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삼수군 (대한민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수군은 과거 대한민국에 존재했던 행정 구역으로,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겪었다. 삼수면, 금수면, 관흥면, 삼서면, 신파면, 자서면, 호인면 등 7개의 면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면은 여러 개의 리(里)로 이루어져 있었다. 각 면의 면적과 리의 개수, 그리고 각 리의 명칭에 대한 정보가 본문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함경남도의 행정 구역 (대한민국) - 함경남도 (대한민국)
    함경남도는 대한민국 헌법상 자국 영토로 간주되는 한반도 동북부의 도이며, 해방 당시 3개의 시와 16개의 군으로 구성되었고 도청은 함흥시에 위치해 있다.
  • 함경남도의 행정 구역 (대한민국) - 혜산군 (대한민국)
    혜산군은 1개의 읍과 5개의 면으로 구성된 행정 구역으로, 각 읍과 면은 여러 개의 리를 관할한다.
  • 대한민국의 광역 행정 구역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광역 행정 구역 - 노원구
    노원구는 서울특별시 북동부에 위치한 자치구로, 주변 도시와 접하며 갈대밭 또는 여관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불리고, 수락산, 불암산 등의 자연환경과 여러 전철 노선 및 교육기관이 위치해 있다.
삼수군 (대한민국)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이름삼수군
한자 표기三水郡
로마자 표기Samsu-gun
약칭삼수
국가대한민국
지역함경남도
유형
지방 관청이북5도위원회
행정
없음
7개 면
군수강명남
군청 소재지정보 없음
지리
면적1,795.4 km²
해발 고도정보 없음
기후정보 없음
시간대
시간대한국 표준시
UTC+09:00
인구
인구정보 없음
인구 연도정보 없음
인구 월정보 없음
세대정보 없음
세대 연도정보 없음
세대 월정보 없음
인구 밀도정보 없음
인구 밀도 연도정보 없음
인구 밀도 월정보 없음
언어
공용어한국어
지역어동북 방언

2. 행정 구역

삼수군은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겪었다. 현재는 폐지되었지만, 과거 삼수군의 행정 구역은 다음과 같았다.

삼수면(三水面)은 삼수군에 속해있는 면이다. 면적은 169.7 km²이며, 중평장(仲坪場), 천평(川坪), 원덕장(院德場), 하석(下石), 유동(柳洞), 교암(轎巖), 중석(中石), 신풍(新豊), 신풍중(新豊中), 무학(務學), 중평상(仲坪上), 중평하(仲坪下), 회동(檜洞), 신흥(新興), 화산상(華山上), 화산중(華山中), 석우(石隅), 남회(南准), 남풍(南豊), 신창(新昌), 유평(楡坪), 북수(北水), 화계(花溪), 화양(華陽), 독산(獨山), 운봉(雲峰), 관동(館洞), 회산(檜山), 나산(羅山), 은포(隱浦), 동수(東水), 별흥(別興) 등 32개의 리가 있다.

금수면(襟水面)은 면적이 146.5 km²이며, 25개의 리(里)로 구성되어 있다. 금수면의 주요 리로는 성내, 인동, 신촌, 탑동, 억두, 용천, 관동, 용수, 일건, 장항, 간천, 반룡기, 가매덕, 신성, 중, 함포, 속사, 상삼흥, 하삼흥, 수차, 농막, 신흥, 남산, 양응, 봉덕이 있다.

관흥면(館興面)은 면적이 334.7 km²이며, 삼덕(三德), 동화(東和), 상청계(上淸溪), 대청계(大淸溪), 소청계(小淸溪), 개운성(開雲城), 복서(福西), 대서(大西), 인순(仁淳), 석곡(石谷), 상은산(上銀山), 하은산(下銀山), 사품(寺品), 청학(淸鶴), 생양(生陽), 채가(彩佳), 고암포상(高巖浦上), 고암포하(高巖浦下), 수인(守仁), 서덕(西德), 삼포(三浦), 대장(大藏), 소장(小藏), 장수(藏修), 흑연(黑硯), 상두릉(上杜陵), 중두릉(中杜陵), 하두릉(下杜陵), 간령(間嶺)의 29개 리(里)로 구성되어 있다.

