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림한계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림한계선은 수목이 생장할 수 있는 한계선을 의미하며, 기온, 강수량, 습도, 토양 등 환경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저온과 건조가 주요 원인이며, 북극, 남극, 고산, 사막, 다습, 토질 삼림한계선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삼림한계선은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며, 기후 변화에 따라 수직 및 수평 이동을 겪을 수 있다. 삼림한계선 부근에는 침엽수가 주로 분포하며, 한국의 고산 지대에서는 눈잣나무, 분비나무 등이 자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삼림한계선 | |
|---|---|
| 지도 정보 | |
| 기본 정보 | |
| 정의 | 나무가 자랄 수 있는 서식지의 가장자리 |
| 특징 | 고도 증가, 기온 감소, 바람 증가, 토양 영양분 감소 등으로 인해 나타남 |
| 유형 | 고산 삼림한계선 극지 삼림한계선 사막 삼림한계선 |
| 형태 | 크룸홀츠 (krummholz) |
| 영향 요인 | |
| 기후 | 기온 강수량 바람 |
| 토양 | 영양분 부족 |
| 기타 | 화재 초식 동물 인간 활동 |
| 관련 연구 | |
| 연구 분야 | 기능생태학 |
2. 삼림한계선의 정의 및 원인
나무는 수직 구조 때문에 지표면에 가까이 붙어 자라는 식물보다 추위에 더 취약하다.[10] 일반적으로 여름철 온도가 나무의 성장 한계를 결정한다. 고산지대의 침엽수는 일 년 중 대부분 서리에 매우 강하지만, 한여름에는 1~2도의 서리에도 민감해진다.[6][7] 나무의 생존은 나무를 지탱할 충분한 새 가지의 성장에 달려 있다. 바람은 나무 조직에 직접적인 물리적 피해를 줄 수 있으며, 바람에 실려 온 입자로 나무를 때리거나, 특히 눈 덮개 위로 뻗어나온 잎의 건조를 유발할 수도 있다.
삼림한계선은 위치와 환경 조건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실제 나무 한계선은 평균 기온에 의해 결정되지만, 벌채와 같은 교란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10] 기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대부분의 인간 활동은 실제 나무 한계선을 바꿀 수 없다.[10] 나무 한계선은 계절 평균 기온이 약 6°C인 선을 따른다.[11][10] 계절 평균 기온은 평균 기온이 0.9°C를 넘는 모든 날을 기준으로 한다. 나무 성장에는 그 온도 이상으로 94일의 생장기가 필요하다.[12]
수목한계선은 기온, 강설량, 습도, 조도 등 식물 생육 환경 조건의 변화로 인해 발생하며, 주로 교목인 목본의 분포를 볼 때 대부분 선형으로 나타난다. 주요 원인은 저온과 건조이며 지구 규모로 나타나지만, 수분 과잉이나 염분 과잉, 황 또는 초염기성 토양의 영향, 강풍, 강설이나 홍수에 의해서도 국소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또한 건조는 국소적인 토양 조건의 영향을 크게 받으므로 기온만큼 명확한 수목한계선을 보이지 않는다.
교목의 생육을 방해하는 주요 요인은 저온과 수분 부족이다. 수분 부족은 림하층이나 근권이 충분히 자라지 못하게 하고, 저온은 광합성을 불활성화시켜 수분 증산을 약화시키고, 가스교환이나 뿌리에서의 질소화합물 흡수 효율을 떨어뜨리며, 동결된 눈이나 얼음에서는 물을 얻을 수 없다. 그러나 소위 침엽수(넓은 의미로는 구과식물)는 잎과 줄기의 목질이 두꺼워 건조에 강하고, 느린 성장을 유지하거나 휘발성 오레오레진[47]을 분비하여 식해나 균 등으로부터 보호하며, 또한 동물매개를 필요로 하지 않는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어 수목한계선 근처에서는 교목이 주요 수림을 이루고, 림하층에서는 단자엽식물이 많아진다. 그래도 토양의 건조, 빈영양화, 유출로 인해 결국 충분히 자랄 수 없게 되어 수목한계선이 나타난다.
3. 삼림한계선의 종류
종류 설명 북극 삼림한계선 북반구에서 삼림이 형성될 수 있는 북쪽 한계선이다. 남극 삼림한계선 남반구에서 삼림이 형성될 수 있는 남쪽 한계선이다. 고산 삼림한계선 삼림이 형성될 수 있는 최대 해발고도이다. 노출 삼림한계선 해변과 외따로 떨어진 산에서 강한 바람으로 인해 수목 생장이 방해를 받는 경계선이다.[50] 사막 삼림한계선 건조한 사막 지역에서 나무가 자라기에 강수량이 너무 적어 생기는 한계선이다. 다습 삼림한계선 토양이 침수되어 나무뿌리가 필요로 하는 산소가 부족하여 생기는 한계선이다. 사이프러스나 망그로브와 같이 침수된 토양에서도 생장할 수 있게 적응한 몇몇 수목 종들이 있다. 토질 삼림한계선 토질적인 이유로 수목의 생장이 제한되는 경계선이다. 



