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알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 알프스는 히다 산맥, 키소 산맥, 아카이시 산맥을 포함하는 산악 지형으로, 윌리엄 고울랜드가 유럽 알프스에 비유하여 명명했다. 고대부터 불교 승려와 수행자들의 수행 장소로 이용되었으며, 17세기부터 19세기까지 사무라이들이 산림 보호와 지도를 제작했다. 근대 지질 조사가 이루어지고 외국인들의 등반이 시작되었으며, 1960년대부터 교통 인프라가 개선되어 관광객이 증가했다. 일본 알프스에는 3,000m가 넘는 봉우리가 여러 개 있으며, 현재 7개의 활동하는 빙하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관광지 - 도카이도 오십삼차
도카이도 오십삼차는 에도 시대에 에도에서 교토까지 이어진 487.8km의 주요 도로로, 53개의 숙박 시설을 포함하며 우타가와 히로시게의 우키요에 연작으로 유명하다. - 일본의 산맥 - 곤고산지
곤고 산지는 간사이 지방에 남북으로 뻗은 해발고도 400m~1100m의 산맥으로, 다양한 산봉우리와 등산로, 지질학적 특징을 가지지만 자연 보존과 개발 사이의 갈등으로 환경 파괴 논란이 있다. - 일본의 산맥 - 시레토코반도
시레토코반도는 홋카이도 동부에 위치하며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험준한 산악 지형과 다양한 해안 경관을 가진 반도로, 시레토코 국립공원과 세계 자연 유산으로 지정된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는 생태계 보고이자 아이누 문화와 어업의 역사를 간직한 곳이다. - 주부 지방 - 나가노 방송
나가노 방송(NBS)은 1969년 개국한 후지TV 계열의 나가노현 민영 방송국으로, 뉴스 및 다양한 프로그램을 방송하며 컬러 방송 도입과 디지털 방송 개시 등 기술 발전을 이루었고 현재는 자체 제작 프로그램과 계열 프로그램을 통해 나가노 지역 사회에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주부 지방 - 니가타 종합 TV
니가타 종합 TV(NST)는 니가타현을 방송 권역으로 하는 후지TV 단독 가맹 민영 방송국으로, 다나카 가쿠에이 전 총리의 영향력 아래 설립되어 보수적인 성향으로 인식되지만, 기술 현대화와 새로운 미디어 환경 및 ESG 경영에도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일본 알프스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명칭 | |
한국어 | 일본 알프스 |
일본어 | 日本アルプス |
로마자 표기 | Nihon Arupusu |
지리 | |
위치 | 니가타현, 도야마현, 야마나시현, 나가노현, 기후현, 시즈오카현, 일본 |
길이 | 200 km |
너비 | 40 km |
최고봉 | 기타다케 |
최고 높이 | 3,193 m |
산맥 구성 | |
구성 산맥 | 히다 산맥 기소 산맥 아카이시 산맥 |
기타 | |
관련 인물 | 월터 웨스턴 |
기타 정보 | "일본 알프스의 아버지"라고 불림. 가미코치에 기념 명판이 있음. |
이미지 | |
![]() | |
![]() |
2. 역사
1890년에 최초의 근대 지질 조사 지도가 발행되었는데, 이 보고서에는 주요 봉우리가 언급되었지만 지형은 대부분 추측에 의존했다. 1891년부터 외국 여행자들은 베이실 홀 체임벌린과 W.B. 메이슨의 『일본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에서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수십 년 동안 일본인들은 이에 상응하는 안내서 없이 이 산들을 등반했다. 일본인들은 1890년대 10년 이상에 걸쳐 육체적인 탐험을 수행했고, 산들을 관습적으로 그룹화된 방식(북부, 중부, 남부)으로 나누었다.
알프스보다 위도상 남쪽에 위치하고 고도도 낮기 때문에 빙하의 분포는 매우 제한적이지만, 삼림과 고산식물은 풍부하다. 이들 산의 상부는 적설기에는 뚜렷한 흰 산의 모습이 보인다.
