샌드허스트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샌드허스트 대회는 1967년 베트남 전쟁 중 미국 육군사관학교에 파견된 영국군 장교의 제안으로 시작된 군사 경연 대회이다. 미 육사 생도들의 체력과 전투 기술을 평가하는 내부 대회로 시작하여, 1990년대부터 ROTC 팀과 국제 팀의 참가가 확대되었다. 각 팀은 9명으로 구성되며, 다양한 군사 과제를 수행하여 순위를 결정한다.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는 2013년부터 대회에 참가하여 국제적인 군사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군사 기술 동향을 파악하는 등의 성과를 거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육군사관학교 - 토머스 제퍼슨
토머스 제퍼슨은 미국 독립 선언서의 주요 저자이자 제3대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루이지애나 매입, 노예 무역 금지 법안 서명 등 주요 정책을 추진하고 버지니아 대학교를 설립했다. - 1967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슈퍼볼
슈퍼볼은 NFL의 AFC 챔피언과 NFC 챔피언이 맞붙는 챔피언십 게임으로, 미국에서 가장 시청률이 높은 연례 스포츠 이벤트이며, 피츠버그 스틸러스와 뉴잉글랜드 패트리어츠가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우승팀에게는 빈스 롬바르디 트로피가 수여된다. - 1967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아시아 사격 선수권 대회
아시아 사격 선수권 대회는 아시아 사격 연맹이 주최하며, 1967년 일본 도쿄에서 처음 개최되었고, 소총, 권총, 산탄총 종목을 포함한 종합 선수권 대회 외에도 다양한 세부 종목별 대회가 열린다.
샌드허스트 대회 | |
---|---|
대회 개요 | |
종류 | 군사 기술 경쟁 |
개최 시기 | 4월 |
개최 장소 | 웨스트 포인트, 뉴욕 |
첫 대회 | 1967년 |
마지막 대회 | 2023년 |
![]() |
2. 역사
1967년, 베트남 전쟁 중 미 육사에 파견된 영국군 장교의 제안으로 샌드허스트 대회가 시작되었다.[3] 초기에는 미 육사 생도들의 체력과 소부대 전투기술을 평가하는 내부 경연 대회였다.[3] 대회 명칭은 영국 육군사관학교 샌드허스트(RMAS)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는데, 이는 초기 대회 우승 상품으로 영국 육군 장교용 군도(Officer's Sword)가 제공되었기 때문이다.[3] 이 검은 군사적 우수성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하였다.[3]
1975년, 당시 사령관이었던 필립 R. 페이어(Philip R. Feir) 준장과 영국 교환 장교였던 로버트 호지스(Robert Hodges) 소령은 평가 기준을 야전에서의 군사적 우수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대폭 변경하였다.[3] 이들은 생도들의 "사격, 이동, 통신" 능력을 평가하고 팀워크를 강조하는 새로운 형식을 도입했다.[3]
1980년대, 대회 장소를 캠프 버크너에서 웨스트포인트로 변경하고, 대회 형식을 개선하였다.[3] 1986년, 대회는 하루 안에 완료하도록 변경되었고,[3] 1988년에는 여생도의 참여를 의무화하였다.[3] 1992년부터는 미 육사 외에 ROTC 팀들도 참가하기 시작했다.[3] 1993년, 영국 육군사관학교(RMAS) 팀이 처음으로 참가하였다.[3]
