삿포로 대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삿포로 대학은 1967년 개교한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에 위치한 사립 대학이다. 경제학부, 외국어학부, 경영학부 등을 시작으로, 지역공동창조학군을 포함한 학부와 지역·문화학 연구과 석사과정을 운영한다. 아키야마 유토쿠타이시 등 예술가를 배출했으며, 아이누족 학생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캠퍼스는 니시오카 캠퍼스를 사용하며, 국내외 여러 대학과 교류 협정을 맺고 있다. 야구부, 축구부 등 운동부가 활발하며, 야구부는 전국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사립 대학 - 게이오기주쿠 대학
게이오기주쿠 대학은 1858년 후쿠자와 유키치가 설립한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사립 대학으로, "독립자존"의 교육 이념 아래 다양한 학부와 대학원을 운영하며 일본 내외에서 높은 평가를 받는 명문 사학이다. - 일본의 사립 대학 - 니혼 대학
니혼 대학은 1889년 니혼 법률학교로 설립되어 다양한 학부와 대학원을 운영하며 일본 최대 규모의 대학 시설을 갖춘 사립 대학으로, 자유로운 학풍과 실용적인 교육을 통해 사회에 기여하는 인재 양성을 목표한다. - 1967년 개교 - 구덕초등학교
구덕초등학교는 1967년 3월 9일에 개교한 대한민국의 초등학교이다. - 1967년 개교 - 원정초등학교
원정초등학교는 1966년 개교하여 1996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2018년 기준 21학급을 운영하고 제16대 노상범 교장이 취임했다.
삿포로 대학 - [대학]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대학 이름 | 삿포로 대학교 |
로마자 표기 | Sapporo Daigaku |
영어 이름 | Sapporo University |
설립일 | 1967년 |
학교 유형 | 사립 |
설립자 | 학교법인 삿포로대학 |
소재지 | 홋카이도 삿포로시 도요히라구 니시오카 3조 7초메 3-1 |
대학 약칭 | 삿다이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대학 구성 | |
학부 | 지역공창학군 |
대학원 | 지역·문화학연구과 |
2. 연혁
1967년 2월 23일 학교법인 삿포로대학이 설립[2]되었고, 같은 해 4월 삿포로 대학이 개교하여 경제학부 경제학과, 외국어학부 영어학과 및 로시아어학과가 개설[2]되었다. 1968년 4월에는 경영학부 경영학과가 개설되고 삿포로 대학 여자 단기 대학부가 개교하여 영문과와 국문과가 개설[2]되었다. 1979년에는 경영학부 부속 산업경영연구소가 개설[2]되었고, 1982년 4월에는 여자 단기 대학부에 문화학과, 경영학과(경영관리 전공·비서 전공)가 개설[2]되었다. 또한 영문과를 영문학과로, 국문과를 국문학과로 명칭을 변경[2]하였다.
1968년에 전문학교(junior college) 학과가 설립되었다.
1985년에는 외국어학부 영어학과에 “어학·문학”, “국제문화”, “무역”의 3코스 제도가 도입되었고, 1989년 4월에는 법학부 법학과(“기업 법무”, “행정”의 2코스 제도)가 개설되고 법학부 부속 기업 법무 연구소가 개설되었다. 1990년에는 외국어학부 러시아어학과의 학과 명칭이 러시아어학과가 되었다. 1993년 4월에는 외국어전공과(영어전공)가 개설되었다.
1997년 4월, 문화학부 일본어·일본문학과, 비교문화학과 및 경영학부 산업정보학과가 설치되고, 대학원 법학연구과(석사과정)가 설치되었다. 단기대학부 국문학과, 문화학과는 모집이 정지되었다. 1998년에는 여자단기대학부 문화학과가 폐지되었고, 1999년 4월에는 대학원 경영학연구과 석사과정이 개설되고 여자단기대학부 국문학과가 폐지되었다. 2000년 3월에는 대학원 외국어학연구과 석사과정이 개설되었다.
2001년 4월, 대학원 경제학연구과 석사과정 및 대학원 문화학연구과 석사과정이 개설되었다. 2004년에는 대학원 문화학연구과 부속 페리페리아·문화학연구소, 경제학부 부속 지역경제연구소가 개설되었고, 2005년에는 외국어전공과(영어전공)가 폐지되었다. 2006년 4월, 법학부 자치행정학과가 설치(법학과의 코스 제도 변경)되고, 경영학부 산업정보학과를 비즈니스커뮤니케이션학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여자단기대학부 경영학과 경영관리전공과 비서전공을 경영학과로 통합하고, 삿포로대학 공자학원이 개설되었다.