3. 1. 기후적 요인에 따른 분류
북반구에서 삼림이 형성될 수 있는 최북단 한계선은 '''북극 삼림한계선'''이라고 부른다. 이 경계 북쪽으로는 너무 추워서 삼림이 형성될 수 없다.[21] 남반구에서 삼림이 형성될 수 있는 최남단 한계선은 '''남극 삼림한계선'''이라고 부른다. 이 경계 남쪽으로는 너무 추워서 삼림이 형성될 수 없다.[27]
'''고산 삼림한계선'''은 해발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기온이 낮아져 삼림이 형성될 수 없는 한계선을 의미한다. 이 경계 위로는 너무 춥거나 눈이 너무 오래 쌓여 나무가 자랄 수 없다.[2]
'''사막 삼림한계선'''은 강수량이 부족하여 삼림이 형성될 수 없는 건조한 지역의 한계선이다. 사막 지역에서는 나무가 자라기에 강수량이 너무 적다.
기후적 삼림한계는 가장 따뜻한 달의 기온이 섭씨 10°인 등온선으로 정의하거나, 연간 평균 기온이 0°인 지역으로 정의하기도 한다. 나무는 수직 구조 때문에 지표면에 가까이 붙어 자라는 식물보다 추위에 더 취약하다.[10]
3. 2. 기타 요인에 따른 분류
'''노출 삼림한계선'''은 해변과 외따로 떨어진 산에서 나타나는데, 강한 바람이 수목의 생장을 방해하기 때문에 비슷한 조건의 내륙 해발 고도나 크고 복잡한 산악 지역의 삼림한계선보다 낮은 경향이 있다.[50]
'''다습 삼림한계선'''은 토양이 물에 잠겨 나무뿌리가 필요로 하는 산소가 부족하여 생기는 한계선이다. 사이프러스나 망그로브와 같이 침수된 토양에서도 생장할 수 있게 적응한 몇몇 수목 종들이 존재한다.
'''토질 삼림한계선'''은 뿌리를 내릴 수 있는 토양이 없거나(암반 지대 등), 소금기 있는 토양, 중금속에 오염된 토양 등 토질적인 이유로 수목의 생장이 제한되는 경계선이다.
4. 전 세계의 삼림한계선
전 세계의 삼림한계선은 위도, 해류, 지형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나무는 수직 구조 때문에 지표면에 가까이 붙어 자라는 식물보다 추위에 더 취약하다.[10] 일반적으로 여름철 온도가 나무의 성장 한계를 결정하며, 고산지대의 침엽수는 일 년 중 대부분 서리에 매우 강하지만, 한여름에는 1~2도의 서리에도 민감해진다.[6][7] 실제 나무 한계선은 평균 기온에 의해 결정되지만, 벌채와 같은 교란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10] 대부분의 인간 활동은 기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실제 나무 한계선을 바꿀 수 없다.[10] 나무 한계선은 계절 평균 기온이 약 6°C인 선을 따르며,[11][10] 나무 성장에는 평균 기온이 0.9°C를 넘는 날이 94일 이상 필요하다.[12]
기후변화로 인해 눈이 더 일찍 녹고 나무가 자라기에 좋은 조건이 되면서 노스캐스케이드 국립공원의 나무 한계선은 50년 만에 약 121.92m 이상 상승했다.[13]
생태학 및 지리학에서 여러 유형의 수목 한계선이 정의된다. 해안과 고립된 산에서는 강한 바람이 나무의 성장을 저해하기 때문에, 내륙이나 더 크고 복잡한 산악 시스템의 해발 고도와 비교했을 때 나무 한계선이 훨씬 낮은 경우가 많다. 또한, 사면/붕적층이나 노출된 암석 지대와 같이 적절한 토양이 부족하여 나무가 충분한 기반을 잡지 못하고 가뭄과 강한 햇볕에 노출되기도 한다.
수목한계선은 기온, 강설량, 습도, 조도 등 식물 생육 환경 조건의 변화로 인해 발생하며, 주로 교목인 목본의 분포를 볼 때 대부분 선형으로 나타난다. 주요 원인은 저온과 건조이며 지구 규모로 나타나지만, 수분 과잉이나 염분 과잉, 황 또는 초염기성 토양의 영향, 강풍, 강설이나 홍수에 의해서도 국소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건조는 국소적인 토양 조건의 영향을 크게 받으므로 기온만큼 명확한 수목한계선을 보이지 않는다.
교목 생육을 방해하는 주요 요인은 저온과 수분 부족이다. 수분 부족은 림하층이나 근권이 충분히 자라지 못하게 하고, 저온은 광합성을 불활성화시켜 수분 증산을 약화시키며, 가스교환이나 뿌리에서의 질소화합물 흡수 효율을 떨어뜨리고, 동결된 눈이나 얼음에서는 물을 얻을 수 없게 한다. 그러나 침엽수(넓은 의미로는 구과식물)는 잎과 줄기의 목질이 두꺼워 건조에 강하고, 느린 성장을 유지하며, 휘발성 오레오레진[47]을 분비하여 식해나 균 등으로부터 보호하고, 동물매개를 필요로 하지 않는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어 수목한계선 근처에서는 교목이 주로 자라고, 림하층에서는 단자엽식물이 많아진다.
수평적으로는 태양 복사량이 다른 위도에 따라 삼림한계선이 나타난다. 대략 남북 위도 60~70도 부근이며, 이보다 고위도에서는 생육 조건이 더욱 엄격해져 고목한계, 저목한계를 넘어 툰드라로 이어진다. 고도에 따라 수직적으로도 삼림한계선이 나타나며, 계절풍이나 해류의 영향을 받으므로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다.
