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샤를 보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샤를 보네는 1720년 스위스 제네바에서 태어난 자연과학자이자 철학자이다. 그는 곤충, 식물, 심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했으며, 특히 처녀생식 연구, 샤를 보네 증후군 묘사 등으로 알려져 있다. 보네는 법학을 전공했으나 자연과학에 대한 열정으로 곤충학, 식물학 연구에 몰두했으며, 시력 감퇴 이후에는 철학적 사색을 통해 심리학, 형이상학 분야에서도 저술 활동을 했다. 주요 저서로는 《곤충학 개론》, 《식물에서 잎의 사용에 관한 연구》, 《자연에 대한 고찰》, 《순환 철학서》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위스의 박물학자 - 오라스 베네딕트 드 소쉬르
    오라스 베네딕트 드 소쉬르는 스위스의 박물학자, 지질학자, 물리학자이자 알프스산맥 탐험가로서, 제네바 아카데미의 철학 교수였으며, 알프스산맥 탐험과 다양한 과학 기기 개발을 통해 지질학, 기상학, 관광 산업 발전에 기여했다.
  • 스위스의 박물학자 - 콘라트 게스너
    콘라트 게스너는 스위스의 박식가로서 의사, 철학자, 백과사전 편찬자, 서지학자, 고전어학자, 박물학자, 삽화가로 활동했으며, 서지학, 동물학을 포함한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르네상스 시대 학문 발전에 기여했다.
  • 스위스의 곤충학자 - 알브레히트 폰 할러
    스위스의 생리학자, 해부학자, 식물학자이자 시인인 알브레히트 폰 할러는 괴팅겐 대학교 교수로서 해부학 교실과 식물원을 설립하고 인체의 감각성과 자극성을 연구하여 근대 생리학의 선구자로 평가받으며, 알프스에 대한 시를 통해 문학적 재능을 선보이고 식물 분류학에도 기여했다.
  • 스위스의 곤충학자 - 오귀스트 포렐
    스위스의 정신과 의사이자 곤충학자인 오귀스트 포렐은 뇌 연구와 뉴런 이론 정립에 기여하고 개미의 사회적 행동 연구로 개미 연구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취리히 대학교 정신의학과 교수 및 부르크횔츨리 정신병원 원장을 역임했다.
  • 스위스의 식물학자 - 알브레히트 폰 할러
    스위스의 생리학자, 해부학자, 식물학자이자 시인인 알브레히트 폰 할러는 괴팅겐 대학교 교수로서 해부학 교실과 식물원을 설립하고 인체의 감각성과 자극성을 연구하여 근대 생리학의 선구자로 평가받으며, 알프스에 대한 시를 통해 문학적 재능을 선보이고 식물 분류학에도 기여했다.
  • 스위스의 식물학자 - 오라스 베네딕트 드 소쉬르
    오라스 베네딕트 드 소쉬르는 스위스의 박물학자, 지질학자, 물리학자이자 알프스산맥 탐험가로서, 제네바 아카데미의 철학 교수였으며, 알프스산맥 탐험과 다양한 과학 기기 개발을 통해 지질학, 기상학, 관광 산업 발전에 기여했다.
샤를 보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777년 옌스 율이 그린 샤를 보네의 초상화
1777년 옌스 율이 그린 샤를 보네의 초상화
출생1720년 3월 13일
출생지제네바, 제네바 공화국
사망1793년 5월 20일
사망지젠토, 제네바 공화국
분야박물학자

2. 생애

샤를 보네는 1720년 제네바에서 태어났다. 그의 가족은 원래 프랑스 출신이었으나, 16세기에 개신교 박해를 피해 제네바로 이주했다.[30] 보네는 7세 때 청력을 잃었고, 이로 인해 자연에 더욱 관심을 갖게 되었다.[30] 어린 시절, 청각 장애 때문에 학교에서 친구들에게 괴롭힘을 당했고, 부모님은 그를 학교에서 나오게 하고 개인 교습을 시켰다.

