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트마리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생트마리섬은 마다가스카르 동부에 위치한 섬으로, 하나의 도시를 이루고 있으며 주요 관광지이다. 혹등고래의 서식지이자 다이빙 명소로 유명하며, 17세기부터 18세기까지 해적들의 주요 거점이었다. 프랑스 식민지 시대를 거쳐 1960년 마다가시 공화국에 합류했으며, 현재는 관광 산업이 발달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다가스카르의 섬 - 마다가스카르섬
마다가스카르섬은 인도양 서부에 위치하며 곤드와나 대륙에서 분리되어 형성된 생태학적 보고로, 독특한 지형과 기후, 여우원숭이를 비롯한 다양한 고유 동식물이 서식한다. - 마다가스카르의 섬 - 노지베섬
마다가스카르 섬 근처에 있는 노지베섬은 큰 섬이라는 뜻으로, 과거에는 향기로운 섬으로 불렸으며 사칼라바족의 근거지이자 프랑스 식민 통치를 거쳐 마다가스카르 독립의 역사를 함께한 곳으로, 현재는 관광업과 일랑일랑 농업이 주요 산업이고 로코베 자연 보호 구역이 있다. - 해적소굴 - 모나섬
모나섬은 푸에르토리코 서쪽에 위치한 생태 보호 구역으로, 타이노족 거주지이자 스페인 지배를 받았으며 해적 피난처와 구아노 채굴지로 이용되다 현재는 관광지로 활용된다. - 해적소굴 - 포트로열
포트로열은 한때 카리브해의 중요한 항구 도시였으나 1692년 대지진으로 파괴되어 쇠퇴했고, 현재는 역사적 가치를 재조명받는 작은 마을이다. - 마다가스카르의 도시 - 마나카라
마나카라는 마다가스카르 남동부 해안의 마나가히 강 어귀에 위치한 도시로, 울창한 열대 우림으로 둘러싸여 있고 팡갈라네스 운하와 인접하여 해안 교통의 요충지이며, 피아나란초아-코트 에스트 철도의 종착역이 위치해 있다. - 마다가스카르의 도시 - 안탈라하
마다가스카르 북동부의 안탈라하는 풍부한 강수량을 가진 열대 우림 기후 도시로, 국도 5a선과 해상 항구를 통해 연결되며, 교육 시설, 상설 법원, 병원 등의 기반 시설과 JS 안탈라하 축구 클럽이 존재한다.
생트마리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다른 이름 | Ambodifotatra |
프랑스어 이름 | Île Sainte-Marie |
유형 | 코뮌 및 도시 |
행정 구역 | |
국가 | 마다가스카르 |
레지옹 | 아날란지로포 |
현 | 노지보라하 현 |
정치 | |
시장 | Ismak Ado Crophe Beassou |
지리 | |
인구 | |
총 인구 | 약 30,000명 |
기타 정보 | |
시간대 | EAT |
UTC 오프셋 | +3 |
2. 지리
생트마리 섬은 하나의 섬으로써 하나의 도시를 이루고 있다. 서해안에 위치한 노지베섬에 이어 휴양지로 많은 관광객이 찾아온다. 생트마리 섬과 마다가스카르 본섬 사이에 위치한 해협은 남극해에서 오는 혹등고래가 많이 서식하고 있는데, 고래가 찾아오는 7월부터 9월의 겨울철에는 섬이 고래들의 거점이 된다. 그리고 생트마리 섬은 산호초가 잘 발달해 있어서 다이빙 장소로 이용된다.
이 섬은 길이가 60km이고 너비는 10km 미만이다. 생트마리섬은 섬 하나로 하나의 도시를 이루고 있다. 중심지는 앙부디푸타트라이다. 토아마시나주에 속한다.
