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새뮤얼 데이비스 (성직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새뮤얼 데이비스는 18세기 미국의 장로교 목사이자 교육자였다. 그는 델라웨어에서 태어나 장로교 신학을 공부했으며, 버지니아에서 복음 전도사로 활동하며 종교적 자유를 옹호했다. 데이비스는 흑인 노예들에게 교육과 기독교 신앙을 전파하는 데 힘썼으며, 패트릭 헨리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프린스턴 대학교 총장으로 재직하며 학교 발전에 기여했으나, 37세의 젊은 나이에 폐렴으로 사망했다. 데이비스는 웅변술과 찬송가 작가로서도 명성을 얻었으며, 그의 설교와 저술은 미국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61년 사망 - 새뮤얼 리처드슨
    새뮤얼 리처드슨은 18세기 영국의 소설가이자 인쇄업자로, 서간체 소설의 선구자이며, 『파멜라, 또는 미덕의 보상』, 『클라리사』, 『찰스 그랜디슨 경의 역사』 등의 작품으로 18세기 영국 소설 발전에 기여했고, 도덕적 가치와 여성의 지위에 대한 통찰, 섬세한 심리묘사로 문학적 성취를 이루었다.
  • 1761년 사망 - 신후담
    신후담은 조선 후기 실학자이자 성리학자로 이익의 문하에서 수학하며 서학을 비판적으로 연구했고, 천주교 교리를 비판한 《서학변》을 저술했으며,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학문 연구와 후학 양성에 힘쓰며 남인 공서파의 핵심 인물로 활동하며 조선 후기 학문 발전에 기여했다.
  • 1723년 출생 - 조슈아 레이놀즈
    18세기 잉글랜드의 초상화가이자 미술 이론가인 조슈아 레이놀즈는 왕립예술아카데미 초대 회장을 역임하고 기사 작위를 받았으며, '고상한 양식'을 추구하며 다양한 장르에서 활동했고, 당대 지식인들과 교류하며 영국 화가의 직업적 지위 확립에 기여했다.
  • 1723년 출생 - 윌리엄 블랙스톤
    윌리엄 블랙스톤은 1723년에 태어나 1780년에 사망한 영국의 법학자이자 법관이며, 《잉글랜드 법 해설》을 저술하여 영국과 미국의 법률 교육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미국의 복음주의자 - 빌 브라이트
    빌 브라이트는 미국의 복음주의 기독교인으로, 캠퍼스 크루세이드 포 크라이스트를 설립하여 기독교 복음을 전파했으며, 4영리를 저술하고 템플턴상을 수상했다.
  • 미국의 복음주의자 - 루이스 잠페리니
    루이스 잠페리니는 미국의 장거리 육상 선수이자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으로, 올림픽 국가대표 출전 후 전쟁 중 일본군 포로로 억류되었으며, 전후에는 복음주의자로 용서와 화해를 전파하고 그의 삶은 여러 작품으로 제작되었다.
새뮤얼 데이비스 (성직자)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존칭성직자
이름새뮤얼 데이비스
새뮤얼 데이비스
출생1723년 11월 3일
출생지델라웨어 식민지 뉴캐슬 카운티
사망1761년 2월 4일
사망지뉴저지주 프린스턴
직업복음 전도사, 대학교 총장, 시인, 찬송가 작가
배우자사라 킬패트릭 (1746–1747); 제인 홀트 (1748–1761)
자녀6명 (윌리엄 데이비스 포함)
경력
임기 시작1759년
임기 종료1761년
이전제이콥 그린 (대행)
이후새뮤얼 핀리

2. 초기 생애

새뮤얼 데이비스는 델라웨어주 뉴캐슬 카운티에서 웨일스계 미국인 침례교 신자인 부모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머니의 영향으로 칼뱅주의 신학을 접했다.[1] 그는 펜실베이니아주 패그스 매너에 있는 새뮤얼 블레어 목사의 아카데미에서 교육받았다.[3] 블레어의 아들 새뮤얼은 훗날 미국 하원의 군목이 되었다.[4]