보네는 을 직업으로 삼았지만, 평생 자연과학, 특히 곤충학식물학 연구에 몰두했다. 16세에 노엘 앙투안 플뤼슈의 《자연의 광경》을 읽고 곤충에 대한 관심을 키웠으며, 르네 앙투안 페르쇼 드 레오뮈르의 저서를 통해 곤충 연구를 심화했다.

1740년, 진딧물처녀생식을 증명하는 논문을 과학 아카데미에 제출하여 최연소 회원으로 선출되었다.[31] 이후 히드라의 재생 능력, 애벌레와 나비의 호흡 방식 등을 연구하며 과학적 업적을 쌓았다. 1743년에는 왕립학회 회원이 되었고,[31] 1753년에는 스웨덴 왕립 과학 아카데미, 1769년에는 덴마크 왕립 과학 문학 아카데미의 외국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33]

1745년 《곤충학 개론》, 1754년 《식물에서 잎의 사용에 관한 연구》 등 식물과 곤충에 대한 저서를 출간했다. 시력이 나빠진 후에는 철학으로 관심을 돌려 《심리학 에세이》(1754), 《영혼의 능력에 대한 분석적 고찰》(1760) 등을 저술했다. 1762년에는 《조직화된 신체에 대한 고찰》을 통해 생명의 기원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밝혔다. 1764년부터 1765년 사이에는 《자연에 대한 고찰》을 출간하여 자연의 조화와 질서를 강조했다. 1769년부터 1770년 사이에는 《순환 철학서》를 통해 생물의 진화와 미래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제시했다.

1760년, 보네는 샤를 보네 증후군을 처음으로 기술했다.[34]

보네는 철학적 사색에도 깊이 관여하여, 인간의 정신과 육체, 감각과 지식의 관계, 존재의 연속성 등에 대한 자신만의 독특한 체계를 구축했다. 그는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의 영향을 받아, 신의 창조와 우주의 질서, 생명의 진화에 대한 형이상학적 이론을 제시했다.

보네는 1752년부터 1768년까지 제네바 공화국 의회 의원으로 활동한 것을 제외하고는 평생 제네바를 떠나지 않았다. 1793년 5월 20일, 제네바 근처 장토드에서 오랜 투병 끝에 사망했다.[3] 그는 드 라 리브 가문의 여인과 결혼했지만 자녀는 없었고, 대신 조카인 오라스 베네딕트 드 소쉬르를 아들처럼 양육했다.[31]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샤를 보네는 제네바에서 피에르 보네와 안마리 륄랭 드 샤토비외 부부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가족은 원래 프랑스 출신이었지만 16세기에 개신교에 대한 종교 박해로 인하여 제네바로 피신하였다.[30] 보네는 7세가 되었을 때 청력을 잃었고 그로 인해 자연계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30] 학교 친구들이 청각 장애를 이유로 그를 괴롭혔기 때문에 부모님은 보네를 학교에서 나오게 하고 개인 교습을 받도록 하였다. 보네는 1752년에서 1768년 사이, 제네바 공화국 의회 의원을 역임했던 기간을 제외하고는 제네바 지역을 떠난 적이 없는 것으로 보이며, 공적인 일에도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보네는 을 직업으로 삼았지만 가장 좋아했던 것은 자연과학 연구였다. 16세 때 읽었던 노엘 앙투안 플뤼슈의 《자연의 광경》(Spectacle de la nature)에 나오는 개미사자에 대한 이야기는 그의 관심을 곤충의 삶으로 이끌었다. 그는 르네 앙투안 페르쇼 드 레오뮈르로부터 곤충에 대한 연구를 얻었고, 살아있는 표본을 통해 레오뮈르와 플뤼슈의 많은 관찰을 보충하는 데 성공했다. 1740년에는 과학 아카데미에 진딧물에서 처녀생식이라고 불리는 현상을 확립하는 일련의 실험을 담은 논문을 제출했고, 이는 그에게 아카데미 최연소 회원으로 인정되는 영예를 안겨주었다.[31]

2. 2. 과학적 업적

샤를 보네


보네는 을 직업으로 삼았지만, 자연과학 연구를 가장 좋아했다. 16세 때 노엘 앙투안 플뤼슈의 《자연의 광경》에 나오는 개미귀신에 대한 묘사는 그가 곤충의 삶에 관심을 갖게 만들었다. 그는 르네 앙투안 페르쇼 드 레오뮈르곤충에 관한 저서를 구입했고, 살아있는 표본을 통해 레오뮈르와 플뤼슈의 관찰에 많은 내용을 추가할 수 있었다.

