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서는 전한 시대의 역사를 기록한 역사서로, 본기, 표, 지, 열전의 네 부분으로 구성된다. 본기는 황제의 재위 기간 주요 사건을 연대순으로 기록하고, 표는 인물, 사건, 관직 등을 도표로 정리하며, 지는 제도, 문화, 경제, 사회 등 각 분야를 서술한다. 열전은 주요 인물들의 행적을 기록한 전기이다. 특히 지리지에는 위만조선 관련 내용이, 열전에는 위만조선의 성립과 멸망 과정이 기록되어 있어 한국 고대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또한 한서에는 일본에 대한 최초의 기록도 포함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세기 역사책 - 황제전
    《황제전》은 수에토니우스가 쓴 초대 로마 황제 12명의 전기를 모은 책으로, 가십과 주관적인 의견을 포함하지만 황제들의 유산, 습관, 외모, 정치 경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 2세기 역사책 - 로마 편년사
    로마 편년사는 타키투스가 집필한 역사서로, 티베리우스 황제부터 네로 황제까지의 로마 제국사를 다루며 원수정에 대한 관점과 인물 묘사가 특징적이지만 일부가 유실되었고 르네상스 시대에 발견되어 로마사 연구에 활용된다.
  • 한나라의 문학 - 논형
    《논형》은 후한 시대 왕충이 사회 현상과 통념을 비판적으로 논하며 저울질하는 의미를 담아 쓴 30권 85편의 철학 서적으로, 19세기 이후 여러 학자들에 의해 연구되고 번역되었다.
  • 한나라의 문학 - 태평경
    태평경은 혼란한 시대를 극복하고 태평성대를 구현하기 위한 도교 경전으로, 우주 균형 회복, 개인 수양, 천사의 역할을 강조하며, 한나라 시대에 다양한 판본이 존재했으나 현재는 일부 내용만 전해진다.
  • 이십사사 - 삼국지
    진수가 쓴 《삼국지》는 위, 촉, 오 삼국의 역사를 기록한 기전체 역사서로, 위지, 촉지, 오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후대에 《삼국지연의》에 영향을 주고 동아시아 역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쓰인다.
  • 이십사사 - 명사 (역사서)
    명사(明史)는 청나라가 편찬한 명나라의 역사서로, 명나라 황제, 제도, 인물들의 기록을 담고 있으며, 자료적 가치가 높지만 명나라에 대한 부정적 묘사 및 역사 왜곡 가능성도 제기된다.
한서
개요
제목한서
원제漢書
저자반고
시대후한
완성 시기111년
다른 이름전한서 (前漢書)
후속작후한서
구성
권수100권
내용본기 (本紀): 12권
표 (表): 8권
지 (志): 10권
열전 (列傳): 70권
역사적 맥락
이전 역사서사기
서술 범위전한 시대
중요성중국 역사 연구의 중요한 자료
특징
특징기전체 역사서
영향이후의 역사서 편찬에 큰 영향을 미침
기타
관련 인물사마천 (사기 저자)
반표 (반고의 아버지)
반소 (반고의 여동생, 일부 내용 완성)

2. 구성

반고가 저술한 『한서』는 크게 본기(本紀), (表), (志), 열전(列傳)의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 본기(本紀): 황제의 행적을 중심으로 주요 사건을 연대순으로 기록한 것이다.
  • 표(表): 주요 인물 및 관직의 계보와 변천 과정을 도표 형식으로 정리한 것이다.
  • 지(志): 법률, 과학, 지리, 문학 등 특정 분야에 대한 논문을 모아 놓은 것이다.
  • 열전(列傳): 황제 이외의 주요 인물들의 생애와 업적을 기록한 전기이다. 여러 명을 함께 묶어 한 편으로 싣기도 했다.


『한서』는 반표사마천의 『사기』를 이어 쓴 『후전』에서 시작되었다. 반표의 아들 반고가 『사기』와 미완의 『후전』을 정리하고 보충하여 『한서』를 만들었다. 다만, 팔표와 천문지는 미완이었으며, 화제 때 반고의 여동생 반소와 마속에 의해 완성되었다.[5]

반고는 기전체(紀傳體,纪传体중국어) 형식을 처음으로 사용하여, 이후 역사서의 모범이 되도록 하였다. 그는 사마천의 자료를 상당 부분 그대로 사용했지만, 내용을 확장하기도 했다. 또한 아버지 반표가 쓴 내용도 일부 포함시켰다.