저지대에 접한 급경사의 고산 지형이 있으면, 저지대에서 산정까지 이르는 식생 변화를 명확하게 관찰할 수 있으므로, 고도에 따른 수직적인 수목한계선, 즉 '''아고산대'''에서 고산대로 바뀌는 선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적도 부근 저위도 고산의 기온은 계절에 따른 연교차보다 일교차가 더 크며, 계절 변화를 보이지 않고 주로 건조함으로 인해 산림한계가 형성된다. 저위도 산림한계는 약 3000m 부근으로 여겨진다. 중위도 지역 고산의 기온은 계절적인 연교차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북반구 중위도 이북에서는 따뜻함의 지수 15와 산림한계가 거의 일치한다고 여겨진다.
일본에서는 특히 여름철 온도와 누적온도에 따라 삼림한계선이 결정되는 경향이 있다. 일본 알프스 중앙부나 후지산에서는 약 2500~2800m 정도이다.[48] 도호쿠 지방에서는 약 1600m, 홋카이도의 다이세쓰산이나 히다산맥에서는 약 1000~1500m, 홋카이도의 리시리섬에서는 해발 약 500m, 칠레섬에서는 해발 약 300m까지 낮아진다.
일본의 삼림한계보다 아래쪽(아고산대)의 식생은 주로 전나무속, 가문비나무속, 구상나무 등의 상록침엽수림이지만, 삼림한계 경계 부근에서는 잎갈나무의 비율이 높아지는 경우가 많다. 삼림한계보다 위쪽(고산대)에서는 눈잣나무 등의 소관목이 많다.
일본에서는 아고산대림에서 눈잣나무대로 짧은 거리에서 수종과 경관이 급변하기 때문에, 삼림한계보다 위쪽에서는 삼림한계를 쉽게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눈잣나무는 동북아시아 특유의 식물이며, 세계적으로 보면 아고산대와 같은 수종이 점차 희소해지고 관목화되어, 마지막에는 사라지는 경우도 많아, 그 경우 삼림한계는 명확한 하나의 선이 아니라 폭넓은 이행대가 된다. 고위도 지대에서는 이러한 이행대를 삼림툰드라라고 부르며, 때로는 남북 수백 킬로미터에 달하는 경우도 있다.
4. 1. 고산 삼림한계선
고산 수목한계선(alpine tree line)은 나무가 자랄 수 있는 가장 높은 고도를 의미한다. 이보다 더 높은 곳은 너무 춥거나 눈이 오랫동안 쌓여 있어 나무가 생존하기 어렵다.[2] 고산 수목한계선 위의 기후는 고산 기후(alpine climate)라고 부르며,[14] 이 지역은 고산대(alpine zone)로 불린다.[15] 북반구에서는 북쪽 사면의 수목한계선이 남쪽 사면보다 낮은데, 이는 북쪽 사면의 그늘 때문에 눈이 녹는 데 더 오랜 시간이 걸려 나무의 생장 기간이 짧아지기 때문이다.[16] 남반구에서는 반대로 남쪽 사면의 생장 기간이 더 짧다.고산 수목한계선은 갑작스럽게 나타나지 않고, 일반적으로 아래쪽의 울창한 숲과 위쪽의 나무가 없는 고산대 사이의 전이 지대를 형성한다. 이러한 전이 지대는 "미국 북동부의 가장 높은 봉우리, 멕시코 중부의 화산 고지대, 미국 서부 11개 주와 캐나다 및 알래스카 대부분 지역의 산악 지대"에서 관찰된다.[23] 이 전이 지대에서는 환경적인 요인으로 인해 키가 작고 비틀린 관목(krummholz)이 주로 나타난다.
고도가 높아지면 기온이 감소하여 고산 기후가 형성된다. 기온 감소율은 산맥에 따라 다르다. 미국 서부의 건조한 산악 지대에서는 고도가 약 304.80m 상승할 때마다 기온이 약 1.9°C씩 감소하는 반면,[23] 미국 동부의 습한 산악 지대에서는 약 0.8°C씩 감소한다.[17] 지표면의 특성과 지형은 일반적인 기온 감소 경향을 변화시키는 미기후(microclimate)를 만들 수 있다.[18]
고산 수목한계선은 북극 수목한계선에 비해 기온 기준으로는 생장 가능 일수(섭씨 10°C 이상)가 절반 미만일 수 있지만, 태양 복사 강도가 더 강하기 때문에 잎 온도 기준으로 계산하면 생장 가능 일수가 비슷할 수 있다.[23]
고산 수목한계선에서는 과도한 눈이 오랫동안 쌓이면 생장 기간이 짧아져 나무의 성장이 억제된다. 그러나 적당한 양의 눈은 겨울철 극한 추위로부터 나무를 보호하고, 수분 손실을 줄이며,[19] 생장기 초기에 수분을 공급하여 나무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하지만 브리티시컬럼비아 남동부 셀커크 산맥의 보호된 골짜기에서는 눈이 많이 쌓여 노출된 중간 경사면보다 수목한계선이 400m 더 낮아진다.[20]
일부 산악 지역에서는 응결선(condensation level) 위의 고도, 적도를 향한 사면, 바람의 영향을 적게 받는 사면에서 강수량이 적고 태양 복사에 더 많이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조건은 토양을 건조하게 만들어 나무가 자라기 어려운 환경을 조성한다. 미국 서부 산맥의 남쪽 사면은 일사량 증가와 건조함 때문에 북쪽 사면보다 수목한계선이 낮다. 하와이의 수목한계선은 약 약 2438.40m 고도에서 나타나는데, 이는 응결대 위에서 수분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한 지역의 고산 수목한계선은 경사의 방위, 강우 그림자 효과, 지리적 극과의 거리 등 지역적인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일부 열대 또는 섬 지역에서는 아고산대 환경에서 진화한 종이 부족하여 기후 조건만으로 예상되는 것보다 낮은 수목한계선이 나타날 수 있다.