생트마리섬은 서해안의 노시 베에 이은 마다가스카르의 주요 리조트 지역으로, 유럽에서 많은 바캉스 관광객이 방문한다. 생트마리섬과 마다가스카르 본섬 사이의 해협에는 남극해에서 오는 혹등고래가 많이 서식하고 있으며, 고래가 찾아오는 7월부터 9월의 동절기에는 섬이 고래 관찰의 거점이 된다. 또한, 생트마리섬의 석호는 산호초가 잘 발달하여 인도양 최고의 다이빙 명소로 유명하다. 리조트 호텔은 섬의 남단에 집중되어 있지만, 중앙부에도 몇몇 호텔이 존재한다.
생트마리섬은 본섬과의 거리와 산호초라는 특수성 때문에 동물상도 독특하며, 특히 여우원숭이와 난가 유명하다. 과거에는 마다가스카르 뻐꾸기라는 고유종도 서식했지만, 1834년에 멸종되었다.
== 기후 ==
노시 보라하(1991–2020)의 기후는 다음과 같다. 연중 더운 날씨를 보이며, 연간 평균 최고 기온은 28.2°C, 연간 평균 기온은 25.4°C, 연간 평균 최저 기온은 22.5°C이다. 월별 평균 최고 기온은 1월과 2월에 30.3°C, 30.2°C로 가장 높고, 7월에 25.4°C로 가장 낮다. 월별 평균 최저 기온은 7월과 8월에 20.1°C로 가장 낮고, 1월과 2월에 24.6°C로 가장 높다. 연간 강수량은 3229.1mm이며, 3월에 469.8mm로 가장 많고, 9월과 10월에 각각 80.6mm, 78.5mm로 가장 적다. 강수일은 연간 198.6일이며, 7월에 21.6일로 가장 많고, 11월에 9.6일로 가장 적다.[2]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C) | 30.3 | 30.2 | 29.8 | 29.0 | 27.9 | 26.3 | 25.4 | 25.6 | 26.6 | 27.8 | 29.1 | 30.2 | 28.2 |
평균 기온 (°C) | 27.5 | 27.5 | 27.1 | 26.4 | 25.2 | 23.8 | 22.8 | 22.9 | 23.6 | 24.8 | 26.0 | 27.1 | 25.4 |
평균 최저 기온 (°C) | 24.6 | 24.6 | 24.4 | 23.7 | 22.5 | 21.2 | 20.1 | 20.1 | 20.5 | 21.7 | 22.8 | 24.0 | 22.5 |
강수량 (mm) | 389.9 | 460.7 | 469.8 | 375.5 | 347.9 | 273.3 | 292.5 | 131.5 | 80.6 | 78.5 | 99.9 | 229.0 | 3229.1 |
강수일 (≥ 1.0 mm) | 17.5 | 17.7 | 20.8 | 20.0 | 18.8 | 20.8 | 21.6 | 15.7 | 12.0 | 10.4 | 9.6 | 13.7 | 198.6 |
== 자연환경 ==
생트마리 섬은 하나의 섬으로써 하나의 도시를 이루고 있다. 서해안에 위치한 노지베섬에 이어 휴양지로 많은 관광객이 찾아온다. 생트마리 섬과 마다가스카르 본섬 사이에 위치한 해협은 남극해에서 오는 혹등고래가 많이 서식하고 있는데, 고래가 찾아오는 7월부터 9월의 겨울철에는 섬이 고래들의 거점이 된다. 그리고 생트마리 섬은 산호초가 잘 발달해 있어서 다이빙 장소로 이용된다.
섬의 특성과 산호토는 동물과 식물 구조 모두에서 다양한 적응을 장려했다. 따라서 생트마리섬은 풍부한 동식물을 가지고 있다. 여러 종의 여우원숭이뿐만 아니라 수많은 난초 종이 있으며, 그중에는 "마다가스카르의 여왕"(''Eulophiella roempleriana'')이 있다. 이 섬은 19세기 후반에 멸종된 들고양이의 포식으로 인해 멸종된 것으로 보이는 델랄랑 쿠아, 즉 뻐꾸기의 유일한 개체군이 서식했다.
