 노먼 키하노 시장은 노점상을 제거하는 ''역사지구 구제''에 있는 공원과 역사 건물의 재개발을 위해 노력했다. 이로 인해 해당 지역에서 여러 차례 폭동이 발생했지만, 그는 노점상들에게 자신의 가판대를 운영할 수 있는 새로운 시장을 마련하는 데 성공했다.
3. 지리
산살바도르는 엘살바도르 국토 중앙부에 위치하며, 높은 지진 활동 지역인 보케론 화산 계곡에 자리 잡고 있다. 도시의 평균 고도는 해발 659m이지만, 지형에 따라 해발 596m에서 최고 1186m까지 다양하다.[42]
이 지역은 동쪽의 아셀우아테 강과 산 하신토 언덕, 서쪽의 엘 피카초 산과 200주년 기념 공원, 북쪽의 산 안토니오 강, 남쪽의 발사모 산맥, 그리고 서쪽의 보케론 화산과 엘 피카초 산 등 다양한 자연 지형으로 둘러싸여 있다. 특히 엘 피카초 산은 해발 1929m로 이 지역에서 가장 높은 지점이다.
엘 보케론 화산은 1917년 마지막 분화 이후 휴화산이었으나 최근 활동을 보이고 있다. 시 동쪽에는 산 하신토 언덕과 일로팡고 호 칼데라가 있는데, 일로팡고 호는 면적 72km2로 엘살바도르에서 가장 큰 자연 호수이다. 이 칼데라는 지진 활동이 활발하지만 1880년 이후 분화하지 않았다.
산살바도르는 매우 구릉지대가 많은 지형이며, 고도가 일정한 지역은 거의 없다.
발사모 산맥은 평균 해발 1,030m이며, 콩과에 속하는 미록실론 발사뭄 나무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이 나무는 페루 발삼과 톨루 발삼의 원료로, 엘살바도르는 이 수지의 주요 수출국이다. 산 하신토 언덕은 시 동쪽 경계에 있으며, 정상은 해발 1,153m이다. 토양 유형에는 레고솔, 라토솔, 안도솔 등이 있다.
3. 1. 위치 및 지형
산살바도르는 엘살바도르 국토 중앙부에 위치하며, 높은 지진 활동 지역인 보케론 화산 계곡에 자리 잡고 있다. 도시의 평균 고도는 해발 659m이지만, 지형에 따라 해발 596m에서 최고 1186m까지 다양하다.[42]이 지역은 동쪽의 아셀우아테 강과 산 하신토 언덕, 서쪽의 엘 피카초 산과 200주년 기념 공원, 북쪽의 산 안토니오 강, 남쪽의 발사모 산맥, 그리고 서쪽의 보케론 화산과 엘 피카초 산 등 다양한 자연 지형으로 둘러싸여 있다. 특히 엘 피카초 산은 해발 1929m로 이 지역에서 가장 높은 지점이다. 산살바도르 시는 산살바도르 화산 기슭에 자리 잡고 있다.
엘 보케론 화산은 1917년 마지막 분화 이후 휴화산이었으나 최근 활동을 보이고 있다. 시 동쪽에는 산 하신토 언덕과 일로팡고 호 칼데라가 있는데, 일로팡고 호는 면적 72km2로 엘살바도르에서 가장 큰 자연 호수이다. 이 칼데라는 지진 활동이 활발하지만 1880년 이후 분화하지 않았다.
산살바도르는 매우 구릉지대가 많은 지형이며, 고도가 일정한 지역은 거의 없다. 해발 1,893m의 보케론 화산이 도시 인근에서 가장 눈에 띄는 지형이며, 산살바도르는 인근 메히카노스 시와 해발 1,931m의 세로 엘 피카초를 공유한다.
발사모 산맥은 평균 해발 1,030m이며, 콩과에 속하는 미록실론 발사뭄 나무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이 나무는 페루 발삼과 톨루 발삼의 원료로, 엘살바도르는 이 수지의 주요 수출국이다. 산 하신토 언덕은 시 동쪽 경계에 있으며, 정상은 해발 1,153m이다. 토양 유형에는 레고솔, 라토솔, 안도솔 등이 있다.
3. 2. 수계
산살바도르에서 가장 가까운 강은 2.2km 길이의 아셀우아테 강이다. 이 강은 산살바도르 시와 소야팡고(Soyapango) 사이의 자연 경계를 이루지만, 시의 행정구역 내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아셀우아테 강은 1800년대 후반과 1900년대 초 산살바도르의 수원으로 이용되었으나, 도시화로 인해 현재는 오염되었다.[42]
일로팡고 호수(Lake Ilopango)는 시의 행정구역 내에 위치하지 않지만, 산살바도르 역사 지구에서 가까운 거리에 있는 큰 수역이다. 면적이 72km²에 달하는 엘살바도르에서 가장 큰 자연 수역이다.[42] 산살바도르 북쪽 78km 지점에는 세론 그란데 저수지(Cerrón Grande Reservoir)가 있는데, 이곳은 포토니코(Chalatenango)와 후티아파(Cabañas) 지방 자치단체의 렘파 강(Lempa River)을 댐으로 막아 형성되었다. 세론 그란데 댐(Cerrón Grande Dam)은 이 지역의 전력의 상당 부분을 공급한다.[42]
3. 3. 기후
산살바도르는 쾨펜의 기후 분류에 따른 열대 몬순 기후에 속하며, 연중 매우 따뜻하거나 더운 날씨를 보인다.[45][46][47][48][49] 연평균 기온은 약 23℃이며, 연평균 강수량은 약 1,700mm 정도이다.[43] 일로팡고 국제공항 기준(1953–1990, 극한값 1957–현재)으로 측정한 결과, 평균 기온은 23.1°C이다.[45][46][47][48][49] 1991년-2020년 사이, 일로팡고 국제공항에서 측정한 평균 기온은 24.0°C 이다.[15][16][17][18]해발 658m의 고지대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열대에 위치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살기 좋은 기후를 가지고 있다. 아침에는 약간 서늘한 기온을 경험하고, 태양 복사량이 높으며, 해수면 근처의 아카후틀라와 같은 도시보다 일교차가 더 크다(특히 건기). 건기의 계절풍으로 인해 11월부터 2월까지는 날씨가 서늘해진다. 이 기간 동안 일평균 기온은 22.2°C 정도이다.
일년 중 가장 더운 달은 건기(11월~4월)에서 우기(5월~10월)로 넘어가는 4월과 5월이다. 4월과 5월의 평균 최고 기온은 32.2°C에 달한다. 역대 최고 기온은 38.4°C, 최저 기온은 8.2°C이다. 우기에는 거의 매일 오후와 밤에 뇌우가 발생하지만, 아침이 되면 하늘이 개이고 오후 폭풍이 몰아치기 전까지는 대개 맑은 날씨가 지속된다.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C) | 31.3 | 32.5 | 33.2 | 33.0 | 31.3 | 30.3 | 30.8 | 30.7 | 29.8 | 29.7 | 30.1 | 30.7 | 31.1 |
평균 최저 기온 (°C) | 17.5 | 18.1 | 19.0 | 20.4 | 20.9 | 20.5 | 20.0 | 20.1 | 20.1 | 19.9 | 18.8 | 17.9 | 19.4 |
평균 강수량 (mm) | 1.7 | 1.2 | 10.7 | 42.1 | 192.8 | 264.5 | 302.1 | 318.5 | 331.9 | 245.4 | 65.0 | 5.6 | 1781.3 |
4. 행정
엘살바도르의 도시들은 헌법 조항(제203조)에 따라 경제적, 행정적으로 자치권을 가진다. 산살바도르는 3년마다 직선으로 선출되며 재선 가능한 시장, 관리인, 그리고 시의 인구에 비례하여 수가 변하는 2명 이상의 알더맨으로 구성된 의회에 의해 통치된다. 이 정부의 기능과 권한은 지방자치법의 규칙 내에서 규정된다.
산살바도르 정부는 축제, 공원, 묘지, 재정 부서 등 여러 부서로 구성된다. 시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대도시 대리인 위원회가 있다. 6개의 시 구역 각각에도 정부 부서가 있다. 시장은 산살바도르 대도시권 시장협의회(COAMSS)의 회원인데, 이 협의회는 대산살바도르 지역을 구성하는 14개의 지방 의회로 구성되어 있다.
