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흥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흥구는 2005년 용인시의 구제 실시로 신설된 행정 구역으로, 구 명칭은 삼성전자와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결정되었다. 현재 10개의 법정동을 관할하며, 각 동의 명칭은 해당 지역의 지명 유래를 반영한다. 2020년 기준 인구는 43만 명 이상이며, 수도권 전철, 고속도로 등 교통망이 발달했다. 경기도 박물관, 백남준아트센터, 한국민속촌 등의 문화 관광 시설과 강남대학교, 경희대학교 등 교육 기관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기도의 구 - 소사구
소사구는 1988년 설치되었다가 2016년 폐지된 후 2024년 재설치된 부천시의 구이며, 부천시 구시가지에 해당하고 11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교육 기관과 철도 노선이 지나간다. - 경기도의 구 - 단원구
단원구는 대한민국 경기도 안산시의 행정 구역으로, 2002년에 설치되어 12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며, 안산시 서부에 위치하고 시흥시, 화성시와 접하며, 수도권 전철 4호선, 수인·분당선, 서해선과 영동고속도로 서안산 나들목이 지나간다. - 용인시의 행정 구역 - 양지군
양지군은 현재의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과 안성시 고삼면 일대를 관할했던 경기도의 옛 군으로, 통일신라 시대 양량부곡에서 조선시대 양지현을 거쳐 1895년 군으로 승격되었으나 1914년 용인군에 편입되었다. - 용인시의 행정 구역 - 양지면
양지면은 본래 고구려의 사복홀현이었으나 신라 경덕왕 때 양지현으로 개명된 지역으로, 조선시대에 용구현과 합쳐졌다 분리되는 변화를 겪었고 일제강점기에는 용인군에 병합되어 내사면으로 개칭되었다가 광복 50주년을 맞아 양지면으로 환원되었으며, 현재는 영동고속도로와 국도 제42호선, 양지 나들목, 그리고 여러 레저 시설이 위치한 용인시 처인구의 면이다. - 기흥구 - 한국민속촌
한국민속촌은 한국 전통 문화를 보존하기 위해 조선시대 마을을 재현한 한국 최초의 야외 박물관으로, 전통 공연과 체험 프로그램, 놀이시설, 식당 등을 제공하며 드라마 촬영지로도 활용된다. - 기흥구 - 영덕동
영덕동은 용인시 기흥구에 위치한 동으로, 영통리와 덕동 일부가 합쳐져 신설되었고, 광교신도시 조성으로 수원시 영통구 하동으로 일부 편입되기도 했으며, 용인서울고속도로 흥덕 나들목이 위치한 교통 요충지이자 흥덕지구를 중심으로 주거 시설이 잘 갖춰진 곳이다.
기흥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일반 정보 | |
![]() | |
![]() | |
한글 | 기흥구 |
한자 | 器興區 |
로마자 표기 | Giheung-gu |
면적 | 81.64 |
통계 연도 | 2021 |
총 인구 | 445,924 |
세대수 | 173,844 |
상위 행정 구역 | 용인시 |
하위 행정 구역 | 15동 |
구청장 | 황규섭 |
우편 번호 | [우]16963 |
주소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관곡로 95 (구갈동) |
웹사이트 | 기흥구청 공식 웹사이트 |
정치 | |
국회의원 | "용인시 을: 손명수(더불어민주당)" "용인시 정: 이언주(더불어민주당)" |
국회의원 관할 구역 (일부) | "용인시 을: 영덕1동, 영덕2동, 구갈동, 동백3동, 신갈동, 구갈동, 상갈동, 보라동 기흥동, 서농동, 상하동 해당." "용인시 정: 기흥구 보정동, 구성동, 마북동, 동백1동, 동백2동, 수지구 상현2동, 죽전1동, 죽전2동, 죽전3동 해당." |
2. 명칭 유래
