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경도는 중국 다퉁 시와 관련된 역사적 지명이다. 요나라 시기에는 서경으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한나라, 당나라 시기에는 운중도독부, 선우도독부 등으로 불렸다. 부민현, 진무현, 유복현, 영인현, 신무현, 유림현, 하빈현 등이 서경도에 속해 있었으며, 천덕군, 영원주 진서군, 봉성주 무정군, 무주 선위군, 동승주 무흥군, 금숙주, 하청군 등 다양한 군과 주가 설치되었다.
다퉁 시의 역사를 참조하면, 요나라 시기 서경으로서 다퉁 시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음을 알 수 있다.
절도사가 주의 민정을 맡았다. 영가의 난 때 혁련발발이 이곳을 차지했다.[1] 북주에서는 영풍진(永豊鎭)을 설치했다.[1] 수나라는 개황 시기에 영풍진을 영풍현으로 바꾸고 풍주로 고쳤으며, 611년(대업 7년)에는 오원군에 속하게 했다.[1] 617년(의녕 원년) 태수 장손주가 귀순군(歸順郡)으로 개명했다.[1] 618년 당나라는 풍주총관부(豊州總管府)를 설치했다가 5년 뒤 폐지하고 주민들을 백마현(白馬縣)으로 옮겼다.[1] 630년(정관 4년) 영주(靈州)에서 분리하여 상주도독부(相州都督府)를 두었다.[1] 천보 초에 구원군으로 고쳤다가 758년 풍주로 복구했으나 후에 위구르가 차지했다.[1] 회창 초에 그들을 격파하고 후당이 천덕군으로 개명했다.[1] 920년(신책 5년) 하급주로 바꾸고 응천군(應天軍)으로 바꿨다.[1] 이곳에는 대염락(大鹽濼), 99개의 연못, 몰월락(沒越濼), 고적구(古磧口), 이끼가 난 왕소군의 묘가 있다.[1] 서남면초토사(西南面招討司)가 주의 군정을 맡았다.[1]
하급주로 절도사가 주의 민정을 맡았다. 요나라 초기 대북운삭초토사(代北雲朔招討司)를 두었다가 운내주로 고쳤다. 위새군(威塞軍), 고가돈성(古可敦城), 대동천(大同川), 천안군(天安軍), 영제책(永濟柵), 안락수(安樂戍), 불운퇴(拂雲堆)가 있었다. 서남면초토사가 주의 군정을 맡았다. 2현을 두었다.
2. 서경 대동부
3. 풍주 천덕군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부민현 富民縣 후허하오터 시 진무현 振武縣 호흐호트 시 호린게르 현
3. 1. 부민현
한나라 임융현(臨戎縣)이었다가 요나라 때 현재의 이름으로 고쳐졌다. 1,200호가 살았다.[1]
3. 2. 진무현
한나라 성락현이 있었다. 621년 당나라가 돌궐을 격파하고 이곳에 운중도독부(雲中都督府)를 두었다.[1] 666년(인덕 3년) 선우도독부(單于大都督府)로 개명했다.[1] 698년(성덕 원년)에 안북도독부로 개명했다.[1] 719년(개원 7년) 동수강성(東受降城)에 소속시켰다.[1] 720년에 진무군절도사(振武軍節度使)를 설치했다.[1] 845년(회창 5년)에 안북도호부(安北都護府)로 바꾸었다.[1] 후당 이존욱이 그의 형 이사본(李嗣本)을 진무절도사로 임명했다.[1] 918년 야율아보기가 토욕혼을 공격함과 동시에 이곳을 공격했고 이곳에서 잡은 포로들은 모두 동쪽으로 보내고 300명의 병사들에게 수비하도록 했다.[1]
4. 운내주 개원군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유복현 柔服縣 후허하오터 시 투모터 좌기 서북 영인현 寧人縣
4. 1. 유복현
본래 중수강성(中受降城)이 있던 곳이다. 요나라 초기 이곳에 대북운삭초토사(代北雲朔招討司)를 두었다가 운내주로 고쳤다. 서남면초토사가 주의 군정을 맡았다. 유복현(柔服縣)은 현재의 후허하오터 시 투모터 좌기 서북쪽에 위치해 있었다.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
유복현 | 柔服縣 | 후허하오터 시 투모터 좌기 서북 |
