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상하동은 대한민국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에 속하는 동이다. 옛날 마을에 고인돌이 두 개 있어 상지석, 하지석으로 불리다가,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상, 하'의 이름을 따 상하리로 불렸고 이후 상하동으로 승격되었다. 2019년 2월 기준 인구는 25,013명이며, 청동기 시대의 고인돌이 존재하여 민속학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용인시의 행정동 - 신봉동 (용인시)
신봉동은 대한민국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에 속하는 행정동으로, 과거 용구현과 용인현 수진면 지역이었으며, 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 등의 문화재와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어 있고, 2020년 8월 기준 38,247명이 거주한다. - 용인시의 행정동 - 신갈동
신갈동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에 위치하며, 경부고속도로와 영동고속도로가 분기하는 신갈 분기점과 수원 나들목이 있는 교통의 요지이고, 조선시대 현화사 터, 용인운전면허시험장, 아파트 단지, 한국민속촌 등이 위치한다. - 용인시의 법정동 - 영덕동
영덕동은 용인시 기흥구에 위치한 동으로, 영통리와 덕동 일부가 합쳐져 신설되었고, 광교신도시 조성으로 수원시 영통구 하동으로 일부 편입되기도 했으며, 용인서울고속도로 흥덕 나들목이 위치한 교통 요충지이자 흥덕지구를 중심으로 주거 시설이 잘 갖춰진 곳이다. - 용인시의 법정동 - 상현동
상현동은 용인시 수지구에 있는 동으로, 일제강점기 용인군 지내면의 상리와 만현 고개에서 유래되었으며, 심곡서원, 문정공 조광조 묘 등의 문화재와 아파트 단지가 위치해 있다. - 용인시의 행정 구역 - 양지군
양지군은 현재의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과 안성시 고삼면 일대를 관할했던 경기도의 옛 군으로, 통일신라 시대 양량부곡에서 조선시대 양지현을 거쳐 1895년 군으로 승격되었으나 1914년 용인군에 편입되었다. - 용인시의 행정 구역 - 양지면
양지면은 본래 고구려의 사복홀현이었으나 신라 경덕왕 때 양지현으로 개명된 지역으로, 조선시대에 용구현과 합쳐졌다 분리되는 변화를 겪었고 일제강점기에는 용인군에 병합되어 내사면으로 개칭되었다가 광복 50주년을 맞아 양지면으로 환원되었으며, 현재는 영동고속도로와 국도 제42호선, 양지 나들목, 그리고 여러 레저 시설이 위치한 용인시 처인구의 면이다.
상하동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한자표기 | 上下洞 |
영문표기 | Sangha-dong |
법정동 | 상하동 |
일반 정보 | |
광역시도 | 경기도 |
시군구 | 용인시 기흥구 |
면적 | 5.52 |
세대 | 9,138 |
세대 조사 | 2021년 12월 31일 |
인구 | 24,405 |
인구 조사 | 2022년 2월 |
통 | 21 |
반 | 207 |
동주민센터 주소 | '[16994]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어정로 62-23(상하동)' |
홈페이지 | '상하동행정복지센터' |
2. 역사
상하동은 475년 고구려 장수왕 때 구성현으로 불렸다가, 757년 통일신라 경덕왕 때 거서현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940년 고려 태조 때는 용구현으로 다시 개칭되었고, 1018년 고려 현종 때는 광주의 임내에 속하게 되었다. 1413년 조선 태종 때는 용구와 처인을 합쳐 용인현이라 칭했고, 1895년 고종 3년에 용인현을 용인군으로 바꾸었다.
1914년 읍내, 동변, 서변, 수진의 3개 면을 합쳐 읍삼면으로 개칭했고, 1931년 읍삼면은 구성면으로 변경되었다. 2000년 9월 1일 구성면은 구성읍으로 승격되었다. 2005년 10월 31일 기흥구 신설과 함께 구성읍 아래의 리가 동으로 승격되면서 용인시 기흥구 상하동이 되었고, 어정동의 관할을 받았다. 2007년 7월 1일 행정동 어정동이 폐지되고 동백동과 상하동으로 분동되었다.[2]
2. 1. 지명 유래
예부터 마을에는 아래위로 2개의 고인돌이 있어서 상지석과 하지석으로 불렸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상, 하'라는 이름을 따서 지명도 상하리(上下里)라고 하였다가 상하동으로 승격되었다.[1]2. 2. 연혁
- 475년 고구려 장수왕 63년 구성현으로 명명되었다.