조선 시대 세종실록지리지에는 "역(驛)이 두 개 있는데, 구흥(駒興)과 금령이 그것이다. 구흥의 본 이름은 용흥(龍興)인데, 정승 하륜이 지나다가 이르기를, "용흥은 참역(站驛)의 이름으로는 맞지 아니하다."하고,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다."라는 기록이 있다.[14]
2005년 구 명칭을 정할 당시, 옛 구성읍(駒城邑)의 '구'(駒)와 기흥읍(器興邑)의 '흥'(興)을 따서 '구흥구'(駒興區)로 정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기흥에 반도체 사업장을 둔 삼성전자와 주민들의 반발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삼성기흥반도체'라는 명칭이 세계적으로 알려져 외국인들이 '기흥'을 '한국의 실리콘밸리' 또는 '반도체 중심지'로 인식하고 있어 '기흥구'가 38.5%로 '구흥구'(6.1%)를 앞질러 기흥구로 확정되었다.[12]
2. 1. 각 동 명칭의 유래
2005년 구 명칭을 정할 때, 옛 구성읍의 '구'(駒)와 기흥읍의 '흥'(興)을 따서 '구흥구'로 정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삼성전자와 주민들의 반발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삼성기흥반도체'라는 명칭이 세계적으로 알려져 외국인들이 '기흥'을 '한국의 실리콘밸리' 또는 '반도체 중심지'로 인식하고 있어 '기흥구'가 38.5%로 '구흥구'(6.1%)를 앞질러 기흥구로 확정되었다.[12]보정동은 연원부락에 보수원이 있었고 큰 정자가 있어 보정리라 칭하였다. 독정마을은 마을 앞에 따로 큰 정자가 있었는데, 이씨 성을 가진 선비가 정자 밑 움막에서 공부해 과거에 합격한 후 돌아와 보니 노부모가 모두 돌아가시고 폐가가 되어 있었다. 오갈 데 없던 이 선비는 과거 공부하던 곳으로 돌아와 정착하여 마을을 형성하였고, 마을 이름도 홀로 서 있는 큰 정자나무(느티나무로 추정)와 인연이 되어 '독'(獨) 자와 '정'(亭) 자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에 '獨' 자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어 '篤' 자로 고쳐 쓰게 되었다. 마을 상류에 조선 시대에 독을 만들던 가마터가 있어 독쟁이라고 하는 설도 있다.
보정동의 신촌말(신촌마을)은 원래 마을이 없었으나 새로 한 집 두 집 촌락이 형성되면서 새로 생긴 마을이란 뜻에서 신촌이 되었다. 소실마을은 부락 뒤편 소봉이라는 산 밑에 있어 그 산 이름을 따서 소실이라 하였다. 연원마을은 이 마을에 보수원이 있었고 마을 안에 큰 연꽃이 많아 연원이라고 불렸다고 하나 지금은 연못이 메워지고 작은 연못 하나만 남아 있다. 이현마을은 이 마을에서 수지면으로 통하는 뒷고개가 있는데, 이 고개가 황토로 질어서 진고개라 하였으며 이를 한자로 써서 이현리라고 하였다.
수청은 '물푸른'의 한자 표기인데, 마을 뒤 법화산에서 남쪽으로 발원하여 물이 유난히 맑고 푸른 데서 기원한 것으로 '물푸레'를 한자로 적은 것이다. '청덕천'은 '마북천'과 만나 탄천으로 흘러든다. 수청이나 덕수라는 지명은 모두 물과 관련된 것이다.[13]
일제강점기 때 일본식 한자로 변경된 어정(漁汀) 마을은 1995년 어정(御井, 어정동) 마을로 지명이 변경되었다. 이는 '임금님이 마시던 우물'이란 뜻을 가진 본래의 고유 지명으로 바로잡은 것이다.[13]
지곡동은 보라동에 속하는 법정동으로, 남동쪽에는 부아산(402.7m)이 있어 그 줄기가 길게 지역을 감싸고 있다. 본래 용인현 기곡면인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다래울, 기와집 말, 사기막을 합치고 지곡리라 하였다. 일설에는 예전에 지초가 많았으며 골이 깊다고 하여 '지초'의 '지' 자와 '골 곡' 자를 합쳐 지곡리라고 하였다고 한다. 기와집 말은 기와집이 있는 마을, 다래울, 서남쪽에 자리 잡은 마을이다. 기묘사화 때 조광조 일당으로 연루된 음애 이자 선생의 생가와 부친 예견을 모시던 사당이 있었는데, 인근 마을에서 유일하게 '기와집마을'이라 하였다고 전해진다.
