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울국제여성영화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국제여성영화제는 여성 감독들의 작품을 중심으로 상영하며, 아시아와 세계를 잇는 여성영화 네트워크의 중심 역할을 하는 영화제이다. 1997년 시작되어 세계 최대 규모의 여성영화제 중 하나로 성장했으며, 아시아 여성 영화 인력 발굴 및 창작 지원 사업을 진행한다. 영화제는 다양한 경쟁 부문과 제작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포럼과 컨퍼런스를 통해 여성 관련 이슈를 공론화한다. 특히 2016년 촛불 혁명을 배경으로 한 활동가 포럼, 미투 운동 관련 프로그램, 세월호 참사 추모 프로그램 등을 통해 사회적 메시지를 전달하며, 영화 산업의 성 평등 확대를 위해 노력해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7년 시작된 영화제 -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는 1997년 시작되어 판타스틱 영화를 중심으로 다양한 장르의 영화를 상영하는 대한민국의 영화제이다.
  • 1997년 시작된 영화제 - 할리우드 영화제
    할리우드 영화제는 카를로스 데 아브레우와 재니스 페닝턴이 1997년에 설립하여 독립 영화 제작자와 글로벌 창작 커뮤니티 연결을 목표로 하며, 다양한 하위 영화제로 구성되어 특히 할리우드 월드 영화제는 다양한 국가의 영화 상영, 신인 감독 발굴, 독립 영화 지원, 영화인 교류 장려를 한다.
  • 대한민국의 여성 - 대한민국의 여성 운동
    대한민국의 여성 운동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 성폭력 특별법 제정, 호주제 폐지 등을 거치며 발전해 왔고, 1990년대부터 페미니즘 리부트, 디지털 성범죄, 미투 운동, 낙태죄 폐지 등 다양한 쟁점을 통해 여성의 권익 신장과 사회적 평등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여성 - 대한민국의 성 불평등
    대한민국의 성 불평등은 역사적 요인과 사회 제도 속에서 나타나며, 여러 지표를 통해 현황을 파악할 수 있고, 법적 노력을 통해 개선을 시도해왔으나, 정치, 직업, 일상생활 등 다양한 영역에서 여전히 존재하며 젠더 폭력과 같은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서울국제여성영화제
기본 정보
제25회 서울국제여성영화제 포스터
제25회 서울국제여성영화제 포스터
공식 명칭서울국제여성영화제
영문 명칭Seoul International Women’s Film Festival
행사 정보
시작 연도1997년
최근 행사2024년
행사 기간2024년 8월 22일 – 28일
개최 횟수26회
개최 장소서울특별시
사용 언어한국어 / 국제
개막작"이 인생의 광산" by 소피 필리에르
상영 작품 수39개국 132편
주최
주최(사)서울국제여성영화제
웹사이트
웹사이트공식 사이트

2. 특징

서울국제여성영화제는 세계 최대 규모의 국제여성영화제 중 하나이다.[1] 여성 감독들의 작품을 중심으로 상영하며, 아시아와 세계를 잇는 여성영화 네트워크의 중심 역할을 수행한다.[1] 또한, 아시아 여성영화 인력 발굴 및 여성영화 창작 지원 사업을 진행하며,[1] 문화생산의 주체로서 새로운 여성문화 창출에 기여한다.[1] 영화제 기간 동안 다양한 포럼과 토론을 통해 여성 관련 이슈를 공론화한다.

3. 역사

1997년 4월 11일, '여성, 여성을 위한, 여성의 영화'를 표방하며 제1회 서울국제여성영화제가 개최되었다. 첫 회는 예상보다 많은 관객들의 호응을 얻으며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다. 초기에는 격년제로 열렸으나, 관객들의 꾸준한 지지에 힘입어 2001년 제3회부터 매년 개최되는 행사로 전환되었다.