1740년, 보네는 과학 아카데미에 논문을 제출하여 진딧물에서의 처녀생식(단성생식)을 증명하는 일련의 실험을 담았고, 이로써 아카데미의 최연소 통신 회원으로 선출되는 영광을 얻었다.[31] 그 해 그는 히드라속을 발견한 자신의 삼촌 아브라함 트렘블레와 서신을 주고받았다. 철학자들과 자연 과학자들이 놀라운 재생 능력을 발견하자 이 작은 생물은 유럽 전역의 모든 살롱에서 인기 있는 주제가 되었다.[32]

1741년, 보네는 민물 히드라와 다른 동물에서 융합에 의한 생식과 잃어버린 부분의 재생을 연구하기 시작했고, 이듬해에는 애벌레와 나비의 호흡이 기문이라고 불리는 구멍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1743년, 그는 왕립학회의 회원이 되었고, 같은 해에 법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31] 1753년, 그는 스웨덴 왕립 과학 아카데미의 외국인 회원으로 선출되었고, 1769년 12월 15일에는 덴마크 왕립 과학 문학 아카데미의 외국인 회원이 되었다.[33]

1745년, 그는 《곤충학 개론》(Traité d'insectologie)을 출간했는데, 여기에는 곤충에 관한 그의 다양한 발견과 세균의 발달과 조직적인 존재의 규모에 대한 서문이 담겨 있었다. 식물학, 특히 식물의 잎은 그의 관심을 끌었는데, 보네는 몇 년 동안에 걸쳐 부지런히 연구했다. 이러한 성과는 1754년에 출간된 《식물에서 잎의 사용에 관한 연구》(Recherches sur l'usage des feuilles dans les plantes)로 이어졌다. 보네는 이 책에서 물에 잠긴 식물 잎에 기포가 형성되어 가스 교환을 나타냄을 관찰하며, 식물이 감각과 분별력을 부여받았다는 것을 보여주는 많은 고려를 진행한다. 그러나 보네의 시력은 완전히 실명할 것 같아 철학으로 눈을 돌리게 만들었다.

1754년에는 《심리학 에세이》(Essai de psychologie)가 익명으로 출판되었다. 1760년에는 《영혼의 능력에 대한 분석적 고찰》(Essai analytique sur les facultés de l'âme)이 출판되었는데, 이 책은 정신 활동의 생리학적 조건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발전시킨 것이 특징이다.

물리학 분야로 돌아온 보네는 1762년에 《조직화된 신체에 대한 고찰》(Considerations sur les corps organisées)을 출간했다. 이 책은 후성유전학 이론을 반박하는 한편 존재하는 세균의 교리를 설명하고 옹호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보네의 가장 인기 있고 즐거운 작품들 가운데 하나인 《자연에 대한 고찰》(Contemplation de la nature, 1764년부터 1765년 사이에 출간되었으며 이탈리아어, 독일어, 영어, 네덜란드어로 번역됨)에서 그는 자연의 모든 존재들이 연속성의 어떤 단절도 없이 가장 낮은 곳에서 가장 높은 곳으로 점진적인 척도를 형성한다는 이론을 웅변적인 언어로 설명했다.

