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왕초등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대왕초등학교는 1933년 5월 1일 대왕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여, 여러 차례 교명 변경을 거쳐 1996년 현재의 이름을 갖게 된 초등학교이다. 1963년 서울특별시로 편입되었으며, 1969년 미감아 사건으로 전교생이 등교를 거부하는 사건이 있었다. 개나리를 교화로, 향나무를 교목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2014년 제79회 졸업식을 통해 총 11,923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강남구의 초등학교 - 서울압구정초등학교
서울압구정초등학교는 1977년 개교하여 1997년 현재 교명으로 변경되었고, 교육 시설 확충 및 강남교육지원청 미술영재교육원 개관, 압구정오케스트라 창단 등 다양한 교육 활동을 펼쳐왔으나, 1991년 학교 인근에서 발생한 이형호 유괴 살해사건은 미해결 사건으로 남아있다. - 서울 강남구의 초등학교 - 서울일원초등학교
서울일원초등학교는 1984년 9월 1일에 개교하여 시설 확충 및 교육 환경 개선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온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한 초등학교이다. - 1933년 개교 - 내북초등학교
내북초등학교는 1933년 개교하여 일제강점기를 거쳐 현재에 이른, 충청북도 보은군 내북면에 위치한 초등학교이다. - 1933년 개교 - 은하초등학교
은하초등학교는 1933년 은하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여 일제강점기 명칭 변경과 광복 후 은하국민학교 개칭, 병설유치원 개원, 대하국민학교 통폐합을 거쳐 1996년 은하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으며 융합인재 육성 연구학교 운영 후 2017년 기준 5,574명의 졸업생을 배출한 대한민국의 초등학교이다. - 서울특별시의 초등학교 - 서울미동초등학교
서울미동초등학교는 1896년 한성부공립소학교로 개교하여 여러 차례 교명 변경을 거쳐 현재에 이른 대한민국의 초등학교이며, 엘리자베스 2세 영국 여왕 등 유명 인사의 방문을 받았고, 장미와 향나무를 학교 상징으로 한다. - 서울특별시의 초등학교 - 대광초등학교 (서울)
대광초등학교는 1966년 개교하여 1968년에 첫 졸업생을 배출한 서울특별시의 사립 초등학교이며, 일본 다케토요소학교와 자매결연을 맺었으나 한일 관계의 어려움으로 교류에 어려움을 겪기도 하고, 매년 개교기념 행사 대신 격년으로 개교기념 주간을 운영한다.
서울대왕초등학교 - [지명]에 관한 문서 | |
---|---|
학교 정보 | |
이름 | 서울대왕초등학교 |
한자 표기 | 서울大旺初等學校 |
영문 표기 | Seoul Daewang Elementary School |
교훈 | 굳세게 알차게 바르게 |
개교 | 1933년 5월 1일 |
설립 형태 | 공립 |
교장 | 한미경 |
위치 | 서울특별시 강남구 헌릉로618길 8 (세곡동 122-2) |
학생수 | 669명 (2023년 5월 1일) |
교직원수 | 44명 (2023년 5월 1일) |
상징 | 개나리(교화), 향나무(교목) |
관할 관청 | 강남서초교육지원청 |
웹사이트 | 서울대왕초등학교 홈페이지 |
2. 학교 연혁
1932년 11월 25일 설립 인가를 받아, 1933년 5월 1일 대왕공립보통학교(4년제)로 개교하였다.[1] 1938년 4월 1일 대왕공립심상소학교로, 1941년 4월 1일에는 대왕공립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2] 1942년 4월 1일에는 6년제로 학제가 연장되었다.
1963년 1월 1일 서울특별시에 편입되어 서울대왕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3]
1996년 3월 1일 서울대왕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4] 1997년 3월 10일 급식소를 개관하였고, 1998년 6월 28일에는 지역정보화교실을 개관하였다. 2001년 9월 20일에는 강당이 문을 열었고, 2002년 2월 20일에는 강남구청의 지원을 받아 전자도서실을 개관하였다. 2004년 11월 30일에는 보건실 현대화 사업이 완료되었다.
2006년 3월 15일 영어체험학습센터가 개관되었고, 같은 해 12월 20일에는 특별실에서 사용할 수 있는 체험학습용 영어프로그램이 설치되었다. 2009년 11월 2일, 급식실 현대화 사업을 통해 조리용 오븐과 식판이 교체되었다. 2012년 11월 20일에는 본관 준공식 및 병설유치원 개원식이 열렸으며, 2013년 10월 23일에는 체육관인 대왕누리관이 준공되었다.
2014년 2월 14일 제79회 졸업식을 통해 105명이 졸업하여 총 누계 11,923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고, 같은 해 3월 1일 제23대 김동일 교장이 부임하였다. 2015년에는 제80회 졸업생 106명(누계 12,029명), 2016년에는 제81회 졸업생 124명(누계 12,153명)이 졸업하였다. 2016년 3월 1일에는 33학급(특수 2학급 포함)이 편성되었다. 2017년 2월 17일 제82회 졸업생은 109명(누계 12,262명)이었고, 3월 1일에는 35학급(특수 2학급 포함)이 편성되었다.
