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엑시노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성 엑시노스는 삼성전자가 개발한 모바일 AP(Application Processor) 브랜드로, 2010년 처음 출시되었다. 엑시노스 프로세서는 스마트폰, 태블릿, 웨어러블 기기 등 다양한 모바일 기기에 탑재되며, ARM Cortex CPU 코어, ARM Mali 또는 Xclipse GPU, NPU, 그리고 4G LTE 및 5G NR 모뎀을 통합한다. 엑시노스 시리즈는 자체 개발한 Mongoose CPU 코어를 사용하기도 했으며, 다양한 제조 공정 기술을 통해 성능과 전력 효율성을 개선해왔다. 2022년부터는 AMD의 RDNA 아키텍처 기반의 Xclipse GPU를 탑재하여 그래픽 성능을 향상시켰다. 엑시노스 프로세서는 발열 및 성능 문제, 특정 모델의 재부팅 문제 등의 논란이 있었지만, 삼성 갤럭시 시리즈를 비롯한 다양한 제품에 사용되며 모바일 AP 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삼성 시스템 on 칩 목록은 2010년부터 시작되었다.
2. 역사
2010년, 삼성 갤럭시 S에 ARM Cortex-A8 CPU를 탑재한 허밍버드 S5PC110 (현재 엑시노스 3 Single)을 출시했다.[3] 이 CPU는 Intrinsity와 협력하여 개발되었다.[4]
2011년 초, 삼성 갤럭시 S II에 엑시노스 4210 SoC를 처음 출시했다. 같은 해 9월 29일에는 엑시노스 4212를 출시했으며,[8] 32 nm high-κ 금속 게이트 (HKMG) 저전력 공정으로 제작되었다. 11월 30일에는 엑시노스 5 Dual을 공개했다.[10]
2012년 4월 26일, 삼성 갤럭시 S III 및 삼성 갤럭시 노트 II에 탑재된 엑시노스 4 Quad를 출시했다.[12]
2010년 오스틴에 삼성 오스틴 R&D 센터(SARC)를 설립하고, 2012년에는 "S-GPU"라는 GPU IP 개발을 시작했다.[17] 2016년 엑시노스 8890에 탑재된 M1은 SARC의 첫 자체 CPU 코어다.[18] 2017년에는 샌호세 첨단 컴퓨팅 연구소(ACL)가 개설되었다.[15]
2018년 핫 칩스(Hot Chips)에서 새로운 자체 코어 엑시노스 M3를 발표했다.[19] 2019년에는 엑시노스 M4(치타)를 탑재한 엑시노스 9820을 공개했다.[21] 이후 최초의 7nm 제조 공정으로 제조된 엑시노스 9825를 발표했다.[22]
2020년, 마지막 몽구스 기반 SoC인 엑시노스 990을 출시했다. 이 칩에는 코드명 라이온(Lion)인 다섯 번째 자체 코어(엑시노스 M5)가 탑재되었다.[23][24]
2019년 11월 1일, 삼성은 SARC CPU 팀 해고 및 자체 CPU 코어 개발 종료를 통보했다.[28] 그러나 SARC와 ACL은 자체 SoC, AI 및 GPU 개발을 계속할 것이다.[29]
2019년 6월 3일, AMD(Advanced Micro Devices)와 삼성은 AMD 라데온 GPU IP 기반 모바일 그래픽 IP에 대한 다년간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발표했다.[30][17] 라데온 GPU를 사용한 첫 번째 SoC는 2022년 1월에 출시된 엑시노스 2200이다.[34]
2021년 6월, 삼성은 AMD와 애플 출신 엔지니어를 채용하여 새로운 맞춤형 아키텍처 팀을 구성했다.[35]
2021년 10월, 구글은 삼성과의 협력을 통해 제작된 텐서 SoC를 기반으로 한 픽셀 6 시리즈 휴대폰을 출시했다.[36]
2024년, 삼성은 RDNA 3 마이크로아키텍처 기반의 Xclipse 940을 탑재한 엑시노스 2400을 공식 발표했다.[37] 같은 해, 엑시노스 2400과 함께 RDNA 3 기반의 Xclipse 530을 탑재한 엑시노스 1480을 출시했다.[38]
2021년부터 구글이 Pixel 6 이후의 구글 픽셀에 탑재하고 있는 「구글 텐서」 시리즈는 삼성전자가 제조를 담당하고 있으며, 실질적으로 "엑시노스를 기반으로 구글 독자적인 커스터마이징이 이루어진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2011년, 듀얼 코어를 채용한 엑시노스 4210이 발표되었으며, GPU는 이 이후 ARM사의 :en:Mali (GPU)를 채용한다.
2013년 3월, 차세대 엑시노스(엑시노스 5410)를 탑재한 갤럭시 S4가 발표되었다. GPU에는 엑시노스 3110 이후 처음으로 파워VR을 다시 채용했다.