그는 중요한 마지막 저서인 《순환 철학서》(Palingénésie philosophique, 1769년부터 1770년 사이에 출간됨)에서 생물의 과거와 미래를 다루고, 모든 동물의 생존과 미래 상태에서의 능력의 완성에 대한 생각을 지지했다. 1779년부터 1783년까지 그의 작품들을 모은 《박물학 철학 저작집》(Œuvres d'histoire naturelle et de philosophie)이 출간되었는데, 이 책은 부분적으로 보네에 의해 수정되었다.[31]

1760년에 보네는 심리적으로 정상적인 사람들에게 생생하고 복잡한 시각적 환각(가상적 시각적 지각)이 일어나는 샤를 보네 증후군이라고 불리는 상태를 묘사했다. 보네는 87세 할아버지에게서 나타난 이러한 현상을 기록했는데[34] 보네는 두 눈이 백내장으로 인하여 거의 눈이 멀었지만 남자, 여자, 새, 마차, 건물, 태피스트리, 가구 문양을 인식했다고 평가했다. 대부분의 영향을 받는 사람들은 시각 장애를 가진 노인들이지만 이 현상은 노인들이나 시각 장애를 가진 사람들에게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다. 이 현상은 또한 그들의 시신경 경로나 뇌의 다른 곳의 손상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보네의 철학적 체계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인간은 정신과 육체, 하나는 비물질이고 다른 하나는 물질인 두 개의 별개의 물질의 혼합물이다. 모든 지식은 감각에서 비롯된다. 감각은 각각에게 적합한 신경의 진동(물리적 영향이든 단순히 보네가 말하지 않을 결과이든)을 따른다. 마지막으로 신경은 외부의 물리적 자극에 의해 진동하게 된다. 한 번 특정 물체에 의해 움직임이 시작되면 신경은 그 움직임을 재현하는 경향이 있다. 보네에 따르면 이러한 신경의 유연성 증가에 수반되는 감각은 기억의 상태이다. 감각의 획득과 결합에 반영(즉 마음 속의 활성 요소)이 적용될 때 일반적으로 구별되지만 따라서 단지 결합된 감각일 뿐인 추상적인 생각들이 형성된다. 마음을 활동에 투입하는 것은 기쁨이나 고통이다. 행복은 인간 존재의 끝이다.[31]

보네의 형이상학적 이론은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에게서 차용한 두 가지 원리에 기초하고 있는데, 첫째는 연속적인 창조 행위가 존재하지 않고 우주는 신의 의지의 하나의 원래 행위에 의해 완성되고 그 후에는 그 자체의 고유한 힘에 의해 진행된다는 것이다. 둘째는 존재의 연속성에 단절이 없다는 것이다. 신적 존재는 원래 자기계발력이 내재된 균들을 단계적으로 만들어냈다. 우주의 진보에서 매 연속적인 단계마다 점진적으로 변형된 이 세균들은 완벽에 가까워진다. 만약 어떤 것들은 진보했고 어떤 것들은 그렇지 않았다면 사슬의 연속성에 공백이 있었을 것이다. 따라서 인간뿐만 아니라 다른 모든 형태의 존재는 불멸이다. 인간의 마음만이 불멸하는 것은 아니다. 그의 몸은 또한 그가 현재 소유하고 있는 몸이 아니라 현재 그의 내부에 존재하는 더 나은 몸으로 넘어갈 것이다. 그러나 거리가 무한하기 때문에 절대적인 완벽에 도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31]

이 마지막 명제에서 보네는 가장 높은 창조된 존재와 신 사이의 간격을 가정함으로써 그 자신의 연속성 원칙을 위반한다. 끊임없이 완벽을 향해 나아가는 것이 각 개인에 의해 수행되는 것인지 아니면 전체적으로 각 종족의 존재에 의해서만 수행되는 것인지 또한 이해하기 어렵다. 사실 두 개의 뚜렷하지만 유사한 교리 사이에 동요가 있는 것처럼 보인다. 즉 미래의 존재 단계에서 개인의 지속적인 발전과 지구의 연속적인 진화에 따라 종족 전체의 지속적인 발전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이다.[31] 보네는 1770년에 출간된 《순환 철학서》에서 여성이 미래의 모든 세대에 미니어처 형태로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때때로 호문쿨루스라고 불리는 이 미니어처 생물들이 성경의 홍수와 같은 대재앙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을 것이라고 믿었고, 더 나아가 이러한 재앙들이 진화적 변화를 가져왔고 다음 재앙 이후에는 사람들이 천사가 되고 포유류들이 지능을 얻게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2. 3. 철학적 사색

