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남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남옥은 1923년 경상북도 하양에서 태어나 육상 선수로 활약했으며, 영화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대구매일신문 기자, 조선영화사에서 일했다. 한국 전쟁 중에는 국방부 촬영대에 참여하여 영화 작업을 재개했고, 1955년에는 한국 최초의 여성 영화감독으로서 영화 《미망인》을 제작했다. 영화의 흥행 실패와 이혼으로 어려움을 겪었지만, 1992년 미국으로 이주하기 전까지 영화 잡지를 제작하는 등 영화에 대한 열정을 이어갔다. 2017년 사망 이후, 서울국제여성영화제에서 그녀의 이름을 딴 상이 제정되어 여성 영화인들을 기리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산시 출신 - 최경환 (1955년)
최경환은 행정고시 합격 후 공직과 한국경제신문 논설위원을 거쳐 이회창 후보 경제특보를 지냈으며, 4선 국회의원, 지식경제부 장관,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역임하며 '초이노믹스'를 추진했으나, 국정원 특활비 뇌물 수수 혐의로 의원직을 상실하고 복권 후 22대 총선에서 낙선한 정치인이다. - 경산시 출신 - 윤두현
윤두현은 언론인 출신 정치인으로 서울신문, YTN 기자, YTN 보도국장, 디지털YTN 대표이사 사장, 청와대 홍보수석비서관을 거쳐 제21대 국회의원, 국민의힘 미디어 관련 특별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고 현재 그랜드코리아레저 사장으로 재직 중이다. - 대한민국의 영화 평론가 - 박노자
박노자는 러시아 태생으로 대한민국에 귀화한 한국학 연구자이자 사회운동가, 언론인이며, 오슬로 대학교 한국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한국 사회와 역사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담은 저술 및 강연 활동을 하는 진보적 지식인이다. - 대한민국의 영화 평론가 - 정찬우 (희극인)
정찬우는 1994년 MBC 공채 개그맨으로 데뷔하여 컬투의 리더로서 《두시탈출 컬투쇼》를 진행하며 인기를 얻었으나, 2018년 4월 공황장애로 모든 방송 활동을 중단한 대한민국의 희극인이자 가수이다. - 여자 영화 감독 - 페니 마셜
페니 마셜은 미국의 배우이자 영화 감독으로, 시트콤 《못 말리는 커플》과 《라베른 앤 셜리》에 출연하고, 《빅》, 《어웨이크닝》, 《그들만의 리그》 등 흥행작을 연출했으며, 2018년 당뇨병 합병증으로 사망했다. - 여자 영화 감독 - 세라 폴리
세라 폴리는 캐나다 출신의 배우, 영화 감독, 작가, 사회 운동가이며, 배우 활동을 시작으로 연출과 각본 분야로 활동 범위를 넓혀 다양한 작품을 제작하고, 자서전 에세이집을 출간했다.
박남옥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박남옥 (朴南玉) |
출생일 | 1923년 0월 0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경산군 하양면 (현재의 대한민국 경상북도 경산시) |
사망일 | 2017년 4월 8일 |
사망지 |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
국적 | 대한민국 |
학력 | 이화여전 |
직업 | 영화 감독 |
활동 기간 | 1944년 ~ 2017년 |
종교 | 무종교 → 개신교 |
배우자 | 이보라(이혼) |
영화 작품 | |
감독 | 미망인 |
수상 | |
수상 내역 | 제1회 여성영화인상 공로상 |
2. 생애
박남옥은 일제강점기인 1923년 경상북도 하양에서 태어나 1936년 경북여자고등학교에 입학하여 육상 선수로 활동했다. 특히 투포환 종목에서 뛰어난 실력을 보여 1938년과 1939년 전조선육상선수권대회에서 3회 연속 조선 신기록을 세우며 우승을 차지하기도 했다. 그러나 부모님의 반대로 육상 선수의 꿈을 접어야 했다.[8][9][10]
