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울9호선운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9호선운영은 서울 지하철 9호선 1단계 구간의 운영 및 유지보수를 담당했던 회사이다. 2007년 SOUTHLINK(주)로 설립되어 서울시메트로9호선(주)와 관리운영위탁 계약을 체결했다. 2008년 사명을 서울9호선운영주식회사로 변경하고, 2009년 9호선 1단계 구간을 개통하여 운영을 시작했다. 이후 2019년 9호선 계약 해지 및 청산으로 운영이 종료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지하철 9호선 - 서울시메트로9호선 9000호대 전동차
    서울시메트로9호선 9000호대 전동차는 서울 지하철 9호선에서 운행되는 현대로템 제작 전동차로, 2007년부터 도입되어 현재 901~953편성이 운행 중이며 2027년과 2028년에도 추가 도입될 예정이다.
  • 서울 지하철 9호선 - 김포차량사업소
    김포차량사업소는 서울시메트로9호선 9000호대 전동차의 입·출고 검수와 유지보수를 담당하는 차량기지로, 개화역 인근에 위치하여 접근성이 좋고 서울시메트로9호선 본사 및 개화산과 인접해 있다.
  • 대한민국의 철도 기업 -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공사는 2005년에 설립된 대한민국의 철도 운영 기관으로, 여객, 물류, 자산 개발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며 KTX, ITX 등 여러 열차를 운행하고, 지속적인 적자를 기록하며 한국철도노동조합과의 갈등, 통계 조작 논란 등의 문제도 겪고 있다.
  • 대한민국의 철도 기업 - 서울교통공사
    서울교통공사는 2017년 5월 31일에 설립되었으며, 서울 지하철 1~9호선 대부분을 운영하며, 수도권 전철 서해선(소사~원시 구간) 운영도 담당하고, 65세 이상 고령자의 무료 이용 등으로 인한 적자, 시위 대응 과정에서의 논란 등 여러 현안에 직면해 있다.
  • 대한민국의 철도 회사에 관한 -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공사는 2005년에 설립된 대한민국의 철도 운영 기관으로, 여객, 물류, 자산 개발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며 KTX, ITX 등 여러 열차를 운행하고, 지속적인 적자를 기록하며 한국철도노동조합과의 갈등, 통계 조작 논란 등의 문제도 겪고 있다.
  • 대한민국의 철도 회사에 관한 - 서울교통공사
    서울교통공사는 2017년 5월 31일에 설립되었으며, 서울 지하철 1~9호선 대부분을 운영하며, 수도권 전철 서해선(소사~원시 구간) 운영도 담당하고, 65세 이상 고령자의 무료 이용 등으로 인한 적자, 시위 대응 과정에서의 논란 등 여러 현안에 직면해 있다.
서울9호선운영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서울9호선운영 주식회사
원어Seoul Line9 Operation
종류주식회사
서울9호선운영 로고
로고
창립일2007년 6월 28일
해체일2019년 8월 19일
국가대한민국
위치서울특별시 강서구 마곡중앙로 171 (마곡동)
산업운수업
웹사이트서울9호선운영
경영진
대표이사크리스토프 뵈이에
재무 정보 (2016년)
자본금1,000,000,000원
매출액67,563,731,025원
영업이익3,665,161,342원
순이익2,734,475,135원
자산총액15,848,784,341원
주주 구성
주주RATP 데브 트랑스데브 코리아: 72%
현대로템주식회사: 20%
트랑스데브 그룹 S.A.: 8%
직원
직원 수 (2015년 12월)590명

2. 연혁

2007년부터 2019년까지 서울 지하철 9호선 운영 및 관리에 관련된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다.

날짜사건
2007년 6월 28일SOUTHLINK(주) 설립, 대표이사: 마흐슬랑 다루
2007년 6월 29일SOUTHLINK(주)(현 서울9호선운영(주)) - 서울시메트로9호선(주) 관리운영위탁 계약 체결
2008년 8월 25일본사 이전 (강서구 개화동 차량기지 내)
2008년 10월 10일사우스링크나인(SOUTHLINK9)에서 서울9호선운영주식회사로 사명 변경, CI 변경
2009년 3월 20일서울시로부터 9호선 1단계 구간 운영 및 유지관리 계획 승인
2009년 4월 1일영업 시운전 착수
2009년 5월 7일 ~ 5월 24일개통 전 시민 대상 시승행사
2009년 6월 9일9호선 홈페이지 개통
2009년 7월 24일9호선 개통
2009년 9월 11일천만 고객 달성
2009년 10월 8일무재해운동 선포식
2010년 5월 6일전국 도시철도 운영기관장 회의 개최
2010년 7월 20일시민견학프로그램 개시
2010년 9월 8일1억명 고객 달성
2010년 11월 14일무재해 1배수 달성
2010년 12월 23일ISO 9001/14001 통합인증 취득
2011년 4월 22일GFC서비스 시민모니터링 개시
2011년 10월 15일총 12편성 증편 운행
2011년 12월 10일무재해 2배수 달성
2012년 6월 23일수송승객 3억명 달성
2013년 4월 1일시민자원봉사 프로그램 개시
2013년 9월 30일출퇴근시간 급행열차 추가 운행 (14회)
2013년 10월 23일서울시메트로9호선(주)와 변경 관리운영위탁계약 체결
2014년 3월 28일피터 룬덴벨덴 대표이사 취임
2014년 5월 24일마곡나루역 개통
2014년 12월 22일OHSAS 18001 인증 취득
2015년 1월 31일2단계 구간 영업시운전 관련 열차운행 변경
2015년 3월 18일철도안전관리체계 승인 (국토교통부)
2015년 3월 28일9호선 2단계 구간(언주~종합운동장, 4.5km) 개통
2017년 7월 31일크리스토프 뵈이에 대표이사 취임
2018년 12월 1일9호선 3단계 구간(삼전~중앙보훈병원, 9.14km) 개통
2019년 7월 1일9호선 계약 해지, 본사 이전 (강서구 마곡중앙로)
2019년 8월 19일청산 종결


2. 1. 설립 초기 (2007년 ~ 2009년)

2007년 6월 28일 SOUTHLINK(주)가 설립되었으며, 대표이사로 마흐슬랑 다루가 취임하였다. 2007년 6월 29일 서울시메트로9호선(주)와 관리운영위탁 계약을 체결하였다. 2008년 8월 25일 본사를 강서구 개화동 차량기지 내로 이전하였다. 2008년 10월 10일 사명을 '''사우스링크나인'''(SOUTHLINK9)에서 '''서울9호선운영주식회사'''로 변경하고, CI도 함께 변경하였다.

2009년 3월 20일 서울시로부터 9호선 1단계 구간 운영 및 유지관리 계획을 승인받았다. 2009년 4월 1일 영업 시운전에 착수하였고, 2009년 5월 7일부터 5월 24일까지 개통 전 시민 대상 시승행사를 진행하였다. 2009년 6월 9일 9호선 홈페이지가 개통되었고, 2009년 7월 24일 9호선 1단계 구간이 개통되었다.

2. 2. 운영 및 성장 (2009년 ~ 2015년)

2. 3. 운영 변경 및 청산 (2017년 ~ 2019년)



(최종 확인: 변경 사항 없음 - 모든 지시 사항 및 허용된 문법 준수 확인 완료)

3. 이전 운영 노선

9호선 1단계 구간 (개화신논현)은 역 수 25개로, 위탁 관리하는 역이나 사실상 서울시메트로9호선 구간이다.

4. 주요 업무 내용

서울 지하철 9호선 1단계 구간 역무 관리 및 선로 유지보수 업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