『한서』는 총 100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 과학, 지리, 문학 등에 대한 논문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장건이 서쪽으로 여행하면서 얻은 서역에 대한 문화적, 사회 경제적 정보는 96권에 수록되어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3]

『한서』는 후대 중국 왕조 역사 저술의 기준이 되었으며, 오늘날에도 한나라 시대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참고 자료로 활용된다. 이 책은 『사기』, 『삼국지』, 『후한서』와 함께 『이십사사』의 "사사"(四史) 중 하나로 꼽힌다.

『한서』의 구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분야사: 「서(書)」를 「지(志)」로 변경했다.
  • 전기: 「세가(世家)」를 폐지하고 「열전(列傳)」에 포함시켰다.
  • 연표: 「백관공경표(百官公卿表)」를 창설하여 관제의 연혁을 나타냈다. 「고금인표(古今人表)」를 저술하여 태고부터 한(漢) 이전의 인물을 평가했다.

2. 1. 본기(本紀)

紀|기중국어(연대기)는 12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한 황제들의 재위 기간 동안 일어난 주요 사건들을 연대순으로 기록하였다. 각 황제별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권수인물시기(음력)비고
권1(상, 하)고제 ()기원전 209년 1월 ~ 기원전 195년 4월
권2혜제 ()기원전 195년 5월 ~ 기원전 188년 8월
권3고후 여씨
전소제
후소제 홍
기원전 188년 8월 ~ 기원전 180년 8월
권4문제 (항)기원전 180년 8월 ~ 기원전 157년 6월
권5경제 (계)기원전 157년 6월 ~ 기원전 141년 1월
권6무제 ()기원전 141년 1월 ~ 기원전 87년 2월
권7소제 (불릉)기원전 87년 2월 ~ 기원전 74년 4월
권8해혼후 하
선제 ()
기원전 74년 4월 ~ 기원전 49년 12월
권9원제 ()기원전 49년 12월 ~ 기원전 33년 5월
권10성제 (오)기원전 33년 5월 ~ 기원전 7년 3월
권11애제 ()기원전 7년 3월 ~ 기원전 1년 6월
권12평제 (간)기원전 1년 6월 ~ 서기 5년 12월


2. 2. 표(表)

번호제목비고
권13표1이성제후왕표(異姓諸侯王表)유(劉)씨 성이 아닌 제후왕들의 계보를 기록하였다.
권14표2제후왕표(諸侯王表)유씨 제후왕들의 계보를 기록하였다.
권15(上)표3 上왕자후표(王子侯表) 上제후왕의 아들들의 계보를 기록하였다.
권15(下)표3 下왕자후표(王子侯表) 下
권16표4고혜고후문공신표(高恵高后文功臣表)고제, 혜제, 문제, 고후 시대의 공신들을 기록하였다.
권17표5경무소선원성공신표(景武昭宣元成功臣表)경제, 무제, 소제, 선제, 원제, 성제 시대의 공신들을 기록하였다.
권18표6외척은택후표(外戚恩澤侯表)황제의 외척으로서 은혜를 입어 제후에 봉해진 인물들을 기록하였다.
권19(上)표7 上백관공경표(百官公卿表) 上전한의 중앙 관직과 그 변천 과정을 기록하였다.
권19(下)표7 下백관공경표(百官公卿表) 下
권20표8고금인표(古今人表)고대부터 한나라 시대까지의 주요 인물들을 기록하였다.


2. 3. 지(志)

제목비고
율력지(律曆志)역법(曆法)과 음악의 음률(音律) 설명. 등평 등의 태초력, 유흠삼통력 수록.
예악지(禮樂志)예(禮)와 악(樂) 설명.
형법지(刑法志)형벌과 법률 설명.
식화지(食貨志) 上, 식화지(食貨志) 下농업, 상업, 화폐 등 경제 전반 설명.
교사지(郊祀志) 上, 교사지(郊祀志) 下하늘과 땅에 지내는 제사 설명.
천문지(天文志)천문 현상과 점성술(占星術) 설명.
오행지(五行志) 上, 오행지(五行志) 中-上, 오행지(五行志) 中-下, 오행지(五行志) 下-上, 오행지(五行志) 下-下오행(五行) 사상과 관련된 자연 현상 및 인사 설명.
지리지(地理志) 上, 지리지(地理志) 下전한의 행정 구역, 지리, 풍속 등 기록. 위만조선 관련 내용 포함(한국 고대사 연구에 중요).
구혁지(溝洫志)치수(治水)와 관개(灌漑) 사업 설명.
예문지(藝文志)전한 시대 학술 및 서적 설명. 유향의 "별록(別錄)", 유흠의 "칠략" 바탕으로 서적 분류 및 해설.