여러 지역과 국지적 미기후를 평균하면, 수목한계선은 북위 70~50°에서 남쪽으로 1° 이동할 때마다 약 75m 상승하고, 북위 50~30°에서는 1°당 약 130m 상승한다. 북위 30°에서 남위 20° 사이에서는 수목한계선이 약 3500m 에서 4000m 사이로 거의 일정하다.[41]
다음은 전 세계 여러 지역의 수목한계선의 대략적인 고도이다.
| 위치 | 근삿값 위도 | 수목한계선의 근삿값 고도 | 참고 | |
|---|---|---|---|---|
| (m) | (ft) | |||
| 핀마르크비다, 노르웨이 | 북위 69° | 500m | 약 487.68m | 북위 71° 부근 해안에서는 수목한계선이 해수면 아래에 있다 (북극 수목한계선). |
| 아비스코, 스웨덴 | 북위 68° | 650m | 약 640.08m | [41] |
| 알래스카 주 추가치 산맥 | 북위 61° | 700m | 약 701.04m | 해안 지역에서는 약 460m 이하의 수목한계선 |
| 노르웨이 남부 | 북위 61° | 1100m | 약 1097.28m | 해안 근처에서는 500m 에서 600m까지 훨씬 낮다. |
| 스코틀랜드, 영국 | 북위 57° | 500m | 약 487.68m | 강한 해양성 기후의 영향으로 여름이 서늘하고 나무의 성장이 제한된다.[33] |
| 퀘벡 북부 | 북위 56° | 0m | 약 0.00m | 북극에서 기원한 차가운 래브라도 해류 때문에 캐나다 동부는 북반구에서 가장 남쪽에 위치한 해수면 수목한계선 지역이다. |
| 우랄 산맥 남부 | 북위 55° | 1100m | 약 1097.28m | |
| 캐나다 로키 산맥 | 북위 51° | 2400m | 약 2407.92m | |
| 타트라 산맥 | 북위 49° | 1600m | 약 1584.96m | |
| 올림픽 산맥, 워싱턴주, 미국 | 북위 47° | 1500m | 약 1493.52m | 겨울에 눈이 많이 내려 어린 나무들이 늦여름까지 눈에 묻힌다. |
| 스위스 알프스 | 북위 47° | 2200m | 약 2194.56m | [39] |
| 카타딘 산, 메인주, 미국 | 북위 46° | 1150m | 약 1158.24m | |
| 동알프스,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 북위 46° | 1750m | 약 1737.36m | 서알프스보다 차가운 러시아 바람에 더 많이 노출된다. |
| 시호테알린 산맥, 러시아 | 북위 46° | 1600m | 약 1584.96m | [34] |
| 피에몬테 알프스, 이탈리아 북서부 | 북위 45° | 2100m | 약 2103.12m | |
| 뉴햄프셔주, 미국 | 북위 44° | 1350m | 약 1341.12m | [35] 산불과 그에 따른 토양 손실로 인해 그랜드 모나드녹과 초코루아 산과 같이 일부 봉우리의 수목한계선은 더 낮다. |
| 와이오밍주, 미국 | 북위 43° | 3000m | 약 2987.04m | |
| 카프카스 산맥 | 북위 42° | 2400m | 약 2407.92m | [36] |
| 릴라 산맥과 피린 산맥, 불가리아 | 북위 42° | 2300m | 약 2286.00m | 유리한 지역에서는 최대 2600m까지 이른다. 소나무가 가장 흔한 수목한계선 종이다. |
| 피레네 산맥, 스페인, 프랑스, 안도라 | 북위 42° | 2300m | 약 2286.00m | 소나무가 수목한계선 종이다. |
| 스틴스 산, 오리건주, 미국 | 북위 42° | 2500m | 약 2499.36m | |
| 와사치 산맥, 유타주, 미국 | 북위 40° | 2900m | 약 2895.60m | 더 높음 (유인타 산맥에서는 거의 3400m에 이름) |
| 로키산 국립공원, 콜로라도주, 미국 | 북위 40° | 3550m | 약 3566.16m | [41] 따뜻한 남서쪽 사면 |
| 3250m | 약 3261.36m | 북동쪽 사면 | ||
| 요세미티 국립공원, 캘리포니아주, 미국 | 북위 38° | 3200m | 약 3200.40m | [37] 시에라네바다 산맥 서쪽 |
| 3600m | 약 3596.64m | [37] 시에라네바다 산맥 동쪽 | ||
| 시에라네바다 산맥, 스페인 | 북위 37° | 2400m | 약 2407.92m | 여름 강수량이 적음 |
| 일본 알프스 | 북위 36° | 2900m | 약 2895.60m | |
| 쿰부, 히말라야 | 북위 28° | 4200m | 약 4206.24m | [41] |
| 유산(산), 타이완 | 북위 23° | 3600m | 약 3596.64m | [38] 강한 바람과 척박한 토양으로 나무의 성장이 더 이상 제한된다. |
| 하와이주, 미국 | 북위 20° | 3000m | 약 2987.04m | [41] 지리적 고립과 추위에 대한 내성이 높은 현지 나무 종의 부재. |
| 오리사바 산, 멕시코 | 북위 19° | 4000m | 약 3992.88m | [39] |
| 코스타리카 | 북위 9.5° | 3400m | 약 3413.76m | |
| 키나발루 산, 보르네오 | 북위 6.1° | 3400m | 약 3413.76m | [40] |