영인현 | 寧人縣 |
4. 2. 영인현
요나라 초기 이곳에 대북운삭초토사(代北雲朔招討司)를 두었다가 운내주로 고쳤다. 위새군(威塞軍), 고가돈성(古可敦城), 대동천(大同川), 천안군(天安軍), 영제책(永濟柵), 안락수(安樂戍), 불운퇴(拂雲堆)가 있었다. 서남면초토사가 주의 군정을 맡았다. 영인현(寧人縣)은 현의 위치 정보가 기록되어 있지 않다.5. 천덕군
바얀누르 시에 위치한 군사적 요충지로, 중수강성이 있었다. 개원 시기에 횡새군을 폐하고 대동천에 천안군을 설치했다. 건원 시기에 천덕군으로 바꾸고 요대의 치소가 있는 영제책으로 옮겼다. 요 태조가 탕구트를 점령한 뒤 이곳을 격파하고 주민들을 모두 동쪽으로 이주시킨 뒤 초토사를 설치했다. 장차 재건되니 국족(國族)들로 하여금 천덕군절도사를 설치했다. 황하, 흑산골(黑山峪), 노성(盧城), 위새군(威塞軍), 진과 당시절의 장성, 모나산(牟那山)이 있다. 겸이자성(鉗耳觜城)은 성의 북쪽에 있었다.
6. 영원주 진서군
7. 봉성주 무정군
봉성주 문서 참조.
8. 무주 선위군
석경당이 연운 16주를 요나라에 할양하면서 넘겨진 지역 중 하나이다. 하급주로 자사가 주의 민정을 맡았다. 무천새에 설치되었다. 후당 시기에 의주로 개칭되었다가 1039년(요 중희 9년)에 무주로 변경되고 선위군이라는 명칭이 추가되었다.[1]
8. 1. 신무현
조위가 무천새(武川塞)에 신무현(神武縣)을 설치했다. 후당에서 의주(毅州)로 고쳤다가 1039년(중희 9년) 무주로 고치고 선위군을 이명으로 삼았다. 신무현에 치소를 두었다.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신무현 | 神武縣 | 신저우시 선츠현 | 서진에서 신성(新城)으로 고쳤다. 이극용이 신무현 신성에서 태어났다. 처음에 삭주에 속했으나, 후에 무주로 독립하였다. 5,000호가 살았다. |
9. 동승주 무흥군
동승주는 하급주로 자사가 주의 민정을 담당했다. 587년(개황 7년) 승주가 설치되었는데, 609년(대업 5년) 군제 시행으로 유림군(楡林郡)으로 개칭되었다. 631년(정관 5년) 강 남쪽에 결승주(決勝州)가 설치되면서 동승주라는 이름이 붙었다. 748년(천보 7년) 유림군으로 다시 바뀌었다가 10년 뒤 승주로 개칭되었다. 918년 거란이 진무군을 공격한 뒤 주민들을 하동으로 이주시킨 후 폐지되었다. 서남면초토사가 주의 군정을 맡았으며, 유림현과 하빈현의 2개 현을 두었다.[1]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
유림현 | 楡林縣 | 호흐호트시 토크토 현 |
하빈현 | 河濱縣 | 오르도스시 준가르 기 동북쪽 황하 변 |
9. 1. 유림현
楡林縣|유림현중국어은 호흐호트시 토크토 현에 위치했던 현이다.[1]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
유림현 | 楡林縣 | 호흐호트시 토크토 현 |
하빈현 | 河濱縣 | 오르도스시 준가르 기 동북쪽 황하 변 |
9. 2. 하빈현
현재의 오르도스시 준가르 기 동북쪽 황하 변에 위치했던 현이다.[1]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
하빈현 | 河濱縣 | 오르도스시 준가르 기 동북쪽 황하 변 |
10. 금숙주
1050년(중희 20년) 요나라가 서하를 공격하고 설치했다. 오르도스 시 준가르 기에 위치했으며, 연지역의 주민 300호와 방추군 1,000명으로 설치되었다. 서남면 초토사가 주의 군정을 맡았다.[1]
11. 하청군
요나라가 서하와 친선을 맺자 상경으로 향하는 도로를 건설하면서 설치되었다. 1042년 성을 쌓고 하청군을 설치했다. 500호와 방추군 1,000명으로 설치되었으며, 서남면초토사가 군정을 담당했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