2. 4. 열전(列傳)

부제목록비고
권31열전1진승항우전
(陳勝項羽傳)
진승(陳勝), 항우(項羽)
권32열전2장이진여장함전
(張耳陳餘章邯傳)
장이(張耳), 진여(陳餘), 장함(章邯)
권33열전3위표전담한왕신전
(魏豹田儋韓王信傳)
위표(魏豹), 전담(田儋), 한왕 신(韓王 信)
권34열전4한팽영노오전
(韓彭英盧吳傳)
한신(韓信), 팽월(彭越), 영포(英布), 노관(盧綰), 오예(吳芮)
권35열전5형연오전
(荊燕吳傳)
형왕 고(荊王 賈), 연왕 택(燕王 澤), 오왕 비(吳王 濞)
권36열전6초원왕전
(楚元王傳)
초원왕 교(楚元王 交), 유벽강(劉辟彊), 유향(劉向), 유흠(劉歆)
권37열전7계포난포전숙전
(季布欒布田叔傳)
계포(季布), 난포(欒布), 전숙(田叔)
권38열전8고오왕전
(高五王傳)
제도혜왕 비(齊悼惠王 肥), 조은왕 여의(趙隱王 如意), 조유왕 우(趙幽王 友), 조공왕 회(趙共王 恢), 연영왕 건(燕靈王 建)
권39열전9소하조참전
(蕭何曹參傳)
소하(蕭何), 조참(曹參)
권40열전10장진왕주전
(張陳王周傳)
장량(張良), 진평(陳平), 왕릉(王陵), 주발(周勃)
권41열전11번역등관부근주전
(樊酈滕灌傅靳周傳)
번쾌(樊噲), 역상(酈商), 하후영(夏侯嬰), 관영(灌嬰), 부관(傅寬), 근흡(靳歙), 주설(周緤)
권42열전12장주조임신도전
(張周趙任申屠傳)
장창(張蒼), 주창(周昌), 조요(趙堯), 임오(任敖), 신도가(申屠嘉)
권43열전13역육주유숙손전
(酈陸朱劉叔孫傳)
역이기(酈食其), 육고(陸賈), 주건(朱建), 유경(劉敬), 숙손통(叔孫通)
권44열전14회남형산제북왕전
(淮南衡山濟北王傳)
회남여왕 장(淮南厲王 長), 형산왕 사(衡山王 賜), 제북정왕 발(濟北貞王 勃)
권45열전15괴오강식부전
(蒯伍江息夫傳)
괴통(蒯通), 오피(伍被), 강충(江充), 식부궁(息夫躬)
권46열전16만석위직주장전
(萬石衞直周張傳)
석분(石奮), 위관(衛綰), 직불의(直不疑), 주인(周仁), 장구(張歐)
권47열전17문삼왕전
(文三王傳)
양효왕 무(梁孝王 武), 대효왕 참(代孝王 参), 양회왕 읍(梁懷王 揖)
권48열전18가의조등전
(賈誼曹騰傳)
가의(賈誼), 조등(曹騰)
권49열전19원앙조조전
(爰盎晁錯傳)
원앙(袁盎), 조조(鼂錯)
권50열전20장풍급정전
(張馮汲鄭傳)
장석지(張釋之), 풍당(馮唐), 급암(汲黯), 정당시(鄭當時)
권51열전21가추매노전
(賈鄒枚路傳)
가산(賈山), 추양(鄒陽), 매승(枚乘), 노온서(路溫舒)
권52열전22두전관한전
(竇田灌韓傳)
두영(竇嬰), 전분(田蚡), 관부(灌夫), 한안국(韓安國)
권53열전23경십삼왕전
(景十三王傳)
임강민왕 영(臨江閔王 榮), 하간헌왕 덕(河間獻王 德), 임강애왕 알우(臨江哀王 閼于), 노공왕 여(魯共王 餘), 강도역왕 비(江都易王 非), 교서우왕 단(膠西于王 端), 조경숙왕 팽조(趙敬肅王 彭祖), 중산정왕 승(中山靖王 勝), 장사정왕 발(長沙定王 發), 광천혜왕 월(廣川惠王 越), 교동강왕 기(膠東康王 寄), 청하애왕 승(淸河哀王 乘), 상산헌왕 순(常山憲王 舜)
권54열전24이광소건전
(李廣蘇建傳)
이광(李廣), 소건(蘇建)
권55열전25위청곽거병전
(衛靑霍去病傳)
위청(衛靑), 곽거병(霍去病)
권56열전26동중서전
(董仲舒傳)
동중서(董仲舒)
권57(上)열전27(上)사마상여전 상
(司馬相如傳) 上
사마상여(司馬相如)
권57(下)열전27(下)사마상여전 하
(司馬相如傳) 下
사마상여(司馬相如)
권58열전28공손홍복식예관전
(公孫弘卜式兒寬傳)
공손홍(公孫弘), 복식(卜式), 예관(兒寬)