2014년 2월, MWC에서 엑시노스 5420의 동작 주파수를 향상시킨 플래그십 모델 엑시노스 5422와 보급형 단말기용 모델 엑시노스 5260을 발표했다[214]。
2017년 2월, 10 nm FinFET 공정을 채용한 Exynos 9 Series 8895가 발표되었다[215]。
2018년 1월, 제2세대 10 nm FinFET 공정을 채용하고, 최대 1.2 Gbps 다운로드, 200 Mbps 업로드가 가능한 Cat.18 LTE 모뎀을 탑재한 Exynos 9 Series 9810을 발표했다[216]。
2018년 11월, 8 nm LPP FinFET 공정을 채용하고, NPU를 내장, 최대 2 Gbps 다운로드, 316 Mbps 업로드가 가능한 Cat.20 LTE 모뎀을 탑재한 Exynos 9 Series 9820을 발표했다[217]。
2019년 8월, 엑시노스 9820을 7 nm EUV로 이전하고, GPU 클럭을 향상시킨 Exynos 9 Series 9825[218], 8 nm FinFET 공정을 채용하고, 5G 모뎀을 탑재한 엑시노스 980을 발표했다[219]。
2019년 10월, 7 nm EUV를 채용하고, 최대 5,500 Mbps의 LPDDR5 램, 120Hz 디스플레이, 1.08억 화소 카메라를 지원하는 엑시노스 990[220]을 발표했다.
2021년 1월, 5 nm로 이전하고, 2억 화소 카메라, 8K 60fps 동영상 촬영을 지원하는 엑시노스 2100[221]을 발표했다.
2. 1. 초기 (2010-2015): 허밍버드, 엑시노스 3, 4, 5 시리즈
2010년, 삼성전자는 삼성 갤럭시 S에 CPU인 ARM Cortex-A8을 탑재한 허밍버드(Hummingbird) S5PC110 (현재 엑시노스 3 Single)을 출시했다.[3] 이 ARM Cortex-A8은 허밍버드라는 코드명으로 개발되었다.[4]
2011년, 삼성 갤럭시 S II에 엑시노스 4210 SoC를 처음 출시했다. 엑시노스 4210용 드라이버 코드는 리눅스 커널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2011년 11월 버전 3.2에 지원이 추가되었다.[6][7]
2011년 9월 29일, 엑시노스 4212를 출시했으며,[8] 더 높은 클럭 주파수와 "이전 프로세서 세대보다 50% 더 높은 3D 그래픽 성능"을 특징으로 한다.[9] 32 nm high-κ 금속 게이트(HKMG) 저전력 공정으로 제작되었으며, "이전 프로세서 세대보다 30% 더 낮은 전력 수준"을 제공한다.
2011년 11월 30일, 듀얼 코어 ARM Cortex-A15 CPU를 탑재한 "엑시노스 5250"으로 명명되었다가 나중에 엑시노스 5 듀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12.8 GB/s의 메모리 대역폭, USB 3.0 및 SATA 3 지원, 60 fps로 풀 1080p 비디오를 디코딩하며, WQXGA 해상도(2560 × 1600)와 HDMI를 통해 1080p를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10] 엑시노스 5 듀얼은 2013년부터 일부 크롬북에 사용되었다.[11]
2012년 4월 26일, 삼성 갤럭시 S III 및 삼성 갤럭시 노트 II에 탑재된 엑시노스 4 쿼드를 출시했다.[12] 엑시노스 4 쿼드 SoC는 삼성 갤럭시 S II의 SoC보다 20% 적은 전력을 사용한다. 엑시노스 3110을 엑시노스 3 싱글, 엑시노스 4210 및 4212를 엑시노스 4 듀얼 45 nm,[13] 및 엑시노스 4 듀얼 32 nm[14] 그리고 엑시노스 5250을 엑시노스 5 듀얼로 변경했다.
2012년, 45 nm 공정의 엑시노스 4210에서 32 nm 공정으로 축소된 엑시노스 4212가 발표되었으며, 이후 32 nm 공정으로 전환된다.[213]
2012년 12월, ARM사가 제안하는 big.LITTLE Processing 기술을 차세대 엑시노스에 채용한다는 발표가 있었다.
2013년 3월, 차세대 엑시노스(엑시노스 5410)를 탑재한 갤럭시 S4가 발표되었다. GPU에는 엑시노스 3110 이후 처음으로 파워VR을 다시 채용했다.
2013년 9월, 엑시노스 5410을 개선하여 HMP (Heterogeneous Multi-Processing) 모드를 지원한다.
