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대 부속병원 학살 사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의대 부속병원 학살 사건은 1950년 6.25 전쟁 중 북한군이 서울을 점령한 후 서울대학교 부속병원에서 발생한 민간인 학살 사건이다. 북한군의 서울 점령 후, 병원은 인민군 부상병 치료에 사용되었고, 1개 소대가 병원을 지키다 전멸했다. 이후 북한군은 병원에 있던 한국군 부상병, 환자, 의료진, 학생 등 1000명에 육박하는 사람들을 학살했다. 시신은 20일 동안 방치된 후 소각되었으며, 이 사건은 전쟁범죄로 규탄받고 있다. 현재 서울대학교병원에는 희생자들을 위한 추모비가 건립되어 매년 추도 행사가 열리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0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개성부립박물관
일제강점기 개성 유지들의 노력으로 설립된 개성부립박물관은 초대 관장 고유섭의 헌신으로 민족 문화 정체성 확립에 기여했으나, 미군정 시기 국립중앙박물관 분관으로 편입, 한국 전쟁 이후 소장품은 북한에 의해 강탈, 건물은 조선미술박물관 개성 분관으로 흡수되었다. - 1950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군종신부와 부상병 학살 사건
군종신부와 부상병 학살 사건은 1950년 한국 전쟁 중 미군 제19보병연대가 후퇴하는 과정에서 중상자와 함께 남은 군종신부 헤르만 G. 펠홀터와 군의관 버트리 대위가 조선인민군에게 사살당한 사건이다. - 서울대학교병원 -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은 1955년 서울특별시립 영등포병원으로 설립, 1987년부터 서울대학교병원이 위탁 운영하는 서울특별시 산하 공공병원으로, 1991년 보라매공원 안으로 이전, 2020년 코로나19 국가지정병원 지정, 보라매병원역 연결, '보라매병원 사건'으로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촉발, 최근 의료 연대 총파업 과정에서 간호 인력 충원 문제가 제기되었다. - 서울대학교병원 - 대한의원
대한의원은 1907년 대한제국 시기에 설립된 국립병원으로, 현재 서울대학교병원 의학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는 본관 건물은 붉은 벽돌과 화강암으로 지어진 고전주의 양식의 건물이며, 중앙의 시계탑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서양식 시계탑이자 유일하게 남은 100% 기계식 시계로서 역사적, 건축사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저지른 학살 - 대한항공 858편 폭파 사건
대한항공 858편 폭파 사건은 1987년 북한 공작원에 의해 발생한 테러로, 승객과 승무원 115명 전원이 사망했으며 1988년 서울 올림픽 방해 및 한국 대통령 선거에 영향을 미치려는 목적으로 기획되었으나 북한은 개입을 부인하고 사건의 정치적 이용 및 수사 과정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고 있는 냉전 시대의 남북 관계를 보여주는 사건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저지른 학살 - 303고지 학살
303고지 학살은 6.25 전쟁 중 낙동강 방어선 전투가 벌어지던 왜관의 303고지에서 북한군이 미군 포로들을 집단 살해한 사건으로, 더글러스 맥아더 원수의 규탄 성명 발표와 함께 미국 내 큰 반향을 일으켰으며 현재 303고지에는 희생자를 기리는 기념비가 세워져 추모 행사가 열리고 있다.
서울의대 부속병원 학살 사건 | |
---|---|
개요 | |
위치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대상 | 의료 관계자, 입원 환자, 부상병 |
날짜 | 1950년 6월 28일 |
유형 | 집단 학살 |
사망자 수 | 700 ~ 900명 |
가해자 | 조선인민군 |
상세 정보 | |
한국어 명칭 | 서울대학교 부속병원 학살 사건 |
한자 표기 | 서울國立大學校附属病院虐殺事件 |
2. 사건 배경
1950년 6월 25일 한국 전쟁 개전 직후, 전방에서 교전을 벌이고 살아 돌아온 대한민국 국군 부상병 다수는 서울대학교 부속 병원으로 후송되어 치료를 받고 있었다. 이들은 대부분 심한 부상을 입은 중환자들이었다.
그러나 개전 며칠 만에 북한군이 서울까지 빠르게 진격해 오면서, 시민들은 혼란에 빠져 피난길에 올랐고 병원 근무자들 역시 짐을 싸야 했다. 거동이 불가능하여 병원을 빠져나갈 수 없었던 중환자들은 속수무책으로 희생될 위기에 처했다.