2. 1. 출생과 가정 환경

새뮤얼 데이비스는 델라웨어주 뉴캐슬 카운티에서 데이비드 데이비스와 마사 토마스 데이비스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그의 부모는 웨일스계 미국인 혈통의 침례교 신자였다. 데이비스의 어머니는 장로교 교리를 따르게 되었고, 이것이 그가 칼뱅주의 신학을 처음 접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1] 독실한 종교적 배경을 가진 부모는 예언자 사무엘의 이름을 따서 아들의 이름을 지었다.[2] 데이비스 가문은 아들을 대학에 보낼 형편이 되지 못해, 펜실베이니아주 패그스 매너에서 새뮤얼 블레어 목사가 운영하는 아카데미에서 조기 교육을 받았다.[3] 블레어의 아들 새뮤얼은 1760년 프린스턴 대학교 졸업반의 일원이었으며, 이 졸업반은 데이비스가 학장으로 재직하며 마지막으로 주관한 졸업반이었다. 젊은 블레어는 나중에 미국 하원의 두 번째 군목이 되었다.[4]

2. 2. 초기 교육

데이비스는 델라웨어주 뉴캐슬 카운티에서 데이비드 데이비스와 마사 토마스 데이비스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그의 부모는 웨일스계 미국인 혈통의 침례교 신자였다. 데이비스의 어머니는 장로교 교리를 따르게 되었고, 이것이 그가 칼뱅주의 신학을 처음 접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1] 독실한 종교적 배경을 가진 부모는 예언자 사무엘의 이름을 따서 아들의 이름을 지었다.[2] 데이비스 가문은 아들을 대학에 보낼 형편이 되지 못해, 펜실베이니아주 패그스 매너에서 새뮤얼 블레어 목사가 운영하는 아카데미에서 조기 교육을 받았다.[3] 블레어의 아들 새뮤얼은 1760년 프린스턴 대학교 졸업반의 일원이었으며, 이 졸업반은 데이비스가 학장으로 재직하며 마지막으로 주관한 졸업반이었다. 젊은 블레어는 나중에 미국 하원의 두 번째 군목이 되었다.[4]

3. 목회 활동

데이비스는 1753년 뉴저지 대학교를 위한 자금을 모금하기 위해 길버트 테넌트 목사와 함께 영국으로 건너갔다. 그는 "미래 세대에게까지 인류에게 광범위한 혜택을 가져다줄 기반을 마련하는 데 기여하는 것은 매우 고무적인 전망이다"라고 자신의 생각을 일기에 기록했다.[5] 두 사람은 영국에서 11개월 동안 60번 설교하며 교회 헌금을 통해 상당한 액수의 돈을 모금했는데, 올리버 크롬웰의 손자는 3기니를 기부하기도 했다.[5] 이들은 에 해당하는 4,000 파운드를 모금하여 프린스턴의 새 캠퍼스에 나소 홀을 건설할 수 있었다.[14]

영국에서 돌아온 후, 데이비스는 프랑스-인디언 전쟁 동안 버지니아에서 딘위디 총독에 의해 식민지 최고의 모집관으로 언급될 정도로 두각을 나타냈다. 그는 사람들에게 "자유의 귀중한 축복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할 것을 요청했다.[6]

1759년, 대학교 이사들은 데이비스에게 학교의 네 번째 총장이 되어 달라고 요청했다. 그는 처음에 새뮤얼 핀리가 더 적합하다고 생각하여 거절했지만, 결국 요청을 수락하여 조나단 에드워즈의 뒤를 이었다.[5] 데이비드 카웰은 데이비스가 총장직을 수락하도록 협상하는 데 큰 역할을 했으며, 데이비스는 카웰이 "열정, 부지런함, 민첩성"을 가지고 임무를 수행했다고 평가했다.[15]

3. 1. 버지니아 복음 전도사

데이비스는 블레어와 함께 학업을 마친 후, 1746년에 뉴캐슬 노회로부터 설교할 수 있는 자격을 받았다.[5] 그는 뉴욕 신파 시노드에 합류했으며, 1746년 10월 23일, 펜실베이니아와 델라웨어에서 설교하는 동안 사라 커크패트릭과 결혼했다.