보네의 철학적 체계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인간은 정신과 육체, 즉 비물질적인 것과 물질적인 것 두 가지 별개의 물질로 구성되어 있다. 모든 지식은 감각에서 비롯된다. 감각은 각각에 적합한 신경의 진동(물리적 효과로서 또는 단순히 그 결과로서, 보네는 명확히 밝히지 않음)을 따른다. 신경은 외부 물리적 자극에 의해 진동한다. 특정한 대상에 의해 한 번 움직인 신경은 그 움직임을 재현하려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같은 대상으로부터 두 번째 인상을 받으면 저항이 적은 진동을 한다. 보네에 따르면, 이 신경의 유연성 증가를 수반하는 감각이 기억의 조건이다. 반성, 즉 정신의 능동적인 요소가 감각의 획득과 결합에 적용될 때, 일반적으로는 구별되지만 단순히 결합된 감각일 뿐인 추상적인 관념이 형성된다. 정신을 활동하게 만드는 것은 쾌락 또는 고통이며, 행복은 인간 존재의 목적이다.[31]

보네의 형이상학적 이론은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에게서 차용한 두 가지 원리에 기초한다. 첫째, 연속적인 창조 행위는 없으며, 우주는 신의 의지에 의한 단일한 최초의 행위에 의해 완성되었고 그 후로는 자체적인 내재적 힘에 의해 움직인다는 것이다. 둘째, 존재의 연속성에 단절이 없다는 것이다. 신적 존재는 원래 각각 자기 발전의 내재적 능력을 가진 다양한 배아를 계층적으로 창조했다. 우주의 진보의 각 단계에서, 이러한 배아는 점진적으로 수정됨에 따라 완벽에 가까워진다. 만약 일부가 발전하고 다른 일부가 발전하지 않는다면 사슬의 연속성에 틈이 생길 것이다. 따라서 인간뿐만 아니라 다른 모든 존재의 형태도 불멸이다. 인간의 정신만 불멸하는 것이 아니라, 그의 신체 또한 더 높은 단계로 넘어갈 것이다. 물론 현재 가지고 있는 신체가 아니라 현재 그 안에 배아가 존재하는 더 미세한 신체이다. 그러나 거리는 무한하기 때문에 절대적인 완벽에 도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31]

이 마지막 명제에서 보네는 가장 높은 피조물과 신 사이에 간격을 설정함으로써 자신의 연속성 원리를 위반한다. 또한 개체가 존재의 미래 단계에서 끊임없이 발전하는 것인지, 아니면 지구의 연속적인 진화에 따라 각 종족 전체가 끊임없이 발전하는 것인지 이해하기 어렵다. 사실, 존재의 미래 단계에서 개체의 끊임없는 발전이라는 두 가지 구별되지만 유사한 교리와 지구의 연속적인 진화에 따라 각 종족 전체가 끊임없이 발전한다는 교리 사이에서 동요하는 것처럼 보인다.[31] 1770년에 출간된 《철학적 파린게네시스》(Palingénésie philosophique)에서 보네는 여성이 미니어처 형태로 모든 미래 세대를 자신의 안에 지니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때때로 호문쿨루스라고 불리는 이 미니어처 존재들이 노아의 홍수와 같은 큰 격변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을 것이라고 믿었다. 또한 그는 이러한 재난이 진화적 변화를 가져왔고, 다음 재난 후에는 인간이 천사가 되고, 포유류는 지능을 얻는 등의 일이 일어날 것이라고 예측했다.

2. 4. 말년



현재 바스티옹 공원인 당시 플랑트 공원에 있던 보네의 묘를 묘사한 19세기 초의 그림. 나중에 제거되었고 현재는 행방불명이다. 제네바 도서관 소장품에서 가져옴.