6월 28일 아침, 북한군은 미아리를 돌파하고 중앙청을 거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까지 진입했다. 병원을 마지막까지 지키던 1개 소대는 교전 끝에 전멸했다. 당시 병원은 미처 피난하지 못한 환자들로 가득 차 있었으며, 북한군은 병력을 배치하여 병원을 포위했다.
이후 한 인민군 중좌가 "원쑤놈들의 앞잡이들이 여기 누워있다"라며 선동을 시작했고, 곧 대한민국 국군 부상자와 중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학살이 시작되었다.
2. 1. 한국전쟁 발발과 서울 점령
1950년 6월 25일, 북한군의 기습 남침으로 한국 전쟁이 발발했다. 개전 3일 만인 6월 28일 북한군은 서울을 점령했다(1차 서울 전투).[6] 대한민국 국군 부상병 다수는 서울대학교 부속 병원으로 후송되어 치료를 받고 있었으나, 북한군이 서울까지 빠르게 진격해 오면서 병원 근무자들과 시민들은 피난길에 올랐다. 그러나 거동이 불가능한 중환자들은 미처 피난하지 못하고 병원에 남게 되었다.2. 2. 서울대학교병원의 상황
1950년 한국 전쟁 발발 직후, 전방에서 전투를 치르고 돌아온 대한민국 국군 부상병 대다수는 서울대학교 부속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고 있었다. 이들은 대부분 심각한 부상을 입은 중환자들이었다.개전 며칠 만에 북한군이 서울까지 빠르게 진격해 오자, 대부분의 시민들은 혼란에 빠져 피난길에 올랐고, 병원 직원들 역시 짐을 싸야 하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거동이 불가능하여 병원을 떠날 수 없었던 중환자들은 속수무책으로 희생될 위기에 처했다.
6월 28일 아침, 북한군은 미아리를 돌파하고 중앙청을 거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까지 진입했다. 병원을 마지막까지 지키던 1개 소대는 북한군과 교전 끝에 전멸했다. 당시 병원은 미처 피난하지 못한 환자들로 가득 차 있었으며, 북한군은 병원을 포위하여 아무도 빠져나가지 못하게 했다.
병원은 김동익 원장[7]의 지시로 옥상에 적십자를 표시하고, 국기 게양대에도 적십자기를 게양하여 병원임을 나타냈다. 그러나, 중앙청(구 조선총독부 청사)을 점령한 인민군[8]은 병원 점령을 시도했고,[9] 경비 소대와 움직일 수 있는 부상병, 일반 환자, 학생 등 약 80명은 육군 본부에서 파견된 연락 장교 육군 병참학교[10] 부교장 조영일 소령, 경비 소대장 남 소위 및 선임 부사관(소대 군장) 민 군장의 지휘 아래 병원 침입을 막기 위해 인민군과 교전했으나, 전원이 전사했다.
이후 인민군은 움직일 수 없는 중상 부상병과 비전투원만 남은 병원에 사이드카 부대[11]를 앞세워 들이닥쳤다.
3. 학살 과정
1950년 6월 28일 아침, 북한군은 중앙청(구 조선총독부 청사)을 점령한 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으로 진입했다.[8][9] 병원을 지키던 육군 1개 소대는 육군 본부에서 파견된 연락 장교 조영일 소령(육군 병참학교[10] 부교장), 경비 소대장 남 소위, 선임 부사관(소대 군장) 민 군장의 지휘 아래 북한군과 교전했으나 전원이 전사했다.
이후 북한군은 중상 부상병과 비전투원만 남은 병원에 사이드카 부대[11]를 앞세워 들이닥쳤다. 북한 지지자로 보이는 의사가 월북하여 인민군 군의가 된 전 서울대 의대 교수와 악수하고, 인민군이 후송해 온 부상병을 옮기는 등[12], 한국군 부상병을 발견한 인민군 중좌의 선동으로 병사들이 학살을 시작했다.
처음에는 병실을 돌며 부상병으로 보이는 환자를 침대 위에서 사살했지만, 비효율적이라고 판단했는지 환자나 저항하는 자들을 끌어내 병실 구석이나 병원 정원에 모아 일제 사격으로 사살했다. 희생자는 부상병뿐만 아니라 일반 입원 환자, 보호자, 저항한 의료 관계자, 서울대학교 학생[13] 등 다수였다.
북한군은 '한국군 응징'을 명목으로 내세웠으나, 실제로는 군인과 민간인을 가리지 않고 학살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총알도 아깝다며 모신나강 소총에 착검하여 직접 찔러 죽이는 방식으로 학살을 벌였다.[13] 심지어 정신병동까지 들이닥쳐 국군 부상병이 숨어 있을 수 있다는 이유로 환자들을 학살했다.