1747년 2월 17일, 버지니아의 복음 전도사로 임명된 23세의 데이비스는 종교적 반체제 인사들에게 봉사하기 위해 남쪽으로 내려갔다. 1743년 버지니아 식민지 의회는 폴그린 독서실과 해노버 카운티, 버지니아 인근의 세 곳에 대한 설교를 허가했다.[1][6] 데이비스는 결국 5개 카운티에서 7개의 교회를 이끌었으며, 결핵으로 건강이 좋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임무를 다했다.[5] 1747년 9월 15일, 결혼 1주년을 앞두고 사랑하는 아내 사라가 유산으로 사망했다.[1][2] 사라의 죽음은 데이비스가 자신 또한 죽음에 가까워졌다고 믿게 만들었고, 그는 온 마음을 다해 설교 사역에 헌신했다.

데이비스는 결국 건강을 회복하고 설교를 계속했다. 젊은 패트릭 헨리는 어머니와 함께 데이비스의 설교를 많이 들었고, 자신의 웅변술의 원천이 데이비스였다고 인정했다. 다른 사람들은 데이비스를 생전에 설교단에서 견줄 사람이 없다고 칭찬했다.[6] 1748년 5월, 데이비스는 버지니아로 돌아왔고, 1748년 10월 4일, 윌리엄스버그 출신인 제인 홀트와 결혼했다. 그는 제인과의 사이에서 6명의 자녀를 두었으며, 그 중 한 명은 출생 시 사망했고, 윌리엄이 있었다.[1][7]

프랜시스 맥키미(당시 사망한)와 함께 버지니아에서 설교할 수 있는 자격을 받은 최초의 비 성공회 목사 중 한 명인 데이비스는 당시 종교적 자유와 시민적 자유의 대의를 진전시켰다. 데이비스의 강한 종교적 신념은 그에게 "자유로운 정신"과 버지니아의 기존 성공회가 종종 존중하지 못했던 양심의 불가침한 "자유"를 소중하게 여기도록 이끌었다. 데이비스는 버지니아와 노스캐롤라이나의 모든 장로교 목사를 포괄하는 해노버 노회를 설립하는 데 기여했다. 그는 이 노회의 초대 의장을 역임했으며, 이 지역의 종교적 반체제 인사들을 대표하는 선두 주자로 여겨졌다.[5] 데이비스는 영국 법과 영국의 자유 개념에 호소함으로써 더 큰 종교적 관용을 얻기 위해 온화하고 효과적인 방식으로 활동했으며, 1776년 버지니아 권리 선언과 1786년 종교 자유 법령에 의해 그가 떠난 후 완성된 버지니아의 궁극적인 정교분리를 위한 토대를 마련했다. 데이비스 목사는 또한 1759년 뉴저지로 떠나기 전까지 루이저 카운티, 버지니아에 있는 프로비던스 장로교회의 초대 목사로 봉사했다.[8]

3. 2. 패트릭 헨리와의 관계

패트릭 헨리는 어린 시절 새뮤얼 데이비스의 설교를 여러 번 들으러 갔고, 어머니의 요청에 따라 설교의 일부를 큰 소리로 암송하기도 했다. 그는 나중에 데이비스가 자신에게 "가장 심오한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했으며,[17] 데이비스를 자신이 들어본 가장 위대한 연설가로 여겼다.[17]

3. 3. 노예 전도

데이비스는 노예들에게 읽기를 가르치는 것을 포함하여 교육을 옹호했다. 그는 인종이나 사회적 지위에 관계없이 누구든지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읽는 것 모두 없이는 진정한 종교를 가질 수 없다고 믿었다.[1] 데이비스는 개인적으로 노예제에 반대하지는 않았지만, 노예들도 주인과 마찬가지로 하나님의 말씀에 직접 접근할 자격이 있다고 보았다.[1] 그는 노예들의 영적 평등을 강력히 믿었지만, 버지니아에서 활동하는 동안 적어도 두 명의 노예를 소유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9] 그는 자신을 자비로운 주인으로 제시함으로써 이러한 활동을 정당화했다. 이러한 태도는 당시 장로교 교리와 일치했는데, 이는 노예제가 교회의 문제가 아닌 정치적 문제라고 명시했다.[10] 1755년 설교에서 데이비스는 예배에 참석한 노예들에게 다음과 같이 말했다.