2년에 한 번, 일본해 쪽 도야마만에서 일본 알프스를 종단하여 태평양 쪽 스루가만까지 약 420km를 1주일 이내에 주파하는 트랜스재팬알프스 레이스라는 경기가 개최된다.
'붉은 나무가 날았다' 등(붉은=적석, 나무=기소, 날았다=히다)과 같은 암기법이 있다.
야마나시현 남알프스시의 시명에서 볼 수 있듯이, 알프스라는 이름은 영국인에 의한 명명이지만 현재는 일본 고유의 이름을 압도할 정도의 영향력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헤이세이 대합병으로 생긴 '남알프스시'의 시명에 대해서는 반대 의견도 많았다.
2. 1. 고대와 중세
일본 알프스는 윌리엄 고울랜드가 이 이름을 붙이기 전부터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다. 고대부터 불교 승려와 수행자들의 수행 장소로 이용되었다.[3] 17세기부터 19세기까지 가가번의 사무라이들은 현지 사냥꾼과 농부들을 안내인으로 삼아 히다산맥 깊숙이 들어가 산림을 보호하고, 산등성이, 계곡, 식생을 기록한 지도를 만들었는데, 이러한 조사는 '오쿠야마마와리(奥山廻り)'라고 불린다.[4]오늘날에도 세계에서 눈이 가장 많이 내리는 지역 중 하나인 가파른 히다 산맥을 겨울에 횡단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1584년 겨울, 다이묘 사사 나리마사의 군대가 자라 고개와 하리노키 고개를 넘어 산맥을 횡단한 것은 일본 역사상 중요한 사건으로 여겨지며, 이 사건은 사사와 자라 고개에서 유래한 '사라사라 고에(さらさら越え)'라고 불린다.[1]
그러나 이러한 히다 산맥 조사는 스포츠로서 산을 등반했던 근대 일본 등반가들에게 계승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고지마 우스이는 “그 당시에는 … 산의 이름은 물론 위치나 높이조차 아무도 몰랐다. 등산을 하는 것은 문자 그대로 미지의 나라로 진출하는 것이었다”고 회상했다.[5]
1907년, 시바사키 요시타로 등은 일본에서 마지막으로 미개척된 봉우리이자 가장 등반하기 어려운 봉우리로 알려진 쓰루기 산 등반에 성공했다. 이때 그들은 산 정상에서 금속 수행자 지팡이 장식과 칼을 발견했다. 과학 조사 결과 지팡이와 칼의 장식은 나라 시대 후기에서 헤이안 시대 초기에 제작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쓰루기 산은 이미 1,000년 이상 전에 수행자들에 의해 등반되었던 것이다.[8]
2. 2. 근대
1881년에 간행된 『일본 안내』에서, 히다 산맥을 조사한 영국인 광산기사 윌리엄 고랜드가 유럽의 알프스 산맥에 따라, 거기서 보이는 산맥과 주변 지역을 포함하여 "일본 알프스"라고 소개한 것이 이 이름의 유래이다. 후에 코지마 우스이가 히다 산맥을 "북알프스", 기소 산맥을 "중앙알프스", 아카이시 산맥을 "남알프스"로 명명했다.일반적으로 "일본 알프스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영국인 선교사 월터 베스턴은 자신이 일본 알프스에 자주 등반했고, 또한 유럽에도 일본 알프스의 이름을 소개했다. 상고지에는 베스턴 비가 있으며, 매년 베스턴제가 열린다. 베스턴은 남신슈의 천룡강 주변, 남알프스에도 발자취를 남겼다.
