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역도호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역도호부는 한나라가 흉노를 견제하고 실크로드 무역을 통제하기 위해 설치한 군사 기구이다. 기원전 60년 흉노의 귀순을 계기로 정식 설치되었으며, 서역 지역의 군사적, 외교적, 경제적, 문화적 기능을 수행했다. 신나라 왕망의 강압적인 정책으로 일시 폐지되었으나, 후한 시대에 반초 등의 활약으로 재건되었다. 이후 여러 차례 재설치와 폐지를 반복하며, 서역 지역의 여러 도시 국가들을 통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서역도호부 | |
---|---|
개요 | |
명칭 | 서역도호부 |
영문 명칭 | Protectorate General to Pacify the West |
행정 | |
관할 종류 | 도호부 |
국가 | 한나라 |
역사 | |
시대 | 고대 |
설치 | 기원전 59년 |
폐지 | 107년 |
주요 사건 | 설치 및 폐지 |
위치 | |
![]() | |
현재 국가 | 중화인민공화국 몽골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
통치 | |
정치 체제 | 도호부 |
직책 | 도호 |
지도자 | 기록 없음 |
기타 | |
관련 서적 | url= |
2. 역사
한-흉노 전쟁 당시, 중국 제국은 실크로드 무역 통제를 위해 우뢰(현재 룬타이현[5], 카라샤르 서쪽[4])에 군사 주둔지를 설치했다.
기원전 101년 천마전쟁 이후 돈황과 염호 사이에 한나라 주둔지가 설치되었고, 룬타이와 굴리에는 농민 병사들이 주둔하며 한나라 사신들을 위한 곡물 저장을 관리했다.[7]
기원전 60년(혹은 59년), 흉노 우현왕이 한나라에 투항하면서 정기를 초대 도호로 하여 우레이에 서역도호부가 설치되었다.[7]
왕망의 신나라(8년 ~ 23년) 건국으로 서역도호부가 폐지되자, 기원 45년 서역 18국이 한나라에 도호부 재설치를 요청했으나 광무제는 거절했다.[8]
동한(25년 ~ 220년) 시대, 반초 등의 활약으로 서역도호부가 재건되었다. 74년 명제는 장군 진무를 도호로 임명했으나, 진무는 연기와 구자 반란군에 살해되었다.[8] 83년 서역장관으로 임명된 반초는 91년 서역 재정복 후 도호가 되었다.[8]
107년 흉노 봉기로 단희가 죽고 도호부가 폐지되었다.[7] 이후 123년에서 124년 사이 반초의 아들 반융에 의해 다시 설치되었고, 335년 전량이 고창에 설치했다가 북량 멸망과 함께 폐지되는 등 여러 차례 재설치와 폐지를 반복했다.[7]
2. 1. 배경
한-흉노 전쟁 당시, 중국 제국은 우뢰(현재 룬타이현[5], 카라샤르 서쪽[4])에 군사 주둔지를 설치했다. 중국은 흉노를 내몽골에서 멀리하고 이 지역을 통과하는 귀중한 실크로드 무역을 통제하기 위해 서역을 장악하려 했다. 서역의 현지 주민들은 다양했으며, 유라시아 출신이거나 인도유럽어족 언어를 사용하는 여러 집단이 있었다. 이들 중에는 토하라어를 사용하는 아르시(Ārśi, 후에 아그니/카라샤르), 쿠차(쿠차), 구모(후에 아크수), 투르판(투르판), 로란(크로랜/코르라) 등의 도시 국가가 있었다. 또한 호탄과 카슈가르의 오아시스 도시 국가 주민들은 사카어(동이란어군의 하나)[6]를 사용했다.
서역도호부 설치 이전에는 "사신(使臣)을 돕는 대좌(大佐)"라는 이전 주둔지가 있었는데, 이는 기원전 101년 천마전쟁이 끝난 지 1년 후에 설치되었다. 전쟁 후, 돈황과 염호 사이에 한나라의 주둔지가 세워졌고, 룬타이와 굴리에는 수백 명의 농민 병사들이 주둔했다. 이 주둔지는 농지를 보호하고 다른 국가로 여행하는 한나라 사신들을 위한 곡물 저장을 관리하기 위해 설치되었다.[7]
2. 2. 설치
기원전 60년(혹은 59년), 흉노 우현왕이 한나라에 투항하면서 서역도호부가 정식으로 설치되었다.[7] 정기는 우현왕을 맞이한 공로로 초대 도호에 임명되었다. 서역도호부의 본부는 우레이에 설치되었다.[7]2. 3. 변천
왕망이 신나라(8년 ~ 23년)를 건국하면서 서역도호부는 폐지되었다. 이로 인해 서역 지역은 혼란에 빠졌고, 기원 45년에는 서역 18국이 한나라에 도호부 재설치를 요청했으나 광무제는 이를 거절했다.[8]동한(25년 ~ 220년) 시대, 반초, 두구, 곽순 등의 활약으로 서역도호부가 재건되었다. 74년, 명제는 장군 진무에게 도호 직책을 수여했으나, 진무는 연기와 구자의 반란군에 의해 살해되었다.[8] 83년에는 서역장관 직책이 설치되어 반초가 임명되었고, 91년 서역을 재정복한 후 도호가 되었다.[8] 반초는 쿠샨 제국의 침공을 격퇴하는 등 군사적 업적을 세웠을 뿐만 아니라, 현지 문화와 관습을 존중하는 정책을 펼쳐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서역을 통치했다.