어려서부터 미술에 관심이 많았던 박남옥은 우에노미술학교 진학을 희망했으나 학교 측의 반대로 무산되었고, 1943년 이화여자전문학교 가사과에 입학했다.[8][9] 이화여전 재학 시절에는 레니 리펜슈탈 감독의 베를린 올림픽 기록 영화 《올림피아》를 보고 큰 감명을 받았다.[11][12] 이후 부모님의 결혼 강요로 학교를 중퇴하고 일본으로 밀항을 시도했으나 실패하였고, 대구매일신문에서 기자 생활을 하였다.[10][13]
해방 이후, 박남옥은 친구 남편인 Yoon Yong-gyu|윤용규영어 감독(1949년 《마음의 고향》을 감독한 뒤 월북)의 소개로 조선영화사 광희동 촬영소에 입사하면서 영화계에 입문했다.[9] 그곳에서 배우 김신재와 만나 친분을 쌓았고, 최인규 감독의 《자유만세》(1946년) 후반 작업과 신경균 감독의 《새로운 맹서》 스크립터로 참여하며 영화 경력을 쌓았다.[8][12][9]
한국 전쟁 발발 이후, 박남옥은 국방부 촬영대에 들어가 영화 작업을 이어갔다.[10] 1953년에는 함께 종군영화를 만들던 이보라와 결혼하였고,[12] 전쟁이 끝난 후 1954년에는 딸 이경주를 출산하였다.[8] 출산 직후, 박남옥은 지인들과의 술자리에서 전쟁 중 남편을 잃은 여성들의 이야기를 영화로 만들자는 제안을 받고, 시나리오, 촬영, 배우 섭외 등을 직접 진행하며 친언니에게 제작 비용을 빌려 영화 제작에 착수했다. 아기를 업고 15명 스태프들의 식사를 직접 챙기는 등 어려운 환경 속에서 영화를 만들어 1955년 12월 10일 《미망인》을 중앙극장에서 개봉하였다.[14] 그러나 영화는 3일 만에 상영이 중단되는 상업적 실패를 겪었다.[11]
이후 박남옥은 영화 실패와 이혼의 아픔을 겪고 한동안 몸져 누웠다가, 1957년부터 부모님과 함께 살며 언니가 운영하던 동아출판사에서 근무했다.[8] 1959년에는 영화잡지 《씨네마팬》을 제작하며 영화계 복귀를 꿈꿨지만, 결국 영화를 만들지는 못했다.[8] 1992년 미국으로 이주한 박남옥은 2017년 4월 8일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자택에서 자연사로 생을 마감했다.[13]
2. 1. 어린 시절과 교육
박남옥은 1923년 경상북도 하양에서 포목상을 하던 아버지 박태섭과 어머니 이두리 사이의 십남매 가운데 셋째로 태어났다.[8] 어려서부터 다재다능했으며 특히 체육에 뛰어났다.[9] 1936년 경북여학교에 입학한 뒤 육상부에 들어가 높이뛰기, 투포환 등의 종목에 출전하였다.[8] 1938·39년 전조선육상선수권대회에 투포환 선수로 출전하여[9] 3회 연속 조선 신기록을 기록하며 우승하였다.[10] 박남옥은 계속하여 육상선수를 하고 싶었으나 부모의 반대로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10]어려서부터 미술을 좋아한 박남옥은 우에노미술학교(현 도쿄 미술대학)에 입학하고 싶었으나, 학교에서는 졸업 후 교사가 되는 내량여고사(현 나라여자대학) 외에는 추천장을 써주지 않았다. 몰래 준비하였던 우에노미술학교의 입학 서류가 학교로 배송되자 문제가 생겼고, 박남옥은 유학을 포기하고[8] 1943년 이화여자전문학교 가사과에 입학하였다.[9] 1943년 동아일보의 대학 입시 합격자 명단에 박남옥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다.[9] 박남옥은 이화여전 시절 기숙사에 살면서 시간이 날 때마다 영화를 보았다. 훗날 감명 깊게 본 영화로 베를린 올림픽을 기록한 레니 리펜슈탈의 《올림피아》를 꼽았다.[11] 장대한 다큐멘터리를 여성이 만들었다는 것에 큰 충격과 감명을 받았다고 한다.[12] 이화여전에 다니던 박남옥은 부모가 결혼을 강요하자 학교를 중퇴하고 미술을 배우기 위해 일본으로 밀항하였다가 배가 좌초되어 일본의 수용소에 수감되기도 하였다.[10] 이후 대구매일신문에서 기자로 근무하였다.[13]
2. 2. 영화계 입문과 기자 생활
박남옥은 1923년 경상북도 하양에서 태어나 1936년 경북여학교에 입학하여 육상 선수로 활동했다. 1938년과 1939년 전조선육상선수권대회 투포환 종목에서 3회 연속 조선 신기록을 세우며 우승했지만, 부모님의 반대로 육상 선수의 꿈을 접어야 했다.[10]어려서부터 미술에 관심이 많았던 박남옥은 우에노미술학교(현 도쿄미술대학) 진학을 희망했으나, 학교 측의 반대로 무산되고 1943년 이화여자전문학교 가사과에 입학했다.[8][9] 이화여전 재학 시절, 레니 리펜슈탈이 제작한 베를린 올림픽 기록 영화 《올림피아》를 보고 큰 감명을 받았다.[11][12]
