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상녕은 청나라 순치제의 서자로, 1657년에 태어나 1703년에 사망했다. 1690년 오란포통 전투에서의 과실로 인해 군 지휘권을 박탈당하고, 이후 갈단과의 전투에서 실수를 하여 친왕대신회의에서 해임되었다. 1690년 강희제는 상녕의 서장녀를 고륜순희공주로 봉하고 몽골 보르지기트 반디에게 시집보냈으며, 상녕은 6남 7녀를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나라의 대장군 - 악락
청나라 초기의 황족이자 군인인 욜로는 아바타이의 아들로 순치제와 강희제 시기에 외몽골 복속과 삼번의 난 진압에 기여했으나 사후 뤄니 설욕 소동으로 작위가 강등되었다. - 공친왕 - 혁흔
혁흔은 청나라 황족이자 정치가로, 도광제의 아들이자 함풍제의 이복 동생이며, 서구 열강과의 외교에서 활약하고 양무운동을 주도했으나 서태후와의 갈등으로 실각과 복귀를 반복하다가 청불전쟁과 청일전쟁에서 외교와 군사를 총괄하고 1898년에 사망했다. - 공친왕 - 푸웨이
푸웨이는 청나라 부흥을 시도하고 황위 계승 자격을 가졌으나 정치적 좌절을 겪었으며 1936년에 사망했다. - 순치제의 황자 - 강희제
청나라 제4대 황제인 강희제는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섭정을 거쳐 친정 후 삼번의 난을 평정하고 타이완을 복속시켰으며 러시아 제국과의 분쟁에서 승리하고 몽골과 티베트를 정벌하는 등 정복 군주로서 활약했고, 감세 정책과 학문 장려를 통해 청나라의 전성기인 강건성세를 이룩했으며 중국 역사상 가장 긴 재위 기간을 가졌다. - 순치제의 황자 - 복전 (청나라)
복전은 청나라 순치제의 아들이자 황족으로, 강희제에게 무원대장군으로 임명되어 갈단을 정벌했으나 울란 부퉁 전투에서의 실책으로 군사 직위에서 해임되었다.
상녕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작위 | 공친왕 |
본관 | 아이신 교로 |
로마자 표기 | Changning |
한자 표기 | 愛新覺羅 常寧 |
출생일 | 1657년 12월 8일 |
사망일 | 1703년 7월 20일 |
출생지 | 청나라 즈리 성 베이징 쯔진청 |
사망지 | 청나라 지린성 이퉁 |
아버지 | 순치제 |
어머니 | 서비 진씨 |
형제자매 | 우뉴(이복 형) 유헌친왕(이복 형) 강희제(이복 형) 영친왕(이복 형) |
친척 | 고륜단민공주(8촌 삼종누나) 반제(사위이자 삼종자형) 이밀친왕(이복 조카) |
배우자 | 나라 씨 마 씨 |
자녀 | 슬하 5남 1녀 |
딸 | 고륜순희공주(서장녀) |
종교 | 유교(성리학) |
작위 계승 정보 | |
작위 계승 순서 | 공친왕 작위의 초대 |
이전 | 작위 창설 |
다음 | 해산 |
통치 기간 | |
재위 기간 | 1671년 – 1703년 |
사후 정보 | |
가문 정보 | |
왕가 | 아이신 교로 |
2. 생애
상녕은 1671년 3월 1일에 화석공친왕(和碩恭親王) 작위를 받았다.[2] 1690년 8월, 준가르의 지도자 갈단을 상대로 한 원정에서 두 명의 총사령관 중 한 명으로 임명되었다. 당시 갈단은 청 제국의 오랜 적이었다.[3] 상녕은 "북쪽을 평정하는 대장군"(安北大將軍)이라는 칭호를 받고 군대를 베이징 북쪽의 시펑커우(喜峰口)를 통해 행진하여 이복 형제 푸취안과 합류하여 갈단을 공격하라는 명령을 받았다.[4] 9월 3일, 갈단의 위치에 도달했지만, 교착 상태로 끝난 전투 후 갈단이 도망가도록 내버려 두었다. 이 실수로 인해 상녕은 친왕대신회의에서 해임되었다.[5] 이후 1696년, 상녕은 1697년 갈단의 최종 패배 이전에 갈단을 결정적으로 약화시킨 새로운 작전에 참여했다.[6] 상녕은 1703년 7월 20일에 사망했는데, 그의 작위에 상응하는 사후 훈장을 받지 못했고, 그의 칭호를 후손에게 물려줄 수 없었다. 그의 후손들은 청나라 귀족 작위의 전승에 관한 법률에 따라 낮은 작위를 상속받았다.[7]