2014년 2월, MWC에서 엑시노스 5420의 동작 주파수를 향상시킨 플래그십 모델 엑시노스 5422와 보급형 단말기용 모델 엑시노스 5260을 발표했다.[214]
모델명 | 제조 공정 | 명령어 집합 | CPU | GPU | 메모리 기술 | 출시 년도 | 사용 제품 |
---|---|---|---|---|---|---|---|
엑시노스 3 싱글 (3110) - (허밍버드(S5PC110/S5PC111))[256] | 45 nm | ARM ARMv7 | ARM Cortex-A8 MP1 1GHz 싱글 코어 | IT 파워VR SGX540 200 MHz | 32-bit 듀얼채널 LPDDR/LPDDR2/DDR2 200 MHz | 2010년 | 삼성 갤럭시 S, 삼성 갤럭시 탭 7, 갤럭시 S Infuse, 갤럭시 S, 갤럭시 U, 갤럭시 K |
엑시노스 3 듀얼 (3250) | 28nm | ARM Cortex-A7 MP2 1GHz 싱글 코어 | ARM Mali-400 MP2 400 MHz | 32-bit 듀얼채널 LPDDR/LPDDR2/DDR2 200 MHz | 2010년 | 삼성 기어2, 삼성 기어2 네오, KT 라인 키즈폰, 삼성 기어 핏2 | |
엑시노스 3 쿼드 (3470, 섀넌222AP)[257][258] | 28 nm HKMG | ARM ARMv7 | ARM Cortex-A7 MP4 1.4 GHz 쿼드 코어 | ARM 말리-400 MP4 440 MHz | 32-bit 듀얼채널 LPDDR2/LPDDR3 400 MHz | 2013년 4분기 | 삼성 갤럭시 라이트, 삼성 갤럭시 윈 LTE, 삼성 갤럭시 S5 미니, 갤럭시 탭4 7.0 LTE |
엑시노스 3 쿼드 (3475) | 28nm | ARM 홀딩스 ARMv7 | ARM Cortex-A7 MP4 1.3GHz 쿼드 코어 | ARM Mali-T720 MP1 667MHz | 32 비트 듀얼채널 800MHz (12.8GB/s) LPDDR3 | 2015년 7월 1일 | 갤럭시 탭 E 8.0, 갤럭시 폴더, 갤럭시 J2, 갤럭시 온5 |
엑시노스 4 듀얼 45 nm (4210)[260] | 45 nm | ARM ARMv7 | ARM Cortex-A9 MP2 1.2GHz / ARM Cortex-A9 MP2 1.4 GHz 싱글 코어 | ARM 말리-400 MP4 266 MHz | 32 비트 듀얼 채널 400MHz (6.4GB/s) LPDDR2/DDR2/DDR3 | 2011년 2분기 | 삼성 갤럭시 S II, 삼성 갤럭시 탭 7.0 플러스 / 갤럭시 S II WiMAX, 갤럭시 노트, 갤럭시 탭 7.7, MX 2-Core |
엑시노스 4 듀얼 32 nm (4212)[261] | 32 nm HKMG | ARM ARMv7 | ARM Cortex-A9 MP2 1.5 GHz 듀얼 코어 | ARM 말리-400 MP4 440 MHz | 32 비트 듀얼 채널 400MHz (6.4GB/s) LPDDR2/DDR2/DDR3 | 2011년 4분기 | 갤럭시 S4 줌, 갤럭시 탭3 8.0, MX New 2-Core, 갤럭시 기어 |
엑시노스 4 쿼드 (4412)[262] | 32 nm HKMG | ARM ARMv7 | ARM Cortex-A9 MP4 1.4GHz / ARM Cortex-A9 MP4 1.6GHz | ARM 말리-400 MP4 440 ~ 533 MHz | 32 비트 듀얼 채널 400MHz (6.4GB/s) LPDDR2/LPDDR3 | 2012년 2분기 | 갤럭시 S III, 갤럭시 카메라, 갤럭시 노트 10.1, 갤럭시 팝, 갤럭시 그랜드, MX 4-Core, Idea PHone K860 |
엑시노스 4 쿼드 (4415) | 28nm HKMG | ARM ARMv7 | ARM Cortex-A9 MP4 1.5 GHz | ARM Mali-400 MP4 533 MHz | 2012년 | 갤럭시 메가 2 | |
엑시노스 5 듀얼 (5250)[263] | 32 nm HKMG | ARM ARMv7 | ARM Cortex-A15 MP2 2GHz / ARM Cortex-A15 MP2 1.7GHz | ARM 홀딩스 말리-T604 (MP4) 533 MHz | 32 비트 듀얼 채널 800MHz (12.8GB/s) LPDDR3/DDR3 | 2012년 3분기 | 구글 넥서스 10, 삼성 크롬북 2세대 |
엑시노스 5 옥타 (5410)[264][265] | 28 nm HKMG | ARM 홀딩스 ARMv7 | ARM 홀딩스 Cortex-A15 최대 1.7 GHz 쿼드 코어 + ARM 홀딩스 코텍스-A7 최대 1.3 GHz 쿼드 코어 (big.LITTLE CM) | 이매지네이션 테크놀로지 파워VR SGX544MP3 533 MHz | 32 비트 듀얼채널 800MHz (12.8GB/s) LPDDR3 | 2013년 2분기 | 삼성 갤럭시 S4 I9500/일부 변종, 하드커널 ODROID-XU |