박남옥은 부모님의 결혼 강요로 학교를 중퇴하고 일본으로 밀항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대구매일신문에서 기자로 일하게 되었다.[10][13] 당시 영화 잡지 《신영화》에 실린 배우 김신재의 인터뷰를 보고 영화에 대한 관심을 키웠으며, 대구매일신문에서도 영화 관련 기사를 담당했다.[11]
해방 후, 박남옥은 친구 남편인 Yoon Yong-gyu|윤용규영어 감독의 소개로 조선영화사 광희동 촬영소에 입사하여 영화계에 입문했다.[9] 윤용규는 1949년 《마음의 고향》을 감독한 뒤 월북하였다. 박남옥은 그곳에서 김신재와 만나 친분을 쌓았고, 최인규 감독의 《자유만세》(1946년) 후반 작업과 신경균 감독의 《새로운 맹서》 스크립터로 참여하며 영화 경력을 쌓았다.[8][12][9]
2. 3. 한국전쟁과 《미망인》 제작
한국 전쟁이 일어나자 박남옥은 국방부 촬영대에 들어가 다시 영화 작업을 하였다.[10] 1953년 함께 종군영화를 만들던 이보라와 결혼하였다.[12] 전쟁이 끝나고 다시 서울로 올라간 박남옥은 1954년 딸 이경주[8]를 낳은 지 사흘만에 지인들과 술자리를 가진 자리에서 전쟁 중에 남편을 잃은 아내에 대한 영화를 만들자는 이야기를 나누었다. 박남옥은 시나리오를 맡기고 촬영, 배우 섭외와 같은 일을 진행하면서 출판사를 하던 친언니에게 영화 제작 비용을 빌렸다. 아기를 업고 15명이 되는 스태프의 식사를 직접 차리면서 영화를 제작하였다.[14]《미망인》은 1955년 12월 10일에 중앙극장에서 개봉하였으나, 불과 3일만에 간판을 내리고 말았다.[11] 박남옥은 "영화 제작에 들어가기 전에 나는 예술을 논했지만, 막상 영화 제작에 들어가니 아이를 업고 기저귀 가방을 들고 반년을 미친년처럼 이리 저리 뛰며 보냈다"고 회상하였다.[14]
2. 4. 《미망인》 이후의 삶
《미망인》은 1955년 12월 10일 서울 중앙극장에서 개봉하였으나, 불과 3일 만에 상영이 중단되었다.[11] 영화 제작 실패와 이혼이 겹쳐 박남옥은 한동안 힘든 시간을 보냈다. 1957년 부모와 함께 살게 되면서 언니가 운영하던 《동아출판사》에서 근무하였다.[8]1959년 영화잡지 《씨네마팬》을 제작하며 다시 영화 제작에 대한 의지를 보였지만, 결국 영화를 만들지는 못했다.[8] 1992년 미국으로 이주하였으며, 2017년 4월 8일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자택에서 자연사로 별세하였다.[13]
3. 《미망인》
《미망인》은 한국 전쟁 직후 어려운 환경 속에서 제작되었다. 박남옥은 제작자이자 '밥차 아줌마' 역할까지 하며 언니에게 제작비를 빌려 영화를 만들었다. 여성이라는 이유로 차별받아 녹음실과 상영관을 구하기 어려웠고, 16mm로 촬영되어 대중적이지 않다는 평가도 있었다.[14][12]
영화는 미려한 몽타주 기법으로 주목받았으나 흥행에 실패해 3일 만에 상영이 중단되었다. 이후 잊혔다가 1997년 제1회 서울여성영화제에서 재평가되어 한국 최초의 여성 감독 작품으로 개막 초청 상영되었다.[12][11] 서울국제여성영화제는 박남옥의 이름을 딴 상을 제정하여 임순례에게 처음 수여했다.[5] 영화는 전쟁 미망인의 애환을 신파적 구조로 그리며, 결말 부분은 소실되었다.[12]
3. 1. 제작 과정의 어려움
한국 전쟁 직후 제대로 된 제작 환경을 갖추기 어려웠던 시기에 박남옥은 영화 《미망인》을 제작하면서 제작자는 물론 '밥차 아줌마' 역할까지 해야 했다. 제작비는 언니에게 빌려 충당했고, 이 때문에 배급사 이름이 '자매영화사'가 되었다.[14] 박남옥은 여성이라는 이유로 제작 과정에서 많은 차별을 겪었다. 녹음실에서는 녹음을 거부하기 일쑤였고, 영화 완성 후에도 상영관을 잡기 어려웠다. 당시 상업 영화는 대부분 35mm 카메라로 제작되었지만, 《미망인》은 16mm로 촬영되어 대중적이지 않다는 점도 걸림돌이었다.[12]3. 2. 작품성 및 재평가