2007년 4월, 문화학부 일본어·일본문화학과, 비교문화학과 모집이 정지되고, 문화학부 문화학과(5코스 제도)가 개설되었다. 개교 40주년을 맞이하였다. 2009년 4월, 경영학부 비즈니스커뮤니케이션학과 모집이 정지되고, 법학부 자치행정학과 모집이 정지(법학과 4코스 제도로 변경)되었다. 4개의 부속 연구소를 통합하여 종합연구소가 개설되었다.
2013년 3월, 문화학부 비교문화학과가 폐지되고, 4월에는 지역공동창조학군 인간사회학역이 개설(5학부 6학과 모집 정지하고 1학군 1학역 13전공으로 개편)되었다. 여자단기대학부 커리어디자인학과가 개설되고, 여자단기대학부 영문학과, 경영학과 모집이 정지되었다. 2014년 3월에는 문화학부 일본어·일본문화학과가 폐지되었고, 2015년 3월에는 경영학부 비즈니스커뮤니케이션학과, 법학부 자치행정학과가 폐지되었다.
2017년 3월, 외국어학부 러시아어학과가 폐지되었다. 2018년 3월에는 외국어학부 영어학과 및 외국어학부가 폐지되었고, 대학원 외국어학연구과 러시아어학전공이 폐지되었다. 4월에는 대학원 법학연구과(법학전공), 경영학연구과(경영학전공), 외국어학연구과(영어학전공), 경제학연구과(지역경제정책전공)의 학생 모집이 정지되었다.
2019년 3월, 경제학부 경제학과, 문화학부 문화학과가 폐지되고, 대학원 경영학연구과, 외국어학연구과, 경제학연구과가 폐지되었다. 4월에는 여자단기대학부 어린이학과가 개설되었다. 2020년 3월, 법학부 법학과가 폐지되고, 4월에는 대학원 문화학연구과를 지역·문화학연구과 문화학전공(석사과정)으로 개편하였다. 2021년 3월, 경영학부 경영학과, 대학원 법학연구과가 폐지되고, 4월에는 여자단기대학부 커리어디자인학과, 어린이학과 모집이 정지되었다.
3. 학부 및 학과
4. 대학원
- 지역·문화학 연구과
- * 문화학 전공(석사과정)
5. 교육 및 연구
아키야마 유토쿠타이시(秋山祐徳太子), 화가, 카를로 포르리베시(Carlo Forlivesi), 작곡가, 모리타 타마(森田たま) 등의 작가들을 배출했다.[4][5][6] 학생증에 IC칩을 내장하여 출결을 관리했으나, 2020학년도부터는 삿포로대학 전용 앱 "BIND.note"를 통해 출석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학생들은 앱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출석을 인정받는다. 2009학년도부터는 학생, 직원, 교원이 협력하여 수업 개선 및 대학 개선을 실시하는 FD 활동에 학생들이 참여하고 있다.
2010년부터는 아이누족을 대상으로 한 "우레ㇱ파 프로젝트" 제도를 시작하여 아이누족 학생들의 학비 면제, 아이누 문화 수업 및 전파 등을 지원하고 있다.[3] 초대 문화학부 학부장이자 제11대 총장인 야마구치 마사오(山口昌男)는 일본 문화인류학의 권위자로, 도서관에는 그의 장서를 소장한 "야마구치 문고"가 지역 주민에게 개방되어 있다. 삿포로 출신의 연극학자 구니시 마사카츠(郡司正勝)의 장서를 소장한 "구니시 문고"도 있다.
전국적으로 드문 러시아어 전공 학과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개교 이래 간판 학과였으나, 2024년에 신입생 모집을 중단했다.[4][5][6]
6. 캠퍼스 시설
6. 1. 니시오카 캠퍼스
니시오카 캠퍼스는 전 학부 및 대학원 전 연구과에서 사용하며, 삿포로 돔 4.5개, 도쿄 돔 5개에 해당하는 넓이를 자랑한다. 구내에는 3만 제곱미터에 달하는 자연림이 펼쳐져 있어 녹음이 풍부한 환경이다.캠퍼스 내에는 사무국, 도서관, 부속 종합연구소, 매장문화재 전시실, 세미나 하우스, 대학회관 「린덴홀」, 정보미디어센터, 어학교육센터, 창립 40주년 기념홀 「프레아홀」, 삿포로대학 인터커뮤니케이션센터 「SUICC」(국제교류센터, 삿포로대학 공자학원 포함), 야구장, 육상 경기장, 축구장, 테니스 코트, 트레이닝룸 등의 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홋카이도 중앙버스니시오카 영업소 각 노선 삿포로대 정문앞 정류장 및 삿포로대 남문 정류장, 북도교통 삿포로대학앞 정류장 및 삿포로대 남문 정류장에서 접근할 수 있다.
