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투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상투스는 이사야서 6장 1-3절을 바탕으로 유대교에서 기원하여 3세기부터 기독교에서 사용된 찬미가이다. 로마 가톨릭교회와 성공회 성찬 전례에서 감사기도와 감사송 사이에 위치하며, "거룩하시다"로 시작하는 가사를 갖는다. 상투스는 다양한 언어와 전례 양식으로 번역되어 사용되며, 음악 작품이나 건축, 미술 작품의 소재로도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 음악 - 코랄
코랄은 독일 종교 개혁에서 유래한 독일어 찬미가를 지칭하며, 마르틴 루터의 예배 운동으로 촉발되어 다성부 형태로 발전, 바흐 등의 작곡가들에 의해 다양한 음악 형식으로 창작되었고 현재까지 프로테스탄트 교회에서 널리 사용된다. - 기독교 음악 - 레퀴엠 (모차르트)
모차르트의 레퀴엠은 1791년 작곡된 미완성 장례 미사곡으로, 모차르트 사후 다른 작곡가들에 의해 완성되었으며 다양한 판본으로 존재하고 작품 해석에 대한 논란이 있다. - 가톨릭 기도문과 전례문 - 그레고리오 성가
그레고리오 성가는 서방 기독교 전례에서 사용되는 무반주 일성부 성가로, 로마와 갈리아 성가의 통합을 거쳐 서방 기독교 세계의 표준 성가로 자리매김했으며, 교회 선법 체계화 및 네우마 기보법 발달과 함께 유럽 전역으로 확산되어 현재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 가톨릭 기도문과 전례문 - 성모송
성모송은 가브리엘 대천사와 엘리사벳의 인사말에 기반하여 하느님 찬양과 성모 마리아에게 애원과 찬미를 드리는 가톨릭교회의 대표적인 기도로, 묵주기도의 기본이 되며 다양한 언어 번역본과 음악 작품으로 널리 사용된다.
상투스 | |
---|---|
예배 | |
종류 | 기독교 전례의 찬미가 |
가사 | |
언어 | 라틴어 그리스어 영어 |
다른 이름 | |
그리스어 | 에피니키오스 힘노스 (ἐπινίκιος ὕμνος) |
개요 | |
설명 | 상투스(Sanctus)는 기독교 전례에서 사용되는 찬미가이다. '거룩하시다'를 의미하는 라틴어 단어이다. |
의미 | 상투스(Sanctus)는 기독교 전례에서 사용되는 찬미가이다. '거룩하시다'를 의미하는 라틴어 단어이다. |
어원 | 이사야 6장 3절의 '거룩하다, 거룩하다, 거룩하다, 주 전능하신 하느님'에서 유래 요한계시록 4장 8절의 '거룩하다, 거룩하다, 거룩하다, 주 하느님, 전능하신 이, 전에도 계셨고, 지금도 계시고, 앞으로 오실 이'에서 유래 |
위치 | 미사에서 감사송의 끝에 위치 성공회 성찬례와 루터교에서도 사용 |
구성 | 상투스(Sanctus) 베네딕투스(Benedictus) |
다른 언어 | "그리스어: 에피니키오스 힘노스(ἐπινίκιος ὕμνος)" "영어: Holy, Holy, Holy" |
역사 | |
기원 | 초기 기독교 공동체에서 유래 |
발전 | 점차적으로 전례에 통합 |
영향 | 오늘날까지 다양한 기독교 교파에서 사용 |
2. 설명
상투스는 성서의 이사야서 6장 1-3절을 바탕으로 하며, 유대교에서부터 사용되었다.[43] 기독교에서는 3세기부터 사용하기 시작했다.[43] 전례학에서는 임금이신 하느님을 환영하는 찬미가로 이해한다.[43]
로마 가톨릭교회와 성공회에서는 성찬전례에서 상투스를 부르는데, 감사기도와 교회력에 따른 감사송 사이에 위치한다.[43] 상투스를 부른 뒤, 사제는 예수의 몸과 보혈인 성체와 성혈이 성령 청원을 통하여 거룩해지기를 기원하며 축성(祝聖)기도를 드린다.[43] 상투스는 감사송(특송)후렴의 "그러므로 하늘의 모든 천사와 함께 저희도 땅에서 주님의 영광을 찬미하며 끝없이 노래하나이다"와 같은 경문 뒤에 위치하기 때문에 환호하는 성가, 미사곡이다.[43]
사제가 소개할 때, 각 구절마다 누구에 의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규정하는 예문집에 따라 이 찬송가를 에피니키오스 힘노스/ἐπινίκιος ὕμνοςgrc, 즉 "승리의 찬가"라고 일관되게 부른다.[43]
상투스의 가사는 다음과 같다.