107년 7월 29일, 흉노의 봉기로 인해 단희가 죽고 도호부는 다시 폐지되었다.[7] 이후 123년에서 124년 사이에 반초의 아들 반융에 의해 다시 설치되었고, 335년 전량에 의해 고창에 설치되었다가 북량의 멸망과 함께 폐지되는 등 여러 차례 재설치와 폐지를 반복했다.[7]
3. 주요 임무 및 기능
서역도호부는 군사적, 경제적 기능 외에도 외교 및 문화적 기능을 수행했다.
서역도호부는 한나라를 대표하여 서역의 여러 소국들과 외교 관계를 맺고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서역에는 유라시아 출신이거나 인도유럽어족 언어를 사용하는 여러 집단이 있었다.[4] 여기에는 토하라어를 사용하는 ''Ārśi'' (아르시, 후에 아그니/카라샤르), ''쿠차'' (쿠차), ''구모'' (후에 아크수), ''투르판'' (투르판), 로란 (크로랜/코르라)과 같은 도시 국가들과 핫산, 카슈가르의 오아시스 도시 국가 주민들이 사용한 사카어(동이란어군의 하나)가 포함된다.[6] 한나라는 이들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거나 조공을 받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영향력을 확대했다.
기원전 59년 또는 60년, 남흉노의 우현왕 비(比)가 한나라에 귀순하면서 서역도호부가 설치되었고, 비는 효왕이라는 작위를 받았다.[7]
문화적 측면에서 서역도호부는 중국과 서역 간의 문화 교류를 촉진했다. 타림 분지 남부에서 발견된 도호부 시기 화폐에는 중국어와 함께 현지 인도-유럽어에 사용된 카로슈티 문자가 새겨져 있었다.[9]
3. 1. 군사적 기능
서역도호부는 흉노 등 유목 민족의 침입을 방어하고, 실크로드 무역로의 안전과 서역 지역의 안정을 유지하는 중요한 군사적 기능을 수행했다. 서역도호부는 타림 분지 내 오아시스 도시 국가들에 대한 군사적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유사시 군사력을 투사하여 이 지역에 대한 한나라의 지배력을 강화했다.[7]서역도호부 설치 이전, 기원전 101년 천마전쟁 이후 돈황과 염호 사이에 한나라의 주둔지가 설치되었고, 룬타이와 굴리에는 수백 명의 농민 병사들이 주둔하여 농지를 보호하고 한나라 사신들을 위한 곡물 저장을 관리했다.[7]
서역도호부는 서역에서 가장 높은 한나라의 군사 직책이었다.[7] 기원전 51년, 서역도호부의 전성기에는 우스니가 한나라에 복속되기도 했다.[3] 왕망의 신나라 시기에 잠시 폐지되었다가, 동한 시대에 반초 등에 의해 재설치되어 서역 지역에 대한 한나라의 영향력을 회복했다.[8]
3. 2. 경제적 기능
서역도호부중국어는 실크로드 교역로를 보호하고 관리하여, 동서 교역의 안전과 활성화를 도모했다. 한나라는 흉노를 내몽골에서 멀리하고 이 지역을 통과하는 귀중한 실크로드 무역을 통제하기 위해 서역을 장악하려 했다.[4] 교역을 통해 발생하는 세금을 징수하고, 물자를 관리하는 등 경제적 이익을 확보했다. 특히, 서역 지역의 특산물(예: 천마)을 확보하고, 중국의 선진 문물을 전파하는 데 기여했다.천마전쟁이 끝난 기원전 101년 1년 후 "사신(使臣)을 돕는 대좌(大佐)"라는 이전 주둔지가 설치되었다.[7] 전쟁 후, 돈황과 염호 사이에 한나라의 주둔지가 세워졌고, 룬타이와 굴리에는 수백 명의 농민 병사들이 주둔했다. 이 주둔지는 농지를 보호하고 다른 국가로 여행하는 한나라 사신들을 위한 곡물 저장을 관리하기 위해 설치되었다.[7]
4. 역대 도호
서역도호부의 역대 도호는 다음과 같다. 이들은 전한, 신나라, 후한 시대에 걸쳐 서역 지역을 통치한 주요 인물들이다.
