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상륙수송선거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상륙수송선거함(LPD)은 헬기 상륙함(LPH), 상륙화물수송함(LKA), 상륙수송선거함(LSD)의 기능을 통합하여 발전된 함종으로, 헬기 운용 능력이 강화된 것이 특징이다. 미국 해군은 샌 안토니오급 상륙함을 운용하며, 중국은 071형 상륙수송선거함을, 영국은 알비온급 상륙함을 운용하고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국가에서 상륙수송함을 운용하거나 도입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상륙수송선거함
개요
2024년 5월 7일 대서양에서 USS 샌안토니오 (LPD-17)
미국의 상륙수송선거함
유형상륙수송선거함
역할상륙 작전 지원
병력 수송
장비 수송
상세 정보
운용 국가미국 해군
건조잉걸스 조선소
내셔널 스틸 앤 조선 회사
전임 함급오스틴급
앵커리지급
휘드비 아일랜드급
후임 함급LX(R)
제원
배수량만재: 25,900 톤
길이208.5 미터
31.9 미터
흘수선7 미터
추진디젤 엔진 4기
2축 추진
속력22 노트 (41 킬로미터 매 시)
항속 거리14 노트 (26 킬로미터 매 시)로 8,000 해리 (15,000 킬로미터)
승조원장교: 28명
수병: 332명
상륙 병력699명 (최대 800명)
탑재 헬리콥터CH-46
CH-53E
MV-22
MH-60S
AH-1W
UH-1Y
탑재 상륙정LCAC 2척
LCU 1척
무장NATO 시스패로 2기
RIM-116 램 2기
Mk 46 30mm 기관포 2문
12.7mm 기관총
레이더AN/SPS-48E 3차원 대공 레이더
지휘 통제ATD
GCCS

2. 역사

LPD는 헬기 상륙함(LPH), 상륙화물수송함(LKA), 상륙수송선거함(LSD) 등 기존 상륙함들의 기능을 통합하여 발전된 함종이다. 특히 LSD의 후속 버전으로 개발되었으며, LSD와 달리 LPD는 보관 및 수리를 위한 격납고를 갖추고 있어 헬기 운용 능력이 강화되었다.[1] 미국은 모든 LSD를 LPD로 교체할 계획이다.[1]

3. 각국의 LPD

LPD는 전 세계 여러 국가에서 운용되고 있으며, 각국의 해군력과 작전 요구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왔다. 주요 국가들의 LPD 운용 현황은 다음과 같다.

주요 국가별 LPD 운용 현황
국가함급운용 척수취역 연도비고
미국샌 안토니오급 상륙함122006년 ~ 현재척당 2.2조
영국알비온급 상륙함22003년 ~ 현재
베이급 상륙함32007년 ~ 현재
중국071형 (유자오)82007년 ~ 현재
스페인갈리시아급 상륙함21998년 ~ 현재
이탈리아산 조르지오급 강습상륙함31987년 ~ 현재
인도네시아마카사르급 상륙함52007년 ~ 현재대선조선 설계, 일부 대한민국 건조
일본오스미급 수송함31998년 ~ 현재
네덜란드로테르담급 상륙함21997년 ~ 현재
싱가포르엔듀어런스급 상륙함42000년 ~ 현재
대만위산급 상륙함12021년 ~ 현재



이 외에도 알제리, 오스트레일리아, 브라질, 칠레, 인도, 미얀마, 페루, 필리핀, 카타르, 태국 등 여러 국가에서 LPD를 운용하거나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5][6][7]

3. 1. 대한민국

독도급 상륙함은 대한민국 해군의 대형 상륙함으로, 헬기 및 상륙주정 운용 능력을 갖추고 있다. 마카사르급 상륙함은 대선조선에서 설계한 상륙함으로, 대한민국 해군에서도 일부 도입하여 운용 중이다.[1]

3. 2. 미국

미국 해군은 샌 안토니오급 상륙함 12척을 운용하고 있다.[5] 2006년부터 취역을 시작하였으며, 전장은 208m, 선폭은 32m, 흘수는 7m이며, 만재 배수량은 25300ton이다. 척당 건조 비용은 약 2.2조에 달한다.

과거 미국 해군은 오스틴급 수송 상륙함을 운용하였으나, 현재는 모두 샌 안토니오급 상륙함으로 대체되었다. 인도 해군에 매각된 잘라슈와는 전 USS ''트렌턴'' (LPD-14)으로 2007년에 인도 해군에 매각되어 재명명되었다.[5]

3. 3. 중국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의 071형 상륙함(유자오급)은 2007년부터 운용되기 시작한 대형 상륙수송선거함(LPD)이다. 전장은 210m, 선폭은 28m, 흘수는 7m이며, 만재 배수량은 25000ton에 달한다. 2023년 기준으로 8척이 운용 중이며, 동중국해남중국해에서 중국 해군의 해군력 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1]

함급운용 척수취역전장선폭흘수만재 배수량
071형 (유자오)82007년210m28m7m25000ton


3. 4. 영국

영국 해군은 알비온급 상륙함 2척과 베이급 상륙함 3척을 운용하고 있다. 알비온급 상륙함은 2003년부터, 베이급 상륙함은 2007년부터 취역했다.

함급운용 척수취역전장선폭흘수만재 배수량 (mt)사진
알비온급 상륙함22003176m28.9m7.1m19560ton
베이급 상륙함32007176.6m26.9m5.8m16160ton


3. 5. 기타 국가

스페인의 갈리시아급 상륙함, 이탈리아산 조르지오급 강습상륙함, 네덜란드의 로테르담급 상륙함, 싱가포르의 엔듀어런스급 상륙함, 대만의 위산급 상륙함 등이 있다.