다래울은 중동 동남쪽에 있는 마을로 월애동이라고도 한다. 뒷실은 후곡, 사기막에 있는 골짜기이고, 사기막골은 상동 동남쪽에 있는 마을로 사기막이 있었으며 조선 시대에 백자를 생산하였다. 사은정은 지곡동 하동에 있는 정자로, 정암 조광조, 음애 이자, 회곡 조광보, 방은 조광좌 등 4인의 장수강학지소였다고 하여 사은정이라 하였다. 상동은 지곡리 뒷실 위쪽에 있는 마을이고, 중동은 지곡리 마을 중 중간에 위치하여 중동이라 불린다. 두암산은 공세리 하동에 있는 동산이다.
2. 1. 1. 구성동
고구려가 백제 영지를 자국에 편입하면서 '구성'이라는 명칭을 사용했는데, 이는 고어 "말아"(예: 말매미, 말잠자리)를 한자음 駒(구)로 표기한 것으로 풀이된다. "말아" 또는 "말"은 마루의 동의어로서 크다(大), 높다(高, 上, 예: 산마루)는 의미를 포함한다. 신라 때 구성을 '거서'로 고친 것도 '크다'는 본래 의미의 동의어로 알려져 있다.[13] 구성은 큰 성(대성) 또는 마라재(높은 곳)라는 의미를 지니며, 용인시 최초의 행정 지명이다.[13]2. 1. 2. 동백동
동백동은 본래 용인현 東邊面중국어에 속했던 지역으로 동막(東幕)과 백현(栢峴)을 합치고 두 마을 명칭의 두문자를 합쳐서 동백리라 하였으며 2005년 10월 31일 구청 개청에 따라 동백동으로 변경되었다.[12] 중동은 본래 용인현 동변면(東邊面)에 속했던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중동(中洞) 일원을 중리로 고쳤으며 2005년 10월 31일 구청 개청에 따라 중동으로 변경되었으나 법정동은 동백동으로 되어 있다.[12] 구성면의 중리 마을에 있던 어정(漁汀) 마을은 중동, 상하동으로 분동되어 중동은 행정동 동백동에서 관할하고 있다.[13]2. 1. 3. 마북동
마북동은 옛 상마곡 부락에 마운사(痲雲寺)라는 사찰이 있었고, 이 절의 중이 마의를 입고 다녔으며, 면소재지 북면에 위치한다 하여 마북리로 불렸다.[13] 마북동의 이웃 마을이었던 청덕리(淸德里)는 1914년 동변면(東邊面)의 수청동(水淸洞)과 덕수동(德水洞), 읍내면의 언동 일부를 합쳐 수청동의 '청'자와 덕수동의 '덕'자를 따서 청덕리라 하였다.[13]수청은 '물푸른'의 한자 표기인데, 마을 뒤 법화산에서 남쪽으로 발원하여 물이 유난히 맑고 푸른 데서 기원한 것으로 '물푸레'를 한자로 적은 것이다. 이 '청덕천'은 '마북천'과 만나 탄천으로 흘러든다.[13]
2. 1. 4. 보라동
보라동은 본래 용인현 기곡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을 개편할 때 보평, 통산, 라곡, 방골을 합치고 보평과 라곡의 첫 음을 따서 보라리라고 하였다.[14] 마을에 전해지는 속설에 따르면, "마을 앞 고목에 보라매가 앉은 후부터 보라리"라고 하였다고도 한다.[14] 여기서 보라매는 난 지 1년이 안 된 어린 새끼를 의미한다. 길들여진 매는 수진이, 길들여지지 않은 매는 '날진이'라고 부르는데, '보라리'라는 지명은 보라매에서 유래했다기보다는 보평과 나곡에서 한 글자씩 따와 합성된 지명으로 보인다.보라동의 속지명은 다음과 같다.