7. 부속 기관
- 삿포로대학 여자단기대학부 - 2021년도부터 신입생 모집 중지
8. 국내외 교류 협정
다음은 단기대학부와의 협정을 제외한다.
=== 국내 대학 ===
삿포로권 대학·단기대학 단위 상호인정 협정 (Green-Campus)이 체결되어 있다.
삿포로권 교직과정 컨소시엄 협정이 삿포로가쿠인대학, 호쿠세이가쿠엔대학, 락농가쿠엔대학과 체결되어 있다.
오키나와대학, 교토세이카대학, 릿쇼대학, 와코대학과 단위 상호인정 협정을 체결하였다.
왓카나이호쿠세이가쿠엔대학, 가고시마국제대학과 포괄적 연계 협정을 체결하였다.
다이토분카대학과 협정을 맺었다.
북해학원대학 대학원 경제학연구과, 북성학원대학 대학원 경제학연구과, 락농가쿠엔대학 대학원 낙농학연구과와 특별청강학생에 관한 협정을 맺었다.
고려대학교, 중앙대학교, 한서대학교, 전주대학교, 배재대학교, 광주여자대학교와 교류 협정을 맺고 있다.
=== 국외 대학 ===
삿포로 대학은 3개 대학 간 연계 협정(사할린 국립종합대학/Сахали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ru·모스크바 국립종합대학/Моск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ru)을 체결하고 있다.
- 북동연방대학
- 네브래스카주립대학교 커니캠퍼스 (자매결연), 폴대학교, 메리언 칼리지, 네브래스카주립대학교 링컨캠퍼스, 남플로리다대학교, 에든버러대학교, 세인트 마이클스대학교 (유학 협정), 볼 스테이트대학교, 퍼시픽대학교 오레곤캠퍼스, 하와이주립대학교 히로캠퍼스 (교류 협정)
- 세인트메리스대학교, 사스캐처원대학교 (유학 협정)
- 시드니 공과대학교, 뉴캐슬대학교, 빅토리아공과대학교, 퀸즐랜드공과대학교 (유학 협정), 오클랜드공과대학교 (교류 협정)
- 요하네움 응용과학대학교 (유학 협정)
- 볼로냐 대학교, 페루자 외국인대학교 (교류 협정)
- 리버풀 존 무어스대학교 (교류 협정)
- 라플란드대학교 (교류 협정)
- 광둥외어외자대학, 안휘공업대학, 화동이공대학, 천진외국어학원, 천진외국어대학, 화동이공대학, 심천대학, 대련외국어학원, 중국해양대학 외국어학원, 혜주학원, 대흥사범학원 (편입학 수용 협정), 중국사회과학원 재경전략연구원 (학술연구 교류 협정), 대련민족대학, 절강월수외국어학원, 혜주경제직업기술학원, 황산학원, 상해전기학원, 신양사범학원, 중국해양대학 (교류 협정)
- 고려대학교, 중앙대학교, 한서대학교, 전주대학교 (유학 협정, 교류 협정), 배재대학교 (유학 협정, 교류 협정), 광주여자대학교 (교류 협정)
- 국립중흥과기대학, 령동과기대학 (교류 협정)
- 메콩대학교 (교류 협정)
- 카셋삿대학교 (교류 협정)
- 하노이국립대학교 외국어대학 (교류 협정)
=== 고등학교 ===
홋카이도 삿포로 히라기시 고등학교, 홋카이도 삿포로 큐슈 고등학교, 삿포로 신요 고등학교, 홋카이도 마쓰마에 고등학교, 홋카이도 삿포로 히가시쇼교 고등학교, 세이사 국제 고등학교와 고교-대학 연계 협정을 맺고 있다.