엑시노스 5 옥타 (5420)[266] | 28 nm HKMG | ARM 홀딩스 ARMv7 | ARM 홀딩스 Cortex-A15 최대 1.9 GHz 쿼드 코어 + ARM 홀딩스 Cortex-A7 최대 1.3 GHz 쿼드 코어 (big.LITTLE CM) | ARM 홀딩스 말리-T628 MP6 533 MHz | 32 비트 듀얼 채널 933MHz (14.9GB/s) LPDDR3 | 2013년 3분기 | 삼성 갤럭시 노트 3 N900, 삼성 갤럭시 노트 10.1 2014 에디션 P600/601, 삼성 갤럭시 탭 프로 8.4 T320/321, 삼성 갤럭시 탭 프로 10.1 T520/521, 삼성 갤럭시 탭 프로 12.2 T900/901, 삼성 갤럭시 노트 프로 12.2 P900/901, 삼성 갤럭시 탭 S 8.4 T700, 삼성 갤럭시 탭 S 10.5 T800 |
엑시노스 5 헥사 (5260)[267] | 28 nm HKMG | ARM 홀딩스 ARMv7 | ARM 홀딩스 Cortex-A15 최대 1.7 GHz 듀얼 코어 + ARM 홀딩스 Cortex-A7 최대 1.3 GHz 쿼드 코어 (big.LITTLE HMP) | ARM 홀딩스 말리-T624 (MP4) 533 MHz | 32 비트 듀얼채널 800MHz (12.8GB/s) LPDDR3 | 2014년 1분기 | 삼성 갤럭시 노트 3 네오 N750/7505/7507, 삼성 갤럭시 K 줌 |
엑시노스 5 옥타 (5422/5800)[268] | 28 nm HKMG | ARM 홀딩스 ARMv7 | ARM 홀딩스 Cortex-A15 최대 2.1 GHz 쿼드 코어 + ARM 홀딩스 Cortex-A7 최대 1.5 GHz 쿼드 코어 (big.LITTLE HMP) | ARM 홀딩스 말리-T628 MP6 533 MHz | 32 비트 듀얼 채널 933MHz (14.9GB/s) LPDDR3/DDR3 | 2014년 1분기 | 삼성 갤럭시 S5 G900H (5422), 삼성 크롬북 2 (5800)[269] |
엑시노스 5 옥타 (5430)[270] | 20 nm HKMG | ARM 홀딩스 ARMv7 | ARM 홀딩스 Cortex-A15 최대 2 GHz 쿼드 코어 + ARM 홀딩스 Cortex-A7 최대 1.5 GHz 쿼드 코어 (big.LITTLE HMP) | ARM 홀딩스 말리-T628 MP6 600 MHz | 32 비트 듀얼 채널 1066MHz (17.1GB/s) LPDDR3 | 2014년 8월 13일 | 삼성 갤럭시 알파, 메이주 MX4 Pro |
2. 2. 자체 CPU 코어 개발 (2016-2020): 엑시노스 7, 8, 9 시리즈
2016년, 삼성전자는 자체 개발한 Mongoose CPU 코어를 탑재한 엑시노스 8890을 출시하여 갤럭시 S7에 탑재하였다.[18] 2017년, 10nm FinFET 공정을 적용한 엑시노스 9 시리즈(8895)를 발표하였으며, 갤럭시 S8에 탑재되었다.[215] 2018년에는 2세대 10nm FinFET 공정 기반의 엑시노스 9 시리즈(9810)을 출시하였고, 갤럭시 S9에 탑재되었다.[216] 같은 해, NPU를 내장한 엑시노스 9 시리즈(9820)을 발표하였으며, 갤럭시 S10에 탑재되었다.[217]2019년, 7nm EUV 공정 기반의 엑시노스 9 시리즈(9825)를 출시하였고, 갤럭시 노트10에 탑재되었다.[218] 같은 해, 5G 모뎀을 통합한 엑시노스 980을 발표하였다.[219] 2020년, 엑시노스 990을 출시하였으며, 갤럭시 S20에 탑재되었다.[220]
2. 3. 협력 및 발전 (2021-현재): 엑시노스 1000, 2000 시리즈, 웨어러블, 오토모티브
2019년 6월 3일, AMD와 삼성은 AMD 라데온 GPU IP를 기반으로 하는 모바일 그래픽 IP에 대한 다년간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발표했다.[30][17] NotebookCheck는 삼성이 AMD 라데온 GPU IP를 탑재한 첫 번째 SoC를 2021년에 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보도했고,[31] AnandTech는 2022년으로 보도했다.[32] 2019년 8월, AMD의 2019년 2분기 실적 발표에서 AMD는 삼성이 약 2년 안에 AMD 그래픽 IP를 탑재한 SoC를 출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33] 라데온 GPU를 사용한 첫 번째 SoC는 2022년 1월에 출시된 엑시노스 2200으로, AMD의 RDNA 2 마이크로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Xclipse 920을 탑재했다.[34]2021년 6월, 삼성은 AMD와 애플 출신 엔지니어를 채용하여 새로운 맞춤형 아키텍처 팀을 구성했다.[35]
2021년 10월, 구글은 삼성과의 협력을 통해 제작된 텐서 SoC를 기반으로 한 픽셀 6 시리즈 휴대폰을 출시했다.[36]
2024년, 삼성은 RDNA 3 마이크로아키텍처 기반의 Xclipse 940을 탑재한 엑시노스 2400을 공식 발표했다.[37] 같은 해, 삼성은 엑시노스 2400과 함께 RDNA 3 기반의 Xclipse 530을 탑재한 엑시노스 1480을 출시하여, 자사 중급형 프로세서에서 ARM의 Mali GPU 시대의 종말을 알렸다.[38] 2020년부터 삼성은 과거보다 낮은 숫자로 새로운 Exynos SoC 시리즈를 출시했는데, 이는 적어도 명명 방식에서 과거의 Exynos SoC와 단절되었음을 나타낸다.