4. 1. 시 정부
엘살바도르의 도시들은 헌법 조항(제203조)에 따라 경제적, 행정적으로 자치권을 가진다. 산살바도르는 3년마다 직선으로 선출되며 재선 가능한 시장, 관리인, 그리고 시의 인구에 비례하여 수가 변하는 2명 이상의 알더맨으로 구성된 의회에 의해 통치된다. 이 정부의 기능과 권한은 지방자치법의 규칙 내에서 규정된다.산살바도르 정부는 축제, 공원, 묘지, 재정 부서 등 여러 부서로 구성된다. 시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대도시 대리인 위원회가 있다. 6개의 시 구역 각각에도 정부 부서가 있다. 시장은 산살바도르 대도시권 시장협의회(COAMSS)의 회원인데, 이 협의회는 대산살바도르 지역을 구성하는 14개의 지방 의회로 구성되어 있다.
역대 산살바도르 시장은 다음과 같다.
- 호세 나폴레온 두아르테(José Napoleón Duarte), PDC (1964–1970)
- 카를로스 안토니오 에레라 레볼로(Carlos Antonio Herrera Rebollo), PDC (1970–1974)
- 호세 안토니오 모랄레스 에를리히(José Antonio Morales Ehrlich), PDC (1974–1976)
- 호세 나폴레온 고메스(José Napoleón Gómez), 무소속 (1976–1978)
- 노르만 두아르테(Norman Duarte), 무소속 (1982–1985)
- 호세 안토니오 모랄레스 에를리히(José Antonio Morales Ehrlich), PDC (1985–1988)
- 아르만도 칼데론 솔(Armando Calderón Sol), ARENA (1988–1994)
- 마리오 발리엔테(Mario Valiente), ARENA (1994–1997)
- 헥토르 실바 아르구엘로(Hector Silva Arguello), FMLN (1997–2003)
- 카를로스 리바스 사모라(Carlos Rivas Zamora), FMLN (2003–2006)
- 비올레타 멘히바르(Violeta Menjívar), FMLN (2006–2009)
- 노르만 키하노(Norman Quijano), ARENA (2009–2015)
- 나이브 부케레(Nayib Bukele), FMLN (2015–2018)
- 에르네스토 무이숌트(Ernesto Muyshondt), ARENA (2018–2021)
- 마리오 두란(Mario Durán), NI (2021–현재)
4. 2. 행정 구역
산살바도르 시는 시장과 구청(District board)에 의해 관리되는 구역으로 더 세분화된다. 산살바도르에는 1~6구역과 역사지구(Historic Downtown)를 포함하여 7개의 구역이 있다.6개 구역은 다음과 같다.
- 1구역: 역사지구(Historic Downtown), 라이코 콜로니아(Colonia Layco), 라 라비다 콜로니아(Colonia La Rabida), 만자노 콜로니아(Colonia Manzano) (인구: 118,325명)
- 2구역: 센트로 아메리카 콜로니아(Colonia Centro América), 미랄발레 콜로니아(Colonia Miralvalle), 플로르 블랑카 콜로니아(Colonia Flor Blanca), 미라몬테 콜로니아(Colonia Miramonte) (인구: 110,475명)
- 3구역: 에스칼론 콜로니아(Colonia Escalón), 산 베니토 콜로니아(Colonia San Benito), 라 마스코타 콜로니아(Colonia La Mascota), 마킬리슈아트 콜로니아(Colonia Maquilishuat) (인구: 51,325명)
- 4구역: 산 프란시스코 콜로니아(Colonia San Francisco), 라 시마 콜로니아(I-IV)(Colonia La Cima (I-IV)), 라 플로레스타 콜로니아(Colonia La Floresta) (인구: 68,465명)
- 5구역: 몬세라트 콜로니아(Colonia Monserrat), 모델로 콜로니아(Colonia Modelo), 센트로 우르바노 칸델라리아(Centro Urbano Candelaria) (인구: 126,290명)
- 6구역: 산 에스테반 바리오(Barrio San Esteban) (인구: 92,908명)
6개 구역의 총 인구는 567,788명이다.
5. 인구
거의 모든 주민이 스페인어를 사용한다. 미국, 특히 엔터테인먼트 분야의 문화적 영향과 미국에서 귀국한 많은 살바도르 이민자들 때문에 과거보다 영어 사용이 더욱 널리 퍼졌다. 2007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산살바도르 인구의 72.3%가 메스티소(혼혈), 25.8%가 백인이며, 대부분 스페인계이고 소수는 프랑스계 또는 독일계이다.[19]
2015년 산살바도르 인구는 25만 7,754명으로 추산되어 전국 인구의 약 3.99%를 차지했으며, 대도시권 인구는 176만 7,102명으로 전국 인구의 27.4%를 차지했다.[20]
==== 종교 ====
산살바도르의 인구는 주로 로마 가톨릭교회 신자이며, 상당한 규모의 프로테스탄트 소수 민족이 있다. 다른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보다 종교적 다양성이 더 크다.[21] 프로테스탄트 인구는 대부분 복음주의자이다.[21] 도시에서 가장 큰 프로테스탄트 교회 중 하나는 오순절교회 소속인 ''Iglesia Cristiana Josue''이며, 또 다른 하나는 ''Tabernaculo Biblico Bautista, Amigos de Israel''(성경 침례 교회, 이스라엘의 친구들)이다.[21]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 신자들도 있으며, 2011년에 산살바도르 엘살바도르 성전을 개관하였다.[21] 1지구와 3지구에도 소규모의 후기 성도 예배당이 있다.[21]
대부분의 국가와 마찬가지로 로마 가톨릭교회는 엘살바도르의 수호 성인으로 불리는 ''El Salvador del Mundo''(세계의 구세주) 예수 그리스도를 기리는 ''Las Fiestas Agostinas''(8월 축제)를 포함한 휴일 축하 행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21] 지난 10년 동안 로마 가톨릭 인구가 급격히 감소하면서 이러한 행사는 덜 두드러지게 되고 있다.[21] 산살바도르에는 약 3,500명의 유대교인이 거주하고 있으며, 유대인 공동체는 여전히 활발하지만, 1980년대 이후 엘살바도르 내전이 시작되면서 많은 유대인들이 떠나면서 이전만큼 활발하지는 않다.[21] 제2차 세계 대전 중 많은 유대인들이 엘살바도르로 이주했는데, 이는 제네바(스위스)에 있는 엘살바도르 외교 총영사인 호세 카스테야노스 콘트레라스의 활동 덕분이었다.[21] 그는 헝가리계 유대인 사업가인 조르지 만들을 도와 중앙 유럽의 최대 4만 명의 유대인들에게 엘살바도르 국적 증명서를 발급하여 나치의 박해로부터 구했다.[21] 이 도시에는 소규모의 팔레스타인 공동체가 있으며, 대부분은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에 팔레스타인에서 이주한 팔레스타인 기독교인 가정의 후손들이다. 이민자 수가 가장 많았던 시기는 1910년에서 1925년 사이였다.[21]
5. 1. 종교
산살바도르의 인구는 주로 로마 가톨릭교회 신자이며, 상당한 규모의 프로테스탄트 소수 민족이 있다. 다른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보다 종교적 다양성이 더 크다.[21] 프로테스탄트 인구는 대부분 복음주의자이다.[21] 도시에서 가장 큰 프로테스탄트 교회 중 하나는 오순절교회 소속인 ''Iglesia Cristiana Josue''이며, 또 다른 하나는 ''Tabernaculo Biblico Bautista, Amigos de Israel''(성경 침례 교회, 이스라엘의 친구들)이다.[21]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 신자들도 있으며, 2011년에 산살바도르 엘살바도르 성전을 개관하였다.[21] 1지구와 3지구에도 소규모의 후기 성도 예배당이 있다.[21]
대부분의 국가와 마찬가지로 로마 가톨릭교회는 엘살바도르의 수호 성인으로 불리는 ''El Salvador del Mundo''(세계의 구세주) 예수 그리스도를 기리는 ''Las Fiestas Agostinas''(8월 축제)를 포함한 휴일 축하 행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21] 지난 10년 동안 로마 가톨릭 인구가 급격히 감소하면서 이러한 행사는 덜 두드러지게 되고 있다.[21] 산살바도르에는 약 3,500명의 유대교인이 거주하고 있으며, 유대인 공동체는 여전히 활발하지만, 1980년대 이후 엘살바도르 내전이 시작되면서 많은 유대인들이 떠나면서 이전만큼 활발하지는 않다.[21] 제2차 세계 대전 중 많은 유대인들이 엘살바도르로 이주했는데, 이는 제네바(스위스)에 있는 엘살바도르 외교 총영사인 호세 카스테야노스 콘트레라스의 활동 덕분이었다.[21] 그는 헝가리계 유대인 사업가인 조르지 만들을 도와 중앙 유럽의 최대 4만 명의 유대인들에게 엘살바도르 국적 증명서를 발급하여 나치의 박해로부터 구했다.[21] 이 도시에는 소규모의 팔레스타인 공동체가 있으며, 대부분은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에 팔레스타인에서 이주한 팔레스타인 기독교인 가정의 후손들이다. 이민자 수가 가장 많았던 시기는 1910년에서 1925년 사이였다.[21]
6. 경제
산살바도르는 엘살바도르 경제 활동의 중심지이다. 수도권 지역은 국토의 3%를 차지하지만, 공공 및 민간 투자의 70%가 이곳에 집중되어 있다. 산살바도르, 안티구오 쿠스카틀란, 산타 테클라의 경제는 서비스업, 사립 교육, 은행, 기업 본사, 그리고 제조업을 중심으로 하는 혼합 경제이다. 수도권 지역의 다른 지자체들은 소야팡고와 일로팡고와 같은 산업, 메히카노스와 같은 공공 서비스, 또는 네하파와 아포파와 같은 발전에 의존한다. 다른 지자체들은 자체 경제를 발전시키지는 못했지만, 인접 지자체의 산업에 필요한 노동력을 제공해왔다.