> 내가 식민지에 온 이후로 여러분의 복지에 대해 관심을 보여왔다는 것을 알고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제 노예들에게 제가 그들을 친절하게 대했는지 물어볼 수 있습니다."[11]

노예들은 그의 사역의 특별한 초점이 되었고, 여러 동시대 사람들은 데이비스가 아프리카 노예들을 유난히 많은 수로 개종시켰다고 언급했다.[12] 데이비스는 런던의 후원자들로부터 받은 교육 자료를 사용하여 노예들을 가르쳤으며, 자신의 찬송가를 작곡하기도 했다. 고전적인 영가 "주여, 저는 그리스도인이 되고 싶습니다"는 폴그린에서 유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6] 데이비스 목사는 결국 수백 명의 노예들에게 세례를 주어 기독교인이 되게 했고, 그들은 성찬상에서 다른 회중들과 함께 했다.[1] 그의 회중들은 노예들이 교회에서 설교하는 것을 허용했다. 데이비스는 버지니아에서 활동하는 동안 천 명이 넘는 흑인들에게 봉사했다고 추산했다.[12][13]

4. 프린스턴 대학교와의 인연

새뮤얼 데이비스는 1753년 뉴저지 대학교(현 프린스턴 대학교) 이사들의 설득으로 신생 학교 자금 모금을 위해 길버트 테넌트 목사와 함께 영국으로 갔다.[5] 그는 11개월 동안 60번 설교하며 교회 헌금을 통해 상당한 액수의 돈을 모금했고, 올리버 크롬웰의 손자도 이들의 노력을 지원했다.[5] 이들은 뉴저지 대학교를 위해 총 4,000 파운드를 모금하여 프린스턴의 새 캠퍼스에 나소 홀을 건설할 수 있었다.[14]

프랑스-인디언 전쟁 동안 데이비스는 버지니아에서 사람들에게 자유를 위해 역할을 다하라고 독려하며, 딘위디 총독으로부터 식민지 최고의 모집관으로 칭송받았다.[6]

1759년 뉴저지 대학교 이사회는 데이비스를 조나단 에드워즈의 뒤를 잇는 네 번째 총장으로 초빙했다. 그는 처음에 사양했으나 결국 수락했지만, 취임 6주 만에 사망했다.[5]

4. 1. 영국 자금 모금

데이비스는 1753년 뉴저지 대학교(현 프린스턴 대학교)의 이사들로부터 신생 학교를 위한 자금을 모금하기 위해 영국으로 가라는 설득을 받았다.[5] 데이비스는 때때로 고통스러운 여정을 일기에 털어놓으며 "현재뿐만 아니라 미래 세대에게까지 인류에게 광범위한 혜택을 가져다줄 기반을 마련하는 데 기여하는 것은 매우 고무적인 전망이다."라고 썼다. 데이비스 목사와 장로교 목사인 길버트 테넌트는 영국에서 11개월을 보냈으며, 데이비스는 60번 설교했다. 두 사람은 주로 교회 헌금을 통해 상당한 액수의 돈을 모금했다. 올리버 크롬웰의 손자는 그들의 노력을 지원하기 위해 세 기니를 기부했다.[5] 데이비스와 테넌트는 결국 뉴저지 대학교를 위해 총 4,000파운드를 모금했으며, 이는 프린스턴의 새로운 캠퍼스에 최초의 영구 건물인 나소 홀을 건설하기에 충분한 금액이었다.[14]

4. 2. 프랑스-인디언 전쟁 참여 독려

프랑스-인디언 전쟁 동안 데이비스는 버지니아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딘위디 총독은 데이비스를 식민지 최고의 모집관으로 선언했으며, 그는 사람들에게 "자유의 귀중한 축복을 확보"하기 위해 그들의 역할을 다하라고 간청했다.[6]