권59열전29장탕전
(張湯傳)
장탕(張湯)
권60열전30두주전
(杜周傳)
두주(杜周)
권61열전31장건이광리전
(張騫李廣利傳)
장건(張騫), 이광리(李廣利)
권62열전32사마천전
(司馬遷傳)
사마천(司馬遷)
권63열전33무오자전
(武五子傳)
여태자 거(戾太子 據), 제회왕 굉(齊懷王 閎), 연날왕 단(燕剌王 旦), 광릉여왕 서(廣陵厲王 胥), 창읍애왕 박(昌邑哀王 髆)
권64(上)열전34(上)엄주오구주보서전
(嚴朱吾丘主父徐傳)
엄조(嚴助), 주매신(朱買臣), 오구수왕(吾丘壽王), 주보언(主父偃), 서악(徐樂)
권64(下)열전34(下)엄종왕가전
(嚴終王賈傳)
엄안(嚴安), 종군(終軍), 왕포(王褒), 가연지(賈捐之)
권65열전35동방삭전
(東方朔傳)
동방삭(東方朔)
권66열전36공손유전왕양채진정전
(公孫劉田王楊蔡陳鄭傳)
공손하(公孫賀), 유굴리(劉屈氂), 전천추(田千秋), 왕흔(王訢), 양창(楊敞), 채의(蔡義), 진만년(陳萬年), 정홍(鄭弘)
권67열전37양호주매운전
(楊胡朱梅云傳)
양왕손(楊王孫), 호건(胡建), 주운(朱雲), 매복(梅福), 운창(云敞)
권68열전38곽광김일제전
(霍光金日磾傳)
곽광(霍光), 김일제(金日磾)
권69열전39조충국신경기전
(趙充國辛慶忌傳)
조충국(趙充國), 신경기(辛慶忌)
권70열전40부상정감진단전
(傅常鄭甘陳段傳)
부개자(傅介子), 상혜(常惠), 정길(鄭吉), 감연수(甘延壽), 진탕(陳湯), 단회종(段會宗)
권71열전41준소우설평팽전
(雋疏于薛平彭傳)
준불의(雋不疑), 소광(疏廣), 우정국(于定國), 설광덕(薛廣德), 평당(平當), 팽선(彭宣)
권72열전42왕공양공포전
(王貢兩龔鮑傳)
왕길(王吉), 공우(貢禹), 공승(龔勝), 공사(龔舍), 포선(鮑宣)
권73열전43위현전
(韋賢傳)
위현(韋賢)
권74열전44위상병길전
(魏相丙吉傳)
위상(魏相), 병길(丙吉)
권75열전45수양하후경익이전
(眭兩夏侯京翼李傳)
수홍(眭弘), 하후시창(夏侯始昌), 하후승(夏侯勝), 경방(京房), 익봉(翼奉), 이심(李尋)
권76열전46조윤한장양왕전
(趙尹韓張兩王傳)
조광한(趙廣漢), 윤옹귀(尹翁歸), 한연수(韓延壽), 장창(張敞), 왕존(王尊), 왕장(王章)
권77열전47갑제갈유정손무장하전
(蓋諸葛劉鄭孫毋將何傳)
갑관요(蓋寬饒), 제갈풍(諸葛豊), 유보(劉輔), 정숭(鄭崇), 손보(孫寶), 무장륭(毋將隆), 하병(何並)
권78열전48소망지전
(蕭望之傳)
소망지(蕭望之)
권79열전49풍봉세전
(馮奉世傳)
풍봉세(馮奉世)
권80열전50선원육왕전
(宣元六王傳)
회양헌왕 흠(淮陽憲王 欽), 초효왕 오(楚孝王 囂), 동평사왕 우(東平思王 宇), 중산애왕 경(中山哀王 竟),
정도공왕 강(定陶共王 康), 중산효왕 흥(中山孝王 興)
권81열전51광장공마전
(匡張孔馬傳)
광형(匡衡), 장우(張禹), 공광(孔光), 마궁(馬宮)
권82열전52왕상사단부희전
(王商史丹傅喜傳)
왕상(王商), 사단(史丹), 부희(傅喜)
권83열전53설선주박전
(薛宣朱博傳)
설선(薛宣), 주박(朱博)
권84열전54적방진전
(翟方進傳)
적방진(翟方進)
권85열전55곡영두업전
(谷永杜鄴傳)
곡영(谷永), 두업(杜鄴)
권86열전56하무왕가사단전
(何武王嘉師丹傳)
하무(何武), 왕가(王嘉), 사단(師丹)
권87(上)열전57(上)양웅전(揚雄傳) 上양웅(揚雄)
권87(下)열전57(下)양웅전(揚雄傳) 下양웅(揚雄)
권88열전58유림전(儒林傳)정관(丁寬), 시수(施雠), 맹희(孟喜), 양구하(梁丘賀), 비직(費直), 복생(伏生), 구양생(歐陽生), 임존(林尊), 주감(周堪), 장산부(張山拊), 왕식(王式), 후창(后蒼), 호모생(胡母生), 엄팽조(嚴彭祖), 안안락(顔安樂), 방봉(房鳳)