2. 1. 기후
노시 보라하(1991–2020)의 기후는 다음과 같다. 연중 더운 날씨를 보이며, 연간 평균 최고 기온은 28.2°C, 연간 평균 기온은 25.4°C, 연간 평균 최저 기온은 22.5°C이다. 월별 평균 최고 기온은 1월과 2월에 30.3°C, 30.2°C로 가장 높고, 7월에 25.4°C로 가장 낮다. 월별 평균 최저 기온은 7월과 8월에 20.1°C로 가장 낮고, 1월과 2월에 24.6°C로 가장 높다. 연간 강수량은 3229.1mm이며, 3월에 469.8mm로 가장 많고, 9월과 10월에 각각 80.6mm, 78.5mm로 가장 적다. 강수일은 연간 198.6일이며, 7월에 21.6일로 가장 많고, 11월에 9.6일로 가장 적다.[2]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C) | 30.3 | 30.2 | 29.8 | 29.0 | 27.9 | 26.3 | 25.4 | 25.6 | 26.6 | 27.8 | 29.1 | 30.2 | 28.2 |
평균 기온 (°C) | 27.5 | 27.5 | 27.1 | 26.4 | 25.2 | 23.8 | 22.8 | 22.9 | 23.6 | 24.8 | 26.0 | 27.1 | 25.4 |
평균 최저 기온 (°C) | 24.6 | 24.6 | 24.4 | 23.7 | 22.5 | 21.2 | 20.1 | 20.1 | 20.5 | 21.7 | 22.8 | 24.0 | 22.5 |
강수량 (mm) | 389.9 | 460.7 | 469.8 | 375.5 | 347.9 | 273.3 | 292.5 | 131.5 | 80.6 | 78.5 | 99.9 | 229.0 | 3229.1 |
강수일 (≥ 1.0 mm) | 17.5 | 17.7 | 20.8 | 20.0 | 18.8 | 20.8 | 21.6 | 15.7 | 12.0 | 10.4 | 9.6 | 13.7 | 198.6 |
2. 2. 자연환경
생트마리 섬은 하나의 섬으로써 하나의 도시를 이루고 있다. 서해안에 위치한 노지베섬에 이어 휴양지로 많은 관광객이 찾아온다. 생트마리 섬과 마다가스카르 본섬 사이에 위치한 해협은 남극해에서 오는 혹등고래가 많이 서식하고 있는데, 고래가 찾아오는 7월부터 9월의 겨울철에는 섬이 고래들의 거점이 된다. 그리고 생트마리 섬은 산호초가 잘 발달해 있어서 다이빙 장소로 이용된다.섬의 특성과 산호토는 동물과 식물 구조 모두에서 다양한 적응을 장려했다. 따라서 생트마리섬은 풍부한 동식물을 가지고 있다. 여러 종의 여우원숭이뿐만 아니라 수많은 난초 종이 있으며, 그중에는 "마다가스카르의 여왕"(''Eulophiella roempleriana'')이 있다. 이 섬은 19세기 후반에 멸종된 들고양이의 포식으로 인해 멸종된 것으로 보이는 델랄랑 쿠아, 즉 뻐꾸기의 유일한 개체군이 서식했다.
3. 역사
생트마리섬은 17세기에는 해적의 거점이 되었다. 조용한 만과 풍부한 물과 과일이 있었고, 게다가 인도양 항로에서 그다지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해 거점으로 삼기에 최적이었기 때문이다. 캡틴 키드도 이 섬을 거점으로 삼았다[14] . 대해적 헨리 에이버리는 이 섬을 자주 방문했다고 하며, 토머스 튜는 아미티호의 기울어진 배를 수리했다[19][16] . 키드 선장과 로버트 컬리퍼드/Robert Culliford영어는 이 섬에서 운명적인 재회를 했다.
또한, 존 테일러와 올리비에 르바쇠르, 크리스토퍼 콘덴트 등은 섬의 모래사장에서 재보를 분배했다[15] .