2004년 제6회 영화제는 사무실과 상영관을 신촌으로 이전하며 젊은 관객층과의 소통을 강화하는 변화를 꾀했다. 2007년 제9회에는 성 소수자의 삶과 문화를 다루는 '퀴어 레인보우' 섹션을 신설하여 영화제의 다양성을 확대했다.

2015년 제17회에는 영화제 공식 영문 명칭을 변경하고 로고를 수정하여 새로운 정체성을 구축했다. 2018년 제20회에는 미투 운동을 다루는 특별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영화 산업 내 성 평등 확대를 위한 노력을 시작했다.

2021년 제23회 영화제는 '돌봄, 다시 봄'이라는 슬로건 아래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돌봄의 의미를 재조명했다.[1] 2022년 제24회 영화제에서는 방민아가 홍보대사로 위촉되어 개막식 사회를 맡았다.[2]

3. 1. 역대 영화제

연도회차개막일폐막일국가/작품 수개막작
1997년14월 11일4월 17일9개국 38편미망인 (박남옥/한국)
1999년24월 16일4월 23일10개국 39편행복의 거리 (리 샤오홍/중국)
2001년34월 15일4월 22일16개국 67편거류 (김소영/한국)
2002년44월 4일4월 12일18개국 80편제비꽃 향기: 아무도 믿지 않는다 (마리사 시스타치/멕시코)
2003년54월 11일4월 18일19개국 116편미소 (박경희/한국)
2004년64월 2일4월 9일20개국 73편인 더 컷 (제인 캠피온/호주,미국)
2005년74월 8일4월 15일27개국 86편홀리 걸 (루크레시아 마르텔/아르헨티나)
2006년84월 6일4월 14일33개국 96편법조계의 자매들 (킴 론지노토, 플로렌스 아이시/영국, 카메룬)
2007년94월 5일4월 12일29개국 100편안토니아 (타타 아마랄/브라질)
2008년104월 10일4월 18일30개국 140편10주년 기념 프로젝트 텐 텐 (울리케 오팅거,헬렌 리,변영주,이수연,장희선,임성민/한국)
2009년114월 9일4월 16일23개국 105편반쪽의 삶 (제니퍼 팡/미국)
2010년124월 8일4월 15일27개국 101편다가올 그날 (독일)
2011년134월 7일4월 14일30개국 115편헤어드레서 (2010년 영화) (도리스 되리/독일)
2012년144월 19일4월 26일30개국 120편더 프라이즈 (파울라 마르코비치/멕시코, 프랑스, 폴란드, 독일)
2013년155월 24일5월 30일28개국 110편진저 앤 로사 (샐리 포터/영국)
2014년165월 29일6월 5일30개국 99편그녀들을 위하여 (야스밀라 즈바니치/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2015년175월 27일6월 3일37개국 111편마이 스키니 시스터 (산나 렌켄/스웨덴)
2016년186월 2일6월 8일27개국 118편서프레제트 (영화) (사라 가브론/영국)
2017년196월 1일6월 7일37개국 107편스푸어 (아그네츠카 홀란드/폴란드)
2018년205월 31일6월 7일36개국 147편바르다가 사랑한 얼굴들 (아녜스 바르다, JR/프랑스)
2019년218월 30일9월 5일31개국 119편신은 존재한다, 그녀의 이름은 페트루니아 (테오나 스트루가르 미테브스카/마케도니아)[10]
2020년229월 10일9월 16일33개국 102편여성 영화 제작자 지원 프로젝트: 코로나 시대에 서로를 바라보기> (여성 영화 제작자)[11]
2021년238월 26일9월 1일[1]
2022년248월 25일9월 1일[2]


4. 주요 프로그램

'''경쟁 부문'''


  • '''국제장편경쟁''': 2018년 서울국제여성영화제에서 처음 시작된 섹션이다. 여성 영화 제작자들이 여성 주인공이 등장하는 장편 영화를 만들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최우수 작품상, 최우수 감독상, 심사위원 특별상을 시상한다.[9]

  • '''한국장편경쟁''': 여성주의적 관점으로 연출된 한국 여성 감독의 극영화 및 다큐멘터리 영화를 장려하기 위해 신설된 경쟁 섹션이다. 최우수 한국 영화상을 놓고 경쟁한다.