2. 3. 현대
일본 알프스는 윌리엄 고울랜드가 이 이름을 붙이기 전부터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었다. 고대부터 불교 승려와 수행자들의 수행 장소로 이용되었다.[3] 17세기부터 19세기까지 가가 번의 사무라이들은 현지 사냥꾼과 농부들을 안내인으로 삼아 히다 산맥 깊숙이 들어가 산림을 보호하고, 산등성이, 계곡, 식생을 기록한 지도를 만들었는데, 이러한 조사는 '오쿠야마마와리(奥山廻り, Okuyama-mawari)'라고 불린다.[4]오늘날에도 세계에서 눈이 가장 많이 내리는 지역 중 하나인 가파른 히다 산맥을 겨울에 횡단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1584년 겨울, 다이묘 사사 나리마사의 군대가 자라 고개와 하리노키 고개를 넘어 산맥을 횡단한 것은 일본 역사상 중요한 사건으로 여겨지며, 이 사건은 사사 나리마사와 자라 고개에서 유래한 '사라사라 고에(さらさら越え, Sarasara-goe)'라고 불린다.[1]
그러나 이러한 히다 산맥 조사는 스포츠로서 산을 등반했던 근대 일본 등반가들에게 계승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고지마 우스이는 “그 당시에는 … 산의 이름은 물론 위치나 높이조차 아무도 몰랐다. 등산을 하는 것은 문자 그대로 미지의 나라로 진출하는 것이었다”고 회상했다.[5]
최초의 근대 지질 조사 지도는 1890년에 발행되었다. 이 보고서에는 주요 봉우리가 언급되었지만, 지형은 대부분 추측에 의존했다. 1891년부터 외국 여행자들은 베이실 홀 체임벌린과 W.B. 메이슨의 『일본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Handbook for Travellers in Japan)』에서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수십 년 동안 일본인들은 이에 상응하는 안내서 없이 이 산들을 등반했다. 일본인들은 1890년대 10년 이상에 걸쳐 육체적인 탐험을 수행했고, 산들을 관습적으로 그룹화된 방식(북부, 중부, 남부)으로 나누었다. 영국의 지질학자 윌리엄 고울랜드는 이 지역을 유럽 알프스와 비교할 수 있는 하나의 통일된 풍경으로 처음 생각했다. 고울랜드의 견해는 또 다른 영국인이자 기독교 선교사인 월터 웨스턴에 의해 더욱 발전되었는데, 그는 “고울랜드의 지리적 개념을 성화시켜 사실상 고유 명사로 사용할 수 있었다”.[5]
고울랜드는 1860년대에 알프스의 두 봉우리인 야리산과 노리쿠라산을 등반한 최초로 기록된 외국인이었다. 고고학자였던 그는 고고학적 이유로 이 지역을 탐험했다. 고울랜드가 이 산맥을 탐험한 최초의 외국인이었지만, 기독교 선교사 월터 웨스턴 목사가 자신의 경험을 기록한 최초의 외국인이었다.
고울랜드의 탐험 후 약 20년 뒤, 웨스턴은 고울랜드의 탐험 기록을 참고하여 스스로 산맥을 탐험했다.[6] 웨스턴은 가미코치에 사는 산 안내인인 가미조 카몬지에게 많은 산에 오르도록 안내받았다.[7] 그는 고울랜드가 이전에 횡단했던 것과 같은 산맥을 탐험하고 시로우마산, 조넨산, 가사 산, 호타카산 등 다른 작은 산들을 올랐다.[6]
웨스턴은 지질 구조에 따라 구별되는 두 가지 주요 산맥을 처음으로 기록했다. 그는 첫 번째 산맥을 일본 열도 바로 남쪽에서 동남 중국과 연결되어 있다는 이유로 "중국계(China system)"라고 불렀다. 두 번째 산맥은 북쪽의 카라후토에서 일본으로 들어와 남서쪽으로 이어진다는 사실 때문에 "카라후토계(Karafuto system)"라고 불렀다. 이 두 사람은 이 산맥을 탐험한 최초의 서구 탐험가로 여겨졌으며, 그 결과 웨스턴은 고울랜드의 도움으로 산맥의 여러 부분을 다른 사람들이 확장할 수 있도록 엄청나게 심도 있게 대중화하고 기록했다.[6]
1907년, 시바사키 요시타로 등은 일본에서 마지막으로 미개척된 봉우리이자 가장 등반하기 어려운 봉우리로 알려진 쓰루기 산 등반에 성공했다. 이때 그들은 산 정상에서 금속 수행자 지팡이 장식과 칼을 발견했다. 후속 과학 조사 결과 지팡이와 칼의 장식은 나라 시대 후기에서 헤이안 시대 초기에 제작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츠루기 산은 이미 1,000년 이상 전에 수행자들에 의해 등반되었던 것으로 밝혀졌다.[8]
196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일본 알프스의 교통 인프라가 개선되면서 일부 인기 있는 산악 지역에 대한 접근이 훨씬 쉬워져 등반가뿐만 아니라 관광객도 증가했다. 1967년 고마가타케 로프웨이가 개통되었고,[9] 1970년 신호타카 로프웨이가 개통되었으며,[10] 1971년 다테야마 구로베 알펜 루트가 완전히 개통되었다.[11]
3. 지리
일본 알프스는 히다 산맥(북알프스), 키소 산맥(중앙알프스), 아카이시 산맥(남알프스)으로 구성된다. 이 산맥들은 후지산 다음으로 높은 봉우리들을 포함하며, 3000m가 넘는 봉우리도 여럿 있다. 일본 알프스라는 이름은 1881년 영국인 광산기사 윌리엄 고랜드가 유럽의 알프스 산맥을 본따 붙인 것이다. 이후 코지마 우스이가 히다 산맥을 "북알프스", 기소 산맥을 "중앙알프스", 아카이시 산맥을 "남알프스"로 명명했다.