4. 3. 뉴저지 대학교 총장

뉴저지 대학교 이사회는 1759년에 영국 자금 모금 여행에서 돌아온 데이비스를 학교의 네 번째 총장으로 초빙했다. 데이비스는 처음에 이사 새뮤얼 핀리가 더 적합하다고 생각하여 제안을 거절했으나, 결국 수락하여 조나단 에드워즈의 뒤를 이었다. 그는 취임 6주 만에 사망했다.[5] 1757년부터 1758년까지 대학교 부총장을 지낸 프린스턴 이사 데이비드 카웰은 데이비스가 총장직을 수락하도록 협상했다. 데이비스는 카웰을 "열정, 부지런함, 민첩성"을 가진 인물로 묘사하며 존경했다.[15]

5. 마지막 설교와 죽음

데이비스의 총장 임기는 짧았으며, 그는 1761년 3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의 마지막 설교는 "신년 설교"라는 제목으로 1761년 새해에 프린스턴에서 행해졌다. 데이비스는 예레미야 28:16을 인용하여 설교했는데, "올해 안에 우리 중 ''몇몇''이 죽음을 맞이할 가능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매우 높다"고 섬뜩하게도 선포했다.[16] 거의 예언과 같이, 데이비스는 한 달 후인 1761년 2월 4일 폐렴으로 사망했다.[5][16] 핀리 목사가 그의 뒤를 이어 학교 총장이 되었고,[5] 데이비스는 그의 전임자와 함께 프린스턴 묘지에 묻혔다.

6. 유산

데이비스는 남다른 웅변술로 큰 영향을 주었으며, 그의 수사학과 설득 기술은 학생들이 대중 연설을 연습하도록 만들었다. 그의 수사학은 1769년 미국 휘그 협회(American Whig-Clisophic Society)와 같은 문학 사회단체들을 탄생시켰다.[5]

6. 1. 설교가 및 연설가

새뮤얼 데이비스는 웅변 기술이 남달랐으며, 그의 영향을 받은 수사학과 설득 기술은 학생들이 대중 연설을 연습하도록 만들기에 충분했다. 그의 수사학은 1769년에 만들어진 미국 휘그 협회(American Whig-Clisophic Society)와 같은 문학 사회단체들을 만들어 냈다.[5]

데이비스는 대각성운동의 주요 기여자 중 한 명으로, 이 운동은 일련의 종교 부흥 운동으로 결국 미국이 영국 국교회에서 벗어나게 만들었다.[1] 데이비스의 수사학적 재능은 널리 알려졌으며, 그에게 영향을 받은 많은 사람들 중에는 웅변가 패트릭 헨리도 있었다. 헨리는 어린 시절 데이비스의 설교를 여러 번 들으러 갔고, 어머니의 요청에 따라 설교의 일부를 큰 소리로 암송하기도 했다. 그는 나중에 데이비스가 자신에게 "가장 심오한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했고, 데이비스를 자신이 들어본 가장 위대한 연설가로 여겼다.[17]

데이비스는 설교를 매우 진지하게 받아들였고, 설교는 "엄숙하고 애정 어린 경건함"으로 전달되어야 한다고 믿었다.[2] 동시대인이자 친구였던 목사 데이비드 보스윅은 데이비스의 설교가 "양심을 꿰뚫고 마음을 감동시키도록 적절하게 만들어졌다"고 말했다.[18] 윌리엄 뷰엘 스프라그는 "그는 타오르는 열정으로 말했고... 미국 설교단을 그토록 감동적이고 효과적으로 빛낸 적은 없었다"고 언급했다.[2] 데이비스의 설교는 미국과 영국에서 여러 판으로 출판되었고, 그가 죽은 지 50년 동안 영어로 가장 널리 읽히는 설교 중 하나였다.[5] 설교집의 첫 다섯 권은 1767년부터 1771년까지 런던에서 인쇄되었고, 가장 잘 알려진 미국판은 뉴욕에서 1851년에 출판된 3권짜리 세트이다.[14]