속지명 | 설명 |
---|---|
가는골 | 세곡, 가는 굴 등으로 불리는 곳으로, 작은 골짜기를 이르는 말이다. |
궁뜰 | 보라리에 있는 들. 궁뜰고개는 궁뜰 뒤에 있는 고개이다. |
나곡 | 마을 이름으로, 통산 동쪽에 있다. |
능골 | 보라리에 있는 골짜기로, 불당이 있었다. |
방골 | 보라리에 있는 골짜기로, 불당이 있었다. |
음지마을 | 음지촌, 통뫼마을 동쪽에 있다. 통뫼는 보라리에서 음뜸되는 마을로, 마을 앞에 있는 산을 통산이라 한 데서 생긴 지명이다. |
차뫼골 | 보라리에 있는 골짜기이다. |
지곡동은 보라동에 속하는 법정동으로, 남동쪽에는 부아산(402.7m)이 있어 그 줄기가 길게 지역을 감싸고 있다.[14]
2. 1. 5. 상갈동
상갈동은 본래 용인현 기곡면 지역으로, 갈천 위쪽에 있어 윗갈래 또는 상갈천이라 불렸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금화, 중갈천, 상갈천을 합쳐 상갈리가 되었다.[14] 금화마을은 쇠품리라고도 불렸는데, 이 마을에 금반형의 터가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일제강점기에 금화로 개칭되었다. 상갈천은 마을 앞에 흐르는 내가 칡넝쿨 같은 형상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갈천 위쪽에 있는 마을이라 상갈천이라 하였다. 쇠품이마을은 상갈리에서 가장 큰 마을이었고, 용메(뫼)는 상갈리에 있는 산 이름인데, 용이 하늘로 오르는 것을 본 여인이 낙태하였다고 하는 속설이 있다. 윗갈래는 상갈천의 속지명이고, 허장골은 상갈리에 있는 마을의 속지명이다.2. 1. 6. 상하동
상하동은 본래 용인현 동변면(東邊面)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상지석(上支石), 하지석(下支石)과 수원동(壽院洞)을 합치고 상·하지석의 이름을 따서 상하리라 하였다.[14] 2005년 10월 31일 구청 개청에 따라 상하동으로 바뀌었다. 구성면의 중리 마을에 있던 어정(漁汀) 마을은 중동, 상하동으로 분동되었는데, 중동은 행정동 동백동에서 관할하고 있다. 어정(漁汀) 마을은 1995년 어정(御井, 어정동) 마을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이는 일제강점기 때 일본식 한자로 바뀐 지명을 '임금님이 마시던 우물'이란 뜻을 가진 원래의 고유 지명으로 바로잡은 것이다.[13]2. 1. 7. 서농동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농사동과 내서천을 합쳐 농사동의 '농'(農) 자와 내서천의 '서'(書) 자를 합쳐 농서리라 칭했다. 외서천과 내서천을 합쳐 서천리라 칭했는데, 속설에 의하면 선비들이 동리 앞에 흐르는 냇가에 모여 글을 읽었으므로 글 서(書) 자와 내 천(川)자를 합쳐 서천리라 칭하였다고 전해진다.[14]2. 1. 8. 신갈동
1914년 일제강점기에 행정구역을 개편하면서 역촌 일부, 신촌, 미동, 갈천, 상촌, 상관곡리 등을 합치고 신촌과 갈천의 첫 글자를 따서 신갈동이라 하였다.[12]2. 1. 9. 영덕동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용인현 지내면 지역으로, 영통리와 덕동 일부를 합쳐 영통의 '영' 자와 덕동의 '덕' 자를 따서 영덕동이라 하였다. 흥덕지구의 인구 증가로 신갈동에서 분동되었으며, 행정동과 법정동이 일치한다.[14]하갈동은 영덕2동에 속하는 법정동으로, 본래 용인현 기곡면 지역이었으나 하갈천과 행의동 일부를 합치고 갈천 아래에 있다고 해서 하갈동이라 하였다.