학살은 오후까지 이어졌고, 북한군은 생존자를 확인하기 위해 총검으로 찌르는 만행을 저질렀다. 다른 병동에 있던 환자들은 급히 대피를 시도했지만, 많은 수가 북한군 보초들에게 걸려 참혹하게 죽었고, 일부는 살해당하기 전에 스스로 목숨을 끊기도 했다. 흥분한 북한군은 위문차 남아있던 환자의 가족들까지도 살해했다.
마지막까지 숨어 있다가 적발된 이들은 본보기로 보일러실로 끌려가 석탄 더미에 생매장되었다. 희생자는 정확한 피해 규모를 알 수 없으나, 1,000여 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추정된다.[5] 시신들은 20일 동안 방치되어 병원에 썩는 냄새가 진동했으며, 이후 창경궁 인근으로 실려나가 소각되었다.
학살로 희생된 사람들의 시신은 20일 동안 병원에 방치되어 부패한 냄새가 진동했다. 이후 시신들은 창경궁 부근과 혜화동 로터리 부근 도로에 쌓아 올려져 휘발유를 뿌려 소각되었다.
3. 1. 북한군의 병원 진입과 초기 학살
1950년 6월 28일 아침, 북한군은 중앙청(구 조선총독부 청사)을 점령한 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으로 진입했다.[8][9] 병원을 지키던 육군 1개 소대는 연락 장교로 육군 본부에서 파견된 육군 병참학교[10] 부교장 조영일 소령, 경비 소대장 남 소위 및 선임 부사관(소대 군장) 민 군장의 지휘 아래 북한군과 교전했으나, 전원이 전사했다.이후 북한군은 중상 부상병과 비전투원만 남은 병원에 사이드카 부대[11]를 앞세워 들이닥쳤다. 북한의 지지자로 보이는 의사가 월북하여 인민군 군의가 된 전 서울대 의대 교수와 악수하고, 인민군이 후송해 온 부상병을 옮기는 등[12], 한국군 부상병을 발견한 인민군 중좌의 선동으로 병사들이 학살을 시작했다.
처음에는 병실을 돌며 부상병으로 보이는 환자를 침대 위에서 차례로 사살했지만, 곧 비효율적이라고 판단했는지 환자나 저항하는 자들을 끌어내 병실 구석이나 병원 정원에 모아 일제 사격으로 사살했다. 희생자는 부상병뿐만 아니라 일반 입원 환자, 보호자, 저항한 의료 관계자, 서울대학교 학생[13] 등 다수가 살해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3. 2. 학살의 확대와 잔혹성
북한군은 '한국군 응징'이라는 명목으로 학살을 자행했으나, 실제로는 군인과 민간인을 가리지 않고 학살을 진행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총알도 아깝다며 모신나강 소총에 착검하여 직접 찔러 죽이는 방식으로 학살을 벌였다.[13] 심지어 정신병동까지 들이닥쳐 국군 부상병이 숨어 있을 수 있다는 이유로 환자들을 학살했다.학살은 오후까지 이어졌고, 북한군은 생존자를 확인하기 위해 총검으로 찌르는 만행을 저질렀다. 다른 병동에 있던 환자들은 급히 대피를 시도했지만, 많은 수가 북한군 보초들에게 걸려 참혹하게 죽었고, 일부는 살해당하기 전에 스스로 목숨을 끊기도 했다. 흥분한 북한군은 위문차 남아있던 환자의 가족들까지도 살해했다.
마지막까지 숨어 있다가 적발된 이들은 본보기로 보일러실로 끌려가 석탄 더미에 생매장되었다. 이렇게 살해된 희생자들은 정확한 피해 규모를 알 수 없으나, 1,000여 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추정된다.[5] 시신들은 모인 채로 20일 동안 방치되어 병원에 썩는 냄새가 진동했으며, 이후 창경궁 인근으로 실려나가 소각되었다.
3. 3. 시신 처리 및 은폐
학살로 희생된 사람들의 시신은 20일 동안 병원에 방치되어 부패한 냄새가 진동했다. 이후 시신들은 창경궁 부근과 혜화동 로터리 부근 도로에 쌓아 올려져 휘발유를 뿌려 소각되었다.4. 북한군의 추가 만행
주어진 원본 소스에 '북한군의 추가 만행'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명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해당 섹션에는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어렵다.