2018년 2월 13일 제83회 졸업식에서는 105명(누계 12,369명)이 졸업했고, 3월 1일에는 38학급(특수 2학급 포함)이 편성되었다. 2019년 2월 15일 제84회 졸업식에서는 116명(누계 12,485명)이 졸업했으며, 3월 1일에는 39학급(특수 2학급 포함)이 편성되었다. 같은 해 3월 10일에는 본관 3층에 학생쉼터인 행복충전소가 문을 열었고, 9월 1일에는 제24대 신미희 교장이 취임하였다. 11월 2일에는 본관 1층 출입구에 게시판이 설치되었다. 2020년 2월 12일 제85회 졸업식에서는 158명(누계 12,643명)이 졸업하였고, 3월 1일에는 38학급(특수 2학급 포함)이 편성되었다. 2021년 2월 10일에는 제86회 졸업생 122명(총 12,875명)이 졸업하였고, 3월 1일에는 36학급(특수 2학급 포함)이 편성되었다.
2. 1. 설립 초기 (1932년 ~ 1945년)
1932년 11월 25일 설립 인가를 받아, 1933년 5월 1일 대왕공립보통학교(4년제)로 개교하였다.[1] 1938년 4월 1일 대왕공립심상소학교로, 1941년 4월 1일에는 대왕공립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2] 1942년 4월 1일에는 6년제로 학제가 연장되었다.2. 2. 해방 이후 (1945년 ~ 1995년)
1963년 1월 1일 서울특별시에 편입되어 서울대왕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3] 이후 1969년 미감아 사건과 관련한 내용은 서울대왕초등학교#미감아 사건(1969년)에서 자세히 다루고 있다.2. 3. 현재 (1996년 ~ 현재)
1996년 3월 1일 서울대왕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4] 1997년 3월 10일 급식소를 개관하였고, 1998년 6월 28일에는 지역정보화교실을 개관하였다. 2001년 9월 20일에는 강당이 문을 열었고, 2002년 2월 20일에는 강남구청의 지원을 받아 전자도서실을 개관하였다. 2004년 11월 30일에는 보건실 현대화 사업이 완료되었다.2006년 3월 15일 영어체험학습센터가 개관되었고, 같은 해 12월 20일에는 특별실에서 사용할 수 있는 체험학습용 영어프로그램이 설치되었다. 2009년 11월 2일, 급식실 현대화 사업을 통해 조리용 오븐과 식판이 교체되었다. 2012년 11월 20일에는 본관 준공식 및 병설유치원 개원식이 열렸으며, 2013년 10월 23일에는 체육관인 대왕누리관이 준공되었다.
2014년 2월 14일 제79회 졸업식을 통해 105명이 졸업하여 총 누계 11,923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고, 같은 해 3월 1일 제23대 김동일 교장이 부임하였다. 2015년에는 제80회 졸업생 106명(누계 12,029명), 2016년에는 제81회 졸업생 124명(누계 12,153명)이 졸업하였다. 2016년 3월 1일에는 33학급(특수 2학급 포함)이 편성되었다. 2017년 2월 17일 제82회 졸업생은 109명(누계 12,262명)이었고, 3월 1일에는 35학급(특수 2학급 포함)이 편성되었다.
2018년 2월 13일 제83회 졸업식에서는 105명(누계 12,369명)이 졸업했고, 3월 1일에는 38학급(특수 2학급 포함)이 편성되었다. 2019년 2월 15일 제84회 졸업식에서는 116명(누계 12,485명)이 졸업했으며, 3월 1일에는 39학급(특수 2학급 포함)이 편성되었다. 같은 해 3월 10일에는 본관 3층에 학생쉼터인 행복충전소가 문을 열었고, 9월 1일에는 제24대 신미희 교장이 취임하였다. 11월 2일에는 본관 1층 출입구에 게시판이 설치되었다. 2020년 2월 12일 제85회 졸업식에서는 158명(누계 12,643명)이 졸업하였고, 3월 1일에는 38학급(특수 2학급 포함)이 편성되었다. 2021년 2월 10일에는 제86회 졸업생 122명(총 12,875명)이 졸업하였고, 3월 1일에는 36학급(특수 2학급 포함)이 편성되었다.
3. 동문
서울대왕초등학교를 빛낸 주요 동문들은 분류:서울대왕초등학교 동문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사건
1969년 미감아 사건 파동으로 서울대왕초등학교 전교생이 등교를 거부하였다. 한 달 뒤, 문교부는 한국신학대학 병설 한신초등학교를 설립하여 미감아 자녀들을 취학시켰다.
4. 1. 1969년 미감아 사건
1969년 미감아 사건 파동으로 서울대왕초등학교 전교생이 등교를 거부하였다. 한 달 뒤, 문교부는 한국신학대학 병설 한신초등학교를 설립하여 미감아 자녀들을 취학시켰다.5. 상징
- 교화(校花) - 개나리: 이른 봄 일찍 봄소식을 알려 주는 개나리꽃은 항상 밝고 명랑하며 희망을 가지고 부지런히 앞서가는 대왕 어린이를 뜻한다.
- 교목(校木) - 향나무: 눈이 오나 비가 오나 추우나 더우나 언제나 변함없이 푸르름을 간직하고 서 있는 향나무는 정직하고 인정 많으며 끈기있고 참을성이 강한 대왕 어린이를 뜻한다.
5. 1. 교화: 개나리
이른 봄 일찍 봄소식을 알려 주는 개나리꽃은 항상 밝고 명랑하며 희망을 가지고 부지런히 앞서가는 대왕 어린이를 뜻한다.5. 2. 교목: 향나무
언제나 변함없이 푸르름을 간직하고 있는 향나무는 정직하고 인정 많으며 끈기 있고 참을성이 강한 서울대왕초등학교 어린이를 뜻한다.참조
[1]
법령
제3차 조선교육령
칙령 제103호
1938-03-03
[2]
법령
국민학교령
칙령 제148호
1941-02-28
[3]
법률
서울특별시·도·군·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법률 제1172호
1962-11-21
[4]
법령
대통령령 제5069호
1995-12-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