아담 볼드리지는 섬에 교역소를 열었을 뿐만 아니라, 약탈품을 보관하는 창고를 건설하고 석조 요새와 성으로 그것들을 지켰다[16] . 또한, 1691년에는 볼드리지의 주도로 만의 방위력을 강화하려는 시도가 시작되었다[17] .
1709년에 아드리안 판 브루크 선장에 의해 쓰여진 ''The Life and Adventures of Captain John Avery''에 따르면, 에이버리 선장은 습격한 배에 타고 있던 무굴 제국 황제의 딸과 생트마리섬으로 건너가 해적들을 규합하여 도시와 요새를 가진 강력한 왕국을 이 섬에 세웠다고 한다[18] . 터무니없는 내용이지만, 당시 사람들은 이 이야기를 믿었고, 에이버리는 "해적왕 또는 황제"로 여겨졌다[18] .
1720년경 섬의 물가에는 해적에게 습격당해 난파된 배가 확인되었고, 모래사장에는 화물의 향신료와 토기 등이 흩어져 있었다[19] . 옛날 섬에는 에이버리 선장이 세운 요새가 솟아 있었지만, 이미 이 시점에는 폐허가 되어 있었다[19] . 또한, 섬에는 원주민이 살고 있었고, 해적으로부터 물려받은 "소금물과 화약의 혼합 음료를 마시며 우정을 확인한다"는 문화가 살아 있었다[19] .
1733년의 지도에는, 이 섬을 가리켜 "해적의 섬"이라고 쓰여져 있다[20] .
이 땅에 정착한 프랑스인과 영국인 해적들은 현지 여성과 통혼을 반복했고, 결국 18세기 초두에는 영국인 해적과 현지 여성 사이에 태어난 라치밀라프/Ratsimilaho영어라는 왕이 나타나, 마다가스카르 동부 연안의 여러 도시를 통일하여 베치미사라카 왕국을 건국했다. 이 왕국은 통상 동맹의 성격을 띠었으며, 라치밀라프의 사후 왕국은 분열되었지만, 지배하에 있던 사람들은 하나의 민족으로서의 연대감을 계속 유지하여 베치미사라카인이 되었다[21] . 섬은, 라치밀라프의 자손이 지배를 계속한 후, 1750년에 유증에 의해 프랑스령이 되었다.
최근의 수중 탐사 기술의 발전에 의해 해적의 침몰선으로 보이는 것이 발견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콘덴트 선장의 파이어리 드래곤 호, 컬리퍼드의 그레이트 모하메드 호 또는 모카 프리게이트 호 등이다[17] . 또한, 키드 선장의 어드벤처 갤리 호는 섬의 어딘가에 침몰해 있다고 생각되고 있다[22] .
3. 1. 해적 시대 (17세기~18세기)
생트마리섬은 17세기와 18세기 해적들의 주요 거점 중 하나였다. 이 섬은 인도양 항로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하면서도 풍부한 물과 과일을 제공하여 해적들의 거점으로 이용되기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14] 윌리엄 키드도 이 섬을 거점으로 삼은 적이 있다.[14]1691년 애덤 볼드리지가 섬에 교역소를 열고 약탈품 창고와 석조 요새를 건설하면서 해적 활동이 본격화되었다.[16][17] 헨리 에브리, 토머스 튜,[16][19] 존 테일러, 올리비에 르바쇠르, 크리스토퍼 콘덴트[15] 등 유명 해적들이 이 섬을 근거지로 활동하거나, 재물을 분배하는 장소로 사용했다.