1997년부터 캐나다 왕립군사대학(RMC) 팀이 샌드허스트 대회에 참가하기 시작했다.[3] 2002년에는 독일, 해군, 공군, 해안경비대 등 외부 팀 참가가 증가하였다.[3] 2005년, 캐나다 왕립군사대학(RMC) 팀이 처음으로 우승하였으며,[3] 2006년과 2007년에도 우승을 차지했다.[3]
2. 1. 대회 기원 및 초기 발전 (1967년 ~ 1993년)
1967년, 베트남 전쟁 중 미 육사에 파견된 영국군 장교의 제안으로 샌드허스트 대회가 시작되었다.[3] 초기에는 미 육사 생도들의 체력과 소부대 전투기술을 평가하는 내부 경연 대회였다. 대회 명칭은 영국 육군사관학교 샌드허스트(RMAS)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는데, 이는 초기 대회 우승 상품으로 영국 육군 장교용 군도(Officer's Sword)가 제공되었기 때문이다.[3] 이 검은 군사적 우수성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하였다.1975년, 당시 사령관이었던 필립 R. 페이어(Philip R. Feir) 준장과 영국 교환 장교였던 로버트 호지스(Robert Hodges) 소령은 평가 기준을 야전에서의 군사적 우수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대폭 변경하였다.[3] 이들은 생도들의 "사격, 이동, 통신" 능력을 평가하고 팀워크를 강조하는 새로운 형식을 도입했다.[3]
1980년대, 대회 장소를 캠프 버크너에서 웨스트포인트로 변경하고, 대회 형식을 개선하였다.[3] 1986년, 대회는 하루 안에 완료하도록 변경되었고,[3] 1988년에는 여생도의 참여를 의무화하였다.[3] 1992년부터는 미 육사 외에 ROTC 팀들도 참가하기 시작했다.[3] 1993년, 영국 육군사관학교(RMAS) 팀이 처음으로 참가하였다.[3]
2. 2. 국제 대회로의 발전 (1994년 ~ 현재)
1994년, 영국 육군사관학교 팀이 처음으로 샌드허스트 대회에서 우승한 이후, 영국과 캐나다 팀이 번갈아 가며 우승을 차지하였다.[3] 1997년부터 캐나다 왕립군사대학(RMC) 팀이 샌드허스트 대회에 참가하기 시작했다.[3] 2002년에는 독일, 해군, 공군, 해안경비대 등 외부 팀 참가가 증가하였다.[3] 2005년, 캐나다 왕립군사대학(RMC) 팀이 처음으로 우승하였으며,[3] 2006년과 2007년에도 우승을 차지했다.[3]2011년에는 미 육사 B-3 중대가 처음으로 우승하였다. 2013년에는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팀이 처음으로 샌드허스트 대회에 참가하였다. 2020년에는 코로나19로 인해 대회가 취소되었고, 2021년 대회는 미국 내 팀들로만 이루어져 개최되었으며 미 육사 BLACK & GOLD 팀이 각각 1, 2위를 차지하였다.
3. 오늘날의 대회
각 팀은 9명으로 구성되며, 예비 인원 2명을 추가할 수 있다. 이때 팀에는 최소 1명의 여생도가 포함되어야 한다.[4] NMAA에는 여생도가 없기 때문에 웨스트포인트의 여생도는 아프간 팀에 자원하여 함께 팀을 구성하기도 한다. 샌드허스트 대회는 약 4시간 동안 진행되는 다양한 군사 과제들을 수행하며, 과제 수행 점수와 코스 완주 시간을 종합하여 순위를 결정한다. 주요 과제로는 레펠링, 외줄다리 설치 및 횡단, 장애물 코스 극복, 전투 수영, 소총 사격술, 단정도하, 12인치 벽 등반, 무기 취급 기술 등이 있다.[4] 2005년 영국의 해리 왕자는 샌드허스트 생도로서 대회에 참여하였다. 2014년에는 RMAS의 Sandhurst Blue팀이 대회에서 우승하였다.
4. 역대 우승 팀
1994년 왕립 육군사관학교 샌드허스트가 이 대회를 개최하기 시작한 이후 2011년까지 샌드허스트 팀과 캐나다 육군사관학교 팀이 주로 우승을 차지하였다.[5] 캐나다 육군사관학교팀은 2016년에 다섯 번째 우승을 기록했다. 2021년에는 USMA BLACK & GOLD팀이 1, 2위를 모두 차지하는 압도적인 성적을 거두었다.