| 킬리만자로 산, 탄자니아 | 남위 3° | 3100m | 약 3108.96m | [41] 숲 나무의 상한선; 목본 에리카과 관목은 3900m까지 자란다. |
| 뉴기니 | 남위 6° | 3850m | 약 3840.48m | [41] |
| 안데스 산맥, 페루 | 남위 11° | 3900m | 약 3901.44m | 동쪽; 서쪽에서는 건조함으로 인해 나무의 성장이 제한된다. |
| 안데스 산맥, 볼리비아 | 남위 18° | 5200m | 약 5212.08m | 서부 코르디예라; 사하마 화산(폴리렙시스 타라파카나) 사면에서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목한계선 |
| 4100m | 약 4114.80m | 동부 코르디예라; 태양 복사량이 적어(더 습한 기후) 수목한계선이 더 낮다. | ||
| 코르도바 산맥, 아르헨티나 | 남위 31° | 2000m | 약 2011.68m | 무역풍 위쪽 강수량이 적고 노출도가 높다. |
| 오스트레일리아 알프스, 뉴사우스웨일스주, 오스트레일리아 | 남위 36° | |||
| 1800m | 약 1798.32m | 내륙 깊숙한 곳에 위치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위도에 비해 여름이 서늘하고, 가끔 여름에 눈이 내린다. 그리고 봄철에 폭설이 자주 내린다.[42] | ||
| 라하 호수, 칠레 안데스 산맥 | 남위 37° | 1600m | 약 1584.96m | 온도보다는 강수량이 나무의 성장을 제한한다.[43] |
| 타라나키 산, 뉴질랜드 북섬 | 남위 39° | 1500m | 약 1493.52m | 강한 해양성 기후의 영향으로 여름이 서늘하고 나무의 성장이 제한된다. |
| 오스트레일리아 태즈메이니아주 북동부 | 남위 41° | 1200m | 약 1188.72m | 섬의 풍하 쪽에 위치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위도에 비해 여름이 여전히 서늘하다. |
| 오스트레일리아 태즈메이니아주 남서부 | 남위 43° | 750m | 약 762.00m | 서풍 폭풍 경로에 노출되어 위도에 비해 여름이 매우 서늘하고 여름에 눈이 자주 내린다. 봄에는 극도로 차갑고 많은 강수량이 내리고 바람 또한 극심하다. |
| 피오르드랜드, 뉴질랜드 남섬 | 남위 45° | 950m | 약 944.88m | 매우 눈이 많이 내리는 봄, 강한 찬바람, 그리고 여름에 눈이 자주 내리는 서늘한 여름이 나무의 성장을 제한한다. |
| 아르헨티나 아르헨티노 호수 | 남위 50° | 1000m | 약 1005.84m | 노토파구스 푸밀리오[44] |
| 토레스 델 파이네 국립공원, 칠레 | 남위 51° | 950m | 약 944.88m | 남파타고니아 빙원의 강한 영향으로 여름이 서늘하고 나무의 성장이 제한된다.[45] |
| 나바리노 섬, 칠레 | 남위 55° | 600m | 약 609.60m | 강한 해양성 기후의 영향으로 여름이 서늘하고 나무의 성장이 제한된다.[45] |
4. 2. 북극 삼림한계선
북극 삼림한계선은 나무가 자랄 수 있는 북반구 최북단 위도이다. 이보다 더 북쪽은 일 년 내내 기온이 너무 낮아 나무가 생존할 수 없다.[21] 특히 장기간 지속되는 극저온은 나무 내부의 수액을 얼려 나무를 죽게 할 수 있다. 또한, 토양의 영구동토층은 나무가 필요한 구조적 지지대를 얻을 수 있을 만큼 뿌리를 충분히 깊게 내리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알파인 삼림한계선과 달리 북극 삼림한계선은 저지대에서 발생한다. 캐나다 북서부의 북극 삼림-툰드라 전이대는 너비가 다양하며, 평균 약 145km이고 서쪽에서 동쪽으로 갈수록 현저하게 넓어진다.[22] 북극 삼림한계선 북쪽에는 저지대 툰드라가 있고 남쪽에는 북방림이 있다.
북극 삼림한계선에는 두 가지 구역을 구분할 수 있다.[24][25] 툰드라 지형 속에 강가와 보호된 지역에 더 큰 나무들이 있는 드문드문 분포된 구부러진 나무 또는 왜소한 나무 조각의 삼림-툰드라 지역, 그리고 ''클라도니아'' 속 지의류의 카펫이 깔린 직립 나무의 열린 숲 또는 "이끼 숲"이다.[24] 나무와 이끼 매트의 비율은 남쪽으로 갈수록 "수목선"을 향해 증가하며, 나무가 지형의 50% 이상을 덮는다.[23][26]

고산 수목한계선과 마찬가지로, 극지 수목한계선은 사면의 방위와 방풍 정도와 같은 지역적 변수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또한 영구동토층은 나무가 뿌리를 땅에 내리는 능력에 큰 영향을 미친다. 뿌리가 너무 얕으면 나무는 풍해와 침식에 취약해진다. 나무는 노출된 지역에서는 자랄 수 없는 고위도에서도 강 유역의 계곡에서 자라는 경우가 많다. 해류와 같은 해양의 영향 또한 나무가 적도에서 얼마나 멀리 자랄 수 있는지, 그리고 극단적인 대륙성 기후에서 따뜻한 여름을 경험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북부 내륙 스칸디나비아에서는 고위도에서 비교적 온화한 겨울을 유지하는 상당한 해양성 영향이 있지만, 수목한계선을 훨씬 웃도는 여름을 갖기에 충분한 내륙 효과도 존재한다.