  • '''아시아단편경쟁''': 아시아 여성 감독들의 단편 영화를 대상으로 하는 경쟁 섹션이다. 정재은, 박찬옥, 이경미 등 재능 있는 한국 여성 감독들을 배출했다. 최우수 감독상과 관객상을 시상한다.

  • '''아이틴즈''': 10대 여성 영화인을 발굴하고 지원하는 부문이다. 10대 관객심사단 '아이틴즈'가 본선 진출작을 보고 토론하여 '아이틴즈상'을 선정하고 폐막식에서 시상한다.


'''피치&캐치'''

여성 영화인들의 기획 개발 및 제작 지원 프로그램이다. 극영화와 다큐멘터리 부문으로 나누어 진행되며, 공개 피칭 행사와 비즈니스 미팅 기회를 제공한다. 2012년부터 시작되었으며, 본선 진출작으로는 〈분노의 윤리학〉, 〈두 번의 결혼식과 한 번의 장례식〉(이상 극영화), 〈두 개의 선〉, 〈잔인한 나의, 홈〉(이상 다큐멘터리) 등이 있다.

'''다큐멘터리 옥랑문화상'''

옥랑문화재단의 후원으로 운영되는 다큐멘터리 제작 지원 프로그램이다. 매년 전년도 피치&캐치 다큐멘터리 부문 수상작을 월드 프리미어로 상영한다.

'''역대 옥랑문화상 수상작'''

연도기수영화명감독
2002년1기봄이오면 / 왠지 작은 찻잔과 밥그릇정수연 / 이정화
2003년2기엄마…류미례
2004년3기엄마를 찾아서정호현
2005년4기쇼킹 패밀리 / 우리들은 정의파다경순 / 이혜란
2006년5기OUT: 이반검열 두 번째 이야기이영(여성영상집단 움)
2007년6기3×FTM김일란
2008년7기레즈비언 정치도전기홍지유, 한영희
2009년8기레드 마리아경순
2010년9기두 개의 선지민
2011년10기간지들의 하루이숙경
2012년11기탐욕의 제국홍리경
2013년12기반짝이는 박수 소리이길보라
2014년13기홀리워킹데이이희원
2015년14기호스트 네이션이고운
2016년15기피의 연대기김보람
2017년16기얼굴 그 맞은 편이선희
2018년17기외길식당박강아름
2019년18기



서울국제여성영화제는 역대 상영작 중 뛰어난 작품, 여성주의 영화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작품, 특정 감독이나 배우의 작품 등을 상영한다. 또한 여성 영화인, 학계 전문가, 활동가 등이 참여하여 여성 관련 이슈를 논의하는 다양한 포럼과 컨퍼런스를 개최한다. 2016년에는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일어난 촛불 혁명을 배경으로 활동가 포럼을 개최하기도 했다.[3]

5. 사회적 기여

서울국제여성영화제는 여성주의적 시각을 담은 영화들을 통해 한국 사회의 성 평등 의식 향상에 기여해 왔다. 특히, 2010년대 이후 미투 운동과 촛불 혁명 등 사회적 변화와 함께 여성 인권 관련 이슈를 적극적으로 다루며, 진보적 담론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2016년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일어난 촛불 혁명을 배경으로 활동가 포럼을 표방했다.[3] 영화제 프로그래머 조혜영에 따르면, '어린 페미니스트'들이 높은 참여율을 보였으며, 이들은 촛불 혁명을 주도한 핵심 세력이었다.[4]