6. 2. 찬송가 작가 및 시인

음악학자들은 데이비스를 미국에서 태어난 최초의 찬송가 작가로 꼽는다.[13] 데이비스는 아이작 와츠의 가락을 따랐으며, 그의 시구는 "견고하지만 다소 건조하고 무겁다"고 평가받았다.[19] 그의 찬송가 중 몇몇은 20세기까지 미국 찬송가집에서 인기를 유지했다. 그의 가장 인기 있는 찬송가 두 곡은 "영원한 영, 빛의 근원"과 "경이로운 위대한 신이시여, 당신의 모든 길"이다.[19] 1752년, 데이비스는 자신의 시 모음집을 윌리엄스버그에서 ''주로 신성한 주제에 관한 다양한 시''라는 제목으로 출판했다.[13] 데이비스의 시는 에드워드 테일러의 명상적인 스타일로 쓰여졌지만, "숭고한 복음주의적 수사법을 연 구절 형태로" 시도하면서 "갑갑한" 스타일의 글을 만들어냈다.[13]

6. 3. 교육자 및 전도자

데이비스는 웅변 기술이 뛰어나, 그의 영향을 받은 수사학과 설득 기술은 학생들이 대중 연설을 연습하도록 만들기에 충분했다. 그의 수사학은 1769년 미국 휘그 협회(American Whig-Clisophic Society)와 같은 문학 사회단체들을 만들어 냈다.[1]

데이비스는 노예들에게 읽기를 가르치는 것을 포함하여 교육을 옹호했다. 성령의 발현에만 근거하여 개종을 주장한 침례교와 감리교 전도사들과 달리, 데이비스는 인종이나 사회적 지위에 관계없이 누구든지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읽는 ''둘 다'' 없이는 진정한 종교를 가질 수 없다고 믿었다.[1] 그는 노예들의 영적 평등을 강력히 믿었지만, 버지니아에서 활동하는 동안 적어도 두 명의 노예를 소유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9]

노예들은 그의 사역의 특별한 초점이 되었고, 여러 동시대 사람들은 데이비스가 아프리카 노예들을 유난히 많은 수로 개종시켰다고 언급했다.[12] 데이비스는 런던의 후원자들로부터 받은 교육 자료를 사용하여 노예들을 가르쳤으며, 자신의 찬송가를 작곡하기도 했다. 고전적인 영가 "주여, 저는 그리스도인이 되고 싶습니다"는 폴그린에서 유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6] 데이비스 목사는 결국 수백 명의 노예들에게 세례를 주어 기독교인이 되게 했고, 그들은 성찬상에서 다른 회중들과 함께 했다.[1] 그의 회중들은 노예들이 교회에서 설교하는 것을 허용했다. 데이비스는 버지니아에서 활동하는 동안 천 명이 넘는 흑인들에게 봉사했다고 추산했다.[12][13]

데이비스가 버지니아에서 사역을 시작했을 때, 1746년에 "모든 종교의 사람들"을 교육하기 위해 설립된 뉴저지 주 엘리자베스의 뉴저지 대학교에서 여섯 명의 학생들이 공부를 시작했다. 1753년, 버지니아에서의 활동으로 유명해진 데이비스는 학교의 이사들로부터 신생 학교를 위한 자금을 모금하기 위해 영국으로 가라는 설득을 받았다. 데이비스 목사와 장로교 목사인 길버트 테넌트는 영국에서 11개월을 보냈으며, 데이비스는 60번 설교했다. 두 사람은 주로 교회 헌금을 통해 상당한 액수의 돈을 모금했다. 올리버 크롬웰의 손자는 그들의 노력을 지원하기 위해 세 기니를 기부했다.[5] 데이비스와 테넌트는 결국 뉴저지 대학교를 위해 총 4,000파운드를 모금했고, 이는 프린스턴의 새로운 캠퍼스에 최초의 영구 건물인 나소 홀을 건설하기에 충분한 금액이었다.[14]

영국에서 돌아온 후, 데이비스는 프랑스-인디언 전쟁 동안 버지니아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딘위디 총독은 데이비스를 식민지 최고의 모집관으로 선언했으며, 그는 사람들에게 "자유의 귀중한 축복을 확보"하기 위해 그들의 역할을 다하라고 간청했다.[6]

1759년, 데이비스가 영국 자금 모금 여행에서 돌아온 지 4년 후, 대학교의 이사들은 그를 다시 불렀고, 이번에는 학교의 네 번째 총장이 되어 달라고 요청했다. 데이비스는 처음에 이사 새뮤얼 핀리가 더 적합하다고 생각하여 그들의 제안을 거절했다. 결국 데이비스는 그 직책을 수락했고, 취임 후 불과 6주 만에 사망한 조나단 에드워즈의 뒤를 이었다.[5]