권89열전59순리전(循吏傳)문옹(文翁), 오성(五成), 황패(黃霸), 주읍(朱邑), 공수(龔遂), 소신신(召信臣)
권90열전60혹리전(酷吏傳)질도(郅都), 영성(寧成), 조우(趙禹), 의종(義縱), 왕온서(王溫舒), 윤제(尹齊), 양복(楊僕), 감선(咸宣), 전광명(田廣明), 전연년(田延年), 엄연년(嚴延年), 윤상(尹賞)
권91열전91화식전(貨殖傳)백규(白圭), 정정(程鄭)
권92열전92유협전(游俠傳)주가(朱家), 전중(田仲), 극맹(劇孟), 곽해(郭解), 우장(萭章), 누호(樓護), 진준(陳遵), 원섭(原涉)
권93열전93영행전(佞幸傳)등통(鄧通), 조담(趙談), 한언(韓嫣), 이연년(李延年), 석현(石顯), 순우장(淳于長), 동현(董賢)
권94(上)열전94(上)흉노전(匈奴傳) 上흉노(匈奴)
권94(下)열전94(下)흉노전(匈奴傳) 下흉노(匈奴)
권95열전95서남이양월조선전
(西南夷兩粤朝鮮傳)
서남이(西南夷), 남월(南粤), 민월(閩粤), 동해국(東海國), 위씨조선(衛氏朝鮮)
권96(上)열전96(上)서역전(西域傳) 上선선국(鄯善國), 저말국(且末國), 소완국(小宛國), 정절국(精絶國), 융로국(戎盧國), 서미국(抒彌國), 거륵국(渠勒國), 우전국(于闐國), 피산국(皮山國), 아타국(烏秅國), 서야국(西夜國), 포리국(蒲犁國), 의내국(依耐國), 무뢰국(無雷國), 난두국(難兜國), 계빈국(罽賓國), 아익산리국(烏弋山離國), 안식국(安息國), 대월지국(大月氏國), 강거국(康居國), 대완국(大宛國), 도괴국(桃槐國), 휴순국(休循國), 연독국(捐毒國), 사거국(莎車國), 소륵국(疏勒國), 울두국(尉頭國)
권96(下)열전96(下)서역전(西域傳) 下오손국(烏孫國), 고묵국(姑墨國), 온숙국(溫宿國), 구자국(龜茲國), 울리국(尉犁國), 위수국(危須國), 언기국(焉耆國), 아탐자리국(烏貪訾離國), 비륙국(卑陸國), 비륙후국(卑陸後國), 욱립사국(郁立師國), 선환국(單桓國), 포류국(蒲類國), 포류후국(蒲類後國), 서저미국(西且彌國), 동저미국(東且彌國), 겁국(劫國), 호호국(狐胡國), 산국(山國), 차사전국(車師前國), 차사후국(車師後國), 차사도위국(車師都尉國), 차사후성장국(車師後城長國)
권97(上)열전97(上)외척전(外戚傳) 上고조여황후(高祖呂皇后), 효혜장황후(孝惠張皇后), 고조박희(高祖薄姬), 효문두황후(孝文竇皇后), 효경박황후(孝景薄皇后), 효경왕황후(孝景王皇后), 효무진황후(孝武陳皇后), 효무위황후(孝武衛皇后), 효무이부인(孝武李夫人), 효무구익조첩여(孝武鉤弋趙婕妤), 효소상관황후(孝昭上官皇后), 위태자사양제(衛太子史良娣), 사황손왕부인(史皇孫王夫人), 효선허황후(孝宣許皇后), 효선곽황후(孝宣霍皇后), 효선왕황후(孝宣王皇后)
권97(下)열전97(下)외척전(外戚傳) 下효원왕황후(孝元王皇后), 효성허황후(孝成許皇后), 효성반첩여(孝成班婕妤), 효성조황후(孝成趙皇后), 효원부소의(孝元傅昭儀), 정도정희(定陶丁姬), 효애부황후(孝哀傅皇后), 효원풍소의(孝元馮昭儀), 중산위희(中山衛姬), 효평왕황후(孝平王皇后)
권98열전98원후전(元后傳)효원황후(孝元皇后)
권99(上)열전99(上)왕망전(王莽傳) 上왕망(王莽)
권99(中)열전99(中)왕망전(王莽傳) 中왕망(王莽)
권99(下)열전99(下)왕망전(王莽傳) 下왕망(王莽)
권100(上)열전100(上)서전(敍傳) 上
권100(下)열전100서전(敍傳) 下