:''Sanctus, Sanctus, Sanctus Dominus Deus Sabaoth; pleni sunt coeli et terra gloria tua'' (거룩하시다, 거룩하시다, 거룩하시다, 주 하느님 만군의 주여; 하늘과 땅에 당신의 영광이 가득하도다.)
::거룩하시다, 거룩하시다, 거룩하시다, 만군의 주 하느님; 하늘과 땅에 당신의 영광이 가득하도다.
:''Hosanna in excelsis'' (호산나, 높은 곳에)
::호산나, 가장 높은 곳에
:''Benedictus qui venit in nomine Domini.'' (주의 이름으로 오시는 이여, 찬미 받으소서.)
::주의 이름으로 오시는 분은 복되시다.
:''Hosanna in excelsis'' (호산나, 높은 곳에)
::호산나, 가장 높은 곳에
3. 내용
3. 1. 라틴어 원문
Sanctus, Sanctus, Sanctus Dominus Deus Sabaoth.[3]
Pleni sunt caeli et terra gloria tua.[3]
Hosanna in excelsis.[3]
Benedictus qui venit in nomine Domini.[3]
Hosanna in excelsis.[3]
로마 전례에서는 다음과 같이 번역된다.[3]
거룩하시다, 거룩하시다, 거룩하시다.[3]
주 하느님 사바오트.[3]
하늘과 땅에 가득 찬 주의 영광.[3]
호산나, 높은 곳에.[3]
주의 이름으로 오시는 이여, 찬미 받으소서.[3]
호산나, 높은 곳에.[3]
모사라베 전례에서는 다음과 같이 번역된다.[4]
거룩하시다, 거룩하시다, 거룩하시다.[4]
주 하느님 사바오트:[4]
하늘과 땅에 가득 찬 주의 위엄의 영광,[4]
호산나, 다윗의 아들이여.[4]
주의 이름으로 오시는 이여, 찬미 받으소서.[4]
호산나, 높은 곳에.[4]
하기오스, 하기오스, 하기오스, 키리에 오 테오스.[4]
3. 2. 한국어 번역
거룩하시도다! 거룩하시도다! 거룩하시도다! 온 누리의 주 하느님, 하늘과 땅에 가득찬 그 영광! 높은 데서 호산나!
주님의 이름으로 오시는 분, 찬미 받으소서. 높은 데서 호산나!
한국 정교회
거룩하시다. 거룩하시다. 거룩하시도다, 하늘과 땅이 영광으로 가득하니, 높은 하늘에서 호산나!
주님의 이름으로 오시는 이여, 찬미 받으소서. 높은 하늘에 호산나
대한 성공회 (2004~현재)
거룩하시다. 거룩하시다. 거룩하시도다. 만군의 주 하느님, 하늘과 땅에 가득한 그 영광, 높은 데에 호산나.
주의 이름으로 오시는 이여, 찬미 받으소서. 높은 데에 호산나.
기독교대한감리회(2007)
거룩 거룩 거룩 전능한 하나님, 하늘과 땅에 가득한 그 영광, 지극히 높은 곳에서 호산나!
주의 이름으로 오시는 분을 찬양합시다, 지극히 높은 곳에서 호산나!
기독교한국루터회
거룩 거룩 거룩 전능의 주 하느님, 주의 영광이 온누리에 가득하나이다. 호산나 호산나 높은 곳에 호산나.
찬양 받으소서 주님의 이름으로 오시는 이여. 호산나 호산나 높은 곳에 호산나
3. 2. 1. 한국 천주교회
거룩하시도다! 거룩하시도다! 거룩하시도다! 온 누리의 주 하느님, 하늘과 땅에 가득찬 그 영광! 높은 데서 호산나!
주님의 이름으로 오시는 분, 찬미 받으소서. 높은 데서 호산나!
3. 2. 2. 한국 정교회
거룩하시다. 거룩하시다. 거룩하시도다, 하늘과 땅이 영광으로 가득하니, 높은 하늘에서 호산나!
주님의 이름으로 오시는 이여, 찬미 받으소서. 높은 하늘에 호산나
3. 2. 3. 대한 성공회
거룩하시다. 거룩하시다. 거룩하시도다. 만군의 주 하느님, 하늘과 땅에 가득한 그 영광, 높은 데에 호산나. 주의 이름으로 오시는 이여, 찬미 받으소서. 높은 데에 호산나.
