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간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간집은 다양한 시대와 문화에서 개인 또는 집단 간에 주고받은 편지를 모아 엮은 문헌을 의미한다. 고대 로마 시대의 키케로, 세네카 등의 서간집은 도덕적 교훈이나 문학적 스타일을 담았으며, 초기 기독교는 교훈적인 내용을 담은 서신을 수집하여 출판했다.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에는 키케로의 영향으로 수사학적 서간 작성법이 발전했고, 18세기 유럽에서는 작가의 개성을 드러내는 서간집이 인기를 끌었다. 20세기에는 작가의 사후에 유산을 기리기 위해 서간집이 출판되는 경향이 있으며, 서간집의 진정성과 문학성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간집 - 숙명신한첩
숙명신한첩은 조선 시대 서첩으로, 보물로 지정된 후 서첩의 성격과 내용에 따라 명칭과 번호가 변경 및 정정되었다. - 서간집 - 빈센트 반 고흐의 편지
빈센트 반 고흐의 편지들은 화가 빈센트 반 고흐가 가족, 동료들과 주고받은 서신으로, 그의 예술관, 인생관, 작품 활동에 대한 고민과 열정이 담겨 있으며, 반 고흐 미술관에 보관되어 연구 자료로 활용된다.
서간집 | |
---|---|
개요 | |
유형 | 비소설 모음집 |
형태 | 서신 |
주제 | 다양한 주제 |
특징 | |
내용 | 개인적인 서신 공식적인 서신 문학적인 서신 |
목적 | 정보 전달 관계 유지 문학적 표현 역사적 기록 |
중요성 | 역사 연구 자료 개인 및 사회의 통찰력 제공 문학적 가치 |
역사적 맥락 | |
고대 | 서신은 고대부터 중요한 의사소통 수단이었음 |
중세 | 중세에는 서신이 외교, 상업, 개인적인 소통에 널리 사용됨 |
근대 | 근대에는 서신이 문학적 장르로 발전하고, 개인적인 표현의 중요한 수단이 됨 |
관련된 개념 | |
서간체 소설 | 서신 형식을 빌려 이야기를 전달하는 서간체 소설과 관련됨 |
자서전 | 개인적인 서신은 자서전적인 요소와 겹치기도 함 |
참고 문헌 | |
참고 문헌 | Joel T. Rosenthal, Understanding Medieval Primary Sources: Using Historical Sources to Discover Medieval Europe, Routledge, 2014 Roy Gibson, On the Nature of Ancient Letter Collections, The Journal of Roman Studies, 102, 2012, 56–78쪽 Linda M. Grasso, Reading Published Letter Collections as Literary Texts: Maria Chabot—Georgia O'Keeffe Correspondence, 1941–1949 as a Case Study, Legacy, 25 (2), 2008, 239–250쪽 |
추가 정보 | |
관련 문서 | 서신 서간체 소설 |
2. 역사적 배경
고대 로마 시대에는 키케로(기원전 106년 – 기원전 43년)가 아티쿠스에게 보낸 편지 등으로 유명했으며, 세네카(서기 5년 – 65년)와 대 플리니우스(서기 61년 – 서기 112년경)도 자신의 편지를 출판했다.[2] 초기 기독교에서는 서신이라 불리는 편지들이 수집, 출판되었는데, 사도 바울(서기 5년 – 서기 64/67년경)의 바울 서신이 대표적이다.[2] 성 아우구스티누스(서기 354년 – 서기 430년)와 성 제롬(서기 342-347년경 – 서기 420년)은 영향력 있는 신학적 편지로 유명하다.[1]
중세 유럽의 서간 작가들은 키케로의 영향을 받아 ''수사학적 서간 작성법''을 발전시켰다.[4] 페트라르카(1304년~1374년)는 ''친족 서간집''에서 개인 자서전적 내용을 추가했으며, 에라스뮈스(1466년~1536년)와 유스투스 리프시우스(1547년~1606년)는 서간 작성의 유연성과 재미를 강조했다.[4]
18세기 영국에서는 출판된 서간집과 일기가 "당대 시대를 규정하는 장르"라고 불릴 정도로 두드러졌다.[6] 작가의 사생활을 보여주는 서간집은 작가의 개성을 드러내는 정도에 따라 평가받았다.[7] 마리 드 라뷔탱-샹탈(1626–1696)과 그녀의 딸의 서간은 재치 있고 즐거운 서간의 모델로 여겨졌다.[4] 블루스타킹 엘리자베스 몬태규와 메리 델라니는 서간을 통해 웅변적인 작가로 명성을 얻었다.[8]
20세기에는 서간집이 문학 작품으로 덜 출판되었다. 작가의 생전보다는 사후에 유산을 확고히 하기 위해 수집되어 출판되는 경향이 있었다.[8] 찰스 디킨스, 마크 트웨인 등의 편지가 학술적인 판본으로 출판되었고, 조지 버나드 쇼, 제임스 조이스 등의 서간집이 출간되었다. 《빈센트 반 고흐의 편지》(1914년 초판), 프란츠 카프카의 《밀레나에게 보낸 편지》(1952년 초판) 등도 있다.