기타 국가의 상륙수송함
국가함급운용 척수취역전장선폭흘수만재 배수량 (mt)비고사진
카라아트 베니 아베스12015143m21.5m5.3m9000ton이탈리아에서 건조된 개량형 산 조르지오급.
12011176.6m26.9m5.8m16160ton2011년 오스트레일리아 해군에 매각된 전 영국 라르그스 베이 (L3006)로 (L100)로 재명명.
바히아12016168m23.5m5.2m12000ton2015년 브라질 해군에 매각된 전 프랑스 시로코 (L9012)로 바히아 (G40)로 재명명.
사르젠토 알데아12011168m23.5m5.2m12000ton2011년 칠레 해군에 매각된 전 프랑스 푸드르 (L9011)로 사르젠토 알데아 (LSDH-91)로 재명명.
071형 (유자오)82007210m28m7m25000ton
잘라슈와12007173.7m32m6.7m16600ton2007년 인도 해군에 매각된 전 USS 트렌턴 (LPD-14)으로 INS 잘라슈와 (L41)로 재명명.
마카사르급52007122m ~ 125m22m4.9m11394ton대선조선에서 설계했으며, 처음 두 척은 대한민국에서 건조.
산 조르지오급31987133m20.5m7650ton (산 조르지오산 마르코)
7980ton (산 주스토)
오스미급31998178m25.8m6m14000ton
마카사르급12019122m ~125m22m4.9m11394tonUMS 모타마, 대한민국 건조.
로테르담급21997166m27m6m12750ton (로테르담)
16800ton (요한 데 위트)
마카사르급2발주[5]122m22m4.9m11394ton페루에서 건조.
타를락급22016[6]123m21.8m5m11583ton인도네시아에서 건조된 마카사르급의 하위 함급.
الْفُلْكar|알 풀크|L141}}1건조 중143m21.5m5.3m9000ton이탈리아에서 건조된 개량형 산 조르지오급.
엔듀어런스급42000141m21m5m8500ton
갈리시아급21998166m25m5.8m13815ton
위산급12021153m[7]23m[7]6m[7]10600ton[7]
rowspan=2|앙통12012141m21m5m8500ton싱가포르에서 건조된 엔듀어런스급 기반.
12023213m28m7m22000ton중국 071형 상륙 수송 도크의 수출형.
rowspan=2|알비온급22003176m28.9m7.1m19560ton
베이급32007176.6m26.9m5.8m16160ton
샌 안토니오급122006208m32m7m25300ton
USS San Antonio


4. 퇴역 함선

국가함급퇴역취역길이비고
프랑스Ouragan프랑스어2척1963년–2007년149m
우라강급
프랑스Bougainville프랑스어1척1988년–2008년113.5m
프랑스Foudre프랑스어2척1990년–2015년168m칠레와 브라질에 매각됨.[1] --
미국롤리급3척1962년–2005년159mUSS La Salle(LPD-3)는 1972년 상륙 플랫폼 도크에서 보조 기함으로 전환되어 USS La Salle(AGF-3)로 재지정됨.[1]
롤리급
미국오스틴급3척1965년–2007년173m
오스틴급
클리블랜드급7척1967년–2014년173m일부 자료에서는 클리블랜드 (7척 건조)를 오스틴급의 일부로 간주함.[1] USS Coronado(LPD-11)는 1980년 상륙 플랫폼 도크에서 보조 기함으로 전환되어 USS Coronado(AGF-11)로 재지정됨.[1]
클리블랜드급
트렌턴급2척1971년–2017년173m일부 자료에서는 트렌턴(2척 건조) 함선을 오스틴급의 일부로 간주함.[1] 전 USS Trenton(LPD-14)은 인도 해군에 매각되어 인도 해군에서 현역으로 활동 중.[1] USS Ponce(LPD-15)는 (AFSB(I)-15)로 개조됨.[1]
트렌턴급
인도네시아KRI Tanjung Dalpeleid1척2003년-2007년122m2007년 병원선으로 개조되어 KRI Dr Soeharso (990)id로 개명됨.[1]
영국피어리스급2척1965년-2002년158.5m2002년에서 2008년 사이에 스크랩됨.[1] HMS OceanAlbion급의 두 척이 이용 가능할 때까지 상륙 지원을 제공했다.[1]
피어리스급


5. 갤러리

상륙 작전을 위해 밸러스트를 채운 의 선미


의 열린 웰 데크

참조

[1] 웹사이트 Landing Platform Dock https://www.royalnav[...] 2019-04-13
[2] 뉴스 Northrop wins contract add-on for 10th LPD-class amphibious transport dock ship http://blog.gulflive[...] 2010-04-30
[3] 웹인용 World Wide Landing Ship Dock/Landing Platform Dock http://www.globalsec[...] 2012-05-17
[4] 웹사이트 "[USMC General] Amos: Replace LSD amphib fleet with LPDs" http://www.military.[...] military.com 2013-04-09
[5]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mindef.go[...] 2013-07-13
[6] 웹사이트 Philippine Navy selects PT PAL for SSV procurement - IHS Jane's 360 http://www.janes.com[...] 2014-01-29
[7] 웹사이트 Taiwan's First LPD Launched by Local Shipbuilder CSBC https://www.navalnew[...] 2021-04-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