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삼성 썬더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 삼성 썬더스는 1978년 삼성 농구단으로 창단하여, 1997년 한국프로농구 출범과 함께 수원 삼성 썬더스로 프로화되었다. 2000-01 시즌에 KBL 챔피언 결정전에서 우승을 차지했으며, 2001년 서울특별시로 연고지를 이전하여 현재의 팀명을 사용하고 있다. 2005-06 시즌에도 챔피언 결정전에서 우승을 달성했으며, 2007-08, 2008-09 시즌에는 준우승을 기록했다. 2014년 모기업이 제일기획으로 변경되었으며, 김현준의 등번호 10번을 영구 결번으로 지정했다. 현재 잠실실내체육관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며, 딥 퍼플의 "Smoke On The Water" 등을 응원 음악으로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삼성 썬더스 - 잠실실내체육관
잠실실내체육관은 1988년 서울 올림픽을 위해 건설된 다목적 실내 경기장으로, 올림픽 농구 경기와 배구 결승전 개최를 통해 국제적 위상을 확립한 후 스포츠 경기와 콘서트 등 다양한 문화 행사가 열리는 K팝의 상징적인 공간이자 프로농구팀 서울 삼성 썬더스의 홈 구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 서울 삼성 썬더스 - 서울 삼성 썬더스 2016-17 시즌
서울 삼성 썬더스 2016-17 시즌은 이상민 감독 체제 하에 김태술, 이관희, 김준일 등이 선수로 활동했으며, 신재호, 배강률, 장민국이 상무 농구단에 입대한 시즌이다. - 1978년 설립된 스포츠 클럽 - 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
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는 NBA 서부 컨퍼런스 퍼시픽 디비전 소속의 로스앤젤레스 연고 프로 농구단으로, 1970년 창단 후 샌디에이고를 거쳐 로스앤젤레스로 이전했으며, '롭 시티' 시대를 거쳐 카와이 레너드와 폴 조지 영입 후 서부 컨퍼런스 우승을 노리고 2024-25 시즌부터 인튜이트 돔으로 이전할 예정이다. - 1978년 설립된 스포츠 클럽 - 뉴브런즈윅 호크스
뉴브런즈윅 호크스는 1978년부터 1982년까지 몬턴을 연고지로 아메리칸 하키 리그에 참가했던 아이스하키 팀으로, 시카고 블랙호크스와 토론토 메이플 리프스의 팜 팀으로 운영되었으며 1981-82 시즌에 AHL 우승을 차지한 후 세인트 캐서린스로 연고지를 이전했다. - 서울특별시의 스포츠단 - 서울 SK 나이츠
서울 SK 나이츠는 1997년 창단된 프로 농구단으로, KBL 챔피언 결정전에서 세 번, 정규리그에서 두 번 우승했으며, 서장훈, 김선형, 최준용, 자밀 워니 등이 주요 선수이고 문경은과 전희철의 등번호는 영구 결번으로 지정되어 있다. - 서울특별시의 스포츠단 - 우리카드 우리WON
우리카드 우리WON은 2008년 창단하여 V-리그에 참가하는 대한민국 프로 배구단으로, 우리캐피탈 드림식스에서 팀명을 변경했으며, V-리그 준우승 1회와 KOVO컵 우승 2회를 기록했고 서울 장충체육관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한다.
서울 삼성 썬더스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리그 | 한국프로농구 |
역사 | 삼성 남자 농구단 1978–1982 삼성전자 농구단 1982–1996 수원 삼성 썬더스 1996–2001 서울 삼성 썬더스 2001–현재 |
연고지 | 서울특별시 |
홈 경기장 | 잠실실내체육관 |
수용 인원 | 11,069석 |
감독 | 김효범 |
주장 | 이정현 |
모기업 | 제일기획 |
색상 | 파랑 하양 노랑 |
우승 횟수 | 2 KBL 리그 |
영구 결번 | 10 김현준 |
웹사이트 | thunders.kbl.or.kr |
관련 정보 | |
모기업 | 삼성 스포츠 |
관련 팀 | 축구 야구 배구 여자 농구 |
해체된 팀 | 럭비 e스포츠 |
영어 명칭 | |
영어 | Seoul Samsung Thunders |
한국어 명칭 | |
한글 | 서울 삼성 썬더스 |
한자 | 서울三星썬더스 |
로마자 표기 | Seoul Samseong Sseondeoseu |
2. 연혁
- 1978년: 삼성 농구단 창단[1]
- 1983년: 삼성전자 실업농구단으로 재창단[2]
- 1997년: 경기도 수원시를 연고지로 수원 삼성 썬더스로 프로화
- 2000년 ~ 2001년: KBL 정규리그 및 챔피언 결정전 우승 (1회)
- 2001년 6월: 수원시에서 서울특별시로 연고지 이전
- 2005년 ~ 2006년: KBL 챔피언 결정전 우승 (2회, 정규시즌 2위).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를 4연승으로 꺾고 우승하여 bj-KBL 챔피언십 게임즈에 참가, 오사카 에베사와 공동 우승.