산살바도르는 2001년부터 미국 달러를 통화로 사용하고 있다. 통화 통합법에 따라 엘살바도르는 콜론과 함께 미국 달러를 법정 통화로 채택했다.[22] 이는 외국인 투자자들이 엘살바도르에 새로운 회사를 설립하도록 장려하고 다른 통화로의 환전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시도였다. 산살바도르의 경제는 산업이나 제조업보다는 송금, 서비스 및 소매 부문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 금융 ==
산살바도르는 국가 내 기업 대다수의 본사가 위치하고 있으며, 유니코머 그룹(Unicomer Group), 알마세네스 시만(Almacenes Simán), 그루포 로블레(Grupo Roble), 그루포 레알(Grupo Real), 엑셀 아우토모트리즈(Excel Automotríz), 그리고 그루포 큐(Grupo Q) 등 많은 기업들이 이곳에 중앙 사무소를 두고 있다. 식음료 생산, 제약 및 화학 산업, 자동차, 수공예품 및 건축 자재 판매, 가전제품 수리 등 다양한 상업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국적 기업들의 지역 사무소 또한 산살바도르에 위치한다. 2010년대 초부터는 국내외 기업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콜센터 건설이 급증했다.
산살바도르에는 통합된 금융 지구가 부족한데, 이는 1992년 살바도르 내전 이후 도시 계획 부재의 영향이 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구의 ''알라메다 마누엘 엔리케 아라우호(Alameda Manuel Enrique Araujo)''를 따라 은행 및 통신 사업이 집중되어 있으며, 3구의 ''콜로니아 에스칼론(Colonia Escalón)''과 ''콜로니아 산 베니토(Colonia San Benito)'' 상업 지구에는 비즈니스 단지와 타워들이 생겨났다.
산살바도르 세계무역센터는 3구역(에스칼론 콜로니아)에 위치하며, 두 개의 호텔(그중 하나는 크라운 플라자 호텔), 컨벤션센터, 상업센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2012년 10월 기준으로, 총 13,000m²의 사무 공간을 갖춘 두 개의 타워가 있으며, 다국적 기업, 대사관, Banco Multisectorial de Inversiones (BMI) 등이 입주하여 100% 입주율을 기록했다.
센트로 피난시에로 히간테(Centro Financiero Gigante)는 5개의 타워로 구성된 사무실 건물 단지로, 가장 높은 타워는 19층, 77m 높이이다. 이 단지는 텔레포니카(Telefónica), RED 비즈니스 통신 시스템, 아즈테카 은행(Banco Azteca), 스트림 글로벌 서비스(Stream Global Services), 산살바도르 이스라엘 대사관, 티고(Tigo) 등이 입주해 있다. 1997년부터 단계적으로 건설되었으며, 산살바도르에서 가장 중요한 비즈니스 단지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마누엘 엔리케 아라우호 가로수길(Alameda Manuel Enrique Araujo)과 조나 로사 지역에는 AFP Confia, 공중보건 최고위원회, HSBC 중앙 사무소, AFP Crecer 등 많은 기업, 은행, 금융센터, 정부기관 및 박물관이 위치해 있다.
== 산업 ==
산살바도르에는 시 전역에 걸쳐 소규모 산업 지역이 분포해 있지만, 대부분은 소야팡고와의 경계 근처 동쪽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산업의 상당 부분은 식품 가공, 음료 제조 및 설탕 정제와 관련이 있다. 세라믹 타일부터 콘크리트 블록과 콘크리트에 이르는 건축 자재가 대량으로 생산되고 있으며, 파이프 생산을 포함한 플라스틱 압출도 중요한 산업이다.
엘살바도르 최대의 맥주 및 정수 제조업체인 인두스트리아스 라 콘스탄시아(Industrias La Constancia)는 엘살바도르 맥주 및 생수 수출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이 회사는 2005년 세계 2위 맥주 회사인 SABMiller의 일원이 되었다. 대표 브랜드는 엘살바도르의 국민 맥주인 필스너 스타일의 라거 맥주인 ''필스너(Pilsener)''이다. 2011년 라 콘스탄시아는 운영을 중앙 집중화하고 산타 아나 주에서 1928년 이전한 후 새로운 본사를 산살바도르에 개설했다. 이 회사는 엘살바도르와 중앙아메리카 지역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생수 브랜드인 ''아구아 크리스탈(Agua Cristal)''을 생산한다. 코카콜라사는 엘살바도르 및 중앙아메리카의 나머지 지역에서 판매되는 음료 브랜드를 제조하기 위해 라 콘스탄시아의 시설을 이용한다.
유니레버(Unilever)는 산살바도르에 공장을 두고 있다. 그 제품에는 식품, 음료, 세척제 및 개인 위생 용품이 포함된다. 유니레버는 중앙아메리카에서 판매되는 모든 제품을 산살바도르에서 제조한다.
== 서비스 ==
산살바도르의 경제는 주로 서비스업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 도시에는 중앙아메리카에서 가장 큰 쇼핑몰인 메트로센트로(Metrocentro)를 비롯해 많은 레스토랑과 쇼핑몰이 있으며, 월마트(Wal-Mart), 오피스맥스(Office Max)와 같은 소매점과 프라이스스마트(Pricesmart) 창고형 할인매장도 있다. 이 지역에서 가장 높은 쇼핑몰인 센트로 코메르시알 갈레리아스(Centro Comercial Galerias)는 1950년대 후반에 지어진 스페인계 귀롤라스(Guirolas) 가문이 살던 오래된 저택 ''라 카소나(La Casona)''를 중심으로 건설되었다.
6. 1. 금융
산살바도르는 국가 내 기업 대다수의 본사가 위치하고 있으며, 유니코머 그룹(Unicomer Group), 알마세네스 시만(Almacenes Simán), 그루포 로블레(Grupo Roble), 그루포 레알(Grupo Real), 엑셀 아우토모트리즈(Excel Automotríz), 그리고 그루포 큐(Grupo Q) 등 많은 기업들이 이곳에 중앙 사무소를 두고 있다. 식음료 생산, 제약 및 화학 산업, 자동차, 수공예품 및 건축 자재 판매, 가전제품 수리 등 다양한 상업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국적 기업들의 지역 사무소 또한 산살바도르에 위치한다. 2010년대 초부터는 국내외 기업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콜센터 건설이 급증했다.산살바도르에는 통합된 금융 지구가 부족한데, 이는 1992년 살바도르 내전 이후 도시 계획 부재의 영향이 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구의 ''알라메다 마누엘 엔리케 아라우호(Alameda Manuel Enrique Araujo)''를 따라 은행 및 통신 사업이 집중되어 있으며, 3구의 ''콜로니아 에스칼론(Colonia Escalón)''과 ''콜로니아 산 베니토(Colonia San Benito)'' 상업 지구에는 비즈니스 단지와 타워들이 생겨났다.
산살바도르 세계무역센터는 3구역(에스칼론 콜로니아)에 위치하며, 두 개의 호텔(그중 하나는 크라운 플라자 호텔), 컨벤션센터, 상업센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2012년 10월 기준으로, 총 13,000m²의 사무 공간을 갖춘 두 개의 타워가 있으며, 다국적 기업, 대사관, Banco Multisectorial de Inversiones (BMI) 등이 입주하여 100% 입주율을 기록했다.