3. 주요 제품군
엑시노스 칩의 주요 제품군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모바일 프로세서: 스마트폰, 태블릿 등 모바일 기기에 탑재되는 칩이다.
- 웨어러블 프로세서: 스마트워치 등 웨어러블 기기에 탑재되는 칩이다.
- 오토모티브 프로세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등 자동차 환경에 특화된 기능을 제공하는 칩이다.
각 제품군은 다양한 CPU, GPU, 메모리 기술, 통신 기능 등을 조합하여 구성되며, 탑재되는 기기의 특성에 따라 성능과 기능이 최적화되어 있다. 엑시노스 모바일 프로세서는 갤럭시 시리즈를 비롯하여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및 태블릿에 탑재되어 왔으며, 일부 모델은 다른 회사 제품에도 사용되었다.
3. 1. 모바일 프로세서
엑시노스 모바일 프로세서는 삼성전자가 개발한 시스템 온 칩(SoC)으로, 다양한 종류의 CPU와 GPU를 조합하여 스마트폰, 태블릿, 웨어러블 기기 등 여러 모바일 기기에 탑재되고 있다.초기 엑시노스 칩은 ARM 홀딩스의 ARMv6 또는 ARMv7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ARM11 싱글 코어나 코덱스-A8 싱글 코어, 코텍스-A8 듀얼 코어, 혹은 코텍스-A7 쿼드 코어 등을 탑재했다. GPU는 이매지네이션 테크놀로지의 파워VR나 ARM의 말리를 사용했다.
이후 엑시노스 4 시리즈부터는 ARMv7 아키텍처 기반의 코텍스-A9 듀얼 코어 또는 쿼드 코어를 탑재하고, 말리-400 MP4 GPU를 사용했다. 엑시노스 5 시리즈는 ARMv7 아키텍처 기반의 코텍스-A15와 코텍스-A7를 조합한 듀얼, 헥사, 옥타 코어 프로세서를 탑재하고, 말리-T604, 파워VR SGX544MP3, 말리-T628 MP6 등 다양한 GPU를 사용했다.
엑시노스 7 시리즈부터는 ARMv8-A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코텍스-A57과 코텍스-A53을 조합한 옥타 코어 프로세서, 코텍스-A53 쿼드 코어 또는 옥타 코어 프로세서, 코텍스-A73과 코텍스-A53을 조합한 옥타 코어 프로세서 등을 탑재했다. GPU는 말리-T760, 말리-T720, 말리-G72 등을 사용했다.
엑시노스 8 시리즈는 ARMv8.2-A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삼성 엑시노스 M2 쿼드 코어와 코텍스-A53 쿼드 코어를 조합한 옥타 코어 프로세서를 탑재하고, 말리-G71 GPU를 사용했다. 엑시노스 9 시리즈는 삼성 엑시노스 M2, M3, M4, M5, 코텍스-A77, 코텍스-A76, 코텍스-A75, 코텍스-A73, 코텍스-A55, 코텍스-A53 등 다양한 CPU 코어를 조합한 옥타 코어 프로세서를 탑재하고, 말리-G71, 말리-G72, 말리-G76, 말리-G77, 말리-G52 등 다양한 GPU를 사용했다.
엑시노스 1000 시리즈와 2000 시리즈는 ARM Cortex CPU, ARM Mali GPU 또는 Xclipse GPU를 탑재하고 5G 모뎀을 통합한 칩셋이다.
엑시노스 모바일 프로세서는 갤럭시 시리즈를 시작으로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및 태블릿에 탑재되어 왔으며, 일부 모델은 외부 기업 제품에도 채용되었다.