- 2007년 ~ 2008년: KBL 챔피언 결정전 3회 진출
- 2008년 ~ 2009년: KBL 챔피언 결정전 4회 진출
- 2010년 ~ 2011년: KBL 최초 9시즌 연속 플레이오프 진출
- 2011년 ~ 2012년: 구단 역사상 첫 번째 최하위 순위 기록 (10위)
- 2012년 ~ 2013년: 역대 6강 진출팀 중 최저 승률로 6강 진출 (6위, 22승 32패, 0.407)
- 2013년 ~ 2014년: 구단 역사상 네 번째 플레이오프 탈락 (8위, 19승 35패, 0.327)
- 2014년: 모기업 삼성전자에서 제일기획으로 변경
- 2014년 ~ 2015년: 이상민 감독 부임 첫해, 구단 역사상 두 번째 최하위 순위 기록 (10위, 11승 43패, 0.204)
- 2015년 ~ 2016년: 4강 진출 실패 (5위, 29승 25패, 0.537)
- 2016년 ~ 2017년: KBL 챔피언 결정전 준우승 (5회 진출, 3위, 34승 20패, 0.630)
- 2017년 ~ 2018년: 구단 역사상 다섯 번째 플레이오프 탈락 (7위, 25승 29패, 0.311)
- 2018년 ~ 2019년: 구단 역사상 세 번째 최하위 순위 기록 (10위, 11승 43패, 0.204)
- 2018년: B.LEAGUE EARLY CUP 간사이에 한국 클럽으로서는 처음으로 출전.
3. 팀명
1978년 삼성 농구단으로 발족하였다.[1] 1982년 삼성전자 농구단이 되었다. 한국프로농구 발족 시, 경기도 수원시를 연고지로 하는 '''수원 삼성 썬더스'''로 참가하였다. 2000-2001 시즌 첫 우승을 하였다. 이듬해 서울특별시로 연고지를 이전하여 현재의 팀명인 '''서울 삼성 썬더스'''가 되었다.
4. 우승 기록
2000-2001 시즌 첫 우승을 하였다. 2005-2006 시즌에는 챔피언 결정전에서 정규 시즌 1위의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를 4연승으로 꺾고, 팀으로서는 2번째, 서울 이전 후 첫 우승을 차지하였다. 이후 bj-KBL 챔피언십 게임즈에 참가하여 오사카 에베사와 공동 우승을 하였다.
4. 1. 국내 대회
KBL 챔피언십에서 2회 우승(2000-2001, 2005-2006)과 3회 준우승(2007-2008, 2008-2009, 2016-2017)을 기록했다. KBL 정규 시즌에서는 1회 우승(2000-2001)과 1회 준우승(2005-2006)을 하였다.4. 1. 1. 리그
대회 | 우승 횟수 | 우승 연도 | 준우승 횟수 | 준우승 연도 |
---|---|---|---|---|
KBL 챔피언 결정전 | ]] 2회 || 2000-01, 2005-06 || --|]] 3회 || 2007-08, 2008-09, 2016-17 | |||
KBL 정규리그 | 1회 | 2000-01 | 1회 | 2005-06 |
KBL D리그 | 1회 | 2016-17 2차 대회 |
4. 1. 2. 컵
서울 삼성 썬더스는 KBL영어 컵 대회인 농구대잔치에서 다음과 같은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다.대회 | 우승 | 준우승 |
---|---|---|
농구대잔치 | ]] 2회 (1984-85, 1987-88) || --|]] 4회 (1983-84, 1991-92, 1992-93, 1994-95) |
4. 2. 아시아 대회
- '''ABA 클럽 챔피언십'''
- * '''우승''' (3회): 2001, 2007, 2010
- * 3위: 2008, 2009
- '''삼성 갤럭시배 한중 농구대항전'''
- * '''--''' (1회): 2015
- '''FIBA 아시아 챔피언스컵'''
- * 3위: 1988
- '''멀라이언컵'''
- * 3위: 2016
5. 역대 시즌
연도 | 순위 | 정규 시즌 | 플레이오프 | 비고 | ||
---|---|---|---|---|---|---|
승 | 패 | 승 | 패 | |||
1997 | 8 / 8 | 6 | 15 | | | ||
1997-98 | 9 / 10 | 17 | 28 | | | ||
1998-99 | 6 / 10 | 25 | 20 | 4 | 4 | 플레이오프 4강 |
1999-00 | 3 / 10 | 23 | 22 | 3 | 4 | 플레이오프 4강 |
2000-01 | 1 / 10 | 34 | 11 | 7 | 2 | 플레이오프 우승 |
2001-02 | 8 / 10 | 24 | 30 | | | ||
2002-03 | 5 / 10 | 28 | 26 | 0 | 2 | |