2. 1. 10. 구갈동
구갈동은 본래 용인현 구흥면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구흥면의 하관곡리, 내기, 갈곡을 합쳐 구갈리라 하였다.[14] 갈곡마을은 구갈리 동남쪽에 있던 마을로, 구갈지구 택지개발단지로 편입되었다. 관곡마을은 구갈리에서 으뜸되는 마을로 상관곡과 하관곡으로 나뉜다. 내기마을은 안말, 안터라고도 불리며, 구갈리에 딸린 마을로 관골 안쪽에 자리 잡아 내기라 불린다. 아래 관골마을은 관골 아래쪽에 있어 붙여진 이름이고, 위관골(꼴)마을은 상관곡을 이르는 말로 구갈리 상단에 있어 위관골이라 불렸다.2. 1. 11. 기흥동
1914년 4월 1일 구흥면과 내읍삼면 일부, 지내면의 영통리 지역, 기곡면의 일원을 합쳐 「기곡(器谷)」의 첫 글자와 「구흥 (駒興)」의 끝 글자를 따서 기흥면이 되었다.[14] 기흥면의 명칭은 옛 기흥읍의 공세리와 고매리를 합친 행정동명으로 정해졌다. 기흥동은 고려시대 용구현과 조선시대 용인현에 속해있던 역참지역이었다.3. 역사
2005년 5월 27일 경기 용인시는 지명위원회를 개최하여 기흥읍과 구성읍 일대를 합친 신설 구 이름을 두 지역명에서 한 자씩 따 ‘구흥구’(駒興區)로 확정했던 당초 결정을 바꿔 ‘기흥구’(器興區)로 최종 결정했다.[12]
2005년 10월 31일, 구제(區制) 시행으로 기흥읍과 구성읍을 통합하여 기흥구를 신설하였다.[15] (9행정동 18법정동)
2007년 7월 2일 어정동을 동백동, 상하동으로 분동하였다.[16] (10행정동)
2010년 8월 2일 신갈동을 신갈동, 영덕동으로 분동하였다.[17] 9월 10일 영덕동 주민센터를 개소하였다.[18] (11행정동)
2020년 1월 20일 상갈동을 상갈동, 보라동으로, 동백동을 동백1동, 동백2동, 동백3동으로, 영덕동을 영덕1동, 영덕2동으로 분동하였다.[19] (15행정동)
4. 행정 구역
2020년 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기흥구의 인구는 43만 7146명, 16만 5355세대이며, 등록 외국인을 합치면 44만명 수준이다.[20] 기흥구는 15개의 행정동과 그 아래 10개의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행정동 | 한자 | 면적 (km²) | 인구 (명) | 세대 |
---|---|---|---|---|
신갈동 | 新葛洞 | 4.8km2 | 37,555 | 13,650 |
영덕1동 | 靈德一洞 | 3.6km2 | 30,800 | 11,538 |
영덕2동 | 靈德二洞 | 5.9km2 | 16,397 | 6,263 |
구갈동 | 舊葛洞 | 4.2km2 | 28,257 | 11,629 |
상갈동 | 上葛洞 | 2km2 | 13,560 | 6,066 |
보라동 | 甫羅洞 | 10.1km2 | 33,283 | 12,156 |
기흥동 | 器興洞 | 11.7km2 | 22,762 | 8,502 |
서농동 | 書農洞 | 4.2km2 | 20,768 | 8,387 |
보정동 | 寶亭洞 | 6.8km2 | 36,245 | 12,751 |
구성동 | 駒城洞 | 6.9km2 | 40,987 | 14,286 |
마북동 | 麻北洞 | 5.4km2 | 31,771 | 11,186 |
동백1동 | 東栢一洞 | 3.9km2 | 32,984 | 11,304 |
동백2동 | 東栢二洞 | 4.6km2 | 27,345 | 9,011 |
동백3동 | 東栢三洞 | 1.9km2 | 22,397 | 7,868 |
상하동 | 上下洞 | 5.5km2 | 24,918 | 8,515 |
기흥구 | 器興區 | 81.7km2 | 437,146 | 165,355 |
4. 1. 행정동과 법정동

기흥구는 15개의 행정동으로 나뉜다.
행정동 | 법정동 |
---|---|
신갈동 | 신갈동 |
영덕1동 | 영덕동 |
영덕2동 | 하갈동, 영덕동 |
구갈동 | 구갈동 |
상갈동 | 상갈동 |
보라동 | 지곡동, 보라동 |
기흥동 | 공세동, 고매동 |
서농동 | 농서동, 서천동 |
구성동 | 언남동, 청덕동 |
마북동 | 마북동 |
동백1동 | 동백동 |
동백2동 | 중동 |
동백3동 | 동백동, 중동 |
상하동 | 상하동 |
보정동 | 보정동 |
5. 인구
2021년 기준 기흥구의 인구는 445,924명이다. 2005년 구제 실시 이후 지속적으로 인구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연령별 인구 구조는 30-40대 인구 비율이 높게 나타난다.
