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곡나루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곡나루역은 서울특별시 강서구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2008년 역명 결정 이후 2014년 서울 지하철 9호선과 2018년 인천국제공항철도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다. 9호선은 급행과 일반 열차가 모두 정차하며, 개통 초기에는 급행열차가 정차하지 않았으나 2018년 12월부터 급행열차가 정차하기 시작했다. 역 구조는 9호선과 인천국제공항철도 모두 상대식 승강장으로, 환승 통로를 통해 연결된다. 주변에는 서울식물원, LG사이언스파크 등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국제공항철도의 역 - 공덕역
공덕역은 서울특별시 마포구에 위치한 지하철역으로, 5호선, 6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경의·중앙선 등 4개 노선이 지나가는 환승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 인천국제공항철도의 역 - 홍대입구역
홍대입구역은 서울 지하철 2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 환승하는 역으로 홍익대학교 인근 홍대 지역의 중심에 위치하며 다양한 시설이 밀집되어 있고 긴 환승 통로와 9개의 출구를 갖추고 있다. - 서울 강서구의 전철역 - 개화역
개화역은 2009년 개통된 서울 지하철 9호선 지상역으로, 섬식 승강장과 반밀폐형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김포공항역 방향으로 선로가 연결되어 있으며, 개화산역, 강서공영차고지, 개화역광역환승센터와 인접하여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하다. - 서울 강서구의 전철역 - 발산역
발산역은 1996년 5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고 9개의 출구가 있으며, 인접한 역으로는 마곡역과 우장산역이 있다. - 서울 지하철 9호선의 역 - 선유도역
선유도역은 서울 지하철 9호선의 지하역으로 신목동역과 당산역 사이에 있으며, 2면 4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중앙 2선의 급행열차 통과선을 갖추고 2009년 7월 24일 개통하여 선유도공원 등 주변 시설 이용객 증가와 함께 꾸준히 이용객 수가 늘고 있다. - 서울 지하철 9호선의 역 - 종합운동장역 (서울)
종합운동장역은 서울특별시 송파구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서울 지하철 2호선과 9호선이 지나가며, 1980년 2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15년 9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다.
마곡나루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역 이름 (병기) | 서울식물원 |
역 이름 | 마곡나루 |
로마자 표기 | Magongnaru |
주소 | 서울특별시 강서구 마곡동 |
좌표 | 37° 34′ 02″ N, 126° 49′ 46″ E |
개업일 | 2014년 5월 24일 (9호선) 2018년 9월 29일 (공항철도) |
운영사 | 서울시 메트로 9호선 공항철도 |
노선 | 9호선 공항철도 |
역 번호 | 905 (9호선) A042 (공항철도) |
구조 | 지하역 |
승강장 | 4면 4선 (9호선, 쌍섬식 승강장) 2면 2선 (공항철도, 상대식 승강장) |
선로 | 6선 |
출입구 | 이용 가능 |
자전거 보관소 | 정보 없음 |
전기화 여부 | Yes |
![]() | |
9호선 | |
이전 역 | 신방화역 (종합운동장 방면) 김포공항역 (급행, 종합운동장 방면) |
다음 역 | 양천향교역 (개화 방면) 가양역 (급행, 김포공항 방면) |
공항철도 | |
이전 역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서울역 방면) |
다음 역 | 김포공항역 (인천공항2터미널 방면) |
2. 역사
2008년 9월 18일 마곡나루역으로 역명이 결정되었다.[8] 2009년 7월 24일 9호선 개화역-신논현역 구간이 개통되었으나, 마곡나루역은 개통되지 않았다. 2010년 12월 29일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역-김포공항역 구간이 개통되었으나, 역시 마곡나루역은 개통되지 않았다.