3. 2. 4. 기독교대한감리회
주의 이름으로 오시는 분을 찬양합시다, 지극히 높은 곳에서 호산나!
3. 2. 5. 기독교한국루터회
거룩 거룩 거룩 전능의 주 하느님, 주의 영광이 온누리에 가득하나이다. 호산나 호산나 높은 곳에 호산나. 찬양 받으소서 주님의 이름으로 오시는 이여. 호산나 호산나 높은 곳에 호산나.
4. 다양한 형태
4. 1. 그리스어
하고스, 하고스, 하고스 키리오스 사바오트; 프레레스 호 우라노스 카이 헤 게 테스 독세스 수, 호산나 엔 토이스 힙시스토이스. 에우로게메노스 호 에르코메노스 엔 오노마티 키리우. 호산나 (호) 엔 토이스 힙시스토이스./Ἅγιος, ἅγιος, ἅγιος Κύριος Σαβαώθ· πλήρης ὁ οὐρανὸς καὶ ἡ γῆ τῆς δόξης σου, ὡσαννὰ ἐν τοῖς ὑψίστοις. Εὐλογημένος ὁ ἐρχόμενος ἐν ὀνόματι Κυρίου. Ὡσαννὰ (ὁ) ἐν τοῖς ὑψίστοις.grc<ref name="wiki-31"/><ref name="wiki-37"/><ref name="wiki-42"/>동방 정교회에서는 주로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스 전례<ref name="wiki-31"/>와 성 바실 전례<ref name="wiki-2"/>의 형태를 사용한다. 성 야고보 전례<ref name="wiki-42"/>
4. 2. 영어
성공회의 1549년 공도서에는 상투스가 처음 나타나며, 존 머비크가 1550년에 곡을 붙였다.[5] 1552년 및 1559년 공도서에는 베네딕투스 없이 나타난다.[6] 1662년 공도서에는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7]> 거룩하시다, 거룩하시다, 거룩하시다, 만군의 주님,
> 하늘과 땅은 당신의 영광으로 가득 찼네.
> 가장 높으신 주님, 당신께 영광을.
20세기 의례주의와 전례 운동의 영향으로, 후기 성공회 기도서는 베네딕투스를 복원하였다.[8][9][10][11][12][13][14][15]
루터교 신자들은 1978년까지 북미에서 다른 영어 버전을 사용했으며, 이후 ICET 버전이 ''루터교 예배서''에 채택되었다.[16] 전통적인 버전은 신성 예배에서 루터교 미주리 시노드에서 계속 사용되었다.[17][18]
1973년 국제 영어 텍스트 협의회(ICET)는 가톨릭, 성공회, 루터교, 감리교 등에서 채택한 에큐메니컬 버전을 만들었다.[19][20][21][22] 2011년 이후, 영어로 된 로마 미사 경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23]
> 거룩하시다, 거룩하시다, 거룩하시다, 만군의 주 하느님.
> 하늘과 땅은 당신의 영광으로 가득 찼네.
> 호산나, 가장 높은 곳에.
> 주님의 이름으로 오시는 이, 복되도다.
> 호산나, 가장 높은 곳에.
4. 3. 콥트어
알렉산드리아 전례의 일환으로, ''베네딕투스''는 성 치릴로 전례에 나타나지 않는다.[24]
Αγιος, αγιος, αγιος.
Ⲭⲟⲩⲁⲃ `Ⲡϭⲟⲓⲥ ⲥⲁⲃⲁⲱⲑ:
`ⲧⲫⲉ ⲛⲉⲙ `ⲡⲕⲁϩⲓ ⲙⲉϩ ⲉⲃⲟⲗϧⲉⲛ ⲡⲉⲕⲱⲟⲩ
ⲉⲑⲟⲩⲁⲃ `Ⲡϭⲟⲓⲥ Ⲡⲉⲛⲛⲟⲩϯ.
5. 동방 전례의 찬송가 형태
동방 정교회의 주요 전례인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스 전례는 현재 그리스어로 다음과 같은 상투스 텍스트를 사용한다.
Ἅγιος, ἅγιος, ἅγιος Κύριος Σαβαώθ· πλήρης ὁ οὐρανὸς καὶ ἡ γῆ τῆς δόξης σου, ὡσαννὰ ἐν τοῖς ὑψίστοις. Εὐλογημένος ὁ ἐρχόμενος ἐν ὀνόματι Κυρίου. Ὡσαννὰ ὁ ἐν τοῖς ὑψίστοις.