이름 | 재임 기간 | 주요 업적 및 사건 |
---|---|---|
정기 | 기원전 60년 - 기원전 48년 | 서역도호부 설치, 남흉노 우현왕 비의 귀순 |
한선(韓宣) | 기원전 48년 - 기원전 45년 | |
(미상) | 기원전 45년 - 기원전 42년 | |
(미상) | 기원전 42년 - 기원전 39년 | |
(미상) | 기원전 39년 - 기원전 36년 | |
감연수(甘延寿) | 기원전 36년 - 기원전 33년 | |
단회종(段会宗) | 기원전 33년 - 기원전 30년 | |
렴포(廉褒) | 기원전 30년 - 기원전 27년 | |
(미상) | 기원전 27년 - 기원전 24년 | |
한립(韓立) | 기원전 24년 - 기원전 21년 | |
단회종(段会宗) | 기원전 21년 - 기원전 18년 | (재임) |
(미상) | 기원전 18년 - 기원전 15년 | |
곽순(郭舜) | 기원전 15년 - 기원전 12년 | |
손건(孫建) | 기원전 12년 - 기원전 9년 | |
(미상) | 기원전 9년 - 기원전 6년 | |
(미상) | 기원전 6년 - 기원전 3년 | |
(미상) | 기원전 3년 - 서기 1년 | |
단흠(但欽) | 1년 - 13년 | 언기(焉耆)에 의해 살해됨 |
리충 | 13년 - 23년 | |
사차(莎車)왕 현(賢) | 대도호 칭함 | |
천무 | 74년 - 75년 | 언기(焉耆)와 거자(龜茲)에 의해 살해됨 |
반초(班超) | 91년 - 102년 | 쿠샨 제국 격퇴 |
인상 | 102년 - 106년 | |
단희 | 106년 - 107년 |
특히, 반초는 뛰어난 군사적 능력으로 쿠샨 제국의 침입을 막아내고 서역 지역의 안정을 가져온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의 외교적 노력과 현지 세력과의 협력은 긍정적인 통치 방식으로 평가될 수 있다. 반면, 강압적인 통치를 펼친 일부 도호들은 현지인들의 반발을 사기도 했다.
5. 36개 도시 국가
도시 | 가구 수 | 인구 | 군사 수 |
---|---|---|---|
베이루 | 277 | 1,387 | 422 |
후베이루 | 462 | 1,137 | 350 |
단환 | 27 | 194 | 45 |
구호 | 55 | 264 | 45 |
구모 | 3,500 | 24,500 | 4,500 |
한미 | 3,340 | 20,040 | 3,540 |
제 | 99 | 500 | 115 |
경결 | 480 | 3,360 | 500 |
동주미 | 191 | 1,948 | 572 |
서주미 | 332 | 1,926 | 738 |
주씨 | 700 | 6,050 | 1,865 |
후주씨 | 595 | 4,774 | 1,890 |
뤄란 | 1,570 | 14,100 | 2,912 |
모산 | 450 | 5,000 | 1,000 |
피산 | 500 | 3,500 | 500 |
풀레이 | 325 | 2,032 | 799 |
후풀레이 | 100 | 1,070 | 334 |
창뤄 | 450 | 1,750 | 500 |
첨목 | 230 | 1,610 | 320 |
구자 | 6,970 | 81,317 | 21,076 |
굴래 | 310 | 2,170 | 300 |
굴리 | 240 | 1,610 | 300 |
술래 | 1,510 | 18,647 | 2,000 |
소주 | 2,339 | 16,373 | 3,049 |
위리 | 1,200 | 9,600 | 2,000 |
위투 | 300 | 2,300 | 800 |
위서 | 700 | 4,900 | 2,000 |
운수 | 2,200 | 8,400 | 1,500 |
울레이(중앙사령부) | 110 | 1,200 | 300 |
우탄즈리 | 41 | 231 | 57 |
소원 | 150 | 1,050 | 200 |
서예 | 350 | 4,000 | 1,000 |
연기 (식민지) | 4,000 | 32,100 | 6,000 |
유리씨 | 190 | 1,445 | 331 |
유천 | 3,300 | 19,300 | 2,400 |
6. 지도
7. 의의 및 평가
서역도호부는 당나라가 서역 지역을 효과적으로 통치하고, 동서 문화 교류를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러나 당나라의 쇠퇴와 함께 서역도호부도 그 기능을 상실하고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참조
[1]
서적
China and her neighbours, from ancient times to the Middle Ages: a collection of essays
Progress Publishers
[2]
웹아카이브
Xiyu Duhu
http://203.72.198.24[...]
[3]
서적
A Comprehensive History of Western Regions
Zhongzhou Guji Press
[4]
서적
Thought and Law in Qin and Han China: Studies Dedicated to Anthony Hulsewâe on the Occasion of His Eightieth Birthday
https://books.google[...]
Brill Archive
1990
[5]
서적
The General Theory of Dunhuang Studie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22-03-25
[6]
서적
The Spread of Buddhism
https://archive.org/[...]
Koninklijke Brill
[7]
웹사이트
A Study of the Histor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estern and Eastern Han, Wei, Jin,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and the Western Regions
http://sino-platonic[...]
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s
2006-10
[8]
웹사이트
The Western Territories 西域 (www.chinaknowledge.de)
http://www.chinaknow[...]
[9]
서적
Eurasian Crossroads: A History of Xinjiang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10]
서적
한서외국전역주
동북아역사재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