20주년 영화제 기간 동안 #미투 운동을 다루었으며, 이는 하비 와인스타인 스캔들의 연장선상에서 이루어졌다.[5] 애니타 힐에 관한 다큐멘터리가 상영되었고, 영화제는 상영 후 최근의 유사 사건들을 분석하고, 우리 사회에 내재된 성 불평등 구조를 비판하는 패널 토론을 추가했다.[5]

2018년 3월, 서울국제여성영화제 김선아 집행위원장은 KOFIC와 협력하여 영화 산업의 성 평등 관련 기준을 확대했다.[6]

제20회 서울국제여성영화제는 "영화 페미니즘의 새로운 도전: 시선에서 몸으로, 그리고 차이의 기쁨으로"와 "영화 산업의 성 평등을 위한 정책과 전략"이라는 두 개의 새로운 국제 컨퍼런스를 프로그램에 통합했다.[7]

2014년 대한민국 세월호 침몰 사고로 인한 실종자 16명을 기리는 것을 주저하지 않았다. 제16회 영화제는 사고 희생자들을 기리는 엄숙한 기념식으로 시작되었다.[8]

참조

[1] 뉴스 서울국제여성영화제 본선 경쟁 진출작 발표..8월26일 개막 https://n.news.naver[...] Naver 2021-07-16
[2] 뉴스 방민아, 서울국제여성영화제 홍보대사 선정..개막식 MC도 https://n.news.naver[...] Naver 2022-06-22
[3] 웹사이트 '"We will be the mainstream": female filmmakers talk revolution in Seoul {{!}} Sight & Sound' https://www2.bfi.org[...] 2018-12-10
[4] 웹사이트 Korean Film http://koreanfilm.co[...] 2018-12-10
[5] 웹사이트 South Korean Actress Lee Young-jin Reveals Why She Spoke Out Against Kim Ki-duk https://www.hollywoo[...] 2018-12-10
[6] 웹사이트 Film industry gender equality centre launches in Korea https://www.screenda[...] 2018-12-10
[7] 웹사이트 'SIWFF {{!}} SEOUL International Women''s Film Festival' http://www.siwff.or.[...] 2018-12-10
[8] 웹사이트 South Korea's International Women's Film Fest Opens With Tribute to War, Disaster Victims https://www.hollywoo[...] 2018-12-10
[9] 웹사이트 'SIWFF {{!}} SEOUL International Women''s Film Festival' http://www.siwff.or.[...] 2018-12-10
[10] 뉴스 Seoul women's film festival to open on Aug. 30 https://m-en.yna.co.[...] 2019-08-09
[11] 뉴스 Seoul women’s film fest to show ‘mutual gaze’ of women https://www.thejakar[...] 2020-08-20
[12] 뉴스 제23회 서울국제여성영화제 개최..문가영 홍보대사 "평소에 관심" https://n.news.naver[...] Naver 2021-08-10
[13] 뉴스 23회 '서울국제여성영화제' 폐막…최우수상 '채민이에게' 상금 1천만원[공식] https://n.news.naver[...] Naver 2021-09-02
[14] 뉴스 서울국제여성영화제 박남옥상, '깃발, 창공, 파티' 장윤미 감독 수상! https://n.news.naver[...] Naver 2021-07-06
[15] 뉴스 '우리 ( )에서 만나'…제24회 서울국제여성영화제 개막 https://n.news.naver[...] Naver 2022-08-25
[16] 웹사이트 오마주' 신수원 감독, 24회 서울국제여성영화제 박남옥상 수상 https://entertain.na[...] Naver 2022-07-21
[17] 뉴스 '훨씬 끈질긴 그녀들'의 축제…서울국제여성영화제 개막(종합) https://n.news.naver[...] Naver 2023-08-24
[18] 웹사이트 26회 서울국제여성영화제 개막... ‘웃음의 쓸모’ 7일간의 장정 https://m.entertain.[...] Naver 2024-08-25
[19] 뉴스 제1회 서울국제여성영화제 4월 대학로서 개최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7-03-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