이는 로마 전례의 라틴어 텍스트와 비교했을 때 몇 가지 차이점을 보인다.
- 라틴어는 ''Dominus''(주)에 ''Deus''(하느님)를 추가하지만, 그리스어 번역본에는 없다.
- 라틴어는 복수형 ''caeli''(하늘들)를 사용하는 반면, 그리스어는 단수형 οὐρανόςgrc(하늘)를 사용한다.
- 그리스어는 ''Hosanna in excelsis''에 해당하는 구절의 두 가지 형태를 제공하며, 두 번째 형태에는 ὁgrc 관사가 포함된다.
동방 정교회의 성 바실 전례 또한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스 전례와 동일한 형태의 상투스를 사용하며, 호산나 구절의 두 가지 변형을 포함한다.
오래된 그리스 전례 필사본에는 다양한 형태의 상투스가 나타나는데, 스웨인슨이 1884년 저서 ''그리스 전례서''에서 편집한 형태는 다음과 같다. 이 중에는 구약 부분만으로 구성된 변형도 있다.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스 전례의 경우, ὁgrc 관사와 «τῆς» 관사를 제외한 형태는 다음과 같다.
Ἅγιος, ἅγιος, ἅγιος, Κύριος Σαβαώθ· πλήρης ὁ οὐρανὸς καὶ ἡ γῆ δόξης σου. Ὡσαννὰ ἐν τοῖς ὑψίστοις· εὐλογημένος ὁ ἐρχόμενος ἐν ὀνόματι Κυρίου· ὡσαννὰ ἐν τοῖς ὑψίστοις.
성 야고보 전례는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스 전례에서 사용되는 ὁgrc 관사를 생략하고, ''Kyrie''(호격)를 사용한다.
Ἅγιος, ἅγιος, ἅγιος, Κύριε σαβαώθ· πλήρης ὁ οὐρανὸς καὶ ἡ γῆ τῆς δόξης σου· ὡσαννὰ ἐν τοῖς ὑψίστοις. Eὐλογημένος ὁ ἐρχόμενος ἐν ὀνόματι Κυρίου· ὡσαννὰ ἐν τοῖς ὑψίστοις.
6. 음악적 설정
상투스는 수많은 단선율 성가 선율로 작곡되었으며, 그중 다수는 로마 미사 경본에 수록되어 있다. 또한 수많은 작곡가들이 단일 설정과 순환 미사곡의 일부로 다성 음악으로 작곡했다.
이 찬송가의 일부는 현대 음악에서도 사용되었는데, 특히 에니그마의 "Prism of Life"(앨범 왕은 죽었다, 왕 만세!)가 대표적이다.
7. 건축 및 예술에서의 사용
"상투스"의 가사는 종종 교회 건축과 기독교 미술에 사용된다. 영국 잉글랜드 스태퍼드셔주 치들에 있는 성 자일스 교회의 장식으로 사용된 "''Sanctus''" 글귀가 그 예시이다.
스페인 바르셀로나에 있는 사그라다 파밀리아 성당의 탑은 "Sanctus", "호산나" 그리고 "Excelsis"라는 문구로 장식되어 있다.
참조
[1]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Ελληνικά 1
http://www.prophet-e[...]
2020-02-04
[3]
간행물
Missale Romanum
http://www.clerus.or[...]
2002
[4]
웹사이트
The Mozarabic Rite: The Offertory to the Post Sanctus
http://www.newliturg[...]
Shawn Tribe
[5]
웹사이트
The Book of Common Prayer Noted: Communion, part 7
http://justus.anglic[...]
Justus.anglican.org
2014-03-11
[6]
웹사이트
The Ordre for the Administracion of the Lordes Supper, or Holy Communion
http://justus.anglic[...]
Justus.anglican.org
2014-03-11
[7]
서적
The Book of Common Prayer
http://justus.anglic[...]
The Church of England
2022-04-11
[8]
서적
The Ritual Reason Why
A. R. Mowbray
1901
[9]
서적
'Ritual Notes: A Comprehensive Guide to the Rites and Ceremonies of the Book of Common Prayer of the English Church
W. Knott & Son
1926
[10]
서적
The Practice of Religion: A Short Manual of Instructions and Devotions
Morehouse-Gorham
[11]
서적
Saint Augustine's Prayer Book
Holy Cross Publications
[12]
서적
Anglican Missal in the American Edition
The Frank Gavin Liturgical Foundation
[13]
서적
The Book of Common Prayer
Anglican Book Centre
[14]
서적
The Book of Common Prayer, The Holy Eucharist: Rite One
Protestant Episcopal Church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5]
웹사이트
"Common Worship", Order One in Traditional Language
http://justus.anglic[...]