《미망인》은 전쟁 직후 제작 환경이 열악한 상황에서 만들어졌다. 박남옥은 제작자이자 '밥차 아줌마' 역할까지 하며 영화를 제작하였다. 언니에게 제작비를 빌려 《미망인》의 배급사 이름은 〈자매영화사〉가 되었다.[14] 박남옥은 영화 제작 과정에서 여성이라는 이유로 많은 차별을 받았다. 녹음실은 녹음을 거부하기 일쑤였고, 완성 후에도 상영관을 잡기 어려웠다. 당시 상업영화는 이미 35 mm 카메라로 제작되었지만, 《미망인》은 16 mm로 촬영되어 대중적이지 않다는 이유도 있었다.[12]영화는 미려한 몽타주 기법으로 관심을 받았지만, 흥행은 매우 저조하여 3일 만에 막을 내렸다.[12] 잊혀졌던 박남옥의 《미망인》은 1997년 제1회 서울여성영화제를 계기로 재평가를 받았다. 한국 최초의 여성 감독으로 재조명되어 개막 초청작으로 상영된 것이다.[11] 박남옥의 별세를 계기로 서울여성영화제는 2008년 한시적으로 수여하였던 박남옥영화상을 2017년 다시 제정하여 해마다 수상하고 있다.[15]
영화는 전쟁에서 남편을 잃은 여성이 남편의 친구로부터 도움을 받으며 겪는 애환을 신파적 구조로 그리고 있다. 영화의 네거티브 필름에서 결말 부분은 소실되었다.[12]
3. 3. 줄거리
미망인은 전쟁에서 남편을 잃은 여성이 남편의 친구로부터 도움을 받아 삶을 유지하면서 겪는 애환을 신파적 구조로 그리고 있다. 영화의 네거티브 필름에서 결말부는 소실되었다.[12]4. 유산과 영향
박남옥은 한국 최초의 여성 영화감독으로,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영화에 대한 열정을 잃지 않은 인물로 평가받는다. 1955년, 갓난아이를 업고 영화 ''미망인''을 촬영한 일화는 그녀의 영화에 대한 헌신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1] 비록 ''미망인''은 상업적으로 성공하지 못했지만, 한국 영화사에 있어 여성 감독의 선구자적인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서울국제여성영화제에서는 박남옥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그녀의 이름을 딴 '박남옥상'을 제정하여, 여성 영화인들에게 수여하고 있다. 2008년에는 임순례 감독이 첫 번째 박남옥상을 수상하였다.[5]
참조
[1]
뉴스
With Dark Film, Korean Director Makes History
http://koreajoongang[...]
2016-06-30
[2]
웹사이트
The Widow (Mimang-in)
https://web.archive.[...]
2016-06-29
[3]
웹사이트
Director Park Nam-Ok
http://www.koreanfil[...]
2016-06-30
[4]
웹사이트
The Truth of Korean Movies
https://web.archive.[...]
2016-06-30
[5]
뉴스
Int'l Women's Film Festival in Seoul Celebrates 10th Anniversary
http://www.hancinema[...]
2016-06-29
[6]
Soompi
Korea's First Female Director Park Nam Ok Passes Away
https://www.soompi.c[...]
[7]
뉴스인용
한국 최초 여성 영화감독 박남옥씨 별세
http://m.khan.co.kr/[...]
2017-04-11
[8]
웹사이트
한국 최초 여성감독 박남옥의 생애
http://daemun.or.kr/[...]
[9]
웹사이트
여성 영화인들② - 박남옥 감독, 한국 최초 여성 영화감독
http://www.cine21.co[...]
2018-10-03
[10]
연합뉴스
김은주의 시선 - 최초의 여성 영화감독 박남옥의 꿈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8-02-22
[11]
한국일보
강인한 여성의 모험 - 갓난 딸을 들춰업고 큐싸인을 외치다
http://www.hankookil[...]
한국일보
2016-05-29
[12]
인터뷰365
투포환선수 출신 한국 최초의 여성감독 박남옥
http://www.interview[...]
인터뷰365
2008-09-24
[13]
미주중앙일보
삶과 추억 - 한국의 첫 여성감독 박남옥씨
http://www.koreadail[...]
미주중앙일보
2017-04-12
[14]
한겨레
온몸으로 시대를 밀고 간 첫 여성들, 박남옥과 노라노
http://www.hani.co.k[...]
한겨레
2017-11-02
[15]
중앙일보
서울국제여성영화제, 한국 최초 여성감독 '박남옥 영화상' 부활·제정
https://news.joins.c[...]
중앙일보
2017-05-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