센트로 피난시에로 히간테(Centro Financiero Gigante)는 5개의 타워로 구성된 사무실 건물 단지로, 가장 높은 타워는 19층, 77m 높이이다. 이 단지는 텔레포니카(Telefónica), RED 비즈니스 통신 시스템, 아즈테카 은행(Banco Azteca), 스트림 글로벌 서비스(Stream Global Services), 산살바도르 이스라엘 대사관, 티고(Tigo) 등이 입주해 있다. 1997년부터 단계적으로 건설되었으며, 산살바도르에서 가장 중요한 비즈니스 단지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마누엘 엔리케 아라우호 가로수길(Alameda Manuel Enrique Araujo)과 조나 로사 지역에는 AFP Confia, 공중보건 최고위원회, HSBC 중앙 사무소, AFP Crecer 등 많은 기업, 은행, 금융센터, 정부기관 및 박물관이 위치해 있다.
6. 2. 산업
산살바도르에는 시 전역에 걸쳐 소규모 산업 지역이 분포해 있지만, 대부분은 소야팡고와의 경계 근처 동쪽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산업의 상당 부분은 식품 가공, 음료 제조 및 설탕 정제와 관련이 있다. 세라믹 타일부터 콘크리트 블록과 콘크리트에 이르는 건축 자재가 대량으로 생산되고 있으며, 파이프 생산을 포함한 플라스틱 압출도 중요한 산업이다.엘살바도르 최대의 맥주 및 정수 제조업체인 인두스트리아스 라 콘스탄시아(Industrias La Constancia)는 엘살바도르 맥주 및 생수 수출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이 회사는 2005년 세계 2위 맥주 회사인 SABMiller의 일원이 되었다. 대표 브랜드는 엘살바도르의 국민 맥주인 필스너 스타일의 라거 맥주인 ''필스너(Pilsener)''이다. 2011년 라 콘스탄시아는 운영을 중앙 집중화하고 산타 아나 주에서 1928년 이전한 후 새로운 본사를 산살바도르에 개설했다. 이 회사는 엘살바도르와 중앙아메리카 지역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생수 브랜드인 ''아구아 크리스탈(Agua Cristal)''을 생산한다. 코카콜라사는 엘살바도르 및 중앙아메리카의 나머지 지역에서 판매되는 음료 브랜드를 제조하기 위해 라 콘스탄시아의 시설을 이용한다.
유니레버(Unilever)는 산살바도르에 공장을 두고 있다. 그 제품에는 식품, 음료, 세척제 및 개인 위생 용품이 포함된다. 유니레버는 중앙아메리카에서 판매되는 모든 제품을 산살바도르에서 제조한다.
6. 3. 서비스
산살바도르의 경제는 주로 서비스업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 도시에는 중앙아메리카에서 가장 큰 쇼핑몰인 메트로센트로(Metrocentro)를 비롯해 많은 레스토랑과 쇼핑몰이 있으며, 월마트(Wal-Mart), 오피스맥스(Office Max)와 같은 소매점과 프라이스스마트(Pricesmart) 창고형 할인매장도 있다. 이 지역에서 가장 높은 쇼핑몰인 센트로 코메르시알 갈레리아스(Centro Comercial Galerias)는 1950년대 후반에 지어진 스페인계 귀롤라스(Guirolas) 가문이 살던 오래된 저택 ''라 카소나(La Casona)''를 중심으로 건설되었다.7. 문화
산살바도르는 풍부한 스페인 유산을 지니고 있으며, 역사 중심지는 라틴 아메리카 다른 어떤 곳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건축 양식을 간직하고 있다. 1950년대에 건설된 대성당(Metropolitan Cathedral)은 바로크 양식과 절충주의 양식이 결합된 건축물이다. 1905년에 지어진 국립궁전(National Palace)은 고딕, 신고전주의, 르네상스 부흥 양식이 혼합된 건축물이다. 1917년에 프랑스 르네상스 부흥 양식으로 건축된 국립극장(National Theater)은 중앙아메리카에서 가장 오래된 극장이며, 로코코, 낭만주의, 아르누보 건축 양식의 세부 장식이 포함되어 있다. 이 건물은 2층 중앙에 대통령석을 포함하여 3층의 좌석을 갖추고 있으며 650명을 수용할 수 있다. 건물 꼭대기에는 타원형 돔이 있으며, 내부는 카를로스 카냐스(Carlos Cañas)가 그린 벽화와 크리스탈 샹들리에로 장식되어 있다.
산살바도르에는 또한 19세기 중반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예술 작품을 소장하고 있는 ''엘살바도르 미술관(Museo de Arte de El Salvador)''(MARTE)이 있다. 이 미술관은 피카소(Picasso), 렘브란트(Rembrandt), 살바도르 달리(Salvador Dalí), 후안 미로(Joan Miró)와 같은 국제적으로 유명한 예술가들의 작품을 소개하는 임시 전시회를 개최해 왔다. 1883년 다비드 호아킨 구즈만(David Joaquín Guzmán)에 의해 설립된 국립인류학박물관(Museo Nacional de Antropología)(MUNA)은 인간 정착, 농업, 장인, 상업 및 무역, 종교, 예술 및 통신에 대한 전시를 보유하고 있다. 이 박물관은 전시회, 연구, 출판 및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엘살바도르인들의 문화적 인식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11년, 이베로아메리카 수도 연합(Union of Ibero-American Capital Cities)은 산살바도르의 문화적 다양성을 인정하여 산살바도르를 "라틴 아메리카 문화 수도"로 선정했다.
시 정부는 도시의 과거를 기념하고 문화적 다양성을 증진하기 위해 시내 지역을 복원하고 있다.
산살바도르 시의 상징은 구세주 기념비, 문장, 깃발, 시가(市歌), 그리고 지팡이이다. 처음 세 가지는 1943년에 열린 공모전의 결과로 만들어졌다. 문장은 화가 호세 메히아 비데스가 디자인했으며, 네 개의 구획으로 나뉜다. 오른쪽 위와 왼쪽 아래의 두 구획은 국기를 상징하는 파란색과 흰색 바탕을 가지고 있으며, 왼쪽 위 구획에는 상징적인 에메랄드 목걸이가, 오른쪽 아래에는 1811년 독립 운동 당시 호세 마티아스 델가도가 종을 울렸던 라 메르세드 교회의 종을 나타낸다.
깃발은 시 정부의 요청으로 디자인되었다. 시가는 카를로스 부스타만테(가사)와 시리아코 데 헤수스 알라스(곡)가 작곡했다.
시 지팡이에는 지역 역사와 관련된 일련의 인물과 상징이 나타나 있다. 위에서 아래로 이미지는 다음과 같다. 원주민 아메리카 원주민, 초대 시장 디에고 데 올귄, 스페인의 칼로스 5세, 산살바도르라는 이름을 준 왕실 법령, 시장 안토니오 구티에레스, 사제 호세 마티아스 델가도, 1811년 해방의 인장, 1821년 독립 인장, 시 자유 연합의 문장, 국가 문장, 그리고 신.
2015년 5월 5일, 나이브 부켈레 시장은 새롭게 디자인된 시 문장과 깃발을 발표했다. 새로운 시 문장은 순수함을 상징하는 은색이며, 중앙에는 엘살바도르 국기가 있고, 아래에는 산살바도르가 중앙아메리카의 수도로 선포된 해인 1834년이 적힌 리본이 있다. 측면에는 두 개의 검이 있는데, 왼쪽에는 프란시스코 모라산의 검, 오른쪽에는 헤라르도 바리오스의 검이 그의 과거 승리를 나타낸다. 월계관이 문장을 둘러싸고 있으며, 도시를 구성하는 6개 구역을 나타내는 6개의 별도 문장을 둘러싸고 있다.
7. 1. 음악
wikitext7. 2. 도시 상징
산살바도르 시의 상징은 구세주 기념비, 문장, 깃발, 시가(市歌), 그리고 지팡이이다. 처음 세 가지는 1943년에 열린 공모전의 결과로 만들어졌다. 문장은 화가 호세 메히아 비데스가 디자인했으며, 네 개의 구획으로 나뉜다. 오른쪽 위와 왼쪽 아래의 두 구획은 국기를 상징하는 파란색과 흰색 바탕을 가지고 있으며, 왼쪽 위 구획에는 상징적인 에메랄드 목걸이가, 오른쪽 아래에는 1811년 독립 운동 당시 호세 마티아스 델가도가 종을 울렸던 라 메르세드 교회의 종을 나타낸다.