2019-06-04
[16]
간행물
Service Book and Hymnal
Augsburg Publishing House; Board of Publication, Lutheran Church in America
1958
[17]
간행물
Lutheran Worship
Concordia Publishing House
1982
[18]
간행물
Lutheran Service Book
Concordia Publishing House
2006
[19]
웹사이트
Liturgy of the Eucharist
http://catholic-reso[...]
Catholic-resources.org
2014-03-11
[20]
서적
Book of Common Prayer
https://books.google[...]
Church Publishing
2014-03-11
[21]
서적
Lutheran Book of Worship
Augsburg
1978
[22]
서적
The United Methodist Hymnal: Book of United Methodist Worship
The United Methodist Publishing House
1989
[23]
웹사이트
The Order of Mass
http://www.usccb.org[...]
International Committee on English in the Liturgy
[24]
웹사이트
Liturgy of Saint Cyril
https://www.copticch[...]
copticchurch.net
[25]
서적
The Celebration of the Eucharist: The Origin of the Rite and the Development of Its Interpretation
https://books.google[...]
Liturgical Press
[26]
논문
Sanctus und Gloria
[27]
서적
The Eucharist: Essence, Form, Celebration
https://books.google[...]
Liturgical Press
[28]
서적
Mission of the Messiah
https://books.google[...]
Emmaus Road Publishing
[29]
서적
Using the Book of Common Prayer
https://books.google[...]
Church House Publishing
[30]
서적
Perspectives on Christian Worship
2009-03-01
[31]
웹사이트
Ἡ Θεία Λειτουργία τοῦ Ἁγίου Ἰωάννου τοῦ Χρυσοστόμου
http://www.goarch.or[...]
[32]
웹사이트
Ecumenical Patriarchate - Byzantine music
https://www.ec-patr.[...]
[33]
서적
Tanakh
[34]
서적
Old Testament
[35]
서적
Vulgata Old Testament
[36]
서적
New Testament
[37]
서적
Εκλογή Ελληνικής Ορθοδόξου Υμνογραφίας
Soter
[38]
웹사이트
The Divine Liturgy of Saint Basil the Great - Liturgical Texts of the Orthodox Church - Greek Orthodox Archdiocese of America
https://www.goarch.o[...]
2020-02-04
[39]
서적
The Greek liturgies: Chiefly from original authorit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40]
서적
The Greek liturgies chiefly from original authorities, with an appendix containing the Coptic ordinary canon of the mass from two manuscripts in the British Museum
Cambridge, Univ. Press
[41]
웹사이트
Liturgy of Saint James
http://www.ccel.org/[...]
[42]
서적
Ἡ Θεία Λειτουργία τοῦ Ἁγίου Ἰακώβου τοῦ Ἀδελφοθέου
http://www.saint.gr/[...]
[43]
서적
The Greek liturgies chiefly from original authorities, with an appendix containing the Coptic ordinary canon of the mass from two manuscripts in the British Museum
Cambridge, Univ. Press
[44]
웹사이트
Margoneetho: Syriac Orthodox Resources
https://syriacorthod[...]
[45]
웹사이트
Liturgy Of St Dionysius
http://www.liturgies[...]
[46]
웹사이트
Philip Schaff: ANF07. Fathers of the Third and Fourth Centuries: Lactantius, Venantius, Asterius, Victorinus, Dionysius, Apostolic Teaching and Constitutions, Homily, and Liturgies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https://www.ccel.org[...]
[47]
웹사이트
Abraam D. Sleman (editor), St Basil Liturgy: Reference Book, p. 83
http://www.copticchu[...]
[48]
LSJ
mustiko/s, μέλος, πανάγιος
[49]
Citation
Enigma – Prism of Life
https://genius.com/e[...]
2021-12-23
[50]
문서
Ritus servandus in celebratione Missae
[51]
웹사이트
Adrian Fortescue, "Sanctus" in Catholic Encyclopedia (New York 1912)
http://www.newadvent[...]
Newadvent.org
2014-03-11
[52]
웹사이트
Gail Ramshaw, "Wording the Sanctus"
http://www.naal-litu[...]
2014-03-11
[53]
웹사이트
Library of Congress
https://www.loc.gov/[...]
Loc.gov
2014-03-11
[54]
웹사이트
De ritibus servandis in cantu missae, VII
https://media.music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