- 757년 통일신라 경덕왕 16년 거서현으로 개칭되었다.
- 940년 고려 태조 23년 용구현으로 개칭되었다.
- 1018년 고려 현종 9년 광주의 임내에 속하게 되었다.
- 1413년 조선 태종 13년 용구와 처인을 합쳐 용인현이라 칭하였다.
- 1895년 고종 3년 용인현을 용인군으로 개칭하였다.
- 1914년 읍내와 동변, 서변, 수진의 3개 면을 합하여 읍삼면이라 개칭하였다.
- 1931년 읍삼면의 명칭을 구성면으로 변경하였다.
- 2000년 9월 1일 구성면에서 구성읍으로 승격되었다.
- 2005년 10월 31일 기흥구가 신설되어 기존의 구성읍 아래의 리가 동으로 승격하면서 용인시 기흥구 상하동이 되었다. 관할 행정동은 어정동이었다.
- 2007년 7월 1일 행정동 어정동을 폐지하고 동백동과 상하동으로 분동하였다.[2]
3. 인구
상하동의 인구는 2019년 2월 28일 기준으로 25,013명(내국인)이며, 용인시 전체 인구의 2.4%를 차지한다. 성별로는 남자 12,215명, 여자 12,798명이며, 외국인은 220명이다. 연령별로는 유소년(만 15세 미만) 인구 비율이 15.2%로 용인시 전체 비율(16.1%)보다 낮고, 노인(만 65세 이상) 인구 비율은 11.9%로 용인시 전체 비율(12.2%)보다 낮다.[4]
2015년 기준으로 상하동의 산업 총종사자 수는 4,585명이다. 이 중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종사자 수가 1,365명으로 가장 많고, 도매 및 소매업 종사자가 707명으로 그 뒤를 잇는다. 이 외에 운수업(411명), 교육 서비스업(353명), 숙박 및 음식업(327명) 종사자도 많은 편이다.[5]
4. 문화재 및 유적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상하동에는 청동기시대 고인돌이 있다. 기흥에서 용인 방면으로 국도 42호선을 따라가면 구갈교가 나오며, 구갈교를 지나자마자 왼쪽 길 옆에 고인돌이 있다. 고인돌 2기 중 상지석은 '할아버지 바위'라고 불렸지만 지금은 없고, 하지석은 '할미 바위'라고 부르며 해마다 음력 10월 10일에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는 할미 지석제를 지내고 있다. 상하리 고인돌은 현재까지 마을에서 제사를 지내는 신앙의 대상물로, 고고학적 의미뿐만 아니라 민속학적으로도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평가받는다.[1]
5. 교육 기관
상하동에는 다음 교육 기관들이 있다.
6. 아파트
단지명 | 건설사 | 시행사 | 주소 | 입주 | 비고 |
---|---|---|---|---|---|
강남마을 9단지 한라비발디 | 한라건설㈜ | 기흥구 강남동로 128 | 2004년 5월 | ||
강남마을 8단지 | 한국개발㈜ | 대한주택공사 | 기흥구 강남동로 92 | 국민임대 | |
수원동마을 쌍용 3단지 | 쌍용건설 | ㈜한원건설 | 기흥구 중부대로788번길 22 | 2002년 5월 | |
수원동마을 쌍용스윗닷홈 2단지 | 한원디벨로프먼트㈜ | 기흥구 중부대로788번길 15 | 2004년 11월 |
참조
[1]
뉴스
상하동 고인돌
http://yongin.grandc[...]
경기도박물관
2012-11-30
[2]
뉴스
<소식>용인시 동백동, 상하동 사무소 개소
https://news.naver.c[...]
뉴시스
2007-07-02
[3]
웹사이트
상하동 연령별 인구
https://estat.yongin[...]
[4]
웹사이트
용인시 월별통계
https://www.yongin.g[...]
용인시청
[5]
간행물
2015년 용인시 통계연보
https://estat.yongin[...]
용인시청 통계바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