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복전 (청나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복전은 청나라 순치제의 아들이자 황족으로, 1671년 유친왕에 봉해졌다. 1690년 강희제에게 무원대장군으로 임명되어 준가르 칸국의 갈단을 정벌했으나 울란 부퉁 전투에서의 실책으로 군사 직위에서 해임되고 의정왕대신회의에서 축출되었다. 이후 정치에서 은퇴하여 문학 활동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순치제의 황자 - 강희제
    청나라 제4대 황제인 강희제는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섭정을 거쳐 친정 후 삼번의 난을 평정하고 타이완을 복속시켰으며 러시아 제국과의 분쟁에서 승리하고 몽골과 티베트를 정벌하는 등 정복 군주로서 활약했고, 감세 정책과 학문 장려를 통해 청나라의 전성기인 강건성세를 이룩했으며 중국 역사상 가장 긴 재위 기간을 가졌다.
  • 순치제의 황자 - 상녕
    상녕은 순치제의 아들이자 강희제의 이복동생으로, 청나라 황족 종실로서 대장군을 지냈으나 오란포통 전투 과실로 의정 참여권이 박탈되었고 고륜순희공주를 포함한 자녀를 두었으며, 그의 후손들은 청나라 귀족 작위를 상속받았고, 2011년 드라마에서 상녕 역을 맡은 배우도 있다.
  • 18세기 중국 사람 - 강희제
    청나라 제4대 황제인 강희제는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섭정을 거쳐 친정 후 삼번의 난을 평정하고 타이완을 복속시켰으며 러시아 제국과의 분쟁에서 승리하고 몽골과 티베트를 정벌하는 등 정복 군주로서 활약했고, 감세 정책과 학문 장려를 통해 청나라의 전성기인 강건성세를 이룩했으며 중국 역사상 가장 긴 재위 기간을 가졌다.
  • 18세기 중국 사람 - 옹정제
    옹정제는 청나라의 제5대 황제로, 황위 계승 분쟁 속에서 즉위하여 황권 강화, 재정 개혁, 영토 확장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형제 숙청과 사상 탄압에 대한 비판도 받는 인물이다.
  • 1653년 출생 - 앙드레 에르퀼 드 플뢰리
    앙드레 에르퀼 드 플뢰리는 프랑스 귀족 출신으로 사제가 되어 루이 14세와 15세를 섬기며 루이 15세의 재상이 되어 재정 흑자를 달성하고 국력 회복에 기여했으나, 말년에는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에 개입하며 권위가 실추된 인물이다.
  • 1653년 출생 - 효성인황후
    효성인황후는 강희제의 황후로, 색니의 손녀이며, 강희제와 혼인하여 내명부를 관장하고 두 아들을 낳았으며, 산후병으로 사망 후 황후로 추존되었다.
복전 (청나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작위
작위명화석유친왕 (和碩裕親王)
생애
출생일1653년 9월 8일
출생지청나라 즈리 성 베이징 쯔진청
사망일1703년 8월 10일
사망지청나라 랴오닝성 펑톈
시호유헌친왕 (裕憲親王)
가족 관계
아버지순치제
어머니영각비 동고씨
배우자시루크 가문 여성 (본부인 1명, 측실 7명)
자녀슬하 6남 7녀
왕위 계승
선대없음
계승자바오타이
재위 기간1671년–1703년
종교
종교불교, 유교
기타 정보
왕가아이신 교로
친인척우뉴(이복 형)
강희제(이복 동생)
화석공친왕(이복 동생)
영친왕(이복 동생)
고륜단민공주(8촌 삼종누나)
이밀친왕(이복 조카)
옹정제(이복 조카)
고륜순희공주(이복 조카딸)

2. 생애

복전은 황족 지위로 대장군을 지냈으나, 1690년 11월 오란포통 전투에서의 실수로 이복동생 화석공친왕 창닝과 함께 의정 참여권을 박탈당하고 의정왕대신회의에서 축출되었다.[1] 이후 정치 생활에서 은퇴하여 문학에 전념했다.[9]

2. 1. 초기 생애

푸취안은 만주족 아이신 교로 가문 출신으로 순치제의 둘째 아들이었다. 그의 어머니는 동고(董鄂) 가문 출신의 녕각비였다.[1] 1671년 2월 6일에 유친왕(裕親王) 작위를 받았다.[2]

그는 일찍이 황족 종실 지위로 대장군(大將軍)을 지냈다.[3]