다음은 전형적인 극지 수목한계선의 몇 가지 예이다.
| 위치 | 대략적인 경도 | 극지 수목한계선의 대략적인 위도 | 비고 |
|---|---|---|---|
| 노르웨이 | 북위 70° | 북대서양 해류는 이 지역의 극지방 기후를 같은 위도의 다른 해안 지역보다 따뜻하게 만든다. 특히 온화한 겨울은 영구동토층을 방지한다. | |
| 서시베리아 평원 | 북위 66° | ||
| 중앙 시베리아 고원 | 북위 72° | 극단적인 대륙성 기후는 여름이 충분히 따뜻하여 고위도에서 나무가 자랄 수 있게 하며, 아리마스(동경 102° 15)의 노바야 강 계곡(하탕가 강의 지류)에서 세계에서 가장 북쪽에 있는 숲인 북위 72°28까지 확장된다. 더 북쪽에는 하탕가 강 동쪽 북위 72°31, 동경 105° 03에 있는 루쿤스키 숲이 있다. | |
| 러시아 극동(캄차카 반도 및 추코트카 반도) | 북위 60° | 오야시오 해류와 강한 바람이 여름 기온에 영향을 미쳐 나무의 성장을 막는다. 알류샨 열도는 거의 나무가 없다. | |
| 알래스카, 미국 | 북위 68° | 나무는 브룩스 산맥의 남향 사면까지 북쪽으로 자란다. 산은 북극해에서 불어오는 차가운 공기를 막는다. | |
| 노스웨스트 준주, 캐나다 | 북위 69° | 기후의 대륙성과 더 따뜻한 여름 기온 때문에 북극권 북쪽까지 도달한다. | |
| 누나부트 준주 | 북위 61° | 매우 차가운 허드슨 만의 영향으로 수목한계선이 남쪽으로 이동한다. | |
| 라브라도 반도 | 북위 56° | 라브라도 해류의 여름 기온에 대한 매우 강한 영향과 고도 효과(라브라도의 대부분은 고원임)가 있다. 라브라도의 일부 지역에서는 수목한계선이 북위 53°까지 남쪽으로 확장된다. 해안을 따라 가장 북쪽에 있는 나무는 나파르톡 만의 북위 58°에 있다. | |
| 그린란드 | 북위 69° | 토착 나무가 없는 상황에서 실험적인 나무 심기를 통해 결정됨; 자연적인 종자원으로부터의 고립 때문에 매우 적은 수의 나무가 생존하지만 북위 67°의 캉게르루수아크 피오르에서 느리게 자라고 있다. 퀸구아 계곡에는 하나의 자연림이 있다. |
4. 3. 남극 삼림한계선
남극의 삼림한계선은 명확하게 정의하기 어렵다. 남아메리카 최남단의 티에라 델 푸에고(55°S)에는 나무가 자라지만, 일반적인 아남극 제도와 남극 대륙에는 나무가 자라지 않기 때문이다.[27][28]뉴질랜드 아남극 제도와 오스트레일리아 맥쿼리 섬에서는 연평균 기온이 5°C를 넘는 곳에서 나무와 목본 식물이 자라고, 5°C 이하인 곳에서는 자라지 않는다.[27] 마젤란 아극림 생태계의 남서쪽 끝에서는 숲이 아남극 툰드라와 합쳐지는데,[28] 예를 들어 호스테 섬과 나바리노 섬의 북쪽 절반에는 남극 너도밤나무 숲이 있지만, 남쪽은 무어랜드와 툰드라로 이루어져 있다.[28]
케르겔렌 제도(49°S), 사우스조지아 섬(54°S)과 같은 아남극 제도들은 강한 바람과 낮은 여름 기온 때문에 토착 수종이 전혀 없다. 포클랜드 제도(51°S)는 여름 기온이 한계에 가깝지만 나무가 없으며, 일부 심어진 나무만 존재한다.
남극 반도는 남극에서 가장 북쪽에 위치한 곳(63°S)으로, 가장 온화한 날씨를 보이며 티에라 델 푸에고의 케이프혼에서 1080km 떨어져 있다. 그러나 이곳에도 나무는 자라지 않고 이끼, 지의류, 몇몇 풀 종류만 자란다. 또한, 남극 반도 근처의 아남극 제도에도 나무는 없다.

남쪽 라타 숲은 엔더비 섬과 오클랜드 제도(두 곳 모두 50°S)에 존재하며, 보호된 계곡에서 최대 약 365.76m 고도까지 자란다. 이 나무들은 3m 이상으로 자라는 경우가 거의 없으며,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크기가 작아진다. 캠벨 섬(52°S)에는 1907년에 심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왜소한 가문비나무 한 그루를 제외하고는 나무가 없다.[46] 54°S에 위치한 맥쿼리 섬에는 눈 풀과 고산 풀, 이끼를 제외하고는 식물이 없다.
5. 삼림한계선 부근의 수종
북극 및 고산 삼림한계선 부근에서는 주로 침엽수가 우세하다.
생태학 및 지리학에서 여러 유형의 수목 한계선이 정의된다.