2. 1. 고대
고대 로마 시대의 키케로(기원전 106년 – 기원전 43년)는 아티쿠스에게 보낸 편지, 브루투스에게 보낸 편지, 지인들에게 보낸 편지, 동생에게 보낸 편지로 유명하다.[2] 세네카(서기 5년 – 65년)와 대 플리니우스(서기 61년 – 서기 112년경)도 자신의 편지를 출판했다. 세네카의 루킬리우스에게 보낸 편지는 도덕적 교훈을 담고 있으며, 플리니우스의 서간집은 문학적인 스타일을 가지고 있다.[4] 고대 편지 모음집은 편지를 연대순으로 정리하지 않았다.[2]
초기 기독교는 서신이라 불리는 편지들을 수집하고 출판했으며, 이들은 교훈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사도 바울(서기 5년 – 서기 64/67년경)의 바울 서신은 신약성경의 13권의 책을 구성한다.[2]
후기 고대 시대(서기 340년 – 서기 600년)에 편지 모음집은 널리 퍼졌다.[5] 성 아우구스티누스(서기 354년 – 서기 430년)와 성 제롬(서기 342-347년경 – 서기 420년)은 이 시기에 영향력 있는 신학적 편지로 유명하다.[1]
2. 2. 중세 및 르네상스 유럽
중세 유럽의 서간 작가들은 수사학적 관례(''수사학적 서간 작성법'')의 발전에 있어 키케로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4]페트라르카(1304년~1374년)는 그의 저서 ''친족 서간집''에 보다 상세한 개인 자서전적 내용을 추가했다. 에라스뮈스(1466년~1536년)와 유스투스 리프시우스(1547년~1606년) 또한 규칙 중심의 형식보다는 서간 작성의 유연성과 재미있는 읽을거리를 장려했다.[4]
2. 3. 18세기 유럽
18세기 영국에서는 출판된 서간집과 일기가 특히 두드러졌으며, 때로는 "당대 시대를 규정하는 장르"라고 불리기도 했다.[6] 특히 작가의 사생활에 초점을 맞춘 서간집은 인기가 높았으며, 작가의 개성을 얼마나 잘 드러내느냐에 따라 평가를 받았다.[7] 문체적으로 18세기의 친밀한 서간은 키케로, 플리니, 세네카와 같은 격식을 갖춘 고전보다는 유쾌한 뱅상 부아튀르(1597–1648)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다.[7] 마리 드 라뷔탱-샹탈(1626–1696)과 그녀의 딸의 서간은 1725년부터 출판되었으며, 유럽 전역에서 재치 있고 즐거운 서간의 모델로 널리 여겨졌다.[4]블루스타킹 엘리자베스 몬태규와 메리 델라니와 같이, 많은 18세기 인물들은 주로 서간을 통해 웅변적인 작가로서 명성을 얻었다.[8]
2. 4. 20세기
20세기에는 서간집이 문학 작품으로 덜 두드러지게 출판되었다. 작가의 명성을 쌓기 위해 작가의 생전에 출판되기보다는, 20세기 예술가들의 편지는 사후에 그들의 유산을 확고히 하기 위해 수집되어 출판되는 경향이 있었다.[8] 찰스 디킨스의 편지, 마크 트웨인, 이디스 워튼과 같은 일부 19세기 작가들의 편지는 20세기에 학술적인 판본으로 처음 출판되었다. 20세기 작가들의 주요 서간집으로는 조지프 콘래드, 조지 버나드 쇼, 제임스 조이스, 버지니아 울프의 서간집 등이 있다.[8] 20세기의 다른 예술가들의 편지로는 《빈센트 반 고흐의 편지》(1914년 초판), 라이너 마리아 릴케의 《젊은 시인에게 보내는 편지》(1929년 초판), 프란츠 카프카의 《밀레나에게 보낸 편지》(1952년 초판) 등이 있다.3. 진정성과 문학성
서간집은 항상 "문학적" 텍스트로 여겨지지는 않았다. 19세기에 아돌프 다이츠만과 같은 학자들은 "진정한 서한"과 "문학적 서한"을 구분했는데, "진정한 서한"은 기능적인 의사 전달에만 초점을 맞춘 사적인 문서였고, "문학적 서한"은 광범위한 독자를 예상하고 예술적 가치를 지닌 채 쓰여졌다. 이러한 구분에서, 진정한 서한은 사실적인 사건의 증거로 사용될 수 있었던 반면, 문학적 서한은 예술 작품으로 해석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현대 학자들은 모든 서한이 역사적 정보와 예술적 가치를 모두 가지고 있으며, 이 둘 모두 신중한 맥락화가 필요하다고 본다.[5]