보네는 생애 마지막 25년을 제네바 근처 젠토에서 조용히 보냈고, 1793년 5월 20일에 오랜 병환 끝에 사망했다.[3] 보네의 아내는 드 라 리브 가문의 여인이었다. 이들 부부는 자녀가 없었지만, 보네 부인의 조카인 오라스 베네딕 드 소쉬르가 이들의 아들처럼 길러졌다.[31]

3. 사상

(빈칸)

4. 저서

샤를 보네의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제목출판 연도기타
곤충학 개론 (Traité d'insectologie)1745년
식물에서 잎의 사용에 관한 연구 (Recherches sur l'usage des feuilles dans les plantes)1754년
심리학 에세이 (Essai de psychologie)1754년익명으로 출판됨
영혼의 능력에 대한 분석적 고찰 (Essai analytique sur les facultés de l'âme)1760년
조직화된 신체에 대한 고찰 (Considerations sur les corps organisées)1762년
자연에 대한 고찰 (Contemplation de la nature)1764년야코프 프리드리히 클렘(Jakob Friedrich Klemm)에 의해 독일어로 번역됨
순환 철학서 (Palingénésie philosophique)1769년1787년에 기독교에 대한 철학적 및 비판적 질문이라는 제목으로 영어로 번역되어 출판[19]
박물학 철학 저작집 (Œuvres d'histoire naturelle et de philosophie)1779년 ~ 1783년총 8권
자서전적 회고록1948년파리, Vrin 출판[21]


  • ''곤충학 논문 또는 물속의 벌레 몇 종에 대한 관찰: 잘린 조각들이 각각 완전한 동물이 되는 것에 관하여'', 1745.[10]
  • ''식물에서 잎의 용도에 대한 연구'', 1754.[11]
  • ''심리학 에세이'', 1754.[12]
  • ''영혼의 능력에 대한 분석적 에세이'', 1760.[13]
  • ''조직체에 대한 고찰'', 2권, 1762[14][15]
  • ''자연에 대한 성찰'', 2권, 1764.[16][17]
  • ''철학적 윤회론'', 1769.[18]
  • ''자연사와 철학 저술'', 8권, 1779–1783.[20]
  • 샤를 보네의 편지. 장 자크 루소의 "인간 불평등 기원론"에 대한 논평.[22]
  • 보네가 라자로 스팔란차니에게 보낸 두 통의 프랑스어 편지.[23]
  • 카라만 공작이 출판한 편지들, 인간의 자유에 대한 가브리엘 크라머와의 서신 교환 포함.[24]
  • 『심리학 논고』(Essai de psychologie, ou considérations sur les opérations de l'âme) (런던, 1755) (익명 출판) 〔한국어 번역: 샤를 보네, 『심리학 논고』, 이노 카즈오·사와자키 마사히로 역, 고쿠쇼 간코카이 (18세기 총서 제7권 『생과 사』 수록), 2020〕


''자연에 대한 성찰'', 1764


1766년판 독일어 ''자연에 대한 성찰'' 또는 요한 다니엘 티티우스(Johann Daniel Titius)가 번역한 ''Betrachtung über die Natur''


요한 다니엘 티티우스(Johann Daniel Titius)가 번역한 1766년판 독일어 ''자연에 대한 성찰'' 또는 ''Betrachtung über die Natur''의 첫 페이지