알프스 산맥보다 위도가 낮고 고도도 낮아 빙하는 적지만, 삼림한계로 인해 적설기에는 뚜렷한 흰 산의 모습을 볼 수 있다. 2년에 한 번씩 도야마만에서 스루가만까지 일본 알프스를 종단하는 트랜스재팬알프스 레이스라는 경기가 열린다.
3. 1. 산맥 구성
오늘날 일본 알프스는 히다 산맥(북알프스), 키소 산맥(중앙알프스), 아카이시 산맥(남알프스)을 포함한다. 이 산맥들에는 후지산 다음으로 높은 봉우리들이 있으며, 3,000m가 넘는 봉우리도 여럿 있다. 가장 높은 봉우리는 북알프스의 호타카 산(3,190m)과 남알프스의 키타 산(3,193m)이다. 온타케 산은 히다 산맥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일반적으로 포함되지 않지만, 등산 안내서에서는 일본 알프스와 함께 언급되기도 한다. 온타케 산은 2014년에 분화한 활화산으로 잘 알려져 있다.1881년 윌리엄 고랜드가 유럽의 알프스 산맥을 본따 "일본 알프스"라고 부른 것이 그 시초이다. 이후 코지마 우스이가 히다 산맥을 "북알프스", 기소 산맥을 "중앙알프스", 아카이시 산맥을 "남알프스"로 명명하였다. 월터 베스턴은 일본 알프스 등반 경험을 유럽에 소개해 "일본 알프스의 아버지"로 불리며, 상고지에는 그의 비석이 있고 매년 베스턴제가 열린다.
일본 알프스는 알프스 산맥보다 위도가 낮고 고도도 낮아 빙하는 적지만, 삼림한계로 인해 적설기에는 뚜렷한 흰 산의 모습을 보인다. 2년에 한 번씩 도야마만에서 스루가만까지 일본 알프스를 종단하는 트랜스재팬알프스 레이스가 개최된다.
암기법으로는 '붉은 나무가 날았다' 등이 있다(붉은=아카이시, 나무=키소, 날았다=히다).
3. 1. 1. 북알프스 (히다 산맥)
북알프스(히다 산맥)는 나가노현, 도야마현, 기후현에 걸쳐 있으며, 일부는 니가타현에도 걸쳐 있다. 주요 산으로는 노리쿠라산, 야케산, 카사산, 호타카산, 야리산, 조넨산, 와시바산, 수이쇼산, 야쿠시산, 구로베고로산, 다테산, 쓰루기산, 가시마 야리가타케, 고류다케, 시로우마산 등이 있다.1881년에 간행된 『일본 안내』에서, 히다 산맥을 조사한 영국인 광산기사 윌리엄 고랜드는 유럽의 알프스 산맥을 따라, 그곳에서 보이는 산맥과 주변 지역을 포함하여 "일본 알프스"라고 소개했다. 이것이 이 이름의 유래이다. 후에 코지마 우스이는 히다 산맥을 "북알프스", 키소 산맥을 "중앙알프스", 아카이시 산맥을 "남알프스"로 명명했다.