삼서면(三西面)은 함경남도 삼수군에 속해있는 면이다. 면적은 569.2 km²이며, 보성(堡城), 신창(新昌), 희사봉(希沙峰), 강응계(江應界), 상진목(上眞木), 하진목(下眞木), 용암(龍巖), 장재기(長在基), 장항(獐項), 자지(紫芝), 상니구지(上泥龜地), 구지(龜地), 지야덕(芝野德), 계양(啓陽), 금천포(金川浦), 간포(間浦), 연평(淵坪), 동동(銅洞), 성기(城基), 사평(沙坪)의 20개 리로 구성되어 있다.

신파면(新坡面)은 면적이 152.71 km²이며, 15개의 리(里)로 구성되어 있다. 신파면을 구성하는 리에는 신갈파(新乫坡), 지응(地應), 천대(川臺), 보파(寶坡), 보(堡), 이방(利方), 연덕(淵德), 두지(斗地), 소농(小農), 민탕(珉湯), 만항(晩項), 박주평(泊舟坪), 구갈파(舊乫坡), 토평(兎坪), 차항(遮項)이 있다.

자서면(自西面)은 면적이 234.7 km²이며 41개의 리가 있다. 상동구, 상거, 차천, 을산덕, 내목척, 외목척, 황철, 하동구, 아안, 고영, 용수, 서가, 광암, 동동, 신풍, 신전, 도룡덕, 송전, 부내, 화룡, 산암동, 태양, 석평, 석촌, 수침, 차보, 사덕, 광암덕, 이만, 생양, 원동, 하원동, 용천, 하거, 연화, 태평, 족교, 복수, 백산, 내평, 용교가 이에 속한다.

호인면(好仁面)은 면적이 178.9 km²이며, 보성(堡城), 상대복(上大福), 하대복(下大福), 춘방(春芳), 중평(仲坪), 관흥(館興), 재함(財咸), 재전(財田), 왕가(王哥), 국은(國恩), 최가(崔哥), 신덕(新德), 대암(大岩), 봉삼(峰三), 박씨대(朴氏垈), 농평하(農坪下), 농평상(農坪上), 효동(孝洞), 상병풍(上屛風), 하병풍(下屛風), 신성(新星), 고거(高巨), 장령(長嶺), 성암(城岩), 중위(中位), 직동(直洞), 한평(漢坪), 운곡(雲谷), 운전(雲田), 신흥(新興), 입암(立岩), 영성(嶺城), 신풍(新豊), 삼형제(三兄弟), 인산(仁山), 화전(樺田) 등 36개의 리(里)로 구성되어 있다.

2. 1. 삼수면 (三水面)

삼수면(三水面)은 삼수군에 속해있는 면이다. 면적은 169.7 km²이며, 중평장(仲坪場), 천평(川坪), 원덕장(院德場), 하석(下石), 유동(柳洞), 교암(轎巖), 중석(中石), 신풍(新豊), 신풍중(新豊中), 무학(務學), 중평상(仲坪上), 중평하(仲坪下), 회동(檜洞), 신흥(新興), 화산상(華山上), 화산중(華山中), 석우(石隅), 남회(南准), 남풍(南豊), 신창(新昌), 유평(楡坪), 북수(北水), 화계(花溪), 화양(華陽), 독산(獨山), 운봉(雲峰), 관동(館洞), 회산(檜山), 나산(羅山), 은포(隱浦), 동수(東水), 별흥(別興) 등 32개의 리가 있다.