=== 자치 단체 등 ===
- 홋카이도 개발국 (홋카이도 국제 물류 활성화를 위한 연계 협정)
- 홋카이도 의회 (포괄적 연계 협정)
- 일반사단법인 삿포로대학 우레시파클럽 (포괄·연계 협정)
8. 1. 국내 대학
삿포로권 대학·단기대학 단위 상호인정 협정 (Green-Campus)이 체결되어 있다.삿포로권 교직과정 컨소시엄 협정이 삿포로가쿠인대학, 호쿠세이가쿠엔대학, 락농가쿠엔대학과 체결되어 있다.
오키나와대학, 교토세이카대학, 릿쇼대학, 와코대학과 단위 상호인정 협정을 체결하였다.
왓카나이호쿠세이가쿠엔대학, 가고시마국제대학과 포괄적 연계 협정을 체결하였다.
다이토분카대학과 협정을 맺었다.
북해학원대학 대학원 경제학연구과, 북성학원대학 대학원 경제학연구과, 낙농학원대학 대학원 낙농학연구과와 특별청강학생에 관한 협정을 맺었다.
고려대학교, 중앙대학교, 한서대학교, 전주대학교, 배재대학교, 광주여자대학교와 교류 협정을 맺고 있다.
8. 2. 국외 대학
삿포로 대학은 3개 대학 간 연계 협정(삿포로 대학·사할린 국립종합대학/Сахали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ru·모스크바 국립종합대학/Моск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ru)을 체결하고 있다.- 북동연방대학
- 네브래스카주립대학교 커니캠퍼스 (자매결연), 폴대학교, 메리언 칼리지, 네브래스카주립대학교 링컨캠퍼스, 남플로리다대학교, 에든버러대학교, 세인트 마이클스대학교 (유학 협정), 볼 스테이트대학교, 퍼시픽대학교 오레곤캠퍼스, 하와이주립대학교 히로캠퍼스 (교류 협정)
- 세인트메리스대학교, 사스캐처원대학교 (유학 협정)
- 시드니 공과대학교, 뉴캐슬대학교, 빅토리아공과대학교, 퀸즐랜드공과대학교 (유학 협정), 오클랜드공과대학교 (교류 협정)
- 요하네움 응용과학대학교 (유학 협정)
- 볼로냐 대학교, 페루자 외국인대학교 (교류 협정)
- 리버풀 존 무어스대학교 (교류 협정)
- 라플란드대학교 (교류 협정)
- 광둥외어외자대학, 안휘공업대학, 화동이공대학, 천진외국어학원, 천진외국어대학, 화동이공대학, 심천대학, 대련외국어학원, 중국해양대학 외국어학원, 혜주학원, 대흥사범학원 (편입학 수용 협정), 중국사회과학원 재경전략연구원 (학술연구 교류 협정), 대련민족대학, 절강월수외국어학원, 혜주경제직업기술학원, 황산학원, 상해전기학원, 신양사범학원, 중국해양대학 (교류 협정)
- 고려대학교, 중앙대학교, 한서대학교, 전주대학교 (유학 협정, 교류 협정), 배재대학교 (유학 협정, 교류 협정), 광주여자대학교 (교류 협정)
- 국립중흥과기대학, 령동과기대학 (교류 협정)
- 메콩대학교 (교류 협정)
- 카셋삿대학교 (교류 협정)
- 하노이국립대학교 외국어대학 (교류 협정)
8. 3. 고등학교
홋카이도 삿포로 히라기시 고등학교, 홋카이도 삿포로 큐슈 고등학교, 삿포로 신요 고등학교, 홋카이도 마쓰마에 고등학교, 홋카이도 삿포로 히가시쇼교 고등학교, 세이사 국제 고등학교와 고교-대학 연계 협정을 맺고 있다.8. 4. 자치 단체 등
- 홋카이도 개발국 (홋카이도 국제 물류 활성화를 위한 연계 협정)
- 홋카이도 의회 (포괄적 연계 협정)
- 일반사단법인 삿포로대학 우레시파클럽 (포괄·연계 협정)
9. 동아리 및 서클 활동
대학제의 명칭은 「대학제」(및 「문련제」)로 매년 5월부터 6월에 걸쳐 개최되었으나, 2024년부터 「현천제」로 변경되어 6월 중순에 개최되었다.[7]
- '''동아리'''
- *치어리딩부
- *야구부
- *경식정구부
- *스케이트부
- *축구부
- *여자축구부
- *남자배구부
- *여자배구부
- *아메리칸풋볼부
- *럭비부
- *궁도부
- *소림사권법부
- *골프부
- *합기도부