고산 수목한계선은 나무가 자랄 수 있는 가장 높은 고도를 말한다. 그보다 더 높은 곳은 너무 추워서 또는 눈이 너무 오래 쌓여 나무가 자랄 수 없다.[2] 북반구의 북쪽 사면은 남쪽 사면보다 그늘이 많기 때문에 눈이 녹는 데 시간이 더 오래 걸려 나무의 생장기간이 짧아지므로 수목한계선이 더 낮다.[16] 남반구에서는 남쪽 사면의 생장기간이 더 짧다. 고산 수목한계선 경계는 갑작스럽지 않고, 일반적으로 아래쪽의 밀집된 숲과 위쪽의 나무가 없는 고산대 사이의 전이대를 형성한다.
북극 수목한계선은 나무가 자랄 수 있는 북반구에서 가장 북쪽의 위도이다. 더 북쪽으로 가면 일년 내내 너무 추워서 나무가 자랄 수 없다.[21]
남쪽 수목한계선은 뉴질랜드 아남극 제도와 오스트레일리아 맥쿼리 섬에 존재하며, 연평균 기온이 5°C를 넘는 곳에서는 나무와 목본식물이 자라고, 5°C 이하인 곳에서는 자라지 않는다.[27] 또 다른 수목한계선은 마젤란 아극림 생태계의 남서쪽 끝에서 존재하며, 이곳에서 숲은 아남극 툰드라와 합쳐진다.[28]

수목한계선은 기온, 강설량, 습도, 조도 등 식물 생육 환경 조건의 변화로 인해 발생하며, 주로 교목인 목본의 분포를 볼 때 대부분 선형으로 나타난다. 주요 원인은 저온과 건조이며 지구 규모로 나타나지만, 수분 과잉이나 염분 과잉, 황 또는 초염기성 토양의 영향, 강풍, 강설이나 홍수에 의해서도 국소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교목의 생육을 방해하는 주요 요인은 저온과 수분 부족이다. 침엽수(넓은 의미로는 구과식물)는 잎과 줄기의 목질이 두꺼워 건조에 강하고, 느린 성장을 유지나 휘발성 오레오레진[47]을 분비하여 식해나 균 등으로부터 보호하며, 동물매개를 필요로 하지 않는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어 수목한계선 근처에서는 교목의 주요 수림을 이룬다.
저위도 산림한계는 약 3000m 부근으로 여겨진다. 이 부근부터는 무역풍의 영향을 받기 쉽다. 수분을 확보하기 쉬운 조건의 고산 지역에서는 상당한 고도까지 산림한계가 뻗어 3600~3800m 부근에 이르는 곳도 있다.
중위도 지역 고산의 기온은 계절적인 연교차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북반구 중위도 이북에서는 따뜻함의 지수 15와 산림한계가 거의 일치한다고 여겨진다.
킬리만자로산 등 저위도 지역에 위치한 고산에서는 저지대 열대우림이나 사바나에서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온대 낙엽수림, 아한대 침엽수림, 한대 툰드라, 정상 부근의 영구 동토대로 고도별로 단계적인 식생 변화가 나타난다.
5. 1. 주요 수종 (Wikitext 영어 문서의 내용 번역)
| 지역 | 주요 수종 |
|---|---|
| 오스트레일리아 | 눈잣나무 (Eucalyptus pauciflora) |
| 유라시아 | |
| 북아메리카 | |
| 남아메리카 |
5. 2. 한국의 삼림한계선 부근 수종
일본에서는 특히 여름철 온도와 누적 온도에 따라 삼림한계선이 결정되는 경향이 있다. 일본 알프스 중앙부나 후지산에서는 약 2500m~2800m 정도이다.[48] 도호쿠 지방에서는 약 1600m, 홋카이도의 다이세쓰산이나 히다산맥에서는 약 1000m~1500m, 홋카이도의 리시리섬에서는 해발 약 500m, 칠레섬에서는 해발 약 300m까지 낮아진다. 반면, 규슈, 시코쿠, 야쿠시마의 미야노우라다케 등 해발 2000m 정도에서도 삼림한계가 관찰되지만, 이는 암석 지질이나 지형적인 영향이 크다.일본의 삼림한계선 아래쪽(아고산대) 식생은 주로 전나무속, 가문비나무속, 구상나무 등의 상록침엽수림이지만, 삼림한계선 경계 부근에서는 잎갈나무(일본잎갈나무, ''Larix kaempferi'') 비율이 높아진다. 삼림한계선 위쪽(고산대)에서는 눈잣나무 등 소관목이 많다. 교목이 더 이상 자랄 수 없게 되는 고도를 고목한계라고 한다.
일본에서는 아고산대림에서 눈잣나무대로 짧은 거리에서 수종과 경관이 급변하기 때문에, 삼림한계선 위쪽에서는 삼림한계선을 쉽게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눈잣나무는 동북아시아 특유의 식물이며, 세계적으로 보면 아고산대와 같은 수종이 점차 희소해지고 관목화되어 사라지는 경우도 많아, 삼림한계선은 명확한 하나의 선이 아니라 폭넓은 이행대가 된다. 고위도 지대에서는 이러한 이행대를 삼림툰드라라고 부르며, 때로는 남북 수백 킬로미터에 달하는 경우도 있다.