2003-04 | 5 / 10 | 28 | 26 | 1 | 2 | |
2004-05 | 5 / 10 | 27 | 27 | 2 | 3 | 플레이오프 4강 |
2005-06 | 2 / 10 | 32 | 22 | 7 | 0 | 플레이오프 우승 |
2006-07 | 5 / 10 | 29 | 25 | 1 | 2 | |
2007-08 | 3 / 10 | 32 | 22 | 5 | 4 | 플레이오프 준우승 |
2008-09 | 4 / 10 | 30 | 24 | 9 | 6 | 플레이오프 준우승 |
2009-10 | 6 / 10 | 26 | 28 | 1 | 3 | |
2010-11 | 6 / 10 | 27 | 27 | 0 | 3 | |
2011-12 | 10 / 10 | 13 | 41 | | |
6. 선수단
서울 삼성 썬더스는 현재 선수단, 과거 주요 선수, 영구 결번으로 선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현재 선수단은 하위 섹션에 표로 정리되어 있으며, 과거 주요 선수로는 서장훈, 송재익, 이정석, 이규섭, 레오 라이온스, 마키스 커밍스, 유진 펠프스, 찰스 가르시아, 디앤젤로 해밀턴, 코피 코번, 마이클 크레이그 등이 있다.
김현준(金賢俊중국어)은 삼성전자 농구단 시절 팀의 간판 슈터였으며, 1995년 은퇴 후에도 팀에 공헌하다 1999년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그의 업적을 기려 등번호 10번이 영구 결번되었다.
6. 1. 현재 선수단
등번호 | 이름 | 포지션 | 신장 | 생년월일 |
---|---|---|---|---|
1 | 김광철 | G | 1.84m | 1994년 3월 27일 |
2 | 정희원 | F | 1.91m | 1994년 5월 17일 |
3 | 장민국 | F | 1.99m | 1989년 7월 5일 |
5 | 이동엽 | G | 1.93m | 1994년 2월 22일 |
6 | 김현수 | G | 1.83m | 1990년 1월 31일 |
7 | 전형준 | G | 1.81m | 1998년 1월 14일 |
8 | 이호현 | G | 1.82m | 1992년 12월 2일 |
11 | 천기범 | G | 1.86m | 1994년 5월 28일 |
12 | 배수용 | F | 1.94m | 1992년 4월 18일 |
13 | 임동섭 | F | 1.98m | 1990년 8월 29일 |
14 | 김진영 | G | 1.93m | 1998년 6월 22일 |
17 | 이원석 | C | 2.06m | 2000년 1월 30일 |
19 | 강바일 | F | 1.92m | 1995년 3월 2일 |
20 | 김동량 | F | 1.98m | 1987년 11월 11일 |
21 | 이재우 | G | 1.86m | 1997년 3월 5일 |
22 | 김한솔 | C | 1.98m | 1994년 8월 28일 |
23 | 정준수 | F | 1.91m | 1995년 10월 29일 |
24 | 이종구 | F | 1.88m | 1994년 3월 22일 |
25 | 김시래 | G | 1.78m | 1989년 3월 22일 |
26 | 차민석 | F | 1.99m | 2001년 9월 16일 |
30 | 박민우 | F | 1.96m | 1999년 1월 16일 |
32 | 홍순규 | C | 1.98m | 1994년 6월 10일 |
6. 2. 과거 주요 선수
Kim Hyun-joon|김현준영어은 실업 농구 삼성전자 시절부터 팀의 간판으로 활약한 슈터였다. 한번 슛이 터지기 시작하면 막을 수 없는 선수로 유명했다. 1995년 은퇴 후에도 삼성전자 농구단의 감독과 코치를 맡으며 팀에 공헌했다. 그러나 1999년, 팀 훈련을 위해 이동하던 중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실업 농구 시절부터 팀에 크게 공헌한 점을 기려 1999년 시즌 시작 전에 선수 시절 등번호였던 10번을 영구 결번으로 지정했다.[1]6. 3. 영구 결번
김현준(金賢俊중국어)은 실업 농구 삼성전자 시절부터 팀의 간판으로 활약한 슈터였다. 그는 한 번 득점이 시작되면 멈추지 않는 것으로 유명했다. 1995년 은퇴 후에도 삼성에서 감독 대행과 코치를 맡으며 팀에 공헌했다. 그러나 1999년 팀 훈련에 참가하던 중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삼성은 실업 시절부터 팀에 크게 공헌한 김현준을 기리기 위해 1999년 시즌 시작 전에 그의 선수 시절 등번호 10번을 영구 결번으로 지정했다.7. 코칭 스태프
김태경
최수현