윌리엄 키드와 로버트 컬리포드는 이 섬에서 운명적인 재회를 하기도 했다.[14] 1720년경에는 해적에게 습격당해 난파된 배와 화물이 섬 물가에서 발견되기도 했다.[19]
아드리안 판 브루크 선장의 책에 따르면, 헨리 에브리는 무굴 제국 황제의 딸과 함께 이 섬에 와서 해적 왕국을 세웠다고 전해진다.[18] 1733년 지도에는 이 섬이 "해적의 섬"으로 표기되어 있다.[20]
섬에 정착한 프랑스인과 영국인 해적들은 현지 여성들과 혼인했고, 18세기 초에는 영국 해적과 현지 여성 사이에서 태어난 라치밀라프(Ratsimilaho)가 마다가스카르 동부 연안 도시들을 통합하여 베치미사라카 왕국을 건국했다.[21] 이 왕국은 통상 동맹의 성격을 띠었으며, 1750년 유증에 의해 프랑스령이 되었다.[21]
최근에는 수중 탐사를 통해 해적선으로 추정되는 침몰선들이 발견되고 있다.[17] 윌리엄 키드의 어드벤처 갤리 호도 섬 어딘가에 침몰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22]

3. 2. 프랑스 식민지 시대 (18세기~20세기)
생트마리섬은 17세기에 해적들의 거점으로 이용되었다. 풍부한 물과 과일이 있었고, 인도양 항로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했기 때문이다. 윌리엄 키드도 이 섬을 거점으로 삼은 적이 있다.[14] 헨리 에이버리, 토머스 튜, 존 테일러, 올리비에 르바쇠르, 크리스토퍼 콘덴트 등 많은 해적들이 이 섬을 거점으로 활동하거나 재물을 분배했다.[15][19][16] 아담 볼드리지는 섬에 교역소와 창고, 석조 요새와 성을 건설하고 만의 방위력을 강화했다.[16][17] 1709년에 쓰여진 책에는 헨리 에이버리가 이 섬에 강력한 왕국을 세웠다는 이야기가 나오지만, 1720년경에는 이미 폐허가 되어 있었다.[18][19] 1733년 지도에는 이 섬이 "해적의 섬"으로 표기되어 있다.[20]
이 섬에 정착한 프랑스인과 영국인 해적들은 현지 여성들과 혼인하였고, 18세기 초에는 영국 해적과 현지 여성 사이에서 태어난 라치밀라프(Ratsimilaho)가 왕이 되어 베치미사라카 왕국을 건국했다. 이 왕국은 마다가스카르 동부 연안 도시들을 지배했다.[21] 1750년, 베티 여왕은 조약을 통해 섬을 프랑스 왕국에 양도했다. 그러나 1752년 지역 주민들의 반란으로 프랑스 식민지 주민들이 학살당했다. 프랑스는 약 반세기 동안 정착지를 버려두었다가 1818년에 다시 돌아와 섬을 형무소로 전환했다.[6] 1857년 프랑스는 마다가스카르 최초의 가톨릭 교회를 세웠으며, 이 교회는 오늘날까지도 사용되고 있다. 프랑스 통치는 1960년 섬 주민들이 국민투표를 통해 마다가시 공화국에 합류하기로 결정하면서 종말을 맞이했다.[7]
최근 수중 탐사 기술 발전으로 콘덴트 선장의 파이어리 드래곤 호, 컬리퍼드의 그레이트 모하메드 호 또는 모카 프리게이트 호 등 해적 침몰선으로 추정되는 것들이 발견되고 있다.[17] 윌리엄 키드 선장의 어드벤처 갤리 호는 섬 어딘가에 침몰해 있다고 추정된다.[22]
4. 주민
베치미사라카족은 생트마리섬에서 가장 큰 민족 집단이지만, 17세기부터 해적들과의 결혼을 포함하여 오랜 혼혈 역사가 있었다.
5. 문화
노지 보라하에서는 주민들이 전통을 중시한다. 사회적 또는 가족 행사는 조상의 영혼을 기리는 관습과 충실히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의식의 풍부함과 다양성은 "생트마리" 문화 정체성의 진정성과 깊이를 강조한다. 마담 섬 박물관은 이 섬에서 유일하게 발견되는 박물관이다. 노시 보라하섬은 수잔 브라운리그의 판타지 역사 동화 ''킨타나와 선장의 저주''의 배경이다.