6. 기후 변화와 삼림한계선
지구 온난화와 관련하여, 삼림한계선의 '''수직 이동'''(같은 장소에서 경계가 고도 방향으로 변화하는 것)과 '''수평 이동'''(같은 고도에서 경계가 주로 위도 방향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인해 생태계가 변화한다는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실제로 과거 빙하기에 대규모의 삼림한계선 수직 이동·수평 이동이 발생했던 것이 알려져 있다.[49]
기후변화로 인해 눈이 더 일찍 녹고 나무가 자라기에 좋은 조건이 되면서 노스캐스케이드 국립공원의 나무 한계선은 50년 만에 약 121.92m 이상 상승했다.[13] 1940년대의 일련의 따뜻한 여름은 페어뱅크스 근처 언덕의 기존 나무 한계선 위에서 "상당수의" 가문비나무 묘목이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하였다.[8][9]
한국의 경우, 고산 지대의 삼림한계선 변화는 기온 상승에 민감한 한반도 고유종 및 희귀종의 서식지 감소 및 멸종 위협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
7. 기타
일본에서는 삼림한계선 이상 지역을 식생에 의한 복구가 어렵다는 점에서 특수 황폐지로 구분한다.[49] 삼림한계선을 넘어서 자라는 식물을 고산식물이라고 한다. 교목의 끝부분이 더 이상 자랄 수 없게 되는 고도를 고목한계라고 한다.
참조
[1]
서적
North American Terrestrial Veget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서적
Ecosystem Ecology
Academic Press
[3]
서적
Alpine Treelines: Functional Ecology of the Global High Elevation Tree Limits
Springer
[4]
서적
Land Above the Trees: A Guide to American Alpine Tundra
Big Earth Publishing
[5]
웹사이트
Why treelines?
https://www.geo.uzh.[...]
[6]
서적
Physiological Ecology of the Alpine Timberline: tree existence at high altitude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European Alps
Springer-Verlag
[7]
서적
Ecology and silviculture of interior spruce in British Columbia
[8]
학술지
Characteristics of treeline plant communities in Alaska
[9]
서적
Forest Ecosystems in the Alaskan Taiga
Springer-Verlag
[10]
학술지
The cold range limit of trees
2021-11-01
[11]
학술지
A World-Wide Study of High Altitude Treeline Temperatures
2004-05-01
[12]
학술지
A climate-based model to predict potential treeline position around the globe
http://doc.rero.ch/r[...]
[13]
웹사이트
Climate Change Resource Brief - North Cascades National Park (U.S. National Park Service)
https://www.nps.gov/[...]
[14]
서적
Alpine plant life: functional plant ecology of high mountain ecosystems
Springer
[15]
웹사이트
Alpine Tundra Ecosystem
http://www.nps.gov/r[...]
National Park Service
2011-05-13
[16]
서적
North American Terrestrial Veget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
학술지
Mountain climates of the western United States
[18]
서적
The Climate near the Ground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19]
학술지
The role of stem recharge in reducing the winter desiccation of ''Picea engelmannii'' (Pinaceae) needles at alpine timberline
[20]
학술지
The causes of timberline on mountains: the role of snow
[21]
서적
Long-term environmental change in Arctic and Antarctic lakes
Springer
[22]
학술지
The high subarctic forest–tundra of northwestern Canada: position, width, and vegetation gradients in relation to climate
[23]
서적
Timberline: Mountain and Arctic Forest Frontiers
The Mountaineers
[24]
학술지
Subarctic and subalpine: where and what?
[25]
학술지
The boreal bioclimates
[26]
학술지
Recovery sequence of ''Picea mariana–Vaccinium uliginosum'' forests after burning near Inuvik, Northwest Territories, Canada
[27]
WWF 생태지역
[28]
WWF 생태지역
[29]
서적
High-Tech and Micropropagation II
Springer Berlin Heidelberg
[30]
백과사전
Treeline
http://www.thecanadi[...]
2011-06-22
[31]
학술지
Distinguishing local from global climate influences in the variation of carbon status with altitude in a tree line species
[32]
학술지
The Eucalypt in the Sierra of Southern Peru
1969-01-01
[33]
웹사이트
Action For Scotland's Biodiversity
http://www.scotland.[...]
[34]
웹사이트
Physiogeography of the Russian Far East
http://geobotanica.r[...]
[35]
웹사이트
Mount Washington State Park
http://www.nhstatepa[...]
New Hampshire State Parks
2013-08-22
[36]
웹사이트
Georgia's natural resources and conservation
https://www.geostat.[...]
National Statistic Office of Georgia
2023-04-13
[37]
서적
A Natural History of California
UC Press
[38]
웹사이트
台灣地帶性植被之區劃與植物區系之分區
http://conservation.[...]
[39]
웹사이트
High Elevation Treeline Research
http://pages.unibas.[...]
2010-06-14
[40]
웹사이트
Mount Kinabalu National Park
http://www.ecologyas[...]
Ecology Asia
2016-09-06
[41]
논문
A re-assessment of high elevation treeline positions and their explanation
[42]
웹사이트
Alpine trees | ANU Research School of Biology
https://biology.anu.[...]
[43]
논문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 in Nothofagus pumilio growth at tree line along its latitudinal range (35°40′–55° S) in the Chilean Andes
http://www.osara.org[...]
[44]
논문
Dinámica de la vegetación andina del lago Argentino (50° S, 72° O) desde el retiro de los glaciares (ca. 12.000 años cal AP)
http://www.andeangeo[...]
[45]
논문
Tree-ring growth patterns and temperature reconstruction from Nothofagus pumilio (Fagaceae) forests at the upper tree line of southern, Chilean Patagonia
[46]
뉴스
How the world's loneliest tree is helping scientists advance climate change research
https://www.abc.net.[...]
Australian Broadcasting Company
2022-09-04
[47]
일반
[48]
논문
わが国山岳地域における森林限界高度の規定要因について
東京都立大学 (1949-2011)地理学教室
[49]
서적
こうはいち 荒廃地
日本林業技術協会
[50]
일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