일반적으로 "일본 알프스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영국인 선교사 월터 웨스턴은 일본 알프스에 자주 등반했고, 유럽에도 일본 알프스의 이름을 소개했다. 상고지에는 웨스턴 비가 있으며, 매년 웨스턴제가 열린다.
3. 1. 2. 중앙알프스 (기소 산맥)
기소 산맥이라고도 불리는 중앙 알프스는 나가노현에 위치해 있다. 에나 산, 안페이지 산, 구스모야마 산, 미나미코마 산, 우쓰기 산, 호켄 산, 기소코마 산, 교가타케 등의 산들을 포함한다.3. 1. 3. 남알프스 (아카이시 산맥)
나가노현, 야마나시현, 시즈오카현에 걸쳐 있는 남알프스(아카이시 산맥)는 테카리 산, 히지리 산, 아카이시 산, 아라카와 산, 시오미 산, 노토리 산, 아이노 산, 키타 산, 호오 산, 카이코마 산, 센조 산, 노코기리 산 등의 산들을 포함한다.[1]3. 2. 기타
오늘날 일본 알프스는 히다 산맥(飛騨山脈), 키소 산맥(木曽山脈), 아카이시 산맥(赤石山脈)을 포함한다. 이러한 높이 솟은 산맥에는 3000m가 넘는 봉우리가 여러 개 있으며, 후지산 다음으로 높은 봉우리들이다. 가장 높은 봉우리는 북쪽 지역의 호타카 산(3190m)과 남쪽 지역의 키타 산(3193m)이다.[12] 온타케 산은 히다 산맥에서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히다 산맥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등산 안내서에서는 일본 알프스와 함께 언급되는 경우가 많다. 온타케 산은 2014년에 가장 최근 분화한 활화산으로 잘 알려져 있다.[13]1881년에 간행된 『일본 안내』에서, 히다 산맥을 조사한 영국인 광산기사 윌리엄 고랜드가 유럽의 알프스 산맥에 따라, 거기서 보이는 산맥과 주변 지역을 포함하여 "일본 알프스"라고 소개한 것이 이 이름의 유래이다. 후에 코지마 우스이가 히다 산맥을 "북알프스", 기소 산맥을 "중앙알프스", 아카이시 산맥을 "남알프스"로 명명했다.
일반적으로 "일본 알프스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영국인 선교사 월터 베스턴은 자신이 일본 알프스에 자주 등반했고, 또한 유럽에도 일본 알프스의 이름을 소개했다. 상고지에는 베스턴 비가 있으며, 매년 베스턴제가 열린다. 베스턴은 남신슈의 천룡강 주변, 남알프스에도 발자취를 남겼다.
이와 같이, 알프스라는 이름은 영국인에 의한 명명이지만, 야마나시현 남알프스시의 시명에서 볼 수 있듯이, 현재는 일본 고유의 이름을 압도할 정도의 영향력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헤이세이 대합병으로 생긴 '남알프스시'의 시명에 대해서는 반대 의견도 많았다.
알프스 산맥보다 위도상 남쪽에 위치하고 고도도 낮기 때문에 빙하의 분포는 매우 제한적이지만, 삼림상과 고산식물은 풍부하다. 이들 산의 상부는 삼림한계로 적설기에는 뚜렷한 흰 산의 모습이 보인다.
2년에 한 번, 일본해 쪽 도야마만에서 일본 알프스를 종단하여 태평양 쪽 스루가만까지 약 420km를 1주일 이내에 주파하는 트랜스재팬알프스 레이스라는 경기가 개최된다.
암기법으로는 '붉은 나무가 날았다' 등이 있다(붉은=적석, 나무=기소, 날았다=히다).
4. 기타 알프스
- 동북 알프스 - 아사히 산지·이이데 산지 (야마가타현·후쿠시마현·니가타현)[14]
- 쿠비키 알프스 - 묘코산·히우치산·니가타야케산·아마가사키산 (니가타현·나가노현)
- 동알프스 - 오쿠치치부 산괴 (도쿄도·사이타마현·나가노현·야마나시현)[15]
- 고슈 알프스 - 야마나시현 고슈시 출신 알피니스트가 명명. 다이보쓰린(야마나시현 고슈시 등에 걸쳐있음)을 시작으로 남쪽으로 이어지는 고가네자와 연령의 산들을 고슈 알프스라 부르며 등산 애호가들에게 홍보.