3. 1. 1. 엑시노스 3 시리즈
'''엑시노스 3 시리즈'''는 싱글 코어 또는 쿼드 코어 프로세서로, 주로 보급형 스마트폰 및 태블릿에 탑재되었다.모델명 | 제조 공정 | 명령어 집합 | CPU | GPU | 메모리 기술 | 통신 | 출시 년도 | 사용한 제품 |
---|---|---|---|---|---|---|---|---|
엑시노스 3 싱글 (3110 - S5PC100)[255] | 45 nm | ARM 홀딩스 ARMv7 | ARM 홀딩스 코덱스-A8 MP1 600 MHz 싱글 코어 | IT 파워VR SGX535 200 MHz | 32-bit 듀얼채널 LPDDR/LPDDR2/DDR2 200 MHz | 2009년 | 아이폰 3GS, 아이팟 터치 3세대 | |
엑시노스 3 싱글 (3110) - (허밍버드(S5PC110/S5PC111))[256] | 45 nm | ARM ARMv7 | ARM 코텍스-A8 MP1 1GHz + ARM 코텍스-A8 MP1 1.2GHz 듀얼 코어 / ARM 홀딩스 코텍스-A8 MP1 1GHz 싱글 코어 | IT 파워VR SGX540 200 MHz | 32-bit 듀얼채널 LPDDR/LPDDR2/DDR2 200 MHz | 2010년 | 삼성 갤럭시 S, 삼성 갤럭시 탭 7, 갤럭시 S Infuse, 갤럭시 S, 갤럭시 U, 갤럭시 K | |
엑시노스 3 듀얼 (3250) | 28nm | ARM 코텍스-A7 MP2 1GHz 싱글 코어 | ARM Mali-400 MP2 400 MHz | 32-bit 듀얼채널 LPDDR/LPDDR2/DDR2 200 MHz | 2010년 | 삼성 기어2, 삼성 기어2 네오, KT 라인 키즈폰, 삼성 기어 핏2 | ||
엑시노스 3 쿼드 (3470, 섀넌222AP)[257][258] | 28 nm HKMG | ARM ARMv7 | ARM 코텍스-A7 MP4 1.4 GHz 쿼드 코어 | ARM 말리-400 MP4 440 MHz | 32-bit 듀얼채널 LPDDR2/LPDDR3 400 MHz | LTE Cat.3/4[259] | 2013년 4분기 | 삼성 갤럭시 라이트, 삼성 갤럭시 윈 LTE, 삼성 갤럭시 S5 미니, 갤럭시 탭4 7.0 LTE |
엑시노스 3 쿼드 (3475) | 28nm | ARM 홀딩스 ARMv7 | ARM Cortex-A7 MP4 1.3GHz 쿼드 코어 | ARM Mali-T720 MP1 667MHz | 32 비트 듀얼채널 800 MHz (12.8GB/s) LPDDR3 | Cat.4 (2CH) | 2015년 7월 1일 | 갤럭시 탭 E 8.0, 갤럭시 폴더, 갤럭시 J2, 갤럭시 온5 |
3. 1. 2. 엑시노스 4 시리즈
엑시노스 4 시리즈는 듀얼 코어 및 쿼드 코어 프로세서로, 삼성 갤럭시 S II, 삼성 갤럭시 S III 등 당시 플래그십 스마트폰에 탑재되었다.모델명 | 제조 공정 | 명령어 집합 | CPU | GPU | 메모리 기술 | 출시 년도 | 사용한 제품들 |
---|---|---|---|---|---|---|---|
엑시노스 4 듀얼 45 nm (4210)[260] | 45 nm | ARM ARMv7 | ARM 코텍스-A9 MP2 1.2GHz / ARM 코텍스-A9 MP2 1.4 GHz 싱글 코어 | ARM 말리-400 MP4 266 MHz | 32 비트 듀얼 채널 400MHz (6.4GB/s) LPDDR2/DDR2/DDR3 | 2011년 2분기 | 삼성 갤럭시 S II, 삼성 갤럭시 탭 7.0 플러스 / 갤럭시 S II WiMAX, 갤럭시 노트, 갤럭시 탭 7.7, MX 2-Core |
엑시노스 4 듀얼 32 nm (4212)[261] | 32 nm HKMG | ARM ARMv7 | ARM 코텍스-A9 MP2 1.5 GHz 듀얼 코어 | ARM 말리-400 MP4 440 MHz | 32 비트 듀얼 채널 400MHz (6.4GB/s) LPDDR2/DDR2/DDR3 | 2011년 4분기 | 갤럭시 S4 줌, 갤럭시 탭3 8.0, MX New 2-Core, 갤럭시 기어 |
엑시노스 4 쿼드 (4412)[262] | 32 nm HKMG | ARM ARMv7 | ARM 코텍스-A9 MP4 1.4GHz / ARM 코텍스-A9 MP4 1.6GHz | ARM 말리-400 MP4 440 ~ 533 MHz | 32 비트 듀얼 채널 400 MHz (6.4GB/s) LPDDR2/LPDDR3 | 2012년 2분기 | 갤럭시 S III, 갤럭시 카메라, 갤럭시 노트 10.1, 갤럭시 팝, 갤럭시 그랜드, MX 4-Core, Idea PHone K860 |
엑시노스 4 쿼드 (4415) | 28nm HKMG | ARM ARMv7 | ARM Cortex-A9 MP4 1.5 GHz | ARM Mali-400 MP4 533 MHz | 2012년 | 갤럭시 메가 2 |
3. 1. 3. 엑시노스 5 시리즈