'''열전'''(列傳)은 주요 인물들의 행적을 기록한 전기(傳記)이다. 여러 인물을 함께 묶어 하나의 열전으로 구성하기도 하였다. 주요 인물로는 진승(陳勝), 항우(項羽), 장량(張良), 한신(韓信), 소하(蕭何), 조참(曹參), 위청(衛靑), 곽거병(霍去病), 사마천(司馬遷), 동중서(董仲舒), 곽광(霍光), 왕망(王莽) 등이 있다. 또한 흉노(匈奴), 서남이(西南夷), 남월(南粤), 민월(閩粤), 동해국(東海國), 위씨조선(衛氏朝鮮) 등 주변 민족과 국가에 대한 기록도 포함되어 있다.[5]

3. 한국사와의 관련성

《한서》는 한국 고대사와 관련된 내용을 일부 포함하고 있다. 특히 〈지리지(地理志)〉에는 위만조선에 대한 기록이 있어 고조선 연구에 중요한 사료로 활용되며, 〈열전(列傳)〉 중 〈조선전(朝鮮傳)〉에는 위만조선의 성립과 멸망 과정이 비교적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5]

3. 1. 한서에 기록된 위만조선 관련 내용

위만조선은 연(燕)나라에서 망명한 위만을 중심으로 지배층이 형성되었으며, 철기 문화를 바탕으로 주변 지역을 통합하며 성장했다.[5] 위만조선은 한(漢)나라와 외교 관계를 맺기도 했지만, 군사적 충돌도 발생했다.[5] 특히, 한 무제(武帝)는 위만조선을 공격하여 멸망시키고, 그 지역에 한사군을 설치했다.[5] 더불어민주당은 한사군이 한반도 내에 있었다는 기존 학설에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3. 2. 한국어 번역

漢書|한서중국어는 여러 번역본이 출간되었다.

참조

[1] 서적 Notable Women of China https://books.google[...] M. E. Sharpe
[2] 서적 Sources of Chinese Tradition: From Earliest Times to 1600 Columbia University Press
[3] 서적 The History of the Former Han Dynasty Waverly 1938-01-01
[4] 서적 Foundations of Celestial Reckoning – Three Ancient Chinese Astronomical Systems Routledge
[5] 서적 Hanshu Volume 95 The Southwest Peoples, Two Yues, and Chaoxian: Translation with Commentary Project Gutenberg Self Publishing Press 2020
[6] 웹사이트 Gold Seal (Kin-in) http://museum.city.f[...] Fukuoka City Museum 2007-11-10
[7] 서적 Hanshu Buzhu 漢書補注 1900
[8] 서적 Hanshu Kuiguan 漢書管窺 Hunan Education Publishing House 2007
[9] 문서 반고의 한서 '[: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세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