프린스턴 대학교 총장이 되기 전에도 데이비스는 대학에 매우 유익한 인물임이 입증되었다. 그는 나소 홀을 짓기 위한 자금 모금 외에도, 학교 총장을 위한 집을 짓고 젊은이들을 교육하기 위한 자선 기금을 마련하기 위해 영국으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았다. 학교 총장으로 재직하는 동안 데이비스는 1,281권의 책을 포함하는 대학 도서관의 첫 번째 목록을 작성했다.[20] 데이비스가 버지니아에서 노예들을 전도하려는 노력은 그 식민지에서 "노예들에 대한 최초의 지속적인 개종"으로 불리게 되었고, 오늘날까지 학문적 관심을 받고 있다.[12]

7. 기록 보관소

펜실베이니아 필라델피아에 있는 장로교 역사 협회는 데이비스의 개인 서류들을 소장하고 있는데, 여기에는 데이비드 카웰 목사와의 서신, 설교 원고, 그리고 데이비스가 출판한 작품 중 하나의 원고가 포함되어 있다.[21]

참조

[1] encyclopedia Samuel Davies (1723–1761) http://www.encyclope[...] 2012-01-18
[2] 간행물 Samuel Davies: Apostle of Virginia http://www.puritanse[...] 2012-05-14
[3] 웹사이트 Letter from Mr. Samuel Blair, Minister at New Londonderry, to Mr. Prince, Minister at Boston, August 6th, 1744. https://www.revival-[...] 2014-06-08
[4] 웹사이트 Samuel Blair Sermons, 1766-1769: Finding Aid http://findingaids.p[...]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2012-05-14
[5] 서적 A Princeton Companion http://etcweb.princ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2-05-14
[6] 웹사이트 The Polegreen Story. http://www.historicp[...] 2017-04-07
[7] 웹사이트 Col. William Davies https://www.victoria[...] 2024-09-08
[8] 웹사이트 National Register of Historic Places Inventory/Nomination: Providence Presbyterian Church http://www.dhr.virgi[...] Virginia Department of Historic Resources 1972-10
[9] 웹사이트 Princeton and Slavery: Presbyterians and Slavery. https://slavery.prin[...] 2017-11-17
[10] 웹사이트 This Day in Presbyterian History: New School Synod Minutes! http://www.thisday.p[...] 2015-11-14
[11] 웹사이트 Princeton and Slavery: Samuel Davies. https://slavery.prin[...] 2017-11-17
[12] 간행물 Samuel Davies and the Transatlantic Campaign for Slave Literacy in Virginia Virginia Historical Society
[13] 서적 Dictionary of Literary Biography http://www.bookrags.[...] Thomson Corporation 2012-05-14
[14] 웹사이트 Samuel Davies (1724-1761). http://www.tracts.uk[...] 2012-05-14
[15] 서적 Cowell, David. http://etcweb.princ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7-12-07
[16] 웹사이트 'This Very Year You Are Going to Die!' http://www.gracegems[...] 2017-04-07
[17] 서적 Patrick Henry: Life, Correspondence and Speeches https://archive.org/[...] Charles Scribner's Sons
[18] 서적 Sermons on Important Subjects ... To which are Prefixed, Memoirs and Character of the Author: And Two Sermons on Occasion of His Death https://books.google[...] Lincoln & Edmands
[19] 웹사이트 Davies, Samuel, 1723-1761 > Texts http://www.hymnary.o[...] 2012-05-14
[20] 웹사이트 The Presidents of Princeton University. https://www.princeto[...] 2016-02-02
[21] 웹사이트 Guide to the Samuel Davies Papers. https://www.history.[...] 2017-12-07
[22] 서적 Revival and revivalism : the making and marring of American evangelicalism 1750-1858 https://www.worldcat[...] Banner of Truth Trust 1994
[23] 서적 Charles Hodge : guardian of American orthodoxy https://www.worldcat[...]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