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삼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초는 동의보감에서 황제내경을 인용하여 설명하는 신체 부위로, 상초, 중초, 하초로 구분된다. 상초는 안개와 같아 피부와 근육에 양기를 공급하고, 중초는 거품과 같아 음식물의 정미를 폐로 올려 혈액을 생성하며, 하초는 도랑과 같아 대소변을 배출하고 열고 닫는 기능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의학 - 동의보감
    동의보감은 허준이 편찬하여 1613년에 간행된 조선 시대의 의서로, 조선 의학과 명나라 의학을 통합하고 실용성을 중시하여 당대 의학 지식을 집대성했으며, 2009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한의학 - 지압
    지압은 손가락 등으로 인체의 특정 부위를 눌러 건강을 증진하는 대체의학 요법으로, 기의 흐름을 조절하고 음양의 균형을 맞추는 것을 목표로 하지만, 효과에 대한 과학적 근거는 부족하다는 비판도 있다.
삼초
삼초(三焦)
"삼초 모식도(三焦模式圖)"
정보
중국어 간체三焦
중국어 정체三膲
병음sān jiāo
웨이드-자일스san¹ chiao¹
예일saam¹ jiu¹
민난어 병음sa jiao
전통 의학 정보
관련 분야전통 중국 의학

2. 형상과 부위

동의보감에서는 삼초의 형상에 대해서 황제내경을 인용하여 설명하기를

:三焦形象上焦如霧中焦如埖下焦如瀆《靈樞》○上焦主出陽氣溫於皮膚分肉之間若霧露之漑焉故曰上焦如霧○中焦主變化水穀之味其精微上注於肺化而爲血行於經隧以榮五藏周身故曰中焦如埖○下焦主通利杏便以時傳下出而不納開通秘塞故曰下焦如瀆《入門》[3][4]

:상초는 안개같다. 중초는 거품같다. 하초는 도랑같다.(영추) 상초는 피부와 근육사이에서 따뜻한 양기가 나오는 바이니 마치 안개와 이슬의 물댐처럼 작용하는 까닭에 왈 '상초는 안개같다'고 한 것이다. 중초는 수곡의 맛을 그 정미한 것으로 변화시켜 폐에 부어 올린다. 피가되어 경락에서 행하고 전신을 돌아 오장(五藏)을 영화롭게 한다. 이런 까닭에 '중초는 거품같다'고 한다. 하초는 때에 맞게 대소변을 통하게 하여 이롭다. 밑으로 내보내어 저장하지 않으니 열어 통하고 자연스럽게 막는다. 이런 까닭에 '하초는 도랑같다' 하는 것이다. (의학입문)

라고 언급하였다.

2. 1. 동의보감의 설명

황제내경에서는 삼초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한다.

  • 상초는 안개와 같다.(上焦如霧)[3][4]
  • 중초는 거품과 같다.(中焦如埖)[3][4]
  • 하초는 도랑과 같다.(下焦如瀆)[3][4]


동의보감에서는 황제내경을 인용하여 삼초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상초는 피부와 근육 사이에서 따뜻한 양기가 나오는 것으로, 마치 안개와 이슬이 물을 대는 것과 같다고 하여 '상초는 안개와 같다'고 하였다. 중초는 음식물의 정미(精微)한 것을 변화시켜 폐로 올려 보내고, 이것이 피가 되어 경락을 통해 온몸을 돌며 오장을 영화롭게 하므로 '중초는 거품과 같다'고 하였다. 하초는 대소변을 때에 맞게 통하게 하여 내보내고 저장하지 않으니, 열리고 통하며 자연스럽게 막히므로 '하초는 도랑과 같다'고 하였다.[3][4]

2. 1. 1. 황제내경 인용

황제내경에서는 삼초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한다.

  • 상초는 안개와 같다.(上焦如霧)[3][4]
  • 중초는 거품과 같다.(中焦如埖)[3][4]
  • 하초는 도랑과 같다.(下焦如瀆)[3][4]


동의보감에서는 황제내경을 인용하여 삼초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상초는 피부와 근육 사이에서 따뜻한 양기가 나오는 것으로, 마치 안개와 이슬이 물을 대는 것과 같다고 하여 '상초는 안개와 같다'고 하였다. 중초는 음식물의 정미(精微)한 것을 변화시켜 폐로 올려 보내고, 이것이 피가 되어 경락을 통해 온몸을 돌며 오장을 영화롭게 하므로 '중초는 거품과 같다'고 하였다. 하초는 대소변을 때에 맞게 통하게 하여 내보내고 저장하지 않으니, 열리고 통하며 자연스럽게 막히므로 '하초는 도랑과 같다'고 하였다.[3][4]

2. 1. 2. 의학입문 인용

상초(上焦)는 피부와 근육 사이에서 양기(陽氣)를 내보내 몸을 따뜻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중초(中焦)는 음식물의 정미(精微)로운 기운을 폐(肺)로 올려 혈액으로 변화시켜 전신에 영양을 공급한다. 하초(下焦)는 대소변을 배출하여 노폐물을 제거하고, 열고 닫는 기능을 한다.

참조

[1] 논문 Meraque or Triple Energizer (San Jiao): Actual or Virtual Organ in Traditional Medicine - A Hypothetical Viewpoint Karger
[2] 서적 Ear acupuncture Churchill Livingstone/Elsevier 2008
[3] 위키문헌 황제내경,靈樞 第四卷, 營衛生會第十八
[4] 위키문헌 東醫寶鑑,內景篇 삼초부三焦腑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