2. 2. 준가르 원정과 오란포통 전투

1690년 8월, 강희제는 푸취안에게 무원대장군(撫遠大將軍) 칭호를 내리고 준가르 칸국의 지도자 갈단을 상대로 한 원정을 맡겼다. 강희제의 장남 윤지의 지원을 받은 푸취안은 군대를 이끌고 구베이커우를 통해 북쪽으로 진군했다. 그의 이복형제 상녕은 다른 통로를 통해 군대를 이끌고 가서 갈단의 위치에서 합류할 계획이었다.[3]

1690년 9월 3일, 푸취안은 울란 부퉁(베이징 북쪽 350km)에서 갈단과 만나 공격했다.[4] 갈단의 군대는 낙타 행렬 뒤에 숨고 근처 숲에서 피난하여 청나라 포병의 공격으로부터 자신들을 보호했다.[5] 갈단이 손실을 입었지만 전투는 교착 상태였고, 푸취안은 이를 승리로 보고했다.[6]

하지만 푸취안은 갈단을 놓아준 대가로 12월 22일 수도 복귀 후[7] 군사 직위에서 해임되고 친왕 및 고위 관료 회의에서 면직되는 처벌을 받았다.[8]

2. 3. 정치적 몰락과 말년

그는 일찍이 황족 지위로 대장군을 지냈으나 1690년 11월 오란포통 전투에서의 과실(실수)을 이유로 같은 대장군 신분인 이복 아우 화석공친왕 창닝과 함께 의정 참여권이 박탈되고, 의정왕대신회의에서 축출되었다.[1] 갈단을 놓아준 청나라 지휘관들은 처벌을 받았다. 푸취안은 군사 직위에서 해임되었고 친왕 및 고위 관료 회의에서 면직되었다.[8] 그는 이후 정치 생활에서 은퇴했고 나중에 문학 서클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냈다.[9]

3. 가족 관계



구 분이름출생 - 사망비 고
장녀미상1671년 ~ 1675년요절
장남창전1675년 ~ 1677년요절
4녀미상1680년 ~ 1683년요절
5녀미상1681년 ~ 1682년요절
3남화석유친왕 보태1682년 ~ 1730년
5남도친왕 보수1684년 ~ 1706년
4남보안1683년 ~ 1686년요절
6녀군주1700년 ~ 1733년부마: 과이심 달이한친왕 나복장곤포
7녀군주1701년 ~ 1732년부마: 옹우특다라두릉군왕 창금
8녀미상1703년 ~ 1704년요절
6남보영1701년 ~ 1705년요절
3녀미상1680년 ~ 1683년요절
차남청승1678년 ~ 1680년요절

[1]

4. 가계

구 분성 명비 고
부황순치제청나라 제3대 황제
친모영각비 동악씨
정실적복진 서로극씨이등시위 명안도의 딸
측실측복진 과이가씨애탑의 딸
측실서복진 도색례씨서덕원의 딸
측실서복진 납라씨상납매의 딸
측실서복진 양씨묵색의 딸
측실서복진 부찰씨눌이도의 딸
측실서복진 색이탁씨오실의 딸
측실소복진 양씨양안의 딸



구 분성 명생몰년비 고
장녀미상1671년 ~ 1675년요절
장남창전1675년 ~ 1677년요절
차남청승1678년 ~ 1680년요절
3녀미상1680년 ~ 1683년요절
4녀미상1680년 ~ 1683년요절
5녀미상1681년 ~ 1682년요절
3남화석유친왕 보태1682년 ~ 1730년
4남보안1683년 ~ 1686년요절
5남도친왕 보수1684년 ~ 1706년
6녀군주1700년 ~ 1733년부마: 과이심 달이한친왕 나복장곤포
7녀군주1701년 ~ 1732년부마: 옹우특다라두릉군왕 창금
6남보영1701년 ~ 1705년요절
8녀미상1703년 ~ 1704년요절


5.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마국명이 2011년 드라마 《호사원》에서 푸취안 역을 연기했다.

참조

[1] 서적 Fang 1943
[2] 간행물 Qingshi gao
[3] 서적 Fang 1943
[4] 서적 Fang 1943
[4] 서적 Perdue 2005
[5] 서적 Perdue 2005
[6] 서적 Fang 1943
[6] 서적 Perdue 2005
[7] 서적 Fang 1943
[8] 서적 Fang 1943
[8] 서적 Perdue 2005
[9] 서적 Fang 194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