18세기 유럽에서는 많은 작품들이 실제 편지로 부쳐지지 않았음에도 서간체 스타일로 쓰여졌는데, 여기에는 학술 연구 및 여행기뿐만 아니라 서간체 소설도 포함되었다.[7] "친밀한 서한"이라는 용어는 출판 전에 개인적인 독자를 위해 쓰여진 진정한 서신으로 구성된 서간집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7]
4. 수집가의 역할
라틴 시대에는 그리스 시대보다 저자가 직접 편지를 수집하는 것이 더 일반적이었다.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자체적으로 정리한 서간집을 출판했지만, 오늘날까지 전해지지는 않는다. 키케로는 자신의 편지를 수집할 계획을 언급했지만, 사망하기 전에 이를 실행하지는 못했다.[5] 플리니우스 더 영거의 서간은 저자가 직접 수집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서간집이다.[5]
참조
[1]
서적
Understanding Medieval Primary Sources: Using Historical Sources to Discover Medieval Europ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06-03
[2]
논문
On the Nature of Ancient Letter Collections
https://www.jstor.or[...]
2012
[3]
논문
Reading Published Letter Collections as Literary Texts: Maria Chabot—Georgia O'Keeffe Correspondence, 1941–1949 as a Case Study
https://www.jstor.or[...]
2008
[4]
백과사전
Letters: General Survey
Routledge
2001
[5]
서적
Late antique letter collections: a critical introduction and reference guide
https://www.worldcat[...]
2019
[6]
백과사전
Britain: Restoration and 18th-Century Diaries and Letters
Routledge
2001
[7]
논문
Travel Narratives and the Familiar Letter Form in the Mid-Eighteenth Century
https://www.jstor.or[...]
1998
[8]
논문
The Twentieth-Century English Letter: A Dying Art?
https://www.jstor.or[...]
1990
[9]
간행물
Letter book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10]
서적
Understanding Medieval Primary Sources: Using Historical Sources to Discover Medieval Europ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06-03
[11]
백과사전
Letters: General Survey
Routledge
2001
[12]
논문
On the Nature of Ancient Letter Collections
https://www.jstor.or[...]
2012
[13]
논문
Reading Published Letter Collections as Literary Texts: Maria Chabot—Georgia O'Keeffe Correspondence, 1941–1949 as a Case Study
https://www.jstor.or[...]
2008
[14]
웹인용
신한첩
https://terms.naver.[...]
2022-12-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