깃발은 시 정부의 요청으로 디자인되었다. 시가는 카를로스 부스타만테(가사)와 시리아코 데 헤수스 알라스(곡)가 작곡했다.
시 지팡이에는 지역 역사와 관련된 일련의 인물과 상징이 나타나 있다. 위에서 아래로 이미지는 다음과 같다. 원주민 아메리카 원주민, 초대 시장 디에고 데 올귄, 스페인의 칼로스 5세, 산살바도르라는 이름을 준 왕실 법령, 시장 안토니오 구티에레스, 사제 호세 마티아스 델가도, 1811년 해방의 인장, 1821년 독립 인장, 시 자유 연합의 문장, 국가 문장, 그리고 신.
2015년 5월 5일, 나이브 부켈레 시장은 새롭게 디자인된 시 문장과 깃발을 발표했다. 새로운 시 문장은 순수함을 상징하는 은색이며, 중앙에는 엘살바도르 국기가 있고, 아래에는 산살바도르가 중앙아메리카의 수도로 선포된 해인 1834년이 적힌 리본이 있다. 측면에는 두 개의 검이 있는데, 왼쪽에는 프란시스코 모라산의 검, 오른쪽에는 헤라르도 바리오스의 검이 그의 과거 승리를 나타낸다. 월계관이 문장을 둘러싸고 있으며, 도시를 구성하는 6개 구역을 나타내는 6개의 별도 문장을 둘러싸고 있다.
8. 건축
산살바도르의 식민지 시대 건축물들은 역사적인 지진으로 인해 대부분 파괴되었고, 그 결과 모더니즘과 고딕 양식의 대성당들이 그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다. 엘살바도르 내전 기간 동안 경제 붕괴로 인해 대규모 건축 프로젝트가 중단되거나 취소되었다. 1986년 산살바도르 지진과 2001년 엘살바도르 지진으로 인해 남아 있던 초기 모더니스트 건물들마저 무너지거나 주거 불가능한 상태가 되었다. 쉐라톤 프레지덴테 산살바도르 호텔과 힐튼 프린세스 산살바도르 호텔 등 몇몇 대형 건축물만이 지진을 견뎌냈다.
산살바도르 지역의 지진 위험성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기술 발전과 내진 설계의 등장으로 고층 건물들이 들어서기 시작했다. 오늘날 이 도시에는 신고딕, 모더니즘, 팝 럭셔리, 구기, 스트림라인 모더니즘, 아르데코, 미래주의 양식의 건축물로 지어진 기념물, 광장, 경기장, 고층 건물, 대형 쇼핑몰, 대성당이 있다.
주요 건축물로는 엘 카르멘 교회, 엘 로사리오 교회, 엘 칼바리오 교회 등의 종교 시설과 기간테 금융센터, 로블레 타워, 테라 알타 타워, 알리시오스 115 타워, 라 카필라 515 타워, 라 카필라 애비뉴 525 타워, 캄페스트레 105 타워, 엘 페드레갈 타워 (산살바도르 시에서 가장 높은 타워) 등의 고층 건물이 있다. 또한, 팔라시오 데 로스 데포르테스 카를로스 "엘 파모소" 에르난데스 , 호세 아돌포 피네다 국립 체육관, 호르헤 "마지코" 곤잘레스 경기장과 같은 스포츠 시설과 살바도르의 신 성모상, 환영하는 형제 기념비, 엘살바도르 혁명 기념비, 엘살바도르 헌법 기념비와 같은 기념비도 존재한다. 라 그란 비아 라이프스타일 센터, 멀티플라자 같은 대형 쇼핑몰, 국제 무역 박람회 컨벤션 센터 (CIFCO), 일로팡고 국제공항, 엘살바도르 국제공항과 같은 현대적인 시설도 찾아볼 수 있다. 토레 푸투라, 토레 쿠스카틀란, 밀레니엄 광장, 인시녜 빌딩, 아반테 빌딩과 같은 건물들은 산살바도르의 현대적인 스카이라인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이다.
9. 관광
산살바도르는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 거리를 제공하는 도시이다.
산살바도르의 역사지구는 16세기부터 엘살바도르의 수도가 자리 잡았던 지역이다. 스페인 식민지 시대의 원래 건물들은 수년간 자연재해로 대부분 파괴되었으나,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에 세워진 소수의 주목할 만한 건물들이 남아있다. 노먼 키하노 시장은 중심부 건물들의 옛 영광을 복원하기 위해 여러 대규모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1905년부터 1911년까지 건설된 국립궁전은 1889년 화재로 소실된 건물을 대체한 것이다. 호세 에밀리오 알케인 엔지니어가 감독하고 파스카시오 곤잘레스 에라조가 지휘했으며, 건설 자금은 커피 수출에 대한 세금으로 충당되었다. 궁전은 4개의 주요 방과 101개의 보조 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974년까지 정부 청사로 사용되었다. 붉은 방은 외무부 리셉션, 노란 방은 대통령 집무실, 분홍색 방은 대법원과 국방부, 파란 방은 엘살바도르 의회 회의 장소로 사용되었다. 파란 방은 1974년 국가 사적지로 지정되었다.
구세주 대성당은 로마 가톨릭 산살바도르 대교구의 주요 교회이자 산살바도르 대주교의 좌석이다.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이 두 차례 방문하여 "살바도르 국민의 기쁨과 희망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고 언급했다. 1980년 암살된 오스카 아르누보 대주교의 묘가 있어 순례자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성당 앞 광장은 1992년 살바도르 내전을 종식시킨 차풀테펙 평화협정 서명 후 축하 행사가 열린 곳이다. 1999년에는 페르난도 요르트의 세라믹 벽화로 외관이 장식되었으나, 2012년 철거되었다.[23]
엘살바도르 국립극장은 중앙아메리카에서 가장 오래된 극장으로, 1917년에 개관했다. 프랑스 건축가 다니엘 베이야르가 설계하고 이탈리아 건축가 루치오 카펠라로가 장식한 이 건물은 프랑스 르네상스 양식에 로코코, 낭만주의, 아르누보 양식이 더해졌다. 대강당은 650명을 수용할 수 있으며, 대통령 발코니가 무대 중앙을 향하고 있다. 현재 연극, 공연, 오페라, 독창회, 현대무용 공연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1979년 국립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칼레 아르세는 산살바도르의 주요 거리로, 노르만 키하노 시장은 보도 개선 및 가로등 설치 등 재개발을 추진했다.
1920년대에 지어진 카사 두에냐스는 1930년대부터 미국 대사관저 등으로 사용되었으며, 1986년 문화재로 지정되었다. 2001년부터 복원 작업이 진행되었다.
산살바도르 국제 박람회 및 컨벤션 센터(CIFCO)는 중앙아메리카에서 가장 크고 현대적인 컨벤션 센터 중 하나로, 국제 박람회 연합(UFI)과 미국 국제 박람회 협회(AFIDA)에 가입되어 있다. CIFCO 원형극장은 15,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공연장이다.
산살바도르에는 엘살바도르 국립인류학박물관(MUNA)과 엘살바도르 미술관(MARTE) 등 여러 박물관이 있다.[24][25] 틴 마린 어린이 박물관(Tin Marín Museo de los Niños)은 어린이들을 위한 다양한 체험 전시물을 제공한다.[26][27]
그 외에도 산살바도르 대성당, 엘살바도르 국립극장, 엘살바도르 대통령궁, 세계의 구세주 기념비, 대통령궁, 자유 기념비, 쿠스카틀란 경기장, 헌법 기념비, 알베르토 마스페레르 광장, 로스 플라네스 데 렌데로스 등 다양한 관광 명소가 있다.
10. 교육
산살바도르에는 프로테스탄트와 가톨릭 고등학교는 물론이고 세속적인 사립 고등학교도 여러 곳 있다. 또한 다수의 사립 이중 언어 학교도 있다.
11. 교통
산살바도르는 광범위한 대중교통망을 갖춘 주요 지역 교통 중심지이다. 국가 교통망의 주요 노선이 이 도시를 통과한다.