년도 | 팀 이름 |
---|---|
2023 | USMA BLACK |
2022 | 미국 공군사관학교/United States Air Force Academy영어 |
2021 | USMA BLACK |
2020 | 대회 없음 (코로나19) |
2019 | USMA BLACK |
2018 | 미국 공군사관학교/United States Air Force Academy영어 |
2017 | USMA BLACK |
2016 | 캐나다 왕립군사대학/Royal Military College of Canada영어 |
2015 | Sandhurst Red |
2014 | Sandhurst Blue |
2013 | Sandhurst Blue |
2012 | 호주 왕립군사대학 - 던트룬/Royal Military College of Australia - Duntroon영어 |
2011 | USMA B-3 |
2010 | Sandhurst A |
2009 | 캐나다 왕립군사대학/Royal Military College of Canada영어 |
2008 | Sandhurst Red |
2007 | 캐나다 왕립군사대학/Royal Military College of Canada영어 |
2006 | 캐나다 왕립군사대학/Royal Military College of Canada영어 |
2005 | 캐나다 왕립군사대학/Royal Military College of Canada영어 |
2004 | Sandhurst Red |
2003 | Sandhurst Blue |
2002 | Sandhurst Red |
2001 | Sandhurst Blue |
2000 | Sandhurst 2 |
1999 | Sandhurst 1 |
1998 | Sandhurst 2 |
1997 | Sandhurst 1 |
1996 | Sandhurst 1 |
1995 | Sandhurst 1 |
1994 | Sandhurst 1 |
right]]
5. 연도별 과제 분석
코스를 따라 이동하며 수행하는 과제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며 단순 과제 위주였지만 2018년도부터 복합 과제가 많아지고 사전에 공지가 되지 않은 과제들이 부여되면서 그 난이도가 올라가고 있다.
과제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횟수 |
---|---|---|---|---|---|---|
기동 | O | O | O | O | O | 5회 |
기능체력 | O | O | O | O | O | 5회 |
권총사격 | O | O | O | O | O | 5회 |
소총사격 | O | O | O | O | O | 5회 |
TCCC | O | O | O | O | O | 5회 |
장애물 극복 | O | O | O | O | O | 5회 |
단정도하 | O | O | O | O | O | 5회 |
하중운반 | O | O | O | O | O | 5회 |
보고법 | O | O | O | O | O | 5회 |
화력요청 | O | O | O | O | 4회 | |
메모리테스트 | O | O | O | 3회 | ||
화생방 대처 | O | O | O | 3회 | ||
야간정찰 | O | O | O | 3회 | ||
주간정찰 | O | O | O | 3회 | ||
전투수영 | O | O | 2회 | |||
유탄사격 | O | O | 2회 | |||
수류탄 | O | O | 2회 | |||
분대공격 | O | 1회 | ||||
미디어 | O | 1회 | ||||
분해결합 | O | 1회 |
기동, 기능체력, 권총사격, 소총사격, TCCC(전술적 응급처치), 장애물 극복, 단정도하, 하중운반, 보고법은 매년 실시되는 과제이다.
6. 대한민국 샌드허스트 팀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는 타국 생도들과의 훈련을 통한 군사 외교 활동을 실시하고 생도들의 군인적 기질 함양과 동기 부여를 위해 2013년부터 팀을 구성하여 샌드허스트 대회에 참가하고 있다. 2015년과 2016년에는 10등대 순위권을 달성하며 좋은 성적을 거두었지만, 2018년도부터 여러 가지 복합 과제와 사전에 공지되지 않은 새로운 과제들로 인해 성적이 다소 하락했으나 여전히 준수한 순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구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
등위/참가팀 | 참관 | 12 / 59 | 13 / 60 | 22 / 61 | 34 / 64 | 26 / 48 | X | X |
참가국 | - | 12개국 | 12개국 | 12개국 | 14개국 | 13개국 | - | - |
2020년과 2021년에는 코로나19 상황으로 인해 참가하지 않았다.
주요 참가국으로는 미국, 영국, 캐나다, 독일, 오스트레일리아, 덴마크, 일본, 칠레, 멕시코 등이 있다.
6. 1. 대한민국 팀의 대회 참가 의의 및 성과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는 타국 생도들과의 훈련을 통한 군사 외교 활동을 실시하고 생도들의 군인적 기질 함양과 동기 부여를 위해 2013년부터 팀을 구성하여 샌드허스트 대회에 참가하고 있다. 2015년과 2016년에는 10등대 순위권을 달성하며 좋은 성적을 거두었지만, 2018년도부터 여러 가지 복합 과제와 사전에 공지되지 않은 새로운 과제들로 인해 성적이 다소 하락했으나 여전히 준수한 순위권을 유지하고 있다.대회 참가를 통해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는 국제적인 군사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개인 및 팀 단위 전투 기술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국제적인 군사 기술 동향을 파악하는 등의 성과를 거두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군의 우수성을 세계에 알리고, 국가 위상을 제고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구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
등위/참가팀 | 참관 | 12 / 59 | 13 / 60 | 22 / 61 | 34 / 64 | 26 / 48 | X | X |
참가국 | - | 12개국 | 12개국 | 12개국 | 14개국 | 13개국 | - | - |
2020년과 2021년에는 코로나19 상황으로 인해 참가하지 않았다.