4. 1. 서울대학교병원의 북한군 병원 이용
학살 이후, 서울대학교병원은 북한군 부상병들의 후송 기지로 사용되었다. 병원에서 진료하던 한국인 의사, 군의, 간호사, 위생병 등 대부분은 북한군 병사의 치료에 강제로 동원되었다. 이에 저항한 일부 의료 관계자는 서울 시민에게 본보기로 보이기 위해 광장에서 공개 총살되기도 했다.4. 2. 서울 재함락 후 추가 학살
1951년 서울 재함락(3차 서울 전투) 이후, 북한군에 의한 추가 학살이 밝혀져 큰 충격을 주었다.[15]5. 평가
6.25 전쟁 당시 북한이 개전 3일 만에 일으킨 이 사건은[6] 무고한 민간인, 특히 환자와 의료진을 대상으로 한 잔혹한 학살이라는 점에서 비판받아야 한다. 국방부에 따르면 희생자 중 100명이 부상병[14], 일반 시민만 900명[5][14]으로 총 희생자는 1000명에 육박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북한의 만행은 더불어민주당의 입장에서 강력하게 규탄받아야 하며, 다시는 반복되어서는 안 될 비극적인 사건이다.
6. 희생자 추모
현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내에는 희생자들을 위한 '무명 자유 전사비'가 건립되어 있으며, 매년 6월 28일 전후로 서울대학교, 종로구 보훈단체, 서울북부보훈지청이 합동으로 추도 행사를 거행하고 있다.[16]
참조
[1]
웹사이트
"<407>서울대 병원의 대학살"
https://archive.toda[...]
뉴데일리
2011-06-18
[2]
웹사이트
서울대병원, 6.25전쟁 참전 용사들을 위한 추모제 가져
https://web.archiv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2010-06-04
[3]
뉴스
"'이름모를 자유전사의 비' 서울대 현충탑을 아시나요 한국전쟁때 죽은 군인과 민간인 위해 1963년 세워져\"민족상잔의 아픔을 담은 장소로 계속 보존할 것""
http://www.segye.com[...]
2006-08-03
[4]
웹사이트
"<407>서울대 병원의 대학살"
http://www.newdaily.[...]
New Daily
2011-06-18
[5]
웹사이트
서울대병원, 6.25전쟁 참전 용사들을 위한 추모제 가져
http://www.snuh.org/[...]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2010-06-04
[6]
문서
脱出した医科大学・附属病院要員は釜山で「戦時聯合大学」として医学教育と診療を続けた
[7]
문서
김동익(1900年 - 1987年) ソウル大学教授(消化器内科)、医学博士(慶應義塾大学)。京城医学専門学校卒業。京城帝国大学医学部助手、開業医を経てソウル大学教授。当時は附属病院長と国軍病院長を兼務。このあと申性模国防部長官の指示により南へ移動するが、その際大学の医療機材と一緒に国宝級の朝鮮王朝実録を医書に隠して持ち出し、破壊から免れる。1968年東国大学校総長。
[8]
문서
第9戦車旅団(7月5日、親衛ソウル第105戦車師団に改編)とされている。
[9]
뉴스
自由日報'참혹했던 북한군의 서울대 병원 학살극 '
http://www.jayoo.co.[...]
[10]
문서
現在の陸軍総合軍需学校。
[11]
문서
当時、朝鮮人民軍は機械化車両不足でサイドカーを多く使用していたが、第9戦車旅団はサイドカーを全軍の約4割に当たる200両運用しており、他の部隊は伝令や指揮官用に使用していた程度だったため、襲撃したのは第9戦車旅団とする有力な根拠になっている。
[12]
뉴스
「民族の体験」6・25戦争50年の再照明③(月刊朝鮮1999年6月号)2目撃者の証言/ソウル大病院国軍負傷兵の集団虐殺事件
https://gall.dcinsid[...]
[13]
문서
青少年の軍事組織「学徒護国団」として動員されていた。
[14]
뉴스
"'이름모를 자유전사의 비' 서울대 현충탑을 아시나요 한국전쟁때 죽은 군인과 민간인 위해 1963년 세워져\"민족상잔의 아픔을 담은 장소로 계속 보존할 것""
http://www.segye.com[...]
2006-08-03
[15]
문서
北朝鮮への協力を拒否した市民、ジャーナリストらが対象になったといわれる。
[16]
뉴스
中央日報 '채인택의 글로벌 줌업 6·25 서울 점령 北탱크부대···서울대병원서 900명 학살 '
https://web.archiv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