== 교통 ==
=== 공항 ===
산살바도르 국제공항(Monseñor Óscar Arnulfo Romero International Airport)은 엘살바도르의 모든 국제선을 취급하는 주요 공항이다. 1980년 1월 31일, 시내에 위치하여 확장이 불가능했던 일로팡고 국제공항을 대체하여 개항하였다. 새로운 공항은 산 루이스 탈파 시에 위치하며, 산살바도르에서 40km 떨어져 있다. 평평한 지형에 위치하고 인구 밀집 지역으로 둘러싸여 있지 않아 향후 확장이 가능하다. 2008년에는 2,076,258명의 승객을 기록하여 중앙아메리카에서 세 번째로 분주한 공항이었다.
일로팡고 국제공항은 군사 및 전세 항공에 사용되며, 최근 개보수를 마치고 2009년에 재개장했다. 매년 에어쇼가 열린다. 엘살바도르 동부 해안 라우니온의 타마린도(El Tamarindo)에 있는 공항을 재활용할 계획이 있다.
=== 도로 ===
산살바도르를 통과하는 주요 고속도로는 CA-1이며, 한 지점에서 아르투로 카스테야노스 대로(Bulevar Arturo Castellanos)가 된다. RN-21(몬세뇨르 로메로 대로, Bulevar Monseñor Romero)는 산타 테클라와 안티구오 쿠스카틀란 도시를 연결하는 주요 동서 도로로, 산살바도르에서 RN-5 동서 도로(불레바르 로스 프로세레스, Bulevar los Próceres로도 알려짐)와 합류하며, 이후 국제공항 방향으로 남북으로 향하는 RN-5가 된다. 또 다른 주요 도로는 RN-4(카레테라 에스테 오에스테, Carretera Este Oeste)로, 산살바도르에서 아포파를 거쳐 CA-1 범아메리카 고속도로와 합류한다.
수도의 도로는 동서로 달리는 도로는 "거리(street)", 남북으로 달리는 도로는 "대로(avenue)"라고 부른다. 도로 번호는 에스파냐 대로(Avenida Espana)/쿠스카틀란 대로(Avenida Cuscatlán)와 델가도 아르세 거리(Delgado Arce street)의 시내 교차로에서 시작된다. 이 교차로 서쪽의 대로는 홀수 번호를, 동쪽의 대로는 짝수 번호를 갖는다. 거리는 교차로 북쪽이면 홀수 번호를, 남쪽이면 짝수 번호를 갖는다.
특히 통행량이 많은 도로는 49번가 노르테(49a Avenida Norte)로, 엘살바도르 국제공항으로 가는 RN-5 고속도로와 연결된다. 중요한 역사적 거리로는 아르세 거리(Calle Arce)가 있는데, 산살바도르 역사 지구에 보행자 전용 쇼핑몰을 조성하기 위해 폐쇄되었다. 도시의 일부 거리는 차가 지나갈 공간이 거의 없는 매우 좁은 곳도 있지만, 많은 거리는 넓다. 고속도로의 제한 속도는 시속 90km, 주요 도로는 시속 60km, 2차 도로와 대로는 시속 40km이다.
산살바도르 시내 출발 및 도착 장거리 버스는 방향에 따라 동쪽, 서쪽, 남쪽의 3개 터미널로 나뉜다.
- [http://www.dontacos.org/SanSalvador/TerminalOriente.html 산살바도르 동부 버스터미널] - 국내 동부 산비센테, 산미겔, 라우니온, 국내 북부 차라테낭고 방면 출발 및 도착 터미널.
- [http://www.dontacos.org/SanSalvador/TerminalOccidente.html 산살바도르 서부 버스터미널] - 국내 서부 산타아나, 아와차판, 쏜소나테 방면 출발 및 도착 터미널.
- [http://www.dontacos.org/SanSalvador/TerminalSur.html 산살바도르 남부 버스터미널] - 국내 남동부 사카테콜카, 우술탄 방면 출발 및 도착 터미널. 세 터미널 중 규모가 가장 작다. 엘살바도르 국제공항 방면 버스는 이 터미널이 출발점은 아니지만, 바로 옆을 지나가므로 환승이 가능하다.
=== 대중교통 ===
산살바도르 대도시권 통합 교통 시스템(SITRAMSS)은 대량 수송 버스 시스템이었다. SITRAMSS의 첫 번째 노선은 산 마르틴에서 일로팡고, 소야팡고, 산살바도르, 안티구아 쿠스카틀란을 거쳐 산타 테클라까지 왕복 운행했다.[28] 1회당 160명의 승객을 수송할 수 있는 버스가 2013년 하반기에 운행을 시작했으며,[28] 배차 간격은 약 8~10분이었다.[29] SITRAMSS는 민관 합작 사업으로, 미주개발은행(IDB)으로부터 5천만 달러의 대출을 받아 인프라 개발 자금을 마련했다.

매일 약 20만 명이 시내 공공 버스 시스템을 이용한다.[30] 버스 운송 시스템의 일부는 시정부에서 운영하지만, 대부분은 민간 부문에서 운영하여 안전 및 교통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30] 2013년 SITRAMS 운영 시작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었다.[30] 버스 요금은 노선에 따라 일반적으로 0.20달러에서 0.25달러 사이이다. 시정부는 장애인, 노인 및 임산부를 위해 무료 버스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는 중앙아메리카에서 유일한 시스템이다.
택시는 도시 전체에서 운영되며, 요금은 택시 기사가 목적지에 따라 부과한다. 산살바도르의 택시는 노란색이며, 주로 도요타 코롤라로 구성되어 있다.
엘살바도르 국제공항
산살바도르 시내 출발 및 도착 장거리 버스는 방향에 따라 3개의 터미널로 나뉜다.
- [http://www.dontacos.org/SanSalvador/TerminalOriente.html 산살바도르 동부 버스터미널] - 국내 동부 산비센테, 산미겔, 라우니온, 국내 북부 차라테낭고 방면 출발 및 도착 터미널.
- [http://www.dontacos.org/SanSalvador/TerminalOccidente.html 산살바도르 서부 버스터미널] - 국내 서부 산타아나, 아와차판, 쏜소나테 방면 출발 및 도착 터미널.
- [http://www.dontacos.org/SanSalvador/TerminalSur.html 산살바도르 남부 버스터미널] - 국내 남동부 사카테콜카, 우술탄 방면 출발 및 도착 터미널. 세 터미널 중 규모가 가장 작다. 엘살바도르 국제공항 방면 버스는 이 터미널이 출발점은 아니지만, 바로 옆을 지나가므로 환승이 가능하다.
=== 철도 ===
1990년대에는 철도 서비스가 없었지만, 2007년 10월 1일부터 엘살바도르 국영철도(FENADESAL)가 서비스를 재개하여 티켓 가격 0.10달러에 동부 버스터미널 근처에서 아포파(Apopa) 마을까지 운행했다.(2013년부터 운행 중단) 산살바도르 북부의 쿠스카탄싱고(Cuscatancingo)를 아포파와 연결하고, 아포파에서 네하파(Nejapa)시로 연결하는 또 다른 노선 운영 계획이 있다.
또한 1960년대의 철도 차량을 개조하여 관광부가 운영하는 역사적인 철도가 있다. 한 달에 한 번 방문객들은 빈티지 기차에 탑승하여 1960년대 산살바도르 사람들이 이용했던 교통수단을 체험할 수 있다.
11. 1. 공항
산살바도르 국제공항(Monseñor Óscar Arnulfo Romero International Airport)은 엘살바도르의 모든 국제선을 취급하는 주요 공항이다. 1980년 1월 31일, 시내에 위치하여 확장이 불가능했던 일로팡고 국제공항(Ilopango International Airport)을 대체하여 개항하였다. 새로운 공항은 산 루이스 탈파(San Luis Talpa) 시에 위치하며, 산살바도르에서 40km 떨어져 있다. 평평한 지형에 위치하고 인구 밀집 지역으로 둘러싸여 있지 않아 향후 확장이 가능하다. 2008년에는 2,076,258명의 승객을 기록하여 중앙아메리카에서 세 번째로 분주한 공항이었다.일로팡고 국제공항은 군사 및 전세 항공에 사용되며, 최근 개보수를 마치고 2009년에 재개장했다. 매년 에어쇼가 열린다. 엘살바도르 동부 해안 라우니온(La Unión)의 타마린도(El Tamarindo)에 있는 공항을 재활용할 계획이 있다.