주요 참가국으로는 미국, 영국, 캐나다, 독일, 오스트레일리아, 덴마크, 일본, 칠레, 멕시코 등이 있다.
6. 2. 연도별 대한민국 팀의 성적 및 비판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는 2013년 샌드허스트 대회에 처음 참가했지만, 58개 팀 중 52위라는 저조한 성적을 기록했다. 이는 실전 경험 부족과 대회 정보 부족으로 인한 준비 미비가 원인이었다. 육군사관학교는 문제점 분석을 통해 미군 교리와 장비에 대한 적응 부족, 군사영어 의사소통 어려움 등을 파악하고, 자체적인 화랑전투기술경연대회(현 화랑커맨디프대회) 개최와 미군과의 교육훈련 협력이라는 해결책을 마련했다.2014년에는 대회에 참가하지 않고 참관하며 정보 습득 및 상위권 팀들의 전략 분석에 집중했다. 2015년 대회에서는 이러한 노력에 힘입어 59개 팀 중 12위라는 괄목할 만한 성적을 거두었다. 이는 해외 참가국 중 최상위권 성적이며, 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가장 높은 순위였다. 특히 일본 방위대 (47위)를 크게 앞섰다. 육군사관학교는 이 성과를 바탕으로 주한미2사단과 교육훈련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2016년 대회에서는 주한미군 장교(웨스트포인트 출신, 샌드허스트 대회 참가 경험자)를 멘토로 선정하고, 캠프 케이시에서 미군 전술 및 장비 특별훈련을 진행하여 종합 13위, 실버 메달 클래스 1위를 달성했다. 하지만 이러한 성적 향상을 두고 미군 퇴역 장교 특별 교육, 주한미군 특별 과외 등 특혜 의혹과 비판이 제기되었다. 육군사관학교 측은 미 육군 퇴역 장교 고용은 사실이 아니며, 주한미군과의 훈련은 다양한 환경 적응을 위한 것이었고, 대회 과제는 당일 공지되므로 사전 훈련은 불가능하다고 반박했다.
2017년 대회에서는 61개 팀 중 22위를 기록, 국가 순위 9위를 차지했다. 2016년 논란을 의식하여 미2사단 지원을 최소화하고, 팀원 선발 및 훈련 방식을 변경했다. 한편, 독일(17위)과 일본(27위)은 이전 대회(40~50위권)에 비해 크게 성적이 향상되었다.
2018년에는 복합 과제 편성, 전지훈련 축소 등의 이유로 64개 팀 중 34위로 저조한 성적을 기록했다. 2019년에는 48개 팀 중 26위(국가 순위 10위)를 기록했는데, 1일차에는 상위권이었으나 2일차 페이스 유지 실패와 우천으로 인한 체력 저하, 전투수영 부문 부진으로 순위가 하락했다. 한편, 일본 방위대는 2019년 대회에서 종합 7위, 국가 순위 3위를 기록하며 크게 성장했다.
2020년 대회는 코로나19로 인해 취소되었고, 2021년 대회는 미국 내 팀들만 참가하여 진행되었다.
7. 주요 참가국
참조
[1]
웹사이트
Sandhurst 2010
http://www.usma.edu/[...]
Department of Military Instruction. USMA website
2010-06-28
[2]
웹사이트
43rd Sandhurst is Friday and Saturday
http://www.pointervi[...]
Pointer View
2009-04-20
[3]
웹사이트
Sandhurst Manual: History
http://www.usma.edu/[...]
Department of Military Instruction
2009-04-20
[4]
웹사이트
https://www.westpoin[...]
2024-08
[5]
웹사이트
Sandhurst Historical Results
http://www.usma.edu/[...]
Department of Military Instruction
2009-04-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