6. 행정
생트마리섬은 아날란지로포 지역의 도시(commune urbaine)이자 노시 보라하 구역으로 조직되어 있다. 시청 1곳, 17곳의 포콘타니(fokontany, 마을)로 구성되어 있으며, 국회의원 1명이 선출된다.
7. 교통
생트마리 섬 남부에 2015년에 개항한 생트마리 공항이 있다.[1]
마담 섬에는 상업 항구가, 암보디포타트라에는 여객 항구가 있다. 소아니에라 이봉고와 마함보에서는 페리가 출발하며, 토아마시나에서도 배가 운행된다.[1]
7. 1. 항공
생트마리 섬 남부에 2015년에 개항한 생트마리 공항이 있다.[1] 소아니에라 이봉고와 마함보에서 페리가 출발하며, 토아마시나에서도 배가 운행된다.[1]7. 2. 해상
생트마리 섬 남부에는 2015년에 개항한 생트마리 공항이 있다.[1] 마담 섬에는 상업 항구가, 암보디포타트라에는 여객 항구가 있다. 소아니에라 이봉고와 마함보에서는 페리가 출발하며, 토아마시나에서도 배가 운행된다.8. 경제
생트마리 섬은 서해안의 노지베섬에 이어 휴양지로 많은 관광객이 찾아오는 곳이다. 생트마리 섬과 마다가스카르 본섬 사이에 위치한 해협은 남극해에서 오는 혹등고래가 많이 서식하고 있는데, 고래가 찾아오는 7월부터 9월의 겨울철에는 섬이 고래들의 거점이 된다.[3] 특히 상당한 규모의 혹등고래(메가프테라/Megaptera영어) 무리가 남극에서 팅팅게 만으로 이동하여 짝짓기를 하고 새끼를 키우는 환경을 제공하며, 이후 더 추운 물로 연례 이동을 한다. 드물지만 남방긴수염고래는 과거 서식지 재정착의 일환으로 때때로 해안에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생트마리 섬은 산호초가 잘 발달해 있어서 다이빙 장소로 이용된다. 상어의 위험이 없는 이 섬의 석호는 상당한 산호의 성장을 자랑하며, 이 섬의 수중 동물군은 자연 유산으로 보존되어 인도양의 인기 있는 다이빙 장소이다.
2015년 5월 7일, 윌리엄 키드 선장의 보물로 추정되는 55kg의 대형 "은"괴가 섬 해안에서 발견되었다.[8] 이후의 추가 분석을 통해 유네스코는 이 조각이 실제로 95%의 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생트마리 항구 건설의 파편"이라고 판단했다.[9]
생트마리섬은 섬 하나로 하나의 도시를 이루고 있으며, 유럽에서 많은 바캉스 관광객이 방문하는 마다가스카르의 주요 리조트 지역이다. 리조트 호텔은 섬의 남단에 집중되어 있지만, 중앙부에도 몇몇 호텔이 존재한다. 생트마리섬은 본섬과의 거리와 산호초라는 특수성 때문에 동물상도 독특하며, 특히 여우원숭이와 난이 유명하다. 과거에는 마다가스카르 뻐꾸기라는 고유종도 서식했지만, 1834년에 멸종되었다.
8. 1. 관광 산업
생트마리 섬은 서해안의 노지베섬에 이어 휴양지로 많은 관광객이 찾아오는 곳이다. 생트마리 섬과 마다가스카르 본섬 사이에 위치한 해협은 남극해에서 오는 혹등고래가 많이 서식하고 있는데, 고래가 찾아오는 7월부터 9월의 겨울철에는 섬이 고래들의 거점이 된다.[3] 특히 상당한 규모의 혹등고래(Megaptera) 무리가 남극에서 팅팅게 만으로 이동하여 짝짓기를 하고 새끼를 키우는 환경을 제공하며, 이후 더 추운 물로 연례 이동을 한다. 드물지만 남방긴수염고래는 과거 서식지 재정착의 일환으로 때때로 해안에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생트마리 섬은 산호초가 잘 발달해 있어서 다이빙 장소로 이용된다. 상어의 위험이 없는 이 섬의 석호는 상당한 산호의 성장을 자랑하며, 이 섬의 수중 동물군은 자연 유산으로 보존되어 인도양의 인기 있는 다이빙 장소이다.