11. 2. 도로
산살바도르를 통과하는 주요 고속도로는 CA-1이며, 한 지점에서 아르투로 카스테야노스 대로(Bulevar Arturo Castellanos)가 된다. RN-21(몬세뇨르 로메로 대로, Bulevar Monseñor Romero)는 산타 테클라와 안티구오 쿠스카틀란 도시를 연결하는 주요 동서 도로로, 산살바도르에서 RN-5 동서 도로(불레바르 로스 프로세레스, Bulevar los Próceres로도 알려짐)와 합류하며, 이후 국제공항 방향으로 남북으로 향하는 RN-5가 된다. 또 다른 주요 도로는 RN-4(카레테라 에스테 오에스테, Carretera Este Oeste)로, 산살바도르에서 아포파를 거쳐 CA-1 범아메리카 고속도로와 합류한다.수도의 도로는 동서로 달리는 도로는 "거리(street)", 남북으로 달리는 도로는 "대로(avenue)"라고 부른다. 도로 번호는 에스파냐 대로(Avenida Espana)/쿠스카틀란 대로(Avenida Cuscatlán)와 델가도 아르세 거리(Delgado Arce street)의 시내 교차로에서 시작된다. 이 교차로 서쪽의 대로는 홀수 번호를, 동쪽의 대로는 짝수 번호를 갖는다. 거리는 교차로 북쪽이면 홀수 번호를, 남쪽이면 짝수 번호를 갖는다.
특히 통행량이 많은 도로는 49번가 노르테(49a Avenida Norte)로, 엘살바도르 국제공항으로 가는 RN-5 고속도로와 연결된다. 중요한 역사적 거리로는 아르세 거리(Calle Arce)가 있는데, 산살바도르 역사 지구에 보행자 전용 쇼핑몰을 조성하기 위해 폐쇄되었다. 도시의 일부 거리는 차가 지나갈 공간이 거의 없는 매우 좁은 곳도 있지만, 많은 거리는 넓다. 고속도로의 제한 속도는 시속 90km, 주요 도로는 시속 60km, 2차 도로와 대로는 시속 40km이다.
산살바도르 시내 출발 및 도착 장거리 버스는 방향에 따라 동쪽, 서쪽, 남쪽의 3개 터미널로 나뉜다.
- [http://www.dontacos.org/SanSalvador/TerminalOriente.html 산살바도르 동부 버스터미널] - 국내 동부 산비센테, 산미겔, 라우니온, 국내 북부 차라테낭고 방면 출발 및 도착 터미널.
- [http://www.dontacos.org/SanSalvador/TerminalOccidente.html 산살바도르 서부 버스터미널] - 국내 서부 산타아나, 아와차판, 쏜소나테 방면 출발 및 도착 터미널.
- [http://www.dontacos.org/SanSalvador/TerminalSur.html 산살바도르 남부 버스터미널] - 국내 남동부 사카테콜카, 우술탄 방면 출발 및 도착 터미널. 세 터미널 중 규모가 가장 작다. 엘살바도르 국제공항 방면 버스는 이 터미널이 출발점은 아니지만, 바로 옆을 지나가므로 환승이 가능하다.
11. 3. 대중교통
산살바도르 대도시권 통합 교통 시스템(SITRAMSS)은 대량 수송 버스 시스템이었다. SITRAMSS의 첫 번째 노선은 산 마르틴에서 일로팡고, 소야팡고, 산살바도르, 안티구아 쿠스카틀란을 거쳐 산타 테클라까지 왕복 운행했다.[28] 1회당 160명의 승객을 수송할 수 있는 버스가 2013년 하반기에 운행을 시작했으며,[28] 배차 간격은 약 8~10분이었다.[29] SITRAMSS는 민관 합작 사업으로, 미주개발은행(IDB)으로부터 5천만 달러의 대출을 받아 인프라 개발 자금을 마련했다.매일 약 20만 명이 시내 공공 버스 시스템을 이용한다.[30] 버스 운송 시스템의 일부는 시정부에서 운영하지만, 대부분은 민간 부문에서 운영하여 안전 및 교통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30] 2013년 SITRAMS 운영 시작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었다.[30] 버스 요금은 노선에 따라 일반적으로 0.20달러에서 0.25달러 사이이다. 시정부는 장애인, 노인 및 임산부를 위해 무료 버스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는 중앙아메리카에서 유일한 시스템이다.
택시는 도시 전체에서 운영되며, 요금은 택시 기사가 목적지에 따라 부과한다. 산살바도르의 택시는 노란색이며, 주로 도요타 코롤라로 구성되어 있다.
엘살바도르 국제공항
산살바도르 시내 출발 및 도착 장거리 버스는 방향에 따라 3개의 터미널로 나뉜다.
- [http://www.dontacos.org/SanSalvador/TerminalOriente.html 산살바도르 동부 버스터미널] - 국내 동부 산비센테, 산미겔, 라우니온, 국내 북부 차라테낭고 방면 출발 및 도착 터미널.
- [http://www.dontacos.org/SanSalvador/TerminalOccidente.html 산살바도르 서부 버스터미널] - 국내 서부 산타아나, 아와차판, 쏜소나테 방면 출발 및 도착 터미널.
- [http://www.dontacos.org/SanSalvador/TerminalSur.html 산살바도르 남부 버스터미널] - 국내 남동부 사카테콜카, 우술탄 방면 출발 및 도착 터미널. 세 터미널 중 규모가 가장 작다. 국제공항 방면 버스는 이 터미널이 출발점은 아니지만, 바로 옆을 지나가므로 환승이 가능하다.
11. 4. 철도
1990년대에는 철도 서비스가 없었지만, 2007년 10월 1일부터 엘살바도르 국영철도(FENADESAL)가 서비스를 재개하여 티켓 가격 0.10달러에 동부 버스터미널 근처에서 아포파(Apopa) 마을까지 운행했다.(2013년부터 운행 중단) 산살바도르 북부의 쿠스카탄싱고(Cuscatancingo)를 아포파와 연결하고, 아포파에서 네하파(Nejapa)시로 연결하는 또 다른 노선 운영 계획이 있다.또한 1960년대의 철도 차량을 개조하여 관광부가 운영하는 역사적인 철도가 있다. 한 달에 한 번 방문객들은 빈티지 기차에 탑승하여 1960년대 산살바도르 사람들이 이용했던 교통수단을 체험할 수 있다.
12. 재난
산살바도르는 역사적으로 많은 자연 재해를 겪었다. 1854년에는 도시를 파괴한 대지진이 발생했다.[31] 1917년에는 산살바도르 화산이 분화하여 세 차례의 대지진을 일으켜 큰 피해를 입었고, 정부는 수도를 산타테클라(당시 누에바 산살바도르)로 일시 이전해야 했다.[31]
1986년 10월 10일 발생한 1986년 산살바도르 지진은 도시와 주변 지역에 심각한 피해를 입혔다. 1,000명에서 1,500명이 사망하고 10,000명 이상이 부상을 입었으며, 지진과 일주일간의 여진으로 인해 20만 명이 집을 잃었다.[32][33]
2001년에는 1월 13일과 2월 13일에 두 차례의 지진이 발생하여 큰 피해를 입혔다. 특히 라스 콜리나스 교외 지역에서는 산사태로 인해 주택이 파괴되고 많은 사람이 사망했다.
허리케인, 쓰나미, 산사태도 위협이 된다. 2009년 11월에는 허리케인 아이다가 산살바도르, 산비센테, 쿠스카틀란 주를 강타하여 큰 피해를 입혔다. 2010년 5월에는 열대폭풍 아가타가 중앙아메리카 해안을 강타하여 산살바도르 대도시권에 많은 비를 뿌려 싱크홀, 산사태, 홍수 피해를 일으켰다. 특히 도심, 엘 피카초, 몬테벨로 지역이 큰 피해를 입었다.
2020년에는 열대폭풍 아만다가 엘살바도르 전역에 폭우를 쏟아부어 큰 피해를 입혔다. 수도 산살바도르에서는 50채의 주택이 파괴되고 23대의 차량이 싱크홀에 빠졌으며, 강이 범람하여 건물이 파괴되고 900채의 가옥이 피해를 입고 1,200명 이상이 이재민이 되었다. 엘살바도르의 나이브 부켈레 대통령은 15일간의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아만다는 미치 허리케인 이후 22년 만에 엘살바도르 최악의 기상 재해로 여겨졌다.