2. 1. 초기 생애
상녕은 1657년 순치제의 서자로 태어났으며, 강희제의 이복 동생이다. 1671년 3월 1일 화석공친왕(和碩恭親王) 작위를 받았다.[2]2. 2. 군사 활동과 정치적 몰락
1690년 8월, 상녕은 "북쪽을 평정하는 대장군"(安北大將軍)에 임명되어 준가르의 지도자 갈단에 대한 원정에 참여했다.[3] 그는 군대를 이끌고 베이징 북쪽의 시펑커우(喜峰口)를 통해 행진하여 이복 형제 푸취안과 합류하여 갈단을 공격하라는 명령을 받았다.[4] 1690년 9월 3일, 갈단의 위치에 도달했지만, 교착 상태로 끝난 전투 후 갈단이 도망가도록 내버려 두었다.[5]이러한 실수로 상녕은 친왕대신회의에서 해임되었고, 1690년 11월 이복 형 유헌친왕 복전과 함께 의정 참여권이 박탈되고, 의정왕대신회의에서 축출되었다.[8] 1696년, 상녕은 1697년 갈단의 최종 패배 이전에 갈단을 결정적으로 약화시킨 새로운 작전에 참여했다.[6]
1703년 7월 20일에 사망했을 때, 상녕은 그의 작위에 상응하는 사후 훈장을 받지 못했고, 그의 칭호를 그의 후손에게 물려줄 수 없었다. 후손들은 대신 청나라 귀족 작위의 전승에 관한 법률에 따라 낮은 작위를 상속받았다.[7]
3. 가족 관계
상녕의 가족 관계는 다음과 같다.
- 부황 : 청나라 순치제
- 친모 : 서비 진씨
- 정실 : 적복진 나라씨 - 낭중 배고례의 딸
- 정실 : 계복진 마씨 - 마의창의 딸
- 측실 : 서복진 서서각라씨 - 합당아의 딸
- 측실 : 서복진 진씨 (陳氏) - 진복자의 딸
- 측실 : 서복진 진씨 (晉氏) - 진격의의 딸
- 측실 : 서복진 살극달씨 - 서살납의 딸
- 측실 : 서복진 뉴호록씨 - 효기위 아이해의 딸
- 측실 : 서복진 오씨 - 오응웅의 딸
상녕은 여러 명의 부인을 두었으며, 이들로부터 6남 7녀를 두었다.
3. 1. 자녀
순서 |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장남 | 보국장군 영수 | 1671년 | 1686년 | 요절 |
차남 | 만도호 | 1674년 | 1731년 | |
3남 | 해선 | 1676년 | 1743년 | |
4남 | 보국장군 대청액 | 1681년 | 1742년 | |
5남 | 탁태 | 1683년 | 1705년 | |
6남 | 문수보 | 1687년 | 1708년 | |
장녀 | 고륜순희공주 | 1671년 | 1741년 | 반디에게 시집감 |
차녀 | 미상 | 1674년 | 1695년 | |
3녀 | 미상 | 1674년 | 1680년 | 요절 |
4녀 | 미상 | 1676년 | 1678년 | 요절 |
5녀 | 미상 | 1676년 | 1678년 | |
6녀 | 미상 | 1684년 | 1712년 | |
7녀 | 미상 | 1686년 | 1687년 | 요절 |
4. 가계도
(1657년-1703년)
(1690년 사망)
(1638년-1661년)
(1592년-1643년)
(1613년-1688년)
(1559년-1626년)
(1575년-1603년)
(1654년 사망)
(1543년-1583년)
(1569년 사망)
(1584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