2015년 5월 7일, 윌리엄 키드 선장의 보물로 추정되는 55kg의 대형 "은"괴가 섬 해안에서 발견되었다.[8] 이후의 추가 분석을 통해 유네스코는 이 조각이 실제로 95%의 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생트마리 항구 건설의 파편"이라고 판단했다.[9]
생트마리섬은 섬 하나로 하나의 도시를 이루고 있으며, 유럽에서 많은 바캉스 관광객이 방문하는 마다가스카르의 주요 리조트 지역이다. 리조트 호텔은 섬의 남단에 집중되어 있지만, 중앙부에도 몇몇 호텔이 존재한다. 생트마리섬은 본섬과의 거리와 산호초라는 특수성 때문에 동물상도 독특하며, 특히 여우원숭이와 난이 유명하다. 과거에는 마다가스카르 뻐꾸기라는 고유종도 서식했지만, 1834년에 멸종되었다.
8. 2. 기타 산업
9. 범죄
최근 섬에서 폭력적인 공격이 보고되었으며, 혼자 방문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는다.
10. 한국과의 관계
참조
[1]
웹사이트
Commune de Ste.Marie
https://communesaint[...]
[2]
웹사이트
Nosy Boraha Climate Normals 1991–2020
https://www.nodc.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3-09-25
[3]
웹사이트
Juste magnifique.. {{!}} PASSION OCEAN
http://passionoceans[...]
[4]
서적
Privateering and Piracy in the Colonial Period: Illustrative Documents
New York
1923
[5]
웹사이트
The Pirate Cemetery Of Ile Sainte Marie-Unusual Traveler
https://www.unusualt[...]
2017-06-03
[6]
웹사이트
History of the Sainte-Marie island {{!}} Princesse Bora Lodge & Spa
https://www.princess[...]
[7]
웹사이트
http://www.rapidecom[...]
[8]
웹사이트
Has Captain Kidd's Treasure Been Found?
http://www.history.c[...]
A&E Television Networks
2015-05-07
[9]
뉴스
UN dismisses Captain Kidd 'treasure' find in Madagascar
https://www.bbc.com/[...]
BBC News
2015-07-16
[10]
웹사이트
Travel advice and advisories for Madagascar
https://travel.gc.ca[...]
2012-11-16
[11]
웹사이트
Safety and security - Madagascar travel advice
https://www.gov.uk/f[...]
[12]
웹사이트
Two French volunteers found dead on island off Madagascar
https://www.france24[...]
2016-08-22
[13]
웹사이트
City Population
https://citypopulati[...]
2023-04-18
[14]
서적
赤い島 物語マダガスカルの歴史
彩流社
1997-06-30
[15]
서적
図説 海賊大全
東洋書林
2000
[16]
서적
図説 海賊大全
東洋書林
2000
[17]
웹사이트
Sainte-Marie Island, Madagascar
http://archeologiede[...]
2024-04-08
[18]
웹사이트
https://digitalcolle[...]
[19]
서적
海賊の世界史 下
中央公論新社
2010
[20]
웹사이트
The Pirate Cemetery of Madagascar was the off-season home for an estimated 1,000 pirates
https://www.thevinta[...]
2024-04-08
[21]
서적
朝倉世界地理講座 アフリカⅡ
朝倉書店
2008-04
[22]
뉴스
Seeking Pirate Treasure: Captain Kidd's Sunken Ship
https://www.nytimes.[...]
2024-04-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