13. 치안
1980년대 후반, 엘살바도르 내전으로 인해 산살바도르의 공공 안전에 대한 우려가 증가했다. 내전은 주로 시골에서 벌어졌지만, 전쟁 후반기에는 게릴라들이 수도를 공격하기 시작했다. 산살바도르는 적대 행위 종식 후 빠르게 회복되었지만, 갱단("마라")의 폭력이 문제가 되었다.[34]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에서 시작된 18번가 갱(18th Street gang)이 산살바도르에서 확산되었다. 마라 살바트루차(Mara Salvatrucha)는 경쟁 갱단이다. 2002년 범죄율이 급증했고 시 정부는 이를 해결할 수 없었다. 최근 노르만 키하노(Norman Quijano) 시장의 공공 안전 회복 노력은 어느 정도 성공적이었다. 산살바도르에서 가장 문제가 많은 지역(소야팡고와 인접해 있으며 많은 갱단이 거주하는 5지구와 6지구)의 안전 조치에는 청소년들이 갱단에 가입하는 것을 막기 위한 안전 캠페인과 레크리에이션 활동이 포함되었다. 시장은 또한 경찰이 도시에서 가장 혼잡한 지역을 감시할 수 있도록 보안 카메라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이 프로젝트는 역사적인 시내에서 시작되었으며 도시 전체로 확대될 것이다.[34]
2011년 기준으로 산살바도르는 범죄율을 줄이고 살인율을 아이티, 베네수엘라,[35] 멕시코, 과테말라, 온두라스[36]보다 낮은 수준으로 감소시켰지만, 인구 10만 명당 90건이 넘는 살인율은 뉴욕이나 런던과 같은 주요 도시보다 10배 이상 높았다.[37] 또한 UN 개발 보고서에 따르면 산살바도르는 인구 10만 명당 90건으로 비교적 강도율이 낮다.[38] 이는 코스타리카의 수도인 산호세의 인구 10만 명당 524건과 비교된다.[39]
3지구와 4지구는 이 나라에서 가장 부유하고 이론적으로 가장 안전한 지역이지만, 실제로는 에스칼론 식민지(Colonia Escalón)조차도 주변 지역에 둘러싸여 있으며, 그 지역 안팎에서 수많은 강도 및 범죄 사건이 발생한다. 1지구와 2지구는 3지구나 4지구보다 범죄율이 약간 높고, 산 마르코스와 인접한 5지구와 소야팡고와 인접한 6지구는 범죄율이 가장 높다.
14. 자매 도시
산살바도르는 다음과 같은 도시들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 |
분류:엘살바도르의 자매 도시
참조
[1]
웹사이트
El Salvador Population
https://www.worldome[...]
2024-07-00
[2]
웹사이트
Global BR Data
https://brtdata.org/[...]
BRT+ CoE
2019-07-12
[3]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Subnational HDI - Global Data Lab
https://globaldatala[...]
[4]
웹사이트
TelluBase—El Salvador Fact Sheet
https://tellusant.co[...]
Tellusant
2024-01-11
[5]
웹사이트
Population of El Salvador
https://www.worldome[...]
[6]
웹사이트
Biggest Cities El Salvador
http://www.geonames.[...]
Geonames.org
2012-02-24
[7]
웹아카이브
El Salvador 2003
https://web.archive.[...]
2009-03-27
[8]
웹사이트
San Salvador (Municipality, El Salvador) - Population Statistics, Charts, Map and Location
https://www.worldome[...]
2024-07-09
[9]
간행물
Demographia World Urban Areas 17th Annual Edition: 202106
http://www.demograph[...]
[10]
간행물
Ibero-American Summit
[11]
간행물
Central American Bank for Economic Integration
[12]
서적
El Salvador 1974-1975
https://biblioteca.a[...]
Departamento de Relaciones Públicas de Casa Presidencial
1974
[13]
웹사이트
El nombre oficial de la República de El Salvador
http://www.cultura.g[...]
Gobierno de El Salvador
2015
[14]
웹사이트
Datos del Municipio
http://sansalvador.g[...]
Alcaldía de la Ciudad de San Salvador
2018
[15]
웹사이트
Normales Climatológicas 1991-2020
http://srt.ambiente.[...]
Ministerio de Medio Ambiente y Recursos Naturales
2024-05-13
[16]
웹사이트
Ilopango Normals 1991–2020
https://www.nodc.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3-09-30
[17]
웹사이트
El Salvador – San Salvador (pg 85)
http://www.dmi.dk/dm[...]
Danish Meteorological Institute
2013-04-27
[18]
웹사이트
Station San Salvador
http://meteo-climat-[...]
Meteo Climat
2017-05-02
[19]
웹사이트
Census 2007
https://www.transpar[...]
2022-01-31
[20]
보고서
El Salvador: Estimaciones y Proyecciones de Población Municipal 2005–2025 (Revisión 2014)
http://www.digestyc.[...]
Dirección General de Estadística y Censos
2014-09-00
[21]
서적
A Century of Palestinian Immigration into Central America
https://books.google[...]
Editorial Universidad de Costa Rica
[22]
웹사이트
¿Qué es el Dinero?
http://www.bcr.gob.s[...]
Banco Central de Reserva de El Salvador
2000
[23]
웹사이트
Archbishop Orders Destruction of Salvadoran Mural
http://pulitzercente[...]
Pulitzer Center on Crisis Reporting
2012-01-06
[24]
웹사이트
Marte, Museo de Arte de El Salvador
http://www.marte.org[...]
[25]
웹사이트
สุภาษิตหรือคำพังเพยไทยและต่างประเทศ
http://www.munaelsal[...]
[26]
웹사이트
Cuscatlan Park, one of the biggest urban parks in El Salvador
http://www.explore-b[...]
Explore-beautiful-el-salvador.com
2012-02-24
[27]
웹아카이브
Tin Marín Museum Mission and Vision
https://web.archive.[...]
2011-08-31
[28]
웹사이트
VMT promete el SITRAMSS hasta 2013
http://www.laprensag[...]
Laprensagrafica.com
2012-02-24
[29]
웹사이트
Preparan primera fase de SITRAMSS
http://www.laprensag[...]
Laprensagrafica.com
2012-02-24
[30]
웹사이트
elsalvador.com, Los buseros quieren invertir en el Sitramss
http://www.elsalvado[...]
Elsalvador.com
2012-02-24
[31]
웹사이트
San Salvador
http://www.volcano.s[...]
Smithsonian Institution
[32]
학술지
The San Salvador earthquake of 10 October 1986 and its historical context
http://bssa.geoscien[...]
1993-08-00
[33]
웹사이트
Significant earthquakes in 1986
https://earthquake.u[...]
2009-02-27
[34]
웹아카이브
Sistema de cámaras ya vigila San Salvador
https://web.archive.[...]
2011-12-26
[35]
웹사이트
International Human Development Indicators – UNDP
http://hdrstats.undp[...]
Hdrstats.undp.org
2012-02-24
[36]
웹사이트
International Human Development Indicators – UNDP
http://hdrstats.undp[...]
Hdrstats.undp.org
2012-02-24
[37]
뉴스
Who, What, Why: What happened to crime in New York City?
https://www.bbc.co.u[...]
BBC News Magazine
2012-11-29
[38]
웹사이트
International Human Development Indicators – UNDP
http://hdrstats.undp[...]
Hdrstats.undp.org
2012-02-24
[39]
웹사이트
International Human Development Indicators – UNDP
http://hdrstats.undp[...]
Hdrstats.undp.org
2010-01-29
[40]
웹사이트
Sister Cities, Public Relations
http://www.guadalaja[...]
Guadalajara municipal government
2013-03-12
[41]
웹사이트
City Population
https://www.citypopu[...]
2016-12-22
[42]
웹사이트
San Salvador, the Capital of El Salvador - AlfaTravelGuide.com
http://www.alfatrave[...]
[43]
웹사이트
World Weather Information Service - San Salvador
http://www.worldweat[...]
[44]
웹사이트
Weather Information for San Salvador
http://www.worldweat[...]
2010-06-05
[45]
웹인용
Climatological Information for San Salvador, El Salvador
http://www.weather.g[...]
The Government of the Hong Kong Special Administrative Region
2016-06-07
[46]
웹인용
Ilopango Climate Normals 1961–1990
ftp://ftp.atdd.noaa.[...]
미국 해양대기청
2017-05-02
[47]
웹인용
Klimatafel von San Salvador (Flugh. Ilopango) / El Salvador
http://www.dwd.de/DW[...]
Deutscher Wetterdienst
2017-05-02
[48]
웹인용
El Salvador – San Salvador (pg 85)
http://www.dmi.dk/dm[...]
Danish Meteorological Institute
2012-12-18
[49]
웹인용
Station San Salvador
http://meteo-climat-[...]
Meteo Climat
2017-05-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