- *남자농구부
- *여자농구부
- *검도부
- *준경식야구부
- *유도부
- *스키부
- *탁구부
- *사이클부
- *남자배드민턴부
- *여자배드민턴부
- *공수도부
- *핸드볼부
- *육상경기부
- *연식야구부
- *소프트테니스부
- *X-SPORTS부
- '''써클'''
- *전학응원단
- *취주악단
- *신문회
9. 1. 동아리
삿포로 대학에는 치어리딩부, 야구부, 경식정구부, 스케이트부, 축구부, 여자축구부, 남자배구부, 여자배구부, 아메리칸풋볼부, 럭비부, 궁도부, 소림사권법부, 골프부, 합기도부, 남자농구부, 여자농구부, 검도부, 준경식야구부, 유도부, 스키부, 탁구부, 사이클부, 남자배드민턴부, 여자배드민턴부, 공수도부, 핸드볼부, 육상경기부, 연식야구부, 소프트테니스부, X-SPORTS부 등의 동아리가 있다. 또한, 전학응원단, 취주악단, 신문회 등의 써클이 있다.9. 2. 서클
삿포로 대학에는 치어리딩부, 야구부, 경식정구부, 스케이트부, 축구부, 여자축구부, 남자배구부, 여자배구부, 아메리칸풋볼부, 럭비부, 궁도부, 소림사권법부, 골프부, 합기도부, 남자농구부, 여자농구부, 검도부, 준경식야구부, 유도부, 스키부, 탁구부, 사이클부, 남자배드민턴부, 여자배드민턴부, 공수도부, 핸드볼부, 육상경기부, 연식야구부, 소프트테니스부, X-SPORTS부 등의 동아리가 있다. 또한, 전학응원단, 취주악단, 신문회 등의 써클이 있다.9. 3. 주요 성적
야구부는 삿포로 학생 야구 연맹에서 22회 우승했다.[8] 전일본대학야구선수권대회에 21회, 명치신궁야구대회에 9회 출전했다.[8] 1974년 대학 선수권 준결승에서 와세다대에 1-5로 패배했다.[8] 1975년 대학 선수권 1회전에서 도카이대를 2-1로 꺾었으나, 2회전에서 메이지대에 0-7로 패배했다.[8] 1987년 대학 선수권 1회전에서 류츠케이자이대를 3-2로 꺾었으나, 2회전에서 게이오대에 3-5로 패배했다.[8] 1996년 대학 선수권 2회전에서는 도호쿠후쿠시대에 2-×3으로 패배했다.[8]1977년 신궁 대회 준결승에서 호세이대에 0-3으로 패배했다.[8] 1986년 신궁 대회 2회전에서 메이지대를 3×-2로 꺾고 준결승에 진출했으나, 아이치코교대에 0-9로 패배했다.[8]
축구부는 1976년 제25회 전국대학축구선수권대회 준결승, 1980년 제4회 총리대신배 전일본대학사커토너먼트 준결승에 진출했다.
남자 농구부는 일본학생선발농구대회 44회, 전일본대학농구선수권대회 45회 출전했다. 여자 농구부는 일본학생선발대회 30회, 전일본대학선수권 31회 출전했다.
참조
[1]
웹사이트
数字で見る札幌大学|札幌大学/札幌大学女子短期大学部
https://www.sapporo-[...]
2019-04-25
[2]
웹사이트
組織図・沿革
https://www.sapporo-[...]
札幌大学/札幌大学女子短期大学部
2019-05-28
[3]
웹사이트
ウレㇱパ・プロジェクト を実施
http://www.sapporo-u[...]
札幌大学文化学部
2013-03-29
[4]
뉴스
札幌大学、ロシア語専攻の募集停止
https://www.nikkei.c[...]
2024-09-25
[5]
뉴스
札幌大学、開学以来の看板「ロシア語専攻」廃止が取り沙汰
https://hre-net.com/[...]
2024-09-25
[6]
웹사이트
札幌大学地域共創学群ロシア語専攻の学生募集停止のお知らせ
https://www.sapporo-[...]
2024-09-25
[7]
웹사이트
第1回玄天祭(第57回大学祭・第49回文連祭)が開催されます
https://www.sapporo-[...]
2024-05-20
[8]
웹사이트
野球部
https://www.sapporo-[...]
2023-07-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