참조

[1] 서적 The Golden Ratio: The Story of Phi, the World's Most Astonishing Number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Broadway Books
[2] 저널 Contributions of deaf people to entomology: A hidden legacy https://brill.com/vi[...] 2012
[3] 웹사이트 Charles Bonnet https://hls-dhs-dss.[...] 2011-04-06
[4] 서적 Darwin's Ghosts Spiegel & Grau
[5] 간행물 Det Kongelige Danske Videnskabernes Selskab 1742–1942 – Samlinger til Selskabets Historie
[6] 저널 The Charles Bonnet Syndrome and the problem of visual perceptual disorders in the elderly
[7] 서적 Essai analytique sur les facultés de l’âme Philibert
[8] 서적 Lord Monboddo and some of his contemporaries Thoemmes Press
[9] 저널 Charles Bonnet's Taxonomy and Chain of Being https://www.jstor.or[...] 1976
[10] 서적 ETH-Bibliothek / Traité d'insectologie ou observations sur quelques espèces de vers d'eau douce, qui coupés par morceaux deviennent autant d'animaux complets https://www.e-rara.c[...] Durand 1745
[11] 서적 Recherches sur l'usage des feuilles dans les plantes, et sur quelques autres sujets relatifs à l'histoire de la végetation https://archive.org/[...] chez Elie Luzac, Fils. 1754
[12] 웹사이트 Essai de psychologie https://fr.wikisourc[...] 2020-03-01
[13] 서적 ETH-Bibliothek / Essai analytique sur les facultés de l'âme https://www.e-rara.c[...] chez les frères Cl. et Ant. Philibert 1760
[14] 서적 Considerations sur les corps organisâes: oáu l'on traite de leur origine, de leur dâeveloppement, de leur râeproduction, &c., & áou l'on a rassemblâe en abrâegâe tout ce que l'histoire naturelle offre de plus certain & de plus intâeressant sur ce sujet https://books.google[...] Chez Marc-Michel Rey 1762
[15] 서적 Considerations sur les corps organisés: où l'on traite de leur origine, de leur développement, de leur réproduction, &c. & ... tout ce que l'histoire naturelle offre ... sur ce sujet .. https://books.google[...] Marc-Michel Rey 1762
[16] 서적 Contemplation de la nature https://archive.org/[...] Chez M.-M. Rey 1769
[17] 서적 Contemplation de la nature https://archive.org/[...] Chez Marc-Michel Rey 1769
[18] 서적 La palingénésie philosophique : ou Idées sur l'état passé et sur l'état futur des êtres vivans : ouvrage destiné á servir de supplément aux derniers écrits de l'auteur et qui contient principalement le précis de ses recherches sur le christianisme http://archive.org/d[...] C. Philibert 1769
[19] 서적 Philosophical and critical inquiries concerning Christianity, tr. by J.L. Boissier http://archive.org/d[...] 1803
[20] 서적 ETH-Bibliothek / Oeuvres d'histoire naturelle et de philosophie https://www.e-rara.c[...] Fauche 1779
[21] 저널 Review of Mémoires autobiographiques de de Genève, ; La philosophie de Charles Bonnet de Genève, Raymond Savioz 1952
[22] 웹사이트 Bibliothèque de Genève / Collection complète... [469] https://www.e-rara.c[...] 2020-03-01
[23] 웹사이트 ETH-Bibliothek / Fisica animale e vegetabile... [170] https://www.e-rara.c[...] 2020-03-01
[24] 서적 Charles Bonnet, philosophe et naturaliste, sa vie et ses œuvres https://books.google[...] 1859
[25] 서적 Discours Du Citoyen Isaac Salomon Anspach, Prononcé le Jeudi 8 d'Août 1793, l'an 2e. de l'Egalité: Après Le Placement De L'Inscription En L'Honneur De Charles Bonnet https://books.google[...] 1793
[26] 서적 Histoire des sciences naturelles: depuis leur origine jusqu'à nos jours, chez tous les peuples connus https://books.google[...] Fortin, Masson 1843
[27] 저널 L'expérimentation comme rhétorique de la preuve : L'exemple du Traité d'insectologie de Charles Bonnet / Experiment as rhetoric of proof : The example of Charles Bonnet's Traité d'insectologie https://www.persee.f[...] 2001
[28] 서적 ボネ『心理学試論』 国書刊行会
[29] 웹사이트 Bonnet; Charles (1720 - 1793) 2012-05-27
[30] 저널 Contributions of deaf people to entomology: A hidden legacy https://brill.com/vi[...] 2012
[31] 서적 Encyclopædia Britannica https://en.wikisourc[...] Cambridge University Press
[32] 서적 Darwin's Ghosts Spiegel & Grau
[33] 간행물 Det Kongelige Danske Videnskabernes Selskab 1742–1942 – Samlinger til Selskabets Historie
[34] 서적 Essai Analytique sur les facultés de l’âme Philibert
[35] 서적 Lord Monboddo and some of his contemporaries Thoemmes Press
[36] 저널 Charles Bonnet's Taxonomy and Chain of Being https://www.jstor.or[...] 197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