6. 교통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과 용인 경전철이 기흥구를 지나며, 경부고속도로와 영동고속도로가 만나는 신갈 분기점이 있어 교통이 편리하다.
6. 1. 철도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수지구 ← 보정역 - 구성역 - 신갈역 - 기흥역 - 상갈역 → 수원시)과 용인 경전철 (기흥역 - 강남대역 - 지석역 - 어정역 - 동백역 - 초당역 → 처인구)이 기흥구를 지난다. 분당선 죽전역은 수지구에 있지만, 역 구내 일부는 기흥구에 있다.6. 2. 도로
7. 문화·관광
경기도 박물관[1]
경희대학교 혜정박물관(중앙도서관 4층)[2]
디 아모레 뮤지엄(아모레 태평양 박물관): AMORE PACIFIC 연구 단지 내에 있는 박물관이다.[3] [4]
백남준 아트센터: 아티스트 백남준을 기리기 위해 건설된 미술관이다.[5] [6]
용인 보정동 고분군[7]
이영미술관[8]
한국미술관[9]
한국민속촌은 보라동 107-1에 있는 박물관이다. 한국의 전통 문화를 보고 체험해 볼 수 있다. 에버랜드와 함께 한국인과 외국인 모두에게 유명한 관광지이다.[10]
8. 교육 기관
참조
[1]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2]
뉴스
삼성전자 '기흥' 지명 지켜냈다
http://news.hankooki[...]
한국일보
2020-08-05
[3]
법률
구및읍·면·동의명칭과관할구역에관한조례
용인시
2005-10-05
[4]
법률
구및읍·면·동의명칭과관할구역에관한조례
용인시
2007-07-01
[5]
법률
구 및 읍·면·동의 명칭과 관할구역에 관한 조례
용인시
2010-08-02
[6]
웹사이트
영덕동주민센터 신설안내 팝업
http://www.giheunggu[...]
2020-08-05
[7]
법률
구및읍·면·동의명칭과관할구역에관한조례
용인시
2020-01-10
[8]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9]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0]
문서
기흥구 행정동 목록
[11]
문서
기흥구, 수지구 행정동 목록
[12]
뉴스
삼성전자 '기흥' 지명 지켜냈다
http://news.hankooki[...]
한국일보
[13]
뉴스
부산에서 서울까지 다시 걷는 옛길, 용인길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06-10-02
[14]
서적
한국지명유래집 중부편
국토지리정보원
2008
[15]
법률
구및읍·면·동의명칭과관할구역에관한조례
용인시
2005-10-05
[16]
법률
구및읍·면·동의명칭과관할구역에관한조례
용인시
2007-07-01
[17]
법률
구 및 읍·면·동의 명칭과 관할구역에 관한 조례
용인시
2010-08-02
[18]
웹사이트
영덕동주민센터 신설안내 팝업
http://www.giheunggu[...]
[19]
법률
구및읍·면·동의명칭과관할구역에관한조례
용인시
2020-01-10
[20]
문서
행정자치부 인구통계 참조
[21]
웹사이트
용인시 연령별 인구
https://estat.yongin[...]
2018-09-29
[22]
웹사이트
경희대학교
https://www.khu.ac.k[...]
2022-03-3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현대엔지니어링 ‘신광교 클라우드 시티’ 분양
현대엔지니어링, ‘신광교 클라우드 시티’ 분양 중
[6/23, MK추천매물] 강남구 대로변 병원∙사옥용 빌딩 430억원 등
용인 르노코리아 연구소서 차량 테스트 중 화재…1시간 만에 초진
[5/28, MK추천매물] 용인 서천지구 10%대 상가 4억7천만원 등
[5/14, MK추천매물] 수원시 연립주택·근생 복합 용지 30억원 등
호텔급 컨시어지 지식산업센터 ‘신광교 클라우드 시티’
용인 기흥터널 내 차량서 불…탑승자 3명 대피
[4/14, MK추천매물] 화성 병점역세권 수익형 학원 상가 6억원 등
용인 자원순환시설서 화재…큰불 잡아 야산 확산 차단
용인 지식산업센터 지하주차장 화재, 50대 남성 1명 숨져
용인 건물 지하주차장서 화재…50대 심정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