엑시노스 5 시리즈는 듀얼, 헥사, 옥타 코어 프로세서로 구성되어 있으며, ARM 홀딩스의 big.LITTLE 기술을 적용하여 전력 효율성을 높였다. 이 칩들은 삼성 갤럭시 S4, 삼성 갤럭시 노트 3 등 다양한 삼성전자 스마트폰과 태블릿에 탑재되었다.모델명 | 제조 공정 | 명령어 집합 | CPU | GPU | 메모리 기술 | 출시 년도 | 사용한 제품 |
---|---|---|---|---|---|---|---|
엑시노스 5 듀얼 (5250)[263] | 32 nm HKMG | ARM ARMv7 | ARM 코텍스-A15 MP2 2GHz / ARM 코텍스-A15 MP2 1.7GHz | ARM 홀딩스 말리-T604 (MP4) 533 MHz | 32 비트 듀얼 채널 800 MHz (12.8 GB/s) LPDDR3/DDR3 | 2012년 3분기 | 구글 넥서스 10, 삼성 크롬북 2세대 |
엑시노스 5 옥타 (5410)[264][265] | 28 nm HKMG | ARM ARMv7 | ARM 코텍스-A15 최대 1.7 GHz 쿼드 코어 + ARM 코텍스-A7 최대 1.3 GHz 쿼드 코어 (big.LITTLE CM) | 이매지네이션 테크놀로지 파워VR SGX544MP3 533 MHz | 32 비트 듀얼채널 800 MHz (12.8 GB/s) LPDDR3 | 2013년 2분기 | 삼성 갤럭시 S4 I9500/일부 변종, 하드커널 ODROID-XU |
엑시노스 5 옥타 (5420)[266] | 28 nm HKMG | ARM ARMv7 | ARM 코텍스-A15 최대 1.9 GHz 쿼드 코어 + ARM 코텍스-A7 최대 1.3 GHz 쿼드 코어 (big.LITTLE CM) | ARM 홀딩스 말리-T628 MP6 533 MHz | 32 비트 듀얼 채널 933 MHz (약 14.9 GB/s) LPDDR3 | 2013년 3분기 | 삼성 갤럭시 노트 3 N900, 삼성 갤럭시 노트 10.1 2014 에디션 P600/601, 삼성 갤럭시 탭 프로 8.4 T320/321, 삼성 갤럭시 탭 프로 10.1 T520/521, 삼성 갤럭시 탭 프로 12.2 T900/901, 삼성 갤럭시 노트 프로 12.2 P900/901, 삼성 갤럭시 탭 S 8.4 T700, 삼성 갤럭시 탭 S 10.5 T800 |
엑시노스 5 헥사 (5260)[267] | 28 nm HKMG | ARM ARMv7 | ARM 코텍스-A15 최대 1.7 GHz 듀얼 코어 + ARM 코텍스-A7 최대 1.3 GHz 쿼드 코어 (big.LITTLE HMP) | ARM 홀딩스 말리-T624 (MP4) 533 MHz | 32 비트 듀얼채널 800 MHz (12.8 GB/s) LPDDR3 | 2014년 1분기 | 삼성 갤럭시 노트 3 네오 N750/7505/7507, 삼성 갤럭시 K 줌 |
엑시노스 5 옥타 (5422/5800)[268] | 28 nm HKMG | ARM ARMv7 | ARM 코텍스-A15 최대 2.1 GHz 쿼드 코어 + ARM 코텍스-A7 최대 1.5 GHz 쿼드 코어 (big.LITTLE HMP) | ARM 홀딩스 말리-T628 MP6 533 MHz | 32 비트 듀얼 채널 933 MHz (약 14.9 GB/s) LPDDR3/DDR3 | 2014년 1분기 | 삼성 갤럭시 S5 G900H (5422), 삼성 크롬북 2 (5800)[269] |
엑시노스 5 옥타 (5430)[270] | 20 nm HKMG | ARM ARMv7 | ARM 코텍스-A15 최대 2 GHz 쿼드 코어 + ARM 코텍스-A7 최대 1.5 GHz 쿼드 코어 (big.LITTLE HMP) | ARM 홀딩스 말리-T628 MP6 600 MHz | 32 비트 듀얼 채널 1,066 MHz (약 17.1 GB/s) LPDDR3 | 2014년 8월 13일 | 삼성 갤럭시 알파, 메이주 MX4 Pro |
3. 1. 4. 엑시노스 7 시리즈
모델명 | 제조 공정 | 명령어 집합 | CPU | GPU | 메모리 기술 | 통신 | 출시 년도 | 사용한 제품 |
---|---|---|---|---|---|---|---|---|
엑시노스 7 옥타 (5433)[271][272] | 20 nm HKMG | ARM 홀딩스 ARMv8-A | ARM 홀딩스 코텍스-A57 1.9 GHz 쿼드 코어 + ARM 홀딩스 코텍스-A53 최대 1.3 GHz 쿼드 코어 (big.LITTLE HMP) | ARM 홀딩스 말리-T760 MP6 700 MHz | 64 비트 듀얼 채널 1,066 MHz (약 13.2 GB/s) LPDDR3 | Cat.6, Cat.9 | 2014년 9월 | 삼성 갤럭시 노트 4 N910H/C/U, 삼성 갤럭시 노트 엣지 대한민국 모델, 삼성 갤럭시 탭 S 10.5 대한민국 모델(SM-T805, LTE-A), 삼성 갤럭시 탭 S2 8.0 SM-T715, LTE-A, 삼성 갤럭시 탭 S2 9.7 SM-T815, LTE-A SM-T815 |
엑시노스 7 듀얼 (7270) | 14nm FinFET | ARM 홀딩스 ARMv8-A | ARM Cortex-A53 MP2 1 GHz | ARM Mali-T720 MP8 650MHz | 32 비트 듀얼 채널 1,066 MHz (약 17.1 GB/s) LPDDR3 | Cat.4 | 2016년 10월 | 삼성 기어 S3, 삼성 기어 스포츠 |