2. 2. 금수면 (襟水面)

금수면(襟水面)은 면적이 146.5 km²이며, 25개의 리(里)로 구성되어 있다. 금수면의 주요 리로는 성내, 인동, 신촌, 탑동, 억두, 용천, 관동, 용수, 일건, 장항, 간천, 반룡기, 가매덕, 신성, 중, 함포, 속사, 상삼흥, 하삼흥, 수차, 농막, 신흥, 남산, 양응, 봉덕이 있다.

2. 3. 관흥면 (館興面)

관흥면(館興面)은 면적이 334.7 km²이며, 삼덕(三德), 동화(東和), 상청계(上淸溪), 대청계(大淸溪), 소청계(小淸溪), 개운성(開雲城), 복서(福西), 대서(大西), 인순(仁淳), 석곡(石谷), 상은산(上銀山), 하은산(下銀山), 사품(寺品), 청학(淸鶴), 생양(生陽), 채가(彩佳), 고암포상(高巖浦上), 고암포하(高巖浦下), 수인(守仁), 서덕(西德), 삼포(三浦), 대장(大藏), 소장(小藏), 장수(藏修), 흑연(黑硯), 상두릉(上杜陵), 중두릉(中杜陵), 하두릉(下杜陵), 간령(間嶺)의 29개 리(里)로 구성되어 있다.

2. 4. 삼서면 (三西面)

삼서면(三西面)은 함경남도 삼수군에 속해있는 면이다. 면적은 569.2 km²이며, 보성(堡城), 신창(新昌), 희사봉(希沙峰), 강응계(江應界), 상진목(上眞木), 하진목(下眞木), 용암(龍巖), 장재기(長在基), 장항(獐項), 자지(紫芝), 상니구지(上泥龜地), 구지(龜地), 지야덕(芝野德), 계양(啓陽), 금천포(金川浦), 간포(間浦), 연평(淵坪), 동동(銅洞), 성기(城基), 사평(沙坪)의 20개 리로 구성되어 있다.

2. 5. 신파면 (新坡面)

신파면(新坡面)은 면적이 152.71 km²이며, 15개의 리(里)로 구성되어 있다. 신파면을 구성하는 리에는 신갈파(新乫坡), 지응(地應), 천대(川臺), 보파(寶坡), 보(堡), 이방(利方), 연덕(淵德), 두지(斗地), 소농(小農), 민탕(珉湯), 만항(晩項), 박주평(泊舟坪), 구갈파(舊乫坡), 토평(兎坪), 차항(遮項)이 있다.

2. 6. 자서면 (自西面)

자서면(自西面)은 면적이 234.7 km²이며 41개의 리가 있다. 상동구, 상거, 차천, 을산덕, 내목척, 외목척, 황철, 하동구, 아안, 고영, 용수, 서가, 광암, 동동, 신풍, 신전, 도룡덕, 송전, 부내, 화룡, 산암동, 태양, 석평, 석촌, 수침, 차보, 사덕, 광암덕, 이만, 생양, 원동, 하원동, 용천, 하거, 연화, 태평, 족교, 복수, 백산, 내평, 용교가 이에 속한다.

2. 7. 호인면 (好仁面)

호인면(好仁面)은 면적이 178.9 km²이며, 보성(堡城), 상대복(上大福), 하대복(下大福), 춘방(春芳), 중평(仲坪), 관흥(館興), 재함(財咸), 재전(財田), 왕가(王哥), 국은(國恩), 최가(崔哥), 신덕(新德), 대암(大岩), 봉삼(峰三), 박씨대(朴氏垈), 농평하(農坪下), 농평상(農坪上), 효동(孝洞), 상병풍(上屛風), 하병풍(下屛風), 신성(新星), 고거(高巨), 장령(長嶺), 성암(城岩), 중위(中位), 직동(直洞), 한평(漢坪), 운곡(雲谷), 운전(雲田), 신흥(新興), 입암(立岩), 영성(嶺城), 신풍(新豊), 삼형제(三兄弟), 인산(仁山), 화전(樺田) 등 36개의 리(里)로 구성되어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