- 토이나미 알프스 - 다카키즈미 산지의 야오토메산·아카소보산·다카키즈미산·다카오치바산 등 (토야마현)
- 누마즈 알프스 - 시즈오카현 이즈반도의 코카누키산에서 요코야마、토쿠라산、와시가시라산、오히라산에 걸쳐[16](시즈하마 산지 참조)
- 가카미가하라 알프스 - 기후현 세키시와 가카미가하라시
- 타하라 알프스 - 아쓰미반도(아이치현 타하라시)
- 호쿠세이 알프스 - 스즈카 산맥 (기후현·미에현·시가현)[17]
- 야마토 알프스 - 오오미네산(나라현)[18]
- 시코쿠 알프스 - 켄잔에서 이시즈치산에 걸쳐(도쿠시마현·에히메현·고치현)[19]
- 토온 알프스 - 세키보쿠산에서 호시산, 시로이노시산, 사라가미네에 걸쳐(에히메현 토온시·쿠마코겐정)[20]
- 난요 알프스 - 오니가조 연산(에히메현 우와지마시·마쓰노정·오니키타정、고치현 시만토시)
- 규슈 알프스 - 구쥬 연산、소보·카타야마 계, 아소 외륜산(쿠마모토현·오이타현·미야자키현)[21]
- 칸카이 알프스 - 다카마이 등산, 긴피라산 등 (쿠마모토현 카미아마쿠사시)[22]
- 양상 알프스 - 야쿠시마(가고시마현)[23]
참조
[1]
간행물
Geographical Survey Institute map 25000:1 仙丈ヶ岳
http://www.gsi.go.jp[...]
Geographical Survey Institute
2008-04-08
[2]
웹사이트
Japanese Alps | mountains, Japan
https://www.britanni[...]
[3]
웹사이트
(7) 近代登山にみる歴史的風致
https://web.archive.[...]
[4]
웹사이트
新川郡における「山廻役」と「奥山廻リ」についての一考察
https://web.archive.[...]
[5]
논문
Discovering the Japanese Alps: Meiji Mountaineering and the Quest for Geographical Enlightenment
2005
[6]
서적
Mountaineering and Exploration in the Japanese Alps
https://archive.org/[...]
J. Murray
[7]
웹사이트
Kamikochi
https://web.archive.[...]
[8]
웹사이트
銅錫杖頭附鉄剣(剣岳発見)
https://web.archive.[...]
[9]
웹사이트
Komagatake Ropeway
https://web.archive.[...]
[10]
웹사이트
Shinhotaka Ropeway
https://web.archive.[...]
[11]
웹사이트
Tateyama Kurobe Alpine Route
https://web.archive.[...]
[12]
웹사이트
The Japanese Society of Snow and Ice
https://web.seppyo.o[...]
[13]
뉴스
北アルプス唐松沢を氷河に認定 流動を確認、国内7番目
https://web.archive.[...]
The Asahi Shimbun
2019-10-07
[14]
웹사이트
朝日山地
https://kotobank.jp/[...]
2015-09-29
[15]
문서
東アルプス
[16]
웹사이트
沼津アルプス
https://kotobank.jp/[...]
2015-09-29
[17]
웹사이트
鈴鹿山脈
https://kotobank.jp/[...]
2015-09-29
[18]
웹사이트
大和アルプス
https://kotobank.jp/[...]
2015-09-29
[19]
서적
四国アルプス
伊予史籍刊行会
1925-07-12
[20]
웹사이트
東温アルプス登山
http://www.ehimetour[...]
2015-09-29
[21]
웹사이트
九州アルプスとは?
http://www.taketan.j[...]
2015-09-29
[22]
웹사이트
観海アルプスルート
http://www.t-island.[...]
2015-09-29
[23]
웹사이트
八重岳
https://kotobank.jp/[...]
2015-09-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