2014년 5월 24일 9호선 역이 개통되었는데, 초기 계획과는 달리 일반열차만 정차하게 되었다. 2016년 1월 29일에는 9호선 역 지하 1층 전기실에서 화재가 발생하기도 했다.[2]
2018년 12월 1일부터 9호선 급행열차가 정차하기 시작했고, 2019년 12월 26일에는 '서울식물원'이라는 부역명이 추가되었다.[11]
2. 1. 9호선
2008년 9월 18일 '''마곡나루역'''으로 역명이 결정되었다.[8] 2014년 5월 15일 열차 영업시운전을 개시하였으나, 여객은 취급하지 않았다. 2014년 5월 24일 서울 지하철 9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개시하였는데, 이때는 급행열차가 정차하지 않고 일반열차만 정차하였다. 2018년 12월 1일부터 9호선 급행열차가 정차하기 시작하였다. 2019년 12월 26일 마곡나루역에서 '''마곡나루(서울식물원)'''역으로 변경되었다.[11] -- 9호선 역 번호는 '''905'''이다.2. 2. 인천국제공항철도
- 2016년 5월 11일: 인천국제공항철도 마곡나루역 건설사업이 승인되었다.[9]
- 2016년 8월: 인천국제공항철도 마곡나루역이 착공되었다.
- 2017년 6월 29일: 인천국제공항철도에 철도거리표가 고시되었다.[10]
- 2018년 9월 29일: 인천국제공항철도 마곡나루역이 개통되면서 환승역이 되었다.
- -- 인천국제공항철도 - 역 번호는 '''A042'''이다.
3. 역 구조
9호선 마곡나루역은 섬식 승강장, 인천국제공항철도 마곡나루역은 상대식 승강장 구조이다. 9호선 역은 1, 2번 출구, 인천국제공항철도 역은 3, 4, 5번 출구와 연결된다. 두 노선 모두 개찰구는 지하 1층에 있으며, 지하 2층에는 환승 통로와 환승 개찰구가 있다. 승강장은 9호선이 지하 2층, 인천국제공항철도가 지하 3층에 있다.
3. 1. 9호선 승강장
마곡나루역은 2면 4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2018년 11월 30일까지는 안쪽 2개 선만 사용하고 바깥쪽 선은 사용하지 않았으나, 2018년 12월 1일 중앙보훈병원역 연장 개통과 함께 이 역이 급행 정차역이 되면서 바깥쪽 선은 일반 열차(각역 정차)용 승강장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승강장 번호는 없다.상행 외선 | -- 9호선 | 일반 김포공항·개화 방면 |
---|---|---|
상행 내선 | -- 9호선 | 급행 김포공항 방면 |
하행 내선 | -- 9호선 | 급행 당산·여의도·종합운동장·중앙보훈병원 방면 |
하행 외선 | -- 9호선 | 일반 당산·여의도·종합운동장·중앙보훈병원 방면 |
3. 2. 인천국제공항철도 승강장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4. 역 주변
- 코엑스 마곡 르웨스트
- VL르웨스트
- 마곡역
- 마곡중학교
- 서울공항초등학교
- 코트야드 서울 보타닉 파크
- LG사이언스파크
- 서울식물원
- 마곡엠벨리 1~4단지
- 강서세무서
- 마곡엠벨리7단지입구
- 마곡중앙광장
- LG아트센터
- 마곡 M 밸리
5. 이용객 변동
2014년 자료는 실제 영업일수인 2014년 5월 24일부터 12월 31일까지 222일치만이 반영된 것이다.[12] 2009년은 개업일인 7월 24일부터 12월 31일까지의 161일간의 평균이다.[5]
노선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
---|---|---|---|---|---|
9호선 | 승차 | 1,412 | 1,955 | 2,481 | 4,738 |
하차 | 1,335 | 1,815 | 2,307 | 4,436 |
6. 사진
7. 인접한 역
노선 | 종류 | 이전 역 | 다음 역 |
---|---|---|---|
서울 지하철 9호선 | 급행 | 김포공항역 (902) | 가양역 (907) |
서울 지하철 9호선 | 일반 | 신방화역 (904) | 양천향교역 (906) |
인천국제공항선 | 일반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A04) | 김포공항역 (A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