엑시노스 7 옥타 (7420)[273] | 14 nm FinFET | ARM 홀딩스 ARMv8-A | ARM 홀딩스 코텍스-A57 2.1 GHz 쿼드 코어 + ARM 홀딩스 코텍스-A53 최대 1.5 GHz 쿼드 코어 (big.LITTLE HMP) | ARM 홀딩스 말리-T760 MP8 772 MHz | 64 비트 듀얼 채널 1,552 MHz (24.88 GB/s) LPDDR4 | Cat.9 | 2015년 2월[274] | 삼성 갤럭시 S6, 삼성 갤럭시 S6 엣지, 삼성 갤럭시 노트 5, 삼성 갤럭시 S6 엣지 플러스, 삼성 갤럭시 A8 2016 |
엑시노스 7 쿼드 (7570) | 14nm FinFET | ARM 홀딩스 ARMv8-A | ARM Cortex-A53 MP4 1.4 GHz | ARM Mali-720 MP1 700MHz | 32-bit 싱글채널 LPDDR3 667 MHz | Cat.4 (2CH) | 2016년 8월 | 갤럭시 On5⑥, 갤럭시 J3⑦ |
엑시노스 7 쿼드 (7578) | 28nm HKMG | ARM 홀딩스 ARMv8-A | ARM Cortex-A53 MP4 1.5 GHz | ARM Mali-T720 MP2 700 MHz | 32-bit 듀얼채널 LPDDR3 933MHz | Cat.4 (2CH) | 2016년 | 갤럭시 A3⑥ |
엑시노스 7 옥타 (7580)[275] | 28 nm FinFET | ARM 홀딩스 ARMv8-A | ARM 홀딩스 코텍스-A53 최대 1.6 GHz 옥타 코어 | ARM 홀딩스 말리-T720 MP2 688 MHz | 64 비트 듀얼 채널 933 MHz (14.9 GB/s) LPDDR3 | Cat.6 | 2015년 2분기 | 삼성 갤럭시 A5,7,9 2016, 삼성 갤럭시 노트 5 네오, 갤럭시 뷰 |
엑시노스 7 옥타 (7870)[276] | 28 nm FinFET | ARM 홀딩스 ARMv8-A | ARM 홀딩스 코텍스-A53 최대 1.6 GHz 옥타 코어 | ARM 홀딩스 말리-T720 MP2 700 MHz | 64 비트 듀얼 채널 933 MHz (14.9 GB/s) LPDDR3 | Cat.6 | 2016년 1분기 | 삼성 갤럭시 J7 2016, 삼성 갤럭시 탭 A 10.1 2016 |
엑시노스 7 옥타 (9610) | 10 nm FinFET | ARM 홀딩스 ARMv8-A | ARM 홀딩스 Cortex-A73 2.3GHz 4코어 + ARM 홀딩스 Cortex-A53 1.6GHz 4코어 ( Big.Little ) | ARM 홀딩스 Mali-G72 MP18 656MHz | 64 비트 듀얼 채널 1794 MHz (28.7 GB/s) LPDDR4X | Cat.13 2CA, Cat.12 3CA | 2017년 4분기 | 갤럭시 A 시리즈 |
3. 1. 5. 엑시노스 8 시리즈
엑시노스한국어 8890은 2015년 4분기에 출시되었으며, 갤럭시 S7 및 갤럭시 노트 Fan Edition에 탑재되었다.[246] 14nm FinFET LPP 공정으로 제조되었으며, ARMv8-A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다.엑시노스 8890은 삼성전자가 자체 개발한 최초의 옥타 코어 프로세서로, 코드명 '몽구스(Mongoose) 1' CPU 코어를 탑재했다. 4개의 몽구스 1 코어는 2.6GHz(2코어 작동 시) 또는 2.288GHz(4코어 작동 시)로 작동하며, 4개의 ARM Cortex-A53 코어는 1.586GHz로 작동한다. 이들은 big.LITTLE 기술을 통해 효율적으로 전력을 관리한다.
GPU로는 ARM Mali-T880MP12가 사용되었으며, 650MHz로 작동한다. 메모리는 LPDDR4 규격을 지원하며, 듀얼 채널로 1794MHz의 속도를 낸다.
SoC | CPU | GPU | 메모리 | 출시 | 사용 기기 | ||||||||||
---|---|---|---|---|---|---|---|---|---|---|---|---|---|---|---|
형번 | 제조 공정 | 명령 집합 | big.LITTLE | 아키텍처 | 동작 클럭 | 코어 수 | HMP 모드 | GPU 형번 | 동작 클럭 | 셰이더 코어 수 | DRAM 규격 | 채널 수 | 동작 클럭 | ||
엑시노스 8 옥타 (엑시노스 8890) | 삼성 14 nm FinFET LPP | ARMv8-A | ○ | 몽구스 1 | 4 | ○ | ARM Mali-T880MP12 | 650 MHz | 12 | LPDDR4 | 2 | 1794 MHz | 2015년 Q4 | rowspan=2 | | |
Cortex-A53 | 1586 MHz | 4 |
3. 1. 6. 엑시노스 9 시리즈
공정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